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041A -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041A
KR20170095041A KR1020160016531A KR20160016531A KR20170095041A KR 20170095041 A KR20170095041 A KR 20170095041A KR 1020160016531 A KR1020160016531 A KR 1020160016531A KR 20160016531 A KR20160016531 A KR 20160016531A KR 20170095041 A KR20170095041 A KR 20170095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fall
information
emergency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359B1 (ko
Inventor
조양현
정필성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06F19/34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에 있어서,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1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가속도 정보를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2 가속도 정보를 제2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부터 1차 낙상이 판단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누적 변수를 이용한 2차 낙상이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낙상 알림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A SMART DEVICE SYSTEM FOR PROVIDING FALL DETECTIONS AND EMERGENCY SEVICE, AND A METHOD FOR FALL DETECTIONS}
본 발명은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낙상이란 '사고나 실신, 경련, 마비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바닥이나 아래쪽의 표면으로 신체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낙상으로 인한 상해가 증가 추세에 있으며 낙상으로 인한 상해는 일상 생활에 지장을 가져 오게 되며 이차 질병과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낙상은 예고되지 않은 사고로서 사전에 예방이 어려우며 낙상 후 상해에 대한 응급조치가 필수적인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주변인은 낙상 환자와의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피해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발견 즉시 빠른 응급 조치를 취해 생명의 보호를 위해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또한, 낙상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도중에 위치나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나 발생할 수 있으며, 낙상 고위험군인 고령자들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낙상감지 기술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기술에서 중요 기술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낙상 감지 방식은 한가지 감지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을 감지하기 때문에 달리기, 뛰기와 같이 움직임이 많은 자세에도 임계치가 넘을 수 있는 상황이 생기므로 정확한 낙상을 감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낙상이 발생하면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는 활력회복능력이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낙상 후 모든 상황을 알리는 것은 불필요한 알람이 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정확한 낙상을 감지하기가 어려운 현재로서는 매우 큰 사용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낙상 환자의 경우 경추 및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가벼운 신체 접촉만으로도 2차 사고 및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숙한 주변인이 응급처치 방법을 몰라 2차 사고를 유발하거나,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상태를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도움을 주는 방법은 오히려 환자의 사고율을 높일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 분석 및 단계적인 낙상 판별을 수행하여, 정확하게 낙상여부를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상 환자의 2차 사고 및 장애 유발 요소인 신체 접촉을 피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환자의 보호자 정보 및 도움을 줄 수 있는 응급 조치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 응급 서비스 제공자 및 주변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에 있어서,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1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가속도 정보를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2 가속도 정보를 제2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부터 1차 낙상이 판단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누적 변수를 이용한 2차 낙상이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낙상 알림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1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가속도 정보를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2 가속도 정보를 제2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부터 1차 낙상이 판단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누적 변수를 이용한 2차 낙상이 판단된 경우, 낙상 알림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은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 분석 및 단계적인 낙상 판별을 수행하여, 정확하게 낙상여부를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상 환자의 2차 사고 및 장애 유발 요소인 신체 접촉을 피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환자의 보호자 정보 및 도움을 줄 수 있는 응급 조치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 응급 서비스 제공자 및 주변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고, 특히 60대 이상의 고령층의 사망발생률 50% 이상을 차지하는 낙상 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빠른 응급 서비스 요청 및 응급처치를 요청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낙상 알림 방법을 통해, 2차 상해 및 질병이 발생할 수 있는 신체 접촉을 피한 상태에서 주변 도움을 주는 사람들과의 환자 정보 교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달리는 버스나 달리는 지하철의 경우 위치 추적이 어렵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과 보호자 및 응급 의료진, 응급처치 정보를 교류하면 환자의 생명을 지키고 안전하게 의료진에게 안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적인 낙상 감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낙상 사고에 대처할 수 있으므로 사회복지 비용절감 및 부가 장치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빠른 응급처치 및 용이한 환자의 위치 파악과 보호자 연락망 구축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보호, 연장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을 