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542A - 변좌 - Google Patents

변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542A
KR20200038542A KR1020207009071A KR20207009071A KR20200038542A KR 20200038542 A KR20200038542 A KR 20200038542A KR 1020207009071 A KR1020207009071 A KR 1020207009071A KR 20207009071 A KR20207009071 A KR 20207009071A KR 20200038542 A KR20200038542 A KR 20200038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side wall
toilet seat
droop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483B1 (ko
Inventor
타케시 하야시다
노부히코 우메다
슈헤이 니시야마
타케시 이나다
미노루 사토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8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2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of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45/14508Joining juxtaposed sheet-like articles, e.g. for making trim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2045/14524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 B29L2031/7694Closets, toi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1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감합부를 갖는 저판과, 저판 상에 형성되는 측벽부와, 측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착좌부를 갖는 상판과, 저판과 측벽부를 접합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면을 갖는 접합 부재를 구비하고, 감합부는 측벽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해서 패인 오목형상이며, 측벽부는 측벽 기부와, 측벽 기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감합부에 감합하는 제 1 수하부와, 측벽 기부의 하단에 제 1 수하부와 이간되어 형성되고, 제 1 수하부와의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저판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제 2 수하부를 갖고, 감합부의 제 2 수하부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와 이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이다.

Description

변좌
본 발명의 양태는 일반적으로 변좌에 관한 것이다.
변좌는 예를 들면 둔부가 접촉하는 상판과, 변기측에 설치되는 저판을 접합함으로써 구성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수지제 부품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에 접합용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이들 수지제 부품을 접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변좌에서는 청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판과 저판의 접합부에 조인트, 단차, 및 간극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수지를 충전하는 제조 방법에서는 다른 제조 방법과 비교해서 연삭이나 연마 등의 후공정을 적게 하고, 청소성이 높은 변좌를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수지를 충전하는 제조 방법에서는 충전하는 수지가 상판이나 저판의 외면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판이나 저판의 외면으로 수지가 누출되어 버리면, 불량품으로 되거나, 누출한 수지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게 되거나 해서 변좌의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해 버린다.
예를 들면 수지 주입구의 주위에 돌기를 형성하고, 주입구의 주위에 있어서 금형과의 접촉압력을 높임으로써, 수지 누출을 억제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돌기를 그대로 남겨 버리면, 변좌의 청소성을 저하시켜 버린다. 한편, 돌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 등을 추가해 버리면,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해 버린다. 또한 돌기를 찌부러뜨려 넣었다 해도 돌기 근원의 변형에 의해 새로운 요철을 발생시켜 버린다.
이 때문에, 변좌에서는 수지를 충전해서 상판과 저판을 접합하는 경우에, 수지 누출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높은 청소성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본 특허 제3733778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수지를 충전해서 상판과 저판을 접합하는 경우에, 수지 누출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높은 청소성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변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오목형상의 감합부를 갖는 저판과, 상기 저판 상에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착좌부를 갖는 상판과, 상기 저판과 상기 측벽부를 접합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면을 갖는 접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감합부는 상기 측벽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해서 패인 오목형상이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착좌부를 지지하는 측벽 기부와, 상기 측벽 기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판 상에 겹쳐지고, 상기 감합부에 감합하는 제 1 수하부와, 상기 측벽 기부의 하단에 상기 제 1 수하부와 이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하부와의 사이에 상방을 향해서 패인 오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저판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제 2 수하부를 갖고, 상기 접합 부재는 상기 오목부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하부와 상기 저판 사이에 상기 노출면을 배치하고, 상기 감합부의 상기 제 2 수하부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2 수하부와 이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이다.
이 변좌에 의하면, 감합부의 제 2 수하부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을,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와 이간되도록 경사 또는 만곡시킴으로써, 저판 및 제 2 수하부에 금형을 압박하고, 저판측으로부터 접합 부재가 되는 수지를 오목부에 주입해서 변좌를 제조할 때에, 금형의 압박에 따른 힘을 감합부의 측면으로부터 저판의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저판의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의 일부가 된다. 이렇게, 금형의 압박에 따른 힘을 저판의 주입구의 일부가 되는 부분에 전달함으로써, 돌기 등을 형성하지 않고, 주입구의 주위에 있어서의 금형과의 접촉압력(시일압)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주입하는 수지가 주입구로부터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누출된 수지나 돌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를 충전해서 상판과 저판을 접합하는 경우에, 수지 누출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높은 청소성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변좌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의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 직교하는 가상선은 상기 노출면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이다.
