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601B1 -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601B1
KR101475601B1 KR1020130050154A KR20130050154A KR101475601B1 KR 101475601 B1 KR101475601 B1 KR 101475601B1 KR 1020130050154 A KR1020130050154 A KR 1020130050154A KR 20130050154 A KR20130050154 A KR 20130050154A KR 101475601 B1 KR101475601 B1 KR 10147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leaf
leaves
leaf te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159A (ko
Inventor
김영애
Original Assignee
김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애 filed Critical 김영애
Priority to KR102013005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60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의 원료로 갓만을 사용하여 갓 고유의 향과 맛을 살린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확한 갓잎을 깨끗이 세척한 후 물기와 줄기를 제거하여 갓잎차를 제조한다.
물기와 줄기를 제거한 갓잎을 5㎝×1㎝ 크기로 자른 후 100℃의 수증기에 2분 정도 증제시킨 후 10℃이하, 바람직하게는 4~5℃에서 30분 정도 급냉시킨다.
급냉시킨 상기 갓잎을 25~30℃에서 3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고, 건조된 갓잎을 20cm 두께로 쌓아 25~30℃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갓잎차를 수분함량이 약 5% 이하가 되도록 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오 마이 갓잎차는 차의 원료로 갓잎 만을 사용하고 건조와 숙성과정을 통해서 갓에 함유된 아미노산 성분 중 글루탐산을 증진시켜 감칠맛과 구수한 향미를 높였다. 때문에 갓 고유의 향과 맛을 살려서 차로 마실 수 있으며, 갓잎 고유의 보라색을 2분 정도의 아주 짧은 시간에 용출시켜 오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를 핫 티로 뜨거운 물에 우려서 마시면 갓의 주요성분 중 엽산과 아미노산, 보랏빛의 안토시아닌 등 수용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고, 갓잎차를 그대로 씹어서 먹으면 갓잎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까지도 모두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오 마이 갓잎차는 차로 마시는 것 외에도 음식을 조리할 때 조미료, 색소, 제과 제빵의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에 레몬즙을 첨가하면 레몬즙의 양에 따라 청보라색부터 핑크색까지 다양한 차색을 연출할 수 있어 차를 마실 때 갓잎차 맛의 향상과 더불어 신비스런 탕색의 변화 속에서 오감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af mustard tea}
본 발명은 갓잎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그동안 김치류에만 사용되었던 갓을 갓잎차로 제조하여 기능성 국민건강음료를 만들어 누구나, 쉽게, 어디에서나 음용할 수 있는 갓잎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갓은 그 향과 맛이 독특하고, 효능이 뛰어나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김치의 주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갓(Brassica Juncer Coss)은 중국 원산의 십자화과(Cruciferae) 한해살이 채소로서 약 40여년 전 일본으로부터 '만생평경대엽고채'란 종자를 여수시 돌산읍에 도입하여 재배한 것이 시초이며, 그 후 이 지역의 해양성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여 맛과 향이 뛰어난 갓으로 육성되었다.
갓은 약 1미터 높이까지 곧게 자라며, 잎 수는 적고 새 잎이나 줄기 그리고 잎 뒤쪽에 센 털이 난다.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 있다. 잎자루는 없으나 줄기를 감싸지 않고 양면에 주름이 진다. 잎은 녹갈색이고 꽃은 작으며 노란빛을 나타낸다. 토양에 대한 적응성은 크며, 습지를 좋아하기 때문에 수전(水田) 뒷갈이 재배에 적합하다. 내한성도 비교적 강해, 주로 가을에 씨를 뿌려 늦가을 또는 월동 후 이른 봄에 수확하기도 한다.
갓은 파종 후 40~60일 정도 경화된 후 50cm 내외일 때 수확을 하며 수확 10일 전에 흐린 날을 택하여 피복했던 망사를 벗기고 굳히기를 한 다음 많이 자란 것부터 순차적으로 솎으며 수확한다.
갓의 줄기와 잎은 적당한 매운 맛과 상쾌한 맛이 있고, 주로 김장용으로 많이 쓴다. 갓은 추위를 견디고 난 다음에 수확을 하면 맛을 더하게 된다. 채소와 그 밖의 용도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씨는 향신료나 거담, 신경통 등의 약재로 이용한다.
특히 돌산갓은 섬유 성분이 적어 조직이 부드러우며 단백질 함량은 다른 채소류에 비해 높은 편이고, 우리의 주식인 곡류에 부족되기 쉬운 무기질, 비타민이 많은 것이 특색이다. 특히 단백질, 무기물인 칼슘, 철, 당질인 포도당, 자당, 비타민 A, B군, C 등의 함량이 다른 채소에 비해 높다.
돌산갓의 가숙부 100g당 영양성분의 함량은 다음의 표 1 내지 표 4와 같다.
Figure 112013039401319-pat00001
비타민, 엽산 등 함량
구분 비타민B6
(mg)
판토텐산
(mg)
비타민B12
(㎍)
엽산
(mg)
비타민 D
(㎍)
비타민E
(mg)
비타민K
(㎍)

