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927A -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27A
KR20210069927A KR1020190159771A KR20190159771A KR20210069927A KR 20210069927 A KR20210069927 A KR 20210069927A KR 1020190159771 A KR1020190159771 A KR 1020190159771A KR 20190159771 A KR20190159771 A KR 20190159771A KR 20210069927 A KR20210069927 A KR 20210069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s
wearable device
dog
mcu
multifunctional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912B1 (ko
Inventor
서희정
Original Assignee
서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정 filed Critical 서희정
Priority to KR102019015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9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6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light-emitting or ornament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애완견의 몸통에 착용되고, 펜던트를 구비한 착용벨트; 상기 펜턴트에 구비되어,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펜던트에 구비되어, 음향 및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지원모듈; 상기 펜던트에 구비되어,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지문정보를 판독 및 상기 음향지원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 및 상기 견주단말 또는 외부기관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갈수록 핵가족 되어가는 환경 속에서 애완견을 기르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애완견을 데리고 산책을 하는 상황이 자주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때 애완견을 잃어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즉, 애완견을 동반하여 산책을 하는 경우, 부주의로 인해 혹은 애완견의 도망으로 인해 분실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330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기능 애완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애완견의 몸통에 착용되고, 펜던트를 구비한 착용벨트; 상기 펜턴트에 구비되어,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펜던트에 구비되어, 음향 및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지원모듈; 상기 펜던트에 구비되어,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지문정보를 판독 및 상기 음향지원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 및 상기 견주단말 또는 외부기관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벨트는 상기 애완견과 밀착되는 표면에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전극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벨트는 상기 MCU로 상기 생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라인은 원통형의 방수코팅막으로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CU는 상기 지문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지문정보를 판독하고, 판독결과를 기록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CU는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에 견주 목소리, 특정 음향정보(애완견이 좋아하는 음악 등)가 출력되도록 음향지원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CU는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애완견의 골밀도, 근전도, 맥박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시간대에 광을 출력하는 LED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통신부는 애완견의 위치 정보를 상기 MCU의 승인을 통해 견주단말 또는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GPS 송수신부; 및 상기 MCU로부터 상기 애완견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반복패턴으로 검출되면, 구조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면, 애완견 분실 시에 해당 애완견과 접촉한 사람들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성 또는 음향정보를 반복하여 재생될 수 있어, 애완견의 훈련,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구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애완견의 근전도, 골전도, 맥박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애완견의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견주단말 간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클라이언트", "유저" 및 "사용자"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및 "엘리먼트" 또한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견주단말 간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애완견에 착용되는 장치로서, 애완견의 우울증 예방기능, 분실도난방지 기능, 위치탐지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착용벨트(110), 지문인식모듈(120), 음향지원모듈(130), MCU(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벨트(110)는 애완견의 몸통에 착용되는 신축 가능한 벨트로서, 애완견을 식별할 수 있는 펜던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용벨트(110)의 일면은 애완견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전극센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생체신호는 근전도, 골전도, 맥박 등에 관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벨트(110)의 내부에 상기 MCU(150)로 생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착용벨트(110)의 재질은 직물 및 합성피혁일 수 있고, 상기 도전성 라인은 원통형의 방수코팅막으로 차폐처리된다.
다음으로, 지문인식모듈(130)은 지문인식센서로서, 견주 및 견주가족의 지문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지문인식모듈(130)에서 인식된 지문정보는 후술하는 MCU(150)로 제공되고, 상기 MCU(150)는 지문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결과, 예컨대, 하여 견주/견주가족 또는 외부자인지를 판단결과를 상기 음향지원모듈로(140)로 전송할 수 있고, 음향지원모듈(140)은 판단결과를 음성으로 지원한다.
가령, 음향지원모듈(130)는 “견주입니다.”, 또는 “견주가족입니다.” 또는 “외부인 입니다” 등과 같은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인식모듈(130)에서 검출된 지문정보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견주단말 또는 지정된 기관서버(동물구조센터 등)로 전송될 수 있어, 애완견이 분실되었을 경우, 검출된 지문정보를 토대로 애완견과 접촉한 사람들의 신원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음향지원모듈(130)은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에 견주 목소리, 특정 음향정보(애완견이 좋아하는 음악 등)을 출력한다. 또한, 음향지원모듈(130)은 후술하는 MCU(150)에서 판독한 지문정보의 판단결과를 음성으로 지원한다.
따라서, 음향지원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음성 또는 음향정보는 반복하여 재생될 수 있어, 애완견의 훈련,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구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음향지원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출력음은 저출력음으로, 예컨대, 70,000 ~ 100,000Hz 의 출력음일 수 있다.
다음으로, MCU(140)는 착용벨트에 부착된 신체전극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지문인식모듈(130)에서 인식된 지문정보를 기 설정된 지문판독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판독한다. 또한, 음향지원모듈(130)의 동작제어, 예컨대,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견주 목소리, 특정 음향정보 등을 반독적으로 출력되도록 음향지원모듈의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MCU(140)는 후술하는 견주단말로부터 음향출력시간, 음향 및/또는 음성정보, 지문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인 레퍼런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MCU(140)는 후술하는 GPS 송수신부로부터 계측된 애완견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애완견의 위치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애완견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반복패턴으로 위치하는 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견주단말 또는 외부기관서버(예컨대, 동물구조센터, 유기견보호센터 등)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50)는 GPS 송수신부(151) 및 메시지전송부(152)를 포함한다.
GPS 송수신부(151)는 애완견의 위치 정보를 MCU(140)의 승인을 통해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전송부(152)는 애완견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반복패턴으로 검출될 경우, 구조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통신부(15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미도시), 다른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 상기 다른 단말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대에 광을 출력하는 LED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60)은 상술한 MCU(14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발광동작이 제어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견주단말에 설치된 플랫폼(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견주는 플랫폼(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작제어값, 음성 또는 음향정보, 견주 지문정보 등을 설정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착용벨트
120: 지문인식모듈
130: 음향지원모듈
140: MCU
150: 통신부
160: LED 모듈

