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218A -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8218A KR20180018218A KR1020160103319A KR20160103319A KR20180018218A KR 20180018218 A KR20180018218 A KR 20180018218A KR 1020160103319 A KR1020160103319 A KR 1020160103319A KR 20160103319 A KR20160103319 A KR 20160103319A KR 20180018218 A KR20180018218 A KR 201800182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care
- patients
- visit
- visi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27 Alzheim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966 Senile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4 immediate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은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환자에 대한 복수의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환자들을 그룹핑하여 임계 환자수의 그룹핑 대상 환자들을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와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 그룹과 한 명의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명의 연장과 빠른 고령화에 따른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장기 요양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인구는 차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15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에 따르면 장기요양급여 수급자 수는 2008년 제도 시행 첫해 14만9656명에서 8년 만인 지난해 47만5382명으로 3.2배 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 노인이거나 65세 미만이라도 치매 등 노인성 질병으로 6개월 이상 스스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보호관리, 목욕, 간호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장기 요양 시설은 2008년 1700개에서 지난해 5085개로 95.2% 늘었고, 장기 요양 수급자의 거주지를 찾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 기관은 2008년 6618개에서 2015년 1만2917개로 무려 199.1% 증가했다. 하지만 장기 요양 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 보호사는 29만4788명으로 1년 전(26만6538명)보다 10.6% 증가에 그쳤다. 노인 1명당 요양 보호사 0.62명이 활동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의 증가와 요양 보호사의 감소로 인해 요양 서비스의 질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요양 보호사의 평균 연령이 60세에 이를 만큼 종사자들의 고령화도 심각하다. 이는, 요양 시설에서 장애인 시설로 이직할 경우 같은 호봉 기준 100만 원을 더 받는 등 열악한 수가 구조가 원인이라는 지적이 있다. 전문가들은 요양 보호사들의 근로 환경은 양질의 서비스와 직결돼 있으므로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요양 보호사에 대한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인력 부족으로 인한 높은 노동 강도와 열악한 근무 환경 때문에 요양 보호사의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양 보호사 대다수가 낮은 임금, 업무의 난이도, 서비스 이용자 혹은 이용자 가족들의 비인격적인 태도 등으로 인하여 적지 않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요양 보호사에 의해 제공되는 요양 서비스를 질을 향상시키고 요양 보호사들의 처우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문 요양 보호사들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에게 동시에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환자가 용변, 식사 등과 같은 요양 보호사의 보호 관리가 필요한 때에 즉시 적절한 조처를 취하게 하며, 또한 위험 상황에서 빠른 조치를 통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하게 하며, 환자 및 주변에 있는 전담 방문 요양 보호사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방문 요양 보호사가 환자/보호자에게 필요한 방문 요양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정부 보조금의 한계로 제한적인 기간(일 4시간, 주 5일) 동안만 방문 요양 보호사에 의한 보호 관리가 가능하였지만 환자 그룹핑을 기반으로 같은 비용으로 환자가 일 8시간, 주5회 동안 보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은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환자에 대한 복수의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환자들을 그룹핑하여 임계 환자수의 그룹핑 대상 환자들을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그룹과 한 명의 전담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방문 요양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환자에 대한 복수의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환자들을 그룹핑하여 임계 환자수의 그룹핑 대상 환자들을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생성하고,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그룹과 한 명의 