이 변좌에 의하면,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의 일부가 되는 저판의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금형의 압박에 따른 힘을 보다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구의 주위에 있어서의 금형과의 접촉압력을 보다 높여서,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상기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수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이다.
이 변좌에 의하면, 수지의 주입에 따른 압력을 돌출부를 통해 저판의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입구의 주위에 있어서의 금형과의 접촉압력을 보다 높여서,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측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2 수하부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이다.
이 변좌에 의하면, 수지의 주입에 따른 압력을 돌출부를 통해 저판의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의해 적절하게 전달하여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방을 향하는 상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저판의 저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측면과 상기 저판의 상기 저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이다.
이 변좌에 의하면, 수지의 주입에 따른 압력을 돌출부를 통해 저판의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의해 적절하게 전달하여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수지를 충전해서 상판과 저판을 접합하는 경우에, 수지 누출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높은 청소성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변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형태에 따른 내주 지지부 및 내주 측벽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 중,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장치(2)는 변좌 장치(4)와, 서양식 양변기(이하, 단지 「변기」라고 한다)(6)를 구비한다.
변좌 장치(4)는 변기(6) 위에 부착된다. 변좌 장치(4)는 변기(6)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부착해도 좋고, 변기(6)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해도 좋다. 변좌 장치(4)는 변좌(10)와, 변기 뚜껑(12)과, 본체부(14)를 갖는다.
여기에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변좌(1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볼 때 상방을 「상방」으로 하고, 변좌(1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볼 때 하방을 「하방」으로 한다. 또한 연 상태의 변기 뚜껑(12)에 등을 향해서 변좌(1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볼 때 좌우 방향을 각각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한다. 도 1에는 상방(UW), 하방(DW), 좌측방(LW), 우측방(RW), 전방(FW), 및 후방(BW)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변기(6)는 하방을 향해서 패인 보올부(6a)를 갖는다. 변기(6)는 보올부(6a)에 있어서 사용자의 소변이나 변 등의 배설물을 받는다. 변좌 장치(4)의 본체부(14)는 변기(6)의 보올부(6a)보다 후방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체부(14)는 변좌(10) 및 변기 뚜껑(12)을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다.
변좌(10)는 개구부(10a)를 갖는다. 변좌(10)는 보올부(6a)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변기(6) 위에 설치되고, 개구부(10a)를 통해 보올부(6a)가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변좌(10)에 앉은 상태에서 보올부(6a)에 배설을 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관통 구멍형상의 개구부(10a)가 형성된 소위 O형의 변좌(10)를 나타내고 있다. 변좌(10)는 O형에 한정되지 않고, U자형 등이어도 좋다. 변좌(10)의 내부에는 착좌부(사용자의 둔부가 접하는 부분)를 따뜻하게 하는 히터 등이 적당하게 설치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0)는 저판(100)과, 상판(200)과, 접합 부재(310,320)를 구비한다. 상판(200)은 저판(100) 위에 설치된다. 저판(100)과 상판(200)은 접합 부재(310) 및 접합 부재(32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하에서, 변좌(1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상방」이나 「하방」 등의 방향은 변좌(10)의 저판(100)이 수평면 상에 적재된 상태(변기(6) 위에 적재되고, 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100) 및 상판(200)은 각각 개구부(100a) 및 개구부(200a)를 갖는다. 저판(100) 및 상판(200)을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은 변좌(10)를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다. 즉, 저판(100) 및 상판(200)을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은 환상 또는 U자상이다. 저판(100)의 개구부(100a) 및 상판(200)의 개구부(200a)에 의해 변좌(10)의 개구부(10a)가 형성된다.