사용자 자세별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과 연결되는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 인접 단말 장치(400) 및 원격지 단말 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상호 보완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와 통신 모듈 및 출력 모듈을 가짐으로서, 다양한 정보를 처리 및 출력하는 스마트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사용자의 손,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위치하는 스마트 폰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는 스마트 시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에 따라,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스마트 폰 디바이스로,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스마트 시계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100, 200)들은 데이터 교환에 따라, 상호 동일한 기능 동작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는 구성 및 기능도, 그 주체 및 객체의 전환에 따라,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들은 상기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낙상 감지 및 응급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수신하여 설치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은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낙상 감지를 수행하고, 낙상 감지에 따라 응급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 알림,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로의 지원 요청, 인접 단말 장치(400) 또는 원격지 단말 장치(500)로의 알림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제1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가속도 정보를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할 수 있으며,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2 가속도 정보를 제2 누적 변수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각각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부터 1차 낙상이 판단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상기 제2 누적 변수를 이용하여 2차 낙상을 판단하면,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낙상 알림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낙상 알림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한 시간 이내에 낙상 판별 취소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응급 모드로 전환하여 응급 모드에 따른 처리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동작 및 응급 모드에 따른 외부 와의 통신을 위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은 인접 단말 장치(4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 또는 원격지 단말 장치(500)와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간 상호간 통신을 위해 각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 인접 단말 장치(400) 및 원격지 단말 장치(500)는 인터넷 네트워크, LAN, WAN,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WIFI, 이동 통신망 및 기타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 인접 단말 장치(400) 및 원격지 단말 장치(500)는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편의를 위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 또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도 동일하게 처리될 수도 있으므로,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에서는 최종 낙상이 판별되는 경우 각각 미리 설정된 응급 모드를 별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센서 정보 가공부(145), 낙상 판별부(170), 제어부(180), 응급 모드 처리부(19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에 카메라 또는 리시버가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검출하거나, 리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센서부(140)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개폐 상태,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방위,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부(140)는 예를 들어,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도 센서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고도를 센싱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3축 가속도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주위의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적용되는 중력 변화에 따른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디바이스가 기본 모드인 경우 기본 기능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낙상 감지에 따른 응급 모드인 경우, 응급 지원과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응급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응급 지원 요청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상기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이미지나, 진동 또는 소리 등으로 출력한다.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기본 기능에 대응하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낙상 감지에 연관된 기능에 대응하는 낙상 이벤트가 예시될 수 있다.
특히, 낙상 이벤트의 경우에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낙상 알림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낙상 감지와 연관되는 경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이벤트의 발생시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후술할 최종 낙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낙상 감지 및 응급 서비스 제공을 위한 낙상 감지 정보 및 상태 정보 등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 기능 동작을 위한 연락처, 인적사항 등의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센서 정보 가공부(145), 낙상 판별부(170) 및 응급 모드 처리부(190)의 제어에 따라, 정확한 낙상 판별 및 이에 따른 응급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센서 정보 가공부(145)는 낙상 감지를 위해 센싱부(140)로부터 수집되는 3축 가속도 센서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센서 정보 가공부(145)는 낙상 감지를 위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로서의 스마트폰과,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로서의 스마트 시계에 내장되어 있는 3축 가속도 센서를 각각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속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0ms)으로 사용자의 가속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판별부(170)는 상기 센서 정보 가공부(145)로부터 수집되어 가공되는 변수로부터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서 움직임의 변화량이 다르며 이로 인하여 수집된 가속도 정보가 다른 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낙상을 감지하기 위해서 센서 정보 가공부(145)는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가속도 X축, Y축, Z축 정보를 가공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일정 스텝 동안 누적된 신호벡터크기(SVM, Signal Vector Magnitude)의 현재 스텝과 이전 스텝간 차분절대값으로부터 차분신호벡터크기(SVMdiff)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기 수학식 1이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Figure pat00002
