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106A -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렌즈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렌즈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106A
KR20200032106A KR1020207002570A KR20207002570A KR20200032106A KR 20200032106 A KR20200032106 A KR 20200032106A KR 1020207002570 A KR1020207002570 A KR 1020207002570A KR 20207002570 A KR20207002570 A KR 20207002570A KR 20200032106 A KR20200032106 A KR 2020003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pectacle frame
light
groov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105B1 (ko
Inventor
미치히로 다키이
구니히토 미즈코시
도모야 이시이
교지 다케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20003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electrically, e.g. numerically, controll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측정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이며, 광원을 갖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하는 투광 광학계와, 검출기를 갖고, 투광 광학계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검출기에 의해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와,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휘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렌즈 가공 장치
본 개시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얻기 위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렌즈의 테두리의 가공을 하기 위한 렌즈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 프레임의 림에 측정자를 삽입하고, 측정자를 림에 밀어붙여 이동시킴으로써, 림의 윤곽을 트레이스하여, 림의 형상을 측정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서 얻어진 림의 측정 결과(트레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를 림에 끼우기 위한 형상(목표 형상)이 얻어진다. 그리고 형상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의 윤곽 형상이 결정되고, 안경 렌즈 가공 장치에 의해 렌즈의 테두리이 가공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07536호 공보
그런데, 안경 프레임에 가공 후의 렌즈를 양호하게 끼우기 위해서는, 림의 형상과 가공 후의 렌즈의 윤곽 형상이 가까울수록 보다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측정자를 사용한 림 형상의 측정으로는, 측정자가 압박 접촉된 위치에서의 측정(예를 들어, 림의 바닥의 부분의 측정)을 행하는 것은 용이하기는 하지만,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개시는, 상기 종래 기술에 비추어, 안경 프레임의 타입을 따지지 않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렌즈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본 개시의 제1 태양에 관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측정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이며, 광원을 갖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하는 투광 광학계와, 검출기를 갖고, 상기 투광 광학계에 의해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상기 측정광의 반사광을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와,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상기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상기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휘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개시에 관한 제2 태양에 관한 렌즈 가공 장치는,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렌즈 가공 장치이며, (1)의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의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의 외관 개략도다.
도 2는 안경 프레임이 보유 지지된 상태의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의 상면도다.
도 3은 이동 유닛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이동 유닛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Z 이동 유닛과 Y 이동 유닛의 상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회전 유닛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에 대해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다.
도 8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관한 제어 블록도다.
도 9a는 회전 유닛을 제어하여, 다른 동경각에서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다른 동경각에서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도록 보유 지지 유닛을 이동시키기 전의 수광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도록 보유 지지 유닛을 이동시킨 후의 수광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단면 화상에 대한 휘도 분포의 취득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림의 홈의 단면 화상으로부터 취득되는 파라미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의 깊이 방향(안경이 배치되었을 때의 안경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Y 방향, 깊이 방향에 수직(안경이 배치되었을 때의 안경 프레임의 좌우 방향)인 평면 상의 수평 방향을 X 방향, 연직 방향(안경이 배치되었을 때의 안경 프레임의 전후 방향)을 Z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는, 안경 프레임 F의 림 부분을 하측 방향, 안경 프레임 F의 템플 부분을 상측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즉,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안경 프레임 F가 배치된 경우에, 안경 프레임 F의 좌우 림 FL, FR이 하측 방향, 안경 프레임 F의 좌우의 템플 FTL, FTR이 상측 방향이 된다. 물론, 본 실시 형태의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있어서는, 안경 프레임 F의 림 부분을 하측 방향, 안경 프레임 F의 템플 부분을 상측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배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F의 림 부분을 상측 방향, 안경 프레임 F의 템플 부분을 하측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안경 프레임 F가 배치된 경우에, 안경 프레임 F의 좌우 림 FL, FR의 상단이 하측 방향, 안경 프레임 F의 좌우 림 FL, FR의 하단이 상측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안경 프레임 F가 배치된 경우에, 안경 프레임 F의 좌우 림 FL, FR의 상단이 상측 방향, 안경 프레임 F의 좌우 림 FL, FR의 하단이 하측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개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투광 광학계(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30a))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수광 광학계(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30b))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취득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5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는, 광원(예를 들어, 광원(31))을 갖는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측정 광속)을 조사한다. 또한, 예를 들어 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광원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는, 검출기(예를 들어, 검출기(37))를 갖는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는, 투광 광학계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반사 광속)을 검출기에 의해 수광한다. 또한, 예를 들어 검출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검출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검출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처리하여,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측정광의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림을 향해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하는 투광 광학계와, 투광 광학계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을 향해 조사되고, 안경 프레임의 림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검출기에 의해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와, 반사광을 처리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측정광에 의한 측정이기 때문에, 신속하게 측정을 행할 수 있다.
<투광 광학계>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는, 광학 부재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이 각 광학 부재를 통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로서는, 렌즈, 미러, 조리개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를 사용함으로써, 초점 심도를 깊게 할 수 있다. 물론, 광학 부재로서는, 상기 광학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광학 부재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광원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로서는, 광학 부재와는 다른 부재를 경유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는 측정광은, 스폿형의 측정광을 조사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는 측정광은, 폭을 갖는 측정광(예를 들어, 슬릿형의 측정광)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는, 광원으로부터의 측정광을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하고, 림의 홈 상에 광 절단면을 형성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는, 광 절단면의 림의 홈에서의 반사(예를 들어, 산란, 정반사 등)에 의해 취득되는 림의 홈의 반사광(예를 들어, 산란광, 정반사광 등)을 검출기에 의해, 수광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폭을 갖는 측정광을 조사하는 경우, 슬릿형의 광속을 출사하는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점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점 광원을 복수 배열하여 배치함으로써, 폭을 갖는 측정광을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스폿형의 광속을 주사함으로써, 폭을 갖는 측정광을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스폿형의 측정광을 광학 부재에 의해 확산시킴으로써, 폭을 갖는 측정광을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물론, 예를 들어 광원으로서는, 상기 광원과는 다른 다양한 종류의 광원을 사용하여, 폭을 갖는 측정광을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수광 광학계>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는, 광학 부재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이 각 광학 부재를 통해, 검출기에 수광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로서는, 렌즈, 미러, 조리개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물론, 광학 부재로서는, 상기 광학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광학 부재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이 검출기에 수광되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검출기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로서는, 광학 부재와는 다른 부재를 경유하여, 거울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이 검출기에 수광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취득 수단>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처리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검출기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수광 위치로부터 단면 형상을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은, 화상(화상 데이터)이어도 된다. 즉, 단면 형상은, 단면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은, 신호(신호 데이터)여도 된다. 즉, 단면 형상은, 단면 형상의 신호 데이터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으로서는, 이차원 단면 형상, 삼차원 단면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원 단면 형상은, 하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취득되는 단면 형상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차원 단면 형상은, 림의 홈을 안경 프레임의 동경 방향(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Y 방향)에 수직인 방향(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Z 방향)으로 절단한 면의 형상이다. 또한, 예를 들어 이차원 단면 형상은, 측정광을 횡단 위치(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Z 방향)를 따라 주사시킴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삼차원 단면 형상은, 이차원 단면 형상을 각 동경각마다 취득함으로써, 취득되는 단면 형상이다. 예를 들어, 삼차원 단면 형상은, 이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하기 위한 측정광을 안경 프레임의 동경 평면 방향(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Y 평면 방향)에서 주사함으로써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취득되었을 때, 단면 형상의 일부가 결손되어 있는 경우에, 결손되어 있는 위치의 주변의 위치(예를 들어,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수광 결과로부터, 결손 부분을 보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취득되었을 때, 단면 형상의 일부가 결손되어 있는 경우에, 단면 형상을 근사시킴으로써, 결손 부분을 보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취득되었을 때, 단면 형상의 일부가 결손되어 있는 경우에, 결손 부분이 취득되도록 단면 형상의 재취득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2차 단면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각 동경각에 있어서 림이 형성되어 있는 모든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개소(하나의 동경각의 위치)에서의 림의 홈의 이차원 단면 형상이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이차원 단면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이차원 단면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좌측단, 우측단, 상단, 하단 등)에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이차원 단면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하나의 동경각의 위치에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경우,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각 동경각에 있어서 림이 형성되어 있는 모든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의 림의 홈의 삼차원 단면 형상이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삼차원 단면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삼차원 단면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좌측단 영역, 우측단 영역, 상단 영역, 하단 영역 등)에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삼차원 단면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일부분의 영역에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대해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의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한 부분의 이차원 단면 형상(삼차원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보간을 함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의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해도 된다.