전담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문 요양 보호사들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에게 방문 요양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환자 또는 보호자가 전담 방문 요양 보호사의 도움 또는 보호 관리를 필요로 할 때에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즉시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환자가 위험 상황에서 빠른 조치를 통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하게 하며, 환자 및 전담 방문 요양 보호사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존의 서비스 가능한 시간보다 늘어난 시간(예를 들어, 하루 8시간) 동안 필요시 방문 요양 보호사가 환자/보호자에게 필요한 방문 요양 보호 서비스를 즉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문 요양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를 기반으로 한 환자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의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환자에 대한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를 기반으로 한 환자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의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환자에 대한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는 한 명의 환자가 하루 최대 4시간까지 방문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데, 주5일(통상 평일)에 일4시간씩 방문 요양 서비스를 받게 되면 총 비용이 대략 80~90만원 발생하고, 여기서 환자 보호자(또는 환자)가 총 비용의 15%인 10~15만원 정도를 직접 부담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환자가 방문 요양 서비스를 받는 시간도 길지 않고, 하나의 방문 요양 보호사가 하루 동안 2명의 환자에게만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므로, 방문 요양 보호사가 받을 수 있는 급여도 굉장히 낮은 수준이다. 또한, 실제적으로 4시간 동안 하나의 환자에 대한 계속적인 방문 요양 서비스의 제공은 불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방문 요양 보호사로 활동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방문 요양 보호사의 감소로 인해 환자들도 방문 요양 서비스를 받기가 더욱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문 요양 보호사에 대한 급여 처우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문 요양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문 요양 보호 시스템은 환자 보호자 장치(100), 방문 요양 보호사 장치(120),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보호자 장치(100)는 환자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로서 방문 요양 보호가 필요한 환자(예를 들어, 치매 환자, 거동 불가 환자 등)에 대한 정보(이하, 환자 정보)를 요양 보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환자 정보는 방문 요양 서비스를 받을 환자의 위치, 환자의 상태(환자의 장기 요양 등급, 환자의 병명, 병의 위중한 정도, 환자에게 필요한 방문 요양 관리 서비스, 환자의 시간별 움직임 여부, 환자의 맥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 요양 보호사 장치(120)는 방문 요양 보호사의 사용자 장치로서 방문 요양 보호사에 대한 정보(이하,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를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에 등록하고,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로부터 그룹핑된 환자 그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는 방문 요양 보호사의 프로필 정보, 방문 요양 보호사가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 요양 보호사는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를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방문 요양 보호사 장치(120)는 방문 요양 보호 서비스 서버(140)에 의해 그룹핑된 환자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방문 요양 보호사는 환자 그룹에 포함되는 환자들 사이를 필요에 따라 이동하면서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이전에 8시간 동안 2명의 환자 각각에게 4시간씩만 제공 가능했던 방문 요양 서비스가 8시간 동안 2명을 초과하는 환자(예를 들어, 3인의 환자)에게 필요시에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자가 1인 더 증가한 경우, 방문 요양 보호사가 받을 수 있는 급여도 150% 증가될 수 있고, 환자도 8시간 중 필요한 시간에 방문 요양 서비스를 요청하여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방문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는 방문 요양이 필요한 복수의 환자를 그룹핑하여 하나의 방문 요양사의 담당으로 매칭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요양 보호 서비스 서버(140)는 임계 거리(예를 들어, 100m~300m) 이내에 인접한 환자 3명을 그룹핑하여 환자 그룹을 생성하고 해당 영역에서 환자 그룹에게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할 수 있다. 환자 그룹과 방문 요양 보호사 간의 매칭 결과는 방문 요양 보호사 장치(120), 환자 보호자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인 환자 그룹핑 방법 및 방문 요양 보호사와 환자 그룹 간의 매칭 방법은 후술한다.
