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743A -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743A
KR20200039743A KR1020207006915A KR20207006915A KR20200039743A KR 20200039743 A KR20200039743 A KR 20200039743A KR 1020207006915 A KR1020207006915 A KR 1020207006915A KR 20207006915 A KR20207006915 A KR 20207006915A KR 20200039743 A KR20200039743 A KR 20200039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region
stopper body
cap
inl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와다
유스케 나카노
사토시 야마데
아키히코 고미야마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40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77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46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71108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48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7259228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301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031608A1/ja
Publication of KR2020003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23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65D41/042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and combined with integral sealing means contacting other surfaces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25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입구 마개 본체와 캡을 구비하는 주출구 마개로서, 캡의 이너 링은, 외주면에 제 1 외경을 갖는 제 1 영역과 제 2 외경을 갖는 제 2 영역을 갖고,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은, 내주면에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영역과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영역을 갖고, 캡이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의 제 1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1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이너 링의 제 2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이너 링의 제 1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1 영역이 밀착된 영역과, 이너 링의 제 2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영역이 밀착된 영역 사이에 공간을 갖는다.

Description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본 발명은,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등의 내용물의 포장 용기로서, 주출구 (注出口) 마개를 형성한 포장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주출구 마개는, 용기 본체에 용착되는 입구 마개 본체와,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되는 캡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종이제 용기에 용착되는 수지제의 본체와,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는 수지제의 나사 뚜껑을 구비한 주출 장치에 있어서, 본체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주출구와, 주출구의 내부에 형성된 폐지판과, 폐지판에 형성된 풀 링을 갖고, 나사 뚜껑은, 본체의 주출구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통부와, 천판과, 이너 링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 에는, 주출 장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교적 연질의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것과, 본체를 성형할 때에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는, 금형 중 폐지판의 중심부에 대응한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11128호
특허문헌 1 의 주출 장치는, 주출구에 형성된 풀 링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풀 링을 잡아 당겨, 폐지판을 주출구로부터 절제함으로써 개봉되는 것이다. 폐지판에 의해 밀봉성을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폐지판에 형성한 풀 링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개봉하기 어렵거나, 풀 링을 뽑아 내는 작업에 시간과 수고가 들거나 하였다.
본 발명은,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풀 링을 없앤 주출구를 채용한 경우에 밀봉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입구 마개 본체와 캡의 나사산의 맞물림 강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나사산의 맞물림 강도를 높게 함으로써 마개를 여는 데에 필요한 힘이 커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종이제의 용기를 사용한 경우, 용기를 확실하게 누르면서 캡에 큰 힘 (토크) 을 가할 필요가 생겨, 마개를 여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 마개를 여는 데에 필요한 힘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폐지판을 없앤 주출 장치의 본체가 검토되고 있지만, 폐지판을 없앤 경우의 게이트의 위치 및 형상에 검토의 여지가 있었다. 게이트의 위치 및 형상이 적절히 설정되지 않으면, 캐비티 내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의 유동이 안정되지 않고, 제품 내부에 잔류 응력이 발생하여, 수축,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큰 잔류 응력이 발생한 제품의 경우, 초음파 용착하는 것에 의해, 그 큰 잔류 응력이 발생한 위치에 있어서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사출 성형에 의한 잔류 응력의 발생이나, 수축, 휨 등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용착되는 입구 마개 본체와,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되는 캡을 구비하는 주출구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캡은, 천판과, 천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내주면에 내측 나사가 형성된 측벽과, 천판의 내면에 둘레상으로 형성된 이너 링을 갖고, 이너 링은, 외주면에, 천판측으로부터, 제 1 외경을 갖는 제 1 영역과, 최외경이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을 갖는 제 2 영역을 갖고, 입구 마개 본체는, 외주면에 외측 나사가 형성된 측벽을 갖고, 또한 캡보다 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은, 내주면에, 용기 본체측과 반대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영역과, 최내경이 제 1 내경보다 작은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영역을 갖고, 캡이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의 제 1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1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이너 링의 제 2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캡의 측벽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됨과 함께, 이너 링의 제 1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1 영역이 밀착된 영역과, 이너 링의 제 2 영역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영역이 밀착된 영역 사이에 공간을 갖는다.
또, 캡은, 천판의 캡의 측벽과 이너 링 사이에 컨택트 링을 추가로 갖고, 캡이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컨택트 링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단이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을 입구 마개 본체에 장착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이너 링의 제 1 영역이,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그 후, 이너 링의 제 2 영역이,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을 더욱 외방으로 밀어넣어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그 후, 캡이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이 입구 마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의 제 1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1 내경의 차가, 이너 링의 제 2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내경의 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이 입구 마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의 제 1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1 내경의 차가 0.30 ㎜ 이상 0.50 ㎜ 이하이고, 이너 링의 제 2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내경의 차가 0.10 ㎜ 이상 0.30 ㎜ 이하이고, 캡의 측벽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의 내경과,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의 외경의 차가 0.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너 링의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는,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껍고, 이너 링의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는,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은, 캡의 측벽의 천판과는 반대측의 단부 (端部) 에 형성한 박육부를 개재하여 장착된 원통상의 밴드부와, 밴드부의 박육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단이 연접하는 1 개 이상의 플랩을 추가로 갖고, 입구 마개 본체는,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와,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외주면의 외측 나사와 플랜지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추가로 갖고, 캡이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밴드부는, 박육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플랜지와 밀착되고, 플랩은, 타단이 돌기부와 플랜지 사이의 공극에, 천판을 향해 경사지도록 밴드부와의 연접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수용되어도 된다.
