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321A -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321A
KR20200014321A KR1020197036622A KR20197036622A KR20200014321A KR 20200014321 A KR20200014321 A KR 20200014321A KR 1020197036622 A KR1020197036622 A KR 1020197036622A KR 20197036622 A KR20197036622 A KR 20197036622A KR 20200014321 A KR20200014321 A KR 20200014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electrically insulating
garment
conductive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390B1 (ko
Inventor
하루히코 나루사와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81Patients' garments with incorporated means for medical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6Electrically protective, e.g.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electric shock
    • A61B5/0404
    • A61B5/0424
    • A61B5/047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5V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7Conductive fabrics or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전극과 배선을 구비하는 의류에 있어서, 착용 시 건조한 환경 하에서도, 생체 전기 신호의 판독으로 노이즈의 혼입을 억제하여, 위화감이 적은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신장성이 있어 신장 시에 있어서도 높은 도전성을 나타내는 전극과 배선을 이용하여, 착용 시의 위화감을 줄이며, 의류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연 재료에 마찰 대전열이 가까운 재료끼리를 선정함으로써, 착용 시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억제하여 생체 전기 신호의 판독 노이즈를 저감한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본 발명은 생체의 피부 표면에 접촉시켜 생체가 발하는 미약한 전기 신호를 계측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전극을 갖는 생체 정보 측정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뇌파, 심전도, 근전도 등의 생체 내부의 미약한 전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도전성을 갖는 부드러운 도전성 솔리드 겔 등의 도전성 점착재를 포함하는 점착 패드 전극(특허문헌 1)이나, 고무 구(球)와 전극을 포함하는 흡착 전극(특허문헌 2)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전극은 독립된 전극을 피부에 접착하여 피험자가 안정된 상태로 측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한편, 일상 생활의 장기간에 걸쳐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 요구가 있어, 전극을 장착한 의류가 주목되고 있고, 겔의 비어져 나옴이나 유출의 우려가 있는 점착 패드 전극이나, 부피가 커지거나 울혈의 우려가 있는 흡착 전극 대신에 새로운 의류 장착용의 전극이 고안되어 있다.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 금속 도체 섬유를 넣어 짠 직물 전극과 그 일부를 수분에 대하여 불침투성으로 한 전극을 조합한 전극이 있고, 수분에 대하여 불침투성으로 함으로써 발한에 의해 피부와 전극의 전기 저항을 낮춰, 직물 베이스의 전극에 기인하는 전기 노이즈의 영향을 회피하고 있다(특허문헌 3).
또한, 의류와 센서 장착부를 꿰매어 실로 접합한 구성에 있어서, 센서 장착부에 발수성 또한 전기 절연성의 부재를 이용하여 특정 구성으로 한 전극이 있어, 의류가 전해액으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비나 땀 등으로 젖은 상태에 있어서도, 전기적인 단락에 의한 전기 신호의 열화를 막고 있다(특허문헌 4).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09-2156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22597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486015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06877호 공보
이와 같이, 일상 생활의 장기간에 걸쳐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극을 장착한 의류에 관해서는, 의류가 건조한 상태로부터 비나 땀으로 젖거나 한 상태여도, 착용자가 일상의 여러 가지 자세나 동작을 취하여도, 전기 노이즈나 전기 신호의 열화를 막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시 착용하기 때문에 의류의 쾌적성에 있어서 조이는 느낌의 저감, 피트감의 유지를 고려하면, 전극에는 의류에 추종 가능한 신축성이 있으며 유연한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신축성 전극을 장착한 의류를 상시 착용하였을 때에, 특히 건조한 상태에 있어서 전기 신호에 노이즈가 혼입하여 열화한다고 하는 현상이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노이즈는 구성물끼리 맞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대전에 기인하는 것, 또한, 착용자가 여러 가지 자세나 동작을 취하였을 때에 전극이 신축함으로써 변화하는 전기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하여, 의류가 건조한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가 자세나 동작을 취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기 신호에의 노이즈 혼입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의류를 구성하는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근접하여 마련되는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 신축성 도전성 재료를 적어도 갖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에 있어서,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맞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대전압의 절대값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2] 상기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미신장 시에 있어서의 시트 저항이 300 Ω□ 이하이고, 또한,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신장률 10%에 있어서의 신장 시의 하중이 100 N 이하이고, 또한, 신장 시의 전기 저항 증가비가 10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3] 상기 신축성 도전성 재료가, 도전성 입자와 절연성 바인더 수지를 적어도 구성 재료로 하는 신축성의 도전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4] 상기 신축성 도전성 재료가, 도전성 섬유로 적어도 구성되는 신축성의 도전 포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5] 상기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면, 양모, 삼, 비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레이온,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벤조옥사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섬유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6] 상기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가, 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7]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면을 50% 포함하는 섬유 