저판(100)은 내주 지지부(110), 외주 지지부(120), 및 저판 기부(130)를 갖는다. 저판 기부(130)는 두께가 대략 일률적이며, 예를 들면 전방부가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후방부가 상방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저판 기부(130)에는 변기(6)의 상면과 접하는 지지 다리(131)가 적당하게 설치된다. 내주 지지부(110)는 저판 기부(130)에 대해서 변좌(10)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 지지부(120)는 저판 기부(130)에 대해서 변좌(10)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판(200)은 내주 측벽부(210), 외주 측벽부(220), 및 착좌부(230)를 갖는다. 착좌부(230)는 변좌(10)에 착좌한 사용자의 둔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착좌부(230)는 내주 측벽부(210) 및 외주 측벽부(22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내주 측벽부(210)는 착좌부(230)에 대해서 변좌(10)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 측벽부(220)는 착좌부(230)에 대해서 변좌(10)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 측벽부(210)는 저판(100)의 내주 지지부(110) 위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 측벽부(220)는 저판(100)의 외주 지지부(120) 위에 설치되어 있다. 내주 측벽부(210)의 하단은 접합 부재(310)에 의해 내주 지지부(110)와 접합되고, 외주 측벽부(220)의 하단은 접합 부재(320)에 의해 외주 지지부(120)와 접합되어 있다.
저판 기부(130)와 착좌부(230)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있다. 또한 내주 측벽부(210)와 외주 측벽부(220)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좌(10)에는 저판(100) 및 상판(200)에 의해 둘러싸여진 내부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변좌(10)가 U자상인 경우 등은 내주 지지부(110)와 외주 지지부(120)가 저판 기부(130)의 둘레에서 연결되고, 내주 측벽부(210)와 외주 측벽부(220)가 착좌부(230)의 둘레에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접합 부재(310)와 접합 부재(320)는 저판 기부(130)의 둘레에서 연속되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내주 지지부(110)의 일부 및 내주 측벽부(210)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외주 지지부(120)의 일부 및 외주 측벽부(220)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내부공간(S)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상판(200)을 향하는 방향을 「외측」으로 하고, 상판(200)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내부공간(S)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으로 한다. 도 4에서는 내주 측벽부(210)를 기준으로 해서 내측(IW) 및 외측(OW)을 나타내고, 도 5에서는 외주 측벽부(220)를 기준으로 해서 내측(IW) 및 외측(OW)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100)의 내주 지지부(110)는 오목형상의 감합부(112)를 갖는다. 감합부(112)는 내주 측벽부(210)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해서 패인 오목형상이다.
내주 측벽부(210)는 제 1 수하부(211)와, 제 2 수하부(212)와, 측벽 기부(214)를 갖는다. 측벽 기부(214)는 착좌부(230)를 지지한다. 제 1 수하부(211)는 측벽 기부(214)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저판(100)의 내주 지지부(110) 위에 겹치고, 감합부(112)에 감합한다.
제 2 수하부(212)는 측벽 기부(214)의 하단에 제 1 수하부(211)와 이간되어 형성되고, 제 1 수하부(211)와의 사이에 상방을 향해서 패인 오목부(216)를 형성함과 아울러, 저판(100)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접합 부재(310)는 오목부(216)내에 형성된다. 접합 부재(310)는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면(310a)을 갖는다. 접합 부재(310)는 제 2 수하부(212)와 저판(100) 사이에 노출면(310a)을 배치한다. 노출면(310a)은 제 2 수하부(212)의 하단과 대략 면일치한다. 또한 노출면(310a)은 저판(100)의 저면(100b)과 대략 면일치한다. 이것에 의해, 저판(100)과 상판(200)의 접합 부분에 간극이나 단차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변좌(10)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대략 면일치」란, 예를 들면 인접하는 2개의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높이의 차가 0.3mm 이하인 것을 말한다.
