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233A -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233A
KR20180057233A KR1020160155625A KR20160155625A KR20180057233A KR 20180057233 A KR20180057233 A KR 20180057233A KR 1020160155625 A KR1020160155625 A KR 1020160155625A KR 20160155625 A KR20160155625 A KR 20160155625A KR 20180057233 A KR20180057233 A KR 20180057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band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otect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피주르 칼리파
Original Assignee
하피주르 칼리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피주르 칼리파 filed Critical 하피주르 칼리파
Priority to KR102016015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233A/ko
Publication of KR2018005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1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2Contactless payments by 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에 있어서, 본체에 구비되어 피보호자의 위치 및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또는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피보호자의 건강 상태를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를 등록한 보호자 또는 관리 기관이 모니터링할 수 있어, 발생하는 비상 상황을 쉽게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SMART BAND AND SMART BAND MANAGING SERVER}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 및 그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안경, 시계, 의복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컴퓨터로, 스마트폰의 발전에 동반한 기기의 소형화, 집적화 및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순히 기기의 소형화뿐 아니라, 커넥티드 디바이스로써 다양한 산업에 연관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이후 시대를 이끌어갈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밴드는 사용자의 손목에 감아 쓰는 전자기기를 말한다. 초기 스마트 밴드에는 시계 기능과 함께 헬스케어 기능, 예를 들어 만보계와 열량 계산 기능이 탑재되어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열량을 측정하였다.
현재까지 스마트 밴드는 스마트 밴드가 수집한 정보를 근거리에 있는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모니터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왔다. 따라서 일부 운동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소비자들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제로 헬스케어가 필요한 노인들의 경우 전자기기의 조작이 어려워 스마트밴드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조작이 쉽지 않은 노인 또는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다른 사용자들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계좌로 충전 또는 이체된 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에 있어서, 본체에 구비되어 피보호자의 위치 및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또는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밴드 및 단말과 연결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임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밴드가 측정한 피보호자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수신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밴드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등록한 단말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정보 제공부, 임의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마트 밴드의 가상 계좌에 대한 충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폰의 가상 계좌에 상기 충전 요청에 대응되는 금액을 충전하는 결제 관리부, 상기 분석 결과 상기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이면 상기 단말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밴드 주변의 응급 기관을 탐색하여, 상기 응급 기관에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급 상황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및 단말과 연결된 스마트 밴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피보호자 기초 정보 및 기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센서에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기준 정보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측정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위험 상태로 판단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피보호자의 건강 상태를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를 등록한 보호자 또는 관리 기관이 모니터링할 수 있어, 발생하는 비상 상황을 쉽게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밴드를 결제 수단으로도 사용 가능해, 피보호자가 유사 상황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사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사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200), 보호자 단말(10), 기관 단말(50)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밴드(100)는 관리 서버(200)에 복수의 센서에서 수집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송수신은 Wi-Fi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의 스마트 밴드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에 정보를 송수신 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100) 역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해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10)과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밴드(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 밴드(100)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등록한 하나 이상의 단말(10, 50)에 수신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에 따라서 위급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10, 50)은 보호자 단말(10)과 기관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말(10, 5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컴퓨터와 같은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각 단말(10, 50)은 스마트 밴드를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 밴드(100)에 알림을 전송하거나 스마트 밴드(100)와 연동된 가상 계좌에 돈을 입금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는 복수의 센서(110), 제어부(130), 통신 모듈(140)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150), 결제 모듈(160), 출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10)는 스마트 밴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GPS 모듈(111),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보수계 센서(113), 피보호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115), 피보호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 센서(117), 피보호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119)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100)는 GPS 모듈(111)을 이용해, GPS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밴드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나, 통신 모듈(140)에 포함된 Wi-Fi 신호를 이용, 무선 AP(Access Point) 정보에 기반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블루루스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위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센서(110)에서 수집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밴드(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마트 밴드(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마트 밴드(110)의 식별 정보 및 복수의 센서(110)에서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 또는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데, 측정 데이터의 분석은 피보호자의 건강 상태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가 70대이고 고혈압 환자인 경우, 특정 심박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혈압이 특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측정 데이터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측정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범위 내 이면 정상 상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위험 상태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위험 상태에서의 동작
제어부(130)는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카메라 모듈(150)을 구동시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관리 서버(200) 또는 단말(10, 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 센서의 측정 결과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관리 서버(200) 또는 단말(10, 5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 또는 단말(10, 50)은 영상과 상태 정보(피보호자의 위치 정보 및 심박수 정보 등)를 함께 수신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위급 상황에 조기에 대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스마트밴드의 출력부(170)를 동작시켜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 움직임, 체온, 혈압, 심박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 서버(200) 또는 단말(10, 5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또는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무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 에 따라 구축된 무선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통신 방식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본체에 구비되어 피보호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데,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모듈(160)은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신용 카드 정보 또는 가상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제 서비스를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모듈(16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결제 모듈(160)은 가상 계좌 또는 신용 카드 정보를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에 가상 계좌 또는 신용 카드 정보를 저장하여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므로 리더기와의 접촉이 불필요하다.
