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942A - 대상자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상자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942A
KR20180050942A KR1020160147592A KR20160147592A KR20180050942A KR 20180050942 A KR20180050942 A KR 20180050942A KR 1020160147592 A KR1020160147592 A KR 1020160147592A KR 20160147592 A KR20160147592 A KR 20160147592A KR 20180050942 A KR20180050942 A KR 20180050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biometric information
wearable devic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태
Original Assignee
김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태 filed Critical 김우태
Priority to KR102016014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942A/ko
Publication of KR2018005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일정장소에 위치하는 IoT 센서로 전송하며 고유 식별정보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한 위치정보를 구비하고 이동경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IoT 센서를 포함하는 IoT센서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정보별 신상정보와 건강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이동통신망 및 저전력통신망인 LPW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한 웨어러블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DB의 정보와 비교하고, 긴급 사항 발생 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및 구동된 전용앱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위급 사항이나 통신장애가 발생하여도 노약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상자 안내 시스템{TARGET GUIDING SYSTEM}
본 발명은 대상자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력통신망 및 IoT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센싱된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사후관리를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정보를 초소형칩(IC칩)에 내장시켜 전자 라벨, 스마트 태그, 및 전자 태그 등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리더기와 송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자동 인식시스템이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RFID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RFID 판독기의 영역 내에 있는 RFID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한다. RFID 트랜스폰더(transponder) 또는 태그는, 능동형 또는 수동형이건, 일반적으로 라벨에 내장된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RFID 판독기와 함께 사용된다.
즉, RFID 시스템은 고유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 고유정보를 식별하여 처리하는 리더기, 운용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RFID 태그는 반도체로 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최근에는 비접촉식, 대용량 메모리, Read/Write 기능, 이동식 인식 기능, 및 데이터 처리의 높은 신뢰성의 이유로 활용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RFID 태그에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리더기로 송신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개인의 키, 몸무게 등의 신체적 특징과 당뇨병, 고혈압 등의 병력 정보를 관리하거나 이를 토대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시스템(healthcare system)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종래 대표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맥박이나 혈압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이에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한한다.
이와 같이,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인식된 감성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감성상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감성상태 정보는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s)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된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의 경우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 등을 대상으로 실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낙상 구조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보함으로써, 낙상으로 인한 2차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위한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낙상 구조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각 측정수단과 낙상 판별수단, 위치정보 획득수단, 통신수단, 저장수단 등 모든 수단이 하나의 낙상 감지 장치에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불편할 수밖에 없고 노인의 경우 장치를 항시 휴대하여야 하는 것을 망각하고 외출 시소지하지 않거나 다른 곳에 놓아두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역시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경우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RFID 기반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위치한 상황 정보에 따른 건강정보, 즉 상황인지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RFID 기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RFID 간의 통신거리에 한계가 있어 완벽하게 촘촘한 간격으로 RFID 안테나를 설치하지 못하는한 그 시스템이 효용성이 없고, 수많은 RFID를 통신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단일 통신망을 구축하는 것이 어려워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개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위한 것으로서, 위치기반 센서와 환자의 위치간의 거리 특별히 구애를 받지 않을 수 있는 IoT 기반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위치한 상황 정보에 따른 건강정보, 즉 상황인지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이를 경고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위치 이동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여 무선으로 의료시설(예컨대 병원)에 통보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일정장소에 위치하는 IoT 센서로 전송하며 고유 식별정보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한 위치정보를 구비하고 이동경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IoT 센서를 포함하는 IoT센서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정보별 신상정보와 건강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이동통신망 및 저전력통신망인 LPW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한 웨어러블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DB의 정보와 비교하고, 긴급 사항 발생 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및 구동된 전용앱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 정보를 판독하는 마스터 센서부와 상기 마스터 센서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체온, 심박수, 혈압 및 혈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위험환자와 중요 고객의 신상정보와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통합DB; 위험지역 및 중점관리 근무자의 신상정보와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자 DB; 상기 IoT센서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이동통신 또는 LPW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와 생체정보와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긴급 사항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로 위치정보와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사항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고객의 신상 정보, 건강정보, 생체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 하는 사용자 전용앱; 통상의 웹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통신부로부터 서버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전용앱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기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전용앱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서버의 URL에 접속하여 고객의 신상정보, 건강정보, 생체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전력통신망을 통해 획득한 상황 정보와 기 축적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상황 정보에 따른 건강정보, 즉 상황인지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무선통신을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정보가 서버로 바로 전달되기 때문에 고가의 이동통신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전력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과 저전력통신망을 모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군중집회 등의 돌발사고로 특정지역의 통신폭주현상이 발생하여 통신이 두절되어도 저전력통신망을 통한 비상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돌발적인 통신두절현상에도 위급한 환자의 상황을 통신두절없이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이다.