또한,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는 매칭 결과를 기반으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등록할 수 있다. 방문 요양 보호사 및 방문 요양 보호사에 의해 관리되는 환자 그룹은 하나의 환자 관리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고, 하나의 환자 관리 그룹에 포함되는 방문 요양 보호사 및 환자 그룹에 포함되는 환자 각각은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기반으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는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현재 상태 정보, 환자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는 환자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에 의해 전송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환자를 관리하는 방문 요양 보호사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환자 보호자 장치(100)로 환자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방문 요양 보호사는 호출 환자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는 환자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통해 수신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에 의해 전송된 환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환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을 벋어난 경우, 방문 요양 보호 서비스 서버(140)는 환자가 길을 잃은 것으로 판단하고, 환자/환자 보호자에게 추가적으로 확인 후, 복귀 서비스 제공자에게 연락하여 환자를 다시 원하는 장소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160)를 기반으로 한 환자 관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환자 관리를 위해 환자, 방문 요양 보호사,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 등이 착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시계와 같은 장치일 수 있고, 이러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기반으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환자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환자 그룹에 포함되는 방문 요양 보호사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 방문 요양 보호사에 의해 관리되는 환자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환자 각각이 착용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환자는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통해 방문 요양 보호사를 호출할 수 있고, 방문 요양 보호사는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통해 환자의 호출을 빠르게 알 수 있다. 또한,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방문 요양 보호사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 및/또는 방문 요양 보호사에 의해 관리되는 환자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결되어 환자/방문 요양 보호사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GPS 모듈은 환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는 실내에서 보다 정확한 환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60)를 기반으로 방문 요양 보호사 및 환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고, 상호간에 직접 연결되어 통신(예를 들어,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방문 요양 보호사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 간을 이동하면서 복수의 환자에게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문 요양 방식이 활용되는 경우, 환자가 방문 요양 보호사를 필요로 하는 시간에만 방문 요양 보호사를 호출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되, 환자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방문 요양 보호사가 수급하는 급여도 증가되므로, 방문 요양 보호사가 낮은 급여로 인해 방문 요양 보호 활동을 그만두는 경우가 감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를 기반으로 한 환자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를 기반으로 환자의 호출을 수신하고,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는 GPS를 기반으로 한 전화기 겸용 시계 또는 직통 전화 걸기, 환자 및 전담 요양 보호사의 위치 확인 추적, 검색 기능을 갖는 GPS 기능 휴대폰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환자(240), 방문 요양 보호사(220),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환자(240), 방문 요양 보호사(220),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 각각이 착용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각에 별도의 식별 정보를 부여할 수 있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240), 방문 요양 보호사(220),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 각각이 구분될 수 있다.
환자 그룹, 환자 그룹을 관리하는 방문 요양 보호사(220), 방문 요양 보호사(220)를 관리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는 하나의 환자 관리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그룹1(환자1, 환자2, 환자3)과 환자 그룹1(환자1, 환자2, 환자3)을 관리하는 방문 요양 보호사A, 방문 요양 보호사A를 관리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K는 하나의 환자 관리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하나의 환자 관리 그룹 내의 환자(240), 방문 요양 보호사(220),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 각각에 의해 착용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각 간의 통신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하나의 환자 관리 그룹 내의 환자(240), 방문 요양 보호사(220),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 각각에 의해 착용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각으로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고,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각은 결합 절차를 통해 상호 간에 직접 통신/간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환자(240)가 착용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방문 요양 보호사(220)가 착용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가 착용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로 표현된다.
환자(240)가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에 장착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환자(240)를 관리하는 방문 요양 보호사(220)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다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200)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다바이스(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로 환자(240)의 호출이 전달될 수 있다. 호출을 수신한 방문 요양 보호사(220)는 호출한 환자(240)를 방문하여 환자(240)에게 필요한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문 요양 보호사(220)는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 중 특정 환자에 의한 호출이 발생한 경우, 호출한 환자를 방문하여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환자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환자(예를 들어, 3인의 환자)(240)에게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문 요양 보호사(220)의 스케줄을 설정할 수도 있다. 3인의 환자(240)가 한 명의 방문 요양 보호사(220)에 의해 8시간(480분) 동안 관리되는 경우, 환자1명에 대해 160분의 전담 시간이 우선적으로는 할당될 수 있고, 중간에 호출이나 가변적인 상황에 의해 방문 요양 보호사(220)는 환자 사이를 이동하면서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환자 보호자 장치는 환자(240)에 대한 전담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전담 시간에는 방문 요양 보호사(220)가 기본적으로 해당 전담 시간을 할당받은 환자(240)에게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방문 요양 보호사(220)는 별도의 호출이 있는 경우, 전담 시간인 경우에도 다른 환자에게 이동하여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위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정 모듈이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방문 요양 보호사(22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호출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방문 요양 보호사(220)의 호출 환자에 대한 방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방문 요양 서비스 관리자는 호출을 받은 방문 요양 보호사(220)를 추가적으로 호출하여 방문 요양 보호사(220)에게 환자(240)에 의한 호출을 리마인드시켜줄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가 설정된 영역을 벋어나서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환자(240)의 설정된 영역 내의 복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매 환자의 경우, 잠시 길을 잃을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환자(240)는 호출을 통해 설정된 영역(예를 들어, 집)으로의 복귀를 요청할 수 있다. 복귀 서비스 제공자(260)는 설정된 영역의 외부에서 환자(240)에 의해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240)에게 접근할 수 있고, 환자(240)를 다시 설정된 영역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복귀 서비스 제공자(260)는 방문 요양 보호사(220)일 수도 있다.