소재이고,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종류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질소 함유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8]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50% 이상 포함하는 섬유 소재이고,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종류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천연 고무, 비질소 함유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계측하는 수단과 계측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10]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계측하는 수단과, 계측한 정보를 해석하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11]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종류가, 불소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12]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종류가, 나일론, 레이온, 울, 비단, 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의류를 구성하는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신축성 도전성 재료와,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신축성 도전성 재료를 적층 및 또는 접합하기 위해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에 근접하여 마련된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맞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대전압이 10 ㎸ 이하인 것, 또한,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미신장 시에 있어서의 시트 저항이 300 Ω□ 이하이고, 또한,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신장률 10%에 있어서의 신장 시의 하중이 100 N 이하, 또한, 전기 저항 증가비가 10배 미만이 되도록 기재나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를 선정함으로써, 착용 시에 있어서의 조이는 느낌의 저감, 피트감의 유지를 지니면서, 의류가 건조한 상태로부터 비나 땀으로 젖거나 한 상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전기 신호에의 노이즈 혼입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는, 체적 고유 저항률이 1010 Ω·㎝ 이상이고, 또한, 신장률 10% 이상으로 신장시키는 것이 가능한 천연 재료 또는 합성 수지 재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고, 형태로서는 섬유로 구성되는 편물, 직포, 부직포, 또는 필름형, 시트형의 성형물이다.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0∼1000 ㎛이고, 기재의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00∼300 g/평방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 단위 중량은 착용 시의 조이는 느낌이나 피트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는, 면, 양모, 삼, 비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레이온,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벤조옥사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섬유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도전성 재료>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는 생체 전기 신호를 판독하는 전극 및 또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입자와 절연성 바인더 수지를 적어도 구성 재료로 하는 신축성의 도전 시트이다. 절연성 바인더 수지는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이고, 체적 고유 저항률이 1010 Ω·㎝ 이상이고, 또한, 신장률 10% 이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천연 재료 또는 합성 수지 재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는 전기 전도율이 10 S/㎝ 이상이 되는 금속, 탄소계 재료, 도전성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고, 형상으로서는, 분말형 내지 섬유형이고, 절연성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상태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다른 하나의 신축성 도전성 재료는, 적어도 도전성 섬유로 구성되는 신축성의 도전 포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성 섬유란, 도전성 고분자의 섬유, 도전성 조성물의 섬유, 표면에 도전성 소재를 피복한 섬유 소재, 도전성 소재와 비도전성 소재를 하이브리드화한 섬유 소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섬유는, 그 자체, 내지는 비도전성 섬유와 하이브리드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포백으로서는 직물, 편물, 어느 형태여도 좋다. 특히 니트 구조는 신축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전기 특성은 미신장 시에 있어서의 시트 저항이 300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재료의 선정 및 부재의 막 두께나 폭을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시트 저항이 300 Ω□보다 높아지면, 전기 신호의 열화가 일어나 판독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신축성은 신장률 10%에 있어서의 신장 시의 하중이 100 N 이하이고, 또한, 전기 저항 증가비가 10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률 10%에 있어서의 신장 시의 하중이 100 N보다 높아지면, 착용 시에 있어서의 조이는 느낌, 피트감이 악화한다. 또한, 신장률 10%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 증가비가 10배 이상이 되면, 신장 전후에서의 전기 신호가 흐트러져 열화한다.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는, 체적 고유 저항률이 1010 Ω·㎝ 이상이고, 또한, 신장률 10% 이상으로 신장 가능한 천연 재료 또는 합성 수지 재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한다.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는, 제1 신축성 전기 절연 기재와 신축성 도전성 재료를 적층 및 또는 접합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는,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용례에 따라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바람직한 용례는 액형이며, 제1 신축성 전기 절연 기재 또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에 도포한 후에, 건조나 경화에 의해, 양자를 적층 및 또는 접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2 형상은 필름형, 시트형의 성형물이며, 제1 신축성 전기 절연 기재 또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를 적층 및 또는 접합한 후에, 가열에 의해 양자를 적층 및 또는 접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3 형상은 실 모양이며 제1 신축성 전기 절연 기재 또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를 봉합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천연 고무, 합성 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수지로 코팅 내지 표면 처리된 소재는 불소계 수지로서 취급하여도 좋다.
