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964B1 -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964B1
KR101179964B1 KR1020120037936A KR20120037936A KR101179964B1 KR 101179964 B1 KR101179964 B1 KR 101179964B1 KR 1020120037936 A KR1020120037936 A KR 1020120037936A KR 20120037936 A KR20120037936 A KR 20120037936A KR 101179964 B1 KR101179964 B1 KR 10117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disease
wireless sensor
sensor tag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준
임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2003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의하면, 무선 센서태그에 온도센서와 자극 발생기를 설치하고, 질병 관제센터 서버가 체온을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질병 발생으로 의심되는 동물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며, 이 자극 신호를 받은 무선 센서태그는 자극을 발생하도록 하여 결국 질병 동물이 격리구역으로 이동하게끔 유도하며, 또한 격리구역 내부에 계속 머무르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정상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들어오는 경우 역시 자극을 발생하도록 하여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게끔 유도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의 질병 발생시 모니터링과 동시에 사람의 작업을 기다리지 않고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과 초기에 분리하고 격리지역으로 유도하여 질병확산을 초기에 그리고 신속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inducing isolation of disease anim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질병 동물을 격리 유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센서태그를 이용하여 동물의 질병 발생 여부가 의심될 경우 질병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병 의심 동물을 격리 유도하도록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염성이 강한 구제역과 같은 가축을 포함하는 동물 질병은 발생시 축산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며, 사육 소, 돼지, 닭을 살처분하여 매립하는 과정에서 수질오염 및 전염병 확산과 같은 2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구제역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질병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및 확산 방지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정부가 발표한 구제역 종합대책은 대규모 축산농가에 대한 허가제, 공항 출입국자에 대한 검역강화 및 축산업자 및 관계자에 대한 DB 구축, 축산농가의 방문이력관리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동물 질병을 일으키는 소, 돼지 등의 동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질병을 사전 탐지할 수 있는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동물은 바이러스성 질병은 물론이고 세균성 질병에 감염된 경우 질병의 초기에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체온의 상승을 확인하면 그 개체가 질병에 이환된 상태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구제역의 경우, 42도 이상의 체온상승이 소나 돼지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므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온도 및 생체정보를 측정함으로써 구제역 의심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다.
최근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RFID 태그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가 설치된 무선 센서태그를 동물에 삽입 또는 이식하여 동물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를 들어, 캡슐형태로 무선 송신장치를 구성하여 동물의 위에 머무르게 하여 동물의 식별정보를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동물을 도축 후 캡슐형태의 무선 송신장치를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다른 예로, 생체 주입형 인간을 포함한 유기체에 바이오 센서가 내장된 RFID 센서태그를 주입하여 무선으로 데이터전송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온도, 스트레인, 압력과 같은 다양한 센서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는데, 생체 주입형 RFID 센서의 경우 염증 유발이나 종양 발생 가능성 및 체내에서 분실로 인한 안정성의 문제가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예로, RFID 리더기에 귀 삽입형태의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사람이 들고 다니면서 일일이 RFIE 센서태그를 리더기로 읽고, 온도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수의 동물을 관리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관련 특허 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7920호(알에프아이디/유에스엔/지피에스 기반의 통합 미들웨어장치 및 동물관리리시트템 및 이들을 이용한 동물 관리 방법),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407호(온도센서가 내장된 RFID 캡슐 및 마이크로파 ID 캡슐),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4025호(바이오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법)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들은 센서가 내장된 RFID 센서태그를 이용하여 동물의 체온 정보를 메인서버 또는 관제센터에서 모니터할 수 있으나, 그 후의 후속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농장주 또는 검역 담당자에게 개별적으로 연락하고 이들의 조치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조치를 필요로 하는 질병 관리 대책에는 매우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무선 센서태그를 이용하여 동물의 상태정보만을 수동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에서 벗어나, 질병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질병발생으로 의심되는 동물 및 정상 동물에게 양방향 무선 센서태그 신호를 이용하여 격리를 유도함으로써, 질병확산을 초기에 그리고 신속하게 방지하도록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은 축사에 거주하는 동물(20)들 중 질병 동물(22)을 감지하고 상기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들로부터 격리시키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으로써, 상기 동물들 각각에 부착되며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160)와 일정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발생기(180)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태그(100); 상기 축사(10)에 설치되는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를 통해 동물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 동물을 판별하는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질병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고, 자극 신호를 수신한 무선 센서태그(100)는 자극발생기(18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질병 