출력부(170)는 출력부(17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부, 햅틱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70)는 복수의 센서(110)에서 수집한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140)가 분석한 결과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었거나, 스마트 밴드(100)와 연결된 단말(10, 50)로부터 알림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음향 신호, 진동, 또는 빛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부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3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광출력부는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며, LED와 같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 수신부(210), 모니터링 정보 제공부(230), 결제 관리부(250), 위급상황 관리부(270), 저장부(290),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10)는 임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스마트 밴드가 측정한 피보호자의 상태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와 스마트 밴드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에서 수집한 측정 데이터 즉, 스마트 밴드의 위치, 피보호자의 움직임, 체온, 심박수, 혈압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밴드(100)에서 분석한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데, 정상 상태인지, 위험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스마트 밴드(1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스마트 밴드(100)에서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 서버(200)에서 분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정보 제공부(230)는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스마트 밴드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등록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단말(10,50)은 단말(10, 5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밴드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즉, 각 단말(10, 50)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 밴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이 병원, 약국, 응급 센터, 구조대와 같은 기관에서 사용되는 단말(50)인 경우 보다 유용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 단말(50)에서는 복수의 스마트 밴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상 상태의 모니터링 대상(A)과 위험 상태인 모니터링 대상(B)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위험 상태의 피보호자를 쉽게 확인하고 그에 대응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250)는 임의의 단말로부터 스마트 밴드의 가상 계좌에 대한 충전 요청을 수신하면, 스마트 밴드의 가상 계좌에 충전 요청에 대응되는 금액을 충전한다. 가상 계좌는 신용 카드 정보와 연동된 것일 수 있으며, 스마트 밴드 고유의 가상 계좌일 수 있다.
위급상황 관리부(270)는 스마트 밴드(100)에서 수신한 분석 결과에 따라,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이면 단말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고, 스마트 밴드 주변의 보호 기관을 탐색하여, 보호 기관에 스마트 밴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각 스마트 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피보호자의 기초 정보(인적사항, 건강 상태 정보 등), 스마트 밴드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한 단말의 정보(보호자 단말 또는 인근 보호 기관 단말 등),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 및/또는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피보호자 별(또는 스마트 밴드 별) 정보는 피보호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 가능하다.
통신부(미도시)는 도면에 기재되지는 않았으나, 스마트 밴드(100) 또는 기타 단말(10, 50)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미도시)는 유무선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써, 상술한 스마트 밴드(100)의 통신 모듈(140)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밴드는 관리 서버 또는 단말로부터 피보호자 기초 정보 및 기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이 때, 기초 정보는 피보호자의 인적 사항 및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몸무게, 나이, 성별, 지병과 같은 정보가 기초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기준 정보는 기초 정보를 근거로 피보호자의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가 되는 정보로써, 정상 범위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달라지므로, 단말(10, 50) 또는 관리서버(50)로부터 정상 범위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는 복수의 센서에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S200), 측정 데이터를 기준 정보와 비교 분석한다(S300). 스마트 밴드는 측정 데이터가 정상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00) 만약, 분석 결과 측정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스마트 밴드는 피보호자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고(S500) 분석 결과를 관리 서버 또는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60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또한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 readable medium)의 비한정적 예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 자기 저장소 및 광학 저장소이다.
앞서 설명된 기법들의 특정 실시형태들은 알고리즘 형태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처리 단계들 및 명령들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처리 단계들 및 명령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실시간 네트워크 오퍼레이팅 시스템(real time network operating system)들에서 사용되는 다른 플랫폼들 상에 상주하도록 다운로드 될 수 있고 이로부터 동작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이러한 장치는 원하는 목적을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되는 범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바,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CD-ROM들, 자기-광학 디스크들(magnetic-optical disks),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들, EPROM들, EEPROM들, 자기 혹은 광학 카드들,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들을 포함하는 임의 타입의 디스크, 또는 전자 명령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하고 그 각각이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되는 임의 타입의 매체들이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컴퓨터들은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팅 능력 증진을 위해 복수의 프로세서 설계를 사용하는 아키텍처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알고리즘들 및 동작들은 본질적으로 임의의 특정 컴퓨터 혹은 다른 장치들과 관련되지 않는다. 다양한 범용 시스템들이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가르침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원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더 특수하게 설계된 장치들을 구성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다양한 이러한 시스템들을 위해 그 요구되는 구조는 그 등가적 변형물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련되어 설명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가르침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특정 언어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최상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 일부 실시 예는 그 실시 주체가 동일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보호자 단말
50: 기관 단말
100: 스마트 밴드
200: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Claims (7)

  1. 본체에 구비되어 피보호자의 위치 및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또는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수집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GPS 모듈;
    상기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보수계 센서;
    상기 피보호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
    상기 피보호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 센서;
    상기 피보호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밴드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신용 카드 정보 또는 가상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시각, 청각 또는 촉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상기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거나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으로부터 알림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알림을 발생하는 스마트 밴드.
