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639A -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639A
KR20120139639A KR1020120128691A KR20120128691A KR20120139639A KR 20120139639 A KR20120139639 A KR 20120139639A KR 1020120128691 A KR1020120128691 A KR 1020120128691A KR 20120128691 A KR20120128691 A KR 20120128691A KR 20120139639 A KR20120139639 A KR 2012013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herapist
terminal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699B1 (ko
Inventor
나인성
Original Assignee
나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성 filed Critical 나인성
Priority to KR102012012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69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639A/ko
Priority to US14/020,977 priority patent/US2014013622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699B1/ko
Priority to CN201310572067.8A priority patent/CN10381066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Bioet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사회 연결망을 이용하여 각 질병에 대한 환자 그룹과 해당 질병에 대한 치료자 그룹을 형성하여, 각 그룹을 매칭하여 질병에 대한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는 환자 단말;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는 치료자 단말; 및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매칭시켜 관리하되,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질병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중 해당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상기 치료자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그룹 데이터 중 해당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매칭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치료자 단말을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주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MATCHING SYSTEM BETWEEN PATIENT AND CURER ON ON-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화 의료(Personalized medicine) 시대의 도래에 따라 온라인 사회 연결망(Social Network)을 이용하여 환자와 치료자를 매칭하여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는 불충분한 치료비, 그리고 질병에 대한 불충분한 연구 자금으로 인한 연구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의학적 치료를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의학적 치료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의약품을 생산하는데 있어, 현재의 의약품 생산 체제가 대량 생산에 기초하고 있고, 그에 따라 FDA와 같은 심의기관의 규제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대의 생물-의학적 과학(Biomedical science)의 발전은 개인화 의료 시대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세포 치료와 유전자 치료의 시도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전체 과학(Genome science)의 발달은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개인화 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더불어, 현대의 정보기술 발달은 다양한 사회 연결망을 제공하여 개인 또는 단체가 서로 손쉽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 연결망을 통하여 기존의 환자가 겪던 불편함을 해소하고 치료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다 협력적이고 효율적인 개인화 의료 시스템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사회 연결망을 이용하여 각 질병에 대한 환자 그룹과 해당 질병에 대한 치료자 그룹을 형성하여, 각 그룹을 매칭하여 질병에 대한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부, 회사, 연구기관 등의 참여를 도모하여, 질병에 대한 치료 자금이 부족한 환자와 질병 치료를 위한 연구 자금이 부족한 치료자에게 치료 및 연구 기회의 혜택을 부여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의료 서비스의 의사 의존성, 기술 제약성, 지리 제약성, 의약품 대량생산 체제에 대한 규제기관의 심의과정에 따른 시간 제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은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는 환자 단말;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는 치료자 단말; 및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매칭시켜 관리하되,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질병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중 해당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상기 치료자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그룹 데이터 중 해당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매칭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치료자 단말을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과 치료자 단말로부터 환자 개인정보와 치료자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인증후 관리하는 가입회원 관리부;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치료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정보를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상대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치료자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제2 그룹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매칭 기준에 의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데이터 매칭부; 상기 데이터 매칭부의 데이터 매칭시 상기 제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제2 그룹 데이터의 중요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데이터 그룹을 추천하는 데이터 매칭 추천부;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을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주는 단말 연결부;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와 질병 관련 정보, 상기 치료자의 개인 정보와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 및 상기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외부 정보 제공 서버와 제휴되어,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 및 상기 각각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환자 단말, 상기 치료자 단말, 상기 데이터 매칭 추천부, 상기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로부터의 추가 자료 입력시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환자의 신체 정보와 거주 지역 정보를 추가로 등록받아 상기 제1 