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389B1 -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389B1
KR102187389B1 KR1020200081101A KR20200081101A KR102187389B1 KR 102187389 B1 KR102187389 B1 KR 102187389B1 KR 1020200081101 A KR1020200081101 A KR 1020200081101A KR 20200081101 A KR20200081101 A KR 20200081101A KR 102187389 B1 KR102187389 B1 KR 10218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antin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bje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출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격리대상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를 활용하여 격리대상자의 위치를 비롯한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관제서버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PERSON IN QUARANTINE}
본 발명은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격리대상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를 활용하여 격리대상자의 위치를 비롯한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관제서버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에 따른 피해가 매우 크게 발생하였으며, 아직까지도 그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비단 코로나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이전에 발생하였던 사스, 메르스, 조류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병들 역시 전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입힌 바 있으며, 한번 발생한 감염병에 대한 대응에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었다.
한편, 이들 감염병에 따른 피해확산을 진화시키는 데에는 사람들로부터 타인으로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실질적으로 많은 사람들을 한꺼번에 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감염병에 노출되어 격리가 필요한 자, 소위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는 격리대상자에게 위치 추적이 가능한 장치를 소지시킴으로써 격리대상자를 관리하는 방법도 현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치 추적이 가능한 장치를 소지시키는 것만으로는 격리대상자가 올바르게 격리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데, 예를 들어 격리대상자가 장치를 격리장소에 둔 채 외출을 하는 경우 격리대상자의 소재를 전혀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위치 추적이 GPS 기술에 기반한 것이라면 실내에서는 실질적으로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여 이 역시 격리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치의 위치 추적 기능을 상시 사용하는 경우 장치의 배터리가 크게 소모되어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킴은 물론, 굳이 격리대상자의 위치 파악이 불필요한 경우까지 장치의 위치 추적 기능을 켜 두는 것은 효율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위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내에 해당 단말기의 움직임 자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 또는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 예를 들어 체온, 심박수, 지문, 홍채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격리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이전 단계에서 격리대상자의 상태를 먼저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9936호(2004.06.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감염병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격리대상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특히 격리대상자의 움직임 또는 신체정보를 먼저 파악함으로써 격리대상자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 즉 위치 추적이 필요한지를 먼저 판단하고, 이 후 판단 결과에 따라 감시 수준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단 격리대상자가 격리장소를 벗어났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것뿐만 아니라, 감시의 대상이 되는 자가 전반적으로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관제서버 측에서 알 수 있게 함으로써 관제서버가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로 하여금 구동의 부담이 줄게 함으로써 단말기 자체의 수명을 늘림은 물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정보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일시 멈춤 상태 또는 장기 멈춤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장기 멈춤 상태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통화연결 및 응답요청을 시도하고, 응답요청 여부에 따라 후속 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일시 멈춤 상태인 경우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관제서버에 보고하게 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관제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가속도 측정부; 및 상기 가속도 값을 참조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측정부에 의해 획득된 가속도 값으로부터 연산된 제N시간대 속도 값이 설정값보다 크고, 제N+1시간대 - 제N+1시간대는 상기 제N시간대보다 나중의 시간대임 -속도 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일시 멈춤 상태로 정의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연산에 있어서 제N 시간대 속도 값은, 제N-1시간대 속도 값에 제N 시간대에 측정된 가속도 값들을 더함(N은 1이상의 자연수, 제0 시간대의 속도 값은 0)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측정부에 의해 획득된 가속도 값이 설정시간 이상 0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장기 멈춤 상태로 정의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참조하여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가 미측정되었거나 또는 이탈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연결 및 응답요청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관제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는 신체정보 감지부; 및 상기 신체정보를 참조하여 격리대상자의 이탈여부 또는 상기 격리대상자의 건강이상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 감지부는, 격리대상자의 심박수를 감지하기 위한 심박수 감지부; 격리대상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체온 감지부; 또는 격리대상자의 신원확인을 위한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격리대상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감염병 전파를 강력하게 차단함으로써 국가 방역 체계를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격리대상자의 움직임이나 신체정보를 먼저 파악한 후 위치 추적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종래 위치 추적 기능을 상시 사용하여 왔던 단말기 운용 방식에 비해 효율성을 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제서버로 하여금 격리대상자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자동적으로 취할 수 있게 구현함으로써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한 격리대상자에 