제 1 수하부(211)는 내측에 형성되고, 제 2 수하부(212)는 제 1 수하부(211)보다 외측에 형성된다. 제 2 수하부(212)는 오목부(216)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212a)을 갖는다. 측면(212a)는 바꿔 말하면, 외측을 향하는 측면이다.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은 측벽 기부(214)의 외측을 향하는 측면(214a)과 연속한다. 즉, 측벽 기부(214)와 제 2 수하부(212) 사이에는 단차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단차 등에 의해 청소성이 저하되거나, 단차 등이 사용자의 엉덩이나 다리 등에 닿아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수하부(211)와 오목부(216)와 제 2 수하부(212)가 배열되는 내주 측벽부(2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2 수하부(212)의 폭은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수하부(212)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얇아진다. 여기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한다」란 하방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것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실질적으로 폭이 변화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하, 「하방을 향함에 따라」의 표현은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것으로 한다.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은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오목부(216)측을 향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수하부(212)의 두께 방향의 폭이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한다.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의 하단부는 예를 들면 볼록곡면형상으로 만곡됨으로써, 오목부(216)측을 향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수하부(212)의 하단부에는 소위 R모따기가 실시되어 있다.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의 하단부는 예를 들면 직선상으로 경사짐으로써 오목부(216)측을 향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 2 수하부(212)의 하단부에는 소위 C모따기를 실시해도 좋다. 단, 측면(212a)의 하단부를 볼록곡면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직선상으로 경사시키는 경우와 비교해서 각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엉덩이나 다리 등이 측면(212a)의 각 등에 닿아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의 하단(212b)은 제 2 수하부(212)의 두께 방향의 중앙(C1)보다 오목부(216)측에 위치한다. 제 2 수하부(212)의 두께 방향의 중앙(C1)은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제 2 수하부(212)의 만곡 또는 경사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중앙이다. 또는 중앙(C1)은 제 2 수하부(212)의 두께 방향의 폭의 평균의 중앙이다.
또한 제 2 수하부(212)의 하단의 두께 방향의 폭(W1)은 노출면(310a)의 두께 방향의 폭(W2)보다 작다. 노출면(310a)의 두께 방향의 폭(W2)은 예를 들면 1mm 정도(예를 들면 0.5mm 이상 3mm 이하)이다. 예를 들면 제 2 수하부(212)의 하단이 만곡 또는 경사진 부분에 있어서 노출면(310a)과 연속적으로 되는 경우, 제 2 수하부(212)의 하단의 두께 방향의 폭(W1)은 무한히 0에 가까워진다. 예를 들면 제 2 수하부(212)의 만곡 또는 경사져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 방향의 폭은 1mm 이상 2mm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제 2 수하부(212)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접합 부재(310)가 되는 수지를 충전할 때의 압력을 제 2 수하부(212)에 있어서 적절하게 받을 수 있다.
감합부(112)의 제 2 수하부(212)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112a)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와 이간된다. 측면(112a)은 예를 들면 직선상으로 경사짐으로써,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와 이간된다. 측면(112a)은 예를 들면 볼록곡면형상 또는 오목곡면형상으로 만곡함으로써,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와 이간되어도 좋다.
제 1 수하부(211)의 형상은 감합부(112)의 형상에 대응한다. 제 1 수하부(211)의 형상은 감합부(11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다. 이것에 의해, 제 1 수하부(211)는 감합부(112)에 감합한다. 제 1 수하부(211)는 감합부(112)와 감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접합 부재(310)가 되는 수지를 충전할 때에, 수지가 내부공간(S)내에 흘러 들어와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감합부(112)의 측면(112a)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 직교하는 가상선(VL)은 노출면(310a)을 지난다.
저판(100)의 내주 지지부(110)는 제 2 수하부(212)와 대향하는 대향면(114)과, 대향면(114)의 하단부로부터 제 2 수하부(212)를 향해서 연장되는 돌출부(116)를 갖는다. 돌출부(116)는 상방을 향하는 상면(116a)을 갖는다. 돌출부(116)의 상면(116a)의 적어도 일부는 저판(100)의 저면(100b)과 대략 평행하다. 여기에서, 「대략 평행」이란 예를 들면 상면(116a)와 저면(100b)의 각도의 차가 ±2°이하인 상태이다.
돌출부(116)는 제 2 수하부(212)와 대향하는 측면(116b)을 갖는다. 돌출부(116)의 측면(116b)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에 근접한다. 측면(116b)은 예를 들면 직선상으로 경사짐으로써,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에 근접한다. 측면(116b)은 예를 들면 볼록곡면형상 또는 오목곡면형상으로 만곡함으로써,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에 근접해도 좋다.
