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828B1 -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828B1
KR102587828B1 KR1020220151544A KR20220151544A KR102587828B1 KR 102587828 B1 KR102587828 B1 KR 102587828B1 KR 1020220151544 A KR1020220151544 A KR 1020220151544A KR 20220151544 A KR20220151544 A KR 20220151544A KR 102587828 B1 KR102587828 B1 KR 10258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reinforcing
index
optical cable
reinforc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빈
Original Assignee
혜성씨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씨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혜성씨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828B1/ko
Priority to US18/508,639 priority patent/US20240159980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5Optical cables with longitudinally spaced waveguide clam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보강을 위한 각종 내장재를 내장한 상태에서도 직경이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보장됨은 물론, 소형화된 구조로 제조 원가 절감, 포설 작업성 개선 등의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Optical fiber cable with tensile material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rojection}
본 발명은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보강을 위한 각종 내장재를 내장한 상태에서도 직경이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보장됨은 물론, 소형화된 구조로 제조 원가 절감, 포설 작업성 개선 등의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금속 케이블에 비해 넓은 대역폭, 작은 직경, 높은 정보 전송률, 광대역, 저손실, 무유도, 경량 등의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 케이블 통신망을 대신해 그 적용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광섬유 케이블이 가지는 여러 장점 중 특히 넓은 대역폭, 작은 직경, 높은 정보 전송률, 광대역, 저손실 등의 특징은 전화 음성과 다수의 AV 신호 등 각각 상이한 체계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시킬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공중 통신을 비롯하여 종합 유선 방송(CATV), 공장, 빌딩, 연구소 등의 각종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널리 보급되어 지금은 종합 정보 통신망의 기반이되는 기술이 되었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반면, 광섬유 케이블은 광섬유 모재 특성상 장력 또는 급격한 벤딩(Bending) 등과 같은 외부 충격, 압력 등의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입기가 쉽다. 특히, 광섬유는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장력에 매우 취약한 구조상 광섬유 케이블 내에 실장되는 광섬유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케이블 내에 인장재를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인장재는 배치 타입에 따라 케이블 중심 코어에 배치하는 코어형과 광섬유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외피형으로 대별될 수 있다.
한편, 광섬유 케이블은 상기 인장재 외에도, 방수를 위한 방수재, 광섬유간 단락 방지용 세퍼레이터, 차폐를 위한 차폐체 등을 함께 실장하고 있는 실정이며, 여기에 상기 인장재까지 보강될 경우 광섬유 케이블의 직경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개특허 10-2004-008392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강도 보강을 위한 각종 내장재를 내장한 상태에서도 직경이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보장됨은 물론, 소형화된 구조로 제조 원가 절감, 포설 작업성 개선 등의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의 광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를 감싸며 내측면에는 상기 코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돌기와, 인접한 보강돌기 사이로 보강홈을 가지는 피복부; 및 각각의 보강홈에 내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인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인장재에서 편심된 위치의 피복부 상에 식립되는 제2 인장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돌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인장재와 제2 인장재는 보강돌기 길이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복부의 외측면으로는 제2 인장재가 식립된 동일선상의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덱스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덱스를 향하는 제2 인장재의 단부는 피복부의 외측면과 인덱스의 경계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덱스를 향하는 제2 인장재의 단부 좌우 양 측에는 파지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인장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주기로 피복부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인출편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도 보강을 위한 각종 내장재를 내장한 상태에서도 직경이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보장됨은 물론, 소형화된 구조로 제조 원가 절감, 포설 작업성 개선 등의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덱스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인장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인장재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2 인장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광케이블의 종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이하, 광케이블이라 함)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광케이블은 크게, 코어부(10), 피복부(20) 및 제1 인장재(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코어부(10)는 복수의 광섬유 다발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섬유 다발은 튜브에 피복될 수 있고, 튜브 내부로는 충전제를 충전하여 광섬유 사이 사이에 충전제가 패킹될 수 있도록 한다. 층전제는 방수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튜브 내 빈 공간을 채워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피복부(20)는 광케이블의 최외곽을 구성하며 코어부(10)를 감싸 외부요인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피복부(20)는 발포제가 첨가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Hyt-rel)),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나일론 등의 폴리머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절연체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복부(20) 중앙에 형성된 공동에는 코어부(10)가 내장될 수 있다.