복귀 서비스의 제공 전에 환자 보호자/환자에게 복귀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에는 생체 신호(호흡, 맥박,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는 생체 신호 정보를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생체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24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240)에게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환자(240)의 호출이 없더라도 환자(240)를 관리하는 방문 요양 관리사(220)를 호출하여 환자의 상태를 체크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의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를 하나의 방문 요양 보호사에게 매칭하기 위해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를 그룹핑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환자 정보에 포함되는 환자(3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환자(300)를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하나의 환자 그룹(350)에 포함되는 임계 환자수(예를 들어, 3명)를 기준으로 하나의 환자 그룹(350)이 임계 환자수의 환자(300)를 포함할 수 있도록 전체 환자를 그룹핑할 수 있다.
환자(300)에 대한 그룹핑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명의 환자(300) 각각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예를 들어, 100m 이내)인 경우에만 환자 그룹(350)을 형성하도록 환자 그룹핑이 수행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환자(300)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3명의 환자(300) 각각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예를 들어, 100m 이내)인 경우를 탐색할 수 있다. 임계 거리는 지도 상의 직선 거리를 고려할 수도 있으나, 실제 도로 상황을 고려한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환자(300)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환자(300)에 대한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고, 그룹핑된 환자 그룹(350)에 대해 그룹핑된 환자 그룹(350)의 위치로 방문 요양 서비스가 가능한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300)에 대한 그룹핑을 통해 환자 그룹(350)이 생성되고, 환자 그룹(350)에 포함되는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한 환자(300)들은 한 명의 방문 요양 보호사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복수의 환자(300)에 대한 그룹핑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환자에 대한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복수의 환자에 대해 보다 빠르게 환자 그룹을 형성하고, 보다 실제적으로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환자를 동일한 환자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환자 그룹핑을 위한 초기 영역으로 행정 구역이 예시적으로 개시되나, 행정 구역이 아닌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환자 그룹핑이 수행될 수도 있다. 행정 구역과 같이 전체 서비스 영역을 1차적으로 분할한 영역은 기준 서비스 영역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기준 서비스 영역은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재분할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환자들을 복수의 그룹핑 케이스로 그룹핑하고, 복수의 그룹핑 케이스 중 최대의 환자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핑 케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전체 서비스 영역을 행정 구역(기준 서비스 영역)을 기준으로 분할할 수 있고, 다시 행정 구역(기준 서비스 영역)은 생활권을 기준으로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지도 상에서 생활권을 고려하여 행정 구역을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행정 구역이 서초구인 경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서초구 내의 생활권을 고려하여 행정 구역을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생활권은 아파트 단지(400) 및 주택 건물 그룹(450)으로 일차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행정 구역 내의 상가 건물을 우선적으로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 내에서 아파트 단지(400) 및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 건물 그룹(예를 들어, 빌라, 단독 주택 등)(450)만의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우선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아파트 단지(400)를 기준으로 1차적인 하위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파트 단지(400)는 아파트 단지(400) 내의 아파트의 개수가 임계 개수(이하, 아파트 임계 계수) 이하인 경우, 