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343A -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343A
KR20160042343A KR1020140136110A KR20140136110A KR20160042343A KR 20160042343 A KR20160042343 A KR 20160042343A KR 1020140136110 A KR1020140136110 A KR 1020140136110A KR 20140136110 A KR20140136110 A KR 20140136110A KR 20160042343 A KR20160042343 A KR 2016004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care
user
care service
work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603B1 (ko
Inventor
임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포스
Priority to KR102014013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6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이용자가 장시간 신체를 의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신체의지장치에 의료요양서비스 감지장치를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 상태를 관리하고 체계적인 의료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SYSTEM FOR CARE SER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CARE SERVICE}
본 발명은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이용자가 장시간 신체를 의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신체의지장치에 의료요양서비스 감지장치를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 상태를 관리하고 체계적인 의료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한국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며 실버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관련 분야로서 의료기관 또는 요양기관의 설립과 이를 이용하는 고령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실버산업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그 관리 체계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은 것이 실정이다. 실례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장시간 방치하여 운동신경이 더욱 둔화되거나, 몸에 욕창이 생기는 등 요양기관으로서의 제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와 관련하여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한국 특허공개 10-2011-0051426호)’,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한국 특허공개 10-2014-0005055 호)’가 개진되었다. 상기 양 발명은 접이식 휠체어 또는 의료침대에 체중 측정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접이식 휠체어나 의료침대를 이용하는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체중 측정을 용이하게 한데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양 발명은 접이식 휠체어 또는 의료침대에 체중 측정 수단이 결합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에 대해 의료양로서비스가 어느 정도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장시간 신체를 의지하게 되는 침대, 휠체어 등의 신체의지장치에 진동센서, 위치센서 또는 체중센서 등 의료요양서비스 감지장치를 부가하여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이동, 자세변경의 시간 또는 횟수, 산책 시간 또는 거리 등 의료양로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기록하고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등을 관리자가 입력함으로써 체계적인 의료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의료요양기관의 이용자에게 직접 의료요양서비스를 수행하는 근무자가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등을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의료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이용자를 담당하는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에 알림을 전달하거나 담당 근무자가 알림에 응하지 못하는 경우 타 근무자단말을 배정하여 비상상황알림을 전달함으로써 신속한 의료양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를 이용자의 가족, 친지, 친구, 후원인 등 보호자가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감지장치가 이용자의 체온, 혈압,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환자의 의료양로서비스 제공 상태와 이용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함께 수집하여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의료요양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신체를 장시간 의지하도록 제작된 신체의지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신체의지장치에 가해지는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및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각 이용자에게 제공될 의료요양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한 체중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자료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준신호 및 감지자료를 기초로 이용자별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신체를 장시간 의지하도록 제작된 신체의지장치에 의지하는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관리를 하기 위한 의료요양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또는 각 이용자에게 제공될 의료요양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신체의지장치에 가해지는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체중의 변화를 포함하는 감지자료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신호 및 감지자료를 기초로 이용자별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장시간 신체를 의지하게 되는 침대, 휠체어 등의 신체의지장치에 진동센서, 위치센서 또는 체중센서 등 의료요양서비스 감지장치를 부가하여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이동, 자세변경의 시간 또는 횟수, 산책 등 의료양로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의료요양기관의 관리자가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등을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등을 관리자가 입력함으로써 체계적인 의료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의료요양기관의 이용자에게 직접 의료요양서비스를 수행하는 근무자가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등을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의료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이용자를 담당하는 근무자에게 알림을 전달하거나 담당 근무자가 알림을 받지 못하는 경우 타 근무자를 배정하여 알림을 전달함으로써 신속한 의료양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를 이용자의 가족, 친지, 친구, 후원인 등 보호자가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감지장치가 이용자의 체온, 혈압,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이용자의 의료양로서비스 제공 상태와 이용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함께 수집하여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의료요양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요양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 및 관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자단말, 근무자단말 및 보호자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신체의지장치’란, 임의의 이용자가 장시간 신체를 의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를 말한다. 