또, 입구 마개 본체는,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와, 플랜지의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과는 반대측의 면에, 평면에서 보아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동심원 상에 배열되어, 리브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오목부와, 오목부 중 1 개로부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축 방향에, 플랜지의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과는 반대측의 면을 넘지 않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게이트구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또, 본 발명 다른 국면은, 상기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 마개를 여는 데에 필요한 힘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사출 성형에 의한 잔류 응력의 발생이나, 수축, 휨 등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구 마개 본체에 대한 캡의 나선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캡의 단면 및 입구 마개 본체의 단면을 중첩한 모식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구 마개 본체에 대한 캡의 캡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구 마개 본체의 하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주출구 마개의 구성)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실시형태 사이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a) 는 주출구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 나타내는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구 마개 (1) 는, 용기 본체 (2) 에 용착되는 입구 마개 본체 (3) 와,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되는 캡 (4) 을 구비한다. 캡 (4) 은, 천판 (5) 과, 천판 (5) 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내주면에 내측 나사가 형성된 측벽 (6) 과, 천판 (5) 의 내면에 둘레상으로 형성된 이너 링 (7) 과, 천판 (5) 의 측벽 (6) 과 이너 링 (7) 사이에 형성된 컨택트 링 (8) 을 갖는다. 이너 링 (7) 은, 외주면에, 천판 (5) 측으로부터, 제 1 외경을 갖는 제 1 영역 (9) 과, 최외경이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을 갖는 제 2 영역 (10) 을 구비한다. 입구 마개 본체 (3) 는, 외주면에 외측 나사 (11a) 가 형성된 측벽 (11) 을 갖는다.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은, 내주면에, 용기 본체 (2) 측과 반대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영역 (12) 과, 최내경이 제 1 내경보다 작은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영역 (13) 을 갖는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어 있다.
또,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어 있다.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은,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에 있어서, 측벽 (6) 과 천판 (5) 의 접속 지점과, 가장 천판 (5) 측에 형성된 내측 나사 사이에 형성된 부분이다.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은, 측벽 (11) 의 용기 본체 (2) 측과 반대의 상단과, 가장 상단측에 형성된 외측 나사 (11a) 사이에 형성된 부분이다. 또,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캡 (4) 의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이 밀착되어 있다.
요컨대,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의 접촉 지점,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의 접촉 지점,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의 접촉 지점,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의 접촉 지점의 4 개 지점이 각각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용기 본체 (2) 는 밀봉되어 있다.
또,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이 밀착된 영역과,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이 밀착된 영역 사이에, 공간 (16) 을 갖는다. 공간 (16) 을 가짐으로써,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에 있어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확실하게 밀착된 영역을 2 개 형성할 수 있다.
입구 마개 본체 (3) 는, 캡 (4) 보다 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입구 마개 본체 (3)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고, 캡 (4)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지만, 입구 마개 본체 (3) 및 캡 (4) 의 재료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입구 마개 본체 (3) 가 캡 (4) 보다 강성 (굽힘 탄성률) 이 낮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입구 마개 본체 (3) 의 재료의 굽힘 탄성률은, 100 ㎫ 이상 1200 ㎫ 이하로 하고, 캡 (4) 의 재료의 굽힘 탄성률은, 1000 ㎫ 이상 2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은, 하단 가장자리에,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17) 를 갖는다. 플랜지 (17) 는 용기 본체 (2) 와 용기 본체 (2) 에 장착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접합 지점이 된다.
(입구 마개 본체에 대한 캡의 나선 장착 과정의 설명)
이하,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서, 입구 마개 본체 (3) 에 대한 캡 (4) 의 나선 장착 과정과, 용기 본체 (2) 의 밀봉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 (d)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구 마개 본체에 대한 캡의 나선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 (d) 는, 각각 도 1(a) 에 나타내는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캡의 단면 및 입구 마개 본체의 단면을 중첩한 모식도이다. 도 4 는, 캡을 입구 마개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캡 및 입구 마개 본체의 단면을 중첩한 도면이고, 도 1(a) 에 나타내는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의 모식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캡 (4) 의 단면에는 해칭을 실시하고, 입구 마개 본체 (3) 의 단면에는 해칭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
입구 마개 본체 (3) 에 캡 (4) 을 나선 장착하려면, 먼저,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4) 의 측벽 (6) 의 내부에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 부분을 삽입한다. 캡 (4) 을 입구 마개 본체 (3) 에 장착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측의 일부가 캡 (4) 의 측벽 (6) 과 이너 링 (7)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은,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도, 각각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후, 캡 (4) 을 닫힘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 때,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은, 각각 접촉하고 있지 않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의 제 1 외경은, 도 3(b) 에 나타내는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경보다 크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입구 마개 본체 (3) 는, 캡 (4) 보다 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이너 링 (7) 이 입구 마개 본체 (3) 의 내부에 삽입될 때에,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이,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접촉하는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을 외방으로 밀어넣는다.
그 후, 캡 (4) 을 닫힘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또,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을 더욱 외방으로 밀어넣는다. 이 때,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은, 각각 접촉하고 있지 않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의 제 2 외경은, 도 3(c) 에 나타내는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경보다 크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입구 마개 본체 (3) 는, 캡 (4) 보다 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이너 링 (7) 이 입구 마개 본체 (3) 의 내부에 삽입될 때에,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이,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접촉하는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을 외방으로 밀어넣는다.
그 후, 캡 (4) 을 닫힘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3(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가 된다. 요컨대,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6) 의 제 1 영역 (12)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이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d) 는, 도 1(b) 와 동일하다.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은, 도 3(b) 의 상태 및 도 3(c) 의 상태의 양방에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도 3(d) 의 상태에 있어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된다. 이에 반해,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은, 도 3(b) 의 상태에 있어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고, 도 3(c) 의 상태에 있어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을 외방으로 밀어넣고, 도 3(d) 의 상태에 있어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된다. 그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의 제 1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의 제 1 내경의 차가,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의 제 2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의 제 2 내경의 차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및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의 접촉을 확보하면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을 2 회 밀어넣는 제 1 영역 (9) 및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을 1 회 밀어넣는 제 2 영역 (10) 의 압입량의 밸런스를 도모할 수 있다.
이너 링 (7) 의 제 1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내경의 차가, 이너 링 (7) 의 제 2 외경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내경의 차보다 큰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 1 외경과 제 1 내경의 차, 및 상기 제 2 외경과 제 2 내경의 차는, 각각 직경에 있어서 0.10 ㎜ 이상 0.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제 1 외경과 제 1 내경의 차를 0.30 ㎜ 이상 0.50 ㎜ 이하로 하고, 제 2 외경과 제 2 내경의 차를 0.10 ㎜ 이상 0.30 ㎜ 이하로 하고, 소정의 부분 (14) 의 내경과 소정의 부분 (15) 의 외경의 차를 0.20 ㎜ 로 할 수 있다. 제 1 외경과 제 1 내경의 차, 및 상기 제 2 외경과 제 2 내경의 차를 각각 상기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내경 및 외경은, 직경에 있어서의 내경 및 외경을 의미한다.