대해서는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단말기 및 시스템은 비단 감염병 격리대상자를 상대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여성 안심 지킴이 서비스, 길안내 지원 서비스 등에도 사용될 수 있는 등 확장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 관리용 시스템의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 관리용 단말기, 그리고 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관제서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 관리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가속도 측정부를 이용하여 속도 값이 연산되는 예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 관리용 시스템의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 관리용 단말기, 그리고 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관제서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격리대상자 관리용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는 격리대상자 관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관제서버 상에서 실행되는 격리대상자 관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결정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결정이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결정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 시스템의 활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겠지만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격리대상자(10) 관리용 단말기 (이하에서는 편의상 "단말기"로 칭하기로 함)의 움직임 자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10)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격리대상자(10)의 상태를 관제서버(100)에 알림으로써 후속적인 조치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이 때 단말기(200)의 움직임은, 격리대상자(10)가 상기 단말기(200)를 항상 휴대하고 있음을 전제로, 격리대상자(10)의 움직임과 유사할 것으로 유추되는데, 예를 들어 격리대상자(10)가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을 때, 격리대상자(10)가 걸어가거나 뛰는 등의 방식으로 이동을 할 때, 격리대상자(10)가 자리에 앉았다가 일어나는 행위를 할 때 등 격리대상자(10)의 움직임과 함께 단말기(200)도 함께 움직일 때의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격리대상자(10)의 움직임을 가장 정교하게 유추해 낼 수 있는 것으로서 단말기(200)가 감지할 수 있는 파라미터 중에는 '가속도'가 포함되는데, 후술하게 될 발명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 시스템이 단말기(200)가 감지한 가속도를 기초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해 언급될 것이다.
다시 도 1과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오면, 먼저 도 1은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200)를 소지한 채 격리장소(20)인 집을 벗어나 이동하였을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감염병에 걸렸거나 또는 감염병의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판정 받은 자는 일정한 공간(예. 집)에서만 지내며 자가격리를 할 것을 요청 받게 되는데 이러한 격리대상자(10)들에게는 도면에서도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단말기(200)가 지급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200)는 적어도 해당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 및 해당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을 것을 전제로 한다. 격리대상자(10)에게는 상기 단말기(200)를 항시 휴대하고 다닐 것을 요청하거나 또는 아예 격리대상자(10)가 임의로 떼어낼 수 없도록 단말기(200)를 부착형 또는 착용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격리대상자(10)가 움직일 때에 단말기(200) 역시 동일 또는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게 될 것이므로 단말기(200)에 대한 여러 물리적인 파라미터를 파악한다면 이는 곧 격리대상자(10)의 움직임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격리대상자(10)가 격리장소(20)를 벗어나 다른 장소로 이동을 하는 경우, 격리대상자(10)가 이동을 하는 행위에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가속도의 발생이 수반될 수 밖에 없는데, 최초 격리대상자(10)가 가만히 서 있던 상태에서 이동을 시작할 때,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이동을 한 후 특정 장소에 도달하면서 이동을 멈출 때의 가속도가 기본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물론 가속도란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어떤 임의의 물건이 이동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엄밀하게는 단말기(200)가 움직이는 모든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감지될 수 있을 것이나, 여기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타의 가속도에 대해서는 일단 생각을 배제하기로 한다. 이렇듯 단말기(2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격리대상자(10)가 현재 격리장소(20)를 벗어나 어느 장소에 머무르고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데, 특히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있다가 갑자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동안에 걸쳐 감지된 가속도의 평균값이 설정값 이상에서 이하로 변화되는 시점은 격리대상자(10)가 이동 후 잠시 멈춤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잠시 멈춤 상태라 판단이 되었다면 이 때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상기 격리대상자(10)가 현재 어느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도 1과 달리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200)를 소지하지 않은 채, 다시 말해 격리대상자(10)가 지침을 무시하고 임의로 단말기(200)를 자신의 몸으로부터 떼어낸 채 격리장소(20)를 벗어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때 단말기(200) 상에서는 일정 시간 동안 단말기(200)의 가속도, 즉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것이며, 단말기(200)는 이를 장기 멈춤 상태로 판단한 뒤 관제서버(100) 측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 후 관제서버(100)에서는 자동으로 상기 단말기(200)에 전화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또는 관제센터(30)의 직원으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200)로 전화 통화 연결을 시도하게 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의 상태를 파악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격리대상자(10)가 현재 단말기(200) 주변에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도록 단말기(200) 상에서 임의의 버튼을 눌러볼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관제서버(100)의 요청에도 단말기(200)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100)는 112 또는 119에 자동적으로 신고를 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의 신속한 소재 파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와 같은 실시 태양을 구현해 내기 위해서는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기(200) 및 관제서버(100)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이 시스템에는 관제서버(100) 및 단말기(200)가 주된 구성으로 포함된다.