그룹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신체 정보와 거주 지역 정보 별로 그룹화하는 제3 그룹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연결부는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이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접속되면, 소정의 치료방을 제공하는 치료방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는 질병 이력 정보 및 유전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는 연구 분야 정보, 연구 이력 정보, 논문 리스트 정보 및 학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의 구동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운영자는 모든 구동에 직접 관여하여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질병에 대하여 환자와 치료자 간의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여 치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회 각 기관의 참여를 유도하여 질병 치료 및 연구에 필요한 자금 지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의료 서비스의 각종 제약적 성격을 극복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 및 3b는 매칭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매칭되는 동작과,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동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3a 및 3b는 매칭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매칭되는 동작과,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은 환자 단말(10), 치료자 단말(20) 및 매칭 서비스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단말(10)은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30)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다. 즉, 상기 환자 단말(10)은 각 환자가 매칭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개인 정보 및 질병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치료자 단말(20)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즉,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매칭 서비스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자 단말(10)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단말(1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치료자 단말(20)은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30)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다. 즉, 상기 치료자 단말(20)은 각 치료자가 매칭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치료자 정보와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환자 단말(10)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즉,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매칭 서비스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치료자 단말(20)은 병원 서버일 수 있으나,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사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치료자 단말(2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자 단말(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30)는 환자 단말(10) 및 치료자 단말(20)과 각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서비스 사업자가 별도로 구축하여 환자 단말(10), 치료자 단말(20) 및 외부 정보 제공 서버(40)와 연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30)는 환자 단말(10)로부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와, 치료자 단말(20)로부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후술하는 데이터 매칭부(350)에서 매칭시켜 관리하거나 또는 매칭 전의 데이터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데이터 저장부(370)에서 관리한다. 또한,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30)는 환자 단말(10)로부터 질병 정보가 제공되면 제1 그룹 데이터 중 해당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치료자 단말(20)로 전송함과 동시에, 제2 그룹 데이터 중 해당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환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서비스 서버(30)는 환자 단말(10)과 환자 단말(10)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20)을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30)는 가입회원 관리부(310), 데이터 통신부(320),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330),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340), 데이터 매칭부(350), 데이터 매칭 추천부(355), 단말 연결부(360), 데이터 저장부(370),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회원 관리부(310)는 환자 단말(10)과 치료자 단말(20)로부터 환자 개인정보와 치료자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인증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가입회원 관리부(310)는 각 환자 단말(10) 또는 치료자 단말(20)로부터 회원 가입 요청을 받고, 회원 가입 시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70)에 저장함으로써 회원 등록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가입회원 관리부(310)는 회원 가입된 각 환자 또는 치료자에 대해 로그인 요청 시 데이터 저장부(37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320)는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환자 단말(10)과 치료자 단말(20)과 연결되어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와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정보를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정보를 환자 단말(10)과 치료자 단말(20)에 전송한다.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330)는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330)는 복수의 환자별 질병 관련 정보를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하거나, 한 명의 환자의 복수의 질병 관련 정보를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는 질병 이력 정보 및 유전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화된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그룹화를 처리한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330)에 의하여 해당 제1 그룹 데이터에 매핑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효율적인 그룹화를 위하여 본 시스템 운영진이 제1 그룹 데이터의 그룹화에 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330)는 환자의 신체 정보와 거주 지역 정보를 추가로 등록받아 제1 그룹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신체 정보와 거주 지역 정보 별로 그룹화하는 제3 그룹 데이터 생성부(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340)는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340)는 복수의 치료자별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하거나, 한 명의 치료자의 복수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는 연구 분야 정보, 연구 이력 정보, 논문 리스트 정보 및 학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화된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그룹화를 처리한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340)에 의하여 해당 제2 그룹 데이터에 매핑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효율적인 그룹화를 위하여 본 시스템 운영진이 제2 그룹 데이터의 그룹화에 관여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매칭부(350)는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매칭 기준에 의하여 서로 매칭한다. 