<제1 변경 수단 및 제1 제어 수단>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변경 수단(예를 들어, 이동 유닛(210), 회전 유닛(260))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50))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하는 제1 변경 수단과,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임의의 림의 홈의 위치로 측정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은, 측정광의 조사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은, 측정광의 조사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 중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은, 측정광의 조사 위치에 대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제1 변경 수단은, 측정광의 조사 위치에 대해, 안경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에 대해,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와, 측정광의 조사 위치의 양쪽을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이 측정광의 조사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 투광 광학계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위치란, 투광 광학계의 광축(예를 들어, 광축 L1)의 위치여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이 투광 광학계의 광축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측정광의 조사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위치(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광축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는, 투광 광학계의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 중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 중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는, 투광 광학계의 위치에 대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 중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에 대해 투광 광학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 중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는, 투광 광학계의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의 양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는, 투광 광학계에 포함되는 적어도 어느 부재(예를 들어, 광원, 광학 부재, 그 밖의 부재 등)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은,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일부의 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투광 광학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제어 수단은,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켜,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변경 수단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는 제1 변경 수단이며, 제1 제어 수단은,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임의의 림의 홈의 위치로 측정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예를 들어, 회전 유닛(260))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X 방향 구동 수단, Y 방향 구동 수단, Z 방향 구동 수단, 회전 구동 수단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상기 구동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상기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구동 수단이 사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광 스캐너를 갖고, 광 스캐너를 주사하는 주사 수단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광 스캐너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측정광의 조사 위치가 변경되도록 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광 스캐너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측정광의 조사 위치가 변경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안경 프레임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안경 프레임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안경 프레임을 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안경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X 방향 구동 수단, Y 방향 구동 수단, Z 방향 구동 수단, 회전 구동 수단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상기 구동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상기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구동 수단이 사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2 변경 수단 및 제2 제어 수단>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2 변경 수단(예를 들어, 이동 유닛(210), 회전 유닛(260))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은, 수광 광학계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2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50))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수광 광학계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하는 제2 변경 수단과, 제2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양호하게 취득할 수 있는 위치로 수광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보다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은, 수광 광학계의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수광 광학계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위치란, 수광 광학계의 광축(예를 들어, 광축 L2)의 위치여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이 수광 광학계의 광축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측정광의 조사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은, 수광 광학계의 위치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 중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은, 수광 광학계의 위치에 대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제2 변경 수단은, 수광 광학계의 위치에 대해, 안경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에 대해, 수광 광학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와, 수광 광학계의 위치의 양쪽을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는, 수광 광학계에 포함되는 적어도 어느 부재(예를 들어, 검출기, 광학 부재, 그 밖의 부재 등)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2 변경 수단은,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일부의 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수광 광학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제어 수단은, 제2 변경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켜, 수광 광학계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방향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을 갖고,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X 방향 구동 수단, Y 방향 구동 수단, Z 방향 구동 수단, 회전 구동 수단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상기 구동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상기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구동 수단이 사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광 스캐너를 갖고, 광 스캐너를 주사하는 주사 수단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광 스캐너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수광 광학계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광 스캐너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수광 광학계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상기에서 기재한 <제1 변경 수단 및 제1 제어 수단>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과 제2 변경 수단의 제어는, 각각 서로 다른 타이밍에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과 제2 변경 수단의 제어는, 일체적으로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변경 수단의 구성과 제2 변경 수단의 구성은, 적어도 일부의 부재가 겸용되어도 된다.
<안경 프레임의 형상 취득>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형상 데이터)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해석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50))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수단은,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에 대해 측정광을 조사해도 된다.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해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으로부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이차원 형상(이차원 형상 데이터)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차원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동경 방향(XY 방향)의 데이터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삼차원 형상(삼차원 형상 데이터)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삼차원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동경 방향(XY 방향) 및 동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Z 방향)의 데이터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이차원 형상을 취득하는 경우, 해석 수단은, 삼차원 형상으로부터 XY 방향의 림의 홈의 위치를 검출하여 이차원 형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이차원 형상은, 삼차원 형상을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제어 수단이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에 대해 측정광을 조사한다.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취득한다.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으로부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종래과 같이, 안경 프레임에 따라서는, 측정자가 렌즈 프레임의 홈으로부터 빠져 버려 측정하지 못함을 억제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안경 프레임에 대해,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각 동경각에 있어서 림이 형성되어 있는 모든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좌측단 영역, 우측단 영역, 상단 영역, 하단 영역 등)에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일부분의 영역에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에 대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에,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의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한 부분의 형상에 기초하여, 보간을 함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전체 둘레의 형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삼차원 단면 형상 취득>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수단은,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에 대해 측정광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취득함으로써,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제어 수단이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에 대해 측정광을 조사한다.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취득하여,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안경 프레임의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휘도 제어 수단>
여기서, 발명자들은,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측정광을 조사하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대해 검토하였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안경 프레임의 타입에 따라서는,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이 양호하지 않아,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고정밀도로 취득하는 것이 곤란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이 과제를 해결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휘도 제어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50))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휘도값)을 제어(변경)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림을 향해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하는 투광 광학계와, 투광 광학계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림을 향해 조사되고, 안경 프레임의 림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검출기에 의해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와,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휘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타입을 따지지 않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가 구비하는 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부재를 제어함으로써,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부재는, 광원, 검출기, 렌즈, 반사 부재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광원으로부터의 측정광의 투광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용이한 구성으로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검출기의 게인을 제어함으로써,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용이한 구성으로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광원으로부터 검출기까지의 광로 내(투광 광학계와 수광 광학계의 광로 내)에 측정광의 광량을 조정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광량을 조정하는 전용 부재가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용 부재로서는, 광량 조정 필터, 광 감쇠기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와 수광 광학계의 각 부재 중, 어느 부재가 광량을 조정하는 부재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검출기에 있어서의 노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광원의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구성 중 적어도 어느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구성 중, 하나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구성 중, 복수의 구성을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휘도 제어 수단은, 광원으로부터의 측정광의 투광 광량의 제어와, 검출기의 게인을 조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이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는, 휘도 제어 수단이 반사광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검출된 휘도 레벨에 따라서 휘도 레벨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양호한 휘도 레벨이 되도록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림의 견부의 적어도 일부 및 림의 홈의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림의 견부란, 림의 전방면의 견부와 림의 후방면의 견부여도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휘도 제어 수단은, 림 견부의 단부가 검출되도록,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림의 홈의 경사면이란, 림의 홈의 전방 경사면과 림의 홈의 후방 경사면이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림의 견부의 적어도 일부, 및 림의 홈의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를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광의 휘도 레벨은, 반사광의 신호로부터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반사광의 신호로부터 검출된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반사광의 휘도 레벨은, 반사광의 신호로부터 단면 화상을 취득하여, 단면 화상으로부터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단면 형상으로서 단면 화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단면 화상으로부터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휘도 해석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50))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휘도 해석 수단에 의해 검출된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해석 수단이, 단면 화상으로부터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경우에, 단면 화상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휘도 레벨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일부분으로서는, 림의 견부의 적어도 일부, 및 림의 홈의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여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취득된 단면 화상에 기초하는 휘도 레벨의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 레벨을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반사광의 휘도 레벨은, 상기 구성과는 다른 구성에 의해 검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는,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예를 들어, 소정의 역치)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어를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도록,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는,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예를 들어, 소정의 역치)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제어를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50))을 구비하고, 휘도 제어 수단은,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반사광의 휘도 레벨이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양호하게 취득할 수 있는 휘도 레벨인지 여부의 판정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이 제어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휘도 레벨을 보다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한 허용 레벨은, 미리 설정된 허용 레벨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미리, 시뮬레이션이나 실험 등에 의해 휘도 레벨이 양호하다고 판정되는 허용 레벨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허용 레벨은,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림의 견부의 적어도 일부 및 림의 홈의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를 검출할 수 있는 휘도 레벨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허용 레벨은, 검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허용 레벨은, 취득한 단면 화상에 기초하여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이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는, 휘도 제어 수단이, 조작자에 의한 조작부(예를 들어, 스위치부(4))의 조작에 의해,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조작부로부터 휘도 레벨을 변경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휘도 제어 수단은,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조작자에 의해 휘도 레벨의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휘도 레벨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정보로서는,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 휘도 레벨의 확인을 촉구하는 정보, 휘도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 허용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가이드 정보로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이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는, 휘도 제어 수단이,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휘도 제어 수단은,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휘도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하여 설정하고, 설정한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에 따른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할 수 있고, 화상 처리 등의 해석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안경 프레임의 타입을 따지지 않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있어서의 안경 프레임 타입으로서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 안경 프레임의 재료, 안경 프레임의 색, 안경 프레임의 디자인, 안경 프레임의 구성 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으로서는, 풀 림(Full lim), 투 포인트(Two point), 나일로(Nylor) 등 중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물론, 안경 프레임의 형상으로서는, 상기와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재료로서는, 메탈(Metal), 플라스틱(Plastic), 옵틸(Optyl)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안경 프레임의 재료로서는, 상기와 다른 재료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색으로서는, 적, 청, 황, 흑, 그레이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안경 프레임의 색으로서는, 상기와 다른 색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디자인으로서는, 도트, 보더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안경 프레임의 디자인으로서는, 상기와 다른 디자인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구성 정보로서는, 안경 프레임의 렌즈 형상, 안경 프레임의 휨 각도, 안경 프레임 전방 경사 각도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안경 프레임의 구성 정보로서는, 상기와 다른 구성 정보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풀 림으로서는, 전체에 림(테두리)이 있는 타입의 안경 프레임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투 포인트로서는, 템플이나 브리지가 안경 렌즈에 직접 붙어 있는, 림이 없는 안경 프레임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나일로로서는, 일부분의 림이 없는 타입의 안경 프레임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림이 없는 부분은, 나일론사 등에 의해 안경 렌즈가 고정된다.
