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790A - 광섬유 케이블 - Google Patents

광섬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790A
KR20200039790A KR1020207008372A KR20207008372A KR20200039790A KR 20200039790 A KR20200039790 A KR 20200039790A KR 1020207008372 A KR1020207008372 A KR 1020207008372A KR 20207008372 A KR20207008372 A KR 20207008372A KR 20200039790 A KR20200039790 A KR 2020003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cord
optical fiber
sheath
inner sheath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741B1 (ko
Inventor
마사토시 오노
고지 도미카와
겐 오사토
히로아키 다니오카
시게카쓰 데쓰타니
요헤이 엔도
유타 마루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20003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1Protective covering with provision in the protective covering, e.g. weak line, for gaining access to one or more fibres, e.g. for branching or tap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02B6/4433Double reinforcement laying in straight line with optical transmission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4Central member to take up tensile l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광섬유 케이블(1A)은, 코어(11) 및 코어를 수용하는 내부 시스(14)를 가지는 강 시트를 수용하는 외부 시스(30)와, 내부 시스에 매설된 외측 립 코드(12)를 구비한다. 내부 시스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15)가 형성되고, 외측 립 코드 중 적어도 일부가, 돌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케이블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2월 21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7-24522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섬유 케이블이 알려져 있다. 이 광섬유 케이블은, 광섬유를 가지는 케이블 본체와, 립 코드(rip cord)와, 보강 시트와, 외부 시스(sheath)를 구비하고 있다. 보강 시트는, 케이블 본체를 위요(圍繞)하고 있고, 케이블 본체가 쥐나 다람쥐 등에 물려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립 코드는, 케이블 본체와 보강 시트와의 사이의 간극에 설치되어 있고, 광섬유 케이블의 해체 시나 중간 후 분기(branching) 작업 시에, 보강 시트 및 외부 시스를 찢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7-72801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는, 예를 들면, 전체 길이 1m 정도가 짧은 광섬유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 케이블이 짧은 경우, 립 코드를 사용하여 보강 시트 및 외부 시스를 찢으려고 해도, 립 코드가 광섬유 케이블 내로부터 뜻하지 않게 빠져 버려, 정상(正常)으로 인열(引裂) 작업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케이블 본체와 보강 시트와의 사이의 간극 내에 립 코드가 배치되어 있고, 인열 작업 시에 립 코드가 빠지기 쉽다.
또, 보강 시트가 둥글게 되어 중첩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립 코드가 그 중첩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면, 보강 시트를 찢기 위해 필요한 힘이 극히 커져 버린다. 그래서 광섬유 케이블의 제조 시에, 보강 시트의 중첩 부분의 내측이 아닌 위치에 립 코드를 위치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립 코드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고, 제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강 시트 및 외부 시스의 인열 작업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광섬유 케이블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은,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수용하는 내부 시스를 가지는 케이블 본체와, 상기 케이블 본체를 위요하는 보강 시트와, 상기 케이블 본체 및 상기 보강 시트를 수용하는 외부 시스와, 상기 내부 시스에 매설된 외측 립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시스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립 코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에 의하면, 보강 시트 및 외부 시스의 인열 작업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광섬유 케이블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3는 (a)부∼(c)부는, 도 2의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코어를 인출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횡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케이블(1A)는, 광섬유를 가지는 케이블 본체(10A)와, 보강 시트(20)와, 외부 시스(30)를 구비하고 있다.
(방향 정의)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본체(10A)의 길이 방향을 단지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케이블 본체(10A)의 중심축선을 단지 중심축선(O)이라고 한다. 또, 중심축선(O)와 직교하는 단면(斷面)을 횡단면이라고 한다. 황단면에서 볼 때, 중심축선(O)에 교차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중심축선(O) 주위로 주위하는 방향을 주위 방향이라고 한다.
케이블 본체(10A)는, 코어(11)와, 한 쌍의 외측 립 코드(12)와, 한 쌍의 항장력체(抗張力體)(텐션 멤버)(13)와, 내부 시스(14)를 가지고 있다.
