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717A -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717A
KR20140009717A KR1020120076235A KR20120076235A KR20140009717A KR 20140009717 A KR20140009717 A KR 20140009717A KR 1020120076235 A KR1020120076235 A KR 1020120076235A KR 20120076235 A KR20120076235 A KR 20120076235A KR 20140009717 A KR20140009717 A KR 20140009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extract
diabetic
food composit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431B1 (ko
Inventor
부희옥
김학현
신지산
Original Assignee
(주)파이토엠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토엠앤에프 filed Critical (주)파이토엠앤에프
Priority to KR102012007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4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천연 식물유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지방 및 탄수화물 대사에 작용하는 아밀라아제, 글루코시다아제 및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혈당강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비만 또는/및 항당뇨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Healthy food composition having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activities}
본 발명은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천연 식물유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위생환경이 개선되고 잦은 인스턴트 음식물 섭취와 육식위주의 식생활 변화 등은 과다한 열량의 섭취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식생활의 변화는 턱없이 부족한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소모열량이 적기 때문에 빠른 비만인구의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 비만은 단순히 외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비만이 지속됨으로써 여러 가지 질환, 즉,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과 같은 성인성 질병을 비롯하여 유방암, 자궁암 및 대장암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이제는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J. Biol. Chem., 273, 32487 ∼ 32490 (1998); Nature, 404, 652 ∼ 660 (2000)].
비만은 1980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약 75%가 증가하였으며, 미국의 경우 인구의 33% 및 26%가 각각 과체중 및 비만으로 보고되고 있다(Ahn IS, Park KY, Do MS. 2007.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03-513.).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비만 인구가 1998년 26.3%에서 2005년 31.7%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가 불균형을 이루어 초래되는 것으로, 여분의 에너지는 지방세포의 형태로 전환되어 체내에 저장되어진다. 축적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유리지방산과 사이토카인 등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염증반응을 증가시켜 대사증후군, 당뇨병, 심장혈관질환 그리고 암 등의 만성질환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운동, 식이요법을 통한 식생활습관의 개선, 약물요법, 수술을 통한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중 비만을 억제하는 항비만 약품의 개발은 미국에서 100여종 이상의 치료약이 판매되고 있거나 개발 중에 있으며, 시장 규모가 점점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 (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Sibutramine)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줌으로써 최근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를리스타트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시부트라민은 혈압을 높이는 부작용이 있으며, 오를리스타트(Orlistat)는 소화기장애, 지방변, 배변 실금, 지용성 비타민 흡수 방해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다른 화학합성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작으며 보다 나은 비만 치료 및 예방법을 찾기 위하여 최근에는 식물성 화합물 등 체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천연소재의 비만치료제 또는 항비만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비만 활성이 우수한 천연물질을 찾고자 모색하던 중,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 등에 주목하여 그것의 약리학적 효과를 실험한 결과, 상기 식물 추출물들이 지방 및 탄수화물 대사에 작용하는 아밀라아제, 글루코시다아제 및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혈당강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어 건강식품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1657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이 우수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이 우수하여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부탄올(but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아밀라아제, 글루코시다아제 및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지방 및 탄수화물 대사에 작용하는 아밀라아제, 글루코시다아제 및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혈당강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비만 또는/및 항당뇨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종류별 아밀라아제 활성 억제 정도를 paper 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A): 물+아밀로오스 대조군, (B): 메탄올+아밀로오스 대조군, (C): 식물 종류별 물 추출물+아밀로오스, (D): 식물 종류별 메탄올 추출물+아밀로오스, 1: Salicornia herbacea, 2: Corylopsis coreana(Stem), 3: Corylopsis coreana(Flower), 4: Erythronium japonicum(Leaf), 5: Erythronium japonicum(Root), 6: Erythronium japonicum(Flower), 7: Phragmites communis(Root), 8: Phragmites communis(stem), 9: Nelumbo nucifera(Leaf), 10: Salvia plebeia, 11: Momordica Charantia, 12: Portulaca oleracea, 13: Ficus carica(Leaf), 14: Citrus junos(Pericarp), 15: Citrus junos(Leaf), 16: Cornus officinalis].