여기서,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의 접촉 영역이, 캡 (4) 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갖는 1 개 지점인 경우, 당해 접촉 영역에 있어서 각각이 접촉되어 있는 부분과 각각이 접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요컨대, 당해 접촉 영역에 간극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이 간극이 연통함으로써 용기 본체 (2) 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 (1) 에 의하면,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및 제 2 영역 (10) 이, 각각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공간 (16) 을 사이에 두고, 각각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및 제 2 영역 (13) 과 밀착된다. 이로써,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내주면에 있어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확실하게 밀착된 영역을 2 개 지점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구 마개 본체 (3) 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 (1) 에 의하면, 개봉 전뿐만 아니라 개봉 후의 재밀봉시에 있어서도,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내주면에 있어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확실하게 밀착된 영역을 2 개 지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내용물이 수납된 용기 본체 (2) 를 플로어 등에 떨어뜨린 경우여도, 주출구 마개 (1) 는 공간 (16) 을 사이에 두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확실하게 밀착된 영역을 2 개 가지고 있다. 이로써, 내용물이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의 1 개 지점째의 밀착 영역을 넘어 공간 (16) 에 침입하였다고 해도, 주출구 마개 (1) 는 다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의 2 개 지점째의 밀착 영역을 갖는다. 요컨대,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에 있어서 밀착 영역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구 마개 본체 (3) 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내용물이 이것들 밀착 영역을 넘어 용기 본체 (2) 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입구 마개 본체 (3) 에 대한 캡 (4) 의 나선 장착 과정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이 밀착된 후에,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이 밀착된다. 이로써, 공간 (16) 의 형성시에 공간 (16) 내로부터 용기 본체 (2) 내에 공기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고, 또한 공간 (16) 에 머무는 공기는 미량이다. 그 때문에, 캡 (4) 의 체결시의 저항이 작은 주출구 마개 (1) 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고온의 내용물을 충전한 경우, 내용물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용기 전체에 냉각수를 샤워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샤워된 냉각수가 캡 (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간극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 (1) 에 의하면, 캡 (4) 이 입구 마개 본체 (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캡 (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캡 (4) 과 입구 마개 본체 (3) 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한 냉각수는, 상기 소정의 부분 (14 및 15) 과의 밀착 영역을 넘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상단부나 입구 마개 본체 (3) 의 내부까지 침입할 수 없다. 그 결과, 냉각수에 의한 입구 마개 본체 (3) 의 상단부나 입구 마개 본체 (3) 의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상단부에, 액 떨어짐 방지를 위해서 돌기부 (18) 및 홈 (19) 을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홈 (19) 은, 돌기부 (18) 의 플랜지 (17) 측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돌기부 (18) 및 홈 (19) 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입구 마개 본체 (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은, 당해 홈 (19) 과, 가장 상단측에 형성된 외측 나사 (11a)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액 떨어짐 방지를 위한 돌기부 (18) 및 홈 (19) 에 샤워 냉각수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주출할 때에, 당해 돌기부 (18) 및 홈 (19) 에 부착된 샤워 냉각수의 잔류물이 내용물과 섞여 주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돌기부 (18) 의 내경을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또한 돌기부 (18) 의 외경을 소정의 부분 (15) 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돌기부 (18) 와 캡 (4) 의 소정의 부분 (14) 및 제 1 영역 (9) 과의 간극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나선 장착 과정에 있어서 측벽 (11) 이 이너 링 (7) 에 의해 외방으로 밀어넣어졌을 때에, 측벽 (11) 의 상단부가 캡 (4) 의 소정의 부분 (14) 에 맞닿아 캡 (4) 의 회전 토크가 상승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홈 (19) 을 형성함으로써, 돌기부 (18) 의 상단이 캡 (4) 의 측벽 (6) 이나 천판 (15) 등에 맞닿은 경우에, 돌기부 (18) 를 홈 (19) 주변에 있어서 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나선 장착 과정에 있어서, 돌기부 (18) 가 캡 (4) 의 측벽 (6) 이나 천판 (15) 등에 맞닿는 것에 의해 측벽 (6) 이 내방으로 밀어넣어져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측으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밀봉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입구 마개 본체 (3) 를 캡 (4) 보다 굽힘 탄성률이 낮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측벽 (11) 을 이너 링 (7) 보다 강성이 낮은 구조로 함으로써, 입구 마개 본체 (3) 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이것에 더하여, 혹은, 이것 대신에, 이너 링 (7) 및 측벽 (11) 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하여, 측벽 (11) 을 이너 링 (7) 보다 낮은 강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두께를,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2 영역 (10) 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두께를,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입구 마개 본체 (3) 및 캡 (4) 에 동일한 정도의 굽힘 탄성률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측벽 (6) 의 제 1 영역 (12) 의 강성을,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의 강성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에 의하면,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개봉 전뿐만 아니라, 개봉 후의 재밀봉시에 있어서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포장 용기의 낙하시에 있어서 주출구 마개로부터의 내용물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첫회의 개봉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개찬 방지 기능을 캡에 부여하기 위해, 캡의 측벽의 하단에 탬퍼 에비던트 밴드를 설치해도 된다. 탬퍼 에비던트 밴드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주출구 마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각각 도 5 에 나타내는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영역 A 및 영역 B 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구 마개 (101) 는, 용기 본체 (2) 에 용착 등에 의해 장착되는 입구 마개 본체 (103) 와,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나선 장착할 수 있는 캡 (104) 을 구비한다. 또한, 도 5 ∼ 도 8 은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를 나타낸다.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란,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나선 장착됨과 함께 캡 (104)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후술하는 돌기부 (11b) 에 의해 규제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캡)
캡 (104) 은, 천판 (5) 과, 천판 (5) 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내주면에 내측 나사 (6a) 가 형성된 측벽 (6) 과, 천판 (5) 에 둘레상으로 형성된 원통상의 이너 링 (7) 과, 천판 (5) 의 측벽 (6) 과 이너 링 (7) 사이에 형성된 컨택트 링 (8) 을 갖는다. 측벽 (6) 의 천판 (5) 과는 반대측의 단부인 하단부에는, 박육부 (118) 를 개재하여 장착된 원통상의 밴드부 (119) 가 형성된다. 밴드부 (119) 의 박육부 (118) 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하단부에는, 일단이 연접하는 플랩 (20) 이 형성된다. 밴드부 (119) 의 하단부에, 캡 (104) 의 내방과 외방을 연통하는 연통부 (119a) 를 1 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밴드부 (119) 는, 마개를 여는 데에 있어서 박육부 (118) 를 파단시킴으로써 캡 (104) 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탬퍼 에비던스 밴드이다. 박육부 (118) 는, 일례로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04) 의 측벽 (6) 및 밴드부 (119) 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되어 형성된, 측벽 (6) 과 밴드부 (119) 를 잇는 복수의 리브 (118a) 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마개를 여는 데에 필요한 힘이 크기에 상당하는 박육부 (118) 의 강도는, 캡핑의 과정에 있어서, 캡 (104) 의 외주면으로부터 리브 (118a) 를 향해 형성되는 홈 (6b) (스코어 커트부 등이라고도 한다) 에 의해 리브 (118a)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홈 (6b)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에 걸쳐서 형성할 수 있다.