일본갓

0.25

0.32

0

310.0

0

3.1

260
(생갓 가식부 100g)
식이섬유 및 미량성분 함량
구분 식이섬유 미량성분
총량
(g)
수용성
(g)
불용성
(g)
마그네슘
(mg)
아연
(mg)
구리
(mg)

돌산갓

2.7

0.2

2.5

-

-

-

재래갓

3.7

0.9

2.8

21

0.9

0.08
(생갓 가식부 100g)
아미노산 함량
구분

이소루신 루신 라이신 함황
SAA
방향족
AAA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세린
메티오닌 시스테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청갓

2.4

110

186

176

13

18

125

62

113

6

138

48

112

121

208

268

108

118

95

홍갓

2.9

133

228

206

27

25

145

87

141

8

173

63

164

175

288

396

14

146

130
(생갓 가식부 mg/100g)
동의보감에 의하면 갓은 신장의 나쁜 독을 없애주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가래와 기침을 멈추게 하며, 위장을 편안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한다고 쓰여 있다.
뿐만 아니라 갓의 식품적 가치와 기능성을 살펴보면, 갓잎속의 적자색소인 안토시아닌과 엽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성장발육기의 아이들과 노약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는 식품이다. 이와 같은 엽산은 아미노산과 핵산을 합성하는 필수적인영양소로 DNA 생산과 세포분열, 성장발달과 적혈구 생성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특히, 엽산은 임신 한 달 이내에 태아의 뇌신경과 척추신경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엽산이 결핍되면 빈혈, 소화기 장애, 성장부진 등이 올 수 있다. 이렇듯 갓은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자리하면서 전남의 대표적인 김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따라서 갓 재배 농가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57815호에는 돌산갓 물김치 및 유자를 이용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갓잎만을 이용한 갓잎차는 그 효용성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KR 10-0457815 B1 (2004. 11. 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갓잎으로 차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갓잎을 이용하여 갓잎차를 만들 때 갓잎의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갓잎 특유의 색과 맛 그리고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갓잎차의 제조과정 중 증제처리와 제조과정을 통해서 갓잎 고유의 보랏빛 탕색을 짧은 시간에 빨리 용출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숙성과정을 통해서 갓잎차의 맛과 향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종래, 갓은 갓김치 등 김치류에 주로 소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로 제조하여 기능성 국민 건강음료를 만들어 누구나, 쉽게, 어디에서나 음용할 수 있는 갓잎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 제조방법은 수확한 갓잎을 깨끗이 세척한 후 물기와 줄기를 제거한다. 줄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균정한 건조와 숙성을 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증제 과정에서 갓의 매운맛을 휘발시켜 맛과 향을 증진시킨다. 또한 갓잎 고유의 맑은 보랏빛 탕색이 짧은 시간에 빨리 용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갓잎차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확한 갓잎을 다듬어 깨끗이 세척한 다음 줄기와 물기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갓잎을 5㎝×1㎝ 크기로 잘라 100℃의 수증기에 2분 정도 증제시킨 후 10℃이하, 바람직하게는 4~5℃에서 30분 정도 급냉시킨다.
상기와 같이 갓잎을 수증기로 증제한 다음 급냉시키는 1차 공정을 통해서 갓 고유의 맑고 고운 보랏빛 차색을 짧은 시간 내에 빨리 용출시킬 수 있다.
