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486A -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486A
KR20150102486A KR1020140024423A KR20140024423A KR20150102486A KR 20150102486 A KR20150102486 A KR 20150102486A KR 1020140024423 A KR1020140024423 A KR 1020140024423A KR 20140024423 A KR20140024423 A KR 20140024423A KR 20150102486 A KR20150102486 A KR 2015010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ease
livestock
disease symptom
symp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이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02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486A/ko
Publication of KR2015010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가축에서 발생되는 전염병을 포함한 각종 질병을 초기에 진단하여 질병 확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축으로부터 측정된 체온이나, 상기 가축의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전염병, 미생물, 독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는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질병 징후 정보를 수집하는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질병 징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가축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접근하여 해당하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독출하는 질병 진단부; 및 상기 독출된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매핑하여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IAGNOSIS OF DOMESTIC ANIMAL DISEASE}
본 발명은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에서 발생되는 전염병을 포함한 각종 질병을 초기에 진단하여 질병 확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질병 관리는 축사에 사육중인 소, 돼지 등의 가축의 건강상태를 농장주 또는 관리인이 개체별로 일일이 가축의 발육상태,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을 직접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분석함으로써, 가축에 대한 질병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측정된 정보가 전염병, 예컨대 구제역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인 경우에는 초기 진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른 농가로 급속도록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럴 경우, 축산 농가에는 많은 재산적 피해를 입힐 수 있고, 예방을 위한 방역 활동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가축 질병을 초기에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왔다.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예로서, 2012년 12월 11일자로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213252호에서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는 온도센서, 가축몸체관통부, 온도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한 온도감지몸체와, 온도감지몸체를 가축에 고정하는 온도감지몸체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도감지몸체는 하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온도센서로 구성하고, 상기 온도감지몸체 고정수단은 지지판, 탄성부, 탄성부 지지판, 주기둥 및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온도감지몸체에 선택적으로 GPS모듈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다른 예로서, 2010년 02월 02일자로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0941498호에서 맥박 측정용 압력센서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는 가축용 이표의 몸체에 가축의 맥박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센서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탑재하여 기준 이상으로 맥박이 상승하였을 경우 관리자용 휴대용 단말기로 질병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원거리에 떨어진 관리자가 가축의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 특허들은 가축의 체온이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또는 압력센서만을 이용하여 가축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었는데, 최근 가축에서 발생되는 질병은 가축의 체온 또는 맥박 측정만으로는 쉽게 알 수 없는 전염성이 강한 질병에 대해서는 쉽게 진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 : 제1213252호, 등록일자 : 2012년 12월 11일, 발명의 명칭 :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 방법. 2. 한국등록특허 :제0941498호, 등록일자 : 2010년 02월 02일, 발명의 명칭 : 맥박 측정용 압력센서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뿐만 아니라, 가축에서 채취되는 독소 및 미생물에 의한 DNA 분석 질병까지도 초기에 진단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네트워크화된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가축에 대한 질병 징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질병 진단 서버를 포함한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질병 진단 서버는, 가축으로부터 측정된 체온이나, 상기 가축의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전염병, 미생물, 독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는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질병 징후 정보를 수집하는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질병 징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가축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접근하여 해당하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독출하는 질병 진단부; 및 상기 독출된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매핑하여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은 상기 질병 진단 서버 또는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 또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는 상기 가축에 부착된 전자귀표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상기 체온 변화를 검출하는 온도 센싱부; 상기 시료를 입력받아 가축에 대한 혈당, 혈압, DNA 조직 성분, 독소 성분 및 미생물 성분 조직을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진단키트부; 및 상기 온도 센싱부와 바이오 센서/진단키트부로부터 검출된 정보들이 상기 질병 진단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병원균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는 질병 징후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가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에 연결된 센서 