도 2는 이동단말기의 주요구성도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상자 안내 시스템은 이동경로 상에 RFID 태그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대상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대상자의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위급사항 발생시나 또는 위치 검색 시 온라인 웹 또는 앱을 통하여 특정 대상자의 위치 및 생체정보를 판독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대상자 안내 시스템은 대상자가 착용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이동할 경로에 위치하는 IoT센서군(400)에 하나 이상의 IoT 센서(410~n)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IoT 센서(410~n)에서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병원 및 공장의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600)와 통신하는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외부 안테나로 전송하며 고유 식별정보를 갖도록 구성한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대상자의 손목이나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대상자로부터 심박수, 혈당, 협압 등의 생체 정보를 판독하여 이동 경로상의 IoT 센서(410~n)로 판독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생체정보를 판독하는 마스터 센서부(330, 334)와 마스터 센서부(330, 334)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IoT 센서(410~n)로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통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센서부(330, 334) 및 유무선통신부(320)는 함께 IoT 모뎀을 구성하며, 저전력통신망(110)을 기반으로 IoT 센서군(400)과 IoT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생체정보를 판독하기 신체 어디에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신체에 접촉할 수도 있고, 생체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의복이나 또는 신체 어느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부(340)를 구성하여, 손목에 사용할 때는 손목 밴드형식으로 구성하고, 의복에 붙일 때는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로 구성하면, 원하는 곳 어디던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사용할 수 있다.
유무선통신부(320)는 저전력통신망을 통해 슬레이브(IoT 센서군측)-마스터(모뎀측) 형태로 구성하여 IoT센서(410~n)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부(330, 334)에 공급하여 생체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센서부(330, 334)에서 판독된 정보를 저장하는 유무선통신부 메모리를 구비하여 IoT 센서군(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통신부 메모리에는 대상자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다가 데이터 전송 시 식별코드도 함께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무선통신부 메모리와 컨트롤러(330)는 I2C방식 시리얼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센서부(330, 334)는 착용자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감지부(334)와 감지부(334)에서 센싱한 정보를 처리하여 유무선통신부(320)로 전송한다.
감지부(334)는 심박수와 혈압, 혈당량 등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광센서(opto sensor)와 대상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그리고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감지부(334)에서 전송된 신호를 저장하는 컨트롤러 메모리와 이 컨트롤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I/O부와 감지부(334)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컨트롤러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를 외
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유무선통신부(3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한 대상자가 IoT센서(410)가 부착된 도어를 통행하면, 출입현황을 알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도, IoT센서(410)는 마스터 센서부(330, 334)에서의 해당 사용자 식별코드를 판독하여 컨트롤러 제어부로 전송하고, 해당 데이터는 컨트롤러 메모리에 이력관리되게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IoT 센서(410)는 10년 전후의 배터리 수명을 가질만큼 저전력을 이용하는 통신방식 이기 때문에, 통신기술의 수명상(기술적 사이클이 상대적으로 더 짧다) 반영구적이므로 무선 장비의 전원 공급의 문제가 없이 실질적 무전원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IoT센서군(4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한 대상자가 이동할 경로를 말하며, IoT센서군(400) 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IoT 센서(410~n)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병원이나 공장 같은 경우 환자나 근로자가 이동할 경로를 예측하여 이동 경로를 선정하고, IoT센서(410~n)를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IoT 센서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증감 가능하며, 저전력통신망인 LPWAN(110)을 이용하기 때문에 거리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각각의 IoT 센서는 식별코드나 또는 위치정보를 보유하고 있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송수신시 전송받은 생체정보와 식별코드 또는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서버(500)에서 특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와 생체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500)는 