급냉시킨 상기 갓잎을 25~30℃에서 3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킨 다음 다시 80~90℃에서 40분 정도 2차 건조시킨다. 건조된 갓잎을 20cm 두께로 쌓아 25~30℃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갓잎차를 수분함량이 약 5% 이하가 되도록 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건조 과정과 숙성 과정을 통해서 갓잎에 함유된 아미노산 성분 중 글루탐산이 형성되어 감칠맛과 구수한 향미가 증진된다. 이와 같이 숙성된 갓잎차는 그대로 씹어서 복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갓잎차는 차로 음용하면 갓의 주요 성분 중 엽산, 구수하고 감칠맛 나는 아미노산, 보랏빛의 안토시아닌(Anthocyanin) 등의 수용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다. 또 갓잎차를 그대로 씹어 복용하면 갓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까지 모두 섭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갓잎차가 지니고 있는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을 모두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오 마이 갓잎차는 원료로 오직 갓만을 사용하고 다른 첨가제를 배합하지 않기 때문에 갓 고유의 향과 맛 그리고 색을 차로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는 갓 특유의 보라색 찻물이 용출되는 시간이 2분 정도로 아주 짧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종래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457815호에 의한 것은 보랏빛 갓물이 용출되는 데 약 5~7일 정도가 소요된다고 한다. 또한 오 마이 갓잎차는 차를 제조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하루 정도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는 뜨겁게 마시는 핫 티(Hot Tea)와 차게 해서 마시는 아이스 티(Ice Tea) 모두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갓잎차를 그대로 씹어서 먹을 수도 있다. 갓잎차를 뜨거운 물에 우려서 마시면 갓의 주요 성분인 엽산과 아미노산, 보랏빛 안토시아닌 등 수용성 성분을 마실 수 있고, 갓잎차을 그대로 씹어서 먹으면 갓에 함유된 지용성 성분까지도 모두 섭취할 수 있다. 양자를 병용하면 갓잎차의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다.
오 마이 갓잎차를 물에 우리면 청보라색이 용출되는데 여기에 레몬즙을 첨가하면 레몬즙의 첨가 양에 따라 청보라색~진핑크색까지 다양하고 신비스런 탕색의 스펙트럼을 볼 수 있어 생동감있는 색의 향연을 만끽할 수 있다.
오 마이갓잎차는 요거트, 꿀, 홍차에 블랜딩하여 먹을 수 있으며, 식용색소 또는 제과의 재료 및 향신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갓을 이용하여 갓잎차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지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갓잎만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를 오 마이 갓잎차라 칭하고, 상기 오 마이 갓잎차는 갓잎을 건조하고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아미노산 성분 중 글루탐산의 형성으로 감칠맛과 구수한 맛을 내도록 하였고, 짧은 시간에 보랏빛 탕색을 빠르게 용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음식을 조리할 때 조미료, 색소, 제과 제빵의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갓잎차를 그대로 씹어 먹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는 생산되는 갓의 소비를 확대시켜 갓 생산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갓잎차 제조방법은 수확한 갓잎을 깨끗이 세척한 후 물기와 줄기를 제거한다. 줄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균정한 건조와 숙성을 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첨가제를 넣지 않아도 차로 마실 때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갓 특유의 보라빛 탕색으로 우러나기 때문에 쉽게 갓잎차를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에 레몬즙을 첨가하면 레몬즙의 양에 따라 청보라색부터 핑크색까지 다양한 탕색을 연출할 수 있어 차를 마실 때 갓잎차 맛의 향상과 더불어 신비스런 탕색의 변화 속에서 오감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갓잎차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확한 갓잎을 다듬고 깨끗이 세척한 다음 줄기와 물기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갓잎을 5㎝×1㎝ 크기로 자른 후 100℃의 수증기에 2분 정도 증제시킨 후 10℃이하, 바람직하게는 4~5℃에서 30분 정도 급냉시킨다.