관제서버(100)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10)의 상태를 판단함은 물론, 격리대상자(10)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 정보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200)의 움직임 정보(일시 멈춤 상태, 장기 멈춤 상태 등)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10)가 격리장소(20)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제서버(100)는 곧바로 상기 단말기(200)를 향해 통화연결을 시도하거나 또는 메시지를 발송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가 다시 격리장소(20)로 돌아올 것을 종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격리대상자(1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로부터 가장 가까운 경찰서, 파출소, 소방서 등에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격리대상자(10)를 격리장소(20)까지 에스코트 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200)를 장시간 방치해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200)를 격리장소(20)에 두고 이탈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제서버(100)는 상기 단말기(200)로 통화연결을 시도하거나 특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격리장소(20)에 존재한다는 점을 알리라는 응답요청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변 경찰서, 파출소, 소방서 등에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격리대상자(10)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특히 단말기(200)의 구성이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이어가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통신부(201), 위치 측정부(202), 가속도 측정부(203), 저장부(204) 및 제어부(2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부가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0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가 관제서버(100)와 데이터 및 통화를 송수신하게 하거나, 또는 관제서버(100) 이외에도 통상적인 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및 통화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며, 상기 통신부(201)는 네트워크 연결 대상이 되는 구성과의 통신상 호환성을 지니고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에는 예를 들어, 3G 통신 모듈, 4G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와이브로(Wibro) 통신 모듈, M2M 통신 모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모듈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중 어느 하나 등과 같이 공지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은 무선망을 통해 관제서버(100)에 위치 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응급상황 발생시 관제센터(30)와의 연결되어 가까운 병원으로 안내를 받거나 관제센터(30)로 하여금 경찰서, 소방서 등에 연락하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01)에는 GPS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20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대표적으로는 GPS를 이용하는 방법 및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200)가 실외에 노출될 때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GPS 측위가 가능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고 단말기(200)가 실내에 존재할 때에는 주변 와이파이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위치 측정부(202)는 반드시 위 두 가지 방법으로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둘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이라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측정부(202)가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 획득 및 와이파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획득 모두 가능하게 구현된다면, 격리대상자(10)가 실내 또는 실외에 있을 때 모두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 경우 특히 격리대상자(10)의 현황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는 감염병 대응 분야에서는 격리대상자(10)의 움직임을 공백 없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가속도 측정부(203)는 상기 단말기(200)의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속도 측정부(203)는 기본적으로 가속도 그 자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특히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들은 속도 측정수단 대신 가속도 측정수단을 많이 구비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단말기(200) 역시 가속도 자체를 측정하는 수단을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가속도 측정부(203)는 자이로센서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는 스핀축에 직교하는 1개 이상의 축 주위의 관성 공간을 기준으로 각운동을 측정하는 원리에 기초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핸들링에 의해 변하는 상기 단말기(200)의 역학적 운동과 대응되는 파라미터들을 감지 내지 측정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가속도 측정부(203)로 자이로센서를 활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 입장에서는 어느 일방향으로의 가속도뿐만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 단말기(200)의 기울기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격리대상자(10)의 움직임을 보다 복합적,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일 방향으로의 가속도 값만을 측정하는 것에 비해 단말기(200)가 종전 위치보다 높이가 상승하였거나 하강하였다는 사실(격리대상자(10)가 일어서거나 앉음), 또는 단말기(200)가 같은 지점에서 요잉(YAWING)운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200)를 잡고 게임을 함) 등 격리대상자(10)의 세부적인 활동 사항을 파악하는 데에 참조 가능한 더 많은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05)는 상기 단말기(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앞서 가속도 측정부(203)에서 획득한 정보를 분석한 후 통신부(201)를 통해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기(200)의 상태를 관제서버(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가속도 측정부(203)에 의해 임의의 시간 동안 획득된 가속도 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보다 크고, 이 후 또 다른 임의의 시간 동안 획득된 가속도 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단말기(200)의 움직임 상태를 일시 멈춤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제서버(100)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가속도 측정부(203)에 의해 획득된 가속도 값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0인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움직임 상태를 장기 