또한,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는, 복수의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가 관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소정의 안경 프레임 타입(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선택된 안경 프레임 타입 외에, 그 밖의 항목의 안경 프레임 타입(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재료)이 취득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메탈, 플라스틱, 옵틸 중 어느 안경 프레임의 재료가 선택된 경우에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풀 림으로서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미리, 안경 프레임 타입간에 관련시켜 두는 것이 좋다.
또한, 안경 프레임 타입으로서는, 이러한 타입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안경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안경 프레임 타입은, 검사자에 의해, 임의로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 취득 수단으로서는, 검사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자에 의한 입력으로서는, 검사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구성이나,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로부터 검사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선택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 취득 수단으로서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을 검출하는 프레임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프레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두께 등)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으로서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와는 별도의 다른 장치에서 입력된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이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는, 휘도 제어 수단이,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측정 위치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검출하고, 측정광의 조사 위치(예를 들어, 브리지 주변 위치, 툴 주변 위치 등)에 따라서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경우, 휘도 제어 수단은, 측정을 개시하기 전에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휘도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레벨이 제어되어 변경된 후,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일례로서, 예를 들어 미리,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위치에 있어서, 측정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사전 측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수단은, 사전 측정에 의해 취득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취득 수단은, 휘도 레벨이 제어되어 변경된 후,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휘도 레벨의 변경이 된 후의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측정에 있어서는, 본 측정과 마찬가지인 측정 위치(포인트 수)에서 측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전 측정의 결과로부터, 미리, 휘도 레벨이 양호하지 않은 측정 위치를 검출하고, 본 측정 시에 있어서, 휘도 레벨이 양호하지 않은 측정 위치에 있어서는,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경우, 휘도 제어 수단은, 측정을 개시한 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본 측정을 개시한 후, 측정에 의해 취득된 반사광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본 측정 중에,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일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한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휘도 레벨을 검출한 측정 위치에 있어서의 휘도 레벨만을 제어하도록 해도 되고, 본 측정의 모든 측정 위치에 있어서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휘도 레벨을 검출하여, 휘도 레벨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휘도 레벨의 제어 후, 다시 측정을 행하여, 휘도 레벨 제어 전의 측정 결과를 휘도 레벨 제어 후의 측정 결과로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예를 들어 측정을 실시하는 모든 측정 위치에 있어서,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각 측정 위치에 있어서,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휘도 레벨이 양호하지 않은 위치에 있어서, 다시 측정을 행하여, 측정 결과를 휘도 레벨 제어 후의 측정 결과로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물론, 휘도 레벨이 양호하지 않은 위치 외의 위치에 있어서도, 다시 측정을 행한 경우에, 측정 결과를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휘도 제어 수단이,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타이밍으로서는, 상기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와 다른 타이밍에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경우, 휘도 제어 수단은, 측정을 개시하기 전 및 측정을 개시한 후의 양쪽에서,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취득 수단과, 제1 제어 수단과, 제2 제어 수단과, 해석 수단과, 휘도 제어 수단과, 휘도 해석 수단과, 판정 수단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겸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취득 수단과, 제1 제어 수단과, 제2 제어 수단과, 해석 수단이 별도로 각각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렌즈 가공>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의해 취득된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렌즈의 가공에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렌즈 가공 장치(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300))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의해 취득된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송신 수단을 갖고, 송신 수단에 의해, 렌즈 가공 장치를 향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는, 수신 수단을 갖고,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로부터 송신된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에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가 구비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가 별도의 각각 다른 장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유선과 무선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로부터 렌즈 가공 장치로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는, 가공 제어 수단(예를 들어, 제어부(310))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공 제어 수단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의해 취득된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공 제어 수단은,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보유 지지 수단 및 가공구를 제어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렌즈 가공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에 가공 후의 렌즈를 양호하게 끼울 때, 림의 홈의 형상과 가공 후의 렌즈의 윤곽 형상이 가까운 형상이 되기 때문에, 끼움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본 개시의 전형적인 실시예의 하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의 외관 개략도다. 예를 들어, 도 2는, 안경 프레임이 보유 지지된 상태의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의 상면도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는,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과, 측정 유닛(2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은, 안경 프레임 F를 소기하는 상태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20)은,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에 보유 지지된 안경 프레임 F의 림(예를 들어, 좌측 림 FL, 우측 림 FRs)의 홈을 향해 측정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20)은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의 하우징의 전방측에는 측정 개시용 스위치 등을 갖는 스위치부(4)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의 하우징의 후방측에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3)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렌즈의 테두리 가공 시에, 패널부(3)에 의해 렌즈 형상 데이터에 대한 렌즈의 레이아웃 데이터, 렌즈의 가공 조건 등이 입력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서 얻어진 취득 결과(림의 홈의 단면 형상, 안경 프레임 형상 등) 및 디스플레이(3)에서 입력된 데이터는, 렌즈 가공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4617호 공보 등과 마찬가지로, 렌즈 가공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
예를 들어,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의 하측에는, 측정 유닛(20)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부 베이스(101) 상에는 안경 프레임 F를 수평으로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전방 슬라이더(102)와 후방 슬라이더(103)가 적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평이란 대략 수평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방 슬라이더(102)와 후방 슬라이더(103)는, 그 중심선 CL을 중심으로 2개의 레일(111) 상을 대향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스프링(113)에 의해 항상 양자의 중심선 CL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슬라이더(102)에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을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클램프하기 위한 클램프 핀(130a, 130b)이 각각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슬라이더(103)에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을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클램프하기 위한 클램프 핀(131a, 131b)이 각각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형판을 측정할 때는, 전방 슬라이더(102) 및 후방 슬라이더(103)가 개방되고, 주지의 형판 보유 지지 지그가 소정의 설치 위치(140)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의 구성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4617호 공보 등에 기재된 주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F는, 안경 장용 시의 림의 하측이 전방 슬라이더(102)측에 위치되고, 림의 상측이 후방 슬라이더(103)측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좌우의 림의 각각의 하측 및 상측에 위치하는 클램프 핀에 의해, 안경 프레임 F는 소정의 측정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림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램프 핀(130a, 130b) 및 클램프 핀(131a, 131b)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지의 기구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좌우 림의 전후 방향을 고정하는 기구로서는, V자형의 홈을 갖는 맞닿음 부재(규제 부재)를 좌우 림용으로 각각 마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측정 유닛>
이하, 측정 유닛(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20)은,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투광 광학계(30a)와, 수광 광학계(30b)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30a) 및 수광 광학계(30b)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 및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상세는 후술됨).