일상적인 예로서, 침대나 휠체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말하는 ‘이용자’란, 환자나 노인 등 의료요양기관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일실시예로서, 이용자란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으로 신체의지장치에 몸을 의지하는 자를 말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말하는, ‘의료요양서비스’란, 이용자가 의료요양기관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의 몸에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몸을 움직여주거나, 한 곳에 지나치게 오래 머무르지 않도록 이동을 시켜주는 등의 의료적, 정서적 처치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감지장치’란, 의료요양서비스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구체적인 예시로서는, 신체의지장치의 진동, 신체의지장치의 위치, 신체의지장치에 가해지는 무게 등을 감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감지된 신호를 통해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추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관리장치’란 의료요양서비스의 관리장치를 말한다.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함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감지자료’란,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한 각종 자료, 예를 들어, 진동의 크기, 진동의 변화, 상기 감지장치가 측정한 위치, 위치의 변화 또는 상기 체중센서가 측정한 체중 또는 체중의 변화를 포함하는 자료를 데이터화 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의료요양기관의 ‘관리자’란, 의료요양기관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 근무자의 근무 태도 등을 관리함으로써 의료요양기관의 서비스 전반을 관리, 평가하는 자이다. 의료요양기관에 소속되거나 또는 의료요양기관을 감독할 책임이 있는 상위기관에 소속된 자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자가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기기를 통칭하여 관리자단말이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근무자’란, 의료요양기관에서 근무하며 이용자에게 의료요양서비스를 직접 수행하는 자로서, 일반적인 예로서, 의사, 간호사, 요양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근무자가 의료요양서비스 제공에 이용할 수 있는 하는 기기를 통칭하여 ‘근무자단말’이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호자’란, 이용자의 가족, 친지, 친구, 후원인 등 이용자의 안위를 돌볼 권리 또는 의무가 있는 법적 내지 사적 관계에 있는 모든 이를 통칭하는 말이다. 상기 보호자가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상기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기기를 통칭하여 ‘보호자단말’이라 한다
‘생체신호감지센서’란, 체온, 혈압, 맥박 등 이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생체신호감지센서는 신체의지장치에 부착되거나 이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요양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의료요양시스템(1000)의 개괄적인 구성은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되 각 구성의 세부적인 구성은 도 2내지 도 6을 참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의료요양시스템(1000)은 감지장치(100), 및 관리장치(200)를 포함하며, 관리자단말(310), 근무자단말(320) 또는 보호자단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장치(100)는 각종 신체의지장치(1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의료요양시스템(1000)의 일실시예로서, 관리장치(200)는 감지장치(100)에서 감지한 감지자료, 기타 의료요양에 필요한 자료를 저장하고 분석하며 상기 분석을 자료화함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근무자에게 전달할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에 필요한 기타 자료 중 일부는 관리자단말(310)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310)은 의료요양기관의 관리자가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이용하는 기기이다.
또한, 근무자단말(320)은 의료요양기관에서 근무하며 이용자에게 의료요양서비스를 직접 수행하는 자인 근무자가 의료요양서비스 제공에 이용하는 기기이며, 보호자단말(330)은 보호자가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용하는 기기이다.
상기 관리장치(200)는 상기 자료화한 모니터링 자료를 관리자단말(310), 근무자단말(320) 또는 보호자단말(330)을 통해 각각 관리자, 근무자 또는 보호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리장치(200)에서 생성한 알림은 근무자단말(320)을 통해 근무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2내지 도6을 참조한다.
상기 감지장치(100)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추단하기 위해 신체의지장치(110)에 부가된다. 그 구체적인 구성의 일실시예는 도 2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장치(100)는 진동센서(102), 위치센서(103) 또는 체중센서(10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102), 위치센서(103) 또는 체중센서(10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제어장치(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100)는 상기 제어장치(104)에서 디지털 데이터화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장치(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장치(100)가 두 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때, 상기 두 개 이상의 센서는 신체의지장치(110)에 발생한 여러 종류의 신호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100)는 한 의료요양기관에 존재하는 복수의 신체의지장치(110)에 각각 포함될 수 있으며, 한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체의지장치(110)에 각각 포함되어 별도로 작동할 수 있다.
