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707A -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707A
KR20200025707A KR1020180103491A KR20180103491A KR20200025707A KR 20200025707 A KR20200025707 A KR 20200025707A KR 1020180103491 A KR1020180103491 A KR 1020180103491A KR 20180103491 A KR20180103491 A KR 20180103491A KR 20200025707 A KR20200025707 A KR 2020002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handle
link
handle assembl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229B1 (ko
Inventor
한정호
곽경택
남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229B1/ko
Priority to EP18207270.2A priority patent/EP3617433B1/en
Priority to US16/207,873 priority patent/US11214994B2/en
Priority to JP2018228057A priority patent/JP7224881B2/ja
Priority to CN201811483023.7A priority patent/CN110872922B/zh
Priority to US16/395,953 priority patent/US11536058B2/en
Priority to CN201910462358.9A priority patent/CN110872920B/zh
Publication of KR2020002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4Scissor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1Lever operator, flush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를 포함하여; 상하 짧은 4절 링크의 레이 아웃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스트로크를 보다 길게 만들 수 있고, 아웃사이드 핸들이 직선으로 전개 및 수납되어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아우터 패널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도어 아우터 패널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실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실 개폐 도어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내측면에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고,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 도어 핸들에는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도어 래치와 연동되게 연결되어, 각 도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도어 래치가 해방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통상적으로 도어의 아우터 패널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데,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 아우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면, 탑승자의 조작 편의성은 향상되지만, 돌출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로 인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주행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저항으로 인한 주행 성능도 저하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액츄에이터(모터)의 구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아우터 패널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수용홀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액츄에이터를 통해 링크 기구를 매개로 도어 아우터 패널로부터 돌출시키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의 수용홀 내부로 수납시키게 되어 있고, 도어를 차체에 록킹 혹은 해방시키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 록 기구와, 도어를 차체에 직접 록킹 혹은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구조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출몰시키는 링크 기구가 4절 링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전개 길이(돌출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4절 링크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이에 따라 핸들 하우징의 사이즈도 증대되어야 하므로, 중량 및 원가를 상승시키고, 돌출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외관미도 만족스럽지 못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하 짧은 4절 링크의 레이 아웃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스트로크를 보다 길게 만들 수 있고, 아웃사이드 핸들이 직선으로 전개 및 수납되어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신뢰성도 향상되고, 도어 래치 등의 타부품과 연결성이 향상되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의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일단과 타단들은 핀으로 각각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에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프런트 가이드 홀과 리어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상기 리어 가이드 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비상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상홀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 및 상기 드리븐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밀어주는 섹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는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섹터 기어에는 상기 핀을 밀어주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 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 사이에는 씰링 커버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 래치를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레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된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돌출하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는 상기 회전핀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핀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에는 리턴 규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이 리턴되는 과정에, 상기 리턴 규제 돌기에 상기 아암이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의하면, 상하 길이가 짧은 4절 링크로 아웃사이드 핸들의 스트로크를 보다 길게 만들 수 있으므로, 레이 아웃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직선으로 전개 및 수납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액츄에이터의 고장 혹은 배터리 방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별도의 공구 없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 대응 성능이 향상되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도어 아우터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와 아웃사이드 동 핸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다른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비상 상황에서 작동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 레버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며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 레버의 다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도어 아우터 패널(10) 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외측 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용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에 체결되고 타측이 하우징(30)에 지지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링크 기구(40), 상기 링크 기구(40)에 작동력을 부여하여 링크 기구(40)를 통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21)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 기구(40)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장착되는 과정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2)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 먼저 결합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에 대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일정한 갭을 가지도록 조립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장착이 완료되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로부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2)가 