또한 돌출부(116)의 상면(116a)과 저판(100)의 저면(100b)이 이루는 각도는 돌출부(116)의 측면(116b)과 저판(100)의 저면(100b)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상면(116a)은 저면(100b)과 대략 평행한 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측면(116b)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 면 등이어도 좋다. 또, 돌출부(116)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116)는 예를 들면 대략 수평면형상의 상면(116a)과 대략 수직면형상의 측면(116b)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는 돌출부(116)는 예를 들면 대향면(114)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하강 경사지는 측면(116b)만을 갖는 형상 등이어도 좋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100)의 외주 지지부(120)는 감합부(122)를 갖는다. 외주 측벽부(220)는 제 1 수하부(221)와, 제 2 수하부(222)와, 측벽 기부(224)와, 오목부(226)를 갖는다. 접합 부재(320)는 오목부(226)내에 형성되고, 노출면(320a)을 갖는다. 외주 지지부(120) 및 외주 측벽부(220)의 구성은 상하 방향을 축에 대칭인 점을 제외하고, 내주 지지부(110) 및 내주 측벽부(2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외주 지지부(120) 및 외주 측벽부(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판(100), 상판(200), 접합 부재(310), 및 접합 부재(320)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또는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복합재료 등을 포함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내주 지지부(110)의 일부 및 내주 측벽부(210)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 지지부(120) 및 외주 측벽부(220)의 접합 부재(320) 근방의 구조는 예를 들면 내주 지지부(110) 및 내주 측벽부(210)의 접합 부재(310) 근방의 구조와 각각 실질적으로 같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내주 지지부(110)의 일부 및 내주 측벽부(210)의 일부를 예로 들어 변좌(10)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착좌부(230)를 아래로 해서 상판(200)을 금형(M1) 위에 적재한다. 이 때, 상판(200)을 금형(M1)에 끼워 넣도록 하고, 상판(200)의 외측의 면을 금형(M1)으로 누르도록 한다. 이 후, 상판(200) 위에 저판(100)을 배치한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 측벽부(210)의 제 1 수하부(211)가 내주 지지부(110)의 감합부(112)에 감합하고, 돌출부(116)와 제 2 수하부(212) 사이에 주입구가 되는 간극이 생기도록 내주 지지부(110)를 내주 측벽부(210) 위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금형(M2)에 의해 저판(100)을 하방을 향해서 압압한다. 금형(M2)에는 접합 부재(310)가 되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G)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게이트(G)가 돌출부(116)와 제 2 수하부(212)의 간극에 위치하도록 금형(M2)을 저판(100) 및 상판(200) 위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116)와 제 2 수하부(212)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오목부(216)내에 가열한 수지를 게이트(G)로부터 주입한다. 가열된 수지가 간극에 주입되면, 저판(100) 및 상판(200)의 수지와 접하는 면이 열에 의해 용융되고, 수지와 서로 섞인다. 그 후에 수지가 식어서 경화되고, 접합 부재(310)가 됨으로써 저판(100)과 상판(200)이 접합된다. 저판(100)과 상판(200)의 접합 후에는 제 2 수하부(212)의 선단의 모따기나, 수지의 디버링(deburring) 등이 적당하게 행해져도 좋다. 이상에 의해,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10)가 제작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10)에서는 저판(100) 및 제 2 수하부(212,222)에 금형(M2)을 압박하고, 저판(100)측으로부터 접합 부재(310,320)가 되는 수지를 오목부(216,226)에 주입해서 변좌(10)를 제조할 때에, 제 2 수하부(212,222)의 폭을 측벽 기부(214,22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제 2 수하부(212,222)와 금형(M2)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고, 주입구의 일부가 되는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와 금형(M2)의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주입하는 수지가 주입구로부터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누출된 수지나 돌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를 충전해서 상판(200)과 저판(100)을 접합하는 경우에, 수지 누출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높은 청소성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변좌(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게이트(G)의 근방 등에 있어서는 가열된 수지를 주입했을 때에, 저판(100) 및 상판(200)과 수지의 용융되는 양이 많아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게이트(G)의 근방 등에 있어서는 제 2 수하부(212,222)의 폭이 측벽 기부(214,22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변좌(10)는 반드시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제 2 수하부(212,222)의 폭이 측벽 기부(214,22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되는 관계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변좌(10)는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제 2 수하부(212,222)의 폭이 측벽 기부(214,22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되는 관계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변좌(10)에서는 제 2 수하부(212,222)의 오목부(216,226)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212a,222a)이 측벽 기부(214,22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오목부(216,226)측을 향한다. 이것에 의해, 금형(M2)의 압박에 따른 압력이 제 2 수하부(212,222)에 가해졌을 때에,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를 저판(100)측을 향해서 휘게 할 수 있다. 