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822A -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822A
KR20170124822A KR1020160054723A KR20160054723A KR20170124822A KR 20170124822 A KR20170124822 A KR 20170124822A KR 1020160054723 A KR1020160054723 A KR 1020160054723A KR 20160054723 A KR20160054723 A KR 20160054723A KR 20170124822 A KR20170124822 A KR 2017012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iosensor
nose
livestoc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178B1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김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철 filed Critical 김민철
Priority to KR102016005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7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어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식별번호 및 상기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를 생성하여 중계기로 송신하는 바이오센서; 상기 바이오센서로부터 상기 이상정보를 수신받고,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이상정보를 수신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나 돼지의 코 속에 칩을 이식해 콧물의 점액으로 가축의 건강상태를 미리 파악해 격리, 방역 등의 조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SYSTEM FOR IDENTIFY THE HEALTH STATUS OF THE ANIMALS BY BIOSENSOR INSERTED TO ANIMAL NOSE}
본 발명은 소나 돼지의 코 속에 칩을 이식해 콧물의 점액으로 가축의 건강상태를 미리 파악해 격리, 방역 등의 조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광우병, 소 부루세라, 조류 인플루엔자 등 가축 전염병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의 축산 농가에서도 이러한 가축 전염병으로 큰 손실을 입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실제로 점점 가축 사육이 대규모로 이루어져 규모화, 집단화되고 있으며, 생명체라는 특성 때문에 방역 및 관리가 전통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효율적인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가축의 정확한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축사 관리자가 직접 수백마리의 체온, 혈압 등을 측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수백 마리의 가축을 증상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최근 가축 개체별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여러 가지 측정 장비가 도입되고 있으나, 관리자가 직접 측정하지 않는 이상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사육사나 수의사가 이를 직접 확인하고 진단하여 축사의 환경을 일일이 조정하는 것으로는 빠른 전염병 등의 전파속도에 비하여 대체가 매우 미흡할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91070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나 돼지의 코 속에 칩을 이식해 콧물의 점액으로 가축의 건강상태를 미리 파악해 격리, 방역 등의 조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액의 점도 및 화학성분을 바이오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점액에 포함된 화학성분에 해당하는 질병을 검출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어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식별번호 및 상기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를 생성하여 중계기로 송신하는 바이오센서; 상기 바이오센서로부터 상기 이상정보를 수신받고,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이상정보를 수신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센서는, 상기 가축의 코 속에 설치되되 일정부분 노출되게 설치되어, 노출된 부분과 접촉되는 점액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정보는, 상기 점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점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센서는, 상기 가축의 코 속에 설치되되 일정부분 노출되게 설치되어, 노출된 부분과 접촉되는 점액의 성분을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화학성분분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정보는, 상기 화학성분분석센서를 통해 측정된 분석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센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GPS를 통해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정보는, 상기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상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방식으로 상기 바이오센서에 무선전력을 송신하고, 상기 바이오센서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방식으로 수신된 무선전력을 센서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센서는, 초소형 전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학성분분석센서는, 분석된 상기 점액의 성분 중 미리 저장된 바이러스균이 검출되면 상기 바이러스균과 매칭된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바이오센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중계기로 송신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측정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로 측정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로부터 각 식별번호에 따른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번호에 따른 측정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로 상기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 중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바이오센서로부터 위치정보 및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 및 측정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나 돼지의 코 속에 칩을 이식해 콧물의 점액으로 가축의 건강상태를 미리 파악해 격리, 방역 등의 조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액의 점도 및 화학성분을 바이오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점액에 포함된 화학성분에 해당하는 질병을 검출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의 제공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100)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100)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100)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의 구성은, 바이오센서(100), 중계기(2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300)는 일반적으로, 휴대폰 단말기(300), 스마트폰 단말기(300), PDF와 같은 휴대용 단말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개인 컴퓨터, 노트북 등 중계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면 단말기(300)로 사용될 수 있다.
바이오센서(100)는,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어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되 생성된 측정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식별번호 및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를 생성하여 중계기(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바이오센서(100)는, 온도센서(110), 점도센서(120), 화학성분분석센서(130), 이상정보생성부(140), 송신부(150) 및 위치수신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이오센서(100)는, 일반적으로 중계기(200)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비콘, NFC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정보는, 온도센서(110)를 통해 측정된 체온, 점도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점도 및 화학성분분석센서(130)를 통해 측정된 분석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센서(110)는, 체온을 측정한다.