탈거되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27)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28)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를 도장할 때에,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장할 때에, 도장 작업이 용이해지고, 도장막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입혀져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10) 사이에는 씰링 커버(60)가 개재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베이스(23)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보스(25)와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보스(2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보스(25)와 리어 보스(26)에는 각각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각 체결홀에 상기 링크 기구(40)의 일측이 핀(41)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기구(40)는 일단이 상기 프런트 보스(25)에 핀(41)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런트 링크(42)와, 상기 프런트 링크(42)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팅 링크(44),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보스(26)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리어 링크(45) 및,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45)의 길이 발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30)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 링크(4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과 상기 프런트 링크(42), 상기 커넥팅 링크(44) 및 상기 리어 링크(45)는 4절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 기구(40)의 커넥팅 링크(44)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따른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프런트 링크(42)와 리어 링크(45)는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게 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함으로써, 탑승자가 손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파지홀(21)에 삽입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당겨줌으로써, 도어 래치를 해방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로드(44)가 상기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이동될 때에, 상기 커넥팅 로드(44)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2개의 프런트 가이드 홀(31)과 리어 가이드 홀(32)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0)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에는 커넥팅 링크(44)의 양단에 체결된 2개의 핀(43)이 각각 삽입되어, 2개의 핀(43)들이 상기 가이드 홀(3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링크(44)가 액츄에이터(50)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안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일단에는 리어 가이드 홀(32)의 폭에 비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넓게 파여진 비상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홀(33)은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50)가 고장 혹은 배터리 전원 공급 중단 등의 이유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탑승자가 수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할 필요가 있는 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를 가압하면,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체결된 핀(43)이 상기 비상홀(33)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후방 부위가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시이소 운동을 하게 되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돌출된 후방 부위를 손으로 잡고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 주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로부터 돌출되면서 록킹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 불능인 비상 상황시에 탑승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돌출(팝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 링크(46)는 스프링(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지지 링크(46)를 시계 방향(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팝 업되면서 상기 지지 링크(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해방시키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 링크(46)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회전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 링크(46)의 시계 방향 회전 운동에 의해 리어 링크(45), 커넥팅 링크(44) 및 프런트 링크(42)가 연동되어,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다시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도 10 과 도 1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액츄에이터 하우징(51)에 다수개의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기어들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된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53), 드리븐 기어(53)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일단에 체결된 핀(43)을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밀어주는 섹터 기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섹터 기어(54)의 일측면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과 접촉되어 상기 핀(43)을 밀어주는 돌기(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가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면, 상기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리븐 기어(53) 및 섹터 기어(54)가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20)로부터 팝 업되어, 탑승자가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구동 모터의 역방향 작동 및 액츄에이터(50)와 링크 기구(40)의 상기 서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에 의해 작동에 의해 도어 아우터 패널의 개구부(12) 내로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 기구(4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래치 레버(70)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는, 하우징(30)에 형성된 보스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71)과, 상기 회전핀(71)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74)이 형성된 레버 바디(72) 및, 레버 바디(7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리어 가이드 홀(3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의 아암(73)을 밀어주게 되고, 도어 래치 아암(73)은 그 핀(7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와 연결된 케이블 혹은 로드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 래치를 해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에 보스(34)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보스(34)에 상기 회전핀(71)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34)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핀(71)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3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핀(71)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35)와 접촉하여 회전핀(71)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조작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가 회전 운동을 할 때에, 스톱퍼 돌기(35)와 돌기(75)의 상호 접촉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는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스(34)의 상면에도 리턴 규제 돌기(36)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73)이 리턴되는 과정에, 아암(73)이 상기 리턴 규제 돌기(36)에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리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도어 아우터 패널
