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992A -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992A
KR20200014992A KR1020180090197A KR20180090197A KR20200014992A KR 20200014992 A KR20200014992 A KR 20200014992A KR 1020180090197 A KR1020180090197 A KR 1020180090197A KR 20180090197 A KR20180090197 A KR 20180090197A KR 20200014992 A KR20200014992 A KR 20200014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group
obesity composition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001B1 (ko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0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여, 체중, 체지방 감소 및 혈중 지질 수치 감소 효과가 우수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호성이 높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한 항비만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A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Gelidium amansii extract and Salicornia europaea extract}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체중, 체지방 감소 및 혈중 지질 수치 감소를 통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경제발전과 함께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경제발전과 더불어 채식과 탄수화물 위주로 이루어져있던 식단이 육식으로 대표되는 서양의 단백질 위주의 식단으로 변경됨과 함께 지방의 섭취가 증가하여 체중 과다와 비만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은 과체중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체지방의 과다로 인해 비이상적인 에너지 대사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일방적인 섭취제한으론 근본적 원인의 해소가 불가능하다.
비만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야기되기 때문에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지나친 열량 섭취, 내분비 장애, 운동부족, 유전적 요인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활습관병이라고도 한다(Grundy 1998; Heo et al. 2009).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소득수준의 향상과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국민건강통계 자료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08년에는 31.0%로, 이는 미국(만 20세 이상, 체질량지수 30 kg/m 2 이상)의 비만유병률 32.2%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가족부 2009, 48; Flegal et al. 2010).
비만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 서 국내에서도 성인병의 주요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비만치료약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식욕억제제, 에너지 대사 촉진제, 호르몬 및 펩타이드 조절제, 비중추 신경계 작용 펩타이드제 등 신경 전달계나 호르몬 계통에 직접 작용하여 포만감을 주거나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과 소화효소에 작용하여 흡수를 억제하는 간접적인 약물이다.
이 약물들은, 신경 전달계나 호르몬 계통에 직접 작용하여 포만감을 주거나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의 경우 혈압이 상승하거나 불면증, 발한, 무기력 등의 부작용으로 건강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커지면서 식이조절과 병행한 기능성 식품으로 개선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Reddy and Chow 1998; Kim 2004).
우리나라에서도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다양한 건강기능성 소재 및 식품이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를 받아 유통되고 있고, 그 중 체중 조절과 연관된 개별인정형 원료 성분으로는 conjugated linoleic acid(CLA), hydroxy-citric acid(HCA), CJ-hibiscus 복합추출물 등이 허가를 받아 시판되고 있다.
천연물을 이용한 항비만 소재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식욕 억제에 관여하는 물질로 hydroxy-citric acid, palm oil, olibra, 식이섬유 등이 있으며, 지방의 소화 및 흡수를 저해하는 물질로는 chitin, 플라보노이드 등, 그리고 열 발생을 유도하여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물질로는 고추의 capsaicin, CLA, 우유 칼슘과 관련된 단백질 등이 보고되고 있다(Zacour et al. 1992; Kamphuis et al. 2003; Ahn, Park, Do 2007; Hong et al. 2009). 뿐만 아니라 한의학에서도 지실, 녹차, 천궁, 진피, 솔잎 등이 체중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et al. 2003; Jeon et al. 2005).
비만의 개선을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식이 조절을 통해 섭취 열량을 조절하여 자신의 생활 패턴과 활동량에 적합한 열량을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병행하여 다양한 천연물 유래의 항비만 성분을 꾸준히 섭취하면 개선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건강기능소재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체지방 감소와 체중 감량 소재이며 현재는 CLA, HCA 등이 시장을 주도 하고 있으나, 천연 재료를 활용하면서도, 기호성이 높은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KR 10-1874161(2018.06.27.)
본 발명의 목적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중, 체지방 감소 및 혈중 지질 수치 감소 효과가 우수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호성이 높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한 항비만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 및 함초(Salicornia europaea)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다.
