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219A - 패널 패스너 - Google Patents

패널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219A
KR20200023219A KR1020190102332A KR20190102332A KR20200023219A KR 20200023219 A KR20200023219 A KR 20200023219A KR 1020190102332 A KR1020190102332 A KR 1020190102332A KR 20190102332 A KR20190102332 A KR 20190102332A KR 20200023219 A KR20200023219 A KR 2020002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law
attachment
plat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2005/067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with unlocking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패널 패스너(F)는 부착 플레이트(1)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와, 제1 면부분(301)측에 회동 중심을 가지고, 제2 면부분(302)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면부분(302)으로부터 제3 면부분(303)에 걸쳐 클로부(31)로 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 축지지되고, 클로부(31)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로부터 출몰 가능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스프링 부재(5)를 구비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패널(P2)의 부착 구멍(62)의 가장자리부에 건다. 이 패널 패스너(F)에 의하면, 2장의 패널을 종래보다 재빠르게 또한 간단히 접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패스너{PANEL FASTENER}
본 발명은 2장의 패널의 접합에 사용하는 패널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조립식의 래크나 캐비넷 등의 조립에 2장의 패널 사이를 재빠르게 또한 간단히 접합하기 위한 각종 패널 패스너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패널 패스너가 JP2010-270770A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의 패스너는 중심 회전축과, 중심 회전축의 패널 삽입 방향의 선단부에 설치한 쇄정편과, 중심 회전축의 패널 삽입 방향 말단부에 설치한 패스너 회전 조작부와,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쇄정편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패스너를 부착 패널에 고정하는 유지 기구와, 패스너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음부를 구비한다. 패스너 회전 조작부의 표면측에는 코인이나 마이너스 드라이버로 조작 가능한 홈부가 형성된다. 또 유지 기구로서 중심 회전축에 직교하게 아암부가 형성된다.
한편, 부착 패널의 패스너 부착 위치에는 부착 구멍부가 형성된다. 부착 구멍부는 패스너의 중심 회전축을 유지하는 한 쌍의 장출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지지부와, 쇄정편 및 아암부가 빠져나갈 수 있는 관통부와, 패스너에 형성된 걸음부를 거는 회전 규제부를 가진다. 회전축 지지부의 한 쌍의 장출부는 중심 회전축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는 직경의 구멍부를 형성하고 있다. 일방의 회전 규제부는 패스너의 회전을 반시계 방향에서 규제하고, 타방의 회전 규제부는 패스너의 회전을 시계 방향에서 규제하며, 패스너의 최대 회전 각도를 90도로 규제한다.
또 본체 패널의 패스너 부착 위치에는 걸음 구멍부가 형성된다. 걸음 구멍부는 패스너의 중심 회전축이 빠져나갈 수 있는 회전축 관통부와, 쇄정편이 빠져나갈 수 있는 쇄정편 관통부를 가진다. 또한 본체 패널의 양단에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부착 패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패스너의 아암부의 두께를 흡수하는 구조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 패널에 형성된 부착 구멍부에 부착 패널의 표면측으로부터 패스너를 삽입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패스너를 유지한 후, 부착 패널의 이면측을 본체 패널에 맞닿게 하여, 본체 패널에 형성된 걸음 구멍부에 패스너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부착 패널을 본체 패널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널의 부착 구조에 의해, 2장의 패널을 재빠르게 또한 간단히 접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패널 패스너는 2장의 패널의 부착 구멍으로 통과시키고 회전시켜 고정하므로, 패널 패스너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필요로 하여, 패널 패스너의 부착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2장의 패널의 일방에 부착 구멍부를 설치하고, 타방에 걸음 구멍부를 설치하여, 각 구멍을 상이한 특수한 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구멍의 형상이 복잡하며, 구멍을 뚫는데 필요한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류의 패널 패스너에 있어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2장의 패널의 부착 구멍에 패널 패스너를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걸어, 부착 작업을 간단히 하고, 2장의 패널을 종래보다 재빠르고 또한 간단히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및 2장의 패널의 부착 구멍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구멍을 뚫는데 필요한 비용을 저렵하게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패널 패스너는
제1 부착 구멍을 형성한 제1 패널과, 제2 부착 구멍을 형성한 제2 패널을 중첩시킨 상태로, 제1 부착 구멍으로부터 제2 부착 구멍으로 통과시키고, 제2 부착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거는 것에 의해,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접합하는 패널 패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부착 구멍보다 큰 부착면을 가지는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기 부착면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를 플랜지로서 남기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 안으로 삽입 통과 가능하게 부착 플레이트의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와,