  6.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밴드 및 단말과 연결된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에 있어서,
    임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밴드가 측정한 피보호자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수신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밴드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등록한 단말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정보 제공부;
    임의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마트 밴드의 가상 계좌에 대한 충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밴드의 가상 계좌에 상기 충전 요청에 대응되는 금액을 충전하는 결제 관리부;
    상기 분석 결과 상기 피보호자가 위험 상태이면 상기 단말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밴드 주변의 보호 기관을 탐색하여, 상기 보호 기관에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급 상황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7.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및 단말과 연결된 스마트 밴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피보호자 기초 정보 및 기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센서에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기준 정보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측정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위험 상태로 판단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동작 방법.
KR1020160155625A 2016-11-22 2016-11-22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KR20180057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25A KR20180057233A (ko) 2016-11-22 2016-11-22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25A KR20180057233A (ko) 2016-11-22 2016-11-22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33A true KR20180057233A (ko) 2018-05-30

Family

ID=6230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625A KR20180057233A (ko) 2016-11-22 2016-11-22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23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940A (ko)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블록체인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관제 시스템
KR20200015291A (ko) * 2018-08-03 2020-02-12 서정호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56175A (ko) * 2018-11-14 2020-05-22 (주)인더스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
KR102124289B1 (ko) * 2020-01-28 2020-06-18 (주)에스제이시스템 생체신호를 실시간 측정하는 사회적 약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94566A (ko) * 2019-01-30 2020-08-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실시간 응급 구조 시스템
KR20210023343A (ko) * 2019-08-23 2021-03-04 이한호 다목적 안전관리 서비스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KR20210057388A (ko) * 2019-11-12 2021-05-21 디노플러스 (주)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KR20210069927A (ko) * 2019-12-04 2021-06-14 서희정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21246723A1 (ko) * 2020-06-04 2021-12-09 주식회사 아모센스 비대면 체온변화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0619A (ko) * 2021-10-08 2023-04-17 (주)지큐리티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940A (ko)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블록체인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관제 시스템
KR20200015291A (ko) * 2018-08-03 2020-02-12 서정호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56175A (ko) * 2018-11-14 2020-05-22 (주)인더스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
KR20200094566A (ko) * 2019-01-30 2020-08-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실시간 응급 구조 시스템
KR20210023343A (ko) * 2019-08-23 2021-03-04 이한호 다목적 안전관리 서비스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KR20210057388A (ko) * 2019-11-12 2021-05-21 디노플러스 (주)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KR20210069927A (ko) * 2019-12-04 2021-06-14 서희정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124289B1 (ko) * 2020-01-28 2020-06-18 (주)에스제이시스템 생체신호를 실시간 측정하는 사회적 약자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246723A1 (ko) * 2020-06-04 2021-12-09 주식회사 아모센스 비대면 체온변화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0619A (ko) * 2021-10-08 2023-04-17 (주)지큐리티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7233A (ko)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US11955212B2 (en) Location-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data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US10736510B2 (en) Medical bracelet standard
KR102363794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238193B1 (en) First aid kit wearable
EP332083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004056B (zh) 用于使用可穿戴设备提供危急护理的方法和系统
US20160328894A1 (en) Managing multi-user access to controlled locations in a facility
US20160080550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server
KR20150140021A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38408B1 (ko) 낙상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모션 센서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낙상 감지 방법
US20170103166A1 (en)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measurement of blood alcohol level and management server therefor
JP2009129338A (ja) 対人関係評価装置、対人関係評価方法、対人関係評価システム、端末装置
US114119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data
KR10254845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03765B2 (ja) 遠隔健康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95041A (ko)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KR20170101710A (ko) 전자파 흡수율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2695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42593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20180022005A (ko)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98362B1 (ko) 위치 정보 계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20109568A (ja) 患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患者情報提供方法
JP201703519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70111241A (ko)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