노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생물학적 정보, 화학적 정보 및 물리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광바이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전자귀표와 온도 센싱부 또는 온도 센서와 온도 센싱부의 사이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가축에 대한 질병 징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축 질병 진단 방법으로서, (a) 가축으로부터 측정된 체온이나, 상기 가축의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전염병, 미생물, 독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질병 징후 정보를 질병 증후 검출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b) 생성된 질병 징후 정보를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질병 징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가축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접근하여 해당하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질병 진단부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독출된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매핑하여 저장 관리부에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질병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방법은 (f) 상기 질병 진단 서버 또는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 또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가축에 부착된 전자귀표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상기 체온 변화를 온도 센싱부에서 검출하는 단계; (a-2) 상기 시료를 바이오 센서/진단키트부에서 입력받아 가축에 대한 혈당, 혈압, DNA 조직 성분, 독소 성분 및 미생물 성분 조직을 검출하는 단계; 및 (a-3) 상기 (b-2)에서 검출된 정보들이 상기 병원균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질병 징후 모듈에서 분석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가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에 연결된 센서 노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생물학적 정보, 화학적 정보 및 물리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는 혈액, 분비물 및 소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온과 시료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비전염성 질병뿐만 아니라 전염성 질병까지도 현장에서 즉시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신속하게 질병 진단 서버와 휴대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질병이 발생된 시점에서 이웃하고 있는 농가까지로의 질병 확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센싱부, 바이오 센서/진단키트부 및 질병 징후 모듈을 구비한 복수개의 질병 증후 검출기를 통해 질병 징후를 빠른 시간안에 체크 가능하고, 복수개의 질병 증후 검출기와 질병 진단 서버간 센서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전국적인 규모로 발생된 질병을 모니터링하고, 대책을 세울 수 있어 전국적인 규모의 전염병 확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100)의 질병 진단 서버(12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 서버(120)에서 검출된 가축 질병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11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100)의 질병 진단 서버(12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100)은 가축(101)에 대한 질병 징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질병 증후 검출기(110), 질병 진단 서버(120), 휴대 단말기(130) 및 센서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가축(101)으로부터 측정된 체온을 이용하여 체온 변화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체온 변화는 가축(101)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온도 측정 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정보이다.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은 전자귀표 또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가축(101)의 가검물, 예컨대 예컨대 혈액, 분비물 및 소변과 같은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검출한다.
이때, 가축(101)의 가검물은 가축(101)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접촉된 수단이 아닌 가축(101)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접적인 배출물의 시료를 이용한 비접촉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비접촉 수단은 진단키트 및/또는 바이오 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축(101)의 체온 변화와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검출하게 되면 이 결과로서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한다. 결국, 상기 질병 징후 정보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가축(101)의 체온 변화와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포함함 가축(101)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염병과 비전염병을 포함한 모든 질병에 대한 이상 징후를 의미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지칭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진단 서버(120)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생성된 질병 징후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과 전염병을 진단하고 이를 모니터링하여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진단 서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121), 위치정보 획득부(122), 질병 진단부(123) 및 저장 관리부(124)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121)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가축(101)의 체온 변화와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포함함 가축(101)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염병과 비전염병을 포함한 모든 질병에 대한 이상 징후인 질병 징후 정보를 질병 증후 검출기(110)로부터 센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획득부(122)는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121)에 의해 질병 징후 정보를 수집함과 동시에 질병 증후 검출기(110)의 고유 식별번호 및 위치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질병 증후 검출기(110)로부터 센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더 제공받아 획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진단부(123)는 질병 징후 정보와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질병 징후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가축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접근하여 해당하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독출한다. 