플랩 (20) 은, 마개를 열 때에 후술하는 돌기부 (11b) 와 맞닿게 함으로써, 박육부 (118) 를 파단시켜 밴드부 (119) 를 입구 마개 본체 (103) 혹은 캡 (104) 에 남기기 위한 부재이다. 플랩 (20) 은, 밴드부 (119) 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1 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플랩 (20) 을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사용 전에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 (104) 을 나선 장착 등에 의해 장착 (세트) 할 때의 반발력을 저감 (분산) 시킬 수 있다.
연통부 (119a) 는, 밴드부 (119) 를 분할하기 위한 절결부임과 함께, 캡 (10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간극에 침입한 냉각수를, 캡 (10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간극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냉각수는, 용기 본체 (2) 에 고온의 내용물을 충전했을 때에, 내용물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용기 본체 (2) 에 샤워되는 액체이다. 연통부 (119a) 를 형성함으로써, 냉각수에 의한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상단부나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 (119a) 는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입구 마개 본체)
입구 마개 본체 (103) 는, 통상의 측벽 (11) 과, 측벽 (11) 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17) 와, 측벽 (11) 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 (11a) 와, 측벽 (11) 의 외주면의 외측 나사 (11a) 와 플랜지 (17)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 (11b) 를 갖는다.
플랜지 (17) 는, 입구 마개 본체 (103) 를 용기 본체 (2) 에 장착할 때의 접합 지점이 된다. 플랜지 (17) 는, 밴드부 (119) 와 밀착 (밀접) 할 수 있도록, 도 5,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11) 의 근방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 크게 형성해도 된다. 플랜지 (17) 와, 용기 본체 (2) 의 접합에는, 초음파 용착, 접착 등의 주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돌기부 (11b) 는, 마개를 열 때에 플랩 (20) 과 맞닿는 부분이다. 돌기부 (11b) 는, 측벽 (11) 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에 걸쳐서 형성할 수 있고, 플랩 (20) 과 맞닿아 밴드부 (119) 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면, 연속적으로 형성해도 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캡핑 상태에 대해)
도 5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외주면은,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밀착된다. 또, 밴드부 (119) 는, 하단부가 플랜지 (17) 와 밀착된다. 또한, 플랩 (20) 은, 타단이 돌기부 (11b) 와 플랜지 (17) 사이의 공극에, 천판 (5) 을 향하도록 밴드부 (119) 와의 연접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수용된다.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의 밀착 강도는, 밀착면 사이로부터 용기 본체 (2) 의 내용액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밴드부 (119) 와 플랜지 (17) 의 밀착 강도는, 밴드부 (119) 와 플랜지 (17) 사이에, 캡핑된 상태에 있는 캡 (104) 이 유통 과정에 있어서의 진동 등에 의해 회전하여 나선 장착이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이 발생하는 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내주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밴드부 (119) 의 하단부가 플랜지 (17) 와 밀착됨으로써, 캡 (104) 과 플랜지 (17)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캡핑 상태에 있어서의 캡 (104) 의 나선 장착이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랩 (20) 은, 타단이 돌기부 (11b) 와 플랜지 (17) 사이의 공극에 수용됨으로써, 캡 (104) 의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내주면의 밀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마개 본체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너 링 및 측벽의 형상)
주출구 마개 (101) 에서는,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을 밀착 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 (7) 의 외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천판 (5) 측으로부터, 제 1 외경을 갖는 제 1 영역 (9) 과, 최외경이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을 갖는 제 2 영역 (10) 을 형성함과 함께,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용기 본체 (2) 측과 반대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영역 (12) 과, 최내경이 제 1 내경보다 작은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영역 (13) 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시킴과 함께,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에 있어서, 캡 (10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시킬 수도 있다. 소정의 부분 (14) 은, 캡 (104) 의 측벽 (6) 의 내주면에 있어서, 측벽 (6) 과 천판 (5) 의 접속 지점과, 내측 나사 (6a) 의 천판 (5) 측의 단부 사이의 부분이다. 또, 소정의 부분 (15) 은, 측벽 (11) 의 플랜지 (17) 와 반대측의 상단부와, 외측 나사 (11a) 의 상단부 사이의 부분이다. 또한,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캡 (104) 의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도 밀착되어 있다.
요컨대,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에 있어서, 캡 (10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를,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제 1 영역 (12) 의 접촉 지점,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제 2 영역 (13) 의 접촉 지점, 캡 (104) 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소정의 부분 (15) 의 접촉 지점,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의 접촉 지점의 4 개 지점에서 각각 밀착시킬 수 있고, 이로써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에 있어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제 1 영역 (12) 이 밀착된 영역과,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제 2 영역 (13) 이 밀착된 영역 사이에, 공간 (16) 이 생기도록, 이너 링 (7)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을 형성해도 된다. 공간 (16) 이 생김으로써,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에 있어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확실하게 밀착된 영역을 2 개 형성할 수 있다.