즉, 상기 데이터 매칭부(350)는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질병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와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매핑하는 방식으로 서로 매칭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매칭부(350)는 추가로 설정된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그룹화된 제1 그룹 데이터를 제2 그룹 데이터와 매칭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매칭 추천부(355)는 데이터 매칭부(350)의 데이터 매칭시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의 중요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데이터 그룹을 추천한다. 즉, 상기 데이터 매칭 추천부(355)는 매칭 서비스 서버(30)의 운영진 등에 의하여 사전에 정의된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의 중요 정보를 환자 단말(10) 또는 치료자 단말(20)에 추천하여 정보 등록시 참고하도록 하거나, 또는 데이터 매칭부(350)에 추천하여 데이터 매칭시 우선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연결부(360)는 환자 단말(10)과 환자 단말(10)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20)을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 연결부(360)는 환자 단말(10)과 환자 단말(10)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20)을 데이터 통신망으로 서로 연결시켜주거나 또는 웹 사이트에 서로 접속되도록 하여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격으로 상담 및 진료를 받을 수도 있고, 진료 전후 치료 및 관리를 위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연결부(360)는 치료방 생성부(36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치료방 생성부(361)가 환자 단말(10)과 환자 단말(10)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20)이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접속되면, 소정의 대화 공간(즉, 치료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치료방을 통하여 환자는 치료자에 의하여 원격 상담 및 진료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70)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질병 관련 정보, 치료자의 개인 정보와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 및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380)는 외부 정보 제공 서버(40)와 제휴되어,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와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380)는 외부 정보 제공 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와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70)에 전송하여 가입회원 관리부(310) 및 데이터 매칭부(350) 등의 구성들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각각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환자 단말(10), 치료자 단말(20), 데이터 매칭 추천부(355),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380)로부터의 추가 자료 입력시 업데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본 시스템의 운영진 등에 의하여 데이터 매칭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시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에 의하면, 온라인 사회 연결망을 바탕으로 환자 그룹과 치료자 그룹을 매칭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의 구동을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은 온라인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S1 단계, S1 단계에서 구축된 웹사이트를 바탕으로 회원을 모집하는 S2 단계, S2 단계에서 모집된 회원을 바탕으로 환자, 치료자, 그리고 일반회원으로 구분하는 S3 단계, S3 단계에서 구분된 환자 회원에 대해서 질병 종류를 기준으로 환자 회원을 분류하는 S4-1 단계, S3 단계에서 구분된 치료자 회원에 대해서 관심 연구 분야를 기준으로 치료자 회원을 분류하는 S4-2 단계, S4-1 단계에서 분류된 환자 회원을 그룹핑하는 S5-1 단계, S4-2 단계에서 분류된 치료자 회원을 그룹핑하는 S5-2 단계, S5-1 단계에서 그룹핑된 환자 회원과 S5-2 단계에서 그룹핑된 치료자 회원을 매칭하는 S6 단계, S6 단계에서 매칭된 환자 회원과 치료자 회원이 치료를 수행하는 S7 단계를 포함한다.
S1 단계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온라인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이 단계는 온라인 웹사이트의 구축 및 활용 에 포함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하고, 온라인 웹사이트에 가능한 많은 질병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S1 단계에 있어서 질병의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 수익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회사의 배너를 링크하여 해당 회사로부터 투자를 유도하여 수익을 도모할 수 있고, 또는 개인이나 기관의 투자를 도모하기 위해 회원 가입 절차 없이 직접적인 투자를 유도할 수도 있다.
S2 단계는 온라인 웹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 회원은 회원 가입을 위한 본인의 정보를 온라인 웹사이트에 제공하여 등록한다. 본인의 정보는 인터넷 접속과 정보 입력이 가능한 모든 기기로부터 입력된다. 또한, S2 단계에서 입력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회원의 거주지 주소, 이메일 주소, 직장 주소, 핸드폰 연락처, 자택 연락처, 나이,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S3 단계를 통한 환자 회원 가입을 위하여 질병 관련 정보, 질병 이력, 유전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3 단계를 통한 치료자 회원 가입을 위하여 관심 연구분야, 연구 이력, 논문 리스트, 학력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2 단계에서 환자 회원 또는 치료자 회원 가입을 위한 정보 입력시, 외부 정보 소스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환자 회원이 되고자 하는 회원으로 하여금 진료 기록을 열람할 수 있는 외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의 외부 정보 소스를 참고할 수도 있고, 치료자 회원이 되고자 하는 회원으로 하여금 논문 전문 웹사이트 등과 같은 외부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특정 치료자 회원이 해당 웹사이트에서 논문을 참고할 수도 있다.