본 발명은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히어리(Corylopsis coreana)’는 조록나무과로 전 세계적으로 27속 140종이 있으며,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드물게는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에도 분포한다. 조록나무과에서도 히어리속은 29종으로, 일본에 5종, 인도에 5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1종이 생육하고 있다. 우리나라 히어리는 낙엽활엽관목으로 학명이 Corylopsis coreana Uyeki이며, 영명은 korean winter hazel이다. 우리나라의 히어리는 1910년 전남 순천 송광사에서 발견되었으며, 특산식물로 1924년 학계에 등록된 수종이다. 이러한 히어리는 낙엽활엽의 관목으로 수고는 1 내지 5m 까지 자라며 군집을 형성하고 근맹아가 많이 올라와 커다란 집단을 형성하면서 철쭉, 진다래, 참싸리, 팥배나무, 신갈나무와 함께 혼생하며 양지에서 잘 자라고 내한성이 강하여 영하 30도 이하에서도 동해를 입지 않으며, 내건성도 강하여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얼레지(Erythronium japonicum)’는 현화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서, 차전엽산자고(車前葉山慈姑), 가재무릇, 얼러지, 에레지, 얼레기, 비단나물이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Erythronium japonicum (Balrer) Decne이다. 고산지대의 볕이 잘 드는 숲속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씨에서 싹이 터 꽃이 피기까지 7년 이상 걸리고 3~5월에 꽃이 피는데, 17~20℃가 되면 꽃잎이 달리고 25℃ 이상이 되면 꽃잎이 완전히 뒤로 젖혀진다. 비늘줄기는 흰색에 다육질로, 여러 개가 이어져서 땅속에서 옆으로 뻗어가며, 꽃줄기는 비늘줄기 끝에서 곧추 일어서고 잎이 1~2장 달린다. 전 세계에 24종 정도가 분포하고 드물게 흰색 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열성 유전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얼레지는 봄에 나온 잎을 뜯어서 삶은 후 그늘에 말려 나물로 먹고 비늘줄기는 약용한다. 위장기능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어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하며, 두통이나 현기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쌍떡잎식물로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자라며 줄기는 마디가 많고 두드러지며 1-2번 갈라지고 마디위에 움푹 들어간 구멍 속에 2-3 송이의 작은 꽃이 숨어 있다. 화피는 역 원추형 다육질로 퉁퉁하며 꼬치 핀 후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및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서해안, 갯벌 해안에서 바닷물을 흡수하고 자라는 1년생 초본으로, 육초이면서도 해수 속의 모든 성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함초는 변비, 아토피, 혈액순화 조절, 숙변제거, 성기능 개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대(Phragmites communis)’는 벼목 볏과의 외떡잎식물로서, 높이 3m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거칠고 크며 길게 가로 뻗고 마디에서 많은 수염뿌리가 나고 황백색이다. 줄기는 길고 크며 원기둥형이고 단단하며 모여나고 곧게 선다.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좁고 길이 50㎝, 나비 4㎝ 내외이며 끝이 점점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거칠거칠하며 녹색이다. 엽초는 털이 없으며 설편(舌片)은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꽃은 원추꽃차례로서 대형이며 길이 15∼50㎝이고 줄기 끝에 나며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다수의 작은 이삭이 약간 밀착하며 처음에 자색이고 후에 자갈색이 된다. 작은 이삭은 꽃이 5개이고 가늘고 길며 끝이 날카롭다. 습지나 갯가,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군락을 이루고 자라며 한국 및 북반구의 온대·난대 및 아한대에 분포한다.