<도전성 시트>
도전성 시트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가 취하는 하나의 형태로, 신축성 전기 절연성 재료와 분말형의 도전성 재료를 용액 또는 용융 상태로 혼합하여 도전성 분말을 신축성 전기 절연성 재료에 균일하게 분산한 후에, 시트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도전성 시트를 차지하는 도전성 분말의 배합량은 전기 저항과 신축성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체적%가 크면 전기 저항은 낮아져 전기 신호의 열화가 억제되지만, 신축성이 낮아져, 조이는 느낌, 피트감이 악화한다. 한편, 체적%가 낮으면 신축성이 높아져 조이는 느낌, 피트감이 향상하지만, 전기 저항이 높아져 전기 신호가 열화한다. 양자의 특성의 밸런스를 잡는 데 있어서 도전성 분말의 배합량은 20∼60 체적%가 바람직하다.
<도전성 포백>
도전성 포백은 신축성 도전성 재료가 취하는 다른 하나의 형태로, 도전성 재료가 섬유형으로 포함되는 편물, 직포, 부직포이다. 도전성 포백은 도전성 섬유와 비도전성 섬유의 양방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도전성 포백을 차지하는 도전성 섬유의 비율은 도전율과 신축성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중량%가 크면 전기 저항은 낮아져 전기 신호의 열화가 억제되지만, 신축성이 낮아져, 조이는 느낌, 피트감이 악화한다. 한편, 중량%가 낮으면 신축성이 높아져 조이는 느낌, 피트감이 향상하지만, 전기 저항이 높아져 전기 신호가 열화한다. 양자의 특성의 밸런스를 잡는 데 있어서 도전성 섬유의 비율은 10∼100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신축성 전기 절연 재료와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재료의 마찰 내전압이 10 ㎸ 이하인 것에 특징이 있다. 양자는 근접하여 이용되지만, 미시적으로 보면, 의류로서 착용되어, 착용자가 운동할 때에, 미세한 맞스침 상태에 놓여 마찰 대전이 발생한다. 마찰 대전에 있어서는, 어느 한쪽의 재료가 플러스에 다른쪽의 재료가 마이너스에 대전하고, 재료의 조합에 따라 전위차가 크게 변한다. 이때에 전위차가 큰 조합을 이용하면 전기 신호에 노이즈가 혼입하기 쉬워 신호의 열화가 보이기 때문에, 전위차가 보다 작은 조합이 되도록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에 대전하기 쉬운 재료로서 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고무가 있고, 한편, 정에 대전하기 쉬운 재료로서는 나일론, 레이온, 울, 비단, 면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내전압이 소정의 범위 내가 되는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수지로 표면 처리된 재료는 불소계 수지로서 취급하여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전 페이스트의 제작]
표 1에 나타내는 재료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중량 배합비에 따라 수지를 각 용제에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에 은 입자를 배합하고, 3롤 밀로 혼합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를 얻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제작]
이형 처리 PET 필름 상에 상기 도전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막 두께가 약 1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 30분간, 열풍 건조 오븐에서 건조한 후, 이형 처리 PET 필름을 박리하여, 신축성 도전성 재료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방법으로, 두께, 미신장 시 전기 저항, 신장 시 전기 저항 증가비, 신장 시 하중을 측정하였다. 실시예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전극 및 배선을 구비한 의류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이형 처리 PET 필름을 갖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 시트에 표 1에 나타내는 핫멜트 시트와 이형지를 중합시키고, 고무 롤 온도를 120℃로 조정한 롤 라미네이트기로 접착하여, 접착성이 있는 신축성 도전성 재료 시트를 얻었다. 이 신축성 도전성 재료 시트를 배선 폭 1.0 ㎝ 배선 길이 15.0 ㎝로 계속되는 한 변이 5.0 ㎝인 정방 형상으로 오려내었다. 오려낸 배선부 전극으로부터 이형지를 박리하여 셔츠(면 100% 및 폴리에스테르 100%)의 이면측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다리미로 열 압착하고, 또한 이형 처리 PET 필름을 박리하여, 이면에 전극 및 배선을 구비한 셔츠를 제작하였다.
