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927B1 -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927B1
KR102340927B1 KR1020200113275A KR20200113275A KR102340927B1 KR 102340927 B1 KR102340927 B1 KR 102340927B1 KR 1020200113275 A KR1020200113275 A KR 1020200113275A KR 20200113275 A KR20200113275 A KR 20200113275A KR 102340927 B1 KR102340927 B1 KR 10234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visitor
information
lin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섭
김유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킷
Priority to KR102020011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비대면 플랫폼을 통해 티켓을 구매하고, 인증된 방문자의 확인대상정보를 통해 방문자의 전자 출입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증된 방문자정보 및 확인대상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DB서버를 통해 관리자 단말 및 외부 서버로 방문자정보 및 확인대상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문자 본인의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다중집합시설에 패드 등의 외부 단말기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방문자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방문자정보를 인증할 수 있어, 방문자의 이력을 확인 및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력을 감축할 수 있으며, 입장 전 감염병의 의심증상에 대한 확인을 거친 후 다중집합시설로 입장하게 되므로, 다중집합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중집합시설 방문자가 방문 이후 확진자로 판정되는 경우 해당 방문자의 방문 일자를 기준으로 접촉자로 분류될 수 있는 다수의 방문자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련시설로 전송할 수 있어, 지역사회에서의 감염병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집합시설 방문자에 대한 검역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다중집합시설에서 제공되는 문화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Non-face-to-face ticket purchase and visitor electronic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비대면 플랫폼을 통해 티켓을 구매하고, 인증된 방문자의 확인대상정보를 통해 방문자의 전자 출입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 감염병의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방역당국에서는 지역사회에서의 감염병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권고하고 있다. 이에 다중집합시설에서의 모임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코로나19 감염병의 확산이 수개월 이상 지속됨에 따라 다중집합시설에서의 모임을 모두 통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다중집합시설로부터 시작되어 크고 작은 규모로 지역사회에서의 감염병 확산이 진행된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사례 발생 시,'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다중집합시설에서 방역 지침을 어긴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시설을 고발 조치하고 확진자의 치료비용 자기 부담 등 구상권을 청구하게 되어 있어, 향후 이로 인한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중집합시설의 입장 전 방역 지침을 준수하기 위한 방문자 확인 절차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불어 상기 사례에서 집합시설의 방문자를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으며 접촉자 특정에 다소 시간이 소요되었던 선례가 있는 만큼,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지역사회에서의 감염병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안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의 전자 출입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시하여, K방역에 기초한 방문대장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K문화상품 및 K스타트업에서부터 전세계를 아우르는 문화 공연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7457호(2020.05.07. 공개)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7587호(2020.04.28.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대면 티켓 구매를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가 접촉하지 않고, 단말을 이용하여 티켓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구매한 티켓의 입장 관리를 통해 공연장 방문객 전자 출입 정보를 인증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연장을 촬영한 영상이 업로드 되는 페이지를 조회할 수 있는 링크를 구매함으로써, 비대면으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방문자 본인의 단말을 이용하거나 다중집합시설에 외부 단말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방문자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방문자정보를 인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집합시설의 방문자가 입장 전 감염병의 의심증상에 대한 확인을 거친 후 입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집합시설에 방문하는 방문자의 정보를 데이터화 하여 보관하고, 확진자 발생 시 방문자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련시설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증된 방문자정보 및 확인대상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DB서버를 통해 관리자 단말 및 외부 서버로 방문자정보 및 확인대상정보를 전송하고, 방문자 단말로 비대면티켓 결제링크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대면 티켓 구매를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가 접촉하지 않고 단말을 이용하여 티켓을 구매할 수 있으므로 감염병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문자 본인의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다중집합시설에 패드 등의 외부 