피복부(20)의 내측면에는 코어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돌기(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인접한 보강돌기(21) 사이에는 보강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보강돌기(21)와 보강홈(22)은 코어부(10)를 피복부(20) 내측면으로부터 균일하게 이격시켜 코어부(10)가 피복부(20) 내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지 아니하고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코어부(10)와 피복부(20) 사이의 완충 작용을 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으로부터 코어부(1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보강홈(22)은 후술 될 제1 인장재(30) 또는 제2 인장재(40)를 지지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피복부(20) 내에 제1 인장재(30) 또는 제2 인장재(40)의 별도 공간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제1 인장재(30) 또는 제2 인장재(40)를 무리 없이 수용해 협소하고 제한된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광케이블의 직경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돌기(21)는 피복부(20)의 제조 과정에서 피복부(20)와 동종 재료로서 일체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부(10)는 이러한 각각의 보강돌기(21)에 의해 피복부(20) 중심을 향해 이격 지지되어 있고, 특히, 각각의 보강돌기(21) 사이에 형성된 보강홈(22)에 의해 보강돌기(21) 자체의 탄성 변형이 어느 정도 허용될 수 있기 때문에 불특정 방향에서 압력이 가해질 경우 각각의 보강돌기(21)들이 인접한 보강홈(22) 공간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외부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 내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아울러, 보강돌기(21)와 보강홈(22)에 의해 피복부(20)의 내측면이 주름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불균일한 돌출구조에 의한 높이차에 의해 형성되는 피복부(20)의 내측면 구조에 따라 내측면을 타고 흐르는 전류들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파(surface wave)에 대한 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각각의 보강돌기(21)가 갖는 차폐 특성은 각각의 보강돌기(21)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에 의해 차폐를 형성하는 특정 대역 주파수의 배수성 기생 주파수 대역에서 차폐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런 구조는 폭 넓은 대역에서 차폐 특성을 띌 수 있는 구조이다.
복수 개의 보강돌기(21) 각각의 돌출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보강돌기(21) 형태, 인접한 보강돌기(21) 사이 간격은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면이 다소 복잡한 주름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외계 간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인장재(30)는 광케이블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강홈(22)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추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인장재(30)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피복부 내에 균일하게 분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인장재(30)는 복수 개의 보강홈(22) 각각의 대응개소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보강돌기(21) 및 보강홈(22)은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인장재(30) 역시 보강돌기(21) 및 보강홈(22) 길이에 대응되도록 보강홈(22)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섬유 구조를 갖추도록 한다.
제1 인장재(30)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로는, 강선,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 인장강도에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공지된 재료 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복부(20) 내측에 제1 인장재(30)가 내장되더라도 제1 인장재(30)가 코어부(10)의 외측면을 완전히 감싸 보호하는 구조가 아니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구조이고, 특히, 제1 인장재(30) 주변 보강돌기(21) 자체가 소정의 탄성 변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인장 변형을 억제하는 선에서 소정의 연성부여가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광케이블의 경도를 낮춰 포설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 인장재(30)와 보강돌기(21)가 교번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피복부(20)의 탈피를 위해 커터로 피복부(20)를 절개하더라도 특정 부분에서는 제1 인장재(30)의 간섭 없이 보다 쉽게 피복부(20)를 절개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제2 인장재(40), 인덱스(23) 등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아래 설명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인장재(4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인장재(30)의 역할 뿐만 아니라, 매설 위치의 탐지, 탈피 등을 용이하게 하도록 금속 탐지가 용이한 금속 예컨대, 동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제2 인장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복수 개의 제1 인장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 실시예의 재2 인장재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광케이블이 한 번 매설되면 그 매설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설 위치를 찾더라도 광케이블의 중간 분기, 말단 접속 등의 작업을 위한 피복부(20) 분리 작업(탈피)시 피복부(20)에 내장된 각종 구성에 의한 간섭과 탈피 도구의 조작 미숙으로 인한 광섬유 손상 등의 우려로 그 작업이 수월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매설 위치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광섬유의 손상 없이도 피복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인장재(40)는 제1 인장재에서 편심된 피복부에 식립되는 구조로서, 피복부를 구성하는 보강돌기, 보강홈, 공동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피복부 자체에 식립되어 제2 인장재의 취출만으로도 쉽게 피복부의 절개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각의 보강홈(22)에는 제1 인장재(30)가 배치되고, 피복부(20) 자체에는 제2 인장재(40)가 내장될 수 있다.