아파트의 개수를 고려하여 아파트 단지(400) 주변의 복수개의 주택 건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임계 개수가 10개인 경우, 10개 이하의 아파트를 포함하는 아파트 단지(예를 들어, 5개의 동을 포함하는 아파트 단지)(400)는 아파트 단지(400)에 가장 인접한 주변의 복수개(예를 들어, 30개)의 주택 건물을 포함하여 하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하위 서비스 영역에 포함될 주택의 개수는 아파트 단지(400) 내에서 포함된 아파트의 개수(예를 들어, 5개) 중 아파트 임계 개수(예를 들어, 10개)에서 모자란 아파트의 개수(예를 들어, 5개)에 미리 설정된 계수(예를 들어, 6)을 곱한 수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방문 요양 서비스를 위한 하위 서비스 영역 간의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받을 대상 환자의 수가 유사한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아파트의 개수가 아파트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아파트 단지(400)는 복수개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개의 아파트를 포함하는 아파트 단지(400)인 경우, 아파트 임계 개수인 10개를 기준으로 하나의 아파트 단지(400)가 3개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30개의 아파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아파트 단지(400)를 3개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해 하나의 아파트 단지(400) 내부에 배치된 아파트 간의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최단 거리로 이동 가능한 10개의 아파트를 그룹핑하여 하나의 아파트 단지(400)를 3개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아파트 단지(400)를 기준으로 한 1차적인 하위 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류 이후 아파트를 제외한 나머지 주택 건물 그룹(450)을 기준으로 하위 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택 건물 그룹(450)에서는 아파트 단지(400)에서 하위 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리를 위해 미리 설정된 아파트 임계 개수(예를 들어, 10개)에 미리 설정된 계수(예를 들어, 6)를 곱한 수에 해당하는 복수의 주택 건물이 하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주택 건물 그룹(450)에서 하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되는 복수의 주택 건물의 수(예를 들어, 60개)는 주택 건물 임계 개수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주택 건물에 대한 분류를 위해 복수의 주택 건물에 대한 그룹핑을 수행하여 주택 건물 그룹(450)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주택 건물에 대한 그룹핑은 일정 크기 이상의 도로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선 이상의 도로를 기준으로 분리되지 않는 구획에 위치한 복수의 주택 건물은 주택 건물 그룹(450)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제1 주택 건물 그룹 내부에 주택 건물 임계 개수(예를 들어, 60개의 주택 건물) 이하의 주택 건물(예를 들어, 50개의 주택 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주택 건물 그룹과 인접한 제2 주택 건물 그룹 내에서 제1 주택 건물 그룹과 가장 인접한 주택 건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하나의 하위 서비스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주택 건물의 수는 주택 건물 임계 개수를 만족시키기 위한 개수일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는 제2 주택 건물 그룹 내에서 제1 주택 건물 그룹과 인접한 10개의 주택 건물이 추가적으로 선택되어 하나의 하위 서비스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반대로,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제1 주택 건물 그룹 내부에 임계 주택 건물 수를 초과하는 주택 건물(예를 들어, 80개의 주택 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주택 건물 그룹 내에서 다른 주택 건물 그룹(예를 들어, 제2 주택 건물 그룹)과 인접한 20개의 주택 건물을 제외한 60개의 주택 건물이 하나의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선택될 수 있다. 20개의 주택 건물은 이후에 제2 주택 건물 그룹에 포함되는 주택 건물과 합쳐져서 다시 하위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하위 서비스 영역 분할 방식으로 통해 하위 서비스 영역 별로 환자를 그룹핑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환자 그룹을 결정할 수 있고, 최대한 동일한 생활권 영역에 그룹핑된 환자들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서 환자 그룹핑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하위 서비스 영역이 설정되고, 하위 서비스 영역 각각에서 위치한 환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에 대한 그룹핑이 수행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하위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환자의 수가 임계 환자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환자의 수가 임계 환자수 미만인 경우, 하위 서비스 영역에 인접한 인접 하위 서비스 영역을 위한 후보 환자로서 환자에 대한 그룹핑이 보류될 수 있다. 