단말기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방문자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방문자정보를 인증할 수 있어, 방문자의 이력을 확인 및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력을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장 전 감염병의 의심증상에 대한 확인을 거친 후 다중집합시설로 입장하게 되므로, 다중집합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집합시설 방문자가 방문 이후 확진자로 판정되는 경우 해당 방문자의 방문 일자를 기준으로 접촉자로 분류될 수 있는 다수의 방문자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련시설로 전송할 수 있어, 지역사회에서의 감염병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집합시설 방문자에 대한 검역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다중집합시설에서 제공되는 문화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공연 현장 게이트 입장 관리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방문자 단말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외부 단말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사전등록링크를 송부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비대면 티켓 결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비대면 티켓 사용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이 비대면 공연링크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미리 인증된 QR코드를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리자 단말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활용되는 분야를 "공연"이라 지칭하였으나, 이는 활용 분야를 간략히 지칭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시스템은 공연 외에 각종 문화행사 등 다수의 방문객이 모이는 행사라면 그 종류에 제한없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공연 현장 게이트(G) 입장 관리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공연장 입장 전 방문자가 방문자 단말(200)을 통해 DB서버(100)에 접속하여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하고, 구매한 비대면 티켓(T)을 통해 공연장에 입장하게 된다. 입장 시 게이트(G)에 구비된 안면인식 캠(C)을 통해 방문자 얼굴 인식을 진행하여 방문자 단말(200)에 미리 기록된 방문자의 얼굴 이미지와 매칭하고, 안면인식 캠(C)에 구비된 온도 센서(S)가 측정한 방문자 체온을 DB서버(100), 방문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300) 및 외부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자동으로 저장한다.
공연 현장에서 게이트(G)가 방문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일 실시예로, 게이트(G)는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한 방문자인 경우, 얼굴 인식 캠(C)으로 방문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비대면 티켓(T) 구매 시 DB서버(100)에 업로드한 얼굴 이미지와 일치 여부를 판별하고,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일정 기준 이하일 때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한 방문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다른 일 실시예로, 게이트(G)는 비대면 티켓(T) 구매 시 업로드한 얼굴 이미지를 변환한 QR코드를 방문자 단말기(200)로부터 인식하여, 공연 현장의 얼굴 인식 캠(C)이 인식한 방문자의 얼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일정 기준 이하일 때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하지 않았으나 확인대상정보(I)의 사전등록을 마친 방문자인 경우, 게이트(G)는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기(200)에 수신된 QR코드를 스캔하여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일정 기준 이하일 때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하는 방법 및 사전등록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은 DB서버(100), 방문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300) 및 외부 서버(400)로 구성된다.
DB서버(100)는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를 저장 및 처리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DB서버(100)는 QR코드 또는 방문자 단말(200)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수단을 통해 인증된 방문자정보(V)를 수신하는 수신부(110); 수신부(110)에 의해 인증된 방문자의 이름, 성별, 연령, 얼굴 사진, 연락처, 거주 지역, 의심 증상 및 해외방문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대상정보(I)를 입력하는 입력부(120); 수신부(110)에 수신된 방문자정보(V) 및 입력부(120)에 입력된 확인대상정보(I)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0);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및 전달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정보를 제어부(140)의 인가에 따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정보를 제어부(140)의 인가에 따라 방문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300) 및 외부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B서버(100)가 수신부(110)를 통해 방문자 단말(200)로부터 방문자정보(V)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한 방문자정보(V)의 인증이 확인되면 방문자 단말(200)에 입력되는 확인대상정보(I)를 DB서버(100)의 입력부(120)가 입력 받게 되고, 메모리부(130)에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가 저장된다.
확인대상정보(I)를 모두 입력한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200)에는 정보를 모두 입력했음을 인증하는 알림이 전송되며, 행사 장소의 입구에서 발열체크 등 최종 검사를 마친 후 방문자 단말(200)에 전송된 알림을 관리자에게 확인받아 입장하게 된다. 인증 알림에는 확인대상정보(I) 또는 방문자의 얼굴 사진을 변환한 QR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보다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수신부(110)에 의해 인증된 방문자의 동반자가 있는 경우 입력부(120)에 동반자의 확인대상정보(I)를 더 입력할 수 있어, 방문자 단말(200)을 소지하지 않은 동반자가 있는 경우에도 함께 확인대상정보(I)를 제공하고 입장할 수 있다.