‘연꽃(Nelumbo nucifera)’은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서 「연」이라고 불리며, 뿌리줄기는 흰색이고 가늘고 길며 진흙 속을 기는데, 끝부분은 비후하여 연뿌리가 되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어 수면에 뜨는 잎과 수면 위로 올라온 잎이 있다. 잎새는 원형이며 잎자루에 방패모양으로 붙고 지름은 약 30cm이다. 꽃은 빨간색 또는 흰색이며 여름에 꽃자루 위에 홀로 피고 꽃덮이조각은 많이 있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실모양이다. 이러한 연꽃(=연)은 한방에서 뿌리의 마디를 우절, 잎을 하엽, 잎자루를 하경, 꽃의 수술을 연수, 열매 및 종자를 연실, 꽃턱을 연방이라 하여 생약으로 쓰는데, 연실은 자양강장제로 다른 생약과 배합하여 만성설사, 심장병 등에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곰보배추(Salvia plebeia)’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여지초, 청와초, 마마초, 과동청, 수양이, 설견초, 복지홍근자라고로 불리며 봄동과 비슷하게 생겼다. 들판이나 논둑, 밭, 강변 등에서 자라며 대도시의 아파트 화단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겨울 내내 살아 있다고 해서 동생초(冬生草), 눈을 보고 자란다고 해서 설견초(雪見草)라고도 부른다. 곰보배추라는 재미난 이름은 뿌리가 배추 뿌리처럼 생긴데다 잎 표면이 올록볼록해서 붙여졌다. 이러한 곰보배추는 정유성분과 사포닌·불포화지방산·플라보노이드 등을 함유하고 특유의 비린향이 있다. 씨앗엔 많은 양의 기름이 들어 있으며, 이 기름은 샐러드에 드레싱으로 활용해도 좋고 식용유처럼 불을 쓰는 요리에 써도 좋다. 곰보배추는 기침·가래·비염 및 오래된 천식에 효과가 있다. 냉증과 생리통·자궁질환 등 부인병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이 1-3m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건을 감아서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길며,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꽃은 1가화이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라며 황색이다. 꽃받침은 종모양인데, 화관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3개이며, 암술대도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박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혹 같은 돌기가 있고 황적색으로 익으며 불규칙하게 갈라져 홍색 육질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이러한 여주는 주로 관산용으로 심는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은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 한해살이풀로서 영어로는 퍼슬린(purslane), 스페인어로는 베르돌라가(verdolaga)라고 하며, 즙이 많고 잘 퍼지는 허브로, 무더기로 피어나는 초록색 잎을 지니고 있다. 중국, 인도원산으로 화단이나 화분에 심어 관상하는 관화식물이며 높이는 20-3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으며 육질이고 뿌리는 흰색, 줄기는 붉은 갈색으로서 가지는 곧추 서지 못하고 뿔리줄기에서 나온 많은 줄기가 비스듬하게 옆으로 퍼지면서 자란다. 이러한 쇠비름은 오메가-3 지방산과 비타민 E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화과(Ficus carica)’는 쐐기풀목 뽕나무과 낙엽 활엽 관목이며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에 혹 같은 화서가 자라 열매로 성숙하기 때문에 무화과라 부르게 되었다. 높이 2∼4m이고 가지는 굵으며 갈색 또는 녹갈색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난형이며, 길이는 10∼20㎝로서 3∼5개로 깊게 갈라져 있다.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남도 이남의 따뜻하고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잘 자라며, 내조성이 좋고 나무가 어려서도 꽃이 피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무화과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육식을 한 뒤에 먹으면 소화를 도와주고 변비에도 특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건위장·소종·해독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소화불량·식욕부진·장염·변비·이질 등에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유자(Citrus junos)’는 쌍떡잎식물 운향과의 상록관목으로 중국의 양자강 상류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높이는 3-5m 정도 자라며 녹색의 가지에는 길고 뾰족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긴 타원형이며 잎 끝으로 갈수록 뾰족해 지다가 맨 끝은 다소 오목해 지며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열매는 황색이고 익고 표면이 울툭불툭 거칠고 향기가 강하나 신맛이 강하여 날로 먹기보다는 음식에 향신료로 차로 이용한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으로 학명은 Cornus officinalis S. et Z.이다. 높이는 7m로 연한 갈색인데 수피가 벗겨지며, 잎은 난형·타원형 또는 난상피침형으로 마주 난다. 길이 4∼12㎝, 너비 2.5∼6㎝로 표면은 녹색이며 복모(伏毛)가 약간 있다. 뒷면은 연한 녹색이거나 흰빛이 돈다. 