[심박 계측 기능을 삽입한 셔츠의 제작]
전극 및 배선을 구비한 셔츠의 배선 말단의 겉쪽에 스테인레스스틸제의 후크를 이면의 배선과 도통하도록 장착하고, 스테인레스스틸제 후크를 통해, 유니온툴사 제조의 심박 센서 WHS-2를 접속하여, 심박 계측 기능을 삽입한 셔츠를 제작하였다.
[신장 시험 및 전기 저항의 측정]
폭 2.5 ㎝의 척을 2개 구비한 신장 시험기(수동 연신기)를 이용하여, 척간 거리 5.0 ㎝가 되도록 상기에서 제작한 신축성 도전성 재료 시트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신장률 10%까지 신장(변위량 0.5 ㎝)하였다. 시험 전후의 전기 저항은 디지털 멀티미터(요코가와 미터 & 인스투루먼트사 제조 「YOKOGAWA TY530」)를 이용하여, 대향하는 2개의 척의 외측(측정 거리 10 ㎝)에서 신장 전후의 저항값(Ω)을 측정하여, 시트 저항(Ω□)을 얻었다. 저항값의 측정은 신장 직후(3초 이내)에 실시하였다.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인장 시험기(ORIENTEC CORPORATION사 제조 「RTM-250」)를 이용하여, 폭 30 ㎜, 시험 길이 50 ㎜의 신축성 도전성 재료 시트를 신장률 10%로 하였을 때에 걸리는 하중(N)을 측정하여, 시트 길이 1 ㎝당의 단위 하중(N/㎝)을 얻었다.
[마찰 대전압의 측정]
JIS L1094의 마찰 대전 감쇠 측정법에 기초하여, 가네보식 마찰 대전압 측정 장치 EST-8을 이용하여, 온습도 상태 20℃, 40% RH의 분위기 하에서 행하였다. 마찰포로서,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되는 면 100% 및 폴리에스테르 100%를 이용하여,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되는 핫멜트 시트를 10회 마찰한 후의 초기 대전압을 측정하여, 절대값을 구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착용감, 심전 계측 SN비]
성인 남성 10명을 피험자로 하여, 실시예에서 작성한 심박 계측 기능을 삽입한 셔츠를 착용하고, 15℃, 40% RH의 환경 하에서 심전 계측을 행하면서, 라디오 체조 제1과, 라디오 체조 제2를 이어서 실시하였다. 그동안의 착용감에 대해서, 「촉감이 좋다」를 5점, 「촉감이 나쁘다」를 1점으로 하여, 5단계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10명의 평균에 있어서, 4 이상을 ◎, 3 이상 4 미만을 ○, 2 이상 3 미만을 △, 2 미만을 ×로 하였다.
심전 계측 시의 SN비는 체조 시간의 시작의 1분간과 마지막의 1분간을 제외한 심전도의 파형으로부터 R파의 진폭의 분산을 시그널(S)로 하고, R파와 R파 사이의 파형의 진폭의 분산을 노이즈(N)로 하여, S/N의 식으로 SN비를 구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대전압이 낮은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측정 시의 노이즈가 적어 양호한 심전 계측이 가능한 것을 알았다.