입구 마개 본체 (103) 와 캡 (104) 의 밀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입구 마개 본체 (103) 는, 캡 (104) 보다 강성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고, 캡 (104)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지만, 입구 마개 본체 (103) 및 캡 (104) 의 재료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입구 마개 본체 (103) 가 캡 (104) 보다 강성 (굽힘 탄성률) 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재료의 굽힘 탄성률은, 100 ㎫ 이상 1200 ㎫ 이하로 하고, 캡 (104) 의 재료의 굽힘 탄성률은, 1000 ㎫ 이상 2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핑 과정)
다음으로, 도 9 를 참조하면서,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대한 캡 (104) 의 캡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 (d)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구 마개 본체에 대한 캡의 캡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 (d) 는, 각각 도 5 에 나타내는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영역 A (좌측도), 영역 B (우측도) 에 상당하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 (104) 의 박육부 (18) 는,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 (104) 을 장착한 후에 홈 (6b) 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때문에, 도 9(a) ∼ (c) 의 과정에서는 캡 (104) 에 박육부 (118) 및 밴드부 (119) 에 상당하는 구성은 없지만, 편의상, 홈 (6b) 의 형성 후에 밴드부 (119) 가 될 예정인 부분은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로서 나타낸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영역 (9) 및 제 2 영역 (10) 을 구비한 캡 (104) 과 제 1 영역 (12) 및 제 2 영역 (13) 을 구비한 입구 마개 본체 (103) 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나선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외주면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것이면, 캡 (104) 및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04) 의 측벽 (6) 의 내부에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 부분을 삽입한다. 캡 (104) 을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 (104) 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하단에 있어서, 플랩 (20) 이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와의 연접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돌기부 (11b) 에 올라 앉기 시작한다. 또,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측의 일부가 캡 (104) 의 측벽 (6) 과 이너 링 (7)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은,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 캡 (10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도, 각각 접촉하고 있지 않다.
캡 (104) 을 닫힘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04) 의 측벽 (6) 의 하단에 있어서, 플랩 (20) 이 돌기부 (11b) 상을 하방으로 이동한다. 또,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 때,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 캡 (10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은, 각각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 이 때,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이,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접촉하는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을 외방으로 밀어넣는다.
캡 (104) 을 닫힘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04) 의 측벽 (6) 의 하단에 있어서, 플랩 (20) 이 돌기부 (11b) 상을 더욱 하방으로 이동한다. 또,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또,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을 더욱 외방으로 밀어넣는다. 이 때, 캡 (10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및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은, 각각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 이 때,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이,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접촉하는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내주면을 외방으로 밀어넣는다.
그 후, 캡 (104) 을 닫힘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고,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의 하단을 플랜지 (17) 에 맞닿게 하여 밀착시키면, 도 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04) 의 측벽 (6) 의 하단에 있어서, 플랩 (20) 이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와의 연접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돌기부 (11b) 를 타고 넘어,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플랩 (20) 은, 타단이 돌기부 (11b) 와 플랜지 (17) 사이의 공극에, 천판 (5) 을 향하도록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와의 연접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수용된다. 또한, 도 9(d) 는, 도 7 과 동일하다.
또,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의 하단부를 플랜지 (17) 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맞닿게 했을 때에, 캡 (104) 의 측벽 (6) 은 높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순간 적으로 내방을 향해 미소하게 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플랩 (20) 은 내방, 즉, 돌기부 (11b) 와 플랜지 (17) 사이의 공극을 향해 기운다. 이 때문에, 돌기부 (11b) 를 타고 넘은 플랩 (20) 의 타단을, 신속하게 돌기부 (11b) 와 플랜지 (17) 사이의 공극에 수용시킬 수 있어, 플랩 (20) 이 돌기부 (11b) 에 걸려 버려, 돌기부 (11b) 와 플랜지 (17) 사이의 공극에 수용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6) 의 제 1 영역 (12)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캡 (104) 의 측벽 (6) 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 (14)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 (15) 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컨택트 링 (8)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상단이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캡 (104) 의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의 하단부를 플랜지 (17) 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박육부 (118) 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17) 에 밀착된 캡 (104) 의 측벽 (6) 에, 외방으로부터 캡 (104) 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판상의 스코어 커터 (50) 를 맞닿게 하고, 측벽 (6) 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 (6b) 을 둘레 방향에 걸쳐서 형성한다. 홈 (6b) 의 깊이 (즉, 리브 (118a)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는, 후술하는 마개를 여는 과정에 있어서 박육부 (118) 를 파단시키는 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밴드부 형성 예정부 (119') 의 하단부를 플랜지 (17) 에 밀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코어 커터 (50) 가 측벽 (6) 에 맞닿았을 때에, 스코어 커터 (50) 의 가압력에 의해 캡 (104) 이 이동하거나, 변형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형성되는 홈 (6b) 의 깊이 및 형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에 있어서, 플랩 (20) 의 타단과 돌기부 (11b) 의, 캡 (104)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L) (도 9(d) 의 우측도 참조) 는 0.1 ㎜ 이상 0.3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L) 를 0.1 ㎜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돌기부 (11b) 를 타고 넘은 플랩 (20) 이, 돌기부 (11b) 에 걸려 버려, 돌기부 (11b) 와 플랜지 (17) 사이의 공극에 수용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거리 (L) 를 0.3 ㎜ 이하로 함으로써, 캡 (104) 이 진동 등에 의해 느슨해져 열림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도 박육부 (118) 가 파단되지 않는 한, 신속하게 돌기부 (11b) 에 맞닿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캡 (104) 의 상방으로의 이동량을 작게 억제하여, 이너 링 (7)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6) 과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캡 (104) 이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캡핑된 상태로부터 나선 장착이 느슨해져서, 캡 (104) 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랩 (20) 의 타단과 돌기부 (11b) 가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도, 박육부 (118) 가 파단되지 않는 한, 이너 링 (7) 의 제 1 영역 (9)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제 1 영역 (12), 이너 링 (7) 의 제 2 영역 (10) 과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측벽 (11) 의 제 2 영역 (13) 이 모두 접촉하여 높은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출구 마개 (101) 에서는, 나선 장착의 느슨함을 억제하여 밀봉성을 확보하는 힘 (밴드부 (119) 와 플랜지 (17) 사이의 마찰력) 은, 캡핑 과정에 있어서의 체결 토크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마개를 여는 과정)
캡핑된 주출구 마개 (101) 를 마개를 여는 경우에는, 먼저, 캡핑된 캡 (104) 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캡 (104) 은 회전을 하면서, 입구 마개 본체 (103) 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캡 (104) 이 상방으로 거리 (L) 만큼 이동하면, 플랩 (20) 의 타단이 돌기부 (18) 에 맞닿아, 밴드부 (119) 의 상방으로의 움직임은 규제된다.
