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740B1 -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740B1
KR100823740B1 KR1020060032966A KR20060032966A KR100823740B1 KR 100823740 B1 KR100823740 B1 KR 100823740B1 KR 1020060032966 A KR1020060032966 A KR 1020060032966A KR 20060032966 A KR20060032966 A KR 20060032966A KR 100823740 B1 KR100823740 B1 KR 10082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patient
dementia patient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658A (ko
Inventor
박건우
Original Assignee
박건우
박진우
엄두섭
김창섭
박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우, 박진우, 엄두섭, 김창섭, 박길홍 filed Critical 박건우
Priority to KR102006003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74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 내에서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을 검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치매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된 고유 정보를 전송하는 치매 환자 통신 단말;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치매 환자 통신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는 출입구 통신 단말; 및 상기 출입구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관련 주체에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032966
치매 환자, 출입, 검사, 배회, 근거리 무선 통신

Description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WANDERING OF A DEMENTIA PAT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출입구 영역에서의 리더기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첩 영역에서의 리더기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치매 환자 101, 201, 300, 400 : 전자 태그
110, 310 : 제1 영역 111, 121, 131 : 리더기
120, 320 : 제2 영역 130, 330 : 제3 영역
140 : 보호자 단말 150 : 경비실
160 : 지역 파출소 170 : 치매 관리 센터
200 : 아파트 단지 영역 210, 220, 230, 240 : 출입구
211, 221, 231, 241, 311, 321, 331, 410 : 리더기
420 : 경비실 단말 430, 500 : 치매 관리 센터 단말
440 : 네트워크 450 : 보호자 단말
460 : 안전 관리 업체 단말 510 : 메시지 수신부
520 : 메시지 처리부 530 : 제어부
540 :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550 : 전송 처리부
본 발명은 치매 환자에 대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영역 내에서 치매 환자의 출입 상황을 검사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령화되어 감에 따라 기억 장애를 수반하는 노인성 치매 환자 의 질병은 의학적,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치매환자들이 제일 먼저 호소하는 증상은 기억력 장애이다. 이러한 기억 장애가 심해지면 이름과 전화 번호들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며, 지적 능력에 문제가 발생하여 방향 감각이나 공간 인식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길을 자주 잃어 버리게 되거나 자주 다니던 길도 헤매게 되는 경우(즉, 배회 증세)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치매 환자가 자택에서 외부로 나갔을 때 방향 감각이 떨어져서 길을 잃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그 중 일부의 경우에는 보호자에 의하여 확인된 후에 가정으로 돌아가게 되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행방 불명 되어 보호자들이 치매 환자를 찾기 위해 많은 물적, 시간적 손실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보호자에게는 심한 정신적 피해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행방 불명 방지를 위하여 주로 치매 환자의 이름, 주소 등을 적은 띠나 배지(badge) 등을 손목이나 목걸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치매 환자를 발견한 사람이 연락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치매 환자가 인적이 드문 곳으로 갈 경우에는 연락할 수가 없게 되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특히, 치매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수단을 분실하는 경우 치매 환자는 자신의 주소지나 연락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가족을 찾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매 환자의 행방 불명 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발생시에 신속하게 실종신고 및 추적을 하면, 치매 환자의 이동 반경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발견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치매 환자를 찾기 위한 추적 인력의 부족과 무관심 또는 경찰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치매 환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치매 환자뿐만 아니라, 미아 또는 정신 질환자들도 가족들의 보호가 소홀한 상태에서 행방 불명 되는 경우가 빈발하며 시스템의 미숙으로 인하여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위성을 이용한 위치 파악 시스템이나 이동 통신을 이용한 위치 파악 시스템이 사용자의 위치 파악에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이동통신 가입자에게만 서비스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위치 추적 방식들은 실시간으로 추적 대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극히 제한된 경우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영역의 각 출입구에서 치매 환자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을 검사함으로써 치매 환자의 배회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의 영역으로 구분된 지역에서 각 영역별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치매 환자의 출입 상황을 검사하고, 각 단계별로 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함으로써 치매 환자의 배회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 내에서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을 검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치매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된 고유 정보를 전송하는 치매 환자 통신 단말;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치매 환자 통신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는 출입구 통신 단말; 및 상기 출입구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관련 주체에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매 환자 통신 단말은 전자 태그로 구성되고, 상기 출입구 통신 단말은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은 중첩된 다중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치매 환자가 상기 각 영역을 벗어날 때마다 차등적인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는, 환자 아이디 정보, 출입 시간 정보 및 출입문 위치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관련 주체는, 보호자 단말, 경 비실 단말 및 안전 관리 업체 단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 내에서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리더기에서 상기 치매 환자가 소지한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서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태그를 소지한 환자가 