의료요양서비스란, 이용자가 의료요양기관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로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의 몸에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몸을 움직여주거나, 한 곳에 지나치게 오래 머무르지 않도록 이동을 시켜주는 등의 의료적, 정서적 처치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용자의 몸을 돌려주거나 자세를 변경시키는 의료요양서비스는 신체의지장치(11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에게 산책 등의 의료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체류하고 있는 침대나 휠체어 등 신체의지장치(110)의 위치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용자가 신체의지장치(110)에 체류하고 있는 동안에는 신체의지장치(110)에 이용자의 체중이 가해지게 된다.
즉 상기 감지장치(100)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 시 신체의지장치(1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신체의지장치(110)의 위치 또는 신체의지장치(110)에 가해지는 이용자의 체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추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00)는 생체신호감지센서(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감지센서(106)는 체온센서, 혈압센서 또는 맥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감지센서(106)는 신체의지장치(110)에 포함되거나 이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104)를 통해 체온, 혈압 또는 맥박 등 생체신호를 디지털화할 수 있고, 상기 통신장치(105)를 통해 디지털화된 생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한다. 상기 관리장치(200)는 메모리부(201), 분석부(202)를 포함하고, 알림부(203), 제어부(204) 또는 통신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메모리부(201)는 상기 감지장치(100)가 감지한 신체의지장치(110)의 진동, 위치, 신체의지장치(110)에 가해지는 체중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지자료 또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신호인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이용자별 의료요양서비스 또는 상기 의료요양서비스가 수행되어야 할 시간을 설정한 이용자별 서비스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준신호란 의료요양서비스가 이용자에게 제공될 때 감지장치(10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는 신호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둠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신호를 말한다. 상기 기준신호는 수치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의료요양서비스 중 산책이 제공될 때, 임의의 이용자가 보유하는 신체의지장치의 위치변화가 7km/hour 미만으로 감지되며 동시에 체중은 45kg~55kg내로 감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기준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이용자가 자세를 변경할 때 진동은 10sec미만의 시간 동안 발생할 것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감지자료를 분석할 때 상기 기준신호를 기준으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메모리부(201)는 상기 진동을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시간과 함께 저장되어 진동의 변화 추이를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감지장치(100)가 측정한 위치를 위치 측정 시간과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체중센서(101)가 측정한 체중을 측정 시간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01)에 저장된 상기 감지장치(100)가 감지한 진동, 위치, 체중과 각각의 변화 추이를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자료라 한다.
상기 관리장치(200)는 분석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장치(100)가 진동센서(102)를 포함할 때, 상기 분석부(202)는 상기 기준신호를 기준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된 경우만을 가치있는 값으로 인식하여 분류하고, 상기 분류한 가치값 이상의 진동이 발생한 시간, 시간 간격 또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여 분석하는 감지자료분석을 할 수 있다. 상기 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이동 또는 자세변경의 시간, 자세변경 시간의 간격 또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거동을 하지 못하는 환자 또는 노인 등 이용자가 장시간 같은 자세로 방치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욕창 등의 질병을 방지할 수 있다.