즉, 주입구를 좁히는 측으로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를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주입 압력에 의해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으로 하단부가 강하게 금형(M2)에 압박됨으로써 큰 접촉압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10)에서는 제 2 수하부(212,222)의 오목부(216,226)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212a,222a)의 하단(212b,222b)이 제 2 수하부(212,222)의 두께 방향의 중앙(C1)보다 오목부(216,226)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수하부(212,222)와 금형(M2)의 접촉 면적을 보다 작게 하고, 주입구의 일부가 되는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와 금형(M2)의 접촉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금형(M2)의 압박에 따른 압력이 제 2 수하부(212,222)에 가해졌을 때에,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저판(100)측을 향해서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주입 압력에 의해 하단부가 외측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으로,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가 강하게 금형(M2)에 압박됨으로써 큰 접촉압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10)에서는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의 두께 방향의 폭(W1)은 노출면(310a,320a)의 두께 방향의 폭(W2)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제 2 수하부(212,222)와 금형(M2)의 접촉 면적을 보다 작게 하고, 주입구의 일부가 되는 제 2 수하부(212,222)의 하단부와 금형(M2)의 접촉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10)에서는 감합부(112,122)의 제 2 수하부(212,222)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112a,122a)을,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222)와 이간되도록 경사 또는 만곡시킴으로써, 저판(100) 및 제 2 수하부(212,222)에 금형(M2)을 압박하고, 저판(100)측으로부터 접합 부재(310,320)가 되는 수지를 오목부(216,226)에 주입해서 변좌(10)를 제조할 때에, 금형(M2)의 압박에 따른 힘을 감합부(112,122)의 측면(112a,122a)으로부터 저판(100)의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돌출부(116,126)의 하단부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저판(100)의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의 일부가 된다. 이렇게, 금형(M2)의 압박에 따른 힘을 저판(100)의 주입구의 일부가 되는 부분에 전달함으로써, 돌기 등을 형성하지 않고, 주입구의 주위에 있어서의 금형(M2)과의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주입하는 수지가 주입구로부터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누출된 수지나 돌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를 충전해서 상판과 저판을 접합하는 경우에, 수지 누출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높은 청소성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변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변좌(10)는 반드시 전체 둘레에 있어서 상기 관계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변좌(10)는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측면(112a,122a)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222)와 이간되는 관계로 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변좌(10)에서는 감합부(112,122)의 측면(112a,122a)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 직교하는 가상선(VL)이 노출면(310a,320a)을 지난다. 이것에 의해,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의 일부가 되는 저판(100)의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돌출부(116,126)의 하단부)에 금형(M2)의 압박에 따른 힘을 보다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구의 주위에 있어서의 금형(M2)과의 접촉압력을 보다 높은 높여서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10)에서는 저판(100)이 제 2 수하부(212,222)dhk 대향하는 대향면(114,124)과, 대향면(114,124)의 하단부로부터 제 2 수하부(212,222)를 향해서 연장되는 돌출부(116,126)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수지의 주입에 따른 압력을 돌출부(116,126)를 통해 저판(100)의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입구의 주위에 있어서의 금형(M2)과의 접촉압력을 보다 높여서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10)에서는 돌출부(116,126)가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측면(116b,126b)을 갖고, 돌출부(116,126)의 측면(116b,126b)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2 수하부(212,222)에 근접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의 주입에 따른 압력을 돌출부(116,126)를 통해 저판(100)의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의해 적절하게 전달하고,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10)에서는 돌출부(116,126)의 상면(116a,126a)과 저판(100)의 저면(100b)이 이루는 각도가 돌출부(116,126)의 측면(116b,126b)과 저판(100)의 저면(100b)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수지의 주입에 따른 압력을 돌출부(116,126)를 통해 저판(100)의 제 2 수하부(212,222)와 대향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의해 적절하게 전달하고,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형태에 따른 내주 지지부 및 내주 측벽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와 기능·구성상 실질적으로 같은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외주 지지부(120) 및 외주 측벽부(220)의 구성은 상하 방향을 축에 대칭인 점을 제외하고, 내주 지지부(110) 및 내주 측벽부(2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을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오목부(216)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제 2 수하부(212,222)의 폭을 측벽 기부(214,22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시키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을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오목부(216)측을 향하게 함과 아울러, 제 2 수하부(212)의 접합 부재(310)와의 접합부(212c)를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저판(100)으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제 2 수하부(212,222)의 폭을 측벽 기부(214,22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감소시켜도 좋다.