등록된 환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등록된 환자일 경우 치매 환자의 출입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경비실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비실 단말에서 기저장된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관련 주체로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치매 환자 배회 관리 방법에 대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매 환자의 배회에 대한 효과적인 배회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즉, 종래의 위치 추적 시스템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거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함으로 인해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고, 적용함에 있어 사생활 침해의 위험 부담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위치 추적에 따른 사생활 침해의 부담을 제거함과 동시에 치매 환자에 적합한 효과적인 관리 시스템으로서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한 출입 관리 방법을 적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치매 환자가 제한된 특정 영역을 벗어날 경우, 이에 대한 감지를 하여 즉각적으로 관련자들에게 통보함으로써 치매 환자가 배회하는 것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해당 영역의 출입구에 치매 환자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치매 환자가 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해당 영역을 벗어날 경우, 관련자들(예컨대, 보호자, 관리실, 안전 관리 업체, 파출소 등)에게 통보함으로써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출입구에서 치매 환자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방법 등 어떠한 방법도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출입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역(110. 120. 130)으로 구분된 지역에서 치매 환자(100)가 해당 영역을 벗어날 경우 이를 기등록된 보호자 단말(140), 경비 실(150), 안전 관리 업체(160) 등으로 통보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매 환자 관리를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치매 환자(100)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영역별로 출입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치매 환자(100)와 통신함으로 출입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에 따른 효과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 RFID 기술에 의한 통신 방법을 본 발명에 적용하게 된다.
RFID는 제품에 붙이는 태그(Tag)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자체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상기 정보를 읽고,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되는 활동, 또는 칩을 말한다. 즉, 상기 RFID 기술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소형 IC 칩을 사용하여 비접촉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기술로서, 사물의 위치 파악 및 경로 추적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품의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 RFID의 시스템은 안테나가 포함된 리더기, 무선 자원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RFID 태그(Tag)(이하, 전자 태그라 한다.) 서버 및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더기는 전자 태그에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고, 안테나는 정의된 주파수와 프로토콜로 상기 전자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며, 상기 전자 태그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RFID의 핵심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각 영역별 출입구에 상기 리더기들(111, 121, 131)을 배치하 고, 치매 환자(100)에는 상기 리더기들(111, 121, 131)과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전자 태그(101)를 몸에 부착 또는 소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치매 환자(100)가 각 영역별 출입구를 통과할 때마다, 상기 각 리더기들(111, 121, 131)에서 상기 치매 환자(100)가 소지한 전자 태그(101)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치매 환자(100)가 상기 해당 영역을 벗어난 것임을 감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각 영역별로 치매 환자(100)에 대한 관리 방법에 차등을 둘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영역(110)과 같은 좁은 지역(예컨대, 집안 내의 영역)을 벗어날 경우에는 보호자의 단말(140)에만 통보하고, 제2 영역(120)과 같은 보다 넓은 지역(예컨대, 아파트 단지)을 벗어날 경우에는 경비실(150) 등에까지 통보하고, 제3 영역(130)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을 배회하게 될 경우에는 각 주요 요소마다 설치된 리더기(131)에 의해 해당 위치를 파악하여 안전 관리 업체(160)(예컨대, 파출소 또는 사설 경비 업체 등)에 통보함으로써 치매 환자에 대한 단계적 배회 관리를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치매 관리 센터(170)를 구비하여 상기 치매 환자(100)에 대한 배회 관리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치매 관리 센터(170)에는 각 치매 환자(100)에 대한 각종 정보(예컨대, 사진 정보 등)를 관리하고, 치매 환자(100)의 배회 상황 발생 시 각 상황에 따라 각 관리 주체(즉, 경비실(150), 안전 관리 업체(160) 등)에 해당 치매 환자(100)에 대한 상세 정보와 배회 상황을 통보함으로써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경비실(150)에서는 치매 환자(100)에 대한 보호자 및 안전 관리 업체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즉각적 인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역별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출입구 영역에서의 리더기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아파트 단지와 같은 복수의 출입구(210, 220, 230, 240)로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각 출입구에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RFID의 리더기(211, 221, 231, 241))을 배치함으로써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즉, 치매 환자가 전자 태그(201)를 몸에 지닌 상태에서 C 출입구(230)를 통과하게 될 경우, 상기 C 출입구(230)에 설치된 RFID 리더기(231)에서 상기 전자 태그(201)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보호자, 관리실, 치매 관리 센터, 안전 관리 업체 등에 통보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가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첩 영역에서의 리더기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역(310, 320, 330)이 중첩된 지역에서 상기 각 영역의 출입구(312, 322, 332)에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RFID의 리더기(331, 321, 331))을 배치함으로써 치매 환자에 대한 단계별 출입 관 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즉, 치매 환자가 전자 태그(300)를 몸에 지닌 상태에서 제1 영역의 출입구(312)를 통과할 경우에는 기설정된 보호자의 단말(예컨대, 핸드폰)로 통보되고, 제2 영역의 출입구(322)를 통과할 경우에는 경비실의 단말로 통보되며, 제3 영역의 출입구(3320)를 통과할 경우에는 안전 관리 업체의 단말로 통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은 전자 태그(400), 하나 이상의 리더기(410), 경비실 단말(420), 치매 관리 센터 단말(430), 네트워크(440), 보호자 단말(450) 및 안전 관리 업체 단말(4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태그(400)를 소지한 치매 환자가 특정 영역의 출입구를 통과할 때,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각 리더기(410)가 상기 전자 태그(400)와 통신하여 식별한 후, 상기 식별 결과를 경비실 단말(4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경비실 단말(420)에서는 해당 치매 환자가 출입구를 통해 특정 영역을 벗어났음을 각 상황에 따라 관련 주체로 통보하게 된다. 