멈춤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제서버(100)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어부(205)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5)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제어부(205) 외에 저장부(204)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때 저장부(204)는 각종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구성, 그리고 측정부들에 의해 측정된 값들이 저장되는 구성, 그 밖에 격리대상자(10)를 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4)는 일반적으로 메모리로 이해되며,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205)의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205)는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언제든지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기(200)의 움직임 정보 역시 언제든지 획득할 수 있는 구성인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서는 격리대상자의 움직임 패턴을 자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격리대상자에 대한 관리에 있어서는 격리대상자가 격리장소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할 것인데, 제어부(205)는 누적적으로 수집한 해당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격리대상자에 대한 행동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자가 격리의 대상이 되는 자들의 경우 특히 실내에서만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실내의 제한된 활동을 할 때에는 매일 매일이 유사한 루틴 활동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200)의 제어부(205)는 시간대별 단말기의 가속도 값을 저장 및 분석함으로써 격리대상자의 하루 생활 패턴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오전 7시부터 7시 15분에 기상을 하는 경우 단말기로서는 오랜 시간 멈춤 상태에 있다가 격리대상자가 단말기(200)를 손에 들었을 때 가속도 값이 측정될 것이며, 또한 격리대상자가 씻기 위해 단말기(200)를 방에 두고 가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가속도 값이 측정되었다가 더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격리대상자가 격리장소 내에서 아침 잠에서 깨어난 뒤 일정 시간대 내에서 루틴하게 감지될 수 있는 단말기 및 격리대상자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시간대에서 더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단말기(200)는 현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도 자유롭게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는데, 실내 또는 실외에서의 단말기(200) 위치 정보 역시 시간대별로 분류가 되어 격리대상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격리장소는 반드시 가정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병원, 요양원 등과 같이 그 규모가 상당히 큰 시설물이 될 수도 있는데, 이 시설물 밖으로의 출입이 금지된 격리대상자에 대해서는 생활 패턴 분석시 시간대별 단말기(200) 자체의 움직임(가속도)은 물론, 상기 움직임(가속도)과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까지 묶어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격리대상자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그리고 위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제서버(100)와 단말기(200)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격리대상자(10)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단말기(200) 상에서 격리대상자(10) 관리를 위해 실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할 때, 격리대상자(10) 관리 방법은 가장 먼저 단말기(200)가 초기화 하는 단계(S401)로부터 시작된다. 이 때 초기화란, 통신부(201)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 나아가 지정된 관제서버(100)에 단말기(200) 인증까지 완료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401단계 이후, 단말기(200)는 정해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정해진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해당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를 파악하여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100)에 송신하는 단계(S402, S403, S409, S410)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보고하지 않는 상황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단말기의 가속도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S404)하게 되는데, 이 때 가속도 값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0을 유지할 경우 단말기(200)는 이를 장기 멈춤 상태로 판단한 뒤 S405단계로 진행하여 관제서버(100) 측으로 단말기가 장기 멈춤 상태에 있음을 보고(S405)하고, 이 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S409)한 뒤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10)로 진행할 수 있다. 기 설정 시간 동안 가속도 값이 0이라는 것의 의미는 해당 시간 동안 어떤 외력도 가해지지가 않아 조금의 움직임도 없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해진 시간 동안 가속도 값이 0을 유지하였다면 이는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200)를 가만히 방치한 채 오랜 시간이 흘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S4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해진 시간 동안 가속도 값이 0이 아닌 다른 값으로 나타난 경우, 단말기(200)는 S406단계로 나아가 속도 값을 연산할 수 있다.(S406) 한편 단말기(200)는, 속도 값 연산 결과 제N 시간에서의 속도가 설정값보다 크고, 제N+1 시간(제N+1 시간은 제N 시간 대비 나중의 시간임)에서의 속도가 설정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만일 연산된 속도 값이 위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말기(200)가 일시 멈춤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아 관제서버(100) 측에 일시 멈춤 상태를 보고(S408)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S409)한 뒤 관제서버로 전송한다.(S410) 즉, 단말기의 가속도가 0이 아니라면 격리대상자(10)에 의해 단말기(200)가 이동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는데, 특히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가속도 측정치로부터 속도 값을 연산해 봄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속도로 움직임이 있다가 일정 수준 이하의 속도로 그 움직임이 멈추면 단말기(200)는 이를 바탕으로 격리대상자(10)가 일시적으로 멈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관제서버(100)에 보고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제N 시간 속도가 설정값보다 크고 제N+1 시간 속도도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단말기(200)가 계속 움직이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제N 시간 속도가 설정값보다 작고 제N+1 시간 속도 역시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기(200)가 계속 멈추어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렇게 계속 움직이고 있는 상태 또는 계속 멈추어 있는 상태는 특별히 관제서버(100)로 보고할 대상이 아닌 것으로 본다.