일단측의 제1 면부분과, 이 제1 면부분에 대향하는 타단측의 제2 면부분과, 측면측의 제3 면부분과 제4 면부분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1 면부분측에 회동 중심을 설치하고, 상기 제2 면부분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면부분으로부터 제3 면부분에 걸쳐 클로부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돌출단측의 양측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축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클로부가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 사이에 또는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와 상기 각 베어링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통상 상태로서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으로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제2 부착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거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 이 패널 패스너는 각 부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이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1 면부분측에 있어서 상기 제3 면부분에 치우쳐 설치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2 면부분이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보다 상기 제1 면부분에 가깝고 또한 제4 면부분에 치우친 위치에 중심을 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2)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상기 제3 면부분은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1 면부분은 제3 면부분측의 일부가 상기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에 원의 중심을 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면부분측의 잔부가 상기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을 대칭 중심으로 하여 제3 면부분과 대칭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4 면부분은 상기 제3 면부분과 평행하게 또는 평행보다 열린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이 태양에 있어서 또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부착면 상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측에 볼록단차 형상으로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2 면부분의 제4 면부분측의 단부에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기 각 스토퍼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의 회동 규제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 이 태양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4 면부분에 통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 내에 유지되어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이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함께 제1 및 제2 부착 구멍으로 통과시키기 전후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의 클로부가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이 부착 플레이트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제4 면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멍의 상기 제2 면부분측의 내주면의 일부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함께 제1 및 제2 부착 구멍으로 통과시키는 동안,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의 클로부가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보다 안쪽으로 몰입되어 있을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이 부착 플레이트와는 반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구멍의 안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하여 직경 확대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내어 형성되어도 된다.
(3)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부착 구멍보다 큰 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에 끼움장착 가능한 크기로,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을 빠져나갈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은 각각 각형으로 개구된다.
본 발명의 패널 패스너에 의하면, 제1 패널의 제1 부착 구멍보다 큰 부착면을 가지는 부착 플레이트와, 부착 플레이트의 부착면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를 플랜지로서 남기고, 제1 및 제2 패널의 제1 및 제2 구멍 안으로 삽입 통과 가능하게 부착 플레이트의 부착면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와, 제1 면부분측에 회동 중심을 설치하고, 제2 면부분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면부분으로부터 제3 면부분에 걸쳐 클로부로 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돌출단측의 양측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축을 통하여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클로부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 사이에, 통상 상태로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를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함께 제1 및 제2 패널의 제1 및 제2 부착 구멍으로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를 제2 패널의 제2 부착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걸기 때문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2장의 패널의 부착 구멍에 패널 패스너를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걸어, 부착 작업을 간단히 하고, 2장의 패널을 종래보다 재빠르게 또한 간단히 접합할 수 있다.
또 부착 플레이트를 일방의 패널의 부착 구멍보다 큰 각형의 플레이트로 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각각 2개의 패널의 부착 구멍에 끼움장착 가능한 크기로, 당해 부착 구멍을 빠져나갈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각형으로 형성하고, 2개의 패널의 부착 구멍을 각형으로 개구함으로써, 2장의 패널의 부착 구멍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구멍을 뚫는데 필요한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는 본 발명 독자적인 각별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 패스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 패스너의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단면도, (e)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패널 패스너의 클로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정면단면도, (b)는 내측(제4 면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패널 패스너를 조립식의 래크의 조립에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패널 패스너 사용예에 있어서, 동일 패널 패스너의 사용 방법 및 동일 패널 패스너가 가지는 작용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패널 패스너 사용예에 있어서, 동일 패널 패스너의 사용 방법 및 동일 패널 패스너가 가지는 작용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패널 패스너 사용예에 있어서, 동일 패널 패스너가 가지는 작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패널 패스너(F)를 나타낸다. 패널 패스너(F)는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접합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말하는 패널은 예를 들면 조립식의 래크나 캐비넷 등을 구성하는 부재로, 금속제의 것이든 합성수지제의 것이든 소재는 상관없다.