대상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IoT센서(410~n)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비교하여 특정 대상자의 위치나 응급사항 등을 판단하여 의사나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600)로 전송하여 이를 조치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하여 서버(500)는 위험환자와 중요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DB(520)와 위험지역 및 중점관리 근무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자DB(530), 그리고 IoT 센서(410~n)와 통신하고, 이동단말기(600)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54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DB(520)는 위험환자와 중요 고객별로 신상정보와 건강 정보, 그리고 위치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관리자DB(530)는 공장의 위험지역 및 중점관리 근무자별로 신상정보와 건강정보 그리고 위치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병원이나 원자력 병원 등과 같은 곳에서의 환자나 근로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는 DB를 재구성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DB는 일례로 위험환자와 중요 고객별, 또는 위험지역 및 중점관리 근무자를 테이블로 정리하고, 각 대상자별 위치정보와 건강정보 등을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서버 제어부(5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한 RFID 기반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획득한 상황 정보와 생체정보를 대상자별로 DB(520,530)에 축적하고 있다가, 대상자가 위치한 상황 정보에 따른 건강정보, 즉 상황인지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생체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이탈하는 경우 이를 체크하고 경고 또는 무선으로 의료시설(예컨대 병원)에 구비된 이동단말기(600)에 통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서버제어부(5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환자나 근로자가 응급상태에 처했을때, DB(520,530)에 저장된 환자의 병력과 특이 사항을 파악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600)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서버저장부(350)에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나 환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단말기(600)의 요청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기에 해당 앱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500)는 웹상에 SNS로 설치되거나 통상의 서버로 구성하여 온오프 라인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단말기(600)는 기존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통상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 전화기 등의 유선 단말기와 같이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600)는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의사나 관리자와 같이 신속 대처를 할 수 있는 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서버(500)의 통신모듈(540)과 통신 가능한 단말기통신부(620)와, 전용앱(630)을 포합하며, 전용앱(630)은 입력부(631), 표시부(632) 및 단말기 메모리(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용앱(630)은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에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한 대상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전용앱(630)은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서버(500)에 접속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나 환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관련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대상자 위치, 건강정보, 응급환자, 경고표시 등을 표시부(63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용앱의 설치과정에서 서버(500)의 인증과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서버(500)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굳이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입력부(631)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패드로 해당 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통상의 스마트폰 기능 제어에 필요한 키와 본 발명의 대상자 안내 시스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 메모리(633)는 서버(500)와 송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단말기컨트롤러(610)는 서버(500)의 통신모듈(540)를 통해 통신이 개시되면, 전용앱(63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송신한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컨트롤러(610)는 입력부(631)의 특정버튼 입력에 따라 전용앱(63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버(50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특정 키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나, 서버(5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환자가 병원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 상에 IoT 센서(410~n)를 설치하고, 주요 감시 대상자인 환자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시킨다.