점도센서(120)는, 가축의 코 속에 설치되되 일정부분 노출되게 설치되어, 노출된 부분과 접촉되는 점액의 점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점도센서(120)는, 감기로 인한 호흡기 질병 등에 의해 점액의 점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점액의 점도를 센싱하여 호흡기 질병 등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성분분석센서(130)는, 가축의 코 속에 설치되되 일정부분 노출되게 설치되어, 노출된 부분과 접촉되는 점액의 성분을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화학성분분석센서(130)는, 분석된 점액의 성분 중 미리 저장된 바이러스균이 검출되면 바이러스균과 매칭된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화학성분분석센서(130)는, 소의 기생성 균류 생물로 인해 발생하는 맥각중독증 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며, 맥각중독증판단시 ERGOTOXINE, ERGONOVINE, CHOLINE 등등이 검출되면 맥각중독증이라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학분석센서(130)는, 질병정보에 포함된 체온범위에 따라 측정정보에 포함된 체온이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질병정보를 체온별로 각각 나눠 감기의 경우, 정상감기, 몸살감기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분석센서(130)는, 질병정보에 포함된 점도범위에 따라 측정정보에 포함된 점도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질병정보를 점도별로 각각 나눠 감기의 경우, 정상감기, 호흡기감기 등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정보생성부(140)는, 온도센서(110), 점도센서(120), 화학성분센서를 통해 생성된 측정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식별번호 및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를 생성한다.
송신부(150)는, 이상정보생성부(140)에서 이상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이상정보를 중계기(200)로 송신한다.
위치수신부(160)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GPS를 통해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이상정보는,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단말기(300)는, 이상정보를 수신하면,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를 단말기(300)로 송신함에 따라 단말기(300)가 이상이 발생한 가축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이오센서(100)는, 초소형 전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거나,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방식으로 수신된 무선전력을 센서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기(200)는, 바이오센서(100)로부터 이상정보를 수신받고,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중계기(200)는, 미리 저장된 MDN(Mobile directory number; 이하 MDN)으로 송신하거나, 미리 저장된 단말기(300) 식별번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계기(200)는 송수신부(210)를 포함하되, 송수신부(210)를 통해 바이오센서(100) 및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서로에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중계기(200)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방식으로 바이오센서(100)에 무선전력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계기(200)는, 단말기(300)로부터 측정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100)로 측정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100)로부터 각 식별번호에 따른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하나 이상의 식별번호에 따른 측정정보를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즉, 단말기(300)는 측정정보가 정상범위에 해당하더라도 중계기(200)를 통해 모든 바이오센서(100)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받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중계기(200)는, 단말기(300)로부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100)로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100) 중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바이오센서(100)로부터 위치정보 및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위치정보 및 측정정보를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즉, 단말기(300)는, 특정 가축의 측정정보만을 수신받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말기(300)는, 중계기(200)로부터 이상정보를 수신하면 알람을 발생시키고, 위치정보 및 질병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단말기(300)는, 중계기(200)와 송수신하는 모든 바이오센서(100)의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입력부를 통해 측정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 가축의 식별번호를 입력한 후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위칭정보요청신호에 측정정보 및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특정 가축의 측정정보 및 위치정보만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100)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의 제공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우선,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어 체온, 점도 및 성분을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한다(S110).
그 다음, (S110)단계에서 생성된 측정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식별번호 및 상기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를 생성한다(S120).
그 다음, (S120)단계에서 생성된 이상정보를 중계기(200)로 송신하고, 중계기(200)는 단말기(300)로 수신된 이상정보를 송신한다(S130).