동물에게 일정 자극을 주도록 하여 질병 동물을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질병 동물이 축사의 미리 지정된 격리구역(12) 내부로 이동한 경우 자극 신호 송출을 중단함으로써 질병 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머물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정상 동물이 상기 격리구역(12) 내부로 이동한 경우 자극 신호를 송출하고, 자극 신호를 수신한 무선 센서태그(100)는 상기 자극발생기(18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정상 동물에게 일정 자극을 주도록 하여 정상 동물을 격리구역(12) 외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자극발생기(180)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180a) 또는/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180b)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센서태그(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와, 각종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210), 및 상기 온도센서(16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극발생기(180)를 작동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칩(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를 통해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질병여부를 판단하는 체온 모니터링부(320); 상기 체온 모니터링부(320)에 의해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자극신호 생성부(330); 및, 상기 격리구역(12)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로부터 수신된 무선 센서태그(100)의 실내 위치 정보를 통해 해당 무선 센서태그(100)가 부착된 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330)는 상기 위치 판단부(340)에 의해 질병 동물이 상기 격리구역(12)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극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정상 동물이 상기 격리구역(12)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극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상기 체온 모니터링부(320)에 의해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동물이 있는 경우 농장주 또는 외부기관에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도록 하는 메시지 생성부(37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은, 동물들 각각에 부착되며 온도센서(160)와 자극발생기(180)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태그(100)와, 축사에 설치되는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와,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를 통해 동물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 동물을 판별하는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를 포함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에 의해, 축사에 기거하는 동물들 중 질병 동물을 감지하고 상기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들로부터 격리 유도시키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으로써,
a) 무선 센서태그(100)의 온도센서(160)가 해당 동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b)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가 수신된 체온 정보를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 c)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가 수신된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질병으로 판단된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가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e) 자극 신호를 송출받은 무선 센서태그(100)가 자극발생기(180)를 작동시켜 해당 동물에 자극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f) 축사 내의 미리 지정된 격리구역(12) 내부에 질병 동물이 들어와 상기 격리구역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a)가 신호를 감지하여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송출하면,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은, g) 축사 내의 미리 지정된 격리구역(12) 내부에 정상 동물이 들어와 상기 격리구역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가 신호를 감지하여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송출하면,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여 자극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정상 동물이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여 격리구역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은, i)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동물이 있는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농장주의 휴대폰이나 컴퓨터 또는 외부기관에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센서태그에 온도센서 뿐만 아니라 자극 발생기를 설치하고, 질병 관제센터 서버가 체온을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질병발생으로 의심되는 동물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며, 이 자극 신호를 받은 무선 센서태그는 자극을 발생하도록 하여 결국 질병 동물이 격리구역으로 이동하게끔 유도하며, 또한 격리구역 내부에 계속 머무르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정상 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들어오는 경우 역시 자극을 발생하도록 하여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게끔 유도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의 질병 발생시 모니터링과 동시에 사람의 격리 작업을 기다리지 않고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과 초기에 분리하고 격리지역으로 유도하여 질병확산을 초기에 그리고 신속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에서 동물에 무선 센서태그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의 무선 센서태그의 상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의 축사 내부의 구성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동물들 중 질병 동물을 감지하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들로부터 격리 유도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물은 야생동물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길러지거나 사육되는 동물을 의미하며, 이러한 동물들은 우리 또는 축사에서 기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물이 축사에 기거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 공간 예를 들어 동물원, 목장, 농장 등에서 기거하는 동물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은 무선 센서태그(100)와,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와,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를 포함한다.