DB서버(100)의 제어부(140)는 관리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관리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통신부(160)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를 외부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0)에 대한 일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관리자 단말(300)로만 디스플레이부(150)에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확인대상정보(I)를 조회할 수 있도록 상확인대상정보(I)의 조회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사전등록링크 생성모듈(141), 방문자정보 확인모듈(142) 및 링크 전달모듈(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40)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비대면티켓 생성모듈(144), 비대면공연링크 생성모듈(145) 및 비대면링크 전달모듈(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은, DB서버(100)의 수신부(110)가 QR코드 또는 방문자 단말(200)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수단을 통해 인증된 방문자정보(V)를 수신하고, 제어부(140)가 인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인증단계(S100); 수신부(110)가 수신한 방문자정보(V) 및 입력부(120)에 입력된 확인대상정보(I)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하는 수집단계(S200);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확인대상정보(I)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300) 및 DB서버(100)의 통신부(160)가 제어부(140)의 인가에 따라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방문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300) 및 외부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로 구성된다.
인증단계(S100)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어부(140)가 사전등록링크(L1) 및 방문자인증링크(L2) 중 적어도 하나를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사전인증단계(S110) 및 제어부(140)가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비대면결제단계(S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 및 확인대상정보(I)의 입력 여부에 따라 DB서버(100)의 디스플레이부(150)가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정보들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방문자 단말(200)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상단에 도시된 <A> 및 <B>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200)이 방문 장소의 현장 또는 온라인에 공개된 QR코드를 스캔한 후, 방문자 단말(200)의 번호 인증을 통해 방문자정보(V)를 인증하게 된다.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C>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200)의 화면에 이름, 성별, 의심 증상 및 해외방문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대상정보(I)를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되고, 입력 후 제출하게 되면 도 4의 <D>와 같이 방문자 단말(200)로 방문대장의 등록을 완료했음을 인증하는 알림이 전송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방문자는 확인대상정보(I)를 DB서버(100)에 업로드하는 사전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은 SNS메세지, 어플 또는 SMS메세지 등 방문자 단말(200)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방문자는 방문대장 등록 완료 알림을 현장에서 관리자에게 확인받거나, 공연 현장에 설치된 게이트(G)에 사전등록 완료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QR코드를 스캔하여 방문장소에 입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외부 단말(500)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상단에 도시된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은 방문자 단말(200)을 소지하지 않았더라도 방문장소의 현장 등에 구비된 외부 단말(500)을 통해 방문자정보(V)를 인증할 수 있다. 외부 단말(500)에는 행사의 명칭, 행사의 콘텐츠, 행사의 상세한 설명, 행사의 날짜 및 시간 및 행사의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행사정보(E)가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단말(500)에 출력된 행사정보(E)의 하단에는 광고가 게시될 수 있다. 게시되는 광고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행사에 참석한 방문자들의 관심사와 일치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이 방문자 단말(200)에 사전등록링크(L1)를 송부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선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B서버(100)의 제어부(140)는 사전등록링크 생성모듈(141), 방문자정보 확인모듈(142) 및 링크 전달모듈(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사전등록링크 생성모듈(141)은 행사정보(E) 및 행사정보(E)에 연결하는 사전등록링크(L1)을 생성하는 구성이며, 방문자정보 확인 모듈(142)은 사전등록링크(L1)를 전달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200)의 정보가 메모리부(130)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전등록링크(L1)에 QR코드 또는 방문자 단말(200)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수단에 연결하는 방문자인증링크(L2)를 생성하는 구성이고, 링크 전달모듈(143)은 사전등록링크(L1) 및 방문자인증링크(L2) 중 적어도 하나를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사전등록링크(L1)는 방문자가 미리 신청한 행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미리 신청하지 않은 행사라도 방문자의 광고성 알림 수신 동의 여부에 따라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방문자정보(V)를 통해 선정된 방문자의 관심분야에 해당하는 행사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200)에 전송된 사전등록링크(L1)를 통해 방문자는 사전에 확인대상정보(I)를 DB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200)의 정보가 메모리부(13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문자는 도 6의 <A>에 "휴대전화 인증"으로 도시된 방문자인증링크(L2)를 클릭하여 방문자정보(V)를 입력하게 된다. 