상기 함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발효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된 발효 우뭇가사리 추출물이다.
상기 함초 추출물은 발효된 함초로부터 추출된 발효 함초 추출물이다.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제주참깃풀(Antithamnion aglandum)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하며, 혈중 지질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중 지질 수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茶)는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 및 함초(Salicornia europaea)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는 홍조식물 우뭇가사리과의 바닷말로, 5월에서 11월에 생육하는 식물이다. 체세포의 틈 사이에 10 내지 20%의 한천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한천을 만든다. 우뭇가사리를 민물에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바랜 것을 고아서 찌꺼기를 걸러내고 식히면 우무가 된다. 이러한 우무를 얼려 말 린 것이 한천이다. 자연한천은 순도가 낮지만 점성이 강한 반면에 기계적으로 만든 공업 한천은 순도가 높으나 점성이 약하다. 한천은 창자의 연동운동에 도움을 주며,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각광받고 있으며 아이스크림 이나 잼을 만들 때 점성을 주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식품첨가용(제과·조림·유제품·육류저장용), 공업용(필름·방수포·상질 인쇄지·기포제·섬유 및 명주의 끝마무리용 풀과 석호세공·각종 모형 성형용 및 수 정유제·연마제도료·납도금 등), 농업용(살충제·농약안정제·양조용(양조된 것을 맑게 거르는 데 사용)), 화장품용, 의약용 및 학술연구용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상기 함초(Salicornia europaea)는 개발 갯벌, 염전에 서식하는 명아주과의 식물로 줄기 마디가 퉁퉁하고 튀어나온 모양을 하여, 국내에서는 퉁퉁마디로 불린다.
한편, 함초의 학명은 Salicornia herbacea 또는 Salicornia europaea로 명명되었으며, 혼용하여 사용된다. 함초는 4 내지 6%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 특유의 짠맛을 나타내며, 이에 식물성 소금 제조 및 다양한 음식 부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함초는 염전에 서식하면서 Na+, K+, Ca2+, Mg2+, Mn+, Zn2+ 등 다양한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염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베타인(betaine)과 같은 양쪽성 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다.
또한, 식이섬유 함량이 60.6% 이상이며, 전체 지방산의 50%가 리놀렌산, 전체 아미노산의 40% 이상이 필수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우수한 영양성이 보고되어 있다.
한편, 한방 및 민간에서는 변비, 소화불량, 간염 및 신장병 치료제로 사용되어져 왔다. 함초의 다양한 유용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항산화, 항피 로, 항염증, 혈전생성억제 및 혈전용해 활성, 면역능 증강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하며, 혈중 지질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이란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건조한 우뭇가사리를 분쇄한 분쇄물을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C1 내지 C6의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알코올과 물의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한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우뭇가사리 추출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함초 추출물 또한, 우뭇가사리 추출물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함초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은 우뭇가사리 및 함초를 발효시킨 후, 발효된 우뭇가사리 및 함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발효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발효 함초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세포독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해조류 특유의 이취로 인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효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발효 함초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해조류 특유의 이취를 감소시켜 상대적으로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며, 항비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주참깃풀(Antithamnion aglandum)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주참깃풀은 엽체는 밝은 선홍색으로 높이 2.0 내지 3.0cm로 자란다. 보통 선단부는 위쪽을 향하나 하부는 포복하며, 종종 직립하기도 하고, 다소 거칠다. 윤생지의 기부세포에서 가근을 내어 다른 해조류, 동물체 혹은 암반에 부착 생육한다. 생장은 무한생장지의 정단세포가 연속적으로 횡분열하여 이루어지고, 생장축은 다소 곧바르다. 주축은 뚜렷하며, 매 세포마다 한 쌍의 마주나는 윤생지를 낸다. 주축세포는 단핵이고, 원통형이며, 폭 65 내지 70μm, 폭에 대한 길이 비는 2 내지 4배이다. 윤생지는 유한생장하며, 하부로부터 중부까지는 매 세포마다 마주나기로 소지를 낸다. 그러나 구슬 모양의 기부세포에서는 소지를 내지 않는다. 중부에서 말단부까지는 배축면으로만 소지를 내며, 축 방향으로 약간 활모양으로 굽어 있고, 엽축은 10 내지 13세포 길이로 자란다. 여름철 보통 조하대 수심 5 내지 15m에 서식한다. 한국(제주도, 울릉도, 독도)에 분포한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에 제주참깃풀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 효과에 의해 우수한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혈중 지질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주참깃풀 추출물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고, 발효 제주참깃풀 추출물로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추출물 및 비비추(Hosta longipes)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추참깃풀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향미가 향상되어 보다 기호성 높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는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원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끝이 곧추서고 녹색이며 처음에는 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높이 30c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지만 윗부분에 모여 달리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 잎자루가 된다. 또한 꽃은 4 또는 5월에 피고 흰색이며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꽃이삭 밑부분에 약간 달리고 수꽃은 윗부분에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3 내지 5개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겉에 털이 없다.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에 분포한다.
