KR20220118110A -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10A
KR20220118110A KR1020210021848A KR20210021848A KR20220118110A KR 20220118110 A KR20220118110 A KR 20220118110A KR 1020210021848 A KR1020210021848 A KR 1020210021848A KR 20210021848 A KR20210021848 A KR 20210021848A KR 20220118110 A KR20220118110 A KR 2022011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authentication
self
quarantine
unit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907B1 (ko
Inventor
한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Priority to KR102021002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907B1/ko
Priority to PCT/KR2021/002844 priority patent/WO2022177050A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에서 자가 격리중인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을 통해,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신속하게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가 격리자가 생체 인증을 통해 용이하게 자가 격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은,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자 상태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 및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 인증 모듈부;를 갖는 생체 인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BIOMETRICS FOR SELF QUARANTINED PERSON}
본 발명은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서 자가 격리중인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을 통해 자가 격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라고도 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질환으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증상이 거의 없는 감염 초기에 전염성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
감염 후에는 인후통, 고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거쳐 폐렴으로 발전한다.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가 팬데믹을 선언했으며, 2020년 도쿄 올림픽이 연기되는 등 많은 국제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되었다.
2021년 1월 26일, 전 세계 확진자가 1억 명을 돌파했다.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단일 가닥의 양성 RNA 바이러스이며 게놈 크기는 25-32kb로 지금까지 알려진 RNA 바이러스 중에서는 비교적 큰 바이러스에 속한다.
외피에 곤봉모양의 돌기인 스파이크(spike) 단백질이 박혀 있어 화염 또는 왕관 모양의 특이적 구조를 가지고 있고, 라틴어 Corona로부터 바이러스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1937년 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후 박쥐, 새, 고양이, 개, 소, 돼지, 쥐 등 다양한 조류와 동물에서 발견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4개의 그룹(Alpha coronavirus, Beta coronavirus, Gamma coronavirus, Delta coronavirus)으로 나누어진다.
알파와 베타 코로나 바이러스 그룹은 포유류에 주로 감염되고 감마와 델타 코로나 바이러스 그룹은 조류에서 찾을 수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동물들에서 위장병 및 호흡기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는 1960대 발견된 HCoV-229E와 HCoV-OC43, 사스 대유행 이후 발견된 HCoV-NL63(2004년)과 HCoV-HKU1(2005년)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기도감염증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면역 결핍 환자들에게는 심각한 폐질환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은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1차적 예방 방법으로는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되고 있으며, 2차적으로 확진자가 발생시에는 확진자와 접촉한 접촉자 또는 접촉 의심자의 자가 격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특정 영역(예를 들면, 자택)에서 자가 격리 중인 자가 격리자가 자가 격리 지역으로부터 이탈 없이 올바르게 자가 격리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관리자가 자가 격리자에서 전화(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하여 자가 격리가 올바르게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고 있으며, 자가 격리자가 전화를 받지 않을 시, 관리자가 확인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관리자가 자가 격리자에게 전화시, 자가 격리자가 비양심적으로 자가 격리 지역을 이탈하고도 자가 격리 중이라고 하면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관리자가 자가 격리자가 자가 격리 지역으로부터 이탈을 확인하고 이탈한 자가 격리자를 찾는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7457호 (2020.05.07. 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에서 자가 격리중인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을 통해,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신속하게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가 격리자가 생체 인증을 통해 용이하게 자가 격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은,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자 상태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 및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 인증 모듈부;를 갖는 생체 인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외부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오프(OFF)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알람부에 의해 전원 공급 오프 알람 및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생체 인증 장치 케이스의 밀봉 연결선 내에 자석 스위치 또는 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생체 인증 장치를 강제로 열어 분리되면, 스피커부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광부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되고, 상태 정보가 전송되며, 알람부에 의해 생체 인증 장치 강제 열림 알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생체 인증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상기 GPS부의 최초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상 차이가 발생하면, 스피커부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광부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되고, 알람부에 의해 GPS 위치 변경 알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제 1 통신망에 의해 방역 기관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방역 기관 서버는 제 2 통신망에 의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방법은,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자 상태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되는 제 1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생체 인증 모듈부에 의해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이 수행되는 제 2 단계; 상기 생체 인증의 인증 결과가 통신부에 의해 방역 기관 서버로 전송되는 제 3 단계; 및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결과가 확인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서 자가 격리중인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을 통해,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신속하게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가 격리자가 생체 인증을 통해 용이하게 자가 격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생체 인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생체 인증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QR 코드 또는 단말기 고유 번호 스캔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문자 입력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속성 지정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정보 저장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얼굴 모듈 확인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통신망 확인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사용자 얼굴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사용자 정보의 방역 서버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은 생체 인증 장치(100)와, 제 1 통신망(200)과, 방역 기관 서버(300)와, 제 2 통신망(400)과,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한다.