이 때, 접합부(212c)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시킴으로써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저판(100)으로부터 이간시켜도 좋고, 볼록곡면형상 또는 오목곡면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저판(100)으로부터 이간시켜도 좋다. 또한 측면(212a) 및 접합부(212c)를 경사 또는 만곡시키는 경우에도,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수하부(212)의 측면(212a)의 하단(212b)은 제 2 수하부(212)의 두께 방향의 중앙(C1)보다 오목부(216)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 2 수하부(212)와 접합 부재(310)의 접합부(212c)가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저판(100)측을 향한다. 접합부(212c)는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형상으로 만곡시켜도 좋고, 경사시켜도 좋다. 이 경우, 같은 높이의 위치에 있어서의 접합부(212c)의 경사각도 또는 곡률은 측면(212a)의 경사각도 또는 곡률보다 작다.
이렇게, 제 2 수하부(212)와 접합 부재(310)의 접합부(212c)를 측벽 기부(214)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저판(100)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금형(M2)의 압박에 따른 압력이 제 2 수하부(212)에 가해졌을 때에, 제 2 수하부(212)의 하단부를 보다 저판(100)측을 향해서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주입 압력에 의해 제 2 수하부(212)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으로 하단부가 강하게 금형(M2)에 압박됨으로써 큰 접촉압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212c)는 접합 부재(310)와 서로 용융하므로, 그 계면이 판별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접합 부재(310)의 재료의 성분보다 제 2 수하부(212)의 재료의 성분의 쪽이 높아지는 부분을 제 2 수하부(212)의 계면(접합부(212c))으로 하면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서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하게 설계 변경을 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변좌(1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 변기 장치, 4: 변좌 장치, 6: 변기, 10: 변좌, 12: 변기 뚜껑, 14: 본체부, 100: 저판, 110: 내주 지지부, 112: 감합부, 114: 대향면, 116: 돌출부, 120: 외주 지지부, 122: 감합부, 130: 저판 기부, 131: 지지 다리, 200: 상판, 210: 내주 측벽부, 211: 제 1 수하부, 212: 제 2 수하부, 214: 측벽 기부, 216: 오목부, 220: 외주 측벽부, 221: 제 1 수하부, 222: 제 2 수하부, 224: 측벽 기부, 226: 오목부, 230: 착좌부, 310: 접합 부재, 320: 접합 부재

Claims (5)

  1. 오목형상의 감합부를 갖는 저판과,
    상기 저판 상에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착좌부를 갖는 상판과,
    상기 저판과 상기 측벽부를 접합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면을 갖는 접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감합부는 상기 측벽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해서 패인 오목형상이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착좌부를 지지하는 측벽 기부와,
    상기 측벽 기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판 상에 겹쳐지고, 상기 감합부에 감합하는 제 1 수하부와,
    상기 측벽 기부의 하단에 상기 제 1 수하부와 이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하부와의 사이에 상방을 향해서 패인 오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저판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제 2 수하부를 갖고,
    상기 접합 부재는 상기 오목부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하부와 상기 저판 사이에 상기 노출면을 배치하고,