꽃은 황색으로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그 모양이 아름다워서 관상수로 많이 재배된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8월에 익는다. 열매에는 코르닌·베르베날린·타닌·우르손·비타민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작용이 있다. 이러한 산수유는 신장 기능과 생식기능의 감퇴로 소변을 자주 보거나, 야뇨·두훈(頭暈), 이명과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은근히 통증을 느낄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식물 추출물들이 아밀라아제, 글루코시다아제 및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며, 또한 혈당강하 효능이 우수함을 실험으로 입증하였는바, 이를 통해 상기 추출물들이 항비만 또는/ 및 항당뇨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이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의 잎, 꽃, 줄기,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조성물에 10 내지 100000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거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식품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또는 점적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제화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화학약품과 같은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항비만 또는/및 항당뇨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곰보배추,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하기 실시예에서도 확인한 바와 같이 우수한 항비만 및 혈당강하(항당뇨)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는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적용 소재의 추출용매 종류에 따른 수율 조사
동결 건조한 시료의 추출용매 종류에 따른 회수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분말시료를 5g씩 정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50ml 증류수에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을 3회 반복하여 행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로 완전히 농축한 다음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각 시료의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이 물 추출보다 다소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추출용매 종류에 따른 수율
Plants Yield (g)
MeOH EtOH Water
Salicornia herbacea 0.61 0.58 0.51
Corylopsis coreana (Stem) 0.58 0.59 0.49
Erythronium japonicum (Leaf) 0.56 0.53 0.46
Erythronium japonicum (Root) 0.63 0.65 0.52
Phragmites communis (Root) 0.52 0.49 0.42
< 실시예 2>
일반성분 분석
<2-1> 수분
식품공전 중 제 10장 1.식품성분시험법 1.1일반성분시험법 1.1.1 수분시험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미리 가열하여 항량으로 한 칭량접시에 검체 3~5 g을 정밀히 달아(건조가 어려운 검체인 경우에는 20메쉬 정제해사 20 g과 유리봉을 넣어 항량이 되게 하고 이에 검체를 넣어 잘 섞은 후 유리봉은 그대로 넣어 둔다), 뚜껑을 약간 열어 넣고 각 식품마다 규정된 온도의 건조기에 넣어 3~5시간 건조한 후 데시케이터 중에서 약 30분간 식히고 무게를 단다. 다시 칭량접시를 1~2시간 건조하여 항량이 될 때까지 같은 조작을 반복한다. 일반적인 것은 1회에 4시간(유 및 유제품 등은 3시간) 건조하여 수분량을 측정한다.
Figure pat00001
a:칭량접시의 무게(g)
b:칭량접시와 검체의 무게(g)
c:건조 후 항량이 되었을 때의 무게(g)
<2-2> 조단백질
식품공전 제10.일반시험법 1.식품성분시험법 1.1일반성분시험법 1.1.3 질소화합물 1.1.3.1 총질소 및 조단백질 나. 단백질 분석기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검체 약 1g(3~25%의 단백질을 함유한 식품의 경우)을 정밀하게 취하여 분해튜브에 넣고 분해촉진제 2알을 넣는다. 분해촉진제는 H2SO4 과 K2SO4의 비율이 1.4~2.0 : 1이 되어야 분해가 효율적으로 이뤄진다. 분해튜브에 진한 황산 12 mL를 넣는다. 검체의 지방 함량이 10% 이상이면 진한 황산15 mL를 넣는다. 420℃의 분해장치에서 45~60분간 분해하여 분해액의 색이 투명한 연푸른색(구리 촉매제를 사용한 경우) 또는 투명한 노란색(셀레늄 촉매제를 사용한 경우)이 되면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분해된 시험용액에 80 mL의 증류수를 주의하여 첨가한다. 25 mL의 혼합지시약이 섞인 포집용액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후, 이를 증류장치에 놓고 삼각플라스크 받침대를 들어 올려준다. 증류시 증류액이 포집용액으로 들어간다. 40% NaOH 50 mL(분해시 사용한 황산의 4배에 해당하는 양)를 분해튜브에 넣는다. 증류장치에서 3~4분간 증류한다. 증류장치의 삼각 플라스크에 있는 포집용액이 증류액에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암모니아)를 포집하면서 녹색으로 변한다. 증류액을 염산용액(일반적으로 0.1 N 또는 0.2 N)을 이용하여 종말점이 엷은 핑크빛에 도달할 때까지 적정한다. 적정에 사용된 산의 양을 기록한다.