예를 들어, 측정 유닛(20)은, 투광 광학계(30a)와 수광 광학계(30b)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유닛(25)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20)은, 보유 지지 유닛(25)을 XY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210)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 참조). 또한, 예를 들어 측정 유닛(20)은, 회전축 L0을 중심으로 하여 보유 지지 유닛(25)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260)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6 참조).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XY 방향은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안경 프레임 F의 측정 평면(림의 동경 방향)과 평행이고, Z 방향은 측정 평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이동 유닛>
이하, 이동 유닛(210)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는, 이동 유닛(2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3은, 이동 유닛(210)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이동 유닛(210)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Z 이동 유닛(220)과 Y 이동 유닛(230)의 상면 사시도(X 이동 유닛(240)과 베이스부(211)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210)은, 크게 구별하여, Z 이동 유닛(Z 방향 구동 수단)(220)과, Y 이동 유닛(Y 방향 구동 수단)(230)과, X 이동 유닛(X 방향 구동 수단)(24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Z 이동 유닛(Z 방향 구동 수단)(220)은, 보유 지지 유닛(25)을 Z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Y 이동 유닛(230)은, 보유 지지 유닛(25) 및 Z 이동 유닛(220)을 보유 지지하여,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X 이동 유닛(240)은, 보유 지지 유닛(25)을 Z 이동 유닛(220) 및 Y 이동 유닛(230)과 함께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X 이동 유닛(240)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X 이동 유닛(240)은, 수평 방향(XY 방향)으로 신전된 사각형의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부(211)의 하방에,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41)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Y 이동 유닛(230)의 Y 베이스(230a)가, 가이드 레일(241)을 따라,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11)에는, 모터(구동원)(245)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터(245)의 회전축에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 나사(242)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Y 베이스(230a)에 고정된 너트부(246)가 이송 나사(24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245)가 회전되면, Y 베이스(230a)가 X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예를 들어 X 이동 유닛(240)의 X 방향의 이동 범위는, 안경 프레임의 좌우의 렌즈 프레임을 측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유 지지 유닛(25)이 탑재되는 Y 베이스(230a)를 안경 프레임의 좌우 폭 이상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Y 이동 유닛(230)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Y 베이스(230a)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31)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Z 베이스(220a)는,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Y 베이스(230a)에는 Y 이동용 모터(구동원)(235)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 나사(2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터(235)의 회전은, 기어 등의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해 이송 나사(232)에 전달된다. 예를 들어, 이송 나사(232)에는, Z 베이스(220a)에 설치된 너트(22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들에 의해, 모터(235)가 회전되면, Z 베이스(220a)가 Y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X 이동 유닛(240) 및 Y 이동 유닛(230)에 의해 XY 이동 유닛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을 X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범위는, 측정 가능한 림의 동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의 XY 방향의 이동 위치는, 후술하는 제어부(50)에 의해 모터(245 및 235)가 구동되는 펄스 수에 의해 검지되고, 보유 지지 유닛(25)의 XY 방향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1 XY 위치 검지 유닛이 모터(245, 235) 및 제어부(50)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의 XY 위치 검지 유닛으로서는, 모터(245 및 235)의 펄스 제어로 검지하는 것 외에도, 모터(245 및 235) 각각의 회전축에 설치된 인코더 등의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Z 이동 유닛(220)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Z 베이스(220a)에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21)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221)을 따라 보유 지지 유닛(25)이 설치된 이동 베이스(250a)가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Z 베이스(220a)에는, Z 이동용 펄스 모터(225)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 나사(도시를 생략함)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의 베이스(250a)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터(225)의 회전은 기어 등의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해 이송 나사(222)에 전달되고, 이송 나사(222)의 회전에 의해 보유 지지 유닛(25)이 Z 방향으로 이동된다. 보유 지지 유닛(25)의 Z 방향의 이동 위치는, 후술하는 제어부(50)에 의해 모터(225)가 구동되는 펄스 수에 의해 검지되고, 보유 지지 유닛(25)의 Z 방향의 위치를 검지하는 Z 위치 검지 유닛이 모터(225) 및 제어부(50)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의 Z 위치 검지 유닛으로서는, 모터(225)의 펄스 제어로 검지하는 것 외에도, 모터(225)의 회전축에 설치된 인코더 등의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의 각 이동 기구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을 직선 이동시키는 대신에, 회전 베이스의 중심에 대해 원호 기동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50264호 공보 등 참조).
<회전 유닛>
이어서, 회전 유닛(260)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6은, 회전 유닛(260)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에는, 개구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26)는, 투광 광학계(30a)로부터의 측정광을 통과시킴과 함께, 안경 프레임 F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통과시킨다. 예를 들어, 개구부(26)에는 개구부(26)를 덮는 투명 패널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26)는, 투광 광학계(30a)로부터 조사되는 측정광을 보유 지지 유닛(25)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출사한다. 즉, 투광 광학계(30a)로부터의 측정광은, 개구부(26)를 통과하여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26)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보유 지지 유닛(25)의 외부로부터 보유 지지 유닛(25)의 내부의 수광 광학계(30b)를 향해 통과시킨다. 즉,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개구부(26)를 통과하여 수광 광학계(30b)에 수광된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260)은, Z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LO를 중심으로 보유 지지 유닛(25)을 회전시킴으로써, 개구부(26)가 향하는 XY 방향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260)은 회전 베이스(26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은 회전 베이스(261)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베이스(261)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LO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베이스(261)의 하부의 외주에는, 대경 기어(26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260)은, 설치판(252)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설치판(252)에는, 모터(구동원)(265)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터(265)의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266)가 고정되고, 피니언 기어(266)의 회전은, 설치판(25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기어(263)를 통해, 대경 기어(262)에 전달된다. 따라서, 모터(265)의 회전에 의해, 회전 베이스(261)가 회전축 LO의 축 주위로 회전된다. 예를 들어, 모터(265)의 회전은, 모터(265)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인코더(센서)(265a)에 의해 검출되고, 인코더(265a)의 출력으로부터 회전 베이스(261)(즉, 보유 지지 유닛(25))의 회전각이 검지된다. 회전 베이스(261)의 회전의 원점 위치는, 도시를 생략한 원점 위치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회전 유닛(260)의 각 이동 기구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유닛(260)의 회전축 LO는, 후술하는 투광 광학계(30a)의 광원(31)을 통과하는 축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즉, 회전 유닛(260)은 투광 광학계(30a)의 광원(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물론, 회전 유닛(260)의 회전축은, 다른 위치를 회전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260)의 회전축 LO를 후술하는 수광 광학계(30b)의 검출기(37)를 통과하는 축으로 설정해도 된다.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
이어서, 보유 지지 유닛(25)에 보유 지지된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7은,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에 대해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안경 프레임 F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안경 프레임 F의 형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보유 지지 유닛(25)의 내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투광 광학계(30a)와, 수광 광학계(3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30a)는 광원을 갖고,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을 향해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30b)는, 검출기를 갖고, 투광 광학계(30a)에 의해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고,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검출기에 의해 수광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샤임플러그의 원리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30a)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슬릿 광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30b)는, 슬릿 광이 조사되는 광축 L1에 대해 경사진 광축 L2를 갖고, 샤임플러그의 원리에 기초하여 배치된 렌즈와 검출기를 구비한다. 물론,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샤임플러그의 원리에 기초하는 광학계가 아닌, 다른 구성의 광학계가 사용되어도 된다.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이 취득되는 광학계면 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광 광학계(30a)와, 수광 광학계(30b)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X 이동 유닛(240), Y 이동 유닛(230), Z 이동 유닛(220), 및 회전 유닛(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 수단에 있어서, 투광 광학계(30a)와, 수광 광학계(30b)가 별도로 각각 이동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투광 광학계>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30a)는, 광원(31)과, 렌즈(32)와, 슬릿판(33)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은, 렌즈(32)에 의해 집광되어 슬릿판(33)을 조명한다. 예를 들어, 슬릿판(33)을 조명한 측정광은, 슬릿판(33)에 의해 미세한 슬릿형으로 제한된 측정광이 되어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에 조사된다. 즉, 예를 들어 슬릿 광이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에 조사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는, 슬릿 광에 의해 광 절단된 형태로 조명된다.
