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683B1 -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683B1
KR101921683B1 KR1020160182281A KR20160182281A KR101921683B1 KR 101921683 B1 KR101921683 B1 KR 101921683B1 KR 1020160182281 A KR1020160182281 A KR 1020160182281A KR 20160182281 A KR20160182281 A KR 20160182281A KR 101921683 B1 KR101921683 B1 KR 101921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subject
heartbeat
abnormal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385A (ko
Inventor
백준선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16018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6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12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피관찰자의 움직임 및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이를 통지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은, 피관찰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
피관찰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점차 소형화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전자 기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수납되어 휴대하기도 하지만, 손목에 착용하거나, 인체의 두부(Head portion) 또는 팔에 착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라고 통칭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류에 착용될 수 있는 각종 전자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스마트 웨어(Smart wea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피관찰자의 움직임 및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이를 통지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은, 피관찰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심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PS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일 때,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의 움직임, 및 심박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감지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정보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심박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심박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개시된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된 이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피관찰자의 위치 확인을 요청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력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개시된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피관찰자의 특성에 대응되는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피관찰자의 서로 다른 비정상 조건에 적응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1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1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2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2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3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개시된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개시된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개시된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 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개시된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S) 모니터링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피관찰자(S)는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가 모니터링 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피관찰자(S)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 사람일 수 있다. 특히, 피관찰자(S)는 모니터링 될 필요가 있는 유아, 노인 등과 같은 연령 제한 또는 거동 불편자 등과 같은 조건 제한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 의해 착용됨으로써, 피관찰자(S)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과 같은 물리적 정보 및/또는 심박과 같은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서버(200)는 공지된 무선 통신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피관찰자(S)의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에 대응되는 요청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수신된 피관찰자(S)의 상태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300)란 공지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를 의미하고, 사무용 또는 개인용 PC 뿐만 아니라,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피관찰자(S)의 상태를 수신한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피관찰자(S)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140);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10);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 센서(120);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안테나(130); 및 감지된 피관찰자(S)의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서버(200)로부터 피관찰자(S) 상태 요청을 수신하거나, 피관찰자(S)의 상태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3G(3Generation), 4G(4Gener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기지국을 거쳐 서버(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소정 거리 이내에서 서버(2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GPS 안테나(130)는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PS 안테나(130)는 피관찰자(S)에 의해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합되므로, GPS 안테나(130)가 수신한 위치 좌표는 피관찰자(S)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0)는 서로 수직인 x축, y축, z축으로 구성되는 3축을 설정하고, 각각의 축에 대한 가속도를 벡터로서 감지할 수 있다. 피관찰자(S)에는 지속적으로 중력 가속도가 작용하므로, 피관찰자(S)의 자세에 따라 가속도 센서(110)가 감지하는 중력 가속도의 벡터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110)가 감지한 벡터 값이 급격하게 변화한다면, 가속도 센서(11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자세가 급격히 변경되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심박 센서(120)는 피관찰자(S)의 혈관에 광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혈관의 압력 변화에 따라 혈관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반사율이 달라지므로, 심박 센서(120)는 출력된 전압 값을 기초로 혈관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심박 센서(120)가 감지한 값이 비정상적으로 크다면, 심박 센서(12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임을 예상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가속도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피관찰자(S)의 자세 변화, 움직임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움직임과 기준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움직임이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피관찰자(S) 움직임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고, 외부의 입력 또는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움직임은 피관찰자(S)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통계적으로 획득되거나,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누적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심박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과 기준 심박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심박이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피관찰자(S) 심박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고, 외부의 입력 또는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심박은 피관찰자(S)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통계적으로 획득되거나,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누적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 착용되어 함께 이동되므로,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는 1회용이거나, 충전에 의한 재사용이 가능할 뿐, 영구적 사용은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피관찰자(S)의 특성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피관찰자(S)의 상태 감지 순서 및/또는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동 불편자와 같은 피관찰자(S)의 상태적 특성 및/또는 노인, 유아와 같은 피관찰자(S)의 연령적 특성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 상태를 서로 다른 순서 및/또는 종류로 구성되는 시나리오를 채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관찰자(S)의 특성에 따라 설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나리오에 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서버(2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선택 가능한 모드는 제조 시 미리 결정되거나, 제조 후 외부 입력 또는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일반인을 피관찰자(S)로 하는 제 1 모드, 심박의 모니터링이 중요시되는 노인을 피관찰자(S)로 하는 제 2 모드, 및 거동이 용이하지 않은 거동 불편자를 피관찰자(S)로 하는 제 3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일반인을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모드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1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1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에게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낙상이 경미한 경우, 피관찰자(S)는 외부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낙상에 따라 피관찰자(S)가 위중한 부상을 입은 경우, 이를 외부에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일반인에 대한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제 1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가속도 센서(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70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71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움직임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움직임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움직임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움직임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움직임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기준 움직임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반면, 기준 움직임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게 낙상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720)