패널 패스너(F)는 제1 부착 구멍(61)이 형성된 제1 패널(P1)과, 제2 부착 구멍(62)이 형성된 제2 패널(P2)을 중첩시킨 상태(도 5 참조)에서, 제1 패널(P1)의 제1 부착 구멍(6)으로부터 제2 패널(P2)의 제2 부착 구멍(62)에 통과시키고, 제2 패널(P2)의 제2 부착 구멍(62)의 가장자리부에 거는 것에 의해,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접합한다. 패널 패스너(F)는 제1 패널(P1)의 제1 부착 구멍(61)보다 큰 부착면을 가지는 부착 플레이트(1)와,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를 플랜지(11)로서 남기고, 제1 및 제2 패널(P1, P2)의 제1 및 제2 부착 구멍(61, 62) 안으로 삽입 통과 가능하게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구비한다. 패널 패스너(F)는 또한 일단측의 제1 면부분(301)과, 제1 면부분(301)에 대향하는 타단측의 제2 면부분(302)과, 측면측의 제3 면부분(303)과 제4 면부분(304)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구비한다. 이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는 제1 면부분(301)측에 회동 중심을 설치하고, 제2 면부분(302)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면부분(302)으로부터 제3 면부분(303)에 걸쳐 클로부(31)로 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돌출단(201)측의 양측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축(4)을 통하여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클로부(31)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다. 패널 패스너(F)는 또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통상 상태로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5)(도 2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1)는 제1 패널(P1)의 제1 부착 구멍(61)보다 조금 큰 각형, 구체적으로는 장방 형상의 전체적으로 평탄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부착 플레이트(1)의 하나의 평면은 부착면이며, 이 부착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가 돌출설치된다. 이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는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를 플랜지(11)로서 남기도록, 부착 플레이트(1)의 장변측의 가장자리부(101, 102) 및 단변측의 가장자리부(103, 104)보다 조금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있어서 장변측의 가장자리부(101, 102)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각각은 제1 및 제2 패널(P1, P2)의 제1 및 제2 부착 구멍(61, 62)에 끼움장착 가능한 크기로, 제1 및 제2 부착 구멍(61, 62)을 빠져나갈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각형, 구체적으로는 장방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태양에 있어서 각 베어링 플레이트(2)는 부착 플레이트(1)의 장변측의 가장자리부(101, 102)와 평행한 양 가장자리부를 장변측의 가장자리부(201, 202)로 하고, 부착 플레이트(1)의 장변측의 가장자리부(101, 10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양 가장자리부를 단변측의 측가장자리부(203, 204)로 하는 장방 형상이다.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 상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측에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위한 한 쌍의 스토퍼(21)가 형성된다. 이 한 쌍의 스토퍼(21)는 각각 볼록단차 형상으로, 본 실시태양에서는 단면 대략 장방형의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베어링 플레이트(2)의 가장자리부(201), 즉 부착 플레이트(1)와는 반대측의 돌출 가장자리부(201)의 양측 코너의 근방에는 각각 축(4)이 삽입 통과 가능한 축삽입 통과부(20)가 형성된다. 각 축삽입 통과부(20)의 전체 둘레에는 각 베어링 플레이트(2)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테이퍼를 이루는 경사부(200)가 아울러 형성된다.