나아가, S2 단계에 있어서 질병의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 수익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원 가입 시 유료 회원제로 운영하여 한 달의 가입기간 동안은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되 그 이후로는 일정 금액이 주기적으로 결제되는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S2 단계에 있어서 회원이 아닌 비회원의 경우 제한된 수준의 웹사이트 활용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회원의 경우 투자의 목적으로 웹사이트에 접근할 경우 이를 허용하도록 하거나, 최종 치료 이후의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접근을 허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S2 단계에 있어서 기업 및 정부기관과 같은 단체와의 계약을 통해서 해당 단체의 직원에게 회원 가입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S3 단계는 가입된 회원을 환자 회원 및 치료자 회원으로 구분한다. 또한, S3 단계는 회원의 희망 사항을 고려하여 환자 회원 또는 치료자 회원 또는 일반 회원으로 구분할 수 있고, 복수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가입된 한 명의 회원이 복수의 자격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3 단계에서 구분된 회원은 특정 회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나, 이는 회원이 본인의 정보 공개 수준을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 S3 단계 이후로 회원들 간 서로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S4-1 단계는 환자 회원을 특정 질병에 따라 분류한다. 또한, 한 명의 환자 회원이 복수의 질병을 갖고 있을 수 있으므로, 환자 회원 한 명이 각 질병 항목에 복수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S4-1 단계는 S1 단계에서 누락된 질병을 특정 환자 회원이 추가 입력해야 하는 경우, 추가 입력되는 질병의 정보를 곧바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S4-1 단계는 질병마다 그 원인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환자 회원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도 있다.
S4-2 단계는 치료자 회원에 대해 관심 연구분야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또한, 한 명의 치료자 회원이 복수의 관심 연구분야를 갖고 있을 수 있으므로, 치료자 회원 한 명이 각 연구분야 항목에 복수로 분류될 수 있다.
S5-1 단계는 특정 질병을 기준으로 환자 회원들을 그룹핑한다. 또한, S5-1 단계는 각 환자 회원의 신체적, 주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룹핑할 수도 있다. 한편, S5-1 단계는 그룹핑의 도움을 위해서 운영진이 그룹핑 과정에 참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그룹핑 이후 특정 환자 그룹이 S6 단계에서 특정 치료자 그룹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5-2 단계는 특정 연구분야를 기준으로 치료자 회원들을 그룹핑한다. 또한, S5-2 단계는 각 치료자의 연구 성향 등을 고려하여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 실험을 하는 치료자, 컴퓨터 분석을 하는 치료자, 그리고 유전체 정보 전문 치료자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그룹핑할 수도 있다. 한편, S5-2 단계는 그룹핑의 도움을 위해서 운영진이 그룹핑 과정에 참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그룹핑 이후 특정 치료자 그룹이 S6 단계에서 특정 환자 그룹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6 단계는 환자 그룹과 치료자 그룹을 매칭한다. 이러한 S6 단계는 각각의 그룹이 자유롭게 참여하지만,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운영진이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영진이 각 그룹에 추천할 만한 상대 그룹을 소개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S6-1 단계는 특정 환자 그룹이 복수의 특정 치료자 그룹에 접촉을 시도하여 정보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6-1 단계는 특정 치료자 그룹이 복수의 특정 환자 그룹에 대하여 역으로 접촉을 시도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 때 운영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S6-2 단계는 매칭을 위해 각 그룹의 중요 정보를 운영진이 구축한 것으로서, 매칭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S6-2 단계는 환자 그룹에 대하여 운영진이 질병명, 기대 치료 시기, 환자 회원수, 세계 환자 수, 국가 및 투자 금액 등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치료자 그룹에 대하여 운영진이 관심 연구분야, 예상 완료시기, 치료자 회원수, 대표 연구기관, 국가 및 논문 피인용지수 등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7 단계는 S6 단계에서 매칭 된 환자 그룹과 치료자 그룹이 치료를 수행한다. 즉, S7 단계는 온라인 웹사이트에서 매칭된 환자 그룹과 치료자 그룹이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웹 사이트 내에 치료방을 개설한다거나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 기관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치료 계획을 구상한 뒤 국립보건원 같은 국가기관에 투자를 의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운영진이 참여할 수도 있다. 또한, S7 단계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고 수행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법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S7 단계는 유전체 분석을 통해 환자 회원 그룹의 회원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서 세포 치료를 실시할 수 있고, 개인화 의료를 위한 연구, 생산, 그리고 품질관리 시설과 그에 따른 운영 시스템의 구축을 할 수 있다. 또한, S7 단계는 환자 그룹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서, 환자 그룹 또는 환자 회원 개인이 치료자 그룹 또는 치료자 회원의 도움을 통해 치료를 위해 필요한 연구, 생산, 그리고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직접 확인하고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S7 단계의 성공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 하기 위해서, 가상의 임상시험 결과 예측 프로그램의 운영을 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통계학, 생물정보학, 화학, 물리학, 수학, 생물물리학, 생화학 등의 개념이 포함되어 구축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7 단계 이후에는 S7 단계에서 기대했던 효과가 도출되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하여, 대상 환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위하여, 보험과의 연계를 통해 환자에게 보상해 줄 수도 있다. 또한, S7 단계를 수행 한 후에 도출된 치료 결과, 연구 결과와 그에 따르는 수익은 운영진, 환자 회원 그룹, 치료자 회원 그룹, 그리고 투자자가 논의하여 분배하도록 한다. 또한, S7 단계 이후에는 전체적인 과정이 정의로운지, 도덕-윤리적 문제는 없는지, 역사적으로 문제는 없었는지 수시로 검증할 수 있도록, 운영진 내에 해당 부서를 두어 해당 업무를 통해서 전체적인 과정이 옳게 수행되고 있는지 검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환자 단말 20: 치료자 단말