Figure pat00002
0.0014 : 0.1N HCl 1㎖에 상당하는 N량(g)
a : 공시험의 0.1N HCl의 적정 소비량(㎖)
b : 본시험의 0.1N HCl의 적정 소비량(㎖)
F : 0.1N HCl 표준용액의 역가
<2-3> 조지방
식품공전 제10.일반시험법 1.식품성분시험법 1.1일반성분시험법 1.1.5 지질 1.1.5.1 조지방 1.1.5.1.1 에테르추출법 가. 일반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미세한 분말로 한(필요한 경우) 검체 2~10 g을 달아 원통여과지에 넣고 검체 위에 탈지면을 가볍게 충전하여 이를 적당한 용기에 담아 100~105℃의 건조기에서 2~3시간 건조한 후, 데시케이터에서 식히고 속슬렛추출장치의 추출관에 넣는다. 받는 그릇에 무수에테르 약 1/2용량을 넣어 장치하고 8시간 추출한다. 추출이 끝난 후, 냉각기를 떼고 추출관 속의 원통여과지를 핀셋으로 꺼내고 다시 냉각기를 모두 추출관에 연결하여 수욕상에서 가온하여 받는 그릇중의 에테르가 전부 추출관에 옮겨지면 받는 그릇을 떼어 수욕중에서 에테르를 완전히 증발시킨다. 받는 그릇의 바깥을 거즈로 깨끗이 닦은 후, 98~100℃의 건조기에 넣어 약 1시간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 다음 데시케이터에서 식히고 칭량한다. 조지방의 양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Figure pat00003
W0:받는 그릇의 무게(g)
W1:조지방을 추출하여 건조시킨 받는 그릇의 무게(g)
S:검체의 채취량(g)
추출물 종류에 따른 일반성분
샘플 수분(%) 조단백(%) 조지방(%)
Salicornia herbacea 7.9870 13.5941 1.7550
Corylopsis coreana (Stem) 7.3372 4.0351 1.1711
Corylopsis coreana (Flower) 8.8536 13.3113 5.6246
Erythronium japonicum (Leaf) 11.8914 16.2051 5.1943
Erythronium japonicum (Root) 10.4069 4.3803 0.5960
각 소재의 일반성분 함량을 보면, 조단백질은 얼레지 및 함초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조지방은 히어리꽃 및 얼레지잎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식물 종류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분함량은 얼레지잎 및 얼레지뿌리에서 높았으며, 그 외 다른 소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실시예 3>
항당뇨 효능
내당성(glucose tolerance test) 실험은 Glucose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즉, 각 시료 추출액이 glucose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BCS Glucose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효소시약을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효소액 1.5 ml에 여주 추출액 10 μl을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가온한 후 40분 이내에 blank를 대조로 하여 파장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다음의 식에 따라 glucose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효소액 1.5 ml에 표준액 (glucose 200mg/dl) 20ul를 넣은 용액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Glucose 함량 (mg/dl) = (ODsample/ODstandard)×200mg/dl
식물 종류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glucose amount)
Plants Glucose (mg/dl)
standard(Con.) 200±0.00
Salicornia herbacea 18.0±0.32
Corylopsis coreana (Stem) 5.4±0.12
Corylopsis coreana (Flower) 42.6±0.62
Erythronium japonicum (Leaf) 50.2±3.58
Erythronium japonicum (Root) 40.7±1.94
Erythronium japonicum (Flower) 64.7±1.43
Phragmites communis (Root) 44.6±2.45
Phragmites communis (Shoot) 31.8±2.53
Nelumbo nucifera (Leaf) 25.5±0.63
Salvia plebeia 28.6±2.63
Momordica Charantia 29.9±2.31
Portulaca oleracea 7.5±0.12
Ficus carica (Leaf) 29.1±1.32
Citrus junos (Pericarp) 57.0±2.62
Citrus junos (Leaf) 23.0±1.70
Cornus officinalis 49.9±4.46
* Data represent the mean values±SE of five independent experiments.
11종의 식물별, 부위별 시료 추출액이 glucose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BCS Glucose kit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식물 종류 간에 내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함초, 히어리가지, 쇠비름 등은 혈당강하 효능이 현저하게 뛰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연잎, 곰보배추, 갈대뿌리, 유자잎 등에서도 상대적으로 다소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 실시예 4>
지방 및 탄수화물 저해활성 분석( 항비만 효능)
<4-1> 알파- 아밀라아제 저해활성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저해활성은 5g의 agar와 5g의 가용성 전분을 500mL 증류수에 녹여 멸균한 후, 15mL씩 분주하여 plate를 제조하였다. 항생물질 검정용 여과지(paper disc) 위에 20mg/mL 농도의 식물 추출물 20μl와 α-amylase를 분주하여 평판배지위에 올려놓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I2/KI (5mM I2 in 3% KI) 5mL를 가하여 15분간 발색시킨 후 면적의 측정은 clear zone의 반지름을 측정하여 πr2로 계산하여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양성대조구로는 acarbose이며, 음성대조구로는 추출물의 용매인 물과 메탄올이었다(도 1 참조).