또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장치(100)가 위치센서(103)를 포함할 때, 상기 분석부(202)는, 상기 위치센서(103)가 감지한 위치자료로부터 신체의지장치(1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동 거리, 이동 횟수, 이동 시간 또는 이동과 이동 사이의 시간 간격을 연산하여 분석하는 감지자료분석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동을 하지 못하는 환자 또는 노인 등 이용자가 병실에만 머무르게 되거나 한 곳에 방치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장치(100)가 체중센서(101)를 포함할 때, 상기 체중센서(101)에서 측정된 이용자의 체중자료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신체의지장치(110)에 체류한 시간을 추단할 수 있다. 나아가 이용자의 체중을 상시 체크하여 이용자의 신체의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체중이 단시간 내에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 동일 이용자가 아닌 것으로 보고 감지자료에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장치(100)는 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둘 이상의 감지센서는 각기 신체의지장치(11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분석부(202)는 상기 둘 이상의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포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102)에서 진동이 감지되었으나 동시에 체중센서(101)에서 체중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상기 진동이 의료요양서비스에 의한 진동이 아님을 추단할 수 있다. 또는, 위치센서(103)에서 신체의지장치(110)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었으나 동시에 체중센서(101)에서 체중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이용자가 이동한 것이 아님을 추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한 이용자가 한 개 이상의 신체의지장치(110)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한 이용자가 침대와 휠체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분석부(202)는 두 신체의지장치(110)에 포함된 각각의 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감지자료를 포괄하여 분석할 수 있다. 침대에 포함된 체중센서(101)에서 체중이 감지되지 않고 상기 침대와 동일한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휠체어에서 체중이 감지된다면 상기 이용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했음을 추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석부(202)는 감지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감지자료로 추단되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이 미리 설정된 서비스스케줄에 대응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서비스스케줄 대응 여부에 대한 통계로 근무자 업무 평가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200)의 메모리부(201)는 상기 감지장치(100)가 다수개 존재할 때, 감지자료 또는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 또는 근무자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다수의 신체의지장치(110)에 부착함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에 대한 분석의 정확도를 높힐 수 있으며, 의료요양서비스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관리장치(200)는 알림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203)는 의료요양기관의 근무자에게 서비스스케줄에 대한 알림 또는 비상상황알림 등의 알림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무자단말(320)의 알림표시부(322)와 협업하여 동작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근무자단말(320) 부분을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장치(100)와 관리장치(200)는 하나의 장치일 수 있으나 상기 감기장치와 관리장치(200)가 물리적으로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장치(200)는 상기 감지장치(100)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감지장치(100)는 감지한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단위 시간마다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석부(202)는 감지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감지자료로 추단되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이 미리 설정된 서비스스케줄에 대응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을 기초로 이용자에게 필요한 의료요양서비스에 대한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관리장치(200)는 제어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메모리부(201)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분석부(202)에서 분석하도록 하거나 상기 분석부(202)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01)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201)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알림부(203)에서 생성된 알림을 통신부(205)를 통해 타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00)의 통신장치(105)와 관리장치(200)의 통신부(205)는 N1을 통해 의료요양서비스 감지정보 기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의료요양시스템(1000)은 관리자단말(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3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도 4를 참고한다. 상기 관리자단말(310)은 의료요양기관의 관리자가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기기를 통칭한다. 의료요양기관의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단말(310)을 통해 의료요양기관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 근무자의 근무 현황 등 의료요양기관 서비스의 전반을 관리, 평가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310)을 이용하는 의료요양기관 관리자는 의료요양기관에 소속되거나 또는 의료요양기관을 감독할 책임이 있는 상위기관에 소속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310)은 관리자단말입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입력부(311)는, 이용자별 건강 상태,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이용자별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요양서비스의 종류와 시간을 미리 설정한 이용자별 서비스스케줄 또는 이용자별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또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입력부(311)를 통해 입력받은 이용자자료 또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은 상기 관리장치(200)의 메모리부(201)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자단말(310)이 관리자단말메모리부(315)를 갖추고 있는 경우 관리자단말제어부(303)는 상기 관리자단말입력부(311)를 통해 입력받은 이용자자료 또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은 상기 관리자단말메모리부(315)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310)은 관리자단말표시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표시부(312)는 상기 메모리부(201)에 저장된 감지자료, 상기 분석부(202)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 이용자자료 또는 근무자의 업무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단말표시부(312)가 표시하는 상기 각종 자료들을 기초로 이용자의 건강 상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 근무자의 근무 태도 등 의료요양기관 서비스의 전반을 체계적으로 관리, 평가할 수 있다.