이러한 부착 플레이트(1) 및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형상에 의해, 제1 및 제2 패널(P1, P2)의 각 부착 구멍(61, 62)(도 5 참조)이 각각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끼움장착 가능한 각형으로, 구체적으로는 장방 형상의 단순한 형상으로 개구된다. 부착 구멍(61, 62)은 장변 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치수가 베어링 플레이트(2)의 장변 방향의 가장자리부(201)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크고, 단변 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치수가 베어링 플레이트(2)의 외측면 사이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크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의 각각은 후술하는 도 6(2)에 나타내는 몰입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 플레이트(2)의 돌출 가장자리부(201)에 대응하는 일단측의 제1 면부분(301)과, 베어링 플레이트(2)의 돌출 가장자리부(201)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202)에 대응하는 타단측의 제2 면부분(302)과, 베어링 플레이트(2)의 측가장자리부(203, 204)에 대응하고, 베어링 플레이트(2)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측면측의 제3 면부분(303)과, 제3 면부분(303)에 대향하고, 베어링 플레이트(2)의 안쪽에 배치되는 측면측의 제4 면부분(304)을 가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는 각각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장방형 평면의 절반면 내에 배치 가능한 크기로, 이 장방형 평면 내에서 장변 방향 중앙 위치를 대칭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은 베어링 플레이트(2)의 돌출 가장자리부(201)에 대응하는 제1 면부분(301)측에 있어서, 베어링 플레이트(2)의 측가장자리부(203, 204)에 대응하는 제3 면부분(303)에 치우쳐 설치되고, 여기에 축(4)이 삽입 통과 가능한 축삽입 통과부(30)가 형성된다. 베어링 플레이트(2)의 가장자리부(202)에 대응하는 제2 면부분(302)은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보다 제1 면부분(301)에 가깝고 또한 제4 면부분(304)에 치우친 위치에 중심을 두는 원의 일부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각 클로 플레이트(3)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도 6(2)에 나타내는 몰입 상태에 있어서, 제3 면부분(303)은 베어링 플레이트(2)의 측가장자리부(203, 204)와 평행한 단면 직선 형상의 평탄한 면으로서 형성된다. 제2 면부분(302)으로부터 제3 면부분(303)에 걸쳐 클로부(31)로 한다. 제1 면부분(301)은 복합 형상이며, 제3 면부분(303)측의 일부가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에 원의 중심을 둔 단면 원호 형상의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고, 제4 면부분(304)측의 잔부가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을 대칭 중심으로 하여 제3 면부분(303)과 대칭적으로 비스듬히 평탄한 면으로서 형성된다. 제4 면부분(304)은 제3 면부분(303)과 평행하게 또는 평행보다 조금 열리는 방향으로, 본 실시태양에서는 평행보다 조금 열린 방향을 향해 평탄한 면으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제2 면부분(302)에는 제4 면부분(304)측의 단부에 부착 플레이트(1)의 스토퍼(21)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의 본 실시태양에서는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회동 규제부(32)가 설치된다.
또한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제4 면부분(304)에는 원통 형상의 구멍(33)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5)을 채용하고, 이 코일 스프링(5)의 양단을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의 각 구멍(33) 내에 유지하여, 2개의 클로 플레이트(3) 사이에 개재 장착한다. 각 클로 플레이트(3)의 구멍(33)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면부분(304)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다. 이 각도는 패널 패스너(F)를 2장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부착할 때,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부착 구멍(61, 62)에 통과시키기 전후에 있어서, 도 6(1) 및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 플레이트(3)의 클로부(31)가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때, 코일 스프링(5)이 부착 플레이트(1)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이 구멍(33)의 제2 면부분(302)측의 내주면의 일부(331)는 구멍(33)의 안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직경 확대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내어 형성된다. 이 각도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부착 구멍(61, 62)에 통과시키는 동안, 도 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 플레이트(3)의 클로부(31)가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서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보다 안쪽으로 몰입되어 있을 때, 코일 스프링(5)이 부착 플레이트(1)와는 반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정해져 있다.
패널 패스너(F)는 각 부가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 베어링 플레이트(2)의 장변 방향 중앙의 위치를 대칭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베어링 플레이트(2)의 돌출단(201)측의 양측 코너 근방의 각 축삽입 통과부(20)와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축삽입 통과부(30)를 맞추어 축(4)을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조립한다. 또한 각 축(4)의 양단은 베어링 플레이트(2)의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200) 내에서 코킹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패널 패스너(F)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2개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패널(P2)의 부착 구멍(62)의 가장자리부에 걸도록 되어 있다.