은 데이터 벡터로 사용하기 위해 변환된 수식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03
은 현재 측정된 가속도 센서 X축 값을,
Figure pat00004
은 이전에 측정된 가속도 센서 X축 값을,
Figure pat00005
은 현재 측정된 가속도 센서 Y축 값을,
Figure pat00006
은 이전에 측정된 가속도 센서 Y축 값을,
Figure pat00007
은 현재 측정된 가속도 센서 Z축 값을,
Figure pat00008
은 이전에 측정된 가속도 센서 Z축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 가공부(145)는 상기 차분신호벡터 크기 SVMdiff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초 단위로 적분한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ISVMdiff)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설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낙상 판별을 위한 제1 누적 변수로 예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상기와 같이 산출되는 차분신호벡터 크기 적분값(ISVMdiff)은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고, 낙상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신호벡터크기(SVM)값만을 단순적분하여 분석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고, 낙상을 판별하는데 있어 구체적이고 명확화된 값으로서, 이에 대한 차이는 도 3에서 설명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을 사용자 자세별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일반적인 신호벡터크기(SVM)값을 단순적분하여 추출해낸 신호벡터크기 적분(ISVM)을 이용해 값을 처리하는 그래프이다. 단순 ISVM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좌우로 몸을 흔들거나 허리를 돌리는 것과 같은 상태 움직임이 큰 경우 하체에 움직임이 전달되어 가속도 센서 정보의 SVM 과 ISVM이 큰 값을 가지게 되어 임계값을 낙상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a)는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측정하더라도 가속도 센서 정보의 SVM 과 ISVM 만으로는 낙상을 감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3(b)는 상체 움직임 없이 서 있는 상태, 상체 움직임이 있는 서 있는 상태, 걷는 상태의 차분신호벡터 크기 적분값(ISVMdiff)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서 있는 상태에서 상체 움직임이 있는 경우 도 3(a)와 같이 걷는 상태의 ISVM의 값은 구분하기가 어렵지만,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ISVMdiff)은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 점을 이용하여 서 있는 상태와 걷는 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c)는 걷는 상태와 달리는 상태의 ISVM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VM은 걷는 상태와 달리는 상태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낙상을 판별해 내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d)는 걷는 상태와 이동하는 상태의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ISVMdiff) 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ISVMdiff)을 이용하는 것이, 각 상태와 자세별 움직임을 구별하기 용이하며, 이를 통해 정확한 낙상을 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e)는 이에 따른,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ISVMdiff) 이용해 낙상 임계값을 유추해 내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ISVMdiff)으로부터 유추된 낙상 임계값은,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에서 낙상 여부를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낙상 판별부(170)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판별되는 낙상 정보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낙상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1차 낙상 판별부(171)는 센서 정보 가공부(145)에서 가공된 제1 누적 변수에 기초하여,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낙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차 낙상 판별부(171)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애등하는 상기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ISVMdiff)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1차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확도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상기 SVMdiff과 상기 ISVMdiff이 동시에 임계값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1차 낙상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2차 낙상 판별부(172)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2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낙상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2차 낙상을 판별할 수 있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도 동일한 센서 정보 가공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2차 낙상 판별부(172)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낙상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2차 낙상을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측정되는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여, 제2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차분신호벡터크기 적분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2차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2차 낙상 정보를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2차 낙상 판별부(172)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낙상 판별부(170)는 상기 1차 낙상 및 상기 2차 낙상이 일정 시간 이내에 이루어지는 경우, 최종 낙상 판별부(173)를 통해 낙상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낙상 판별부(170)는 1차 낙상이 판단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2차 낙상이 함께 판단되는 경우에 최종 낙상 판별부(173)를 통해 낙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낙상 판별부(173)는 낙상 모드로 전환하면, 최종 낙상 판단을 위한 낙상 이벤트 