30: 매칭 서비스 서버 40: 외부 정보 제공 서버
310: 가입회원 관리부 320: 데이터 통신부
330: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 331: 제3 그룹 데이터 생성부
340: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 350: 데이터 매칭부
355: 데이터 매칭 추천부 360: 단말 연결부
361: 치료방 생성부 370: 데이터 저장부
380: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 390: 제어부

Claims (6)

  1.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는 환자 단말;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연결된 매칭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여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조회할 수 있는 치료자 단말; 및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매칭시켜 관리하되,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질병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중 해당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상기 치료자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그룹 데이터 중 해당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매칭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치료자 단말을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과 치료자 단말로부터 환자 개인정보와 치료자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인증후 관리하는 가입회원 관리부;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서버를 통하여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치료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정보를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상대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치료자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를 질병 종류별로 그룹화한 제1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관심 분야별로 그룹화한 제2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그룹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제2 그룹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매칭 기준에 의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데이터 매칭부;
    상기 데이터 매칭부의 데이터 매칭시 상기 제1 그룹 데이터와 상기 제2 그룹 데이터의 중요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데이터 그룹을 추천하는 데이터 매칭 추천부;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을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서로 연결시켜주는 단말 연결부;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와 질병 관련 정보, 상기 치료자의 개인 정보와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 및 상기 제1 그룹 데이터와 제2 그룹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외부 정보 제공 서버와 제휴되어,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와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 및
    상기 각각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환자 단말, 상기 치료자 단말, 상기 데이터 매칭 추천부, 상기 외부 정보 소스 제공부로부터의 추가 자료 입력시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환자의 신체 정보와 거주 지역 정보를 추가로 등록받아 상기 제1 그룹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신체 정보와 거주 지역 정보 별로 그룹화하는 제3 그룹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연결부는 상기 환자 단말과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되는 치료자 단말이 데이터 통신망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접속되면, 소정의 치료방을 제공하는 치료방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질병 관련 정보는 질병 이력 정보 및 유전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자의 연구 및 치료 관련 정보는 연구 분야 정보, 연구 이력 정보, 논문 리스트 정보 및 학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KR1020120128691A 2012-11-14 2012-11-14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KR10132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691A KR101323699B1 (ko) 2012-11-14 2012-11-14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US14/020,977 US20140136221A1 (en) 2012-11-14 2013-09-09 Online matching system between patient and curer
CN201310572067.8A CN103810661A (zh) 2012-11-14 2013-11-13 患者和治疗者之间的在线匹配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691A KR101323699B1 (ko) 2012-11-14 2012-11-14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639A true KR20120139639A (ko) 2012-12-27
KR101323699B1 KR101323699B1 (ko) 2013-10-30

Family

ID=4790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691A KR101323699B1 (ko) 2012-11-14 2012-11-14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36221A1 (ko)
KR (1) KR101323699B1 (ko)
CN (1) CN1038106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218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워크앤테이크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37500A (ko) 2018-10-01 2020-04-09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48570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예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48571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진료예약 중개를 위한 콜센터 시스템
KR20220092051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치과 주치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1167B2 (ja) * 2019-03-05 2023-01-2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マッチング支援装置、マッチング支援方法、及びマッチング支援プログラム
CN111262932B (zh) * 2020-01-15 2023-07-25 广东金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Web页面的远程服务系统和方法