<수광 광학계>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30b)는, 렌즈(36)와, 검출기(예를 들어, 수광 소자)(37)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30b)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부터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30b)는, 샤임플러그의 원리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렌즈(36)는, 림의 홈 FA에서의 반사에 의해 취득되는 림의 홈 FA의 반사광(예를 들어, 림의 홈 FA의 산란광, 림의 홈 FA의 정반사광 등)을 검출기(37)로 유도한다. 예를 들어, 검출기(37)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와 대략 공역인 위치에 배치된 수광면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수광 광학계(30b)는, 투광 광학계(30a)의 투광 광축 L1에 대해 경사진 촬상 광축 L2를 갖고, 샤임플러그의 원리에 기초하여 배치된 렌즈(36)와 검출기(37)를 갖고 있다. 수광 광학계(30b)는, 그 광축(촬상 광축) L2가 투광 광학계(30a)의 광축 L1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투광 광학계(30a)에 의해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에 조사되는 광 단면과,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를 포함하는 렌즈계(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 FA 및 렌즈(36))와 검출기(37)의 수광면(수광 위치)이 샤임플러그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제어 수단>
도 8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관한 제어 블록도다. 제어부(50)에는, 불휘발성 메모리(기억 수단)(52), 디스플레이(3), 스위치부(4) 등이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CPU(프로세서), RAM, ROM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50)의 CPU는, 각 부(예를 들어, 광원(31), 검출기(37), 인코더(265a)) 및 각 유닛의 구동 수단(예를 들어,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0)의 구동원, 각 모터(225, 235, 245, 265)) 등, 장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각종 연산(예를 들어, 각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 등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형상의 연산 등)을 행하는 연산 수단(해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RAM은,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제어부(50)의 ROM에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초기값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복수의 제어부(즉,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불휘발성 메모리(기억 수단)(52)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도 기억 내용을 유지할 수 있는 비일과성 기억 매체이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ROM,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USB 메모리 등을 불휘발성 메모리(메모리)(52)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렌즈 가공 장치(300)와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의해 취득된 각종 데이터가 렌즈 가공 장치(300)의 제어부(310)로 송신된다. 렌즈 가공 장치(300)의 제어부(310)는, 수신한 각종 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 가공 장치(300)의 각 부 및 각 유닛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렌즈의 가공을 행한다. 물론, 렌즈 가공 장치(300)와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는, 일체적으로 구성된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3)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3)가 터치 패널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가 조작부(조작 유닛)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3)가 갖는 터치 패널 기능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3)의 도형 및 정보의 표시 등을 제어한다. 물론,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별도로 조작부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작부에는, 예를 들어 마우스, 조이스틱, 키보드, 터치 패널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사용하면 된다. 물론, 디스플레이(60)와 조작부의 양쪽이 사용되어,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가 조작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60)가 조작부로서 기능함과 함께, 별도로 스위치부(조작부)(4)가 구비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 동작>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조작자는,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0)에 안경 프레임 F를 보유 지지시킨다. 예를 들어, 조작자는, 안경 프레임 F의 좌우 림 FL, FR이 하측 방향, 안경 프레임 F의 좌우의 템플 FTL, FTR이 상측 방향이 되도록,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0)에 안경 프레임 F를 보유 지지시킨다.
예를 들어,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100)에 안경 프레임 F가 보유 지지되면, 조작자는, 스위치부(4)를 조작하여, 측정을 개시시킨다. 예를 들어, 측정 개시의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0)는, X 이동 유닛(240), Y 이동 유닛(230), Z 이동 유닛(220), 및 회전 유닛(260)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구동시킴으로써, 보유 지지 유닛(25)(투광 광학계(30a) 및 수광 광학계(30b))을 이동시켜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측정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림의 측정은, 우측 림 FR로부터 측정이 개시된다. 물론, 좌측 림 FL로부터 측정이 개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보유 지지 유닛(25)을 이동시킴으로써,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투광 광학계(30a) 및 수광 광학계(30b))를 안경 프레임의 림 윤곽을 측정해 감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광 광학계(30a) 및 수광 광학계(30b)는, 샤임플러그의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경 프레임 F에 대해 이동된다. 즉,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대해,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30)가 일정한 위치 관계가 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개시의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0)는, 이동 유닛(210)(X 이동 유닛(240), Y 이동 유닛(230), Z 이동 유닛(220) 중 적어도 어느 것), 및 회전 유닛(260)의 구동을 제어하여, 퇴피 위치에 놓여 있던 보유 지지 유닛(25)을 측정 개시의 초기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측정 개시의 초기 위치는, 보유 지지 유닛(25)이 우측 림 FR의 하단측의 클램프 핀(130a, 130b)과, 클램프 핀(131a, 131b)의 중앙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물론, 측정 개시의 초기 위치는, 임의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유닛(25)이 측정 개시의 초기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어부(50)는, 광원(31)을 점등시킨다. 그리고 광원(31)의 점등과 함께, 제어부(50)는, 안경 프레임 F의 소정의 위치의 림의 홈에 측정광을 조사하기 위해, 이동 유닛(210), 및 회전 유닛(260) 중 적어도 어느 것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에, 제어부(50)는, 회전 유닛(260)을 제어하여, 취득 위치를 설정한다. 도 9a, 도 9b는, 회전 유닛(260)을 제어하여, 서로 다른 동경각에서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는, 서로 다른 동경각에서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회전 유닛(260)을 제어하여, 투광 광학계(30a)의 광축 L1을 XY 평면 상에서 회전시켜, 투광 광학계(30a)의 광축 L1을 림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50)는, X 회전 유닛(260)을 제어하여,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동경각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260)이 제어됨으로써, 투광 광학계(30a)의 조사 위치 T1이 투광 광학계(30a)의 조사 위치 T2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위치가 설정되고,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이동 유닛(210)(X 이동 유닛(240), Y 이동 유닛(230), Z 이동 유닛(220)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제어하여,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도록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위치의 설정과,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의 변경은, 동시에 실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위치의 설정은, 회전 유닛(260)뿐만 아니라, X 이동 유닛(240), Y 이동 유닛(230), Z 이동 유닛(220)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사용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위치의 설정은, X 이동 유닛(240), Y 이동 유닛(230), Z 이동 유닛(220)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의 변경은, X 이동 유닛(240), Y 이동 유닛(230), Z 이동 유닛(220) 중 적어도 어느 것뿐만 아니라, 회전 유닛(260)도 사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의 변경은, 회전 유닛(260)만이 사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원(31)의 점등에 의해,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은 슬릿 광에 의해 광 절단된다. 슬릿 광에 의해 광 절단된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수광 광학계(30b)를 향해, 검출기(37)에 의해 수광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검출기(37)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이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면 형상으로서, 단면 화상을 취득한다. 물론, 단면 형상은, 신호로서 취득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서,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면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화상)을 취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어부(50)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측정광을 조사하기 위한 구동 제어를 행한다. 이하,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측정광을 조사하기 위한 구동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0은,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도록 보유 지지 유닛(25)을 이동시키기 전의 수광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1은,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도록 보유 지지 유닛(25)을 이동시킨 후의 수광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 있어서, 투광 광학계(30a)의 조사 위치 T3이 림의 홈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반사광을 수광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어부(50)가 단면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 취득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40) 상에는, 단면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1에 있어서, 투광 광학계(30a)의 조사 위치 T4가 림의 홈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광이 수광된 상태에서, 제어부(50)가 단면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 취득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40) 상에는, 단면 화상(41)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0)는, 안경 프레임 F의 림의 홈에 측정광이 조사되도록 보유 지지 유닛(25)을 이동시킬 때,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 유닛(21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이 취득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이동 유닛(21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취득된 화상(40)을 해석하여, 단면 화상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단면 화상이 검출되도록, 이동 유닛(21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휘도값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단면 화상이 취득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 화상이 취득된 경우에는, 일정한 휘도값이 검출된다. 