제2 인장재(40) 역시 제1 인장재(30)와 마찬가지로 피복부(2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별도로 피복부(20)를 절개하지 아니하더라도 피복부(20)에 식립된 제2 인장재(4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 피복부(20)의 외측면으로는 제2 인장재(40)가 내장된 동일선상의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인덱스(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덱스(23) 주변으로 피복부(20)에 내장된 제2 인장재(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해 피복부(20) 외측으로 돌출된 인덱스(23) 부위를 참고하여 제2 인장재(4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인장재(40)는 최대한 인덱스(23) 방향에 치우쳐 배치되도록 하거나, 경우에 따라 인덱스(23)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덱스(23)를 향하는 제2 인장재(40)의 단부는 피복부(20)의 외측면과 인덱스(23)의 경계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 인덱스(23)를 커터로 절개해 내면 제2 인장재(40)가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탈피를 위해 인덱스(23) 부분만을 날카로운 커터로 일부 절개하여 제2 인장재(40)를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펜치를 이용하여 노출된 제2 인장재(40)의 양 쪽을 파지해 외부로 잡아 당겨주게 되면 외부로 당겨지는 제2 인장재(40)에 의해 피복부(20)가 자연스럽게 절개되어 피복부(20)의 내부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23)를 향하는 제2 인장재(40)의 단부 좌우 양 측에는 파지핀(42)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인장재(40)의 단면형상이 단부가 넓게 퍼진 못의 헤드 형상을 가지도록 해 인덱스(23)의 제거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제2 인장재(40)를 펜치 등의 도구로 파지할 때 제2 인장재(40)를 보다 쉽고 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인장재(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주기로 피복부(20) 또는 인덱스(23)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인출편(41)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인출편(41)은 탈피 작업시 펜치 등의 도구를 이용해 제2 인장재(40)를 파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인덱스(23)의 소정의 절개만으로도 외부로 쉽게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수 개의 인출편(41) 각각은 상기 인덱스(23)를 향하는 방향에 꼭지점이 위치하는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도록 하여 충분한 파지면적을 형성하도록 함은 물론, 소정의 인덱스(23) 절개만으로도 외부로 보다 쉽게 노출이 가능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경우에 따라 각각의 인출편(41)은 인덱스(23)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추도록 하고, 각각의 인출편(41)을 등간격, 예를 들어, 1m 간격으로 배치하여 작업자가 외부로 노출된 인출편(41)의 간격만을 참고하여 광케이블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인장재(40)의 단면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탈피를 위해 인덱스(23) 부분만을 날카로운 커터로 일부 절개하여 인출편(41)을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펜치로 노출된 인출편(41) 양 쪽을 파지해 외부로 잡아 당겨주게 되면 인출편(41) 주변의 인덱스(23)가 외부로 당겨지는 제2 인장재(40)에 의해 점차 절개되어 피복부(2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인덱스(23)에는 인출편(41)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마커가 표면에 각인될 수 있다.