    상기 감합부의 상기 제 2 수하부와 반대측을 향하는 측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2 수하부와 이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의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 직교하는 가상선은 상기 노출면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상기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수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수하부와 대향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측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2 수하부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방을 향하는 상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저판의 저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측면과 상기 저판의 상기 저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KR1020207009071A 2018-03-29 2018-03-30 변좌 KR102175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3582A JP6614263B2 (ja) 2018-03-29 2018-03-29 便座
JPJP-P-2018-063582 2018-03-29
PCT/JP2018/013644 WO2019187017A1 (ja) 2018-03-29 2018-03-30 便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542A true KR20200038542A (ko) 2020-04-13
KR102175483B1 KR102175483B1 (ko) 2020-11-06

Family

ID=680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071A KR102175483B1 (ko) 2018-03-29 2018-03-30 변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33159B2 (ko)
JP (1) JP6614263B2 (ko)
KR (1) KR102175483B1 (ko)
CN (1) CN111263605B (ko)
MY (1) MY184953A (ko)
TW (1) TWI677311B (ko)
WO (1) WO2019187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8927B2 (ja) * 2018-03-29 2020-09-02 Toto株式会社 便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3778B2 (ja) 1999-03-26 2006-01-11 松下電工株式会社 樹脂製品の製造方法
JP2012045170A (ja) * 2010-08-26 2012-03-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便座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5946B2 (ja) * 1996-02-26 2004-03-15 松下電工株式会社 中空樹脂製品
JPH10276935A (ja) * 1997-04-10 1998-10-20 Inax Corp 便座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9363Y1 (ko) * 2005-12-09 2006-02-22 주식회사 유웨이트레이딩 변기시트
JP4737033B2 (ja) * 2006-10-26 2011-07-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金属製成形品と樹脂板材との接合構造
CN201558047U (zh) * 2009-10-20 2010-08-25 飞虎(厦门)聚氨酯制品有限公司 复合式马桶盖
CN101904713A (zh) * 2010-07-13 2010-12-08 石洪津 盆式座便器盖
JP6559506B2 (ja) * 2015-08-27 2019-08-14 株式会社Lixil 便座及びその製造方法
JP6714809B2 (ja) 2015-09-16 2020-07-01 Toto株式会社 便座および便座の製造方法
JP6521109B2 (ja) * 2017-04-28 2019-05-29 Toto株式会社 便座
JP6748927B2 (ja) * 2018-03-29 2020-09-02 Toto株式会社 便座
JP6551815B1 (ja) * 2018-09-28 2019-07-31 Toto株式会社 便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3778B2 (ja) 1999-03-26 2006-01-11 松下電工株式会社 樹脂製品の製造方法
JP2012045170A (ja) * 2010-08-26 2012-03-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便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00308A1 (en) 2021-01-07
MY184953A (en) 2021-04-30
WO2019187017A1 (ja) 2019-10-03
CN111263605B (zh) 2022-03-18
TW201941729A (zh) 2019-11-01
CN111263605A (zh) 2020-06-09
US11033159B2 (en) 2021-06-15
JP2019170760A (ja) 2019-10-10
TWI677311B (zh) 2019-11-21
JP6614263B2 (ja) 2019-12-04
KR102175483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334B1 (ko) 변좌
JP4311375B2 (ja) 水洗便器
KR102401692B1 (ko) 변좌
CN109788882B (zh) 便座
TWI687187B (zh) 馬桶座及馬桶座的製造方法
KR20200038542A (ko) 변좌
JP6275669B2 (ja) 樹脂製品
JP4462370B2 (ja) 水洗便器の製造方法
TWI677312B (zh) 馬桶座
JP6819209B2 (ja) 便座・便蓋の製造方法および便座装置
JP2008240517A (ja) 水洗便器
JP6275801B1 (ja) 樹脂製品
JP4329874B2 (ja) 水洗便器
JP2021180702A (ja) 便座
JP6374126B2 (ja) 樹脂製品
CN110295656B (zh) 贮水箱、贮热水式换热器及卫生清洗装置
JP2010053542A (ja) 便器及び便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