알람을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낙상 판별부(173)는 낙상 이벤트 알람을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여,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출력부를 통해 낙상 이벤트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최종 낙상 판별부(173)는 제한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알람 해제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최종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낙상 이후,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인 스마트폰과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인 스마트 시계에서 사용자의 낙상을 확인하기 위해 진동과 메시지 창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시지에서 낙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메시지를 끄는 입력을 처리하는 경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낙상 모드 이전 상태인 낙상 감지 대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만일 제한 시간 내에(예를 들어, 30초) 알람을 해제하지 않을 경우 최종 낙상 판별부(173)는 최종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낙상으로 판단된 경우, 낙상 판별부(170)는 낙상 판별 정보를 응급 모드 처리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급 모드 처리부(190)는 최종 낙상이 판별된 경우, 상기 낙상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에 대한 응급 지원을 위한 응급 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따른 미리 설정된 응급 모드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급 모드 처리부(190)는 인적사항 처리부, 외부 알림 처리부 및 환자 정보 공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와, 인접 단말 장치(400) 및 원격지 단말 장치(500)등으로 응급 지원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응급 모드 처리부(190)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통해 생성되는 긴급 요청 정보를 주변에 위치한 인접 단말 장치(400), 또는 네트워크상의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 또는 원격지 단말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에 있어서 응급 모드 처리부(190)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P2P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P2P 모드 전환에 따라 데이터 접근 제한이 해제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P2P 기능을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단말로 긴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이 예시될 수 있으며, NFC 모듈은 P2P 모드 이전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응급 데이터의 임의의 사용자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고, P2P 모드로 전환하면 접근을 해제하여 응급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하거나 인접 단말 장치(4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응급 모드 처리부(190)는 인적사항 처리부를 통해 사용자 인적 사항 및 연락처 등을 저장부(16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응급 모드 처리부(190)는 외부 알림 처리부를 통해 이를 이용한 응급 메시지 전송 등의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응급 모드 처리부(190)는 낙상 정보에 따라 판별되는 사용자 상태를 확인하고, 응급처치 알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을 이용하여 응급처치 방법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처치 방법정보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인접 단말 장치(400)로 전달되어 다른 주변 인접 단말 장치(400)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움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지원을 위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인적 사항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지원을 요청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낙상 발생에 따른 환자 정보를 공유하며, 응급 의료 지원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며, 응급 처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스마트 폰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시계상의 연락처 정보 및 개인 인적 사항이 저장된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지원을 요청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낙상 발생에 따른 환자 정보를 공유하며, 응급 의료 지원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응급 처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스마트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종 낙상이 판별되면, 상기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들이 미리 설정된 각각의 응급 모드로 동작하여 다양한 응급 지원을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각각의 센서부를 통해 제1 가속도 정보와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한다(S101).
그리고,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각각의 센서 정보 가공부를 통해, 상기 제1 가속도 정보 또는 제2 가속도 정보로부터 각 스마트 디바이스(100, 200)별 제1 차분신호벡터 적분값(ISVMdiff)과, 제2 차분신호벡터 적분값(ISVMdiff)을 가공하고, 각각의 낙상 판별부를 통해 각각의 차분신호벡터 적분값을 임계값과 비교한다(S103).
그리고,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낙상 판별부(170)는 상기 비교에 따라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1차 낙상이 판별되는지 판단한다(S105).
1차 낙상이 판별되는 경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낙상 판별부(170)를 통해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1차 낙상과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비교에 따른 2차 낙상이 판별되었는지 판단한다(S108).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은 전후 관계없이 1차 낙상과 2차 낙상간 시간 절대값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2차 낙상이 판별되는 경우,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자세 이상에 따른 낙상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낙상 경고 알림을 수행한다(S108).
이후, 제한 시간 이내의 사용자 입력여부에 따라,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의 낙상 판별부(170)는 최종 낙상을 판단한다(S109).
만약, 상기 S105, S107 또는 S109 단계에서 하나라도 낙상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다시 상기 S101 단계로 동작하는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최종 낙상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각각 응급 모드로 전환하여 응급지원 알림 및 응급처치 방법의 공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11).