이후 인접 하위 서비스 영역에 대한 환자 그룹핑시 후보 환자가 인접 하위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환자와 함께 환자 그룹핑을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반대로,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환자의 수가 임계 환자수 이상인 경우, 해당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서 환자에 대한 그룹핑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환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환자 중 임계 환자수(예를 들어, 3명)의 환자가 임계 거리 이내로 위치하여 환자 그룹핑의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임계 환자수(예를 들어, 3명)의 환자가 임계 거리 이내로 위치하여 그룹핑이 가능한 경우, 최대로 많은 환자 그룹이 나오도록 임계 환자에 대한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를 참조하면, 10명의 환자(환자1 내지 환자10)가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고, 10명의 환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최대한 많은 환자 그룹이 나오도록 임계 환자에 대한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가 되도록 하기 위한 그룹핑 방법을 기반으로 환자 그룹1(환자1, 환자5, 환자 6)(510), 환자 그룹2(환자3, 환자4, 환자7)(520)가 그룹핑되어 10명의 환자 중 2개의 환자 그룹이 나올 수 있다.
또는 도 5의 (b)를 참조하면, 환자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가 되도록 하기 위한 그룹핑 방법을 기반으로 환자 그룹1(환자1, 환자5, 환자 6)(550), 환자 그룹2(환자3, 환자4, 환자8)(560), 환자 그룹3(환자 2, 환자 7, 환자9)(570) 가 그룹핑되어 10명의 환자 중 3개의 환자 그룹이 나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3개의 환자 그룹(550, 560, 570)을 생성하는 두 번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하나의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서 임계 거리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되, 최대한 많은 수의 환자 그룹이 생성될 수 있도록 환자를 그룹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룹핑 후 남은 환자는 이후 인접 하위 서비스 영역에 대한 환자 그룹핑시 후보 환자로서 환자 그룹핑을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그룹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서 최대 환자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환자의 수가 임계 환자수 이상인 경우, 해당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서 환자에 대한 그룹핑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위 서비스 영역 내에서 환자 간의 거리를 표현하는 거리 표현 지도 상에서 환자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거리 표현 지도 상에서 복수의 환자 중 그룹핑이 불가능한 환자(600)를 제외하기 위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다른 환자와도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은 환자는 그룹핑이 불가능한 환자(600)로 분류될 수 있고, 그룹핑이 불가능한 환자(600)는 그룹핑 절차에서 제외될 수 있다.
하위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전체 복수의 환자 중에서 복수의 그룹핑이 가능한 환자(이하, 그룹핑 가능 환자) 각각은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환자들과 연결될 수 있고, 하위 서비스 영역은 이러한 연결이 끊어진 부분을 기초로 분할 하위 서비스 영역(610, 620, 63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상호 간에 그룹핑이 불가한 경우를 배제하여 분할 하위 서비스 영역(610, 620, 630)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환자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없는 그룹을 배제하고, 그룹핑이 불가한 경우의 수를 최소화하여 그룹핑 연산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하위 서비스 영역은 분할 하위 서비스 영역(610, 620, 630)으로 분할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분할 하위 서비스 영역(610, 620, 630) 각각에서 환자에 대한 그룹핑 절차를 수행하여 분할 하위 서비스 영역(610, 620, 630) 각각에서 최대한 많은 환자 그룹이 생성되는 경우를 선택하고, 환자 그룹핑을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서는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방문 요양 보호사 장치/환자 관리 웨어러블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환자에 대한 복수의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700).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환자들을 그룹핑하여 임계 환자수의 그룹핑 대상 환자들을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710).