즉, 상기 경비실 단말(420)에서는 네트워크(440)를 통해 치매 관리 센터 단말(430), 보호자 단말(450) 및 안전 관리 업체 단말(460) 등으로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44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리더기(410)에서 식별된 결과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비실 단말(420)로 전송되지 않고, 직접 치매 관리 센터 단말(4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치매 관리 센터에서 수신된 결과에 따라 각 다른 관련 주체들(즉, 경비실 단말(420), 보호자 단말(450), 안전 관리 업체 단말(460) 등)로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상황을 통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치매 관리 센터 단말(430)에서는 등록된 각 치매 환자들에 대한 신상 정보 및 사진 정보 등을 미리 저장한 후, 상기와 같은 상황 발생 시, 해당 치매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을 경비실 단말(420) 또는 안전 관리 업체 단말(46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영역을 벗어난 치매 환자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관리 센터 단말(500)은 메시지 수신부(510), 메시지 처리부(520), 제어부(530),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40) 및 전송 처리부(5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수신부(510)에서는 각 출입문에 설치된 리더기로부터 직접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리더기와 연결된 경비실 단말(42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는 치매 환자의 출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해당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각 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600)는 프리앰블(610), 환자 ID(620), 시간 정보(630), 위치 정보(640), 예비 영역(6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610)은 수신 메시지(600)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환자 ID(610)는 상기 치매 환자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시간 정보(630)는 치매 환자가 해당 출입구를 통과한 시간 또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위치 정보(640)는 치매 환자가 통과한 출입구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640)는 기설정된 코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역 코드(예컨대, 아파트 단지 등의 고유 코드)와 해당 지역의 출입구 코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시지 수신부(510)에서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600)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53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처리부(520)를 통해 기설정된 해당 치매 환자에 대한 관리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즉, 해당 치매 환자가 특정 영역의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기설정된 관련 주체들(즉, 경비실 단말(420), 치매 관리 센터 단말(430), 보호자 단말(450), 안전 관리 업체 단말(460) 등)에게로 메시지를 구성하여 통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처리부(520)에서는 상기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해당 치매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관련 주체들에게 통보하게 된다. 예컨대, 해당 치매 환자가 아파트 단지의 북쪽 출입문을 통과할 때 상기 환자의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통보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메시지 처리부(520)에서는 상기 치매 환자의 해당 출입문 통과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보호자 연락처를 검색하여, 상기 보호자의 단말로 치매 환자의 출입문 통과 정보 (예컨대, 환자 이름, 출입문 통과 시간, 출입문 위치 정보 등)를 단문 메시지(SMS 메시지) 등의 수단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시지 수신부(510)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상기 제어부(53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530)에서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52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처리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40)의 데이터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40)에는 환자 ID(710), 이름(720), 주소(730), 보호자 연락처(740) 및 환자 사진(750) 등의 치매 환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치매 환자의 출입문 통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정보들을 확인한 후, 기설정된 해당 조치들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보호자 연락처(740) 정보를 확인하고, 보호자의 단말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환자 사진(750) 정보를 안전 관리 업체 등에 전송하여 치매 환자를 찾게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치매 환자가 특정 영역의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리더기에서 상기 치매 환자가 소지한 전자 태그를 인식(S801)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더기에서는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태그를 소지한 환자가 등록된 환자인지를 판단(S802)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등록된 환자일 경우 치매 환자의 출입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경비실 단말로 전송(S803)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를 별도의 치매 관리 센터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경비실 단말에서는 기저장된 환자의 정보를 확인(S804)하고 치매 관리 센터 또는 보호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사실을 통보(S805)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안전 관리 업체에 상기 치매 환자의 사진을 전송함으로써 보호 요청을 수행(S806)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특정 영역에 대한 출입 여부만을 검사함으로써 치매 환자의 사생활을 보호함과 동시에 치매 환자의 배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매 환자가 이동하는 지역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이탈 여부에 따라 차등적으로 조치를 취함으로써 치매 환자에 대한 배회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 내에서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을 검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치매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된 고유 정보를 전송하는 치매 환자 통신 단말;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치매 환자 통신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는 출입구 통신 단말; 및