추출물 종류에 따른 알파-아밀라아제 활성 억제 정도
plants a-Amylase Inhibitory activity (%)
water MeOH
Salicornia herbacea 65.3±1.91 N.I.
Corylopsis coreana (Stem) 34.5±2.54 N.I.
Corylopsis coreana (Flower) 64.5±2.21 N.I.
Erythronium japonicum (Leaf) 38.3±1.91 5.7±1.14
Erythronium japonicum (Root) 51.6±2.22 6.7±0.09
Erythronium japonicum (Flower) 64.5±1.63 4.7±0.13
Phragmites communis (Root) 72.3±1.25 6.2±1.16
Phragmites communis (Shoot) 75.3±1.18 N.I.
Nelumbo nucifera (Leaf) 35.3±1.13 N.I.
Salvia plebeia 68.7±3.27 12.8±1.16
Momordica Charantia 38.3±1.91 24.0±3.21
Portulaca oleracea 10.9±1.08 23.8±2.23
Ficus carica (Leaf) 36.8±2.90 24.5±4.25
Citrus junos (Pericarp) 51.6±2.22 44.2±3.58
Citrus junos (Leaf) 28.7±3.27 N.I.
Cornus officinalis 62.3±1.91 61.2±3.18
*Data represent the mean values±SE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N.I. : Not inhibited.
11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α-Amyl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 물추출물에서는 함초, 히어리꽃, 갈대뿌리 추출물이 가장 높음이 확인되었으며, 메탄올추출물에서는 유자과피와 산수유에서 저해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에서 메탄올추출물은 전반적으로 저해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2>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20mg/mL 농도의 식물 추출물과 0.15U/mL α-glucosidase 효소액 100μL 및 0.2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 720 μL를 혼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5분간 실온에서 유지하고 5 mM 4-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pNPG) 100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더 반응시킨 뒤 동일한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흡광도의 변화로부터 효소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
추출물 종류에 따른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정도
plants 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
water MeOH
Salicornia herbacea 31.5±4.02 N.I.
Corylopsis coreana (Stem) 79.2±0.38 87.4±0.28
Corylopsis coreana (Flower) 87.2±0.97 99.3±0.69
Erythronium japonicum (Leaf) 13.6±1.18 N.I.
Erythronium japonicum (Root) 17.8±1.39 N.I.
Erythronium japonicum (Flower) 12.5±1.99 N.I.
Phragmites communis (Root) 39.2±1.87 N.I.
Phragmites communis (Shoot) 29.8±2.31 15.2±1.05
Nelumbo nucifera (Leaf) 34.6±1.52 82.0±2.59
Salvia plebeia 83.9±0.93 22.6±2.31
Momordica Charantia 48.8±3.25 N.I.
Portulaca oleracea N.I. N.I.
Ficus carica (Leaf) N.I. N.I.
Citrus junos (Pericarp) 19.2±1.15 14.9±3.42
Citrus junos (Leaf) N.I. N.I.
Cornus officinalis 81.7±0.14 89.5±0.28
*Data represent the mean values±SE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N.I. : Not inhibited.
11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를 보면, 물추출물과 메탄올추출물 모두 히어리줄기, 히어리꽃 추출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곰보배추, 산수유에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메탄올추출물에서는 식물 종류간에 활성에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히어리, 연잎, 산수유에서 상대적으로 저해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Porcine pancreatic lipase (PPL, type II) 활성은 p-nitrophenyl butyrate (p-NPB)을 기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PPL stock solution은 0.1mM potassium phosphate (pH 6.0)에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조제한 후, -20℃에 저장하였다.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추출물(20mg/mL) 25 μL와 PPL 용액 25 μL을 0.1mM potassium phosphate (pH 7.2, 0.1% Tween 80) 950 μL에 넣고 30℃에서 1시간동안 배양한 후, 1 μL NPB를 넣고 30℃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Inhibition activity (%) = [1-(B-C)/A]×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흡광도
B : 시료를 첨가한 흡광도
C :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흡광도
추출물 종류에 따른 리파아제 활성 억제 정도
plants Lipase Inhibitory activity (%)
water MeOH
Salicornia herbacea 31.9±1.76 43.5±0.93
Corylopsis coreana (Stem) 23.4±5.46 45.0±4.16
Corylopsis coreana (Flower) 45.8±4.68 35.1±2.86
Erythronium japonicum (Leaf) 19.3±0.30 52.6±1.05
Erythronium japonicum (Root) 8.7±1.12 50.2±2.96
Erythronium japonicum (Flower) 14.9±3.55 59.3±1.77
Phragmites communis (Root) 23.5±5.03 57.7±1.94
Phragmites communis (Shoot) 32.5±5.51 59.8±3.13
Nelumbo nucifera (Leaf) 35.1±2.01 52.2±4.21
Salvia plebeia 33.3±4.74 61.9±6.28
Momordica Charantia 28.8±1.74 54.5±2.07
Portulaca oleracea 30.2±3.21 61.8±3.11
Ficus carica (Leaf) 20.2±1.46 60.1±3.82
Citrus junos (Pericarp) 83.3±5.68 75.1±1.97
Citrus junos (Leaf) 46.8±6.15 44.9±7.13
Cornus officinalis 52.7±2.80 70.7±3.60