참고로 도 5에는 가속도 측정부(203)를 이용하여 속도 값이 연산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시간대 별 속도 값의 연산은 아래의 수식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식 1]
제N 시간 속도 = (제 N-1 시간 속도)+(제N 시간대의 가속도 합)
예를 들어, 도 5와 위 수식1을 참고할 때에 아래와 같은 연산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제2시간대 속도] = [제1시간대 속도] + [제2시간대가속도 합]
= 5 + (0+0+0+1+1-1-1+0+1+1) = 5 + 2
= 7
또한, 도 5를 참고할 때 기 설정된 설정값이 2라면, 제1 시간대와 제2 시간대, 제4 시간대, 제5 시간대에서는 각각 연산된 속도 값이 5, 7, 4, 6인 반면, 제3 시간대에는 속도가 2보다 작은 값인 1이므로 해당 시간대에서는 단말기(200)가 일시 멈춤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관제서버(100) 측에 이를 보고할 수 있다.
한편, S410단계에서 다른 특별한 사정이 있어 위치 정보가 관제서버(100)로 정상적으로 전송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단말기(200)는 앞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04)에 저장해 둠(S411)으로써 추후 다시 관제서버(100)로의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추후 관제서버(100)로의 위치 정보 전송이 성공한 후에는 저장부(204)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정보들을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200) 내에 격리대상자(10)에 대한 정보가 더 이상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관제서버(100)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 즉 격리대상자(10)에 대한 상태 정보(일시 멈춤 상태 또는 장기 멈춤 상태)와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그에 따른 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시 멈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제서버(100)는 관계 기관으로 해당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격리장소(20)로의 귀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단말기(200)로의 통화 연결 내지 메시지 전송을 시도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로 하여금 격리장소(20)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격리대상자(10)가 장기 멈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제서버(100)는 격리대상자(10)의 단말기(20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일정한 응답을 요청함으로써, 예를 들어 "격리 장소 이탈이 아니라면 통화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응답요청(이러한 응답요청용 메시지는 단말기(200)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음)을 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응답요청에 격리대상자(10)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관계 기관에 위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가 격리장소(20)로 귀환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위와 같은 응답요청에 격리대상자(10)가 응답을 한 경우, 관제서버(100)는 격리대상자(10)로부터 신체정보(체온, 심박수, 혈압 등)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격리대상자(10)의 격리장소(20) 이탈을 오보로 처리함으로써 더 이상의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 시스템에서는 비단 앞서 언급한 실시예뿐만 아니라 여타의 응급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가 임의의 격리대상자(10)에게 주어졌다고 가정할 때에, 긴급 또는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위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200)의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지정된 기관으로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통화 연결이 되면 격리대상자(10)가 필요한 요청 사항을 말로 전달한 후 도움을 받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말기(20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이를 위 연결된 기관에 공유함으로써 후속적인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서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 시스템, 그 중에서도 특히 단말기(200)의 세부구성들 및 관제서버(100)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격리대상자(10) 관리 시스템의 활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의 시스템은 앞서 도 1 또는 도 2와 달리 격리대상자(10)의 위치보다는 격리대상자(10)의 신체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격리대상자(10)의 심박수, 체온은 물론 격리대상자(10)의 고유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이나 홍채정보를 감지 및 획득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격리대상자(10)가 격리장소(20)에서 바르게 격리생활을 하고 있는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격리대상자(10)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제2 실시 예에서는 격리대상자(10)의 신체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령, 관제서버(100)에서는 주기적으로 격리대상자(10)의 단말기(600)로부터 신체정보가 수신되도록 하되, 만일 정해진 시간 내에 신체정보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정상범위를 벗어난 신체정보가 수신된 경우 격리대상자(10)의 신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역시 관제서버(100) 및 단말기(600)를 주된 구성으로 포함하며, 이 중 관제서버(100)는 제1 실시 예에 소개한 관제서버(100)와 상당 부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관제서버(100)는 관제서버(100)는 상기 단말기(600)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체정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10)의 상태를 판단함은 물론, 격리대상자(10)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서의 단말기(600) 역시 제1 실시 예에서의 단말기(200)와 유사한 구성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통신부(601), 위치 측정부(602), 제어부(605)는 제1 실시 예에서의 단말기(200) 내 세부구성들과 상당히 유사한 것이다. 서로 다른 구성으로는 신체정보 감지부(603)와 입출력부(604)를 꼽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위의 차이가 나는 두 개의 구성들에 대해서만 자세히 논하기로 한다.
