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388A -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388A
KR20210057388A KR1020190144084A KR20190144084A KR20210057388A KR 20210057388 A KR20210057388 A KR 20210057388A KR 1020190144084 A KR1020190144084 A KR 1020190144084A KR 20190144084 A KR20190144084 A KR 20190144084A KR 20210057388 A KR20210057388 A KR 20210057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al
healthcare
information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495B1 (ko
Inventor
이태현
강경숙
Original Assignee
디노플러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노플러스 (주) filed Critical 디노플러스 (주)
Priority to KR102019014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4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다양한 AAL기반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feedback) 결과를 사용자와 실시간 공유하거나 서비스의 피드백에 대한 실시간 응답을 요청하고,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정확하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획득한 사용자 생체정보를 AAL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고,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한다.

Description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Healthcar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based ambient assisted living}
본 발명은 AAL(Ambient Assisted Living)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AAL기반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feedback) 결과를 사용자와 실시간 공유하거나 서비스의 피드백에 대한 실시간 응답을 요청하고,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정확하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케어로 사용되는 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등은 임베디드(embedded) 장치로서, 정보를 표출해주는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결과만을 헬스케어 정보로 제공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헬스케어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이다. 여기서 AAL(Ambient Assisted Living)은 거주자의 거동 및 생활방식 등에 따른 행동 변화나 건강 이상 등을 실시간으로 포착해 예방 조치가 가능한 주거환경을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생체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 댁내 또는 주거 환경에 마련되어,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로부터 실시간으로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서비스 서버(40)로 전달해주며,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전송되는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에 전달해주는 AAL 어댑터(20), 상기 AAL 어댑터(20)와 서비스 서버(40)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AAL 게이트웨이(30), 상기 AAL 게이트웨이(30)로부터 취합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처리하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하는 서비스 서버(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와 AAL 어댑터(20)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송수신하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와 원격에 위치한 서비스 서버(40)는 AAL 게이트웨이(30)라는 중계장치를 통해 상호 생체정보나 제어 명령 등을 인터페이스 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으로는 직렬 통신 모듈, USB 포트 인터페이스(I/F)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AAL 어댑터가 실시간으로 양방향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만, 임베디드(embedded) 장치의 한계로 인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및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해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AAL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와이-파이(Wi-Fi) 등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 가능한 서버통신부, 디지털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가 구비된 IR 중계서버에서 사무실이나 집 등의 실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기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적합한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함으로써, 실외에서도 실내에 구비된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을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비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외에서 실내에 구비된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조작하여 홈 오토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으나, 실시간으로 양방향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건강상태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동으로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80278(2013.07.1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및 일반적인 AAL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AAL기반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feedback) 결과를 사용자와 실시간 공유하거나 서비스의 피드백에 대한 실시간 응답을 요청하고,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정확하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은,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 또는 이더넷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는 AAL 어댑터; 상기 AAL 어댑터와 연동하며 실시간 양방향으로 AAL 서비스를 지원하고, 상황 인지를 통해 응급 상황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상기 AAL 어댑터와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해주는 AAL 게이트웨이; 상기 AAL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은 AAL서비스 정보를 소프트웨어, AAL 디바이스, 하드웨어, 스마트폰 앱(App)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매체를 이용하여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은 대화면 터치 LCD를 통해 직관적으로 반응 및 응답을 제공해주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 사운드를 제공하는 음성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은 AAL기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실시간으로 AAL 어댑터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는 응답/피드백 처리부; 상기 AAL 어댑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실시간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은 상기 응답/피드백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피드백 및 응답 상황을 분석하여 응급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상기 상황 인지부에 의해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촬영장치를 제어하여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황정보를 처리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상황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는 상기 AAL 게이트웨이를 통해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 중 앙상블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에서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는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가 일반적인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과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고, 상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가 위급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및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AAL기반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feedback) 결과를 사용자와 실시간 공유하거나 서비스의 피드백에 대한 실시간 응답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자동으로 의료 기관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위급 정보를 전달하여,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2의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 또는 이더넷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40)에 전송해주는 AAL 어댑터(20), 상기 AAL 어댑터(20)와 연동하며 실시간 양방향으로 AAL 서비스를 지원하고, 상황 인지를 통해 응급 상황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 상기 AAL 어댑터(20)와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AAL 게이트웨이(30), 상기 AAL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으로서, 119로 응급 상황 정보를 전송하거나, 병원의 의료진(의사)과 실시간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해줄 수 있다.