12: 개구부
20: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30: 하우징
40: 링크 기구
42: 프런트 링크
44: 커넥팅 링크
45: 리어 링크
50: 액츄에이터
52: 드라이브 기어
53: 드리븐 기어
54: 섹터 기어
60: 씰링 커버
70: 도어 래치 레버

Claims (18)

  1.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의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일단과 타단들은 핀으로 각각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에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프런트 가이드 홀과 리어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상기 리어 가이드 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비상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상홀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 및
    상기 드리븐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밀어주는 섹터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는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섹터 기어에는 상기 핀을 밀어주는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 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 사이에는 씰링 커버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 래치를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레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된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돌출하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는 상기 회전핀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핀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에는 리턴 규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이 리턴되는 과정에, 상기 리턴 규제 돌기에 상기 아암이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0180103491A 2018-08-31 2018-08-31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62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91A KR102621229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EP18207270.2A EP3617433B1 (en) 2018-08-31 2018-11-20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US16/207,873 US11214994B2 (en) 2018-08-31 2018-12-03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2018228057A JP7224881B2 (ja) 2018-08-31 2018-12-05 車両用出没型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組立体
CN201811483023.7A CN110872922B (zh) 2018-08-31 2018-12-05 车辆用伸缩型外侧门把手组装体
US16/395,953 US11536058B2 (en) 2018-08-31 2019-04-26 Structure for connecting door latch cable to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N201910462358.9A CN110872920B (zh) 2018-08-31 2019-05-30 用于将车门锁闩线缆连接到车辆的可伸缩的外部车门把手组件的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91A KR102621229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07A true KR20200025707A (ko) 2020-03-10
KR102621229B1 KR102621229B1 (ko) 2024-01-04

Family

ID=6440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91A KR102621229B1 (ko) 2018-08-31 2018-08-31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14994B2 (ko)
EP (1) EP3617433B1 (ko)
JP (1) JP7224881B2 (ko)
KR (1) KR102621229B1 (ko)
CN (1) CN1108729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67B1 (ko) * 2020-03-18 2021-07-13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20139120A (ko) * 2021-04-07 2022-10-14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플러쉬 핸들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9431A1 (de) * 2017-12-11 2019-06-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ürgriffeinheit
CN109958348B (zh) * 2017-12-25 2022-01-2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一种隐藏式的把手总成
DE102018101040A1 (de) * 2018-01-18 2019-07-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griff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raftfahrzeuggriffanordnung
JP6957390B2 (ja) * 2018-03-09 2021-11-02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EP3569798B1 (en) * 2018-05-16 2024-05-29 Industrilås I Nässjö AB Lift handle arrangement
EP3581742B1 (fr) * 2018-06-11 2020-05-27 U-Shin Italia S.p.A. Poignée de porte affleurante et son procédé de fonctionnement
KR102540440B1 (ko) * 2018-06-15 2023-06-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00041004A (ko) * 2018-10-11 2020-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7050018B2 (ja) * 2019-02-04 2022-04-07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7026648B2 (ja) * 2019-02-08 2022-02-28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USD922175S1 (en) * 2019-06-10 2021-06-1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Latch for interiors of aircraft
DE102019122153A1 (de) * 2019-08-19 2021-02-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11577004B (zh) * 2020-05-06 2021-11-1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拉手组件、门组件及储物柜
CN113863796B (zh) * 2020-06-30 2022-08-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门把手装置以及具有其的车辆
US11746575B2 (en) * 2020-07-16 2023-09-0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ular door handle with manual override stop
CN112878823B (zh) * 2021-01-25 2023-08-04 吉林大学 一种基于形状记忆合金的汽车隐藏式门把手及其控制方法
CN114482730B (zh) * 2021-12-02 2022-11-25 重庆霍富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隐藏式汽车电动门把手
EP4234858A1 (en) * 2022-02-23 2023-08-30 U-Shin Italia S.p.A.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EP4234860A1 (en) * 2022-02-23 2023-08-30 Minebea AccessSolutions Italia S.p.A.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CN114737833B (zh) * 2022-04-21 2023-09-19 湖北航宇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式汽车外把手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289A (en) * 1976-04-07 1978-06-06 Toyo Kogyo Co., Ltd. Electric/manual door lock operating mechanism
US20130241215A1 (en) * 2010-01-15 2013-09-19 Jaguar Cars Ltd Retractable handle for a door or the like
US20180163438A1 (en) * 2016-12-09 2018-06-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lush powered slide door handle with self-centering bell crank
CN108222714A (zh) * 2018-02-05 2018-06-29 东方久乐汽车电子(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改良型隐藏式汽车门把手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57243A1 (de) * 1965-07-29 1969-01-30 Rohde & Schwarz Versenkbarer Traggriff
US3418681A (en) * 1967-04-12 1968-12-31 Philadelphia Handle Company In Collapsible handle operable by exertion of a push downwardly on one end thereof
FR2280522B1 (fr) 1974-07-31 1977-01-07 Peugeot &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pour deverrouillage et manoeuvre de porte coulissante par palette a double articulation