방문자정보(V)가 확인되면, 방문자는 도 6의 <A>에 "방문일지 작성"으로 도시된 사전등록링크(L1)를 클릭하여 확인대상정보(I)를 DB서버(100)에 업로드함으로써 사전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비대면 티켓(T) 결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비대면 티켓(T) 사용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선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DB서버(100)의 제어부(140)는, 비대면티켓 생성모듈(144) 및 비대면링크 전달모듈(146)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비대면티켓 생성모듈(144)은 비대면 티켓(T) 및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생성하는 구성이고, 비대면링크 전달모듈(146)은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이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비대면링크 전달모듈(146)은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며,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통해 확인대상정보(I)의 입력 및 결제가 완료되면 방문자 단말(200)로 비대면 티켓(T)을 전달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200)에 전송된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통해 방문자는 사전에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할 수 있다. 방문자는 도 7의 <A>에 "공연티켓 결제"로 도시된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클릭하여 확인대상정보(I)를 입력한 후 결제를 진행하여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비대면 티켓(T)을 구매한 방문자에게 구매 완료 알림이 전송되며, 이 때 도 8의 <A>에 도시된 "티켓보기"와 같은 상세 페이지 확인을 통해 티켓을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본인이 사용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하기"를 선택한 경우, 방문자는 비대면 티켓(T) 결제 시 입력한 확인대상정보(I)를 재확인후 본인의 얼굴 사진을 업로드하고, 공연 현장의 게이트(G)에서 도 1에 선술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비대면 티켓(T)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이 비대면 공연링크(L4)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선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따른 DB서버(100)의 제어부(140)는, 비대면공연링크 생성모듈(145)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비대면공연링크 생성모듈(145)은 공연장을 촬영한 영상이 업로드 되는 페이지와 연결된 비대면 공연링크(L4)를 생성하는 구성하는 구성이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비대면링크 전달모듈(146)은 비대면 공연링크(L4)를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200)에 전송된 비대면 공연링크(L4)를 통해 방문자는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공연 스트리밍 페이지에 방문할 수 있다. 방문자는 도 9의 <A>에 "공연링크 결제"로 도시된 비대면 공연링크(L4)를 클릭하여 행사정보(E)를 확인한 후 결제를 진행하여 비대면 공연링크(L4)와 연동된 공연 스트리밍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다. 공연 스트리밍 페이지는 유튜브, 페이스북 등 스트리밍 사이트일 수 있으며, 플랫폼에 제한되지 않고 공연을 영상 또는 소리 등으로 관람할 수 있는 형태면 족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미리 인증된 QR코드를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은 최초 로그인 시 QR코드를 통해 방문자정보(V)를 인증 및 저장함으로써, 방문자가 시스템에 접속할 때 마다 방문자 단말(200) 또는 외부 단말(500)을 통해 방문자정보(V)를 인증하지 않고 미리 인증된 QR코드를 사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인증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상단에 도시된 <A> 및 <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300)에는 행사장소의 방문자 수, 방문자의 성비, 이름 및 휴대전화번호가 시각적으로 출력된다. 이 때, 방문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이름 및 휴대전화번호는 암호화되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하단에 도시된 <C> 및 <D>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300)은 DB서버(100)가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를 외부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리스트의 요청이 확인되면, DB서버(100)의 제어부(140)가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를 외부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신속한 신원 확인을 위해 외부 서버(400)에 전송되는 방문자의 이름 및 휴대전화번호는 복호화 되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DB서버
110 : 수신부 120 : 입력부