도 4, 도 5에 패널 패스너(F)를 조립식 레크(R)의 조립에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래크(R)는 천면 패널, 저면 패널, 좌우의 측면 패널, 정면의 도어 패널, 배면 패널로 이루어진다. 각 패널의 고정 위치에는 각형(장방형)의 부착 구멍이 뚫려 있어, 인접하는 2개의 패널의 부착 구멍을 맞추어 패널 패스너(F)를 삽입 통과시켜 거는 것에 의해 래크(R)를 조립한다.
이하, 패널 패스너(F)의 사용 방법과 함께, 이 패널 패스너(F)의 작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느 인접하는 2개의 패널 사이에서도 패널 패스너(F)의 사용 방법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접합하는 패널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고, 단순히 2장의 패널(P1, P2), 혹은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 등이라고 칭한다. 제1 패널(P1)은 2장의 패널(P1, P2)을 중첩시켰을 때 부착 구멍(61)이 외측이 되는 패널, 즉 패널 패스너(F)를 삽입하는 측의 패널을 가리키고, 제2 패널(P2)은 2장의 패널(P1, P2)을 중첩시켰을 때 부착 구멍(62)이 내측이 되는 패널, 즉 패널 패스너(F)가 돌출되어 가는 측의 패널을 가리킨다.
도 5 및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 패스너(F)의 사용 전의 통상의 상태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사이에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가 코일 스프링(5)에 의해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 방향으로 압압 가압되어, 클로 플레이트(3)의 제3 면부분(303)으로부터 제2 면부분(302)에 걸쳐, 즉 클로부(31)가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 상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측에 한 쌍의 스토퍼(21)가 형성되고,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제2 면부분(302)의 제4 면부분(304)측의 단부에 각 스토퍼(21)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의 회동 규제부(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클로 플레이트(3)가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조립식 래크(R)의 조립에 있어서,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패널(P1, P2)을 중첩시키고, 양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을 맞추고, 패널 패스너(F)를 부착 구멍(61, 62)의 방향에 맞추어, 횡방향이라면 횡방향으로, 종방향이라면 종방향으로 하여,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양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삽입하여 밀어넣는다(원푸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 패스너(F)는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 및 양 외측면이 선단으로부터 중간으로, 중간으로부터 기단으로,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의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슬라이딩하면서 부착 구멍(61, 62)을 통과한다. 이 동안,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의 클로부(31)는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의 각 단변 방향의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압압되고, 클로 플레이트(3) 사이의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코일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서서히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의 안쪽을 향하여 회동하고,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보다 안쪽으로 몰입되어 간다. 그리고 패널 패스너(F)가 부착 구멍(61, 62)에 밀려들어가는 순간, 한 쌍의 클로부(31)가 완전히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 몰입되어, 베어링 플레이트(2)가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을 완전히 통과하고, 부착 플레이트(1)는 플랜지(11)가 외측의 패널(P1)의 부착 구멍(61)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 주변에 맞닿는다.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의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는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을 빠져나가, 내측의 제2 패널(P2)의 내측에 있어서 클로 플레이트(3) 사이의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코일 스프링(5)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 방향으로 회동하여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부착 구멍(62)의 단변 방향의 가장자리부 주변에 탄성적으로 걸린다. 여기서 이 패널 패스너(F)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을 제1 면부분(301)측에 있어서 제3 면부분(303)에 치우쳐 설치하고, 클로 플레이트(3)의 제2 면부분(302)을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보다 제1 면부분(301)에 가깝고 또한 제4 면부분(304)에 치우친 위치에 중심을 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클로 플레이트(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부(31)의 외측으로의 회동과 함께 이 클로부(31)의 원호 형상의 부분을 부착 구멍(62)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밀어내어, 부착 구멍(62)의 단변 방향의 각 가장자리부에 파고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는 도 6(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패널(P1)의 부착 구멍(61)으로부터 제2 패널(P2)의 부착 구멍(62)으로 끌어당겨져, 부착 플레이트(1)의 플랜지(11)가 제1 패널(P1)의 부착 구멍(61)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 주변에 압접하고, 2장의 패널(P1, P2)은 부착 플레이트(1)와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 사이에서 체결되어 접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패널 패스너(F)에 의하면, 제1 패널(P1)의 제1 부착 구멍(61)보다 큰 부착면을 가지는 부착 플레이트(1)와,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를 플랜지(11)로서 남기고, 제1 및 제2 패널(P1, P2)의 제1 및 제2 부착 구멍(61, 62) 중에 삽입 통과 가능하게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와, 제1 면부분(301)측에 회동 중심을 설치하고, 제2 면부분(302)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면부분(302)으로부터 제3 면부분(303)에 걸쳐 클로부(31)로 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돌출단(201)측의 양측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축(4)을 통하여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클로부(31)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통상 상태로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5)을 구비하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제1 및 제2 패널(P1, P2)의 제1 및 제2 부착 구멍(61, 62)에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제2 패널(P2)의 제2 부착 구멍(62)의 가장자리부에 걸기 때문에, 패널 패스너(F)를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2장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원푸시로 통과시켜 걸 수 있으므로, 부착 작업이 간단하게 되어, 2장의 패널(P1, P2)을 종래보다 재빠르고 또한 간단히 접합할 수 있다.