    상기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상기 출입구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출입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치매 환자의 배회를 관리하는 기저장된 연락 대상에게 상기 출입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을 하위영역이 상위영역에 내포되도록 중복 구성되고, 상기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은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각 영역의 출입구를 벗어날 때마다 상위 영역의 출입을 담당하는 상기 연락 대상에게 상기 출입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각 영역의 범위에 따라 상기 연락 대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구성된 영역 중 일부 영역 내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치매 환자 통신 단말이 인접한 경우 출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치매 관리 센터 단말에 송신하는 영역내 통신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은 상기 영역내 통신 단말의 출입 관련 메시지를 근거로 해당 영역의 출입을 담당하는 상기 연락 대상에게 연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는,
    환자 아이디 정보, 출입 시간 정보 및 출입문 위치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연락 대상은,
    보호자 단말, 경비실 단말 및 안전 관리 업체 단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5.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 내에서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매 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리더기에서 상기 치매 환자가 소지한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서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태그를 소지한 환자가 등록된 환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등록된 환자일 경우 치매 환자의 출입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치매 관리 센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치매 관리 센터 단말에서 기저장된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환자의 배회를 관리하는 기저장된 연락 대상에게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을 하위 영역이 상위 영역에 내포되도록 중복 구성되고, 상기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은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각 영역의 출입구를 벗어날 때마다 상위 영역의 출입을 담당하는 상기 연락 대상에게 상기 출입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각 영역의 범위에 따라 상기 연락 대상을 변경하여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중복 구성된 영역 중 일부 영역 내 기설정된 위치에 추가로 배치되며,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이 상기 리더기가 추가로 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연락 대상에게 상기 치매 환자의 위치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 환자의 출입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연락 대상은,
    보호자 단말, 경비실 단말 및 안전 관리 업체 단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한 출입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환자 아이디 정보, 출입 시간 정보 및 출입문 위치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배회 관리 방법.
  9. 삭제
KR1020060032966A 2006-04-11 2006-04-11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2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966A KR100823740B1 (ko) 2006-04-11 2006-04-11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966A KR100823740B1 (ko) 2006-04-11 2006-04-11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658A KR20070101658A (ko) 2007-10-17
KR100823740B1 true KR100823740B1 (ko) 2008-04-21

Family

ID=3881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966A KR100823740B1 (ko) 2006-04-11 2006-04-11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53A (ko) 2018-11-26 2020-06-03 폴스타헬스케어(주) 생체 정보에 기반한 치매환자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022B1 (ko) * 2017-08-04 2023-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의 이탈을 감지하는 시스템
KR102170255B1 (ko) * 2019-04-12 2020-10-26 (주) 경성테크놀러지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67A (ko) * 2004-07-29 2006-02-03 김주형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67A (ko) * 2004-07-29 2006-02-03 김주형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53A (ko) 2018-11-26 2020-06-03 폴스타헬스케어(주) 생체 정보에 기반한 치매환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658A (ko)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687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igning locations to devices
US8773266B2 (en) RFID tag reader station with image capabilities
KR20200047457A (ko)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20090010149A (ko) Rfid태그를 이용한 위치확인 시스템
KR100673234B1 (ko) Rfid를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195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audible tones tracking
JP2008107918A (ja) 移動体識別管理システム、カードリーダおよび移動体識別管理方法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3740B1 (ko)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052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nel accountability and tracking during public safety incidents
WO2021060565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行動管理装置
Pappu et al. RFID in hospitals: Issues and Solutions
CN106910264A (zh) 一种幼儿园门禁系统
RU2158444C2 (ru) Электронная контролирующая система/сеть
CN215643041U (zh) 一种婴儿防盗系统
KR102332667B1 (ko) 야외활동을 하는 아동의 실종 방지와 발열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CN113421399A (zh) 一种婴儿防盗系统
KR101954441B1 (ko) IoT 기반 노인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6163788A (ja) 入場者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JP2020004010A (ja) 迷子検知システム
JP2007086922A (ja) 来訪者在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来訪者在室管理方法
FR2862794A1 (fr) Systeme automatise permettant la tracabilite, la localisation, l&#39;identification et l&#39;authentification des personnes
KR20070073168A (ko)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11342074B1 (en) Patient identification using passive sensors
TW200937318A (en) Industrial safety track and regulation system utiliz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s signal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