캡 (104) 을 열림 방향으로 더욱 돌려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움직임이 규제된 밴드부 (119) 와 캡 (104) 의 측벽 (6) 사이에서 박육부 (118) 가 상하 방향으로 인장되어, 파단된다. 이 결과, 밴드부 (119) 가 측벽 (6) 의 하단으로부터 이탈한다. 밴드부 (119) 가 이탈한 캡 (104) 을 열림 방향으로 더욱 돌려 입구 마개 본체 (103) 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주출구 마개 (101) 를 마개를 열 수 있다.
또한, 박육부 (118) 를 파단시켜 마개를 열 때에, 캡 (104) 에 가하는 힘 (토크) 의 크기는 박육부 (118)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스코어 커터 (50) 에 의해 형성하는 홈 (6b) 의 깊이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이 때의 힘의 크기는, 캡핑 과정에 있어서의 체결 토크에 의해 파단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바람직하다.
주출구 마개 (101) 에서는, 밴드부 (119) 와 플랜지 (17)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느슨함을 억제하여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마개를 여는 것을 개시할 때에만 순간적으로 마찰력을 극복하는 토크가 필요하지만, 그 후의 회전에서는 큰 힘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마개를 여는 데에 필요한 힘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주출구 마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입구 마개 본체의 하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 은, 도 11 의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구 마개 (201) 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 용기 본체 (2) 에 장착되는 입구 마개 본체 (203) 와, 입구 마개 본체 (203) 에 장착되어 입구 마개 본체 (203) 를 봉지하여 밀봉할 수 있는 캡 (204) 을 구비한다. 캡 (204) 은, 일례로서 나선 장착에 의해 입구 마개 본체 (203) 에 장착할 수 있다.
(캡)
캡 (204) 은, 일례로서, 천판 (5) 과, 천판 (5) 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내주면에 내측 나사 (6a) 가 형성된 측벽 (6) 과, 천판 (5) 에 둘레상으로 형성된 원통상의 이너 링 (7) 과, 천판 (5) 의 측벽 (6) 과 이너 링 (7) 사이에 형성된 컨택트 링 (8) 을 갖는다.
(입구 마개 본체)
입구 마개 본체 (203) 는, 원통상의 측벽 (11) 과, 측벽 (11) 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17) 를 구비한다. 측벽 (11) 의 외주면에는, 일례로서 외측 나사 (11a) 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 마개 본체 (203) 는, 후술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플랜지 (17) 는, 입구 마개 본체 (203) 를 용기 본체 (2) 에 장착할 때의 접합 지점이 된다.
도 10,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17) 의 측벽 (11) 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평면에서 보아 측벽 (11) 의 동심원 상에 배열되고, 리브 (218) 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오목부 (219)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219) 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면을 돔상으로 하고, 플랜지 (17) 의 측벽 (11) 과는 반대측의 면을 향해 펼쳐지는 테이퍼상으로 할 수 있다. 테이퍼면의 각도 θ (도 10 참조) 는, 50°이상 70°이하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초음파 용착에 있어서의 진동을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오목부 (219) 중 1 개로부터는 게이트구 (220) 가 돌출되어 있다. 게이트구 (220) 는, 측벽 (11) 의 축 방향으로, 플랜지 (17) 의 측벽 (11) 과는 반대측의 면을 넘지 않는 위치까지 돌출된다. 게이트구 (220) 는, 일례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구 (220) 는, 사출 성형시에 용융된 수지 재료를 흘려 넣는 캐비티의 게이트 (입구부) 를 의미하는 것이다.
입구 마개 본체 (203) 와 용기 본체 (2) 는, 일례로서, 용기 본체 (2) 와, 용기 본체 (2) 의 내측에 삽입한 수용구로서의 앤빌 (도시 생략) 및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플랜지 (17) 가 중첩되어 있는 용기 본체 (2) 상에 초음파 혼 (도시 생략) 을 대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용착할 수 있다. 이 때에 발생한 진동은, 플랜지 (17) 로부터 측벽 (11) 에 전달되는데, 오목부 (219) 및 리브 (218) 에 의해 진동의 일부가 흡수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각 부에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사출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의 오목부 (219) 에 대응하는 위치에 게이트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구 (220) 를 오목부 (219) 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게이트로부터 캐비티에 흘려 넣어진 수지 재료를, 캐비티의 측벽 (11) 및 플랜지 (17) 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이로써, 캐비티 내에 수지 재료를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잔류 응력의 발생이나, 수축, 휨 등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초음파 용착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게이트를 측벽 (11)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구 (220) 를 측벽 (11) 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를 통과하는 수지 재료를 측벽 (11) 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흘려 넣을 수 있다. 이로써, 캐비티 내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의 유동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류 응력의 발생이나, 수축, 휨 등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구 (220) 를 오목부 (219) 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수지 재료가 균일하게 충전되기 어려운 게이트구 (220) 의 선단을, 진동의 전파 경로가 되는 플랜지 (17) 로부터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게이트구 (220) 의 선단에 잔류 응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힘에 의해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입구 마개 본체 (203) 에 의하면, 초음파 용착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보다 높은 에너지로의 용착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결과, 용착 강도를 높이거나, 용착에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캡 (204) 의 이너 링 (7) 및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측벽 (11) 은, 주출구 마개 (1) 와 같이, 캡 (204) 을 입구 마개 본체 (203) 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측벽 (11) 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너 링 (7) 의 외주면과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내주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입구 마개 본체 (203) 에 폐지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고, 캡 (204)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지만, 입구 마개 본체 (203) 및 캡 (204) 의 재료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구 마개 본체 (203) 와 캡 (204) 의 밀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입구 마개 본체 (203) 는, 캡 (204) 보다 강성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또, 입구 마개 본체 (203) 가 캡 (204) 보다 강성 (굽힘 탄성률) 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재료의 굽힘 탄성률은, 100 ㎫ 이상 1200 ㎫ 이하로 하고, 캡 (204) 의 재료의 굽힘 탄성률은, 1000 ㎫ 이상 2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의 특징은,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주출구 마개 (101) 의 입구 마개 본체 (103) 에, 입구 마개 본체 (203) 의 리브 (218), 오목부 (219), 게이트구 (220) 를 형성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는, 예를 들어, 액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포장 용기에 형성되는 주출구 마개나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 101, 201 : 주출구 마개
2 : 용기 본체
3, 103, 203 : 입구 마개 본체
4, 104, 204 : 캡
5 : 천판
6 : 측벽
6a : 내측 나사
6b : 홈
7 : 이너 링
8 : 컨택트 링
9 : 제 1 영역
10 : 제 2 영역
11 : 측벽
11a : 외측 나사
11b : 돌기부
12 : 제 1 영역
13 : 제 2 영역
14 : 소정의 부분
15 : 소정의 부분
16 : 공간
17 : 플랜지
18 : 돌기
19 : 홈
118 : 박육부
118a : 리브
119 : 밴드부
119a : 연통부
20 : 플랩
50 : 스코어 커터
