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832B1 - 실버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버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832B1
KR102258832B1 KR1020210018718A KR20210018718A KR102258832B1 KR 102258832 B1 KR102258832 B1 KR 102258832B1 KR 1020210018718 A KR1020210018718 A KR 1020210018718A KR 20210018718 A KR20210018718 A KR 20210018718A KR 102258832 B1 KR102258832 B1 KR 10225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nursing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일
Original Assignee
김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일 filed Critical 김선일
Priority to KR102021001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06K9/48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06V10/469Contour-based spatial representations, e.g. vector-co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대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자가 소지하는 요양사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하는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실버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버 케어 시스템 {Silver care system}
본 발명은 실버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나 독거인 등과 같이 보호관찰이 필요한 인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버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라 하고,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Aged Society)라 하고, 20% 이상이면 후기 고령 사회(Post-aged Society) 혹은 초고령 사회라고 한다.
고령이란 용어에 대한 정의는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며, 한국의 경우, 고령자 고용촉진법시행령에서는 55세 이상을 고령자, 50~54세를 준고령자(2조)로 규정하고 있으나, UN에서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일 때 고령화 사회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인구의 고령화 요인으로는, 크게는 출생률의 저하와 사망률의 저하에 있다.
평균 수명이 긴 나라가 선진국이고 평화롭고 안정된 사회를 상징하는 의미에서 장수는 인간 모두의 소망이기도 하지만, 고령에 따른 질병, 고독, 빈곤, 무직업 등에 대응하는 사회적, 경제적 대책은 고령화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과제이다.
최근 3년간 독거노인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2016년 6.6%, 2017년 6.8%, 2018년 7.1%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부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주변 사람의 발견으로 비교적 빨리 대처할 수 있는 반면 혼자 사는 독거노인의 경우는 실내에서 위급한 상황이 닥쳤을 때 주변에 도움을 청할 사람이 없을뿐더러 발견되지 못할 경우가 매우 높다. 또한 고독사 하는 노인의 비율도 크게 증가하여 보호자의 꾸준한 관심과 연락이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노인 대상 실버 케어 디바이스와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820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노약자나 독거인 등과 같이 보호관찰이 필요한 인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버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대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감지 모듈;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관리하며,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자가 소지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요양사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하는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감지 모듈은,
사용자의 체온, 혈압, 맥박,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센서모듈;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정보 센서모듈; 및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동작정보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낙상정보, 기상정보, 취침정보, 배설정보, 목욕정보 및 식사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생활패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양사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근무 시간을 벗어난 스케줄 정보 또는 근무 시간 내에 미처리된 스케줄 정보가 검색되면, 다음 근무시간에 포함되는 스케줄 정보를 기록한 인계 정보를 생성한 후, 교대 근무를 수행하는 다른 요양사가 소지한 다른 요양사 단말기로 상기 인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가리키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렉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 및
검출된 객체에 대응되는 사물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 검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특정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생성된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대한 3차원 가상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끝점에 대한 3차원 좌표를 기준좌표로 표시하고,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좌표를 시작점으로 하는 지시선을 생성한 후, 상기 지시선 상에 위치하는 객체를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지시선을 생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제1 특징벡터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한 제2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특징벡터 및 상기 제2 특징벡터를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상기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지시선의 3축 기울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노약자나 독거인 등과 같이 보호관찰이 필요한 인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관리서버의 인터렉션부의 구체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은, 노약자나 독거인 등과 같이 보호관찰이 필요한 인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1000)은 사용자 감지 모듈(100), 관리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요양사 단말기(400) 및 보호자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모듈(100)은 보호관찰이 필요한 노약자 또는 독거인(이하 사용자)이 생활하는 생활공간, 예컨대 자택, 병원 또는 요양시설에 분산 설치되어 사용자에 대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감지 모듈은, 사용자의 체온, 혈압, 맥박,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센서모듈과,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정보 센서모듈과,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생체정보 센서모듈은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측에 구비된 의료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생체정보 센서모듈은 사용자 또는 요양사의 체온을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 사용자의 혈압, 맥박, 심박수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생체정보 센서모듈은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정보 센서모듈은 예컨대 Bio Radar Sensor의 형태로, 침대, 화장실, 거실, 병실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생활공간의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급격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감지하여 관리서버(200)에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가 주로 머무는 장소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도, 사용자 감지 모듈은,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대한 온도, 습도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센서모듈 및 응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비상버튼 등과 같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헬스케어 