다시 말해, 질병 징후 정보가 기저장된 가국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중에 임의의 병원체와 위험 요소안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로써,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질병 징후 정보가 어떤 질병을 갖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축 병원체 정보는 가축(101)의 주요 전염병별 증상, 진단방법, 치료법 및 케미컬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염병은 가축별, 예컨대 소인 경우에 발우역, 우폐역,구제역, 가성우역, 블루텅병,리프트계곡열,럼프스킨병,수포성구내염, 탄저, 큐열, 기종저, 결핵병, 요네병, 브루셀라병, 타이레리아, 바베시아병, 아나플라즈마, 소해면상뇌증, 소유행열, 소류코시스, 소아까바네병, 소랩토스피라병, 소전염성비기관염, 리프트계곡,수포성구내염, 탄저, 브루셀라, 결핵, 큐열, 렙토스피라병 및 소해면상뇌증(BSE)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염병은 돼지인 경우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돼지수포병, 돼지텐센병, 돼지일본뇌염, 돼지오제스키병, 돼지인플루엔자, 돼지단독, 돼지위축성비염, 돼지유행성설사, 돼지전염성위장염,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돼지일본뇌염, 돼지단독 및 돼지일본뇌염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염병은 닭인 경우 뉴캣슬병,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추백리, 가금티푸스, 가금콜레라, 마렉병, 닭뇌척수염, 닭전염성기관지염, 닭전염성후두기관염, 닭마이코플라즈마병, 닭전염성에프(F)낭병,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및 뉴캣슬병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기저장되는 가축 병원체 정보는 위와 같이 가축(101)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과 비전염성병을 포함한 질병뿐만 아니라, 질병 예방을 위한 진단방법, 치료법 및 케미컬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반면,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가축 종류별로 원?부재료 반입단계, 생산단계, 출하단계에서 위험요소 발생원인, 가능성, 심각성, 위험도, 위해예방을 위한 관리방법등 DB화하여 현장에서 가축 질병을 효율적,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초 프로파일을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생물학적 정보, 화학적 정보 및 물리적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생물학적 정보로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식중독 세균, 인수공통전염병이 있으며, 화학적 정보로는 자연독성, 화학 첨가물, 환경 오염 물질등이 있다. 그리고, 물리적 정보로는 쇳조각, 유리조각 및 금속 물질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관리부(1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질병 진단부(123)에 의해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독출하게 되면 이를 위치 정보와 맵핑시켜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하게 된다. 맵핑된 결과를 모니터링한 결과는 도 3과 같이 일례로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를 질병 진단 서버(120)에서 지도 형태로 모니터링 하게되면, 질병과 전염병이 발생된 지역으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지역으로의 전염병 확산을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되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휴대 단말기(130)에 대해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30)는 질병 진단 서버(120) 또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질병 징후 정보 또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30)는 가축(101)을 기르고 있는 사람 또는 질병과 전염병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방역 활동을 벌이는 사람의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휴대 단말기(130)를 소유한 사람은 자신의 지역과 자신의 가축(101)에 대하여 예의 주시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40)는 질병 증후 검출기(120)가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질병 증후 검출기(120)에 연결된 센서 노드를 관리한다. 상기와 같은 센서 네트워크(140)를 통해 질병 증후 검출기(120)와 질병 진단 서버(120)간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140)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체온과 시료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비전염성 질병뿐만 아니라 전염성 질병까지도 현장에서 즉시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신속하게 질병 진단 서버와 휴대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질병이 발생된 시점에서 이웃하고 있는 농가까지로의 질병 확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가축(101)에 부착된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한다. 상기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는 가축(101)에게 부여된 각축의 객체를 식별함과 동시에 가축(101)의 체온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이때, 시간변화에 따른 체온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온도 센싱부(111)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 센싱부(111)는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와의 근거리 통신망(102)으로 연결되어 가축(101)에 부착된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에서 측정된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체온 변화를 검출한다. 이러한 온도 센싱부(111)는 각 가축(101)에게 부착된 복수개의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제어하여 각 가축(101)에 대한 체온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가축(101)에 부착된 전자귀표 (111a) 또는 온도 센서(111b)와는 달리 가축(101)으로부터 배출되는 가검물, 예컨대 혈액, 분비물 및 소변과 같은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검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바이오 센서(112) 및 진단키트부(113)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바이오 센서(112)는 시료를 입력받아 가축(101)에 대한 혈당, 혈압, DNA 조직 성분을 검출하는 수단을 의미하고, 상기 진단키트부(113)는 시료를 입력받아 가축(101)에 대한 독소 성분 및 미생물 성분 조직을 검출하는 수단을 한다. 이때, 바이오 센서(112)는 광바이오 센서를 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귀표 (111a), 온도 센서(111b), 바이오 센서(112) 및 진단키트부(113)를 통해 체온 변화와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검출하게 되면, 이러한 이상 징후 요소들을 발견하게 되면 이를 검증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증후 검출기(110)는 질병 징후 모듈(11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질병 징후 모듈(114)은 온도 센싱부(111)와 바이오 센서(112) 및 진단키트부(113)로부터 검출된 정보들이 질병 진단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병원균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된 질병 징후 정보는 질병 진단 서버(120)로 보내진다.