*Data represent the mean values±SE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orcine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검정 결과를 보면, 유자과피를 제외하고는 물추출물보다 메탄올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α-Amylase, α-glucosidase 저해활성 결과와는 다르게 공시한 식물 종류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부탄올(but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5. 히어리, 얼레지, 함초, 갈대, 연꽃, 여주, 쇠비름, 무화과, 유자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아밀라아제, 글루코시다아제 및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20076235A 2012-07-12 2012-07-12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KR10171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35A KR101717431B1 (ko) 2012-07-12 2012-07-12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35A KR101717431B1 (ko) 2012-07-12 2012-07-12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17A true KR20140009717A (ko) 2014-01-23
KR101717431B1 KR101717431B1 (ko) 2017-03-17

Family

ID=5014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35A KR101717431B1 (ko) 2012-07-12 2012-07-12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4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86B1 (ko) * 2014-06-03 2015-05-18 (주) 와이디생명과학 여지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1846A (ko) * 2014-07-23 2016-02-02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055A (ko) * 2014-10-08 2016-05-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및 산수유를 이용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90079557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하이솔 산수유, 함초 및 레몬그라스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4992A (ko) * 2018-08-02 2020-02-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117063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진선컴퍼니 자연유래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578A (ko)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를 보이는 자생식물 추출물
KR20060094228A (ko) * 2005-02-24 2006-08-29 (주)바이오뉴트리젠 비만증 및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JP2009108025A (ja) * 2008-06-19 2009-05-21 Tsujido Kagaku Kk 治療剤
JP2011032272A (ja) * 2009-08-03 2011-02-17 Dai Han Pharm Co Ltd 複合生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糖尿病または糖尿病合併症の治療または予防用組成物
KR101050003B1 (ko) * 2009-04-01 2011-07-19 한국식품연구원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578A (ko)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를 보이는 자생식물 추출물
KR20060094228A (ko) * 2005-02-24 2006-08-29 (주)바이오뉴트리젠 비만증 및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JP2009108025A (ja) * 2008-06-19 2009-05-21 Tsujido Kagaku Kk 治療剤
KR101050003B1 (ko) * 2009-04-01 2011-07-19 한국식품연구원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JP2011032272A (ja) * 2009-08-03 2011-02-17 Dai Han Pharm Co Ltd 複合生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糖尿病または糖尿病合併症の治療または予防用組成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86B1 (ko) * 2014-06-03 2015-05-18 (주) 와이디생명과학 여지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1846A (ko) * 2014-07-23 2016-02-02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055A (ko) * 2014-10-08 2016-05-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및 산수유를 이용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90079557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하이솔 산수유, 함초 및 레몬그라스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4992A (ko) * 2018-08-02 2020-02-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117063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진선컴퍼니 자연유래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431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medicinal uses and health benefits of Indian traditional herbs Aegle marmelos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1717431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KR100795822B1 (ko) 고지혈증 및 뇌졸중 회복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추출물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차 및 이의제조방법
KR100935847B1 (ko) 홍삼 절편의 제조 방법
Bisht et al. Mahua an important Indian species: A review
Sabir et al. Pharmacognostic and clinical aspects of Cydonia oblonga: A review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Hussain et al. Fig (Ficus Carica)—Morphology, taxonomy, composition and health benefits
Bandara et al. Gotu Kola (Centella asiatica L.): An under-utilized herb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Sishu et al. Indian Jujube a potential fruit trees to improve the livelihood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KR101872937B1 (ko)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Ashok et al.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KR100927435B1 (ko) 당뇨병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Irshad et al. Jujube
KR102136615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36617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366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60030726A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