무선 센서태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20)의 일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귀에 부착되며,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고 체온 정보를 송출하고 또한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자극을 발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센서태그(100)는 귀에 매다는 방식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착 방식, 예를 들어 귀에 삽입하거나 또는 귀마개에 무선 센서태그를 삽입하여 귀마개를 귀에 삽입하거나 또는 귀에 이식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센서태그(100)는 전원을 공급하여 센서태그를 구동시키는 배터리(110)와, 안테나(120)를 포함하며 Receiver와 Transmitter를 구비하여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기(130)와, 무선 센서태그가 부착된 동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0)와, 마이크로 칩(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 자극을 발생하는 자극발생기(180) 및 무선 센서태그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칩(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센서태그(100)와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의 통신방식은 RFID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Wi-Fi, Zigbee, UWB,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온도센서(160)를 통해 감지된 동물의 체온 정보는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 및 축사에 설치된 송수신기(210)를 통해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전송된다.
한편, 자극발생기(180)는 일정한 물리적 자극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부터 자극을 발생하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칩(140)은 제어신호를 보내 자극발생기(180)가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극발생기(180)는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소리,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발생기(180a)와 일정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18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향 발생기(180a)나 또는 진동기(180b)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음향 발생기(180a)와 진동기(180b)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센서태그(100)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평소에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슬립 모드 상태를 유지하고,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에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TC(150, Real Time Clock)는 마이크로 칩(MCU, 140)과 I2C로 연결되며, 온도센서(160) 및 자극발생기(180)는 마이크로 칩(140)의 ADC(Analog Digital Converter) 핀과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 받거나 내보내며, 센싱된 온도 데이터는 마이크로 칩(140)의 내부 메모리(Flash)에 저장된다. 기타 일반적인 무선 센서태그의 구체적 동작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 200a)는 무선 센서태그(10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축사(10) 내부의 일정 위치 예를 들어 천정 등에 다수개 설치된다. 한편, 축사(10) 내부에는 일정 영역의 격리구역(12)이 존재하기 되는데, 이 격리구역(12)에도 무선 센서태그(100)가 부착된 동물들의 실내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a)기 설치된다.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무선 통신망(네트워크)에 의해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 외부기관 서버(500) 또는 검역담당 공무원 또는 수의사 등의 핸드폰(미도시), 농장주의 핸드폰(410) 또는 컴퓨터(420)와 통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체온 모니터링부(320), 자극신호 생성부(330), 위치 판단부(340), 송수신부(350), 데이터베이스부(360) 및 메시지 생성부(370)를 포함한다.
체온 모니터링부(320)는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 및 송수신기(210)를 통해 동물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동물의 질병여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체온 모니터링부는 보통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수신된 동물의 체온이 설정된 온도 값 이상인 경우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자극신호 생성부(330)는 체온 모니터링부(320)에 의해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자극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송수신부(350)를 통해 자극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
위치 판단부(340)는 RTLS(Real-Time Locating System) 방식을 통해 축사의 격리구역(12)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a)로부터 수신된 무선 센서태그(100)의 송수신기의 신호 세기 및 방향 등을 이용하여 파악된 실내 위치 정보를 가지고 해당 무선 센서태그가 부착된 동물이 격리구역(12)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RTLS 방식은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와 동일하게 사람 혹은 사물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추적하는 것이지만, 주로 근거리 및 실내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의 위치확인 및 위치추적 서비스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위치추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법은 LBS에서 사용되었던 기법들, 즉 Cell-ID, 삼각법,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기법을 그대로 이용하는데, 차이점은 LBS에서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나 GSM같은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지만, RTLS에서는 Wi-Fi(IEEE 802.11b), Zigbee(IEEE 802.15.4), UWB, 블루투스(Bluetooth),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다. RTLS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RTLS 방식을 이용하여 격리구역 내부에 동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격리구역 내부에 동물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등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자극신호 생성부(330)는 위치 판단부(340)에 의해 질병 동물이 격리구역(12)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극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정상 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극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부(360)는 무선 센서태그를 기준으로 한 동물 정보, 온도에 따른 질병 정보, 체온 정보, 축사 정보 등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메시지 생성부(370)는 체온 정보에 기초하여 동물이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농장주의 휴대폰(410)이나 컴퓨터(420), 또는 검역당국과 같은 외부기관 서버(500) 또는 검역담당 공무원 또는 수의사 등의 휴대폰에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부(350)를 통해 발송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갖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의 동작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동물(20)들은 축사(10) 내부에 기거하게 되고 동물들 각각에는 무선 센서태그(100)가 부착되며, 무선 센서태그(100)의 온도센서는 개별 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S310).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는 이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송출하게 된다(S320).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이 수신되는 동물의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며(S330), 동물의 체온이 이상이 있는지 여부 즉 동물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40).