한편, 상기 전자귀표(111a)와 온도 센싱부(111) 또는 온도 센서(111b)와 온도 센싱부(111)의 사이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예컨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NFC,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G, 4G, LTE 또는 와이브로(Wibro)와 같은 이동 통신 방식이나 WiFi와 같은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물론, 빅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다른 무선 통신을 추가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원거리와 근거리에 대한 명확한 구별은 큰 의미가 없으며, 이의 구별로 인해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고 있는 권리범위에 영향을 받지는 않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 질병 진단 방법(S100)은 가축(101)에 대한 질병 징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가축(101)으로부터 측정된 체온을 이용하여 체온 변화를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체온 변화는 가축(101)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온도 측정 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정보이다.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은 전자귀표 또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가축(101)의 가검물, 예컨대 예컨대 혈액, 분비물 및 소변과 같은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검출한다.
이때, 가축(101)의 가검물은 가축(101)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접촉된 수단이 아닌 가축(101)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접적인 배출물의 시료를 이용한 비접촉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비접촉 수단은 진단키트 및/또는 바이오 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축(101)의 체온 변화와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검출하게 되면 이 결과로서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한다.
결국, 상기 질병 징후 정보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가축(101)의 체온 변화와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포함함 가축(101)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염병과 비전염병을 포함한 모든 질병에 대한 이상 징후를 의미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지칭되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S110 단계에 의해 검출된 가축(101)의 체온 변화와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포함함 가축(101)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염병과 비전염병을 포함한 모든 질병에 대한 이상 징후인 질병 징후 정보를 질병 증후 검출기(110)로부터 센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S120 단계에 의해 질병 징후 정보를 센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질병 증후 검출기(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함과 동시에 질병 증후 검출기(110)의 고유 식별번호 및 위치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질병 증후 검출기(110)로부터 센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더 제공받아 획득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40 단계에서는 질병 진단 서버(120)에서 질병 징후 정보와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질병 징후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가축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접근하여 해당하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독출한다.
다시 말해, 질병 징후 정보가 기저장된 가국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중에 임의의 병원체와 위험 요소안에 존재하는지를 질병 진단 서버(120)에서 판단한다. 이로써,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질병 징후 정보가 어떤 질병을 갖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축 병원체 정보는 가축(101)의 주요 전염병별 증상, 진단방법, 치료법 및 케미컬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염병은 가축별, 예컨대 소인 경우에 발우역, 우폐역,구제역, 가성우역, 블루텅병,리프트계곡열,럼프스킨병,수포성구내염, 탄저, 큐열, 기종저, 결핵병, 요네병, 브루셀라병, 타이레리아, 바베시아병, 아나플라즈마, 소해면상뇌증, 소유행열, 소류코시스, 소아까바네병, 소랩토스피라병, 소전염성비기관염, 리프트계곡,수포성구내염, 탄저, 브루셀라, 결핵, 큐열, 렙토스피라병 및 소해면상뇌증(BSE)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염병은 돼지인 경우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돼지수포병, 돼지텐센병, 돼지일본뇌염, 돼지오제스키병, 돼지인플루엔자, 돼지단독, 돼지위축성비염, 돼지유행성설사, 돼지전염성위장염,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돼지일본뇌염, 돼지단독 및 돼지일본뇌염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염병은 닭인 경우 뉴캣슬병,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추백리, 가금티푸스, 가금콜레라, 마렉병, 닭뇌척수염, 닭전염성기관지염, 닭전염성후두기관염, 닭마이코플라즈마병, 닭전염성에프(F)낭병,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및 뉴캣슬병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기저장되는 가축 병원체 정보는 위와 같이 가축(101)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과 비전염성병을 포함한 질병뿐만 아니라, 질병 예방을 위한 진단방법, 치료법 및 케미컬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반면,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가축 종류별로 원?부재료 반입단계, 생산단계, 출하단계에서 위험요소 발생원인, 가능성, 심각성, 위험도, 위해예방을 위한 관리방법등 DB화하여 현장에서 가축 질병을 효율적,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초 프로파일을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생물학적 정보, 화학적 정보 및 물리적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생물학적 정보로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식중독 세균, 인수공통전염병이 있으며, 화학적 정보로는 자연독성, 화학 첨가물, 환경 오염 물질등이 있다. 그리고, 물리적 정보로는 쇳조각, 유리조각 및 금속 물질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S140 단계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독출하게 되면 이를 위치 정보와 맵핑시켜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하게 된다. 맵핑된 결과를 모니터링한 결과는 도 3과 같이 일례로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를 질병 진단 서버(120)에서 지도 형태로 모니터링 하게되면, 질병과 전염병이 발생된 지역으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지역으로의 전염병 확산을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되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S16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질병 진단 서버(120) 또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질병 징후 정보 또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 단말기(130)에서 표시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30)는 가축(101)을 기르고 있는 사람 또는 질병과 전염병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방역 활동을 벌이는 사람의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휴대 단말기(130)를 소유한 사람은 자신의 지역과 자신의 가축(101)에 대하여 예의 주시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체온과 시료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비전염성 질병뿐만 아니라 전염성 질병까지도 현장에서 즉시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신속하게 질병 진단 서버와 휴대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질병이 발생된 시점에서 이웃하고 있는 농가까지로의 질병 확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는 S111 단계 내지 S113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는 도 6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11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는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축(101)의 체온 변화와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용이하게 검출하고자 S111 단계 내지 S11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1 단계에서는 가축(101)에 부착된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를 이용하여 질병 증후 검출기(110)에서 체온을 측정한다. 