본 발명에서는, 겨울철의 건조한 조건에 있어서도 양호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상 생활의 건강 관리, 조깅, 마라톤 등 옥외 스포츠 시의 생체 정보의 파악, 건설 현장 등의 옥외 작업에서의 노무 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의류를 구성하는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근접하여 마련되는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 신축성 도전성 재료를 적어도 갖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에 있어서,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와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맞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대전압의 절대값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미신장 시에 있어서의 시트 저항이 300 Ω□ 이하이고, 또한, 신축성 도전성 재료의 신장률 10%에 있어서의 신장 시의 하중이 100 N 이하이고, 또한, 신장 시의 전기 저항 증가비가 10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도전성 재료가, 도전성 입자와 절연성 바인더 수지를 적어도 구성 재료로 하는 신축성의 도전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도전성 재료가, 도전성 섬유로 적어도 구성되는 신축성의 도전 포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면, 양모, 삼, 비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레이온,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벤조옥사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섬유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가, 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면을 50% 포함하는 섬유 소재이고,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종류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질소 함유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신축성 전기 절연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50% 이상 포함하는 섬유 소재이고, 제2 신축성 전기 절연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종류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천연 고무, 비질소 함유 합성 고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KR1020197036622A 2017-05-29 2018-05-24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KR102346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5415 2017-05-29
JP2017105415 2017-05-29
PCT/JP2018/020017 WO2018221375A1 (ja) 2017-05-29 2018-05-24 生体情報測定用衣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321A true KR20200014321A (ko) 2020-02-10
KR102346390B1 KR102346390B1 (ko) 2022-01-04

Family

ID=6445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22A KR102346390B1 (ko) 2017-05-29 2018-05-24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41899B2 (ko)
EP (1) EP3632304A4 (ko)
JP (1) JP7088181B2 (ko)
KR (1) KR102346390B1 (ko)
CN (1) CN110678120B (ko)
TW (1) TWI815811B (ko)
WO (1) WO2018221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080417A1 (ko) 2020-10-13 2022-04-21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668A (ja) 1996-02-13 1997-08-19 Nippon Koden Corp 電極用粘着パッド
JPH11225977A (ja) 1998-02-18 1999-08-24 Nippon Koden Corp 吸着電極
JP4860155B2 (ja) 2002-12-27 2012-0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極構成
KR101630699B1 (ko) * 2015-05-13 2016-06-15 (주)탑나노시스 전도성 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전도성 코팅액을 포함한 전도성 원단 및 원사
JP2016106877A (ja) 2014-12-08 2016-06-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生体電極および衣類
KR20170038357A (ko) * 2015-09-30 2017-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전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805B2 (ja) * 1986-09-05 1994-07-27 コニカ株式会社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H0697224B2 (ja) * 1988-07-13 1994-11-30 鐘紡株式会社 摩擦帯電圧測定装置
JPH0225977A (ja) 1988-07-15 1990-01-29 Fanuc Ltd 図面座標系及びスケール設定方法
JPH06260296A (ja) * 1993-03-03 1994-09-16 Toyo Service Kk 静電気除去用シート状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ペット
JP2003041459A (ja) 2001-07-30 2003-02-13 Toray Ind Inc 衣料用起毛布帛
US20100210745A1 (en) * 2002-09-09 2010-08-19 Reactive Surfaces, Ltd. Molecular Healing of Polymeric Materials, Coatings, Plastics, Elastomers, Composites, Laminates, Adhesives, and Sealants by Active Enzymes
ITVR20030147A1 (it) * 2003-12-30 2005-06-30 Giovanni Cecchini Tessuto in filato o similare abbinato a fili di rame
US20070089800A1 (en) 2005-10-24 2007-04-26 Sensatex, Inc. Fabrics and Garments wi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US8161826B1 (en) * 2009-03-05 2012-04-24 Stryker Corporation Elastically stretchable fabric force sensor arrays and methods of making
JP5413561B2 (ja) * 2008-10-24 2014-02-12 学校法人立命館 感圧導電糸および生体情報測定用被服
EP2347664A4 (en) * 2008-10-30 2012-08-01 Toray Industries CLOTHING
JP5254757B2 (ja) * 2008-11-18 2013-08-07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布帛