비정상 움직임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에게 낙상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심박을 요청할 수 있다.(73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통신부(140)를 통해 피관찰자(S) 심박 요청을 수신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심박 센서(120)는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74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75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심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심박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심박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심박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심박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심박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반면,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760)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과 비정상 심박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가 낙상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770)
요청을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GPS 안테나(13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780) 만약,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관찰자(S)가 건물 내 임의의 층에 존재하는 경우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낮아져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울 수 있고,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건물 내 각 층마다 마련되는 RFID 태그, NFC 태그, BLE 모듈 등으로부터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확인한 피관찰자(S)의 위치는 서버(200)를 거쳐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790) 여기서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는 피관찰자(S)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가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300)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기(300)에 피관찰자(S) 위치가 전달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피관찰자(S) 위치를 재전달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300)에 피관찰자(S) 위치가 전달되면, 서비스 가입자는 직접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S)의 심박도 비정상으로 판단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GPS 안테나(13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S) 모니터링 방법은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피관찰자(S)의 다른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피관찰자(S)가 정상 상황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 판단만을 하고,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에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센서를 동시 구동이 아닌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전력의 소비가 큰 GPS 안테나(130) 구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 1 모드에서 피관찰자(S)가 운동과 같이 의사에 의한 급격한 움직임을 갖는 경우, 이를 예외 처리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도,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 및/또는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외 모드 선택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외부에 마련된 입력 버튼 등을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 및/또는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에 의한 급격한 움직임을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의 예외로서 처리할 수 있다.
제 2 모드는 노인과 같이 심박 관찰이 필요한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드로,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2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2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노인과 같이 심박 관찰이 필요한 피관찰자(S)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에게 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S)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며 피관찰자(S)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심박 관찰이 필요한 피관찰자(S)를 모니터링 하는 제 2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심박 센서(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80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81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심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심박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심박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심박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심박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심박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한다.
반면,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게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820)
비정상 심박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에게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요청할 수 있다.(83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통신부(140)를 통해 피관찰자(S) 움직임 요청을 수신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가속도 센서(11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84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85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움직임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움직임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움직임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움직임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움직임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한다.
반면,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860)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과 비정상 움직임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가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870)
요청을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GPS 안테나(13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880) 만약,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관찰자(S)가 건물 내 임의의 층에 존재하는 경우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낮아져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울 수 있고,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건물 내 각 층마다 마련되는 RFID 태그, NFC 태그, BLE 모듈 등으로부터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확인한 피관찰자(S)의 위치는 서버(200)를 거쳐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890) 여기서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는 피관찰자(S)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가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300)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서비스 가입자는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S) 모니터링 방법은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피관찰자(S)의 다른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피관찰자(S)가 정상 상황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 판단만을 하고,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에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센서를 동시 구동이 아닌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전력의 소비가 큰 GPS 안테나(130) 구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 2 모드에서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더라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마련된 입력 버튼 등을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비정상으로 판단된 피관찰자(S)의 심박을 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관찰자(S)에게 일시적으로 발생한 이상 심박을 예외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피관찰자(S)의 자세가 고정된 상태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라면 비정상 움직임 없이도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 2 모드에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피관찰자(S)의 심박을 복수 회 확인할 수 있다. 복수 회 확인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피관찰자(S) 심박이 비정상임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을 수신하면, 서버(20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 정상 여부와 관계없이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제 3 모드는 거동 불편자와 같이 정상 영역 내에 존재할 확률이 높은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드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3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거동 불편자와 같은 피관찰자(S)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거동 불편자가 정상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긴급 상황으로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거동 불편자와 같은 피관찰자(S)를 모니터링 하는 제 3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가 접속한 기지국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900)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확인된 기지국의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910) 여기서, 정상 영역이란 피관찰자(S)가 일반적인 상황에서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한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한다.