상기 비비추(Hosta longipes)는 산지의 냇가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며 높이 30 내지 40cm이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8 또는 9맥이 있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 또는 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30 내지 40cm이다. 포는 얇은 막질이고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검은색으로서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연한 순을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야생종은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비비추는 원예종으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외국에서 정원식물로 인기가 높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함초 추출물 80 내지 100 중량부, 제주참깃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수호초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비비추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혈중 지질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기호성이 매우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기호성이 높아 널리 보급하는데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및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은 항 비만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하며, 혈중 지질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중 지질 수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혈중 지질 수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좁은 의미로 혈중 지질 수치 감소용 식품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茶)는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의하면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며, 체중, 체지방 감소 및 혈중 지질 수치 감소 효과가 우수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차 기타,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기호성이 뛰어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1-1. 우뭇가사리 추출물 제조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 시료에 추출 용매인 증류수을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함초 추출물 제조
함초(Salicornia europaea) 시료에 추출 용매인 증류수를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충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3. 우뭇가사리 및 함초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우뭇가사리 및 함초 추출물의 혼합물은 시료를 감압 농축하여 얻은 분말 상태에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혼합 시, 우뭇가사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함초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용하였다.
1-4. 제주참깃풀 추출물 제조
제주참깃풀(Antithamnion aglandum) 시료에 추출 용매인 증류수를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충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5.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의 혼합물은 시료를 감압 농축하여 얻은 분말 상태에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혼합 시, 우뭇가사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함초 90 중량부 및 제주참깃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항 비만 효과의 측정]
실험예 1-1. 실험동물 및 비만 유도
특정 병원체 (specific pathogen free)가 없는 5주 령의 C57BL/6J 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Central Lab-Animal Inc., 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사육실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온도 및 습도는 24±5℃, 55±5%로 설정하였으며 lighting cycle은 12시간 주기로 하였다.
실험 군으로는 정상식이군(Normal Fat)에게 총 칼로리의 10%가 지방인 일반 식이(NF)를 공급하였고 고지방식이군(High Fat)에는 비만 유도를 위하여 총 칼로리의 60%가 지방인 고지방식이(HF)를 공급하여 비만 유도를 3주간 진행하였다.