코어(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코어(11)은, 복수 개의 광섬유를 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코어(11)를 구성하는 광섬유로서는, 광섬유 소선(素線), 광섬유 심선(心線), 광섬유 테이프 심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어(11)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섬유는, 예를 들면, 묶여진 상태에서, 결속재(結束材)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복수의 광섬유는, 가압 권취나 흡수 테이프(시트)로 덮혀 있어도 된다. 코어(11)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라도 되고, 타원형이라도 되고, 직사각형이라도 된다.
한 쌍의 항장력체(13)는, 횡단면에서 볼 때 코어(11)를 협지(sandwich)하도록, 내부 시스(14)에 매설되어 있다. 각각의 항장력체(1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항장력체(13)는, 길이 방향으로 코어(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코어(11)를 중심으로 한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항장력체(13)는, 광섬유 케이블(1A)에 작용하는 장력(張力)으로부터, 코어(11)의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항장력체(13)의 재질은, 예를 들면, 금속선[강선(鋼線) 등], 항장력 섬유[아라미드(aramid) 섬유 등], FRP 등이다. 각각의 항장력체(13)는, 단일의 1개의 선형(線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각각의 항장력체(13)는, 복수의 소선을 묶거나 서로 꼬아 합하거나(twisted back) 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횡단면에서 볼 때, 한 쌍의 항장력체(13)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립선(L)이라고 한다. 중립선(L)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광섬유 케이블(1A)을 굽히면, 그 외의 방향으로 광섬유 케이블(1A)을 벤딩한 경우와 비교하여, 항장력체(13)의 신축(伸縮)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1A)는, 중립선(L)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굽히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리고, 케이블 본체(10A)에는 3개 이상의 항장력체(13)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3개 이상의 항장력체(13)를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等間隔)으로 배치한 경우, 케이블 본체(10A)의 휨의 방향성이 작아져, 광섬유 케이블(1A)을 더욱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내부 시스(14)는, 코어(11) 및 한 쌍의 항장력체(13)를 일괄하여 피복한다. 내부 시스(14)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내부 시스(14)는,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시스(14)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시스(14) 및 한 쌍의 돌기부(15)는,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부(15)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횡단면에서 볼 때, 한 쌍의 돌기부(15)는, 중심축선(O)을 지나고, 중립선(L)와 직교하는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 돌기부(15)는, 횡단면에서 볼 때,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립 코드(12)는,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를 찢는 작업(이하, 단지 인열 작업이라고 함) 시에 사용된다. 외측 립 코드(12)에는,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를 찢을 수가 있는 정도의 기계적 강도[예를 들면, 인장(引張) 강도]가 요구된다.
한 쌍의 외측 립 코드(12)는, 횡단면에서 볼 때, 중심축선(O)을 지나고, 중립선(L)와 직교하는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각의 외측 립 코드(1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립 코드(12)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등의 합성 섬유를 꼬아 합한 끈을 사용할 수 있다. 외측 립 코드(12)는, 내부 시스(14)의 돌기부(15)에 매설되어 있고, 돌기부(1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립 코드(12)는, 횡단면에서 볼 때 돌기부(15)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내부 시스(14) 및 돌기부(15)를 압출 성형한 후, 수조(水槽)에서 냉각시켜도, 외측 립 코드(12)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시트(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케이블 본체(10A)를 위요하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 시트(20)의 재질로서는, 스테인레스강, 구리, 구리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유리 섬유나 아라미드 섬유 등을 사용한 섬유 시트나, FRP 등을 보강 시트(20)로서 사용해도 된다. 보강 시트(20)은, 예를 들면, 테이프형으로 되고, 길이 방향을 케이블 본체(10A)의 길이 방향으로 맞추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시트(20)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0.3㎜ 정도이다. 보강 시트(20)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동물의 식충해에 의해 코어(11)의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막고, 또한 외측 립 코드(12)에 의해 보강 시트(20)를 찢는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강 시트(20)은, 케이블 본체(10A)를 전체 주위에 걸쳐 위요하는 동시에, 주위 방향의 일부로 중첩되어 있다. 보강 시트(20)가 중첩된 부분을 중첩부(20a)라고 한다.