신체정보 감지부(603)는 말 그대로 격리대상자(10)의 신체정보(들)를 획득하는 구성이며, 이 때 신체정보 감지부(603)에는 격리대상자(10)의 심박수를 감지하기 위한 심박수 감지부, 격리대상자(10)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체온 감지부, 또는 격리대상자(10)의 신원확인을 위한 생체정보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위 감지부들 중 특히 심박수 감지부와 체온 감지부는 필요에 따라 자동 감지 또는 수동 감지로 작동할 수 있는데, 자동 감지가 가능하게 구현한 경우 정해진 시각마다 또는 정해진 주기마다 격리대상자(10)의 심박수 또는 체온을 감지하여 관제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단말기(600)는 격리대상자(10)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 예를 들어 손목시계, 목걸이, 팔찌 등의 형태로 구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동 감지로 작동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심박수 또는 체온을 감지하기 위해 측정 시간에 이르면 격리대상자(10)에게 알람을 표시함으로써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600)를 조작하여 스스로 심박수 또는 체온을 체크 및 입력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격리대상자(10)의 신원확일을 위한 생체정보 감지부는 다시 지문을 감지하기 위한 지문 감지부, 또는 격리대상자(10)의 홍채를 감지하기 위한 홍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출력부(604)는 격리대상자(10)가 단말기(600)를 통해 특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단말기(600)가 격리대상자(10)에게 특정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여기에는 음성통화를 위해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전기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스피커, 원격지에 있는 의료인에게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5)의 기능과 관련하여,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는 격리대상자가 올바른 격리생활을 하고 있는지 또는 건강한 상태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신체정보를 요구하도록 구현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605)는 격리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단말기 사용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대상자는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단말기(600) 사용에 보낼 것인데, 일반적으로 격리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600) 기능, 다시 말해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은 그 종류나 사용시간에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령 격리대상자는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하는 데에 보낼 수 있고, 11시부터 12시까지는 동영상 컨텐츠 감상을 하는 데에 보낼 수 있으며, 12시부터 1시 사이에는 반드시 은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계좌를 확인하는 데에 시간을 보낸다 가정할 때, 제어부(605)는 격리대상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순서(예. 게임 -동영상 콘텐츠 - 은행)를 보아 특이성이 없다면 해당 격리대상자에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시간대별로 어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는지를 보아 격리대상자에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이와 같이 격리대상자의 루틴한 단말기 사용패턴에 대해 분석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605)로서는 주기적으로 격리대상자에게 신체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있으며, 이상 패턴이 감지되었을 경우에만 신체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요청하거나 통화연결 시도를 함으로써 격리대상자에 대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개요를 살펴 보았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격리대상자(10)를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단말기(600) 상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순서에 따라 나열한 것으로, 이에 따를 때 가장 처음 단계는 단말기(600)가 초기화 되는 단계(S701)이다. 단말기(600)의 초기화 단계는 앞선 제1 실시 예에서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701단계 후, 단말기(600)는 현재 작동방식이 자동 감지인지 여부에 따라 단계가 분기(S702)되는데, 만일 자동 감지가 아니라면 주기적으로 격리대상자(10)에게 신체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S703)로 나아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자동 감지라면 격리대상자(10)의 신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S704)로 나아간다. S703단계의 실행에 의해 격리대상자(10)에게 알람이 표시된 후에는 격리대상자(10)로부터 신체정보를 직접 입력 받게 되는데, 이 때 직접 입력 받는다는 것의 의미는 격리대상자(10)가 상기 단말기(600)에 구비되어 있는 신체정보 획득 수단에 자신의 신체 일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정보를 입력하는 것, 격리대상자(10)가 타 장치에서 측정한 자신의 신체정보를 직접 문자 및 숫자로 입력하는 것 등 다양한 방식의 입력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703단계 이후에는 S704단계에서 격리대상자(10)로부터의 신체정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 또는 격리대상자(10)로부터의 신체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 또는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S7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격리대상자(10)로부터 신체정보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단말기(600)는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S705A)하여 이를 관제서버(100)에 보고한다.