218 : 리브
219 : 오목부
220 : 게이트구

Claims (12)

  1. 용기 본체에 용착되는 입구 마개 본체와,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되는 캡을 구비하는 주출구 마개로서,
    상기 캡은, 천판과, 상기 천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내주면에 내측 나사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천판의 내면에 둘레상으로 형성된 이너 링을 갖고,
    상기 이너 링은, 외주면에, 상기 천판측으로부터, 제 1 외경을 갖는 제 1 영역과, 최외경이 상기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을 갖는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입구 마개 본체는, 외주면에 외측 나사가 형성된 측벽을 갖고, 또한 상기 캡보다 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은, 내주면에, 상기 용기 본체측과 반대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영역과, 최내경이 상기 제 1 내경보다 작은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1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2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상기 캡의 측벽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됨과 함께,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1 영역이 밀착된 영역과,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2 영역이 밀착된 영역 사이에 공간을 갖는, 주출구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천판의 상기 캡의 측벽과 상기 이너 링 사이에 컨택트 링을 추가로 갖고,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링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단이 밀착되는, 주출구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장착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을 외방으로 밀어넣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그 후,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을 더욱 외방으로 밀어넣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그 후,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마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외경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1 내경의 차가,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2 외경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2 내경의 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외경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1 내경의 차가 0.30 ㎜ 이상 0.50 ㎜ 이하이고,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2 외경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2 내경의 차가 0.10 ㎜ 이상 0.30 ㎜ 이하이고,
    상기 캡의 측벽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의 내경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의 외경의 차가 0.20 ㎜ 인, 주출구 마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는,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껍고, 이너 링의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는,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얇은, 주출구 마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측벽의 상기 천판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한 박육부를 개재하여 장착된 원통상의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상기 박육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단이 연접하는 1 개 이상의 플랩을 추가로 갖고,
    상기 입구 마개 본체는,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와,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외주면의 상기 외측 나사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박육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상기 플랜지와 밀착되고,
    상기 플랩은, 타단이 상기 돌기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공극에, 상기 천판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밴드부와의 연접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수용되는, 주출구 마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가 느슨해져, 상기 플랩의 타단과 상기 돌기부가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1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2 영역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상기 캡의 측벽의 내주면의 소정의 부분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외주면의 소정의 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됨과 함께,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1 영역이 밀착된 영역과, 상기 이너 링의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 2 영역이 밀착된 영역 사이에 공간을 갖는, 주출구 마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박육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내방과 외방을 연통하는 연통부를 1 개 이상 구비하는, 주출구 마개.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입구 마개 본체에 나선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타단과 상기 돌기부의, 상기 캡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0.1 ㎜ 이상 0.3 ㎜ 이하인, 주출구 마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마개 본체는,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과는 반대측의 면에, 평면에서 보아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동심원 상에 배열되어, 리브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 중 1 개로부터,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의 축 방향에, 상기 플랜지의 상기 입구 마개 본체의 측벽과는 반대측의 면을 넘지 않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게이트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주출구 마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KR1020207006915A 2017-08-10 2018-08-10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KR202000397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5976 2017-08-10
JP2017155976 2017-08-10
JPJP-P-2018-140154 2018-07-26
JP2018140154A JP7087774B2 (ja) 2017-08-10 2018-07-26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JPJP-P-2018-146726 2018-08-03
JP2018146726A JP7110809B2 (ja) 2018-08-03 2018-08-03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JPJP-P-2018-148819 2018-08-07
JP2018148819A JP7259228B2 (ja) 2018-08-07 2018-08-07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PCT/JP2018/030110 WO2019031608A1 (ja) 2017-08-10 2018-08-10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743A true KR20200039743A (ko) 2020-04-16

Family

ID=7019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915A KR20200039743A (ko) 2017-08-10 2018-08-10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14242B2 (ko)
KR (1) KR202000397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743A (ko) * 2017-08-10 2020-04-16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US11591141B2 (en) * 2020-07-08 2023-02-28 Veraseal Pty Limited Closures and vessels with closures
IT202100013640A1 (it) * 2021-05-26 2022-11-26 Vacutest Kima S R L Contenitore a tenuta ermetica per liquidi
WO2023126452A1 (en) * 2021-12-28 2023-07-0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ap for sealing a pack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1128A (ja) 2014-06-30 2016-01-21 天龍化学工業株式会社 紙製容器用の注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9072A (en) * 1963-02-08 1965-06-15 Container Corp Container outlet and closure therefor