TW201023826A (en) * 2008-12-24 2010-07-01 Micro Star Int Co Ltd Anti-interference wearable physiological sensing device
CN101536903A (zh) * 2009-04-10 2009-09-23 河南华南医电科技有限公司 穿戴式心电电极装置及其制造方法
CN101856217A (zh) * 2009-04-13 2010-10-13 微星科技股份有限公司 抗干扰的穿戴式生理信号测量装置
US9808196B2 (en) * 2010-11-17 2017-11-07 Smart Solutions Technologies, S.L. Sensors
KR101647546B1 (ko) * 2011-06-30 2016-08-1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안솜
CN202222494U (zh) * 2011-08-26 2012-05-23 利郎(中国)有限公司 一种消除静电衣服
DK2757950T3 (da) * 2011-09-22 2020-02-10 Region Nordjylland Aalborg Sygehus Fremgangsmåde, indretning og computerprogram til bestemmelse af strækværdier
AU2013200122B2 (en) * 2012-01-16 2018-04-26 John Charles Turner Destructive Electrostatic Discharge Damage Prevention of Garments
JP5596081B2 (ja) * 2012-06-11 2014-09-24 セーレン株式会社 伸縮性コーティング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164435A1 (en) * 2012-11-14 2016-06-09 Leap Technology Aps Garment having transducer capabilities
JP5986008B2 (ja) * 2013-02-08 2016-09-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導電性布帛の製造方法、及び生体信号測定装置の製造方法
EP3116395A4 (en) * 2014-03-10 2017-12-06 L.I.F.E. Corporation S.A.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US10617354B2 (en) 2014-04-29 2020-04-14 MAD Apparel, Inc. Biometric electrod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50359485A1 (en) 2014-06-17 2015-12-17 MAD Apparel, Inc. Biometric signal conduc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566033B2 (en) * 2014-11-03 2017-02-14 Phillip Bogdanovich Garment system with electronic components and associated methods
KR102430695B1 (ko) * 2015-01-14 2022-08-0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신축성 전극 및 배선 시트, 생체 정보 계측용 인터페이스
JP2016158912A (ja) * 2015-03-03 2016-09-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衣類、生体信号測定装置、および生体信号検出用部材
FR3033233B1 (fr) * 2015-03-06 2017-03-31 Bioserenity Dispositif de surveillance d'un parametre physiologique d'un utilisateur sous la forme d'un vetement
JP2017035457A (ja) * 2015-06-05 2017-02-16 東洋紡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方法及び生体情報測定用衣類、生体情報測定用衣類の設計方法、カスタムメイドの生体情報測定用衣類の提供方法
CN105395178A (zh) * 2015-12-18 2016-03-16 北京创新爱尚家科技有限公司 织物布传感器、织物布传感器系统、获取生理数据的方法
CN105887490A (zh) * 2016-03-04 2016-08-24 珠海安润普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柔性织物传感器制备的导电浆料及制备方法
CN106618532A (zh) * 2016-12-28 2017-05-10 东南大学 一种用于心电与血压及脉搏特征参数采集的穿戴装置
CN106551693A (zh) * 2017-01-18 2017-04-05 包磊 织物电极和心电测试仪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668A (ja) 1996-02-13 1997-08-19 Nippon Koden Corp 電極用粘着パッド
JPH11225977A (ja) 1998-02-18 1999-08-24 Nippon Koden Corp 吸着電極
JP4860155B2 (ja) 2002-12-27 2012-0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極構成
JP2016106877A (ja) 2014-12-08 2016-06-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生体電極および衣類
KR101630699B1 (ko) * 2015-05-13 2016-06-15 (주)탑나노시스 전도성 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전도성 코팅액을 포함한 전도성 원단 및 원사
KR20170038357A (ko) * 2015-09-30 2017-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전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88181B2 (ja) 2022-06-21
US20200178623A1 (en) 2020-06-11
WO2018221375A1 (ja) 2018-12-06
US11641899B2 (en) 2023-05-09
CN110678120A (zh) 2020-01-10
TWI815811B (zh) 2023-09-21
KR102346390B1 (ko) 2022-01-04
EP3632304A1 (en) 2020-04-08
TW201902417A (zh) 2019-01-16
CN110678120B (zh) 2022-09-30
EP3632304A4 (en) 2021-03-03
JPWO2018221375A1 (ja)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44285B2 (en) Electronic textile assembly
JP5883923B2 (ja) 生理的信号を取得するためのファブリック
US9808196B2 (en) Sensors
KR20160113603A (ko) 생체 신호 검출 의료
JPWO2019044649A1 (ja) 生体接触型電極および生体情報計測用衣服
JP2014108134A (ja) 導電体、導電体の製造方法、導電体を用いた感圧センサー、感圧センサー装置、導電体を用いた生体電極、及び生体信号測定装置
JP7352839B2 (ja) 衣服型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68901A (ja) 生体電極、及びこれを備える衣類
JP2014237059A (ja) 生体電極、及び生体信号測定装置
KR102346390B1 (ko) 생체 정보 측정용 의류
JP6996214B2 (ja) 着用型生体情報計測装置および生体情報計測方法
JP2019180862A (ja) 被検生体情報計測用手袋型装具、その製造方法および生体情報計測方法
JP2019123965A (ja) 衣類
JP2015154945A (ja) 生体電極、及び生体信号測定装置
JP7172164B2 (ja) 電極を備える装置
WO2020241733A1 (ja) 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付き装具
EP3951035A1 (en) Garment
JPWO2019097860A1 (ja) 生体情報計測用衣服および伸縮性積層シート
WO2022054487A1 (ja) 伸縮性コンデンサおよびセンシングウェア
JP6917912B2 (ja) 衣類
JP2018042719A (ja) 生体電極
JP7000697B2 (ja) ウェアラブルスマートデバイス
JP2023104811A (ja) 下衣
JP2018042720A (ja) 生体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