130 : 메모리부 140 : 제어부
141 : 사전등록링크 생성모듈 142 : 방문자정보 확인모듈
143 : 링크 전달모듈 144 : 비대면티켓 생성모듈
145 : 비대면공연링크 생성모듈 146 : 비대면링크 전달모듈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통신부
200 : 방문자 단말 300 : 관리자 단말
400 : 외부 서버 500 : 외부 단말
V : 방문자정보 I : 확인대상정보
E : 행사정보 T : 비대면 티켓
G : 게이트 C : 안면인식 캠
S : 온도 센서 L1 : 사전등록링크
L2 : 방문자인증링크 L3 : 비대면티켓 결제링크
L4 : 비대면 공연링크 S100 : 인증단계
S110 : 사전인증단계 S120 : 비대면결제단계
S200 : 수집단계 S300 : 출력단계
S400 : 전송단계

Claims (7)

  1. DB서버(100), 방문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300) 및 외부 서버(400)로 구성되는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B서버(100)는;
    QR코드 또는 상기 방문자 단말(200)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수단을 통해 인증된 방문자정보(V)를 수신하는 수신부(110);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인증된 방문자의 이름, 성별, 연령, 얼굴 사진, 연락처, 거주 지역, 의심 증상 및 해외방문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대상정보(I)를 입력하는 입력부(120);
    상기 수신부(110)에 수신된 방문자정보(V) 및 상기 입력부(120)에 입력된 확인대상정보(I)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0);
    상기 방문자정보(V) 및 확인대상정보(I)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및 전달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의 인가에 따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의 인가에 따라 상기 방문자 단말(200), 상기 관리자 단말(300) 및 상기 외부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자 단말(200)을 통해 상기 DB서버(100)에 접속하여 비대면 티켓(T)을 구매 또는 등록하고,
    구매 또는 등록한 상기 비대면 티켓(T)을 통해 공연장에 입장 시,
    게이트(G)에 구비된 안면인식 캠(C)을 통해 방문자 얼굴 인식을 진행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200)에 미리 기록된 얼굴 이미지와 매칭하며,
    상기 안면인식 캠(C)에 구비된 온도 센서(S)가 측정한 방문자 체온을 상기 DB서버(100), 상기 방문자 단말(200), 상기 관리자 단말(300) 및 상기 외부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자동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사전등록링크 생성모듈(141), 방문자정보 확인모듈(142) 및 링크 전달모듈(14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전등록링크 생성모듈(141)은 행사의 명칭, 행사의 콘텐츠, 행사의 상세한 설명, 행사의 날짜 및 시간 및 행사의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행사정보(E) 및 상기 행사정보(E)에 연결하는 사전등록링크(L1)를 생성하고,
    상기 방문자정보 확인 모듈(142)은 상기 사전등록링크(L1)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기 방문자 단말(200)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30)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전등록링크(L1)에 QR코드 또는 상기 방문자 단말(200)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수단에 연결하는 방문자인증링크(L2)를 생성하고,
    상기 링크 전달모듈(143)은 상기 사전등록링크(L1) 및 상기 방문자인증링크(L2)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300)로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확인대상정보(I)를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확인대상정보(I)의 조회권한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비대면티켓 생성모듈(144), 비대면공연링크 생성모듈(145) 및 비대면링크 전달모듈(1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대면티켓 생성모듈(144)은 상기 비대면 티켓(T) 및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생성하며,
    상기 비대면공연링크 생성모듈(145)은 공연장을 촬영한 영상이 업로드 되는 페이지와 연결된 비대면 공연링크(L4)를 생성하고,
    상기 비대면링크 전달모듈(146)은 상기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 및 상기 비대면공연링크(L4)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며,
    상기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통해 상기 확인대상정보(I)의 입력 및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200)로 상기 비대면 티켓(T)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20)에는,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인증된 방문자의 동반자가 있는 경우 동반자의 확인대상정보(I)를 더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5. DB서버(100)의 수신부(110)가 QR코드 또는 방문자 단말(200)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수단을 통해 인증된 방문자정보(V)를 수신하고, DB서버(100)의 제어부(140)가 인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인증단계(S100);
    상기 수신부(110)가 수신한 방문자정보(V) 및 입력부(120)에 입력된 확인대상정보(I)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하는 수집단계(S200); 및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상기 확인대상정보(I)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S100)는,
    상기 제어부(140)가 사전등록링크(L1) 및 방문자인증링크(L2)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사전인증단계(S110); 및