즉, 반사광을 검출기에 의해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값이 상승한다. 도 12는, 휘도값의 검출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취득된 단면 화상에 대해, 주사선 S1, 주사선 S2, 주사선 S3, ··· 주사선 Sn의 순으로 휘도값의 검출을 행하여, 휘도 분포를 얻는다. 즉, 제어부(50)는, 휘도값을 검출함으로써, 화상 상으로부터 림의 단면 화상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안경 프레임 F의 타입에 따라서는, 수광되는 반사광의 휘도 레벨이 양호하지 않아,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고정밀도로 취득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50)는, 휘도 레벨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다. 이하, 휘도 레벨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서, 광원(31)의 투광 광량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서는, 검출기(37)의 게인을 제어하는 구성, 광원(31)으로부터 검출기(37)까지의 광로 중에 측정광의 광량을 조정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구성, 검출기(37)에 있어서의 노광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 광원(31)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한 후, 사전 측정(본 측정의 전측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측정 개시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사전 측정을 행하여, 단면 화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으로부터 휘도 레벨(휘도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 휘도 레벨을 제어한다. 또한, 사전 측정을 행하는 위치는 초기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여, 사전 측정을 행하는 위치로서 설정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전 측정은, 복수의 위치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전 측정을 행한 복수의 위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사전 측정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모든 위치에서 사전 측정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으로부터 휘도값을 검출하고, 휘도 레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소정의 평가값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평가값은, 평가값=((화상의 평균 최대 휘도값)-(화상의 배경 영역의 평균 휘도값))/(배경 영역의 휘도값의 표준 편차)의 식으로부터 구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취득된 단면 화상에 대해, 주사선 S1, 주사선 S2, 주사선 S3, ··· 주사선 Sn의 순으로 휘도값의 검출을 행하여, 휘도 분포를 얻는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각 주사선에 대응하는 휘도 분포로부터 휘도값의 최댓값(이하, 최대 휘도값이라고 생략함)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단면 화상에 있어서의 최대 휘도값으로서, 각 주사선에 있어서의 최대 휘도값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단면 화상에 있어서의 배경 영역의 평균 휘도값으로서, 각 주사선에 있어서의 배경 영역의 휘도값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취득된 단면 화상의 평가값이 소정의 역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소정의 역치는, 미리 설정된 역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미리, 시뮬레이션이나 실험 등에 의해 휘도 레벨이 양호하다고 판정되는 역치가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역치는, 검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역치는, 취득한 단면 화상에 기초하여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광원(76)의 투광 광량을 제어(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의 평가값이 소정의 역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고(예를 들어, 소정의 역치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에, 휘도 레벨이 높아지도록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의 평가값이 소정의 역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 단면 화상의 평가값이 소정의 역치를 만족시키도록, 광원(31)의 투광 광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의 평가값이 소정의 역치를 만족시킨다고(예를 들어, 소정의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지 않고, 광원(31)의 투광 광량을 유지한다. 물론,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의 평가값이 소정의 역치를 만족시킨다고 판정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보다 적정한 휘도 레벨이 되도록,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화상의 휘도 레벨이 지나치게 높아짐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이 검출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평가값이 소정의 역치를 만족시킴과 함께, 평가값과 역치의 차가 소정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차가 소정값 이하가 되도록,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휘도 레벨을 제어할 때의 판정 방법으로서는,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정 방법으로서는, 단면 화상에 있어서, 각 화소마다의 휘도값을 적산시킨 적산값(각 화소마다의 휘도값의 총합)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판정 방법으로서는, 단면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마다의 휘도값의 총합을 화소 수로 나누었을 때의 평균값(전체 휘도의 가중 평균)이 허용 레벨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단면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이 림의 단면 형상의 검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정할 수 있는 판정 방법이면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사전 측정이 행해져, 휘도 레벨의 제어가 완료되면, 본 측정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회전 유닛(260)을 제어하여, 회전축(본 실시예에서는, 광원(31)을 통과하는 축) LO를 중심으로 하여, 동경각을 변경하면서, 림의 홈의 단면 화상을 취득하는 위치를 변경해 간다. 이에 의해, 림의 단면 화상을 취득하는 위치가 림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림의 단면 화상을 취득하는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이동 유닛(210)을 제어하여, 측정광이 림의 홈에 조사되도록 조사 위치의 변경을 행해 간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각 동경각에 있어서, 림의 홈의 단면 화상이 취득되어 갈 때, 소정의 회전 각도마다 단면 화상을 메모리(52)에 기억시킨다. 또한, 각 단면 화상을 취득한 위치를, 모터(225)의 펄스 수와, 모터(235)의 펄스 수와, 모터(245)의 펄스 수와, 인코더(265a)의 검출 결과 중 적어도 어느 것으로부터 연산하여, 메모리(52)에 기억시킨다. 즉, 모터(225)의 펄스 수와, 모터(235)의 펄스 수와, 모터(245)의 펄스 수와, 인코더(265a)의 검출 결과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취득함으로써, 림의 단면 화상이 취득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림의 홈의 단층 화상을 취득한 위치(취득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득 위치 정보는, 림의 홈의 삼차원 단면 화상, 안경 프레임의 형상 등을 취득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취득한 단면 화상을 해석 처리함으로써, 림의 홈에 관한 다양한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3은, 림의 홈의 단면 화상으로부터 취득되는 파라미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화상 처리에 의해, 단면 화상의 휘도 분포를 취득함으로써, 림의 홈의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림의 홈의 파라미터로서, 림의 홈의 바닥까지의 거리 K1, 림의 홈의 좌우의 경사면 각도 θ1, θ2, 림의 홈의 좌우의 경사면 길이 K2, K3, 좌우의 림 견부의 길이 K4, K5 등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림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제어를 반복해 감으로써,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화상의 취득이 완료되면, 제어부(50)는, 메모리(52)에 기억된 림의 전체 둘레의 단면 화상과 그 취득 위치 정보를 불러내어, 연산 처리를 행하여, 삼차원 단면 화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취득한 삼차원 단면 화상을, 메모리(52)에 기억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림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의 단면 화상의 취득이 완료된 후에 삼차원 단면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림의 홈의 단면 화상의 각 취득 위치에 있어서, 단면 화상을 취득할 때마다, 연산 처리를 행해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취득한 단면 화상으로부터 안경 프레임의 형상(형상 데이터)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화상으로부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화상 처리에 의해, 단면 화상의 휘도 분포를 취득함으로써,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취득된 단면 화상에 대해, 주사선 S1, 주사선 S2, 주사선 S3, ··· 주사선 Sn의 순으로 휘도값의 검출을 행하여, 휘도 분포를 얻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얻어진 휘도 분포에 있어서, 가장 하측의 위치에서 휘도값이 검출된 위치를 림의 홈의 바닥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각 동경각마다 취득된 단면 화상을 각각 처리하여, 화상 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를 각각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단면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화상 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와, 그 단면 화상을 취득한 취득 위치 정보로부터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각 동경각마다에 있어서 각각 취득된 단면 화상으로부터 화상 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화상 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와, 그 단면 화상을 취득한 취득 위치 정보로부터 각 동경각마다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를 각각 취득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안경 프레임 F의 삼차원 형상(rn, zn, θn)(n=1, 2, 3, ···, N)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Fn의 삼차원 형상은, 림의 전체 둘레에 걸쳐 취득되어도 되고, 림의 전체 둘레 중,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취득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안경 프레임 F의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동경각마다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삼차원 형상을 취득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삼차원 형상을 취득할 때, 각 동경각에 있어서,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지 않은 위치에 대해서는, 주변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보간 함으로써,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삼차원 형상을 취득할 때, 각 동경각에 있어서,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지 않은 위치에 대해서는, 주변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의 근사 결과로부터 보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우측 림 FR의 측정이 종료되면, X 이동 유닛(240)의 구동을 제어하여, 좌측 림 FL의 측정용 소정 위치로 보유 지지 유닛(25)을 이동시킨다. 상기한 측정 제어와 마찬가지로 하여, 우측 림 FR의 단면 형상의 취득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한다. 우측 림 FR 및 좌측 림 FL의 단면 화상과 형상은, 메모리(52)에 기억된다.