여기서, 광섬유 케이블(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립선(L)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휘기 쉽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중첩부(20a)가 중립선(L) 상에 위치하고 있으면, 광섬유 케이블(1A)의 취급 시에, 중첩부(20a)와 외부 시스(30)가 상대적으로 동작하기 쉬워진다. 중첩부(20a)와 외부 시스(30)가 상대적으로 움직이면, 중첩부(20a)에서의 외주측의 보강 시트(20)의 사이드 에지(20b)가, 외부 시스(30)의 내면을 손상시켜 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한 사이드 에지(20b)와, 항장력체(13)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단면에서 볼 때, 중첩부(20a)의 전체와 항장력체(13)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사이드 에지(20b)와 중립선(L)과의 사이의 거리가 커져, 외부 시스(30)의 내면이 다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보강 시트(20)에서의 케이블 본체(10A)를 향하는 면에는 제1 접착 필름(21)이 접착되어 있다. 보강 시트(20)에서의 외부 시스(30)를 향하는 면에는 제2 접착 필름(22)이 접착되어 있다. 제1 접착 필름(21) 및 제2 접착 필름(22)에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형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의 재질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제2 접착 필름(22)은, 외부 시스(30)를 보강 시트(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접착 필름(21) 및 제2 접착 필름(22) 중, 중첩부(20a)에 있어서 보강 시트(20)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중첩부(20a)와 보강 시트(20)끼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이루고 있다.
외부 시스(30)는, 케이블 본체(10A) 및 보강 시트(20)를 수용하고 있다. 외부 시스(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시스(30)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외부 시스(30)에는, 보강 시트(20)의 중첩부(20a)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마크는, 착색부라도 되고, 돌기부 등이라도 된다.
광섬유 케이블(1A)로부터 코어(11)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먼저, 커터 등의 공구에 의해 외부 시스(30) 및 보강 시트(20)를 부분적으로 연다. 다음에, 열어진 부분으로부터 펜치 등의 공구를 진입시키고, 돌기부(15)마다 외측 립 코드(12)를 협지하고, 외부 시스(30)의 외측으로 인출한다. 이 조작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립 코드(12)에 의해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가 찢어지고, 케이블 본체(10A)를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본체(10A)를 여는 것으로, 코어(11)를 인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의 광섬유 케이블(1A)에 의하면,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를 찢기 위한 외측 립 코드(12)가, 내부 시스(14)에 매설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측 립 코드(12)를 광섬유 케이블(1A) 내로부터 인발(引拔; drawing)할 때의 인발력이 커져, 인열 작업 시에 외측 립 코드(12)가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외측 립 코드(12) 중 적어도 일부가 돌기부(1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공구 등을 사용하여 돌기부(15)마다 외측 립 코드(12)를 협지하고, 이 외측 립 코드(12)를 외부 시스(30)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립 코드(12)를 사용한 인열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외측 립 코드(12)가 돌기부(15) 내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광섬유 케이블(1A)의 제조 시에, 외측 립 코드(12)의 위치가 안정된다. 이로써, 외측 립 코드(12)가 보강 시트(20)의 중첩부(20a)의 직경 방향 내측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도록 광섬유 케이블(1A)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져,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1 실시형태와 기본적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한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B)은, 제1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A)에 대하고 더 개량을 가한 것이며,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를 찢은 후, 코어(11)를 인출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본체(10B)는, 한 쌍의 외측 립 코드(12)에 더하여, 한 쌍의 내측 립 코드(16)를 가지고 있다. 내측 립 코드(16)은, 내부 시스(14) 중, 돌기부(15) 및 외측 립 코드(12)의 직경 방향 내측의 부분에 매설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기부(15)의 근본부(15b)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고, 이 근본부(15b)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돌기부(15)가 파단(破斷)되어, 내부 시스(14)로부터 분단(分斷)되기 쉽게 되어 있다.
내측 립 코드(16)은, 코어(11)에 접하고 있다. 내측 립 코드(16)의 외경(外徑)을 d라고 하고, 내부 시스(14) 중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d≥t를 만족시키고 있다. 그리고, 광섬유 케이블(1B)은 d≥t를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도 된다.