전술한 바와 같이, 응급 지원 알림 치 응급처치 방법의 공유를 위해 다양한 기능 처리가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폰 디바이스인 경우, 스마트 폰의 문자 메시지 전송 기능, 구글 푸시 메시지 전송 기술, 애플 푸시 메시지 전송 기술 등을 이용하여 보호자, 담당 의료진, 119 대원 등에게 의료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송되는 정보에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무선 통신부(110)에서 수집된 GPS 위치 정보 및 낙상 판별부(170)에서 처리되는 사고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폰의 내장되어 있는 무선 통신부(110)의 NFC 모듈을 P2P 모드로 전환하고, NFC 모듈은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담당 의료진의 인접 단말 장치(400)로 사용자 신원 확인 정보, 낙상 응급처치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대기할 수 있다.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평상시에는 NFC 모듈의 P2P 모드에서 전송할 정보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임의의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을 제한하고, 최종 낙상으로 판별된 후에는 NFC 모듈의 P2P 기능을 이용하여 응급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응급 모드에 따라, 음향 출력 모듈(152)를 최대 출력으로 전환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 때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에는 낙상 환자의 2차 사고 발생이 예상될 수 있으니 환자와의 신체 접촉을 자제하고 소리가 나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NFC 모듈의 P2P 기능을 이용하여 보호자나 담당 의료진의 인접 단말 장치(400)가 신원 확인 정보, 낙상 응급처치 정보를 습득할 수 있음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파손을 우려하여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도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NFC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응급 데이터에 대응하는 QR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환자 정보 습득을 보조할 수 있다. QR 코드 이미지에는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300)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접 단말 장치(400)는 응급 지원 정보를 보관하는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스마트 시계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낙상 발생시 손이 위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와의 최소한의 신체 접촉 또는 신체 접촉 없이 정보 접근이 가능한 QR 코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다만, 함께 동작하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폰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QR 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무리한 신체 접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QR 코드 이미지 출력은 제한되고, NFC 기능만 동작하는 것이 예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제1 스마트 디바이스
200: 제2 스마트 디바이스
300: 응급 지원 서비스 서버
400: 인접 단말 장치
500: 원격지 단말 장치

Claims (18)

  1.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에 있어서,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1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가속도 정보를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2 가속도 정보를 제2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부터 1차 낙상이 판단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누적 변수를 이용한 2차 낙상이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낙상 알림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3축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수집된 상기 3축 가속도 정보를 일정 시간 단위로 적분하여 상기 제1 누적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누적 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1차 낙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일정 스텝 동안 누적된 신호벡터크기(SVM, Signal Vector Magnitude)의 현재 스텝과 이전 스텝간 차분절대값으로부터 차분신호벡터크기(SVMdiff)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SVMdiff을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에 따라 적분하여 산출되는 차분신호벡터크기적분(ISVMdiff, Intergral Signal Vector Magnitude)값을 상기 제1 누적 변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의 상기 SVMdiff과 상기 ISVMdiff이 동시에 임계값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1차 낙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낙상 알림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제한 시간동안 낙상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알람 해제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최종 낙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낙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생성되는 긴급 요청 정보를 주변에 위치한 전자 장치 또는 네트워크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낙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P2P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P2P 모드 전환에 따라 데이터 접근 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P2P 기능을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단말로 긴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시계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연락처 정보 및 개인 인적 사항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지원을 요청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낙상 발생에 따른 환자 정보를 공유하며, 응급 의료 지원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며, 응급 처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스마트 폰 디바이스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시계상의 연락처 정보 및 개인 인적 사항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지원을 요청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낙상 발생에 따른 환자 정보를 공유하며, 응급 의료 지원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무선 통신부; 및
    응급 처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시계 디바이스인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12.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1 가속도 정보를 제1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제2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제2 가속도 정보를 제2 누적 변수로 가공하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누적 변수로부터 1차 낙상이 판단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누적 변수를 이용한 2차 낙상이 판단된 경우, 낙상 알림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3축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수집된 상기 3축 가속도 정보를 일정 시간 단위로 적분하여 상기 제1 누적 변수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누적 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1차 낙상을 판단하는