데이터는 생체정보 센서모듈에 의해 수집되는 생체정보와, 동작정보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정보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영상과, 생활공간에 대한 환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실버 케어 서비스를 사용자, 요양사 및 보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중앙서버로, 각종 센서등으로부터 취합한 모든 환자(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실시간 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사에게 적절한 업무 스케줄(스케줄 정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긴급상활 발생시, 이용자 보호자에게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이 적용된 실버 케어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헬스케어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보호관찰 대상인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배치되는 단말기로, 사용자의 실시간 헬스케어 데이터, 사용자 요구사항, 사용자의 생활 패턴(식사, 목욕, 배설의 이력 및 주기)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의 화면의 소정 영역에는 긴급 상황을 전파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어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긴급 상황에 대한 알림이 관리서버(200), 요양사 단말기(400) 및 보호자 단말기(500)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요양사 단말기(400)는 사용자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사가 소지하는 단말로, 요양사가 관리하는 모든 사용자들의 헬스케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근무 시간 내의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알려주는 알림 기능과, 근무 시간에 해야될 일이 기록된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과, 후속 교대 요양사에게 업무기록을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500)는 사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 관리서버(200)와 통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1000)을 이용한 실버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결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환자(사용자)의 헬스케어 데이터 및 촬영영상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요양사의 역량을 평가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와 실시간 채팅을 통해 문의사항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1000)은 관리서버(200)에서 각종 센서등으로부터 취합한 모든 환자(이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담당 요양사에게 적절한 업무 조율 및 협업 정보를 안내하며, 환자 긴급상활 발생시, 보호자에게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 헬스케어 이력 조회 플랫폼을 제공하며, 요양사 단말기(400)에서는 담당 환자의 헬스케어 이력 조회 플랫폼을 제공하고, 환자 기저귀 교환 주기, 목욕 주기 등에 따른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며, 교대 요양사 간의 업무 기록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시간 환자의 요구 사항을 요양사에게 전달하고, 보호자는 환자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버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 요양사 단말기(400) 및 보호자 단말기(5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1000)을 이용한 실버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요양사 및 보호자는 각각이 소지한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버 케어 시스템(1000)을 이용한 실버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버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데이터 관리부(210), 스케줄 관리부(220) 및 인터렉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10)는 사용자 감지 모듈(100)을 통해 전달되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한다.
스케줄 관리부(220)는 데이터 관리부(210)로 전송되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요양사의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케줄 관리부(220)는 동작정보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낙상정보, 기상정보, 취침정보, 배설정보, 목욕정보 및 식사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생활패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스케줄 관리부(220)는 이렇게 생성된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를 담당하는 요양사가 소지한 요양사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요양사 단말기(4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요양사가 자신의 근무시간에 어떠한 일들을 수행해야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요양사 단말기(400)는 미리 설정된 근무 시간을 벗어난 스케줄 정보 또는 근무 시간 내에 미처리된 스케줄 정보가 검색되면, 다음 근무시간에 포함되는 스케줄 정보를 기록한 인계 정보를 생성한 후, 교대 근무를 수행하는 다른 요양사가 소지한 다른 요양사 단말기로 상기 인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요양사는 인계정보를 일일히 수기로 기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신이 수행한 업무와 다음 근무시간에 수행되어야 할 업무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인계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인터렉션부(230)는 보호자가 사용자의 의도를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말하는 것이 불편하여 손짓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보호자는 실시간 영상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손짓이 지시하는 대상을 확인하여 요양사에게 해당 대상과 관련된 업무를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인터렉션부(230)는 지시하는 대상이 화면을 벗어난 곳이 위치하더라도 사용자가 어떠한 사물을 지시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렉션부(230)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가리키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추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렉션부(230)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231) 및 검출된 객체에 대응되는 사물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표시부(232)를 포함한다.
객체 검출부(321)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특정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생성된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대한 3차원 가상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끝점에 대한 3차원 좌표를 기준좌표(P)로 표시할 수 있다.
객체 검출부(321)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영상 내에서 손가락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손가락 객체의 형상이 사물을 지시하는 형상(예컨대 검지만 펼쳐져 있는 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지시하는 사물 객체를 추정한다.
이때 기준좌표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객체 검출부(231)는 촬영영상에 포함된 고정된 사물(침대, TV, 식탁 등)을 검출하고, 고정된 사물(침대, TV, 식탁 등)을 기준으로 손가락과의 거리를 추정하여 추정된 2차원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3차원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객체 검출부(231)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세 개의 고정 사물과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세 개의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3차원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객체 검출부(231)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동작정보 센서모듈로부터 사용자와 센서모듈 간의 거리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손끝 위치를 상대적인 좌표로 나타내어 기준좌표(P)를 추정할 수 있다.
이후, 객체 검출부(321)는,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좌표를 시작점으로 하는 지시선(L)을 생성한 후, 상기 지시선 상에 위치하는 객체를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물로 설정한다.