또한, 예를 들어 취득한 안경 프레임의 삼차원 형상에 기초하여 각종 파라미터를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삼차원 형상으로부터 이차원 형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차원 형상은, 삼차원 형상을 안경 프레임 F의 정면 방향의 XY 평면에 투영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차원 형상은, 삼차원 형상으로부터 취득하는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단면 화상에 기초하여,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때, XY 평면 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의 위치 정보만을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의해 취득된 림의 홈의 단면 형상, 안경 프레임의 형상 등은, 제어부(50)에 의해, 렌즈 가공 장치(300)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300)의 제어부(310)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의해 취득된 림의 홈의 단면 형상, 안경 프레임의 형상 등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300)로서는, 렌즈를 렌즈 척 축에 보유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렌즈 회전 수단과, 가공구 회전축에 설치된 가공구를 회전시키는 가공구 회전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렌즈 가공 장치(300)에 있어서, 렌즈 가공 장치의 제어부(310)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에 의해 취득된 취득 정보(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 안경 프레임의 형상 등)에 기초하여, 렌즈 회전 수단과 가공구 회전 수단을 제어하여, 렌즈의 테두리 가공을 행한다. 또한, 렌즈 가공 장치의 제어부(310)로서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1)의 제어부가 겸용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별도로, 렌즈 가공 장치의 각종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부(310)가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림을 향해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하는 투광 광학계와, 투광 광학계에 의해 안경 프레임의 림을 향해 조사되고, 안경 프레임의 림에 의해 반사된 측정광의 반사광을 검출기에 의해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와,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측정광에 의한 측정이기 때문에, 신속하게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하는 제1 변경 수단과,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임의의 림의 홈의 위치로 측정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변경 수단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변경 수단이며, 제1 제어 수단은,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해 투광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켜,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에 대한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임의의 림의 홈의 위치로 측정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수광 광학계에 의한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하는 제2 변경 수단과, 제2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양호하게 취득할 수 있는 위치로 수광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안경 프레임의 림의 단면 형상을 보다 고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제어 수단이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에 대해 측정광을 조사한다.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취득한다.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으로부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바닥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이, 안경 프레임에 따라서는, 측정자가 렌즈 프레임의 홈으로부터 빠져 버려 측정할 수 없음을 억제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안경 프레임에 대해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제1 제어 수단이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에 대해 측정광을 조사한다. 취득 수단은,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취득하여,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안경 프레임의 삼차원 단면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 가공 장치는,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의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안경 프레임에 가공 후의 렌즈를 양호하게 끼울 때, 림의 홈의 형상과 가공 후의 렌즈의 윤곽 형상이 가까운 형상이 되기 때문에, 끼움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면 형상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은, 디스플레이(3) 상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물론, 렌즈 가공 장치(300)의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디스플레이(3) 상에 있어서, 서로 다른 화면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화면이 전환됨으로써, 단면 형상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이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면 형상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단면 형상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동일 화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형상에 있어서, 단면 형상의 취득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의 취득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단면 형상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이 중첩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중첩 표시를 하는 경우, 단면 형상의 취득 위치 정보와, 림 홈의 단면 형상의 취득 위치에 기초하여, 단면 형상과 안경 프레임의 형상이 위치 정렬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면 화상으로부터 휘도 레벨을 검출하여, 휘도 레벨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미리, 휘도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이 안경 프레임 타입마다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해 안경 프레임 타입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선택된 안경 프레임 타입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의 제어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광원(31)의 투광 광량을 선택된 안경 프레임 타입에 대응하는 투광 광량으로 설정한다.
또한,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는 휘도 레벨의 제어는, 광원의 투광 광량의 제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기(37)의 게인을 제어하는 구성, 광원(31)으로부터 검출기(37)까지의 광로 중에 측정광의 광량을 조정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구성, 검출기(37)에 있어서의 노광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 광원(31)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 등 중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는,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 상기 구성과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안경 프레임 타입으로서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 안경 프레임의 재료, 안경 프레임의 색, 안경 프레임의 디자인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 타입이 각 항목별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안경 프레임 형상으로서는 나일로, 안경 프레임 재료로서는 메탈, 안경 프레임의 색으로서는 그레이(회색) 등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안경 프레임 타입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선택된 안경 프레임 타입 외에, 그 밖의 항목의 안경 프레임 타입이 설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메탈, 플라스틱, 옵틸 중 어느 안경 프레임의 재료가 선택된 경우에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은, 풀 림으로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미리, 안경 프레임 타입간에 대응짓기를 해두는 것이 좋다.
또한, 안경 프레임 타입으로서는, 이러한 타입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안경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안경 프레임 타입은, 검사자에 의해, 임의로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일례로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재료를 플라스틱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50)는, 안경 프레임의 재료가 메탈인 경우의 휘도의 레벨보다도, 휘도 레벨이 높아지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재료를 플라스틱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50)는, 메탈을 측정하기 위한 광원(31)의 투광 광량보다도, 광원(31)의 투광 광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의 재료를 플라스틱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50)는, 메탈을 측정하기 위한 검출기(37)의 게인보다도, 검출기(37)의 게인을 높이도록 제어해도 된다.
1: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3: 디스플레이
4: 스위치부
10: 프레임 보유 지지 유닛
20: 측정 유닛
25: 보유 지지 유닛
30: 안경 프레임 측정 광학계
30a: 투광 광학계
30b: 수광 광학계
31: 광원
37: 검출기
50: 제어부
52: 메모리
210: 이동 유닛
220: Z 이동 유닛
230: Y 이동 유닛
240: X 이동 유닛
260: 회전 유닛
300: 렌즈 가공 장치
310: 제어부

Claims (12)

  1.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측정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이며,
    광원을 갖고, 안경 프레임의 림의 홈을 향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하는 투광 광학계와,
    검출기를 갖고, 상기 투광 광학계에 의해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을 향해 조사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에 의해 반사된 상기 측정광의 반사광을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와,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상기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되는 상기 반사광의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휘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상기 반사광의 상기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단면 형상으로서 단면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는 상기 단면 화상으로부터 상기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휘도 해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휘도 해석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레벨이 허용 레벨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경 프레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상기 측정광의 투광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기의 게인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휘도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휘도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휘도 레벨이 제어되어 변경된 후, 상기 검출기에 의해 수광된 상기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에 대한 상기 측정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하는 제1 변경 수단과,
    상기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상기 림의 홈에 대해 상기 측정광을 조사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상기 림의 홈의 단면 형상을 각각 취득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상기 림의 홈의 단면 형상으로부터 상기 안경 프레임의 복수의 동경각에 있어서의 상기 림의 홈의 바닥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취득하는 해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광학계에 의한 상기 반사광의 수광 위치를 변경하는 제2 변경 수단과,
    상기 제2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12.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렌즈 가공 장치이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경 프레임의 상기 림의 홈의 단면 형상에 기초하여 렌즈의 테두리를 가공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장치.
