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493A -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493A
KR20200010493A KR1020197038104A KR20197038104A KR20200010493A KR 20200010493 A KR20200010493 A KR 20200010493A KR 1020197038104 A KR1020197038104 A KR 1020197038104A KR 20197038104 A KR20197038104 A KR 20197038104A KR 20200010493 A KR20200010493 A KR 20200010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tooth
coil
coils
tu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326B1 (ko
Inventor
히로코 이케다
가즈마사 이토
유이치로 나카무라
신이치 야마구치
류이치 다키구치
유 다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전 전기 기계를 얻는다. 제 1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는 제 2 티스에 장착된 복수의 상의 코일의 감은 수와 상이하고 또한 제 3 티스에 장착된 복수의 상의 코일의 감은 수와 상이하고, 제 1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는 다른 각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고 또한 제 2 티스 및 제 3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 각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
본 발명은, 티스(teeth)에 코일이 장착된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자의 극수를 P로 하고, 고정자의 슬롯의 수를 N으로 하고, 자연수를 n으로 한 경우에, P=2n, N=2n±1, 또는, P=2n, N=2(n±1)로 하고, 또한, N이 상(phase)의 수 m의 정수 배가 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P와 N의 최소공배수를 큰 수로 하여, 발생하는 코깅 토크(cogging torque)를 저감시키는 회전 전기 기계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H04-208039호 공보
그렇지만, 각 상의 인덕턴스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전기자(armature) 반작용에 차이가 생겨 버려, 토크 리플(torque ripple)이 발생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는, 고정자와, 고정자에 대향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된 회전자를 구비하고, 회전자는, 회전 방향인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2의 자연수 배의 수인 P개의 자극을 갖고, 고정자는, 코어 백(core back) 및 코어 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정수인 N개의 티스를 포함하는 고정자 철심과, 티스에 장착된 코일을 갖고, 티스에는, 3상의 코일이 장착되고, P 및 N의 최대공약수를 C로 한 경우에, N/C=P/C±1, N/C가 3의 배수가 아닌 관계에 있고, N개의 티스 중에는, 1상만의 코일이 장착되는 티스와, 복수의 상의 코일이 장착되는 티스가 있고, 1상만의 코일이 장착된 티스로서, 인접하는 티스에는 동상의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코일이 장착된 티스를 제 1 티스로 하고,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한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코일이 장착된 티스를 제 2 티스로 하고,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다른 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코일이 장착된 티스를 제 3 티스로 한 경우에, 제 1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number of turns)는 제 2 티스에 장착된 복수의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고 또한 제 3 티스에 장착된 복수의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고, 제 1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는 다른 각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고 또한 제 2 티스 및 제 3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 각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거나, 또는 제 1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는 다른 각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고 또한 제 2 티스 및 제 3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 각 티스에 장착된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각 상의 인덕턴스의 차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티스에 장착되는 코일의 감은 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각 티스에 장착되는 코일의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과 인덕턴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고정자와 비교하기 위한 고정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회전 전기 기계에 발생하는 토크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의 회전 전기 기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각 티스에 장착되는 코일의 감은 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각 티스에 장착되는 코일의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의 코일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각 티스에 장착되는 코일의 감은 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각 티스에 장착되는 코일의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과 인덕턴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10의 회전 전기 기계에 발생하는 토크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고정자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코일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고정자의 코일의 접속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직동 전동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부재,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변형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는, 고정자(1)와, 고정자(1)에 대하여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여 마련되고,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자(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회전자(2)는, 고정자(1)에 대하여 지름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2)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에 대하여 고정된 회전자 철심(22)과, 회전자 철심(22)에 고정되고, 회전 방향인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6개의 영구자석(23)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자 철심(22)은, 전자기 강판 등의 자성체의 코어 시트가 복수 매 적층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자 철심(2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영구자석(23)은, 회전자 철심(22)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6개의 영구자석(23)은,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고정자(1)는, 고정자 철심(11)과, 고정자 철심(11)에 장착된 복수의 코일(12)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자 철심(11)은, 전자기 강판 등의 자성체의 코어 시트가 복수 매 적층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 철심(11)은, 링 형상의 코어 백(111)과, 코어 백(111)으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7개의 티스(112)를 갖고 있다. 7개의 티스(112)는,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티스(112)의 사이에는, 슬롯(113)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12)은, 슬롯(113)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12)은, 도선이 티스(112)에 집중적으로 감기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1)에는, 도시하지 않는 3상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된다. 회전자(2)의 자극의 수인 극수를, 2의 자연수 배의 수인 P로 하면, 극수 P는 6, 고정자(1)의 슬롯의 수 N은 7이고, 극수 P 및 슬롯의 수 N의 최대공약수 C는 1이 된다. 이 경우, 슬롯의 수 N/최대공약수 C = 극수 P/최대공약수 C±1이고, N/C가 상의 수 3의 배수가 아닌 관계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코깅 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전기 기계에서는, 슬롯의 수 N/최대공약수 C가 상의 수 3의 배수인 회전 전기 기계와 마찬가지로 각 코일(12)의 감은 수가 균등하게 되도록 설계하면, 전기자 반작용에 언밸런스가 생겨, 토크 리플이 생긴다.