또 이 패널 패스너(F)는 추가로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1) 각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이 클로 플레이트(3)의 제1 면부분(301)측에 있어서 제3 면부분(303)에 치우쳐 설치되고, 제2 면부분(302)이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보다 제1 면부분(301)에 가깝고 또한 제4 면부분(304)에 치우친 위치에 중심을 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 패널 패스너(F)를 2장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통과시켜 원푸시한 후의 클로 플레이트(3)를 클로부(31)의 외측으로의 회동과 함께 이 클로부(31)의 원호 형상의 부분을 부착 구멍(62)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밀어내어, 부착 구멍(62)의 가장자리부에 파고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제1 패널(P1)의 제1 부착 구멍(61)으로부터 제2 패널(P2)의 제2 부착 구멍(62)으로 끌어당겨,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의 플랜지(11)가 제1 패널(P1)의 제1 부착 구멍(61)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 주변에 압접하고, 2장의 패널(P1, P2)을 부착 플레이트(1)와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 사이에서 체결하여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2장의 패널(P1, P2)의 판 두께에 다소의 불균일이 있어도, 양 패널(P1, P2)을 덜컥거림 없이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2)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제3 면부분(303)은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제1 면부분(301)은 제3 면부분(303)측의 일부가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에 원의 중심을 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면부분(304)측의 잔부가 클로 플레이트(3)의 회동 중심을 대칭 중심으로 하여 제3 면부분(303)과 대칭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고,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제4 면부분(304)은 제3 면부분(303)과 평행하게 또는 평행보다 열린 방향을 향해 형성됨으로써, 각형의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내측에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를 클로부(31)만이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면 상에 있어서,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측에 볼록단차 형상으로 한 쌍의 스토퍼(21)가 형성되고, 각 클로 플레이트(3)의 제2 면부분(302)의 제4 면부분(304)측의 단부에 부착 플레이트(1)의 각 스토퍼(21)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의 회동 규제부(32)가 설치되므로, 각 클로 플레이트(3)가 각 베어링 플레이트(2)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각 클로 플레이트(3)의 클로부(31)를 각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확실하게 출몰시킬 수 있다.
또 각 클로 플레이트(3)의 타방의 측가장자리부(304)에 통 형상의 구멍(33)이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5)이 채용되며, 코일 스프링(5)이 양단이 각 클로 플레이트(3)의 구멍(33)에 유지되어 각 클로 플레이트(3) 사이에 개재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각 클로 플레이트(3)를 간단한 구조로 각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동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클로 플레이트(3)의 구멍(33)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2개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통과시키기 전후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의 클로부(31)가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때, 코일 스프링(5)이 부착 플레이트(1)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제4 면부분(304)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고, 또한 이 구멍(33)의 제2 면부분(302)측의 내주면의 일부(331)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를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와 함께 2개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통과시키는 동안,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의 클로부(31)가 각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보다 안쪽으로 몰입되어 있을 때, 코일 스프링(5)이 부착 플레이트(1)와는 반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안내 가능하도록, 구멍(33)의 안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하여 직경 확대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내어 형성되므로, 코일 스프링(5)의 신축 변형을 양호하게 하고,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의 클로부(31)를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의 양 측가장자리부(203, 204)로부터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출몰시킬 수 있다.