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은 AAL서비스 정보를 소프트웨어(S/W), AAL 디바이스, 하드웨어(H/W), 스마트폰 앱(App)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매체를 이용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이러한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은 패드 형태의 단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화면 터치 LCD를 통해 직관적으로 반응 및 응답을 제공해주는 터치 패널(101), 상기 터치 패널(101)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 사운드를 제공하는 음성 제공부(102), AAL기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실시간으로 AAL 어댑터(20)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40)에 전송해주는 응답/피드백 처리부(103), 상기 AAL 어댑터(20)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실시간 중계부(1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은 상기 응답/피드백 처리부(103)를 통해 처리된 피드백 및 응답 상황을 분석하여 응급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106), 상기 상황 인지부(106)에 의해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촬영장치(105)를 제어하여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황정보를 처리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상황정보 처리부(107), 발생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정보 저장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AL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201),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201)에서 수집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05)에 누적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02),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05)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 중 앙상블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203),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203)에서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204)는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가 일반적인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과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고, 상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가 위급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 및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체온계, 체지방 측정기, 피트니스 장치, 기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와 AAL 어댑터(20)간에 PAN(Personal Area Network) 또는 BAN(Body Area Network)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내에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모듈(BLE), 지그비 모듈,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으로는 직렬 통신 모듈, USB 포트 인터페이스(I/F)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양한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고 생체정보를 측정하면, 측정된 정보는 AAL 어댑터(20), AAL 게이트웨이(30)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된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201)에서 상기 AAL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02)는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201)에서 수집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05)에 누적 저장한다. 즉,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05)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를 탐색한다. 이어,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 이전에 등록된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에 현재 수신한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병합하여 누적 저장한다. 이렇게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누적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203)는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05)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 중 앙상블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예측한다.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알려진 바와 같이 인공지능 기계학습이다. 그 중 앙상블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누적된 헬스케어 정보를 미시 상태로 가정하고, 거시적인 조건을 만족하는 건강 상태 예측정보를 이용하여 미시 상태 정보와 거시상태 예측정보를 서로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음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204)는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203)에서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한다. 예컨대,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204)는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가 일반적인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과만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가 응급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100) 및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한다.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응급 상황이면 의료기관과 자동으로 연동을 통해 후속 조치를 취한다. 여기서 후속 조치는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 해당하는 관계 기관(의료기관, 공공기관)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의료기관의 의료진(의사)과 실시간으로 의료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AL 기반으로 의료 서비스가 이루어지면,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은 AAL 어댑터(20)와 연동하여, 헬스케어 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양방향 지원한다.
예컨대, 터치 패널(101)은 대화면 터치 LCD를 이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헬스케어 결과 분석 정보를 화면에 표출해준다. 여기서 대화면 터치 LCD는 대형 UI-UX 역할을 하며, 이를 이용하여 신체적인 반응이 느린 노인들도 직관적으로 반응하거나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UI(User Interface)는 주로 웹 디자인 등의 시각적 요소를 의미한다. 텍스트만 보더라도, 줄 간격, 크기, 자간, 정렬방식, 폰트, Bold & Underline 등의 적절한 활용 등을 포함한다. UX(User Experience)는 말 그대로 유저의 경험을 의미하는데, 보다 편리하게 만들어서 신규 고객 유치 및 리텐션 비율을 높이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그저 감으로 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분석과 테스트를 수반하는 작업이다.
아울러 음성 제공부(102)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널(101)을 조작할 경우 생황에 맞는 사운드를 제공하며, 아울러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헬스케어 분석 정보를 해당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상황에 맞는 음성 사운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을 통해 터치 패널(101)의 조작에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해당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조작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응답/피드백 처리부(103)는 상기 AAL 어댑터(20)와 연동하여,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처리하여 상기 AAL 어댑터(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자와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의 중계를 통해 의사와 의료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진행하는 경우, 실시간 중계부(104)는 AAL 어댑터(20)와 연동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을 지원하여, 원격의 의사의 영상 및 음성을 처리하여 터치 패널(101) 및 음성 제공부(102)를 통해 출력해준다. 아울러 사용자의 영상은 촬영장치(105)를 통해 촬영하고, 영상 처리를 통해 상기 AAL 어댑터(20)로 실시간 스트리밍처리를 한다.
한편, 상황 인지부(106)는 상기 응답/피드백 처리부(103)와 연동하여 응답 및 피드백 정보를 통해 응급 상황을 인지하고, 응급 상황으로 인지하면 이를 상황정보 처리부(107)에 전달한다. 상황정보 처리부(107)는 응급 상황으로 판단이 되면 촬영장치(105) 등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이를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여,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사용자의 정보(특히,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119와 연락하여 응급 상황에 대하여 후속 조치를 취하거나, 병원의 의사와 연계하여 응급 상황에 대한 처리방안을 지원한다. 여기서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이 될 경우, 응급 상황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의 상황정보 처리부(107)에서 촬영장치(105)와 같은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응급 상황에 대하여 관리자의 개입 없이 실시간으로 대처하게 된다.
한편,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은 소프트웨어, AAL디바이스, 하드웨어, 스마트폰 앱 등 다양한 형태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실내 및 실외에서 장시간 집을 비우거나 외부의 비스마트홈 환경에서 게이트웨이가 없더라도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해준다.
특히,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100)은 AAL 어댑터(20) 또는 AAL 게이트웨이(30)에 연동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조사들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 또는 지원 및 관리할 수 있도록, PC용 및 안드로이드/iOS용 API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AAL 기반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 및 응답처리뿐 아니라, 전체 서비스에 연동되어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서비스 환경에 대한 정보 및 피드백을 제공하여, 관리자의 개입 없이도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하여 대처 가능하도록 사용자 UI-UX를 제공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20: AAL 어댑터
30: AAL 게이트웨이
100: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101: 터치 패널
102: 음성 제공부
103: 응답/피드백 처리부
104: 실시간 중계부
105: 촬영장치
106: 상황 인지부
107: 상황정보 처리부
108: 정보 저장부
200: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
201: 사용자 정보 수집부
202: 사용자 정보 저장부
203: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
204: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
205: 정보 데이터베이스(DB)