Claims (8)

  1. 애완견의 몸통에 착용되고, 펜던트를 구비한 착용벨트;
    상기 펜턴트에 구비되어,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펜던트에 구비되어, 음향 및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지원모듈;
    상기 펜던트에 구비되어,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지문정보를 판독 및 상기 음향지원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 및
    상기 견주단말 또는 외부기관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애완경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벨트는 상기 애완견과 밀착되는 표면에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전극센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벨트는 상기 MCU로 상기 생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라인은
    원통형의 방수코팅막으로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지문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지문정보를 판독하고, 판독결과를 기록하는 저장하는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에 견주 목소리, 특정 음향정보(애완견이 좋아하는 음악)가 출력되도록 음향지원모듈을 제어하는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애완견의 골밀도, 근전도, 맥박을 판독하는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대에 광을 출력하는 LED 모듈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애완견의 위치 정보를 상기 MCU의 승인을 통해 견주단말 또는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GPS 송수신부; 및
    상기 MCU로부터 상기 애완견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반복패턴으로 검출되면, 구조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90159771A 2019-12-04 2019-12-04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371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71A KR102371912B1 (ko) 2019-12-04 2019-12-04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71A KR102371912B1 (ko) 2019-12-04 2019-12-04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27A true KR20210069927A (ko) 2021-06-14
KR102371912B1 KR102371912B1 (ko) 2022-03-08

Family

ID=7641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71A KR102371912B1 (ko) 2019-12-04 2019-12-04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051A1 (ko) * 2021-11-23 2023-06-01 (주)리틀캣 반려동물 생체정보 측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309A (ko) 2003-11-05 2005-05-11 이훈희 애완동물 전용 위치추적 서비스
KR20160041623A (ko) * 2014-10-08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를 착탈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1633344B1 (ko) * 2015-10-23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70067458A (ko) * 2015-12-08 2017-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신호 처리 방법,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88272B1 (ko) * 2016-11-01 2017-10-19 오승호 생체 인식을 통한 반려 동물 인식 및 등록 관리 방법
KR20180057233A (ko) * 2016-11-22 2018-05-30 하피주르 칼리파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KR20190027238A (ko) * 2017-09-06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 상태에 기반한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309A (ko) 2003-11-05 2005-05-11 이훈희 애완동물 전용 위치추적 서비스
KR20160041623A (ko) * 2014-10-08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를 착탈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1633344B1 (ko) * 2015-10-23 2016-06-24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70067458A (ko) * 2015-12-08 2017-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신호 처리 방법,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88272B1 (ko) * 2016-11-01 2017-10-19 오승호 생체 인식을 통한 반려 동물 인식 및 등록 관리 방법
KR20180057233A (ko) * 2016-11-22 2018-05-30 하피주르 칼리파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KR20190027238A (ko) * 2017-09-06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 상태에 기반한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051A1 (ko) * 2021-11-23 2023-06-01 (주)리틀캣 반려동물 생체정보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912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522B2 (en) Bluetooth crowd-sourced triangulation
Leith et al. Measurement-based evaluation of Google/Apple Exposure Notification API for proximity detection in a light-rail tram
Sturrock et al. Targeting asymptomatic malaria infections: active surveillance in control and elimination
US20170019765A1 (en) Tracking for badge carrier
EP3035715B1 (fr) Procédé d'indication de proximité, dispositif, programme et support d'enregistrement correspondants
KR102371912B1 (ko) 애완동물용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4197724A1 (en) Context monitoring
JP2016515323A5 (ko)
IS8393A (is) Aðferð til að samþykkja tæki, kerfi í þeim tilgangi og búnaður
WO2015187984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identify morbid animals
EP3435870A1 (en) Sonar-based contactless vit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50226832A1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US20210152964A1 (en) Method of inspecting sound input/output device
JP679849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Zhao et al. A battery-free object localization and motion sensing platform
KR102655670B1 (ko) 생체 신호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과, 생체 신호 측정 파라미터 최적화 장치 및 방법
AU2019253883B2 (en) Method and associated system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n identification device
Almazan et al. CAHM: companion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Porter et al. Effect of active interference on the performanc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Deenadayalan et al. Implementing prototype model for School Security System (SSS) using RFID
KR20190102628A (ko) 도플러 레이더 장치를 이용한 공항 공용 위탁수하물 자가 처리장치 내 생동물 감지 방법
US11486630B2 (en) Refrigerato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809372A (zh) 判断头戴式智能设备鉴权信息有效性的装置和方法
KR101684563B1 (ko)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영유아 관리 시스템
CN115956358A (zh) 用于实施接触者追踪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