(S706) 참고로 S706단계는 격리대상자(10)가 정상적으로 신체정보 요구에 응답한 경우 단순히 격리대상자(10)와 관련된 기록을 남기기 위한 단계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 단계에서는 이미 신체정보 입력 행위에 의해 격리대상자(10)의 정상적인 격리상태가 확인된 것으로도 볼 수 있으므로 위치 정보 획득 단계는 생략도 가능한다. 이에 반해 S7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신체정보가 올바르게 획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600)는 현재 단말기(600)의 위치 정보를 획득(S705B)한 후 이 위치 정보와 함께 관제서버(100)에는 격리대상자(10)의 신체정보가 미감지 되었음을 보고한다.(S707)
참고로, 도 8의 S704단계에서는 격리대상자(10)의 신체정보 중 심박수, 체온을 감지 및 획득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위 단계에서 획득되는 신체정보에는 격리대상자(10)의 지문 또는 홍채일 수도 있다. 이렇듯 지문 또는 홍채를 감지하는 경우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격리대상자(10)에 특별한 신변 상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건강하게 지내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는 관제서버(100) 상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할 때 관제서버(100)는 가장 먼저 격리대상자(10)의 단말기(60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참조하여 격리대상자(10)의 상태를 판단(S801)하게 되는데, 이 때 격리대상자(10)의 상태는 크게 미감지, 격리장소(20) 이탈, 신체정보 정상으로 나뉠 수 있다. 만일 격리대상자(10)의 상태가 미감지되었거나 또는 격리장소(20)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제서버(100)는 해당 단말기(600)에 대해 통화연결을 시도하거나 또는 응답요청 메시지를 발송(S802)하게 된다. 이에 대해 격리대상자(10)와 통화연결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응답수신이 없는 경우 관제서버(100)는 후속적인 조치(예. 관계기관에 위치 정보 공유 및 격리대상자(10)에 대한 조치 명령)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S801단계에서 격리대상자(10)의 신체정보가 정상적으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격리장소(20)에 올바르게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관제서버(100)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기다리게 된다. 또한 이 때에, 획득된 신체정보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격리대상자(10)의 신체정보를 지정된 기관(병원 등)에 공유(S803)하게 되며, 만일 신체정보가 정상범위 내에 속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관제서버(100)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기다리게 된다.
한편,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는 각각 따로 설명을 하였지만,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는 서로 병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단말기(200)의 세부구성들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단말기(600)의 세부구성들은 중복된 부분을 제외한 채 서로 병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가 자체적인 가속도 측정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도 함께 획득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격리대상자 20 격리장소 30 관제센터
100 관제서버
200, 600 무선통신 단말기
201 통신부 202 위치 측정부 203 가속도 측정부 204 저장부 205 제어부
601 통신부 602 위치 측정부 603 신체정보 감지부 604 입출력부 605 제어부

Claims (11)

  1.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격리대상자에 의해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위치 정보 및 가속도 값을 획득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를 관제서버에 전송함 - ;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격리대상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 상기 움직임 정보는 일시 멈춤 상태 또는 장기 멈춤 상태 중 어느 하나임 -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획득된 가속도 값으로부터 연산된 제N시간대 속도 값 - 상기 제N 시간대 속도 값은, 제N-1시간대 속도 값에 제N 시간대에 측정된 가속도 값들을 더함(N은 1이상의 자연수, 제0 시간대의 속도 값은 0)으로써 연산됨 - 이 설정값보다 크고, 제N+1시간대 - 제N+1시간대는 상기 제N시간대보다 나중의 시간대임 -속도 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일시 멈춤 상태로 정의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획득된 가속도 값이 설정시간 이상 0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장기 멈춤 상태로 정의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누적적으로 수집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시간대별 가속도 값 및 상기 가속도 값과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상기 격리대상자에 대한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대상자 관리용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장기 멈춤 상태인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통화연결 및 응답요청을 시도하고, 응답요청 여부에 따라 후속 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대상자 관리용 시스템.