비만 유도 후 실험동물은 난괴법으로 정상식이군(NF; n=6), 고지방식이군(HF; n=6), 추출물 투여 군으로 고지방식에 우뭇가사리 추출물(GA) 100 mg/kg/day 투여한군(HF+GA100; n=6), 고지방식이에 GA 200 mg/kg/day 투여한군(HF+GA200; n=6), 고지방식이에 함초 추출물(SE) 100 mg/kg/day 투여한 군(HF+SE100; n=6), 고지방식이에 SE 200 mg/kg/day 투여한 군(HF+SE200; n=6), 고지방식이에 우뭇가사리 및 함초 추출물의 혼합물(GS) 100 mg/kg/day 투여한 군(HF+GS100; n=6), 고지방식이에 GS 200 mg/kg/day 투여한 군(HF+GS200; n=6), 고지방식이에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의 혼합물(GQ) 100 mg/kg/day 투여한 군(HF+GQ100; n=6), 고지방식이에 GA 200 mg/kg/day 투여한 군(HF+GQ200; n=6)으로 총 10군으로 분류하여 모든 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8주간 경구투여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1-2. 체중 및 식이 급여
본 실험예에 실험동물이 자유롭게 물과 식이를 섭취하도록 하였고, 주 1회 체중을 측정하였으며(도 1) 매주 동일한 시간에 식이를 공급하여 전주에 남은 식이량과 그날 공급한 식이량의 차이로 섭취 식이량을 계산하였다(표 1).

Group
Initial body
weight
(g)
Final body weight
(g)
Body weight gain
(g)
Food
intake
(g/day)
Water intake
(g/day)
Energy intake
(Kcal/day)
Food efficiency ratio
(%)
NF 20.01±1.01 30.57±
0.85
10.57±
1.34
2.81±
0.25
4.63±
0.83
10.76±
0.94
3.41±
2.10
HF 19.71±0.98 43.14±
4.01
23.41±
4.27
2.98±
0.46
3.47±
0.48
15.66±
2.47
10.56±
1.88
HF+GA100 19.62±0.65 41.51±
1.72
21.91±
1.72
2.97±
0.55
3.87±
0.71
15.63±
2.92
9.22±
3.16
HF+GA200 19.91±0.25 39.74±
2.31
19.84±
2.31
2.98±
0.58
3.23±
0.38
15.68±
3.11
9.08±
1.95
HF+SE100 19.86±
0.53
40.41±
2.68
20.52±
2.67
2.97±
0.48
3.28±
0.51
15.65±
2.59
8.34±
1.89
HF+SE200 20.13±0.81 38.32±
1.04
18.21±
1.12
2.68±
0.46
3.47±
0.95
14.11±
2.48
7.95±
2.43
HF+GS100 20.31±0.73 38.52±
1.43
18.22±
1.58
3.00±
0.75
3.01±
0.40
15.78±
4.01
6.69±
3.01
HF+GS200 19.91±0.78 36.28±
3.53
16.34±
3.01
3.07±
0.38
3.33±
0.52
16.05±
2.02
6.97±
2.66
HF+GQ100 19.81±0.98 33.12±3.11 14.21±
4.15
3.01±
0.45
3.00±
0.41
15.58±
2.57
6.46±
2.88
HF+GQ200 20.13±0.81 32.92±
1.04
12.77±
1.22
3.08±
0.56
3.37±
0.65
16.11±
2.38
6.85±
2.53
실험동물 각 군의 체중 변화에서 Initial body weight에는 각 군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inal body weight에는 현저한 체중 변화를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군(HF)은 일반 식이군(NF)에 비해 체중이 1.45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되었다고 할 것이다. 우뭇가사리 추출물 투여 군(HF+GA100, HF+GA200), 함초 추출물 투여 군(HF+SE100, HF+SE200), 특히 우뭇가사리 및 함초 추출물의 혼합물 투여군(HF+GS100, HF+GS200) 및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의 혼합물 투여군(HF+GA100, HF+GA200)의 체중은 HF 군의 체중 보다 현저히 감소하여 우뭇가사리 및 함초 추출물 단독보다 이들의 추출 혼합물은 체중 감소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3. 장기 및 지방 조직 무게
채혈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신장, 비장, 간, 부고환 지방, 내장지방을 적출한 다음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여과지로 물기를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와 같이 나타내었다.