(3) 부착 플레이트(1)는 제1 패널(P1)의 제1 부착 구멍(61)보다 큰 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2)는 각각 2개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에 끼움장착 가능한 크기로, 이 2개의 부착 구멍(61, 62)을 빠져나갈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2개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은 각각 각형으로 개구되므로, 2장의 패널(P1, P2)의 부착 구멍(61, 62)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구멍을 뚫는데 필요한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5)을 사용하고, 코일 스프링(5)이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3)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것으로 했지만, 스프링 부재로서 토션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을 사용하고, 각 클로 플레이트(3)와 각 베어링 플레이트(2)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패널 패스너(F)는 2장의 패널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2장의 패널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되는 경우나, 3장 이상의 패널을 겹쳐서 접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2장의 패널의 접합만의 사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패널 패스너
1…부착 플레이트
101, 102…장변측의 가장자리부
103, 104…단변측의 가장자리부
11…플랜지
2…베어링 플레이트
201…돌출단(장변측의 가장자리부)
203, 204…측가장자리부(단변측의 가장자리부)
20…축삽입 통과부
200…경사부
21…스토퍼
3…클로 플레이트
301…제1 면부분
302…제2 면부분
303…제3 면부분
304…제4 면부분
30…축삽입 통과부
31…클로부
32…회동 규제부
33…구멍
331…내주면의 일부
4…축
5…스프링 부재(코일 스프링)
R…래크
P1…제1 패널
P2…제2 패널
61, 62…부착 구멍

Claims (7)

  1. 제1 부착 구멍을 형성한 제1 패널과, 제2 부착 구멍을 형성한 제2 패널을 중첩시킨 상태로, 제1 부착 구멍으로부터 제2 부착 구멍으로 통과시키고, 제2 부착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거는 것에 의해,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접합하는 패널 패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부착 구멍보다 큰 부착면을 가지는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기 부착면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를 플랜지로서 남기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 안으로 삽입 통과 가능하게 부착 플레이트의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와,
    일단측의 제1 면부분과, 이 제1 면부분에 대향하는 타단측의 제2 면부분과, 측면측의 제3 면부분과 제4 면부분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1 면부분측에 회동 중심을 설치하고, 상기 제2 면부분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면부분으로부터 제3 면부분에 걸쳐 클로부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돌출단측의 양측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축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클로부가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 사이에 또는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와 상기 각 베어링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통상 상태로서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회동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으로 원푸시로 통과시키고,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제2 부착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패스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이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1 면부분측에서 상기 제3 면부분에 치우쳐 설치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2 면부분이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보다도 상기 제1 면부분에 가깝고 또한 제4 면부분에 치우친 위치에 중심을 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패스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상기 제3 면부분은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1 면부분은 제3 면부분측의 일부가 상기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에 원의 중심을 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면부분측의 잔부가 상기 클로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을 대칭 중심으로 하여 제3 면부분과 대칭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4 면부분은 상기 제3 면부분과 평행하게 또는 평행보다 열린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패스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부착면 상에서,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측에 볼록단차 형상으로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2 면부분의 제4 면부분측의 단부에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기 각 스토퍼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 형상의 회동 규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패스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제4 면부분에 통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 내에 유지되어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패스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로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은,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함께 제1 및 제2 부착 구멍으로 통과시키기 전후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의 클로부가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이 부착 플레이트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제4 면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멍의 상기 제2 면부분측의 내주면의 일부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와 함께 제1 및 제2 부착 구멍으로 통과시키는 동안, 상기 한 쌍의 클로 플레이트의 클로부가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보다 안쪽으로 몰입되어 있을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이 부착 플레이트와는 반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구멍의 안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하여 직경 확대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패스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부착 구멍보다 큰 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에 끼움장착 가능한 크기로,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을 빠져나갈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부착 구멍은 각각 각형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패스너.