  4. 격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관제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가속도 측정부; 및
    상기 가속도 값 및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GPS 및 와이파이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측정부에 의해 획득된 가속도 값으로부터 연산된 제N시간대 속도 값 - 상기 제N 시간대 속도 값은, 제N-1시간대 속도 값에 제N 시간대에 측정된 가속도 값들을 더함(N은 1이상의 자연수, 제0 시간대의 속도 값은 0)으로써 연산됨 - 이 설정값보다 크고, 제N+1시간대 - 제N+1시간대는 상기 제N시간대보다 나중의 시간대임 -속도 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일시 멈춤 상태로 정의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가속도 측정부에 의해 획득된 가속도 값이 설정시간 이상 0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를 장기 멈춤 상태로 정의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상태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누적적으로 수집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시간대별 가속도 값 및 상기 가속도 값과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상기 격리대상자에 대한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대상자 관리용 무선통신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대상자 관리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참조하여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가 미측정되었거나 또는 이탈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연결 및 응답요청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대상자 관리용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는 신체정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정보를 참조하여 격리대상자의 이탈여부 또는 상기 격리대상자의 건강이상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대상자 관리용 무선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 감지부는,
    격리대상자의 심박수를 감지하기 위한 심박수 감지부;
    격리대상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체온 감지부; 또는
    격리대상자의 신원확인을 위한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정보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대상자 관리용 무선통신 단말기.

KR1020200081101A 2020-07-01 2020-07-01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01A KR102187389B1 (ko) 2020-07-01 2020-07-01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01A KR102187389B1 (ko) 2020-07-01 2020-07-01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89B1 true KR102187389B1 (ko) 2020-12-08

Family

ID=7377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101A KR102187389B1 (ko) 2020-07-01 2020-07-01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10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20230040640A (ko) 2021-09-16 2023-03-23 (주)퀀텀봇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36A (ko)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환자 원격 감시시스템
KR20090053250A (ko) * 2007-11-23 2009-05-27 (주)테크바일 개인위급상황 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2000B1 (ko) * 2013-09-10 2015-01-15 주식회사 바이로봇 휴대용 이탈방지장치
KR20180017571A (ko) * 2016-08-10 2018-02-21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구성원 관리 시스템
KR101847092B1 (ko) * 2017-10-31 2018-04-09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36A (ko)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환자 원격 감시시스템
KR20090053250A (ko) * 2007-11-23 2009-05-27 (주)테크바일 개인위급상황 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2000B1 (ko) * 2013-09-10 2015-01-15 주식회사 바이로봇 휴대용 이탈방지장치
KR20180017571A (ko) * 2016-08-10 2018-02-21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구성원 관리 시스템
KR101847092B1 (ko) * 2017-10-31 2018-04-09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10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WO2022177050A1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102510907B1 (ko) * 2021-02-18 2023-03-16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20230040640A (ko) 2021-09-16 2023-03-23 (주)퀀텀봇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0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through portable devices
US9846525B2 (en) Location-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data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US20180333083A1 (en)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EP3266369B1 (en) Analysis of fall severity using a fall detection system and wearing apparatus
KR102187389B1 (ko)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4868B1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9091A (ko) 가축 집단 진료 예방 진단시스템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KR20150116206A (ko) 블루투스 기반의 웨어러블 생체 측정기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36428B1 (ko)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KR20160101508A (ko) 독거노인 위급상황 관리시스템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JP2020174849A (ja) 作業員の安全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180064860A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US20210225465A1 (en) Tracking individual user health using intrusion detection sensors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74702B1 (ko) 응급 상황 자동 신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638693B1 (ko)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0942A (ko) 대상자 안내 시스템
JP2019185189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60042343A (ko)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KR20220030856A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CN111486990A (zh) 一种人体状态监测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