JPS60113856A (ja) * 1983-11-26 1985-06-20 Nippon Denso Co Ltd 動力伝達装置
US5088347A (en) * 1987-12-09 1992-02-18 Auto-Vation Inc. Door lock actuator
US4885954A (en) * 1987-12-09 1989-12-12 Wanlass Bert R Door lock actuator
DE4002963C1 (en) 1990-02-01 1991-07-11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Vehicle door handle grip - has handle movement controlled by individual swivel levers used to hinge it
JPH06193329A (ja) 1992-12-24 1994-07-12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US5558372A (en) * 1995-01-03 1996-09-24 Chrysler Corporation Inside door handle toggle release mechanism
JP3234537B2 (ja) * 1997-05-19 2001-12-04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スライド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DE19808024A1 (de) * 1998-02-26 1999-09-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Türgriff,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TW493031B (en) 2000-11-21 2002-07-01 Southco Actuator handle mechanism
US7213482B2 (en) * 2001-04-17 2007-05-08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Actuator with internal drive train disconnect
JP4553796B2 (ja) 2005-05-31 2010-09-29 株式会社アルファ 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07002700A1 (de) * 2007-01-18 2008-07-24 Daimler Ag Kraftfahrzeug mit einer eine Türöffnung verschließenden Fahrzeugtür
KR100921070B1 (ko) * 2007-11-16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푸시 버튼 스위치
US20100301618A1 (en) 2009-05-26 2010-1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able-actuated inertial lock for a vehicle door
US8864193B2 (en) 2011-08-10 2014-10-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inner handle cable connection
US9103143B2 (en) 2011-09-26 2015-08-11 Tesla Motors, Inc. Door handle apparatus for vehicles
US8690204B2 (en) 2011-11-23 2014-04-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assembly with normal deployment
US8919047B2 (en) 2012-08-15 2014-12-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rmally deploying flush door handle
KR101428270B1 (ko) * 2012-12-11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고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구조
DE102013112706A1 (de)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us einem Türgriff und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Türgriff
DE102014005797A1 (de) * 2014-04-19 2015-10-22 Daimler Ag Türaußengriff für eine Tür, insbesondere eine Seitentür, eines Fahrzeugs
US9249608B2 (en) 2014-05-05 2016-0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US10072448B2 (en) 2014-05-29 2018-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EP3020897A1 (de) * 2014-11-12 2016-05-18 Illinois Tool Works Inc. Tastvorrichtung mit Druckbetätigung mit verbesserter Kinematik zur Anwendung in einem Fahrzeug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GB2536671B (en) 2015-03-25 2018-07-25 Jaguar Land Rover Ltd Rectractable handle arrangement having a latch release actuator that features a lost motion sub-range
DE102015209852A1 (de) * 2015-05-28 2016-12-01 Bos Gmbh & Co. Kg Türgriffsystem für eine Kraftfahrzeug-Tür
KR101786663B1 (ko) 2015-06-01 2017-10-1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래치
US9739074B1 (en) 2016-02-02 2017-08-22 Trimark Corporation Twist latch for compartment door
DE102016112689A1 (de) * 2016-07-11 2018-01-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mit einem flächenbündigen Griff
KR101875658B1 (ko) *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10941595B2 (en) * 2018-02-09 2021-03-09 Ford Global Techologies, Llc Ergonomic door handle
US10378254B1 (en) * 2018-05-16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having proximity sensors for door control and keyp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289A (en) * 1976-04-07 1978-06-06 Toyo Kogyo Co., Ltd. Electric/manual door lock operating mechanism
US20130241215A1 (en) * 2010-01-15 2013-09-19 Jaguar Cars Ltd Retractable handle for a door or the like
US20180163438A1 (en) * 2016-12-09 2018-06-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lush powered slide door handle with self-centering bell crank
CN108222714A (zh) * 2018-02-05 2018-06-29 东方久乐汽车电子(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改良型隐藏式汽车门把手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67B1 (ko) * 2020-03-18 2021-07-13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20139120A (ko) * 2021-04-07 2022-10-14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플러쉬 핸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7433B1 (en) 2020-11-18
CN110872922B (zh) 2022-06-14
CN110872922A (zh) 2020-03-10
JP2020037846A (ja) 2020-03-12
KR102621229B1 (ko) 2024-01-04
US20200071973A1 (en) 2020-03-05
US11214994B2 (en) 2022-01-04
EP3617433A1 (en) 2020-03-04
JP7224881B2 (ja)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5707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1875658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1637820B1 (ko)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US5921612A (en) Initially open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KR102104888B1 (ko)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110273601A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线性致动器的打开装置
KR101176345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CN110607961B (zh) 用于车辆的可伸缩外侧门把手组件
KR101946915B1 (ko)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어셈블리
JP4598668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42436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837507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4382121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11078690B2 (en) Door latch apparatus with childproof lock mechanism and assembling method of childproof lock mechanism
KR102663985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111042673B (zh) 用于车辆的可伸缩外侧门把手组件
KR10120960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료도어 충돌방지장치
KR20220031439A (ko)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2021021319A (ja) 車両用電動式ドアラッチ
KR20200025511A (ko) 관성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215907653U (zh) 车门操作装置
JP2023103912A (ja) ドア開閉操作装置
JPH024744B2 (ko)
CN116446739A (zh) 车门把手和车辆
JP2008273328A (ja) グラブ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