마지막으로, 단말기(300)가 (S130)단계에서 송신된 이상정보를 수신받아 알람을 발생시킨다(S14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이오센서 110: 온도센서
120: 점도센서 130: 화학성분분석센서
140: 이상정보생성부 150: 송신부
160: 위치수신부 200: 중계기
210: 송수신부 300: 단말기

Claims (9)

  1.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어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식별번호 및 상기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를 생성하여 중계기로 송신하는 바이오센서;
    상기 바이오센서로부터 상기 이상정보를 수신받고,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이상정보를 수신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는,
    상기 가축의 코 속에 설치되되 일정부분 노출되게 설치되어, 노출된 부분과 접촉되는 점액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정보는,
    상기 점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점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는,
    상기 가축의 코 속에 설치되되 일정부분 노출되게 설치되어, 노출된 부분과 접촉되는 점액의 성분을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화학성분분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정보는,
    상기 화학성분분석센서를 통해 측정된 분석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GPS를 통해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정보는,
    상기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상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방식으로 상기 바이오센서에 무선전력을 송신하고,
    상기 바이오센서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방식으로 수신된 무선전력을 센서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는,
    초소형 전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성분분석센서는,
    분석된 상기 점액의 성분 중 미리 저장된 바이러스균이 검출되면 상기 바이러스균과 매칭된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바이오센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중계기로 송신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질병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측정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로 측정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로부터 각 식별번호에 따른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번호에 따른 측정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로 상기 위치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 중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바이오센서로부터 위치정보 및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 및 측정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KR1020160054723A 2016-05-03 2016-05-03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KR10191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23A KR101915178B1 (ko) 2016-05-03 2016-05-03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23A KR101915178B1 (ko) 2016-05-03 2016-05-03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822A true KR20170124822A (ko) 2017-11-13
KR101915178B1 KR101915178B1 (ko) 2018-11-05

Family

ID=6038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723A KR101915178B1 (ko) 2016-05-03 2016-05-03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679B1 (ko) * 2019-08-19 2020-08-14 안명천 인후두 역류증 진단을 위한 pH 레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144678B1 (ko) * 2019-08-19 2020-08-14 안명천 인체 모니터링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160307B1 (ko) * 2020-04-02 2020-09-25 주식회사 멤스와인 동물 체온 측정장치 및 동물 체온 측정 시스템
WO2021101061A1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개체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2366104B1 (ko) * 2021-03-27 2022-02-24 장석현 스마트 팻 케어 방법
WO2022071697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가축의 발정기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4911B2 (en) * 2001-06-29 2006-05-16 Philometron, Inc. Gateway platform for biological monitoring and delivery of therapeutic compoun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679B1 (ko) * 2019-08-19 2020-08-14 안명천 인후두 역류증 진단을 위한 pH 레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144678B1 (ko) * 2019-08-19 2020-08-14 안명천 인체 모니터링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WO2021101061A1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개체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2160307B1 (ko) * 2020-04-02 2020-09-25 주식회사 멤스와인 동물 체온 측정장치 및 동물 체온 측정 시스템
WO2022071697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가축의 발정기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2366104B1 (ko) * 2021-03-27 2022-02-24 장석현 스마트 팻 케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178B1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178B1 (ko)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KR101961311B1 (ko) 가축용 질병 예측 및 알림 시스템
CN104135965A (zh) 远程监控系统
US20180325382A1 (en) Animal tag system
KR101213252B1 (ko)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 방법
EP2428113A2 (en) RTLS tag, RTLS reader and livestoc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1179964B1 (ko)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2486A (ko)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275130B1 (ko) 가축의 발정기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CN105046612A (zh) 一种基于app的移动医疗系统
KR20190030877A (ko) 축산 지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JP2007306804A (ja) 動物の健康管理を行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05568926U (zh) 畜体生理状态检测系统及其高信号发射强度体内检测器
JP2007521030A5 (ko)
CN105046614A (zh) 一种基于手机终端的移动医疗系统
KR20150098024A (ko) 영상정보 및 생체신호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622435A (zh) 一种基于植入式体温遥测技术的热原检查仪及检查方法
KR20160045423A (ko) 반려동물 목걸이를 활용한 분실방지 및 건강관리 시스템
KR100997857B1 (ko) 소 체온감지, 분석, 알람기능기
KR20080000266A (ko) 가축관리신호 발신장치 및 그 발신장치를 이용한 무인가축관리 시스템.
CN105046615A (zh) 一种移动医疗系统
CN104983409A (zh) 一种面向老年人的移动医疗系统
KR102195066B1 (ko) 동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30017517A (ko) IoT 기반의 스마트 축사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99942A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체액 분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액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