도 1에서는, 각 티스(112)에 대하여 편의적으로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는, 각 티스(11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1부터 7까지의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7개의 티스(112)의 각각에는, 1번째의 티스(112)로부터 시계방향으로, +U상의 코일(12)과, -U상 및 +V상의 코일(12)과, -V상의 코일(12)과, +V상의 코일(12)과, +W상의 코일(12)과, -W상의 코일(12)과, -U상 및 +W상의 코일(12)이 차례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 상에 있어서의 + 및 -의 기호는, 코일(12)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1번째의 티스(112)에는, 1상만의 코일(12)이 장착되고, 또한, 1번째의 티스(112)에 인접하는 2번째의 티스(112) 및 7번째의 티스(112)에는, 1번째의 티스(112)에 마련된 코일(12)과 동상의 코일(12)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1상만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로서, 이 티스(112)에 인접하는 티스(112)에는 동상의 코일(12)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제 1 티스(112a)로 한다. 또한, 제 1 티스(112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한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제 2 티스(112b)로 하고, 제 1 티스(112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다른 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제 3 티스(112c)로 한다. 도 1에서는, 1번째의 티스(112)가 제 1 티스(112a)이고, 2번째의 티스(112)가 제 2 티스(112b)이고, 7번째의 티스(112)가 제 3 티스(112c)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만,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는,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기초로 규격화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는 제 2 티스(112b)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각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고 또한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각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다.
또한,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는, 제 1 티스(112a) 이외의 6개의 각 티스(112)의 각각에 장착되는 코일(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감은 수의 합계에 대하여 최대이다. 또한,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각의 감은 수는,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 이외의 5개의 각 티스(112)의 각각에 장착되는 코일(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감은 수의 합계에 대하여 최소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하는 것에 의해, 각 상의 인덕턴스의 차분을 작게 할 수 있어,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권선 계수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 전압이 커지고, 높은 토크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상의 사이에 있어서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끼리의 상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자 철심(11)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모든 코일(12)은, 동일한 선경(wire diameter)의 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자(1)의 제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정자(1)의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를 1부터 7까지의 자연수로 하고, i번째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U상의 코일(12)의 감은 수를 Nui로 하고, i번째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V상의 코일(12)의 감은 수를 Nvi로 하고, i번째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W상의 코일(12)의 감은 수를 Nwi로 한다. 또한, U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 ΣNui 2, V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 ΣNvi 2 및 W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 ΣNwi 2의 평균치를 a로 한다.
도 3은 도 1의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과 인덕턴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는, 가로축은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의 절대치의 최대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3상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예컨대, 극수 P가 10, 슬롯의 수 N이 12, 상의 수가 3이고, 극수 P 및 슬롯의 수 N의 최대공약수 C가 2인 회전 전기 기계에서는, 슬롯의 수 N/최대공약수 C가 6이고, 상의 수 3의 배수가 된다. 이 때문에, 각 상의 티스의 수는, 4개씩이 되고, 서로 동일해지므로, 각 티스(112)에 동수의 감은 수의 코일(12)을 장착할 수 있어, 각 상의 인덕턴스가 동일해진다. 그 결과,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는 1이 되고,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은, 0이 된다.