Group Kidney (g) Spleen (g) Liver (g) Epididymal fat (g) Visceral fat (g)
NF 0.32±0.01 0.07±0.01 0.97±0.03 0.48±0.08 0.28±0.02
HF 0.36±0.01 0.09±0.01 1.43±0.15 2.49±0.12 1.51±0.21
HF+GA100 0.33±0.01 0.07±0.01 1.15±0.07 2.45±0.41 0.95±0.14
HF+GA200 0.32±0.01 0.07±0.00 1.10±0.09 2.31±0.38 0.84±0.26
HF+SE100 0.32±0.01 0.07±0.01 1.14±0.10 2.41±0.36 0.94±0.27
HF+SE200 0.31±0.01 0.07±0.01 1.10±0.05 2.27±0.55 0.89±0.22
HF+GS100 0.30±0.01 0.06±0.00 1.01±0.06 2.31±0.25 0.75±0.16
HF+GS200 0.29±0.01 0.06±0.01 0.96±0.10 2.11±0.51 0.71±0.21
HF+GQ200 0.27±0.01 0.05±0.01 0.94±0.05 2.01±0.39 0.69±0.31
HF+GQ200 0.27±0.01 0.05±0.01 0.94±0.03 1.99±0.36 0.67±0.27
즉, 각 군의 장기 및 지방 조직 무게는 표 2에 나타내었는데, 이를 참조하면 비장과 신장 무게에서 HF 군이 NF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추출물 투여 군은 HF 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의 무게는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HF 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뭇가사리 추출물, 함초 추출물, 우뭇가사리 및 함초 추출 혼합물 및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 혼합물에 의해 간의 무게가 HF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간조직에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이 축적되었으나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 혼합물은 간의 비대 증상 완화에 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 그리고 이들의 추출 혼합물이 지방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고환 지방과 내장지방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부고환 지방과 내장지방의 무게는 고지방식이 섭취에 의해 HF군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HF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이들의 추출 혼합물은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우수한 체지방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4. 혈액 생화학 지표 분석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희생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2,2,2-tribromoethanol (Sigma Aldrich)와 2-methyl-2-buthanol (Sigma Aldrich) 0.2 cc를 복강 주사하여 마취시켜 안와정맥채혈을 통해 공복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12,000 g, 4℃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액 생화학 지표로서 glucose (GLU),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의 수치는 Automated Clinical Chemistry Analyzer(FUJI DRI-CHEM NX500i)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표 3).
Group GLU
(mg/dL)
TG
(mg/dL)
TC
(mg/dL)
HDL-C
(mg/dL)
LDL-C
(mg/dL)
ALT
(U/L)
AST
(U/L)
NF 110.33±4.20 63.67±
1.52
123.17±
7.94e
76.93±
7.85
24.88±
4.23
45.83±
11.45
90.12±
10.14
HF 250.13±16.35 85.77±
17.65
193.33±
7.61a
123.55±
9.65
46.23±
1.01
66.69±
25.54
107.83±
16.14
HF+GA100 242.15±26.40 76.23±
12.11
181.50±
6.50
124.25±
6.43
39.58±
3.61
62.37±
11.64
102.00±
18.23
HF+GA200 218.32±26.30 74.23±
10.10
172.53±
11.40
130.58±
8.54
35.27±
4.50
57.13±
17.51
105.73±
20.44
HF+SE100 241.00±25.70 78.23±
6.12
180.00±15.92 125.83±
8.35
38.88±
4.64
60.22±
20.25
106.51±
21.90
HF+SE200 217.01±
14.95c
74.00±
7.71
164.33±
13.61
127.51±
8.67
34.81±
2.18
58.93±
11.74
98.27±
11.93
HF+GS100 225.01±
22.54
81.55±
7.76
171.73±
9.65
120.43±
5.58
35.55±
4.88
57.67±
11.11
101.22±
12.24
HF+GS200 207.73±34.22 71.23±
5.80
155.51±
11.50
122.65±
12.01
31.63±
4.63
57.13±
18.01
95.00±
19.28
HF+GQ100 206.71±33.11 73.13±
4.55
161.11±
10.82
120.57±
7.01
33.53±
3.63
56.23±
10.98
91.55±
15.28
HF+GQ200 206.51±32.32 69.87±
4.80
150.41±
15.51
121.67±
10.05
28.93±
5.61
55.13±
10.41
85.00±
22.01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 그리고 이들의 추출 혼합물이 혈중 지질 농도 및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혈청 중 GLU, TG, TC, HDL-C, LDL-C, ALT, AST를 측정하였다.