의료요양시스템(1000)은 근무자단말(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무자단말(320)은 의료요양기관에서 근무하며 이용자에게 의료요양서비스를 직접 수행하는 자로서, 예를 들어, 의사, 간호사, 요양사 등이 의료요양서비스 제공에 이용할 수 있는 하는 기기이다. 근무자단말(3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도 5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근무자단말(320)은 근무자단말표시부(321), 근무자단말제어부(323) 및 근무자단말통신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무자단말(320)은 근무자단말통신부(324)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200)에 저장된 감지자료, 상기 분석부(202)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자료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근무자단말제어부(323)는 상기 수신한 자료를 근무자단말표시부(321)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근무자는 이를 통해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근무자단말(320)은 알림표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표시부(322)는 관리장치(200)의 알림부(203)와 협업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03)는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거나,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가 수행되지 않은 채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해당 이용자를 담당하는 근무자가 사용하는 근무자단말(320)에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담당 근무자의 근무자단말(320)이 알림에 응하지 않는 경우 타 근무자단말(320)을 배정하여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알림부(203)에서 생성된 알림은 근무자단말통신부(324)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알림을 전달받은 근무자는 근무자단말(320)의 근무자단말입력부(326)를 통해 알림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의 일실시예는, 이용자가 신체의지장치(110)에 같은 자세로 머무른 시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거나, 한 곳에 머무른 시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이용자의 자세를 바꿔주거나 위치를 이동시켜줄 것에 대한 알림일 수 있다.
알림부(203)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생체신호감지센서(106)가 감지한 생체신호가 상기 감지자료를 기초로 상기 이용자별 정상 생체신호자료에 대응되는 수치에 어긋나는 경우 이를 이상생체신호로 보고, 근무자에게 전달할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03)가 상기와 같은 알림을 생성할 때, 근무자단말(320)의 알림표시부(322)가 상기 알림을 수신하여 근무자가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무자는 비상상황 시 이용자에게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근무자단말(320)이 근무자단말메모리부(325)를 갖추고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스케줄을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상기 감지자료 또는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근무자단말메모리부(32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자체적인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근무자단말제어부(323)는 상기 근무자단말메모리부(325)에 저장된 자료를 기초로 알림을 생성하고 알림표시부(322)가 알림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의료요양시스템(1000)은 보호자단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란 의료요양기관 이용자의 가족, 친지, 친구, 후원인 등 이용자의 안위를 돌볼 권리 또는 의무가 있는 법적 내지 사적 관계에 있는 자로서, 상기 보호자단말(330)은 보호자가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상기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기기를 통칭한다. 상기 보호자단말(3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보호자단말(330)은 보호자단말표시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단말표시부(331)는 상기 메모리부(201)에 저장된 감지자료, 상기 분석부(202)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이용자자료를 표시한다. 보호자는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열람함으로써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이용자를 안심하고 의료요양기관에 맡길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310), 근무자단말(320) 및 보호자단말(330)은 각기 통신 가능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자단말(310)의 관리자단말통신부(314), 근무자단말(320)의 근무자단말통신부(324), 보호자단말(330)의 보호자단말통신부(332)는 N2를 통해 관리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00)의 통신장치(105)와 관리장치(200)의 통신부(205)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인 N1과 관리자단말(310), 근무자단말(320) 및 보호자단말(330)이 관리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인 N2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310), 근무자단말(320) 또는 보호자단말(330)에 대한 구체적인 일실시예로서, 상기 관리자단말(310), 근무자단말(320) 또는 보호자단말(3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 외의 기타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근무자단말(32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동성과 휴대성이 보장되는 기기일 수 있다.