FR1479330A (fr) 1966-03-09 1967-05-05 Captocap Ltd Capsule en matière plastique pour le bouchage de récipients
FR2327930A1 (fr) 1975-10-13 1977-05-13 Alca Sa Bouchon a vis en matiere thermoplastique
US4301937A (en) * 1978-05-31 1981-11-24 Maxcap, Inc. Blow molded plastic bottle and plastic cap
US4526282A (en) * 1983-05-05 1985-07-02 Sun Coast Plastics, Inc. Tamper proof closure cap, method, and tool for making same
US4712699A (en) * 1986-10-02 1987-12-15 Captive Plastics, Inc. Package employing unique seal
JPH0390833U (ko) * 1989-12-28 1991-09-17
GB2264108B (en) 1992-01-24 1995-11-15 Beeson & Sons Ltd A container closure assembly
US5275287A (en) 1991-04-10 1994-01-04 Mcg Closures Ltd. Closures
US6041953A (en) * 1995-04-05 2000-03-28 Goodall; Donald Terry Containers and closures therefor
JPH11105904A (ja) * 1997-09-30 1999-04-20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WO2000034133A2 (en) 1998-12-07 2000-06-15 Tjandra Limanjaya Closure cap
US6581792B1 (en) 1998-12-07 2003-06-24 Tjandra Limanjaya Closure cap
US6382444B1 (en) * 1999-03-17 2002-05-07 Sentinel Packaging Systems, Inc. Tamper-evident plastic closure system with snap-on band
US6575319B2 (en) * 2000-04-27 2003-06-10 Bruno Zumbuhl Tab construction for threaded closures having tamper-indicating ring
JP4232362B2 (ja) * 2001-08-24 2009-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気密容器
WO2003026979A2 (en) * 2001-09-28 2003-04-03 Gen-Probe Incorporated Closure system
JP4539010B2 (ja) * 2002-07-17 2010-09-08 凸版印刷株式会社 低開閉トルクで高密封な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2004067101A (ja) * 2002-08-01 2004-03-04 Toppan Printing Co Ltd プルリング付キャップ
JP2004189272A (ja) * 2002-12-11 2004-07-08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付口栓
JP2004315017A (ja) * 2003-04-16 2004-11-11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紙容器用口栓
JP4218429B2 (ja) * 2003-06-09 2009-02-04 凸版印刷株式会社 液体紙容器用口栓
ITMO20030232A1 (it) * 2003-08-07 2005-02-08 Sacmi Mezzi a capsula
JP4496864B2 (ja) 2004-07-07 2010-07-07 凸版印刷株式会社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プラスチック口栓キャップ
DE602004023837D1 (de) * 2004-08-20 2009-12-1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Öffnungsvorrichtung für Packungen mit fliessfähigen Nahrungsmitteln
JP4779411B2 (ja) * 2005-04-11 2011-09-28 凸版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FR2899567B1 (fr) * 2006-04-07 2010-08-13 Eaux Minerales D Evian Saeme S Systeme de fermeture pour recipient
JP4876871B2 (ja) * 2006-11-28 2012-02-15 凸版印刷株式会社 周壁外周面にゴム皮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US8056744B2 (en) * 2007-01-12 2011-11-15 Phoenix Closures, Inc. Closure with ring ribs
KR100951526B1 (ko) 2007-10-25 2010-04-08 이충강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JP5753653B2 (ja) * 2009-11-20 2015-07-22 凸版印刷株式会社 注出口栓および包装容器
DE102010029069A1 (de) * 2010-05-18 2011-11-24 Robert Bosch Gmbh Kunststoffverschluss für verformbare Behältnisse
CN102822065B (zh) * 2010-08-09 2015-07-22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树脂制盖
JP2012136238A (ja) * 2010-12-24 2012-07-19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口栓
JP2013151310A (ja) * 2012-01-26 2013-08-08 Sapporo Beverage Co Ltd 炭酸水用容器および該容器の輸送方法
US20130200036A1 (en) * 2012-02-07 2013-08-08 Plastipak Packaging, Inc. Container seal closure and assembly
EP2836443B1 (en) * 2012-04-13 2017-01-18 Barbaros, Ceylan A container with a lid
JP6322943B2 (ja) * 2013-10-02 2018-05-16 凸版印刷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容器
SG11201610510XA (en) * 2014-06-17 2017-01-27 Suntory Holdings Ltd Resin cap
SG11201700559UA (en) * 2014-07-30 2017-02-27 Toppan Printing Co Ltd Spout stopper and packaging container
WO2016017178A1 (ja) 2014-07-30 2016-02-04 凸版印刷株式会社 注出口栓及び包装容器
SE538508C2 (en) * 2014-11-21 2016-08-23 Petro-Pack Ab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ducing a package closure
JP6808911B2 (ja) 2015-03-26 2021-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蓋付き容器
WO2016157889A1 (ja) * 2015-03-30 2016-10-06 凸版印刷株式会社 注出口栓および包装容器
JP2017114546A (ja) 2015-12-25 2017-06-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組合体、及び注出口組合体付容器
JP7259228B2 (ja) * 2018-08-07 2023-04-18 凸版印刷株式会社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KR20200039743A (ko) * 2017-08-10 2020-04-16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EP3826934A1 (en) * 2018-07-26 2021-06-02 Creanova Universal Closures Ltd. Fluid container closure system
JP2020114741A (ja) * 2019-01-17 2020-07-30 凸版印刷株式会社 注出口栓およ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US11021302B2 (en) * 2019-04-18 2021-06-01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with rotation-inhibiting projection
JP2021037983A (ja) * 2019-09-02 2021-03-11 凸版印刷株式会社 注出口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1128A (ja) 2014-06-30 2016-01-21 天龍化学工業株式会社 紙製容器用の注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2298A1 (en) 2020-06-04
US11414242B2 (en)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9743A (ko) 주출구 마개 및 주출구 마개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
CN111746930B (zh) 用于可倾倒产品的包装料的打开装置和含打开装置的包装
KR102482736B1 (ko) 주출구 마개 및 포장 용기
JP5662786B2 (ja) 合成樹脂製注出口栓
CN110869288B (zh) 塑料盖及其制造方法
JP4485869B2 (ja) 混合用容器蓋
JP5937331B2 (ja) アセプティック充填用キャップ付スパウト
JP7259228B2 (ja)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KR20160064169A (ko) 계측 뚜껑
EP3666678B1 (en) Spout stopper and packaging container provided with spout stopper
JP2019064727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7110809B2 (ja)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を備える包装容器
JP7208848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2020111381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025549A (ja) 注出口組立体及び注出口付き容器
JP734878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7472455B2 (ja) 注出口組立体、注出口付き容器、注出口及びキャップ
JP7413656B2 (ja) 注出口組立体、注出口付き容器、注出口及びキャップ
JP2024016708A (ja) 注出口組立体及び注出口付き容器
JP4393092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23096852A (ja) 口栓
JP2022179462A (ja) 注出口組立体、注出口付き容器および注出口組立体の製造方法
JP6123115B2 (ja) 注出用中栓
JP2004067195A (ja) 注出口栓及び液体用包装容器
KR20230150951A (ko) 힌지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