간 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ALT와 AST를 측정하였으며 각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추출물로 인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HDL-cholesterol(HDL-C)에서 HF과 추출물 투여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HF군의 total cholesterol(TC)이 추출물 투여군 보다 유의하게 높아,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에 대한 비율은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LDL-cholesterol(LDL-C)은 추출물 투여군이 HF군에 비하여 감소되었고 혈당에서도 추출물 투여군은 HF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의 추출 혼합물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상승을 억제시키고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의 추출 혼합물은 혈중 지질 수치 개선으로 항비만 효과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조예 2. 발효 천연 추출물의 제조]
2-1. 발효 우뭇가사리 추출물(FGA)의 제조
우뭇가사리를 세척하고, 건조한 이후,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이후, 분쇄한 우뭇가사리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동결 건조 후 분쇄한 우뭇가사리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접종하고,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50, 40 및 30츠인 플라스틱 통에 담고, 0.01mm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통의 입구를 덮은 다음, 30℃, 상대습도 90% 조건 하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된 우뭇가사리 시료에 추출 용매인 증류수를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충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2. 발효 천연 추출물의 제조
함초 및 제주참깃풀을 2-1.의 발효 우뭇가사리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발효 함초 추출물(FSE) 및 발효 제주참깃풀 추출물(FAA)을 제조하였다.
2-3. 복합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4와 같은 함량 비율로 발효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T1 ST2 ST3 ST4 ST5
FGA 100 100 100 100 100
FSE 70 80 90 100 110
FAA 10 20 30 40 50
(단위 중량부)
[실험예 2: 항 비만 효과의 측정]
함초 및 제주참깃풀의 복합 추출물, 발효 복합 추출물(ST1 내지 ST5)의 체중 감소 효과, 지방조직 무게 및 혈액 생화학 지표를 지수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지방식이에 ST 1 내지 ST5를 각각 200 mg/kg/day 투여한 이후 그 결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의 복합 추출물(HF+GA200)의 체중 감소, 지방조직 무게 및 혈액 생화학 지표를 지수 5로 놓고 ST1 내지 ST5의 효과를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지수가 높을수록 항 비만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체중 감소 지방조직 무게 혈액 생화학 지표
HF+GA200 5 5 5
ST1 3 4 3
ST2 5 6 5
ST3 7 8 8
ST4 6 7 6
ST5 4 3 3
(단위: 지수)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의 경우와 비교하여, 발효시킨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의 발효 복합 추출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3-1. 수호초 추출물 제조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추출물 시료에 추출 용매인 증류수을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2. 비비추 추출물 제조
비비추(Hosta longipes) 추출물 시료에 추출 용매인 증류수을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우뭇가사리 추출물(GA), 함초 추출물(SE), 제주참깃풀 추출물(AA) 발효 우뭇가사리 추출물(FGA), 발효 함초 추출물(FSE) 및 발효 제주참깃풀 추출물(FAA)에 하기 표 6과 같은 중량 비율로 수호초 추출물(PT) 및 비비추 추출물(HL)을 혼합하였다.
SR1 SR2 SR3 SR4 SR5 SR6 SR7
GA 100 - - - - - -
SE 90 - - - - - -
AA 30 - - - - - -
FGA - 100 100 100 100 100 100
FSE - 70 80 90 100 110 80
FAA - 10 20 30 40 50 20
PT 7 1 5 7 10 15 -
HL 7 1 5 7 10 15 -
(단위 중량부)
[실험예 3: 관능성 평가]
상기 표 6의 SR1 내지 SR7을 이용하여 차로 제조한 이후, 성인남여 15명을 대상으로 관능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향, 맛 및 종합 기호도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1 내지 10점으로 점수로 평가를 요청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평가를 의미한다.