대상자가 이동할 때 마다 IoT센서(410~n)를 통해 수신되는 대상자의 체온과 심박정보를 서버(500)로 전송된다. 서버제어부(510)는 IoT센서(410~n)를 통해 전송되는 대상자의 위치정보와 생체정보를 통합 DB(520)의 정보와 비교하고 있다가 위급상황이나 응급상황 발생 시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리자(병원에서는 담당의)가 소지한 이동단말기(600)로 정보를 전송하면, 이동단말기(600)에는 앱이 구동되어 현재 관리 대상자의 위치나 생체정보, 응급상황, 또는 위기 상황인지를 인지하게 하여 사후 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른 동작예로서, 근로자가 위험지역을 출입할 경우, 위험지역의 경로상에 IoT 센서(410~n)를 설치하고, 위험지역을 출입하는 대상자인 근로자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시킨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대상자는 위험지역의 출입문에 구비된 IoT센서(410)에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감지되면, 대상자의 식별코드가 서버(500)로 전송하고, 이동 경로상에 설치된 IoT 센서(410~n)를 통하여 대상자의 위치정보나 생체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어 서버(500)는 대상자가 IoT센서(410)를 통해 위험 지역을 출입한 것을 감지하고, 위험 지역을 출입한 대상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자DB(530)의 정보와 비교하고 있다가 위급상황이나 응급상황 발생 시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리자(위험지역 책임자)가 소지한 이동단말기(600)로 또는 LPWAN(110)을 통해 직접 서버(500)로 정보를 전송하면, 이동단말기(600)에는 앱이 구동되어 현재 관리 대상자의 위치나 생체정보, 응급상황, 또는 위기 상황인지를 인지하게 하여 사후 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무전원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이동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고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110: LPWAN 120: 이동통신망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320: 유무선통신부
330: 컨트롤러 334: 감지부
340: 부착기구 400: IoT센서군
410: IoT센서 500: 서버
510: 제어부 520: 통합DB
530; 위험지DB 540: 통신모듈
550: 위험판단부 600: 이동단말기
610: 단말기 컨트롤러 620: 단말기통신부
630: 전용앱 631: 입력부
632: 표시부 633: 단말기 메모리

Claims (6)

  1.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일정장소에 위치하는 IoT 센서로 전송하며 고유 식별정보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한 위치정보를 구비하고 이동경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IoT 센서를 포함하는 IoT센서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정보별 신상정보와 건강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이동통신망 및 저전력통신망인 LPW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한 웨어러블 고유식별정보에 따른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DB의 정보와 비교하고, 긴급 사항 발생 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및
    구동된 전용앱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 정보를 판독하는 마스터 센서부와 상기 마스터 센서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체온, 심박수, 혈압 및 혈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위험환자와 중요 고객의 신상정보와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통합DB;
    위험지역 및 중점관리 근무자의 신상정보와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자 DB;
    상기 IoT센서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이동통신 또는 LPW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모듈;및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와 생체정보와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긴급 사항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로 위치정보와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사항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제어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고객의 신상 정보, 건강정보, 생체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 하는 사용자 전용앱;
    통상의 웹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통신부로부터 서버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전용앱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기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전용앱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서버의 URL에 접속하여 고객의 신상정보, 건강정보, 생체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대상자 안내 시스템.
KR1020160147592A 2016-11-07 2016-11-07 대상자 안내 시스템 KR20180050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592A KR20180050942A (ko) 2016-11-07 2016-11-07 대상자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592A KR20180050942A (ko) 2016-11-07 2016-11-07 대상자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42A true KR20180050942A (ko) 2018-05-16

Family

ID=6245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592A KR20180050942A (ko) 2016-11-07 2016-11-07 대상자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9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135A (ko) 2020-12-11 2022-06-20 이성표 지문인식 대기 번호 발급기
KR102494045B1 (ko) * 2022-01-20 2023-01-30 이용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135A (ko) 2020-12-11 2022-06-20 이성표 지문인식 대기 번호 발급기
KR102494045B1 (ko) * 2022-01-20 2023-01-30 이용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3705A1 (en) Multi-functional user wearable portable device
US109596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atients in a facility
BR112020008458A2 (pt) sistema e método para supervisionar uma pessoa, e, sistema e método para comunicação ativada entre um objeto e um leitor.
US10028660B2 (e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system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WO2016034064A1 (zh) 医用传感器及其使用方法和操作设备
KR101921683B1 (ko)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KR20140107945A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5869A (ko)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180050942A (ko) 대상자 안내 시스템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JP2005092440A (ja) 警告装置
KR20160101508A (ko) 독거노인 위급상황 관리시스템
KR102187389B1 (ko)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3530B1 (ko) 병실관리장치
JP6404711B2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1099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6989932B2 (ja) 緊急連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緊急連絡システム
KR102186414B1 (ko)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0730A (ko)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783603B1 (ko)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Mitabe et al. An intelligent support system for elderly care with RFID tags and a cleaning robot
KR20180070091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제공 방법
JP6404710B2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