생체 인증 장치(100)는 자가 격리중인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을 통해,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신속하게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생체 인증 장치(100)의 하드 웨어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생체 인증 모듈과, 스피커와, GPS와, 버튼과, 안테나와, 전원과, 밧데리와, LTE 통신 유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망(200)은 생체 인증 장치(100)와, 방역 기관 서버(300)를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제 1 통신망(200)은 4세대 이동 통신인 LTE 또는 5세대 이동 통신인 5G(IMT-2020) 등 일 수 있다.
물론, 생체 인증 장치(100) 내부에 LT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사 에그(EGG)와 연결되고, 이 에그는 LTE를 통해 방역 기관 서버(3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방역 기관 서버(300)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를 포함하는 각 종 전염병에 대한 방역을 총괄하는 기관의 서버이다.
제 2 통신망(400)은 생체 인증 장치(100)와, 방역 기관 서버(300)를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제 1 통신망(200)은 4세대 이동 통신인 LTE 또는 5세대 이동 통신인 5G(IMT-2020) 등 일 수 있다.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은 생체 인증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방역 기관 서버(300)를 통해 온라인으로 제공받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생체 인증 장치(100)는 제 1 통신망(200)에 의해 방역 기관 서버(300)와 연결되며, 방역 기관 서버(300)는 제 2 통신망(400)에 의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은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임의로 자가 격리자에게 연락하여 자가 격리 인증을 요청하면, 자가 격리자는 통화 중에 생체 인증 장치(100)를 통해 자가 격리자 자신의 생체의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가 격리자에 의해 수행된 자가 격리 인증 결과는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자가 격리자는 생체 인증 장치(100)를 자가 격리자의 격리 영역(예를 들면, 자가 격리자의 자택)에 배치한다.
이후,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자가 격리 확인 요청시, 자가 격리자는 생체 인증 장치(100)를 통해 생체 인증을 수행한다.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 결과는 제 1 통신망(200)을 통해 방역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고, 관리자는 제 2 통신망(400)을 통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로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생체 인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은 버튼부(110)와, 생체 인증 모듈부(120)와, 전원부(130)와, GPS부(140)와, 알람부(150)와, 스피커부(160)와, 발광부(170)와, 통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10)는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관리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러한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생체 인증 모듈부(120)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을 수행한다.
전원부(130)는 외부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오프(OFF)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후술하는 알람부(150)에 의해 전원 공급 오프 알람이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된다.
즉, 전원부(1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오프(OFF)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도시 생략)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오프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알람부(150)는 전원 공급 오프 알람을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하게 되어,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생체 인증 장치(100)의 전원 공급 오프 상황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자가 격리자가 임의로 생체 인증 장치(100)의 전원 코드를 오프시켰을 경우가 매우 높으므로,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전원 공급 오프 알람을 확인하는 즉시 상황을 인지하고, 자가 격리자가 임의로 생체 인증 장치(100)의 전원 코드를 뽑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자가 격리자가 생체 인증 장치(100)를 가지고 자가 격리 지역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생체 인증 장치(100)의 겉면 주요 부위에는 훼손 방지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겉면 주요 부위로는 유심 삽입부, 나사 구멍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겉면 주요 부위에 훼손 방지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가 격리자는 생체 인증 장치(100)를 함부로 훼손할 수 없다.
또한, 생체 인증 장치(100)는 생체 인증 장치 케이스의 밀봉 연결선 내에 자석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생체 인증 장치(100) 안쪽에 자석 스위치를 장착하고 생체 인증 케이스를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자가 격리자가 자가 격리 지역의 이탈을 위해, 생체 인증 장치(100)가 강제로 열려 자석 스위치가 분리되면, 후술하는 스피커부(160)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발광부(170)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생체 인증 장치(100)가 강제로 열리면, 후술하는 알람부(150)에 의해 생체 인증 장치 강제 열림 알람이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된다.
이에 의해,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생체 인증 장치(100)가 강제로 열린 상황을 인지하게 되며, 이에 대한 후속 조치(생체 인증 장치(100) 수리,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 지역 이탈 방지 등)를 곧바로 취할 수 있게 된다.
GPS부(140)는 일정 시간마다 생체 인증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제공한다.
이러한 GPS부(140)가 제공하는 생체 인증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GPS부(140)의 최초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상 차이가 발생하면, 후술하는 스피커부(160)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발광부(170)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에서, GPS부(140)의 위치 정보가 GPS부(140)의 최초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상 변경되면 후술하는 알람부(150)에 의해 GPS 위치 변경 알람이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된다.
즉, 자가 격리자가 자가 격리 지역의 이탈을 위해 임의로 생체 인증 장치(100)의 위치를 옮길 수 있다.