내측 립 코드(16)의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등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끈 외에, PP나 나일론제의 원기둥형 로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기부(15)는, 횡단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단면에서 볼 때, 돌기부(15)의 측면(15a)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측면(15a)는, 돌기부(15)의 주위 방향에서의 폭 W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즉, 돌기부(15)의 측면(15a)는, 이른바 역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돌기부(15)의 근본부(15b)에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집중하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의 광섬유 케이블(1B) 내로부터 코어(11)를 인출하는 작업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커터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외부 시스(30) 및 보강 시트(20)를 부분적으로 절개한다. 다음에,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도 3의 (a)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치 등의 기존의 공구(K)를 보강 시트(20) 내에 진입시킨다. 그리고, 공구(K)에 의해, 돌기부(15)마다 외측 립 코드(12)를 협지한다. 이 때, 돌기부(15)의 주위 방향에서의 폭 W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져 있으므로, 돌기부(15)를 협지한 공구(K)가, 돌기부(15)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다음에, 도 3의 (b)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5)를 협지한 상태로 공구(K)를 끌어올린다. 이로써, 돌기부(15)의 근본부(15b)에 인장 응력이 집중되고, 근본부(15b)를 기점으로 하여 파단이 생기고, 돌기부(15)와 내부 시스(14)가 분단된다. 이로써, 돌기부(15)마다 외측 립 코드(12)를 외부 시스(30)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 외측 립 코드(12)를 끌어올림으로써, 외측 립 코드(12)에 의해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를 찢을 수가 있다.
외측 립 코드(12)를 사용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를 찢을 때, 돌기부(15)는 외측 립 코드(12)와 함께 내부 시스(14)에 대하여 떼어내진다. 그러므로, 돌기부(15)도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시스(14)로부터 분단된다.
여기서, 내측 립 코드(16)는 코어(11)에 접하고 있고, 내측 립 코드(16)의 외경(d)는 내부 시스(14)의 두께 t 이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기부(15)와 내부 시스(14)를 길이 방향을 따라 분단하면, 도 3의 (c)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시스(14)가 스스로 2분할된다. 이로써, 코어(11)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B)에 의하면, 외측 립 코드(12)에 더하여 내측 립 코드(16)가 배치되어 있고, 외측 립 코드(12)를 사용하여 보강 시트(20) 및 외부 시스(30)를 찢음으로써, 내부 시스(14)가 스스로 2분할된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1B)의 해체 작업이나 중간 후 분기 작업 등의 시에, 코어(11)를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돌기부(15)의 주위 방향에서의 폭 W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크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돌기부(15)를 공구(K)로 협지하기 용이해지고, 또한 돌기부(15)의 근본부(15b)에 인장 응력이 집중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15)와 함께 외측 립 코드(12)를 외부 시스(30)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 내측 립 코드(16)의 내경(內徑) d 및 내부 시스(14)의 두께 t가 d≥t를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돌기부(15)와 내부 시스(14)를 분단했을 때, 더욱 확실하게 내부 시스(14)를 분할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한 쌍의 내측 립 코드(16) 및 한 쌍의 외측 립 코드(12)가 황단면에서 볼 때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립 코드(12)가, 내측 립 코드(16)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돌기부(15)의 근본부(15b)에서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근본부(15b)를 기점으로 하여 파단이 생기기 쉬워, 용이하게 내측 립 코드(16)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2 실시형태와 기본적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한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 케이블이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나, 내부 시스(14) 및 돌기부(15)를 압출 성형할 때 수조에 침지하여 냉각시키는 경우를 고려하여, 방수 성능을 높이고 있다. 특히, 외측 립 코드(12) 및 내측 립 코드(16)가 섬유를 꼬아 합한 로프형인 경우에는, 이들 외측 립 코드(12) 및 내측 립 코드(16)에 수분이 침투하여, 케이블 본체 내에서 주수(走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C)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립 코드(12)가 피복(12a)에 의해 덮혀져 있다. 