상기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는 가축(101)에게 부여된 각축의 객체를 식별함과 동시에 가축(101)의 체온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S111 단계에서는 가축(101)에 부착된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에서 측정된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체온 변화를 온도 센싱부(111)에서 검출한다. 이러한 온도 센싱부(111)는 각 가축(101)에게 부착된 복수개의 전자귀표(111a) 또는 온도 센서(111b)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제어하여 각 가축(101)에 대한 체온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S112 단계에서는 가축(101)에 부착된 전자귀표 (111a) 또는 온도 센서(111b)와는 달리 가축(101)으로부터 배출되는 가검물, 예컨대 혈액, 분비물 및 소변과 같은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가축(101)에 대한 전염병과 미생물 및 독소를 바이오 센서(112) 및 진단키트부(113)에서 검출한다.
이때, 상기 바이오 센서(112) 및 진단키트부(113)는 시료를 입력받아 가축(101)에 대한 혈당, 혈압, DNA 조직 성분, 독소 성분 및 미생물 성분 조직을 검출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때, 바이오 센서(112)는 광바이오 센서를 일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13 단계에서는 온도 센싱부(111)와 바이오 센서(112) 및 진단키트부(113)로부터 검출된 정보들이 질병 진단 서버(130)로부터 제공받은 병원균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질병 징후 모듈(114)에서 분석하여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된 질병 징후 정보는 질병 진단 서버(120)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질병 징후 모듈(114)에 의해 질병 징후 정보가 생성되면 이상 징후를 발견 즉시 질병 징후 정보를 질병 진단 서버(120)로 보내져 보다 면밀한 검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질병 진단 서버(120)에서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110 : 질병 증후 검출기
111 : 온도 센싱부 111a: 전자귀표
111b: 온도 센서 112 : 바이오 센서
113 : 진단키트부 120 : 질병 진단 서버
121 :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 122 : 위치정보 획득부
123 : 질병 진단부 124 : 저장 관리부
130 : 휴대 단말기 140 : 센서 네트워크

Claims (13)

  1. 가축에 대한 질병 징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질병 진단 서버를 포함한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질병 진단 서버는,
    가축으로부터 측정된 체온이나, 상기 가축의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전염병, 미생물, 독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는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질병 징후 정보를 수집하는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질병 징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가축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접근하여 해당하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독출하는 질병 진단부; 및
    상기 독출된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매핑하여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
    를 포함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병 진단 서버 또는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 또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는,
    상기 가축에 부착된 전자귀표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상기 체온 변화를 검출하는 온도 센싱부;
    상기 시료를 입력받아 가축에 대한 혈당, 혈압, DNA 조직 성분을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
    상기 시료를 입력받아 가축에 대한 독소 성분과 미생물 성분 조직을 검출하는 진단키트부; 및
    상기 온도 센싱부, 바이오 센서부, 진단키트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검출된 정보들이 상기 질병 진단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병원균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는 질병 징후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가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에 연결된 센서 노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생물학적 정보, 화학적 정보 및 물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센서는, 광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귀표와 온도 센싱부 또는 온도 센서와 온도 센싱부의 사이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8. 가축에 대한 질병 징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가축 질병 진단 방법으로서,
    (a) 가축으로부터 측정된 체온이나, 상기 가축의 가검물로부터 채취한 시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전염병, 미생물, 독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질병 징후 정보를 질병 증후 검출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b) 생성된 질병 징후 정보를 질병 징후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질병 징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가축 병원체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접근하여 해당하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질병 진단부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독출된 질병과 전염병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매핑하여 저장 관리부에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축 질병 진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f) 상기 질병 진단 서버 또는 질병 증후 검출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 또는 질병과 전염병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가축에 부착된 전자귀표 또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상기 체온 변화를 온도 센싱부에서 검출하는 단계;
    (a-2) 상기 시료를 바이오 센서와 진단키트부에서 입력받아 가축에 대한 혈당, 혈압, DNA 조직 성분, 독소 성분 및 미생물 성분 조직을 검출하는 단계; 및
    (a-3) 상기 (a-2)에서 검출된 정보들이 병원균 정보와 위험요소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질병 징후 모듈에서 분석하여 상기 질병 징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가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상기 질병 증후 검출기에 연결된 센서 노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생물학적 정보, 화학적 정보 및 물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 분비물 및 소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질병 진단 방법.