    상기 제어부(140)가 비대면티켓 결제링크(L3)를 상기 방문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비대면결제단계(S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B서버(100)의 통신부(160)가 상기 제어부(140)의 인가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방문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300) 및 외부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200113275A 2020-09-04 2020-09-04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34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75A KR102340927B1 (ko) 2020-09-04 2020-09-04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75A KR102340927B1 (ko) 2020-09-04 2020-09-04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927B1 true KR102340927B1 (ko) 2021-12-17

Family

ID=7903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275A KR102340927B1 (ko) 2020-09-04 2020-09-04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9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226A (ko) * 2018-12-17 2019-02-01 김덕수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07587B1 (ko) 2020-02-14 2020-05-07 김경덕 고객관리시스템
KR20200047457A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20200060577A (ko) * 2018-11-21 2020-06-01 주식회사 에스원 얼굴인증을 이용한 공연장의 티켓 예매 및 무 검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및 무검표 방법
KR102129267B1 (ko) * 2020-03-20 2020-07-02 주식회사 티킷 모바일 티켓의 입장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577A (ko) * 2018-11-21 2020-06-01 주식회사 에스원 얼굴인증을 이용한 공연장의 티켓 예매 및 무 검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및 무검표 방법
KR20190011226A (ko) * 2018-12-17 2019-02-01 김덕수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07587B1 (ko) 2020-02-14 2020-05-07 김경덕 고객관리시스템
KR102129267B1 (ko) * 2020-03-20 2020-07-02 주식회사 티킷 모바일 티켓의 입장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47457A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098B2 (en) System for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methods of use
US11042719B2 (en) Digital identity system
US11044087B2 (en) System for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methods of use
US10692085B2 (en) Secure electronic payment
US10594484B2 (en) Digital identity system
US20190188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nsumer Preferences, Consent and Permissions Management with Reward and Reputation Network for Enterprises Using a Blockchain Ledger
US202002110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cessing of applications
US20160104122A1 (en) Remote video conferencing system
AU2017100233A4 (en) Secure mobile contact system (smcs)
US20030154138A1 (en)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3480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rchant and personal transactions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KR102353926B1 (ko)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영 방법
US11503026B2 (en) Email address with identity string and methods of use
CN110866763A (zh) 一种基于区块链架构的购票系统
KR102340927B1 (ko)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80121122A (ko) 중고차 온라인 실명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894432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machine-readable codes
US11599872B2 (en) System and network for access control to real property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US117692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nd recording insurance claim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KR102340925B1 (ko) 코리아 컬쳐 게이트 제공을 위한 방문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
TR201808119A2 (tr) E-i̇mza ve blockchain katmanlarindan oluşan bi̇r ki̇şi̇ tanima yöntemi̇
KR101869489B1 (ko) 오퍼 행위를 승인하는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575516B2 (en) Mobile voting and voting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400985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ccess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JP5202223B2 (ja) ポイント書き換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