피복(12a)의 재질로서는, 수분을 투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접착성 수지를 외측 립 코드(12)의 외주(外周)에 도포함으로써, 피복(12a)을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립 코드(12)가 부분적으로 돌기부(15)로부터 노출되어 있었다고 해도, 이 노출부를 통해 수분이 돌기부(15)의 내측으로 들어가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본체(10C) 내에서의 주수를 방지하여, 방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2 실시형태와 기본적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한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15)가, 원기둥형의 내부 시스(14)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시스(14)를, 원기둥 형상의 일부를 제거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d)[케이블 본체(10d)]에서는, 원기둥형의 내부 시스(14)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한 제1 홈부(14a1) 및 제2 홈부(14a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홈부(14a1) 및 제2 홈부(14a2)는, 주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내부 시스(14) 중, 제1 홈부(14a1)과 제2 홈부(14a2)와의 사이의 부분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홈부(14a1), (14a2)에 의해, 제1 돌기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코어(11)를 협지하는 홈부(14a1), (14a2)의 직경 방향 반대측에는, 제3 홈부(14a3) 및 제4 홈부(14a4)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홈부(14a3) 및 제4 홈부(14a4)는, 내부 시스(14)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고, 주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내부 시스(14) 중, 제3 홈부(14a3)과 제4 홈부(14a4)와의 사이의 부분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한 쌍의 홈부(14a1), (14a2)의 직경 방향 반대측에 배치된 한 쌍의 홈부(14a3), (14a4)에 의해, 제2 돌기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4a1)∼(14a4)의 내면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14a1)∼(14a4)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홈부(14a1)∼(14a4)는, 황단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이라도 된다. 또, 홈부(14a1)∼(14a4)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돌기부(17a)를 형성하는 한 쌍의 홈부(14a1), (14a2)는, 외측 립 코드(12)를 주위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돌기부(17b)를 형성하는 한 쌍의 홈부(14a3), (14a4)는, 외측 립 코드(12)를 주위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외측 립 코드(12)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돌기부(17a) 또는 제2 돌기부(17b)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돌기부(17a) 및 제2 돌기부(17b)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돌기부(17a) 또는 제2 돌기부(17b)를 공구(K)로 협지하여 끌어올림으로써, 외측 립 코드(12)를 외부 시스(30)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도 3의 (a)∼(c) 부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단면에서 볼 때, 한 쌍의 내측 립 코드(16), 한 쌍의 외측 립 코드(12), 및 한 쌍의 돌기부(17a), (17b)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단, 이 배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7a), (17b)[외측 립 코드(1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내측 립 코드(16)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4 실시형태와 기본적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한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e)[케이블 본체(10E)]에서는, 내부 시스(14)에 복수의 평탄면(14b1)∼(14b4)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시스(14)는,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의 일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평탄면(14b1) 및 제2 평탄면(14b2)은, 제1 돌기부(17a)를 주위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돌기부(17a)는, 한 쌍의 평탄면(14b1), (14b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평탄면(14b3) 및 제4 평탄면(14b4)는, 제2 돌기부(17b)를 주위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돌기부(17b)는, 한 쌍의 평탄면(14b3), (14b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제1 돌기부(17a) 및 제2 돌기부(17b)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외측 립 코드(12)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돌기부(17a) 또는 제2 돌기부(17b)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돌기부(17a) 또는 제2 돌기부(17b)를 공구(K)로 협지하여 끌어올림으로써, 외측 립 코드(12)를 외부 시스(30)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도 3의 (a)∼(c) 부 참조].
평탄면(14b1)∼(14b4)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 횡단면에서 볼 때, 평탄면(14b1)∼(14b4)는, 중립선(L)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단, 평탄면(14b1)∼(14b4)의 형상, 배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면(14b1)∼(14b4)가, 주위 방향으로 외측 립 코드(12)를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과 마찬가지로, 돌기부(17a), (17b)[외측 립 코드(1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내측 립 코드(16)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15, 외측 립 코드(12), 및 내측 립 코드(16)는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들의 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15)의 형상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섬유 케이블(1A)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A)에서의 외측 립 코드(12)가, 피복(12a)으로 덮혀 있어도 된다.