KR1020190102332A 2018-08-24 2019-08-21 패널 패스너 KR20200023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6918 2018-08-24
JPJP-P-2018-156918 2018-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219A true KR20200023219A (ko) 2020-03-04

Family

ID=6963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332A KR20200023219A (ko) 2018-08-24 2019-08-21 패널 패스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67148B2 (ko)
KR (1) KR20200023219A (ko)
CN (1) CN110857711A (ko)
TW (1) TW2020265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9043B2 (ja) 2020-03-06 2023-10-1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7430558B2 (ja) 2020-03-30 2024-02-1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締結ファスナー
JP7394479B2 (ja) * 2021-07-13 2023-12-08 株式会社サンワ 展示装置およびプレート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6239A (en) * 1921-11-15 1922-08-15 Witzberger Heating Appliances Spring stove bolt
JPS5884408U (ja) * 1981-12-01 1983-06-08 オムロン株式会社 被固定機器の取付装置
JPH087132Y2 (ja) * 1991-01-25 1996-03-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板材の固定構造
JPH08135630A (ja) * 1994-11-14 1996-05-31 Nifco Inc 物品結合具
FR2746944A1 (fr) * 1996-03-28 1997-10-03 Teaupel Rene Dispositif d'assujettissement, d'identification et de controle de l'indentification de pieces
ES2164419T3 (es) * 1997-01-31 2002-02-16 Mecano Rapid Gmbh Elemento de sujecion.
JPH10266674A (ja) * 1997-03-21 1998-10-06 Nifco Inc 扉の振動ロック装置
JP3060257U (ja) * 1998-12-09 1999-08-17 哲儀 林 嵌付物用固定装置
DE202004003238U1 (de) * 2004-02-27 2005-07-07 Ramsauer, Dieter Klipsbefestigung für die Schnellmontage von Beschlageinrichtungen, wie Schwenkhebelverschlüsse, Scharnierteile in Durchbrüchen in einer dünnen Wand
DE202004014766U1 (de) * 2004-09-20 2006-02-02 Ramsauer, Dieter Griff zur Montage in einem Durchbruch
EP1723297B1 (de) * 2004-02-27 2012-04-18 Dieter Ramsauer Griff zur montage in einem durchbruch
DE202009004280U1 (de) * 2009-04-01 2010-08-12 Ramsauer, Dieter Schnappbefestigung
JP2011089543A (ja) * 2009-10-20 2011-05-06 Nifco Inc クリップ
JP2012229762A (ja) * 2011-04-27 2012-11-22 Panasonic Corp グロメット
JP5723349B2 (ja) * 2012-10-16 2015-05-27 株式会社栃木屋 ファス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57711A (zh) 2020-03-03
TW202026537A (zh) 2020-07-16
JP7267148B2 (ja) 2023-05-01
JP2020034155A (ja)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3219A (ko) 패널 패스너
US4775176A (en) Automobile door latch
JPS5934732Y2 (ja) 部品取付構造
US20100313384A1 (en) Hinge device
US2186789A (en) Bearing unit
US20060046542A1 (en) Card connector device
JP2005232959A (ja) ヒンジピンの回転停止装置
JP4557561B2 (ja) ドアヒンジ、および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
EP0359317B1 (en) Assembling device
JP5399093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6917052B2 (ja) スライドヒンジ及びこれを用いたキャビネット
JP2009138413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5481120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CN111527315A (zh) 具有角度补偿功能的紧固装置
US20050226684A1 (en) Furniture assembly device
GB2256894A (en) Fixing device for securing panels together.
JP2005153311A (ja) ファイル用綴じ具の取付構造
JP2001107941A (ja) チルトヒンジ
US3484832A (en) Fastener means
JPH0714588Y2 (ja) ロック装置
JP7416610B2 (ja) パネルファスナー
TWI653013B (zh) 自動定位扣裝置
JP2021139445A (ja) ピンファスナー
KR101007215B1 (ko) 링형 손잡이가 구비된 체결구
JP2023106796A (ja) ワンタッチ式ファス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