따라서,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GPS부(140)에서 제공되는 생체 인식 장치(100)의 위치 데이터를 일정 시간마다 확인하게 되며, 생체 인식 장치(100)의 처음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위치 정보의 차이가 발생시 경고 처리(소리, 빛 등)하게 된다.
또한, 알람부(150)를 통해 방역 관리 서버(300)로 GPS 위치 변경 알람을 전송하게 되어,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GPS 위치 변경 알람을 확인하는 즉시 상황을 인지하고, 자가 격리자가 임의로 생체 인증 장치(100)의 위치 변경을 확인함으로써, 자가 격리자가 생체 인증 장치(100)를 가지고 자가 격리 지역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알람부(15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오프(OFF)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전원 공급 오프 알람을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알람부(150)는 생체 인증 장치(100)가 강제로 열리면, 생체 인증 장치 강제 열림 알람을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알람부(150)는 GPS부(140)의 위치 정보가 GPS부(140)의 최초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상 변경되면 GPS 위치 변경 알람을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
생체 인증 장치(100)가 강제로 열려 자석 스위치가 분리되면, 스피커부(160)는 경고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알람부(170)는 경고 빛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스피커부(160)와, 알람부(170)는 이러한 GPS부(140)가 제공하는 생체 인증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GPS부(140)의 최초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도 경고 처리(경고 소리 발생, 경고 빛 발생 등)를 수행하게 된다.
통신부(180)는 생체 인증 모듈부(120)에 의해 수행된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에 대한 결과 데이터나, 알람부(150)의 다양한 알람 등을 방역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방법은 4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계(S100)에서는,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생체 인증 장치(100)의 버튼에 의해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가 생성된다.
제 2 단계(S200)에서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생체 인증 모듈부에 의해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이 수행된다.
제 3 단계(S300)에서는, 생체 인증의 인증 결과가 통신부(180)에 의해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된다.
제 4 단계(S400)에서는,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에 의해 전송된 인증 결과가 관리자에 의해 확인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방법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부(110)는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생체 인증 모듈부(120)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을 수행한다.
전원부(130)는 외부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오프(OFF)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알람부(150)에 의해 전원 공급 오프 알람이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된다.
또한, 생체 인증 장치 케이스의 밀봉 연결선 내에 자석 스위치가 장착되며, 생체 인증 장치(100)가 강제로 열려 자석 스위치가 분리되면, 스피커부(160)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광부(170)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된다.
이때, 생체 인증 장치가(100) 강제로 열리면, 알람부(150)에 의해 생체 인증 장치 강제 열림 알람이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된다.
GPS부(140)는 일정 시간마다 생체 인증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방역 기관 서버(300)에 제공한다.
생체 인증 장치(100)의 위치 정보(GPS부(140)의 위치 정보)가 GPS부(140)의 최초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상 차이가 발생하면, 스피커부(160)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광부(170)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된다.
이때, GPS부(140)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알람부(150)에 의해 GPS 위치 변경 알람이 방역 기관 서버(300)로 전송된다.
이러한 생체 인증 장치(100)는 제 1 통신망(200)에 의해 방역 기관 서버(300)와 연결되며, 방역 기관 서버(300)는 제 2 통신망(400)에 의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도 4 내지 도 12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생체 인증 중 안면 인증을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면, 홍채, 지문, 정맥, 장정맥 등과 같이 생체 인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얼굴 인증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생체 인증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생체 인증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사전에 생체 인증 장치(100)에 유심(USIM)을 삽입한다.
이후, 관리자는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 지역(예를 들어, 자가 격리자의 집 등)에 생체 인증 장치(100)를 배치하고, 전원 코드를 연결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QR 코드 또는 단말기 고유 번호 스캔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로 생체 인증 장치(100)의 QR 코드를 스캔한다.
이는 생체 인증 장치(100)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이때,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 QR 코드의 인식이 안되면, 문자 입력 방식을 선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문자 입력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로 생체 인증 장치(100)의 문자 코드를 입력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은 생체 인증 장치(100)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속성 지정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생체 인증 장치(100)가 동작시 적용하는 속성의 사용 여부를 지정한다.
이와 같은 속성으로는 전원 오프 체크, 위치 정보 사용, 케이스 상태 체크 등 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정보 저장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은 획득된 설정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생체 인증 장치(100)에 전송한다.
생체 인증 장치(100)의 관리 모듈(도시 생략)은 전송 받은 설정 정보를 파일로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얼굴 모듈 확인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생체 인증 장치(100)의 관리 모듈은 생체 인식 모듈부(120)가 정상인지를 확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통신망 확인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의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생체 인증 장치(100)의 관리 모듈은 통신망 연결이 정상인지를 확인한다.