KR1020207002570A 2017-07-31 2018-06-06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렌즈 가공 장치 KR10255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8366 2017-07-31
JP2017148366 2017-07-31
PCT/JP2018/021700 WO2019026416A1 (ja) 2017-07-31 2018-06-06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レンズ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106A true KR20200032106A (ko) 2020-03-25
KR102557105B1 KR102557105B1 (ko) 2023-07-20

Family

ID=6523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570A KR102557105B1 (ko) 2017-07-31 2018-06-06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렌즈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6196B2 (ko)
EP (1) EP3663708B1 (ko)
JP (2) JP7147763B2 (ko)
KR (1) KR102557105B1 (ko)
CN (1) CN110998225B (ko)
WO (1) WO20190264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444A (ko) * 2020-04-02 2021-10-14 주식회사 휴비츠 블런트 산각이 형성된 안경 렌즈 및 렌즈 가공 방법
KR20220013689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휴비츠 휘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재귀 반사 소재를 이용한 오토 블로커 및 이미지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6288B2 (ja) * 2017-09-05 2022-10-19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眼鏡枠形状測定プログラム
DE102018222231A1 (de) * 2018-12-19 2020-06-25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ptischen Vermessung einer Innenkontur einer Brillenfassung
JP7413697B2 (ja) 2019-09-30 2024-01-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
JP7276050B2 (ja) * 2019-09-30 2023-05-1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レンズ加工装置
JP7484136B2 (ja) * 2019-11-06 2024-05-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眼鏡枠形状測定プログラム
EP3978863A1 (en) 2020-09-30 2022-04-06 Nidek Co., Ltd. Eyeglass frame shape measurement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eyeglass frame shape measurement apparatus
EP4258044A1 (en) * 2020-12-07 2023-10-11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processing method and spectacle lens processing program
CN114779500A (zh) * 2022-05-05 2022-07-22 中国计量大学 一种线结构光测量眼镜镜框内侧凹槽的方法与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0514B1 (ko) * 1970-02-25 1974-05-25
JP2001519025A (ja) * 1997-04-10 2001-10-16 フラウンホファ ゲッセルスシャフト ツァフォルデルング デル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スチャング エー.ファウ. 眼鏡フレームの周辺に延びる溝の3次元形状の非接触型検出の測定装置ならびに測定方法
US20020041357A1 (en) * 2000-10-02 2002-04-11 Rene Farcy Optical method of reading the shape of a profile and application thereof to reading the inside edge of a spectacle frame rim
JP2012185490A (ja) * 2011-02-16 2012-09-27 Nidek Co Ltd 眼鏡レンズ加工形状取得方法
JP2015007536A (ja) 2013-06-24 2015-01-1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937B2 (ja) 1991-10-28 1997-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形状検出装置
DE19919311C1 (de) 1999-04-28 2001-02-15 Wernicke & C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ührungslosen Abtasten der Brillenglasöffnung einer Brillenfassung oder des Umfangs eines Brillenglases oder einer Formscheibe
DE60042467D1 (de) 1999-04-30 2009-08-13 Nidek Kk Schablone Halter, gezielte Linzenform Messvorrichtung mit diesem Halter, und Brillenglaslinzen Bearbeitungsvorrichtung mit dieser Messvorrichtung
JP3695988B2 (ja) 1999-04-30 2005-09-1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
JP2004003944A (ja) 2002-04-08 2004-01-08 Hoya Corp 眼鏡枠形状測定装置
FR2870934B1 (fr) 2004-05-28 2006-09-08 Essilor Int Appareil de lecture de contour comportant un palpeur mobile en rotation
EP1967894A4 (en) * 2005-12-26 2010-03-31 Hoya Corp SYSTEM FOR PROVIDING GLASSES OF GOGGLES, CONTROL SYSTEM AND PRODUCTION PROCESS
GB2444959A (en) 2006-12-19 2008-06-25 Don Gerard Rohan Jayamanne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 measurement, documentation and recording of spectacle frame measurements.
JP4920514B2 (ja) 2007-07-04 2012-04-18 株式会社ニデック 玉型形状測定装置
WO2010048960A1 (en) * 2008-10-28 2010-05-06 3Shape A/S Scanner with feedback control
JP5313711B2 (ja) 2009-01-29 2013-10-09 株式会社ミツトヨ 光学式測定装置
JP5439008B2 (ja) * 2009-03-31 2014-03-1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高温物体の形状計測装置及び形状計測方法
JP2010256151A (ja) 2009-04-24 2010-11-11 Seiko Epson Corp 形状測定方法
JP5562624B2 (ja) 2009-12-09 2014-07-3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
DE102010010340B4 (de) 2010-03-04 2013-11-28 Schneider Gmbh & Co. Kg Messanordnung zum Vermessen eines Brillengestells
JP5418458B2 (ja) 2010-09-30 2014-02-19 オムロン株式会社 光学式変位センサの調整方法、光学式変位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式変位センサ
KR20120053710A (ko) 2010-11-18 2012-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표면 형상 측정 장치
JP5776282B2 (ja) * 2011-04-08 2015-09-09 株式会社ニコン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657515B2 (ja) * 2011-12-27 2015-01-21 株式会社Sumco シリカガラスルツボの三次元形状測定方法、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US9535269B2 (en) 2013-06-24 2017-01-03 Nidek Co., Ltd. Eyeglass frame shape measuring apparatus
JP6248510B2 (ja) 2013-09-27 2017-12-20 株式会社ニコン 形状測定装置、構造物製造システム、形状測定方法、構造物製造方法、形状測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072197A (ja) * 2013-10-03 2015-04-16 株式会社ニコン 形状測定装置、構造物製造システム、形状測定方法、構造物製造方法、及び形状測定プログラム
CN103868935A (zh) * 2014-02-14 2014-06-18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基于计算机视觉的烟支外观质量检测方法
JP6550865B2 (ja) 2015-03-31 2019-07-3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及び眼鏡レンズ加工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0514B1 (ko) * 1970-02-25 1974-05-25
JP2001519025A (ja) * 1997-04-10 2001-10-16 フラウンホファ ゲッセルスシャフト ツァフォルデルング デル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スチャング エー.ファウ. 眼鏡フレームの周辺に延びる溝の3次元形状の非接触型検出の測定装置ならびに測定方法
US20020041357A1 (en) * 2000-10-02 2002-04-11 Rene Farcy Optical method of reading the shape of a profile and application thereof to reading the inside edge of a spectacle frame rim
JP2002181516A (ja) * 2000-10-02 2002-06-26 Essilor Internatl (Cie Gen Opt) 輪郭の形状を読取る光学的方法、及び、眼鏡フレームリムの内縁の読取りへのその応用
JP2012185490A (ja) * 2011-02-16 2012-09-27 Nidek Co Ltd 眼鏡レンズ加工形状取得方法
JP2015007536A (ja) 2013-06-24 2015-01-1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枠形状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444A (ko) * 2020-04-02 2021-10-14 주식회사 휴비츠 블런트 산각이 형성된 안경 렌즈 및 렌즈 가공 방법
KR20220013689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휴비츠 휘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재귀 반사 소재를 이용한 오토 블로커 및 이미지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8225B (zh) 2022-06-03
EP3663708A4 (en) 2021-04-21
US20200158496A1 (en) 2020-05-21
EP3663708B1 (en) 2022-12-28
EP3663708A1 (en) 2020-06-10
WO2019026416A1 (ja) 2019-02-07
KR102557105B1 (ko) 2023-07-20
CN110998225A (zh) 2020-04-10
JPWO2019026416A1 (ja) 2020-05-28
JP2022176220A (ja) 2022-11-25
JP7147763B2 (ja) 2022-10-05
US11226196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105B1 (ko) 안경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및 렌즈 가공 장치
JP4617305B2 (ja) 眼鏡レンズ上のマークを可視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1479645B (zh) 可移动的工具机
JP7021468B2 (ja) レンズ測定装置
JP7196849B2 (ja)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眼鏡枠形状測定プログラム
US20160317033A1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CN112577443B (zh) 眼镜框形状测定装置及镜片加工装置
JP7484136B2 (ja)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眼鏡枠形状測定プログラム
US20230034573A1 (en) Eyeglasses lens measuremen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156288B2 (ja)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眼鏡枠形状測定プログラム
EP3290892A1 (en) Lens measurement device
EP3575033B1 (en) Processing control data acquiring apparatus, processing control data acquiring method and processing control data acquiring program
JP7172029B2 (ja) 軸出し装置
JP7413697B2 (ja) 眼鏡枠形状測定装置
US11037288B2 (en) Visual inspection device and visual inspection method
EP2116179B1 (en) Optical apparatus for the examination of the eye, and method for eye examination with the optical apparatus
JP7225644B2 (ja) レンズ測定装置
TW202104830A (zh) 測定裝置及測定方法
JP2021105572A (ja) 眼鏡レンズ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