복수의 환자 정보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환자 그룹은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환자 중 임계 거리 내에 임계 환자수의 환자들이 위치한 경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환자 정보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환자 그룹은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 각각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은 전체 서비스 영역을 분할한 기준 서비스 영역을 분할한 영역이고,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은 기준 서비스 영역에서 상업 건물을 제외한 후 수행된 아파트 단지를 기준으로 한 1차적인 분류 및 아파트 단지를 제외한 주택 단지를 기준으로 한 2차적인 분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 그룹과 한 명의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할 수 있다(단계 S720).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핑 대상 환자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과 상기 방문 요양 보호사를 위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730).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및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 각각은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은 호출 신호 및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고,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지시된 위치가 설정 영역의 외부인 경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중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에 대응되는 환자에 대한 복귀 요청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과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74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방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환자별 등급 정보(예를 들어, 치매 환자 등급 정보)가 환자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을 기반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개인 정보(주소 이름 등)가 방문 요양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환자를 보호하는 방문 요양 보호사(또는 전담 요양 보호사)에 대한 정보(사진, 이름, 주소 연락처 등)가 방문 요양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방문 요양 보호사의 위치는 특정 시간 구간(예를 들어, 매일 오전9:00부터 오후 5;00 시까지) 동안 매 30분 단위로 확인된 위치가 기록될 수 있다. 방문 요양 보호사의 위치는 일자별로 검색이 가능하고 방문 요양 보호사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1년간 보존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문 요양 보호사는 매 30분 또는 매 시간당 자기가 관리하는 환자의 근처에 있는 센서에 방문 요양 보호사가 가지고 있는 태그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받고, 일과가 끝난 후 자기가 속한 재가 센터를 방문하여 매일 태그를 기반으로 기록된 자기가 담당한 환자당 실제 봉사한 시간을 확인받아 일당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일과 후 평균 이동 시간을 포함하여 퇴근까지 긴 시간이 걸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 요양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매30분당 방문 요양 보호사의 위치 및 이동에 관련된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기록하고, 일자별, 환자별 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방문 요양 보호사가 매일 서비스 종료 후 자신이 속한 재가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재가 센터에서 스스로 각 방문 요양 보호사의 그 날 또는 기간당 각 환자별 각 방문 요양 보호사의 위치 확인이 되게 되어, 방문 요양 보호사가 불필요하게 재가 센터를 방문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방문 요양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환자당 주보호자가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고, 채팅 기능이 제공되어 실시간 보호자, 전담 요양 보호사, 재가 센터 관리자 간의 채팅이 가능하고, 채팅 기록은 보존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방문 요양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바로 환자의 주보호자, 방문 요양 보호사, 재가 센터 및 꺄르르 콜센터로의 전화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은,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환자에 대한 복수의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환자들을 그룹핑하여 임계 환자수의 그룹핑 대상 환자들을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그룹과 한 명의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핑 대상 환자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과 상기 방문 요양 보호사를 위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과 상기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및 상기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 각각은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은 호출 신호 및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는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지시된 위치가 설정 영역의 외부인 경우,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중 상기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에 대응되는 환자에 대한 복귀 요청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그룹은 상기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환자 중 임계 거리 내에 상기 임계 환자수의 환자들이 위치한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그룹은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 각각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은 전체 서비스 영역을 분할한 기준 서비스 영역을 분할한 영역이고,
상기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은 상기 기준 서비스 영역에서 상업 건물을 제외한 후 수행된 아파트 단지를 기준으로 한 1차적인 분류 및 상기 아파트 단지를 제외한 주택 단지를 기준으로 한 2차적인 분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방문 요양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환자 보호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환자에 대한 복수의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환자들을 그룹핑하여 임계 환자수의 그룹핑 대상 환자들을 포함하는 환자 그룹을 생성하고,
방문 요양 보호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그룹과 한 명의 방문 요양 보호사를 매칭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그룹핑 대상 환자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과 상기 방문 요양 보호사를 위한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를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과 상기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및 상기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 각각은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각각은 호출 신호 및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현되고,