즉, 객체 검출부(321)는 사용자의 실제 생활공간에 배치된 객체를 3차원 가상공간 상에 배치한 후, 생성된 지시선(L)을 통과하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객체 검출부(321)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제1 특징벡터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한 제2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특징벡터 및 상기 제2 특징벡터를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상기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지시선의 3축 기울기값을 설정함으로써 지시선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인공 신경망은 사람의 시선과 손끝이 지시하는 방향이 어느 위치를 가리키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학습한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즉, 인공 신경망은 서로 다른 기울기(방향)를 갖는 두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추정하여, 교차된 지점과 손끝을 이은 직선의 3축 기울기값을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객체 검출부(321)는 특정되지 않은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손가락 방향에 대한 정보를 인공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입력하면, 특정 직선(지시선(L)에 대한 3축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지시선의 방향을 3차원 공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32)는 사용자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보호자 단말기(500)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촬영영상에 사용자가 지시하는 물건이 어떤 물건인지에 대한 정보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가 화면에 표시된 물건 정보에 대한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물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요양사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TV 리모컨을 지시하는 경우, 보호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TV 리모컨 태그를 선택하게 되면 '요양사님, oo님(사용자)이 리모컨을 가져다 달라고 하십니다'등과 같은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요양사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요양사가 잠시 자시를 비운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추정하여 실시간으로 요양사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지시하는 대상이 촬영영상으로부터 벗어난 사물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가리키는 대상을 정확하게 추정함으로써 사용자와 보호자, 보호자와 요양사 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실버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실버 케어 시스템
100: 사용자 감지 모듈
200: 관리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400: 요양사 단말기
500: 보호자 단말기

Claims (3)

  1. 사용자의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대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감지 모듈;
    상기 사용자 감지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관리하며,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사가 소지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요양사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하는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실버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지 모듈은,
    사용자의 체온, 혈압, 맥박,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센서모듈;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정보 센서모듈; 및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동작정보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낙상정보, 기상정보, 취침정보, 배설정보, 목욕정보 및 식사 정보를 포함하는 생활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생활패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양사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근무 시간을 벗어난 스케줄 정보 또는 근무 시간 내에 미처리된 스케줄 정보가 검색되면, 다음 근무시간에 포함되는 스케줄 정보를 기록한 인계 정보를 생성한 후, 교대 근무를 수행하는 다른 요양사가 소지한 다른 요양사 단말기로 상기 인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가리키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렉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 및
    검출된 객체에 대응되는 사물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 검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특정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생성된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대한 3차원 가상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끝점에 대한 3차원 좌표를 기준좌표로 표시하고,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좌표를 시작점으로 하는 지시선을 생성한 후, 상기 지시선 상에 위치하는 객체를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지시선을 생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제1 특징벡터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한 제2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특징벡터 및 상기 제2 특징벡터를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상기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지시선의 3축 기울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 케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018718A 2021-02-09 2021-02-09 실버 케어 시스템 KR10225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18A KR102258832B1 (ko) 2021-02-09 2021-02-09 실버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18A KR102258832B1 (ko) 2021-02-09 2021-02-09 실버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832B1 true KR102258832B1 (ko) 2021-05-28

Family

ID=7614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718A KR102258832B1 (ko) 2021-02-09 2021-02-09 실버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157B1 (ko) * 2022-07-04 2023-07-14 한요한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이용한 통합 돌봄 시스템 및 방법
KR102558653B1 (ko) * 2022-06-23 2023-07-25 주식회사 자딘 스마트 케어 응급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04B1 (ko) 2013-02-22 2015-06-12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버 케어 시스템
KR20160042343A (ko) * 2014-10-08 2016-04-19 주식회사 유니포스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KR101706186B1 (ko) * 2014-12-23 2017-02-16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클라우드 기반의 위험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04B1 (ko) 2013-02-22 2015-06-12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버 케어 시스템
KR20160042343A (ko) * 2014-10-08 2016-04-19 주식회사 유니포스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KR101706186B1 (ko) * 2014-12-23 2017-02-16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클라우드 기반의 위험 감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653B1 (ko) * 2022-06-23 2023-07-25 주식회사 자딘 스마트 케어 응급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55157B1 (ko) * 2022-07-04 2023-07-14 한요한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이용한 통합 돌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12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ll detection
El-Bendary et al. Fall detection and prevention for the elderly: A review of trends and challenges
US103424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a caretaker takes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patient bedsores
US7502498B2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US7420472B2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JP6365546B2 (ja) 被監視者監視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US20120053472A1 (en) Inexpensive non-invasiv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KR102258832B1 (ko) 실버 케어 시스템
Kaczmarek et al. Multimodal platform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elderly and disabled
CN104757944A (zh) 一种远程医疗辅助平台
AU2022203004A1 (en) System for recording, analyzing risk(s) of accident(s) or need of assistance and providing real-time warning(s) based on continuous sensor signals
Esch A survey on ambient intelligence in healthcare
KR20060084916A (ko)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원격건강관리시스템 및 서비스
CN108322903A (zh) 紧急呼叫方法、装置、系统以及电子设备
Karunanithi et al. An innovative technology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the smarter safer homes platform
Gamboa et al. Patient tracking system
AU2021106898A4 (en) Network-based smart alert system for hospitals and aged care facilities
JP7530222B2 (ja) 検知装置、検知方法、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27396B2 (ja) 制御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WO2020003951A1 (ja) コンピューター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で実行される方法
Patel et al. Vitafall: Nxtgeuh system for well-being monitoring with fall recognition and real-time vital sign monitoring
Kerr et al. Sensor-based Vital Sign Monitoring, Analysis and Visualisation for Ageing in Place
WO2020003952A1 (ja) コンピューター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で実行される方法
JP202117603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