질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350).
자극신호를 수신한 해당 무선 센서태그(100)는 자극발생기를 작동하도록 하여 소리 또는/및 진동과 같은 자극을 발생하도록 한다(S360).
소리나 진동 같은 자극을 받은 질병 동물(22)은 자극에 의해 반응하여 축사(1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S370).
질병 동물(22)이 축사(10) 내의 격리구역(12)에 들어가게 되면, 격리구역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a)는 무선 센서태그(100)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에 송출하게 된다(S380).
한편,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격리구역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a)의 신호를 수신하여 RTLS 방식으로 위치를 인식하게 되는데, 격리구역 내부로 들어온 동물이 질병 동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90).
질병 동물인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자극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여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가 더 이상 소리나 진동과 같은 자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S400). 따라서, 격리구역(12) 내부로 들어온 질병 동물(22)은 더 이상 자극을 받지 않게 되므로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격리구역(12)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물론 질병 동물이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자극은 다시 발생하도록 동작된다.
그 후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농장주의 휴대폰(410)이나 컴퓨터(420), 또는 검역당국과 같은 외부기관 서버(500) 또는 검역담당 공무원 또는 수의사 등의 휴대폰에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도록 하여(S410), 메시지를 받은 농장주나 검역담당 공무원 또는 수의사가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정상 동물이 축사 내부에서 이동하다가 격리구역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정상 동물에 자극이 발생하도록 하여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S390" 단계에서 격리구역 내부로 진입한 동물이 질병 동물이 아닌 정상 동물(20)인 경우(S390),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고(S420), 자극신호를 수신한 해당 무선 센서태그(100)는 자극발생기를 작동하도록 하여 소리 또는/및 진동과 같은 자극을 발생하도록 한다(S430). 소리나 진동 같은 자극을 받은 정상 동물(20)은 자극에 의해 반응하여 이동하게 되며(S440),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즉 격리구역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S450),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자극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여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가 더 이상 소리나 진동과 같은 자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S400).
종래에는 무선 센서태그를 이용하여 동물의 상태정보만을 수동적으로 모니터링 하게 되며, 결국 농장주나 검역 담당자가 축사에 들어가서 직접 질병 동물을 격리시키고 관련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농장주나 검역 담당자가 격리를 신속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동물으로 질병이 전염되는 것을 막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농장주와 검역 당담자는 질병 동물이 정상 동물과 섞여 있으므로 구별을 위해 일일이 체온기를 모든 동물에 대고 체온을 측정하거나, 또는 온도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무선센서태그 리더기로 일일이 무선 센서태그의 값을 읽어야 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무선 센서태그에 온도센서 뿐만 아니라 자극 발생기를 설치하여 질병 관제센터 서버가 질병발생으로 의심되는 동물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고 이 자극 신호를 받은 무선 센서태그는 자극을 발생하도록 하여 질병 동물이 격리구역으로 이동하게끔 유도하며, 또한 격리구역 내부에 계속 머무르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정상 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들어오는 경우 역시 자극을 발생하도록 하여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게끔 유도하게 한다. 따라서, 동물의 질병 발생시 모니터링과 동시에 사람의 격리 작업을 기다리지 않고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과 초기에 분리하고 격리지역으로 유도함으로써 질병확산을 초기에 그리고 신속하게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농장주가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축사 주위를 돌다가 격리구역 내부에 동물이 있는 경우 질병 발병 동물로 의심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장주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 센서태그 120. 안테나
130. 송수신기 140. 마이크로 칩
160. 온도센서 180. 자극발생기
180a. 음향 발생기 180b. 진동기
200. 무선센서태그 리더기 300. 질병 관제센터 서버
320. 체온 모니터링부 330. 자극신호 생성부
340. 위치 판단부 350. 송수신부
360. 데이터베이스부 370. 메시지 생성부

Claims (9)

  1. 축사에 거주하는 동물(20)들 중 질병 동물(22)을 감지하고 상기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들로부터 격리시키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으로써,
    상기 동물들 각각에 부착되며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160)와 일정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발생기(180)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태그(100);