Claims (7)

  1. AAL(Ambient Assisted Living)기반 헬스케어 정보의 피드백 및 응답을 실시간으로 처리해주기 위한 헬스케어 정보 처리시스템으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 또는 이더넷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는 AAL 어댑터;
    상기 AAL 어댑터와 연동하며 실시간 양방향으로 AAL 서비스를 지원하고, 상황 인지를 통해 응급 상황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상기 AAL 어댑터와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해주는 AAL 게이트웨이; 및
    상기 AAL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은 AAL서비스 정보를 소프트웨어, AAL 디바이스, 하드웨어, 스마트폰 앱(App)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매체를 이용하여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은 대화면 터치 LCD를 통해 직관적으로 반응 및 응답을 제공해주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 사운드를 제공하는 음성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은 AAL기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실시간으로 AAL 어댑터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는 응답/피드백 처리부; 상기 AAL 어댑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실시간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은 상기 응답/피드백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피드백 및 응답 상황을 분석하여 응급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상기 상황 인지부에 의해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촬영장치를 제어하여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황정보를 처리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상황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6. 청구항 1에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는 상기 AAL 게이트웨이를 통해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헬스케어 정보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 중 앙상블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분석부에서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또는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7. 청구항 6에서,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처리부는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가 일반적인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과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고, 상기 예측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가 위급 상황이면 상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단말 및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KR1020190144084A 2019-11-12 2019-11-12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KR10231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84A KR102319495B1 (ko) 2019-11-12 2019-11-12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84A KR102319495B1 (ko) 2019-11-12 2019-11-12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88A true KR20210057388A (ko) 2021-05-21
KR102319495B1 KR102319495B1 (ko) 2021-11-01

Family

ID=7615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84A KR102319495B1 (ko) 2019-11-12 2019-11-12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4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364A (ko) * 2006-10-19 2008-04-23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090086B1 (ko) * 2009-05-28 2011-12-07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
KR20130080278A (ko)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40062659A (ko) * 2012-11-14 2014-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아바타를 이용한 u-헬스케어 시스템 및 u-헬스케어 정보 제공 방법
KR20170114356A (ko) * 2016-04-04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7233A (ko) * 2016-11-22 2018-05-30 하피주르 칼리파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KR101933638B1 (ko) * 2018-01-22 2019-03-15 정철오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364A (ko) * 2006-10-19 2008-04-23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090086B1 (ko) * 2009-05-28 2011-12-07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
KR20130080278A (ko)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40062659A (ko) * 2012-11-14 2014-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아바타를 이용한 u-헬스케어 시스템 및 u-헬스케어 정보 제공 방법
KR20170114356A (ko) * 2016-04-04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7233A (ko) * 2016-11-22 2018-05-30 하피주르 칼리파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KR101933638B1 (ko) * 2018-01-22 2019-03-15 정철오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495B1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457B2 (en) Distributed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 video, audio and medical parameter data
US20220181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US20180000346A1 (en) Medical bracelet standard
US201502211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 and Security
US20200118689A1 (en) Fall Risk Scoring System and Method
CN113397503B (zh) 家用医疗设备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03957376A (zh) 基于移动智能终端控制红外热像探头的系统及方法
Pires et al. VITASENIOR-MT: a telehealth solution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interaction with TV
US20190130358A1 (en) Screen shar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remote medical care
KR10186983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KR102319498B1 (ko)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
KR102319495B1 (ko)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KR101226188B1 (ko) 센서 노드와 임베디드 기기에 기반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Fanariotis et al. An embedded framework enabling access of elderly and disabled persons to IP-based emergency communications
CN104490378A (zh) 一种基于智能电视的具有肤质识别功能的远程医护系统
KR1015749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06070A (ko) 응급상황 발생시 근접 카메라로부터 얻은 사용자 영상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JP2021197000A (ja) コンピューター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プログラム、監視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CN111599446A (zh) 医疗显示设备的管理方法及相关设备
KR20120076652A (ko) 원격 화상 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102506563B1 (ko) 자율 주행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091019B1 (ko) 건강관리 지원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휴대형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U2013204692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 and security
JP7120255B2 (ja) 被監視者監視支援システムおよび該方法
JP2011234842A (ja) リモコ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健康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