KR1020140024423A 2014-02-28 2014-02-28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2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23A KR20150102486A (ko) 2014-02-28 2014-02-28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23A KR20150102486A (ko) 2014-02-28 2014-02-28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86A true KR20150102486A (ko) 2015-09-07

Family

ID=5424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423A KR20150102486A (ko) 2014-02-28 2014-02-28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48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4708A (zh) * 2018-06-08 2019-12-17 刘丹 养殖场疾控管理系统及其应用的管理装置与巡查机器人
CN111261280A (zh) * 2020-01-19 2020-06-09 东北农业大学 一种基于图像分类的家畜疾病诊疗方法及系统
CN111627510A (zh) * 2020-05-18 2020-09-04 赵小红 传染病例自动上报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337219B1 (ko) * 2021-08-04 2021-12-09 (주)네오딘바이오벳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KR20220017751A (ko) 2020-08-05 2022-02-14 남성원 위치정보기반 질병현장진단방법 및 이와 연관된 역학정보관리시스템
KR20230078343A (ko) 2021-11-26 2023-06-02 (주)제넷바이오 현장 질병진단을 위한 가축질병의 신속 진단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4708A (zh) * 2018-06-08 2019-12-17 刘丹 养殖场疾控管理系统及其应用的管理装置与巡查机器人
CN111261280A (zh) * 2020-01-19 2020-06-09 东北农业大学 一种基于图像分类的家畜疾病诊疗方法及系统
CN111627510A (zh) * 2020-05-18 2020-09-04 赵小红 传染病例自动上报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017751A (ko) 2020-08-05 2022-02-14 남성원 위치정보기반 질병현장진단방법 및 이와 연관된 역학정보관리시스템
KR102337219B1 (ko) * 2021-08-04 2021-12-09 (주)네오딘바이오벳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KR20230078343A (ko) 2021-11-26 2023-06-02 (주)제넷바이오 현장 질병진단을 위한 가축질병의 신속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2486A (ko)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294868B1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61311B1 (ko) 가축용 질병 예측 및 알림 시스템
KR101915178B1 (ko)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de Vos Skin testing versus serum-specific IgE testing: which is better for diagnosing aeroallergen sensitization and predicting clinical allergy?
Fries et al. Monitoring hand hygiene via human observers: how should we be sampling?
US20130297343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apparatus
KR101546156B1 (ko) 구제역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G174316A1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able object
WO2010089748A1 (en) Vitality meter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JP2008131862A (ja) ペット診断システム
CN105659239A (zh) 评估无线传感器与被监测患者之间的关联的系统和方法
EP3224616B1 (en) Chemical analysis of urine and feces vapor
CN106994007A (zh) 一种适用于智能马桶的人体健康在线实时检测系统
KR20110049172A (ko)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JP2021015642A5 (ko)
JP2009258886A (ja) 遠隔検査方法および遠隔検査システム
US20240081677A1 (en) Method and devices for detecting viruses and bacterial pathogens
ITRM20060672A1 (it) Sistema telematico per l'impiego di strisce diagnostiche reattive e metodo di acquisizione dati di calibratura.
KR20090109671A (ko) 원격 가축 건강 상태 감시 방법
US20140046600A1 (en) Sim card based medical testing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US20150157279A1 (e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augmented remote monitoring
CN111599458A (zh) 基于以家庭为中心的产科护理管理模式的管理系统及方法
KR20160099942A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체액 분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액 분석 시스템
TWM557421U (zh) 健檢排程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