    상기 축사(10)에 설치되는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를 통해 동물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 동물을 판별하는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상기 수신된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 동물로 판별된 해당 질병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고, 자극신호를 수신한 무선 센서태그(100)는 자극발생기(18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질병 동물에게 일정 자극을 주도록 하여 질병 동물을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해당 질병 동물이 축사의 미리 지정된 격리구역(12) 내부로 이동한 경우 자극 신호 송출을 중단함으로써 질병 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머물게 하도록 하고,
    상기 질병관제센터 서버(300)는 정상 동물이 상기 격리구역(12) 내부로 이동한 경우 자극 신호를 송출하고, 자극 신호를 수신한 무선 센서태그(100)는 상기 자극발생기(18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정상 동물에게 일정 자극을 주도록 하여 정상 동물을 격리구역(12) 외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를 통해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질병여부를 판단하는 체온 모니터링부(320);
    상기 체온 모니터링부(320)에 의해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며, 위치 판단부(340)에 의해 해당 질병 동물이 상기 격리구역(12)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극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정상 동물이 상기 격리구역(12)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극신호를 송출하는 자극신호 생성부(330); 및,
    상기 격리구역(12)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로부터 수신된 무선 센서태그(100)의 실내 위치 정보를 통해 해당 무선 센서태그(100)가 부착된 동물이 격리구역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발생기(180)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180a)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18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센서태그(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와, 각종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210), 및 상기 온도센서(16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극발생기(180)를 작동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칩(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상기 체온 모니터링부(320)에 의해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동물이 있는 경우 농장주 또는 외부기관에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도록 하는 메시지 생성부(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7. 동물들 각각에 부착되며 온도센서(160)와 자극발생기(180)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태그(100)와, 축사에 설치되는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와, 상기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를 통해 동물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 동물을 판별하는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를 포함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에 의해, 축사에 기거하는 동물들 중 질병 동물을 감지하고 상기 질병 동물을 정상 동물들로부터 격리 유도시키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으로써,
    a) 무선 센서태그(100)의 온도센서(160)가 해당 동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b)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가 수신된 체온 정보를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
    c)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가 수신된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질병으로 판단된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가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e) 자극 신호를 송출받은 무선 센서태그(100)가 자극발생기(180)를 작동시켜 해당 동물에 자극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f) 축사 내의 미리 지정된 격리구역(12) 내부에 질병 동물이 들어와 상기 격리구역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a)가 신호를 감지하여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송출하면,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g) 축사 내의 미리 지정된 격리구역(12) 내부에 정상 동물이 들어와 상기 격리구역 내부에 설치된 무선센서태그 리더기(200)가 신호를 감지하여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로 송출하면,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를 송출하여 자극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정상 동물이 격리구역 외부로 이동하여 격리구역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해당 동물의 무선 센서태그(100)에 자극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i) 질병 발생으로 판단된 동물이 있는 경우, 질병 관제센터 서버(300)는 농장주의 휴대폰이나 컴퓨터 또는 외부기관에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동물 격리 유도 방법.