CN113782163A (zh) * 2021-03-29 2021-12-10 北京京东拓先科技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87468B1 (ko) * 2021-10-26 2022-04-15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용 이료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497113A (zh) * 2023-11-28 2024-02-02 北京大学第六医院 基于大学生心理健康数据的分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0550B2 (en) * 2006-09-08 2009-09-15 American Well Inc. Connecting consumers with service providers
KR20100034969A (ko) * 2008-09-25 2010-04-02 송태용 온라인 건강 멘토 서비스 제공 방법
US8539359B2 (en) * 2009-02-11 2013-09-17 Jeffrey A. Rapaport Social network driven indexing system for instantly clustering people with concurrent focus on same topic into on-topic chat rooms and/or for generating on-topic search results tailored to user preferences regarding topic
US20120021943A1 (en) * 2009-02-11 2012-01-26 Cgc Genetics/Centro De Genetica Clinica, Sa Multiple genetic disease diagnostic panels by one single test using microarray technology
US8874378B2 (en) * 2010-03-19 2014-10-28 Rebecca Lambert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relevant research activity in response to angiogenic regulator analyses
KR101177712B1 (ko) * 2010-09-10 2012-08-2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US8630868B2 (en) * 2010-11-21 2014-01-14 Datagenno Interactive Research Ltda. Method and system to exchange information about diseases
KR101204703B1 (ko) * 2011-02-15 2012-11-23 김세룡 의료정보 중계 방법
KR101237556B1 (ko) * 2011-05-18 2013-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양면 수광형 국부화 에미터 태양전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218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워크앤테이크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37500A (ko) 2018-10-01 2020-04-09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48570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예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48571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진료예약 중개를 위한 콜센터 시스템
KR20210064126A (ko) 2018-10-30 2021-06-02 김효성 관리 서버장치를 구비한 콜센터 진료예약 시스템에서 상담방법
KR20220092051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치과 주치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699B1 (ko) 2013-10-30
US20140136221A1 (en) 2014-05-15
CN103810661A (zh)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699B1 (ko)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Hadjistavropoulos et al. Implementation of internet-deliver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within community mental health clinics: a process evaluation using the consolidated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research
US10621164B1 (en) Community data aggregation with automated followup
Viers et al. Are patients willing to engage in telemedicine for their care: a survey of preuse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remote video visits in a urological patient population
US20170185723A1 (en) Machine Learning System for Creating and Utilizing an Assessment Metric Based on Outcomes
US20150370975A1 (en) Management for Coordinated In Person Delivery of Medical Services
US20130103423A1 (en) Cooperative medical consultation and diagno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CN102073786A (zh) 用于识别患者间关系的系统、设备和方法
CN109791669B (zh) 用于在线医疗小组的系统和方法
CN108701114A (zh) 使用医疗操作系统评估和选择医疗保健专业人员的系统和方法
Colliers et al. Improving Care And Research Electronic Data Trust Antwerp (iCAREdata): a research database of linked data on out-of-hours primary care
Verhoef et al. Identifying the barriers to conducting outcomes research in integrative health care clinic settings-a qualitative study
JP2004518187A (ja) 健康管理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105556513A (zh) 用于个性化临床决策支持工具的系统和方法
CN109219854A (zh) 患者风险评分和评估系统
Geyer et al. Implementing a low-cost web-based clinical trial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ty studies: a case study
Release Collaboration Communicating simply, but not too simply: Reporting of participants and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s for aphasia after stroke
Eccher et al. TreC platform. An integrated and evolving care model for patients’ empowerment and data repository
Hunter et al. The integrative medicine team—is biomedical dominance inevitable?
KR20170025025A (ko)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Charters Nursing informatics, outcomes, and quality improvement
EP37929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chang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genomic variations
US20110137673A1 (en) Healthcare provider resources online
KR102340813B1 (ko)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환자의 증상관리 및 증상완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15909A (ko) 온라인 상담치료 중재정보 및 측정정보 제공이 가능한 피상담자 단말기 및 운영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