또, 제3 실시형태와 제5 실시형태를 조합시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인 평탄면(14b1), (14b2) 또는 평탄면(14b3), (14b4)에 끼워진 돌기부(17a), (17b)로부터, 외측 립 코드(12)가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외측 립 코드(12)가 피복(12a)로 덮혀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측 립 코드(12)가 인출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케이블 본체(10E)를 제조할 때 냉각수에 침지해도, 외측 립 코드(12)의 내부나 돌기부(17a), (17b)의 내측에 물이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1A∼1E: 광섬유 케이블, 10A∼10E: 케이블 본체, 11: 코어, 12: 외측 립 코드, 12a: 피복, 13: 항장력체, 14: 내부 시스, 14a1∼14a4: 홈부, 14b1∼14b4: 평탄면, 15: 돌기부, 16: 내측 립 코드, 17a, 17b: 돌기부, 20: 보강 시트, 30: 외부 시스

Claims (7)

  1.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수용하는 내부 시스(sheath)를 구비하는 케이블 본체;
    상기 케이블 본체를 위요(圍繞)하는 보강 시트;
    상기 케이블 본체 및 상기 보강 시트를 수용하는 외부 시스; 및
    상기 내부 시스에 매설된 외측 립 코드(rip cord);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시스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립 코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광섬유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주위 방향에서의 폭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크게 되어 있는, 광섬유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스 중, 상기 외측 립 코드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부분에는, 내측 립 코드가 매설되어 있는, 광섬유 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립 코드의 외경(外徑)을 d라고 하고, 상기 내부 시스 중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d≥t를 만족시키는, 광섬유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스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한 한 쌍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홈부에 의해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광섬유 케이블.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주위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상기 내부 시스의 외주면에 한 쌍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는, 광섬유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립 코드가 피복으로 덮혀져 있는, 광섬유 케이블.
KR1020207008372A 2017-12-21 2018-12-11 광섬유 케이블 KR102507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5226A JP6676032B2 (ja) 2017-12-21 2017-12-21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JP-P-2017-245226 2017-12-21
PCT/JP2018/045439 WO2019124157A1 (ja) 2017-12-21 2018-12-11 光ファイバ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790A true KR20200039790A (ko) 2020-04-16
KR102507741B1 KR102507741B1 (ko) 2023-03-07

Family

ID=6699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372A KR102507741B1 (ko) 2017-12-21 2018-12-11 광섬유 케이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15780B2 (ko)
EP (1) EP3730984B1 (ko)
JP (1) JP6676032B2 (ko)
KR (1) KR102507741B1 (ko)
CN (2) CN111213079A (ko)
AU (1) AU2018387892B2 (ko)
CA (1) CA3074700C (ko)
WO (1) WO20191241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28B1 (ko) * 2022-11-14 2023-10-11 혜성씨앤씨주식회사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1960B2 (ja) * 2017-12-21 2021-03-3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7035214B2 (ja) * 2018-10-11 2022-03-1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7363043B2 (ja) 2019-02-14 2023-10-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14258503B (zh) * 2019-12-11 2023-12-08 株式会社藤仓 光纤电缆
WO2021241485A1 (ja) * 2020-05-25 2021-1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接続方法
CN112578518B (zh) * 2020-12-28 2022-08-30 杭州富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轻质抗压防啮咬光缆
US11501895B2 (en) * 2021-02-24 2022-11-15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Conductor cable and method
JPWO2022244609A1 (ko) * 2021-05-17 2022-11-24
CN114002792B (zh) * 2021-10-13 2023-10-13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及其金属带纵包装置
CN114545576A (zh) * 2022-01-19 2022-05-27 杭州富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防鼠蚁光缆
WO2023176319A1 (ja) * 2022-03-14 2023-09-2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452A (en) * 1995-02-21 1997-06-24 Sumitomo Electric Lightwave Corp. Water-blocked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able
JP2001264602A (ja) * 2000-01-11 2001-09-26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の中間部における被覆除去方法
JP2001343569A (ja) * 2000-05-31 2001-12-1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020126970A1 (en) * 1998-12-04 2002-09-12 Anderson Aaron M. Optical fiber cable and core with a reinforced buffer tube having visible strength mem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17072801A (ja) 2015-10-09 2017-04-1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9629A (en) 1987-02-26 1988-03-08 Sumitomo Electric Research Triangle, Inc. Bonded sheath cable with lubricant over seam
JPH1010384A (ja) 1996-06-27 1998-01-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加入者用光ケーブル
US5905834A (en) 1997-07-21 1999-05-18 Pirelli Cable Corporation Combination loose tube optical fiber cable with reverse oscillating lay
JPH11185534A (ja) 1997-12-17 1999-07-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ップコード入りケーブル