모든 점검이 성공하면 완료 버튼이 활성화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사용자 얼굴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내에 따라 자가 격리자는 본인의 생체를 생체 인식 장치(100)에 등록한다.
관리자는 자가 격리자의 생체에 대한 등록이 완료시 부여되는 ID 값을 확인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의 설치 업무 순서 중 사용자 정보의 방역 서버 등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가 격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자가 격리자의 정보(이름, ID 등)를 입력한다.
다음, 생체 인식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GPS)를 조회한다.
이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자가 격리자의 정보가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500)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서 자가 격리중인 자가 격리자의 생체 인증을 통해, 자가 격리자의 자가 격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신속하게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가 격리자가 생체 인증을 통해 용이하게 자가 격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생체 인증 장치
110 : 버튼부
120 : 생체 인증 모듈부
130 : 전원부
140 : GPS부
150 : 알람부
160 : 스피커부
170 : 발광부
180 : 통신부
200 : 제 1 통신망
300 : 방역 기관 서버
400 : 제 2 통신망
500 :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

Claims (8)

  1.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자 상태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 및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 인증 모듈부;를 갖는 생체 인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외부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오프(OFF)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알람부에 의해 전원 공급 오프 알람 및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생체 인증 장치 케이스의 밀봉 연결선 내에 자석 스위치 또는 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생체 인증 장치를 강제로 열어 분리되면, 스피커부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광부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되고, 상태 정보가 전송되며,
    알람부에 의해 생체 인증 장치 강제 열림 알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생체 인증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GPS부의 최초 등록된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상 차이가 발생하면, 스피커부를 통해 경고 소리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광부를 통해 경고 빛이 발생되고,
    알람부에 의해 GPS 위치 변경 알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 장치는 제 1 통신망에 의해 방역 기관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방역 기관 서버는 제 2 통신망에 의해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8. 관리자로부터 자가 격리자 상태 확인을 위한 인증 요청시,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생성되는 제 1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생체 인증 모듈부에 의해 자가 격리자의 생체가 인식되어 생체 인증이 수행되는 제 2 단계;
    상기 생체 인증의 인증 결과가 통신부에 의해 방역 기관 서버로 전송되는 제 3 단계; 및
    관리자 PC 또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결과가 확인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방법.
KR1020210021848A 2021-02-18 2021-02-18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10251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48A KR102510907B1 (ko) 2021-02-18 2021-02-18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PCT/KR2021/002844 WO2022177050A1 (ko) 2021-02-18 2021-03-08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48A KR102510907B1 (ko) 2021-02-18 2021-02-18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10A true KR20220118110A (ko) 2022-08-25
KR102510907B1 KR102510907B1 (ko) 2023-03-16

Family

ID=8293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48A KR102510907B1 (ko) 2021-02-18 2021-02-18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0907B1 (ko)
WO (1) WO202217705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20170043286A (ko) * 2015-10-13 2017-04-21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47457A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102187389B1 (ko) * 2020-07-01 2020-12-08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2652A1 (en) * 2014-11-11 2016-05-12 Ebay Inc. Communicable disease tracking
KR102154474B1 (ko) * 2019-02-18 2020-09-10 주식회사 유비케어 감염병 의심 환자 모니터링 방법 및 감염병 의심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20170043286A (ko) * 2015-10-13 2017-04-21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47457A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102187389B1 (ko) * 2020-07-01 2020-12-08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907B1 (ko) 2023-03-16
WO2022177050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8859A1 (en) Robot, robot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1873847B1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742376A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程序以及信息处理系统
US10937296B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safe physical distancing between entities
US20220040356A1 (en) Space cleaning system and space cleaning method
CN117152590A (zh) 数据安全传感器系统
JP7165892B2 (ja) 病原体情報管理システム、病原体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端末
JP20161460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013235B1 (ko)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CN111444894A (zh) 用于佩戴口罩人群的身份识别方法和系统
JP2005284535A (ja) 生活監視システム
KR20180006016A (ko)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CN104616408B (zh) 门铃控制方法及装置
KR102510907B1 (ko)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US20210352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nversation-driven management of a call
KR20200059628A (ko) 스켈레톤 영상 학습 기반의 독거노인 행동 패턴 모니터링 방법
CN212893301U (zh) 一种电梯装置及电梯系统
JP6944237B2 (ja) 被介護者の救護支援システム
US11875658B2 (en) Remote distress monitor
KR101264049B1 (ko)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가상 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 로봇
JP4320900B2 (ja) 自律型のロボット装置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及び自律型のロボット装置を用いた監視方法
Linscott et al. Management of upper airway obstruction.
Okara et al. Smart technologies for COVID-19: The strategic approaches in combating the virus
US20220028239A1 (en) Security system
KR102197587B1 (ko)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