상기와 같이 갓잎을 수증기로 증제한 다음 급냉시키는 공정을 하는 이유는 갓의 매운맛을 휘발시켜 맛과 향을 증진시키고, 맑고 고운 보랏빛 갓잎차의 탕색이 짧은시간(2분)내에 빠르게 용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급냉시킨 상기 갓잎을 25~30℃ 사이에서 3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킨다. 다시 1차건조된 갓잎을 80~90℃에서 40분 정도 2차 건조시킨다. 건조된 상기 갓잎을 20cm 두께로 쌓아 25℃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갓잎차를 수분함량이 5% 이하, 바람직하게는 2~4%가 되도록 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은 공정 속에서 갓잎에 함유된 아미노산 성분 중 글루탐산이 형성되어 감칠맛과 구수한 향미가 증진된다.
상기의 오 마이 갓잎차는 잎차 또는 가루차 형태로 제품화할 수 있으며, 뜨겁게 마시는 핫 티(Hot Tea)와 차게 해서 마시는 아이스 티(Ice Tea) 모두 가능하다. 또한 갓잎차를 그대로 씹어서 먹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는 갓의 고유한 맛과 향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오 마이 갓잎차의 독특한 맛과 향 그리고 색의 변화를 주기 위하여 레몬, 꿀, 요거트, 허브 및 홍차 등을 첨가하여 음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차 종류와 블렌딩하여 오 마이 갓잎차를 가공할 때에는 건조된 갓잎차와 레몬, 허브 및 홍차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혼합비율은 취향에 맞게 혼합하되 건조된 오 마이 갓잎차 100중량부에 레몬, 요거트, 꿀, 허브 또는 홍차 5~3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끓는 물로 차를 만들어 음용한다.
오 마이 갓잎차에 블렌딩하는 레몬은 깨끗하게 세척한 레몬을 잘게 썬 다음 설탕과 1 : 1로 배합한 레몬을 상기 오 마이 갓잎차와 혼합하여 음용한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는 뜨거운 물에 우리면 청보라색이 용출되며, 청보라색의 갓잎차에 레몬즙을 첨가하면 핑크색으로 변한다.
또한 오 마이 갓잎차와 블렌딩하는 허브는 캐모마일, 히비스커스, 레몬밤, 페퍼민트 등을 첨가시켜 사용한다. 홍차는 통상의 홍차를 오 마이 갓잎차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오 마이 갓잎차는 그 자체로 음식을 조리할 때 조미 또는 색소의 기능을 가지는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과 제빵의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는 뜨거운 물이나 냉수에 우려내어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음용할 수 있다.
오 마이 갓잎차의 원료가 되는 갓은 수용성인 안토시아닌 성분과 엽산이 풍부한 채소로서 차로 제조하여 음용할 경우 성장기 어린이의 발육에 양호한 효과가 있고, 빈혈이 있거나 수유기 또는 임산부에게 필요한 엽산 성분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마이 갓잎차는 잎차 또는 가루차로 포장할 수 있고, 차로 음용할 경우는 핫 티와 아이스 티로 마실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오 마이 갓잎차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먼저 수확한 갓잎을 다듬고 깨끗이 세척한 다음 줄기와 물기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갓잎을 5㎝×1㎝ 크기로 자른 후 100℃의 수증기에 2분 동안 증제시킨 후 4~5℃에서 30분 동안 급냉시킨다.
급냉시킨 상기 갓잎을 25~30℃에서 3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고, 건조된 갓잎을 80~90℃에서 40분 정도 2차 건조시킨다. 건조된 갓잎을 20㎝ 두께로 쌓아 25~30℃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숙성된 갓잎차는 수분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하여 포장한다.
(실시예 2)
상기와 같이 제조된 오 마이 갓잎차 100중량부에 레몬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오 마이 갓잎차 100중량부에 허브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오 마이 갓잎차 100중량부에 홍차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차를 제조한다.