SR1 SR2 SR3 SR4 SR5 SR6 SR7
2 4 6 8 6 4 5
3 5 5 8 7 4 5
기호도 3 5 6 8 7 4 4
(단위 지수)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SR 1 내지 SR7의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우뭇가사리, 함초 및 제주참깃풀 추출물만 이용한 SR1의 경우에 향, 맛 및 기호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지 못함을 확인하였으며, 항비만 효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SR7의 경우에도 관능 평가에서는 해조류 특유의 이취로 인해 평가가 좋지 않았다.
반면, 수호초 및 비비초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에, 해조류 특유의 이취가 제거되어, 기호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 및 함초(Salicornia europae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항비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항비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발효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된 발효 우뭇가사리 추출물인
    항비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 추출물은 발효된 함초로부터 추출된 발효 함초 추출물인
    항비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제주참깃풀(Antithamnion aglandum)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중 지질 수치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차(茶).
KR1020180090197A 2018-08-02 2018-08-02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9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197A KR102094001B1 (ko) 2018-08-02 2018-08-02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197A KR102094001B1 (ko) 2018-08-02 2018-08-02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992A true KR20200014992A (ko) 2020-02-12
KR102094001B1 KR102094001B1 (ko) 2020-03-26

Family

ID=6956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197A KR102094001B1 (ko) 2018-08-02 2018-08-02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56A (ko) * 2020-11-24 2022-05-31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초 추출물
CN115381863A (zh) * 2022-08-02 2022-11-25 盐城工学院 一种海篷子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17B1 (ko) * 2019-03-12 2020-12-22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254B1 (ko) * 2006-04-21 2007-03-29 한국식품연구원 함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액
KR100893350B1 (ko) * 2008-05-13 2009-04-14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해조류로부터 추출발효액 및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009717A (ko) * 2012-07-12 2014-01-23 (주)파이토엠앤에프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KR20140029842A (ko) * 2012-08-30 2014-03-11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1874161B1 (ko) 2015-11-26 2018-08-02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254B1 (ko) * 2006-04-21 2007-03-29 한국식품연구원 함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액
KR100893350B1 (ko) * 2008-05-13 2009-04-14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해조류로부터 추출발효액 및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009717A (ko) * 2012-07-12 2014-01-23 (주)파이토엠앤에프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KR20140029842A (ko) * 2012-08-30 2014-03-11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1874161B1 (ko) 2015-11-26 2018-08-02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56A (ko) * 2020-11-24 2022-05-31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초 추출물
CN115381863A (zh) * 2022-08-02 2022-11-25 盐城工学院 一种海篷子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381863B (zh) * 2022-08-02 2024-01-23 盐城工学院 一种海蓬子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001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102094001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7483A (ko) 백색식품 및 흑색식품 재료를 이용한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356836A (zh) 紫苏营养保健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21327B1 (ko) 어묵의 제조방법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Ma et al. Nutritional value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mulberry fruit products
KR20200094528A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101793230B1 (ko) 미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CN108059519A (zh) 一种绿叶素组合物的制备方法
KR101164052B1 (ko) 야콘과 점액질염분을 함유하는 흑 마늘 녹차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13841884A (zh) 改善营养代谢的速溶代餐粉配方及其制作方法
KR20170024319A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496505B1 (ko) 붕장어 부산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면역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사료 조성물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00009723A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조절용 식품
KR102367647B1 (ko)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닭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항산화능 및 혈액 순환 개선능을 갖는 달걀의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달걀
KR102415159B1 (ko) 혼합 벌꿀 제조 시스템
KR102594645B1 (ko) 흑도라지청의 제조방법
KR101085968B1 (ko) 쑥, 버찌, 비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분말을 이용한 저장성이 향상된 매작과의 제조방법
KR101475601B1 (ko)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