인덱스(23)는 곡면을 가지는 반구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인출편(41)은 일부가 상기 인덱스(23) 내부로 삽입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인덱스(23)의 절개시 절개된 인덱스(23) 내부로 인출편(41)이 보다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광케이블의 탈피작업시 커터를 광케이블의 중심을 향해 깊게 찔러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광섬유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절개부분이 피복부(20)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인덱스(23) 부위로 한정되므로 피복부(20)의 과도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제1 인장재(30)를 회피하여 절개가 유도되어 특별한 전문 기술이나 전용 탈피기 없이도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코어부
20: 피복부
30: 제1 인장재
40: 제2 인장재

Claims (5)

  1. 복수의 광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를 감싸며 내측면에는 상기 코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돌기와, 인접한 보강돌기 사이로 보강홈을 가지는 피복부; 및
    상기 피복부 내측에 내장되는 제1 인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장재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보강홈에 내장돼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피복부 내에 분포 구성됨으로써 상기 코어부 외측면에 상기 제1 인장재와 보강돌기가 교번적으로 배치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돌기 각각의 돌출 높이 및 인접한 보강돌기 사이 간격은 각기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인장재에서 편심된 위치의 피복부 상에 식립되는 제2 인장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돌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인장재와 제2 인장재는 보강돌기 길이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복부의 외측면으로는 제2 인장재가 식립된 동일선상의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덱스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를 향하는 제2 인장재의 단부는 피복부의 외측면과 인덱스의 경계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를 향하는 제2 인장재의 단부 좌우 양 측에는 파지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장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주기로 피복부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인출편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KR1020220151544A 2022-11-14 2022-11-14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KR10258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544A KR102587828B1 (ko) 2022-11-14 2022-11-14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US18/508,639 US20240159980A1 (en) 2022-11-14 2023-11-14 Optical fiber cable with tensile material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roj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544A KR102587828B1 (ko) 2022-11-14 2022-11-14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828B1 true KR102587828B1 (ko) 2023-10-11

Family

ID=8829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544A KR102587828B1 (ko) 2022-11-14 2022-11-14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59980A1 (ko)
KR (1) KR1025878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926A (ko) 2003-03-25 2004-10-06 엘지전선 주식회사 인장용 얀 집합체를 중심인장선으로 구비하는 자기지지형광케이블
KR20040102394A (ko) * 2003-05-27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압 포설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
JP2008097890A (ja) * 2006-10-10 2008-04-24 Access Cable Kk ケーブル
KR20200039790A (ko) * 2017-12-21 2020-04-16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섬유 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926A (ko) 2003-03-25 2004-10-06 엘지전선 주식회사 인장용 얀 집합체를 중심인장선으로 구비하는 자기지지형광케이블
KR20040102394A (ko) * 2003-05-27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압 포설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
JP2008097890A (ja) * 2006-10-10 2008-04-24 Access Cable Kk ケーブル
KR20200039790A (ko) * 2017-12-21 2020-04-16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섬유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9980A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6696B1 (en) Optical fibre sheathing
US7308176B2 (en) Optical fiber cables
US6181857B1 (en) Method for accessing optical fibers contained in a sheath
US6934452B2 (en) Optical fiber cables
US20020122639A1 (en) Continuously accessible optical cable
US20060291787A1 (en) Fiber optic cable having strength component
KR20040035876A (ko) 광섬유 케이블
EP3879323B1 (en) Optical fiber cable
KR102587828B1 (ko) 피복 내측 보강돌기 사이에 인장재를 구비한 광케이블
US10031303B1 (en) Methods for forming tight buffered optical fibers using compression to facilitate subsequent loosening
JP4205523B2 (ja) ドロップ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1395474B1 (ko) 광섬유 케이블
JP4185473B2 (ja) 光ファイバコード
EP3584619A1 (en) Optical cable and wall-drilling auxiliary tool combined structure and optical cable
JP2010271515A (ja) スロット型光ケーブル
KR20190088890A (ko) 광케이블
JP4388006B2 (ja) 光ケーブル
JP2006518478A (ja) ダクトへの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圧送[ケーブルを取り付ける方法]
JP2004012611A (ja) ノンメタ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5128326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4205979A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
KR100222790B1 (ko) 싱글튜브 광섬유 케이블
KR200367181Y1 (ko) 가공 및 광가입자 분기 겸용 광케이블
JP2000321472A (ja) 光ケーブル
JP4245825B2 (ja) 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