Claims (4)

  1.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확한 갓잎을 깨끗이 씻고 물기 및 줄기를 제거한 다음 갓잎을 5㎝×1㎝ 크기로 자른 다음, 상기 일정하게 자른 갓잎을 증기로 2분 동안 증제시킨 후 4~5℃의 온도에서 30분 정도 급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증제 후 급냉시킨 갓잎을 25~3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건조된 갓잎을 80~90℃의 온도에서 40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상기 갓잎을 20cm 두께로 쌓은 다음 25~30℃의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시 숙성된 갓잎차를 수분함량 5%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 마이 갓잎차 100중량부에 레몬, 요거트, 꿀, 허브 또는 홍차 5~3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 마이 갓잎차에 혼합되는 레몬차는 설탕과 레몬을 1 : 1로 배합한 레몬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 마이 갓잎차는 잎차 또는 가루차 형태로 포장한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KR1020130050154A 2013-05-03 2013-05-03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KR10147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54A KR101475601B1 (ko) 2013-05-03 2013-05-03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54A KR101475601B1 (ko) 2013-05-03 2013-05-03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159A KR20140131159A (ko) 2014-11-12
KR101475601B1 true KR101475601B1 (ko) 2014-12-22

Family

ID=5245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54A KR101475601B1 (ko) 2013-05-03 2013-05-03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6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6B1 (ko) * 2007-11-15 2010-08-10 전현철 새콤달콤한 동백꽃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6B1 (ko) * 2007-11-15 2010-08-10 전현철 새콤달콤한 동백꽃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159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6171B (zh) 一种含有玛咖的保健食品及其生产工艺
KR101850400B1 (ko) 닭가슴살 육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포의 제조방법
CN103815394A (zh) 高硒小麦胚芽营养粉的制备方法
CN104543476A (zh) 一种竹林养淮北麻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314568B1 (ko) 연근 발효음료 제조방법
CN107821688A (zh) 一种蛋白桑茶叶的制备方法
KR102094001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15109822A (ja) 阿蘇産大麦の葉及び/又は茎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飲食用組成物
Koné et al. Bambara groundnut [Vigna subterranea (L.) Verdc.(Fabaceae)] usage in human health
CN103947797B (zh) 一种发酵型牡丹嫩芽茶复合饮品的制备方法
CN104543470A (zh) 一种竹林养洪山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968955B1 (ko) 대추정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정
KR101475601B1 (ko) 갓을 이용한 오 마이 갓잎차의 제조방법
KR101558134B1 (ko)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473342B1 (ko) 반건조묵의 제조방법
Kaushal et al. Seabuckthorn (Hippophae sp.): A potential nutritional goldmine of Western Himalayas
KR20180010432A (ko) 곡물 꿀 칼슘 먹물 해초 생선을 살균배합으로 응고 없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20377B1 (ko) 기능성 인절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43485A (zh) 一种竹林养汶上芦花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53802B1 (ko) 오미자씨유 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43475A (zh) 一种竹林养康乐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426674B1 (ko) 흑노호 액상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7061B1 (ko) 발효 흑달래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3551B1 (ko) 연밥, 밤, 표고버섯, 백련초 열매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