    낙상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일정 사이클 동안 누적된 SVM(Signal Vector Magnitude)의 현재 사이클과 이전 사이클간 차분절대값으로부터 SVMdiff를 산출하며, 상기 SVMdiff을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에 따라 적분하여 산출되는 ISVMdiff(Intergral Signal Vector Magnitude)값을 상기 제1 누적 변수로 산출하는
    낙상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제한 시간동안 낙상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제2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알람 해제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최종 낙상으로 판단하는
    낙상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시계 기능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인
    낙상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최종 낙상으로 판단되면, 응급 모드로 전환하며, 연락처 정보 및 개인 인적 사항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지원을 요청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낙상 발생에 따른 환자 정보를 공유하며, 응급 의료 지원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며, 응급 처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2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최종 낙상으로 판단되면, 응급 모드로 전환하며, 스마트 시계상의 연락처 정보 및 개인 인적 사항이 저장된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지원을 요청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낙상 발생에 따른 환자 정보를 공유하며, 응급 의료 지원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응급 처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웨어러블 장치인
    낙상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KR1020160016531A 2016-02-12 2016-02-12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KR10180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31A KR101803359B1 (ko) 2016-02-12 2016-02-12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31A KR101803359B1 (ko) 2016-02-12 2016-02-12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041A true KR20170095041A (ko) 2017-08-22
KR101803359B1 KR101803359B1 (ko) 2017-11-30

Family

ID=5975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531A KR101803359B1 (ko) 2016-02-12 2016-02-12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35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437A (ko) * 2019-07-25 2021-02-04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 시스템
KR20210070611A (ko) * 2019-12-05 2021-06-15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그린케어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32662A (ko) * 2020-09-08 2022-03-15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2952B1 (ko) * 2021-07-02 2022-05-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07546A (ko) * 2018-11-01 2023-01-12 애플 인크.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US11605274B2 (en) 2018-11-01 2023-03-14 Apple Inc. Fall detection—audio looping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772B1 (ko) 2018-08-03 2021-04-16 서정호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8150A1 (en) 2014-02-25 2015-08-27 Gestln Time Inc. Smartwatch with a multi-purpose sensor for remote monitoring of a pat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546A (ko) * 2018-11-01 2023-01-12 애플 인크. 낙상 검출-오디오 루핑
US11605274B2 (en) 2018-11-01 2023-03-14 Apple Inc. Fall detection—audio looping
KR20210013437A (ko) * 2019-07-25 2021-02-04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 시스템
KR20210070611A (ko) * 2019-12-05 2021-06-15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그린케어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32662A (ko) * 2020-09-08 2022-03-15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2952B1 (ko) * 2021-07-02 2022-05-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상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359B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59B1 (ko)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US9787818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server
CA2923745C (en) Assist device and system
KR101341555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RU2685815C1 (ru) Способ реагирования на обнаружение па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638408B1 (ko) 낙상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모션 센서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낙상 감지 방법
KR20180057233A (ko)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CN104113618A (zh) 一种基于柔性屏幕的穿戴式监护设备
KR101427718B1 (ko) 이벤트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 및 전송하는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장치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US8325032B2 (en) Miniature life-saving device
KR101764816B1 (ko)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KR101535596B1 (ko) 사회적 취약자 및 일반인을 위한 스마트 액세서리
KR101525330B1 (ko)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101315863B1 (ko) 전자 발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범죄 예방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JP6191163B2 (ja) 見守り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40483A (ja) 所在検出システム
KR20150093034A (ko) 호신용 반지 및 그를 이용한 위험상황 관리시스템
KR20190051608A (ko) 스마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시스템
JP6388018B2 (ja) 安否確認装置、安否確認システム、安否確認方法、および、安否確認プログラム
KR20160127200A (ko) 웨어러블 카메라 기반의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0068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낙상 사고 관리 시스템
US112638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Singh et al. Implementation of safety alert system for elderly people using multi-sensors
KR20180078385A (ko)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KR20170139260A (ko)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