도 7은 감지장치(100), 관리장치(200), 관리자단말(310) 및 근무자단말(320)을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1000)이 수행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의료요양시스템(10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의료요양시스템(10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또는 각 이용자에게 제공될 의료요양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1)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신호는 의료요양서비스 수행 시 신체의지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자료를 말한다. 기준신호는 수치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산책이 제공될 때, 임의의 이용자가 보유하는 신체의지장치의 위치변화가 7km/hour 미만으로 감지되며 동시에 체중은 45kg~55kg내로 감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기준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이용자가 자세를 변경할 때 진동은 10sec미만의 시간 동안 발생할 것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S101단계는 이용자별 건강 상태 또는 이용자별 담당 근무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용자자료 또는 이용자에게 직접 의료요양서비스를 수행하는 자인 근무자의 업무 현황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분리되어 다른 단계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신체의지장치에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02)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는 신체의지장치에 이용자가 체류하는 동안의 체중처럼 지속적인 것일 수도, 이용자가 신체의지장치에서 자세를 변경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처럼 일시적인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신체의지장치에 가해지는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단계(S103), 신체의지장치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S104) 또는 신체의지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S1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의료요양시스템(1000)에 포함된 센서에 따라 상기 S103단계, S104단계 또는 S105단계는 한 개 이상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센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두 단계 혹은 세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S103, S104 또는 S105단계 중 하나는 이용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S103, S104 또는 S105단계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거나 자극이 있는 순간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중, 진동, 위치 또는 이용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센서는 상시 동작하고 있거나, 상기 신호에 변화가 없을 때는 유휴상태에 머무르다 변화가 발생된 순간 다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상기 감지된 체중, 위치의 변화 및 진동을 포함하는 감지자료를 저장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상기 S106단계는 상기 감지자료를 이용자별 또는 근무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신체의지장치로부터 수신된 감지자료를 이용자별로 묶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상기 미리 저장된 의료요양서비스별 기준신호, 상기 저장된 서비스스케줄 또는 상기 감지자료를 기초로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자료화하는 단계(S1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07단계는 상기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거나,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가 수행되지 않은 채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서비스스케줄의 수행을 담당할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에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S10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담당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의 알림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S10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담당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이 알림에 응하지 않는 경우 타 근무자단말을 배정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최초 알림을 생성한 근무자 또는 이후 배정된 타 근무자에 대해 상기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S111)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관리자, 근무자 또는 보호자에 대해 상기 감지자료, 상기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이용자자료 또는 상기 근무자의 업무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요양시스템(1000) 관리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의료요양시스템
100: 감지장치, 110: 신체의지장치, 200: 관리장치
310: 관리자단말, 320: 근무자단말, 330: 보호자단말
101: 체중센서, 102: 진동센서 103: 위치센서, 104: 제어장치, 105: 통신장치, 106: 생체신호감지센서
201: 메모리부, 202: 분석부, 203: 알림부, 204: 제어부, 205: 통신부 311: 관리자단말입력부,
312: 관리자단말표시부, 313: 관리자단말제어부, 314: 관리자단말통신부, 315: 관리자단말메모리부
321: 근무자단말표시부, 322: 알림표시부, 323: 근무자단말제어부, 324: 근무자단말통신부, 325: 근무자단말메모리부, 326: 근무자단말입력부,
331: 보호자단말표시부, 332: 보호자단말통신부

Claims (12)

  1. 신체를 장시간 의지하도록 제작된 신체의지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신체의지장치에 가해지는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및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각 이용자에게 제공될 의료요양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한 체중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준신호 및 감지자료를 기초로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신체의지장치에 의지한 이용자가 이동하거나 자세를 변경할 때 상기 신체의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또는 상기 신체의지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자료는,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한 진동의 변화 또는 위치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의료요양기관의 관리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기로서,
    상기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스케줄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관리자단말입력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표시하는 관리자단말표시부를 포함하는 관리자단말을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거나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서비스스케줄의 수행을 담당할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에 알림을 전달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에서 생성한 알림을 표시하는 알림표시부를 포함하는 근무자단말을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보호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기로서,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표시하는 보호자단말표시부를 포함하는 보호자단말을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신체의지장치의 이용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자료에는,
    상기 생체신호감지센서가 감지한 체온, 혈압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자료가 더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부는,
    이용자별 정상 생체신호자료를 더 저장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감지자료를 기초로 이용자별 정상 생체신호자료에 대응되는 수치에 어긋나는 이상 생체신호자료가 관찰될 때, 이상 생체신호자료에 해당되는 이용자를 담당할 근무자가 사용하는 근무자단말에 알림을 전달하는, 의료요양시스템.