상기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방문 요양 보호사)는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지시된 위치가 설정 영역의 외부인 경우, 상기 복수의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 중 상기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 환자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환자)에 대응되는 환자에 대한 복귀 요청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그룹은 상기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환자 중 임계 거리 내에 상기 임계 환자수의 환자들이 위치한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자 정보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그룹은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 각각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은 전체 서비스 영역을 분할한 기준 서비스 영역을 분할한 영역이고,
상기 복수의 하위 서비스 영역은 상기 기준 서비스 영역에서 상업 건물을 제외한 후 수행된 아파트 단지를 기준으로 한 1차적인 분류 및 상기 아파트 단지를 제외한 주택 단지를 기준으로 한 2차적인 분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요양 서비스 서버.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3319A KR101970011B1 (ko) | 2016-08-12 | 2016-08-12 |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3319A KR101970011B1 (ko) | 2016-08-12 | 2016-08-12 |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8218A true KR20180018218A (ko) | 2018-02-21 |
KR101970011B1 KR101970011B1 (ko) | 2019-04-18 |
Family
ID=6152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3319A KR101970011B1 (ko) | 2016-08-12 | 2016-08-12 |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001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3048B1 (ko) * | 2020-01-15 | 2021-04-21 | 주식회사 에스비시스템즈 | 웨어러블 시스템 |
KR20220046015A (ko) * | 2020-10-06 | 2022-04-14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틀니/보철물의 소독·관리가 가능한 구강케어서비스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7468B1 (ko) * | 2021-10-26 | 2022-04-15 | 주식회사 강한손 | 시각장애인용 이료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39639A (ko) * | 2012-11-14 | 2012-12-27 | 나인성 |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
KR20160025698A (ko) * | 2014-08-27 | 2016-03-09 | 주식회사 다울지오인포 |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KR20160038617A (ko) * | 2014-09-30 | 2016-04-07 | 주식회사 지케어 |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
-
2016
- 2016-08-12 KR KR1020160103319A patent/KR1019700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39639A (ko) * | 2012-11-14 | 2012-12-27 | 나인성 |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
KR20160025698A (ko) * | 2014-08-27 | 2016-03-09 | 주식회사 다울지오인포 |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KR20160038617A (ko) * | 2014-09-30 | 2016-04-07 | 주식회사 지케어 |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3048B1 (ko) * | 2020-01-15 | 2021-04-21 | 주식회사 에스비시스템즈 | 웨어러블 시스템 |
KR20220046015A (ko) * | 2020-10-06 | 2022-04-14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틀니/보철물의 소독·관리가 가능한 구강케어서비스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0011B1 (ko) | 2019-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6104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patient appointments | |
KR101398383B1 (ko) |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 |
US2017002453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near-real or real-time contact tracing | |
KR20200047457A (ko) |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 |
US10805767B2 (en) | Method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a resident within a facility | |
KR20170053145A (ko) |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 |
KR101970011B1 (ko) |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US20150379441A1 (en) | Shared asset management system | |
Bryant et al. | IoT and smart city services to support independence and wellbeing of older people | |
WO2022034572A1 (en) | Methods and systems of prioritizing treatments, vaccination, testing and/or activities while protecting the privacy of individuals | |
US1047532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teraction between monitored population and unmonitored population | |
US20180144567A1 (en) | Inaudible Tones Used for Security and Safety | |
US2022000800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Tracking Infected Individuals | |
US20230205928A1 (en) | Data management system to track and distribute public data collection with user privacy protection and event token exchange | |
JP6981577B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100066541A1 (en) | Interaction analyzer | |
Agarwal et al. | Infection risk score: Identifying the risk of infection propagation based on human contact | |
Kumar et al. | A framework of real-time wandering management for person with dementia | |
KR102510180B1 (ko) |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 |
US20130325495A1 (en) | Enhanced automat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for tracking healthcare activities | |
KR20160042343A (ko) |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 |
US20230293010A1 (en) | Non-face-to-face body temperature change management platform service system and method | |
JP6945613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US20210280303A1 (en) | Health care facility monitoring system | |
Ismail et al. | Agent-mediation in radt framework for self-quarantine monito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