US6545222B2 (en) * 2000-01-11 2003-04-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able, and method for removing sheath at intermediate part of cable
JP2002098870A (ja) * 2000-09-22 2002-04-0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5148150A (ja) * 2003-11-11 2005-06-09 Fujikura Ltd リップコード及びこのリップコードを用い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並びに光ファイバ単心線
US7197215B2 (en) * 2004-12-15 2007-03-2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s with easy access features
JP4619270B2 (ja) 2005-11-04 2011-01-2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376257B2 (ja) 2006-09-22 2009-12-0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400035B2 (ja) * 2007-05-08 2014-01-29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光ケーブル用リップコ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98701A (ja) 2008-02-20 2009-09-0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9259478A (ja) 2008-04-14 2009-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
JP2009258228A (ja) * 2008-04-14 2009-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
CN102681119B (zh) * 2008-06-30 2015-01-28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光纤缆线以及光纤带
CN101706601B (zh) * 2009-10-10 2014-12-10 国家电网公司 护套内有加强件的层绞式光缆
JP5416147B2 (ja) 2011-01-28 2014-02-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方法
JP2013045005A (ja) 2011-08-25 2013-03-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シース除去方法
CN202330805U (zh) 2011-11-28 2012-07-11 深圳市特发信息股份有限公司 “8”字型中心束管光缆
CN102646483B (zh) * 2012-02-07 2013-07-10 施文杜 一种制造异型线缆的模具
JP2013228567A (ja) 2012-04-26 2013-11-0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4095732A (ja) 2012-11-07 2014-05-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
EP2784788A1 (en) * 2013-03-28 2014-10-01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 Ltd.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JP6211907B2 (ja) * 2013-11-26 2017-10-1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中間後分岐方法
JP6442161B2 (ja) * 2014-05-13 2018-12-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ケーブル及び光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05590681A (zh) * 2014-10-18 2016-05-18 王帅 新型低压电缆
CN106683751A (zh) * 2015-11-08 2017-05-17 杨配媛 一种输送信号电缆
JP6542648B2 (ja) 2015-11-20 2019-07-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524961B2 (ja) * 2016-05-13 2019-06-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止水ケーブル
JP6738434B2 (ja) * 2016-11-17 2020-08-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452A (en) * 1995-02-21 1997-06-24 Sumitomo Electric Lightwave Corp. Water-blocked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able
US20020126970A1 (en) * 1998-12-04 2002-09-12 Anderson Aaron M. Optical fiber cable and core with a reinforced buffer tube having visible strength mem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01264602A (ja) * 2000-01-11 2001-09-26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の中間部における被覆除去方法
JP2001343569A (ja) * 2000-05-31 2001-12-1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7072801A (ja) 2015-10-09 2017-04-1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28B1 (ko) * 2022-11-14 2023-10-11 혜성씨앤씨주식회사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157A1 (ja) 2019-06-27
CN115390206A (zh) 2022-11-25
US11215780B2 (en) 2022-01-04
AU2018387892A1 (en) 2020-07-02
AU2018387892B2 (en) 2021-04-15
US20200209505A1 (en) 2020-07-02
CA3074700A1 (en) 2019-06-27
CN111213079A (zh) 2020-05-29
CA3074700C (en) 2023-03-21
JP6676032B2 (ja) 2020-04-08
KR102507741B1 (ko) 2023-03-07
EP3730984A4 (en) 2021-07-21
JP2019113618A (ja) 2019-07-11
EP3730984A1 (en) 2020-10-28
EP3730984B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741B1 (ko) 광섬유 케이블
JP437625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180106977A1 (en) Optical fiber cable
WO2018025814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851960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7131117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7444833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解体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0106858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54264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TWI770673B (zh) 光纖電纜的芯露出方法
JP4729391B2 (ja) 通信ケーブル
JP532893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62420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21190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中間後分岐方法
JP5503492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分岐方法
WO2013065625A1 (ja) 自己支持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中間後分岐方法
JP2006153930A (ja) 自己支持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22264400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624279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23176319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3667851B2 (ja) 架空光ケーブル
JP2011164465A (ja) 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