  7. 신체를 장시간 의지하도록 제작된 신체의지장치에 의지하는 이용자에 대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관리를 하기 위한 의료요양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요양서비스의 수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또는 각 이용자에게 제공될 의료요양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의 서비스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신체의지장치에 가해지는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체중의 변화를 포함하는 감지자료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감지자료를 기초로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신체의지장치에 의지한 이용자가 이동하거나 자세를 변경할 때 상기 신체의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신체의지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자료는,
    감지한 진동의 변화 또는 위치의 변화를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스케줄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거나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의료요양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서비스스케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서비스스케줄의 수행을 담당할 담당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에 알림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담당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의 알림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담당 근무자의 근무자단말이 알림에 응하지 않는 경우 타 근무자단말을 배정하여 알림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분석한 의료요양서비스 제공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은,
    이용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에 대하여 이용자별 정상 생체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이용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감지하는 단계;
    감지한 체온, 혈압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자료가 더 포함된 감지자료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자료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저장된 이용자별 정상 생체신호에 어긋나는 이상 생체신호가 관찰될 때, 이상 생체신호에 해당하는 이용자를 담당할 근무자가 사용하는 근무자단말에 알림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KR1020140136110A 2014-10-08 2014-10-08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KR10178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10A KR101783603B1 (ko) 2014-10-08 2014-10-08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10A KR101783603B1 (ko) 2014-10-08 2014-10-08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343A true KR20160042343A (ko) 2016-04-19
KR101783603B1 KR101783603B1 (ko) 2017-10-11

Family

ID=5591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110A KR101783603B1 (ko) 2014-10-08 2014-10-08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90A1 (ko) * 2018-07-31 2020-0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병실 시스템 및 관리 서버
KR102258832B1 (ko) * 2021-02-09 2021-05-28 김선일 실버 케어 시스템
KR20220117650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엘브리지 키오스크기반 병원 및 요양시설 건강 상품 판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90A1 (ko) * 2018-07-31 2020-0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병실 시스템 및 관리 서버
KR102258832B1 (ko) * 2021-02-09 2021-05-28 김선일 실버 케어 시스템
KR20220117650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엘브리지 키오스크기반 병원 및 요양시설 건강 상품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603B1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07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atient status
US20170330297A1 (en) Dynamic wearable device behavior based on family history
Rashed et al. Integrated IoT medical platform for remote healthcare and assisted living
EP3079119B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Fati et al. Integrated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GSM and IoT
Khatoon et al. A survey on Applications of Internet of Things in Healthcare
KR101783603B1 (ko)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Mitchell et al. Beat: Bio-environmental android tracking
US20190371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KR20090065869A (ko)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AU2018400229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n emergency response notification
US20220130556A1 (en) Health management apparatus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US20210065856A1 (en) Patient management based on sensed inputs
US10736541B2 (en) Monitoring liquid and/or food consumption of a person
KR20170035459A (ko) 생체 신호 감지 기능과 이동 통신 기능을 연동한 독거노인 및 환자 관리 시스템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EP3087912A1 (en) Security access system using a body area network
Wanjari et al. Wearable devices
US20150227709A1 (en) Network-based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50157279A1 (e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augmented remote monitoring
KR101148424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2017000615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상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 분석을 통한 건강 관리 시스템
JP2020054782A (ja) 生体情報解析装置、生体情報解析方法、および生体情報解析システム
Abou-Elnour et al. A reliable wireless monitoring network for healthcar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