반면,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가 정상 영역을 벗어난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접속된 기지국이 비정상 영역에 위치함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920) 이를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에게 정상 영역을 벗어난 것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930)
요청을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위치를 감지(940)하고, 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피관찰자(S)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950)
이처럼, 피관찰자(S)가 정상 상황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 판단만을 하고,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에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실질적으로 전력의 소비가 큰 GPS 안테나(130) 구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가속도 센서
120: 심박 센서
130: GPS 안테나
140: 통신부
150: 제어부
200: 서버
300: 단말기
S: 피관찰자

Claims (20)

  1. 피관찰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 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심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PS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일 때,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11. 피관찰자의 움직임, 및 심박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감지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정보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심박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심박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9. 삭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182281A 2016-12-29 2016-12-29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KR101921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81A KR101921683B1 (ko) 2016-12-29 2016-12-29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81A KR101921683B1 (ko) 2016-12-29 2016-12-29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85A KR20180078385A (ko) 2018-07-10
KR101921683B1 true KR101921683B1 (ko) 2018-11-27

Family

ID=6291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281A KR101921683B1 (ko) 2016-12-29 2016-12-29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510B1 (ko) * 2019-11-26 2021-04-28 주식회사 청담홀딩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운용방법
KR102375284B1 (ko) * 2019-11-29 2022-03-15 정태화 동잡음을 통해 심정지 판단을 수행하는 스마트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심정지 관리시스템
CN113892921A (zh) * 2020-07-06 2022-01-07 黄庭怀 人体姿态监测方法及装置
KR102604559B1 (ko) * 2020-07-20 2023-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부작용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902A (ja) * 2004-11-24 2006-06-08 Hitachi Ltd 安否確認装置、安否確認方法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82B1 (ko) * 2006-02-08 2007-11-2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Rfid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보완한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962530B1 (ko) * 2007-09-28 2010-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49150B1 (ko) * 2007-11-14 2010-03-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165060B1 (ko) * 2013-08-20 202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및 착용형 생체신호 인터페이스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902A (ja) * 2004-11-24 2006-06-08 Hitachi Ltd 安否確認装置、安否確認方法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85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683B1 (ko)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US10470671B2 (en) Wearable devices for sensing and communicating data associated with a user
US11510144B2 (en)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US20160146848A1 (en) Subject monitor
EP3266369B1 (en) Analysis of fall severity using a fall detection system and wearing apparatus
JP5885292B2 (ja) 行動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行動認識用の処理装置
WO201418272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8325032B2 (en) Miniature life-saving device
BR112020008458A2 (pt) sistema e método para supervisionar uma pessoa, e, sistema e método para comunicação ativada entre um objeto e um leitor.
KR101764816B1 (ko)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KR20180057233A (ko)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US11551543B2 (en) Safety monitoring system
KR20200104759A (ko)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
KR101535596B1 (ko) 사회적 취약자 및 일반인을 위한 스마트 액세서리
KR20170095041A (ko)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KR20200104758A (ko)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8395512B2 (en) Signatur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JP2014166196A (ja) 見守り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9932B2 (ja) 緊急連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緊急連絡システム
KR20210136722A (ko) 전자 장치의 낙상 이벤트 타입 판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8031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세 인식 장치
KR20180050942A (ko) 대상자 안내 시스템
KR20160100730A (ko) 웨어러블 센싱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US202200202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user
US10916115B1 (en) Wearable device adapted for fall detection and transmission of automated notifications for emergency as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