KR1020120037936A 2012-04-12 2012-04-12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936A KR101179964B1 (ko) 2012-04-12 2012-04-12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936A KR101179964B1 (ko) 2012-04-12 2012-04-12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964B1 true KR101179964B1 (ko) 2012-09-07

Family

ID=4707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936A KR101179964B1 (ko) 2012-04-12 2012-04-12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6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44B1 (ko) * 2012-11-26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실험용 동물의 생체 신호 획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437130B1 (ko) 2013-02-18 2014-09-16 (주)야긴스텍 가축의 바이오 정보에 대한 보정계수를 통한 가축의 질병 판독 시스템
CN106054823A (zh) * 2015-04-10 2016-10-26 费希尔控制产品国际有限公司 用于过程控制系统中的多模式rfst通信的方法和装置
CN106069859A (zh) * 2016-07-22 2016-11-09 华中农业大学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家畜耳标装置
KR101806521B1 (ko) * 2016-06-08 2017-12-07 (주)에코비즈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가축의 방역 시스템
CN111071763A (zh) * 2020-01-14 2020-04-28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动物转运盘点设备及方法
CN111149564A (zh) * 2020-01-09 2020-05-15 四川农业大学 一种商品猪安全生产系统
KR20210039668A (ko) * 2019-10-02 2021-04-12 진유선 스마트 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036123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다운 가축 착유 유도 시스템
CN117195934A (zh) * 2023-11-07 2023-12-08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耳标的跟踪方法及养殖数据采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966A1 (en) * 2004-07-15 2009-02-05 Lawrence Kates Training guidance system for canines, felines, or other anim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966A1 (en) * 2004-07-15 2009-02-05 Lawrence Kates Training guidance system for canines, felines, or other animals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44B1 (ko) * 2012-11-26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실험용 동물의 생체 신호 획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437130B1 (ko) 2013-02-18 2014-09-16 (주)야긴스텍 가축의 바이오 정보에 대한 보정계수를 통한 가축의 질병 판독 시스템
CN106054823A (zh) * 2015-04-10 2016-10-26 费希尔控制产品国际有限公司 用于过程控制系统中的多模式rfst通信的方法和装置
CN106054823B (zh) * 2015-04-10 2021-03-16 费希尔控制产品国际有限公司 用于过程控制系统中的多模式rfst通信的方法和装置
KR101806521B1 (ko) * 2016-06-08 2017-12-07 (주)에코비즈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가축의 방역 시스템
CN106069859A (zh) * 2016-07-22 2016-11-09 华中农业大学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家畜耳标装置
KR20210039668A (ko) * 2019-10-02 2021-04-12 진유선 스마트 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332092B1 (ko) * 2019-10-02 2021-11-29 진유선 스마트 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CN111149564A (zh) * 2020-01-09 2020-05-15 四川农业大学 一种商品猪安全生产系统
CN111149564B (zh) * 2020-01-09 2021-07-23 四川农业大学 一种商品猪安全生产系统
CN111071763A (zh) * 2020-01-14 2020-04-28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动物转运盘点设备及方法
KR20220036123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다운 가축 착유 유도 시스템
KR102476129B1 (ko) * 2020-09-15 2022-12-12 주식회사 다운 가축 착유 유도 시스템
CN117195934A (zh) * 2023-11-07 2023-12-08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耳标的跟踪方法及养殖数据采集方法
CN117195934B (zh) * 2023-11-07 2024-02-20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耳标的跟踪方法及养殖数据采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964B1 (ko)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Farooq et al. A survey on the role of iot in agricult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livestock environment
US9370170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s
US10791708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inish time and ranking of animals in competitive environments
US20080147458A1 (en) Breeding support system
US9949461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identify morbid animals
WO2017183328A1 (ja) 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559201B1 (ko)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
FI126821B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object with a receiver device
KR101423879B1 (ko) 온도센서를 탑재한 캡슐 형태의 생체주입형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 시스템
US200900307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 of resources by healthcare employees
US20190387711A1 (en) Monitoring device, sensor device and respective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monitoring animals
CN103593802A (zh) 基于物联网技术的动物疾病检测预警系统和方法
KR101915178B1 (ko)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JP2018099098A (ja) 家畜の放牧管理システム
KR20190139611A (ko) 동물 상태 감시 및 분석 시스템
US20200137983A1 (en) Livestock management system
JP2007306804A (ja) 動物の健康管理を行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50098024A (ko) 영상정보 및 생체신호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8124A (ko) 동물용 목걸이 및 목걸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CN110140061A (zh) 假警报避免系统
KR102195066B1 (ko) 동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IES86892B2 (en) A lambing monitoring system
KR20130082589A (ko) 동물의 생장 및 번식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4148846A1 (ko) 가축 질병 발견 및 임신 가능 가축 발견을 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