도 5는 도 1의 고정자(1)와 비교하기 위한 고정자(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7개의 티스(112)의 각각에 1상의 코일(12)만이 장착되어 있고, 또한,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가 균등하게 되어 있다. 도 4의 파선은, 7개의 티스(112)의 각각에 1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하고, 또한,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를 균등하게 한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일점쇄선은, 7개의 티스(112)의 각각에 1개의 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하고, 또한,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를 균등하게 한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을 반으로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 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의 평균치 a로부터의 편차량이 24% 이하인 경우에,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은, 각 티스(112)에 1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한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 이하가 된다. 또한, 각 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의 평균치 a로부터의 편차량이 12% 이하인 경우에, 토크 리플은, 각 티스(112)에 1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반 이하로 할 수 있다.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한 경우에는,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은,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가 균등하게 되어 있는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의 반 이하가 된다.
도 6은 도 1의 회전 전기 기계에 발생하는 토크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실선은, 각 티스(112)에 장착된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한 경우의 토크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파선은,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를 균등하게 한 경우의 토크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는, 세로축은 평균 토크로 규격화된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함으로써,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가 1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구동 때의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감은 수의 합계에 대하여 최대이고,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각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감은 수의 합계에 대하여 최소인 구성, 또는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감은 수의 합계에 대하여 최소이고,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각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감은 수의 합계에 대하여 최대인 구성이면, 상이한 감은 수의 조합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영구자석(23)이 회전자 철심(22)의 표면에 붙여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영구자석(23)이 회전자 철심(22)의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극수 P가 6, 슬롯의 수 N이 7, 상의 수가 3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극수 P, 슬롯의 수 N은, 그 외의 수이더라도 좋다. 도 7은 도 1의 회전 전기 기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의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는,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기초로 규격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슬롯의 수 N으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8에 나타냈지만,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감은 수의 합계에 대하여 최대이고,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이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인 구성, 또는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고,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이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인 구성이면, 상이한 감은 수의 조합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상마다의 인덕턴스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코일(12)의 도선의 선경은 동일하므로, 제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극수 P가 6, 슬롯의 수 N이 7, 극수 P 및 슬롯의 수 N의 최대공약수 C가 1인 회전 전기 기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단위를 기본으로 하여, 최대공약수 C가 2, 3 등, 1 이외의 다른 자연수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대공약수 C가 2인 경우로서는, 예컨대, P=12, N=14가 있고, 최대공약수 C가 3인 경우로서는, 예컨대, P=18, N=21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극수 P가 6인 회전 전기 기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극수 P는, 2, 4, 6, 8 등의 짝수, 바꾸어 말하면 2의 자연수 배의 수이면 된다. 또한, 슬롯의 수 N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4, 5, 7, 8, 10 등의 자연수로서 슬롯의 수 N/최대공약수 C가 상의 수 3의 배수가 되지 않는 수이면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의 코일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각 티스(112)에 대하여 편의적으로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서는, 각 티스(11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1부터 7까지의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7개의 티스(112)의 각각에는, 1번째의 티스(112)로부터 시계방향으로, +U상의 코일(12)과, -U상 및 +V상의 코일(12)과, +U상 및 -V상의 코일(12)과, -W상 및 +V상의 코일(12)과, -V상 및 +W상의 코일(12)과, +U상 및 -W상의 코일(12)과, -U상 및 +W상의 코일(12)이 차례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 상에 있어서의 + 및 -의 기호는, 코일(12)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1번째의 티스(112)에는, 1상만의 코일(12)이 장착되고, 또한, 1번째의 티스(112)에 인접하는 2번째의 티스(112) 및 7번째의 티스(112)에는, 1번째의 티스(112)에 마련된 코일(12)과 동상의 코일(12)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1상만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로서, 이 티스(112)에 인접하는 티스(112)에는 동상의 코일(12)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제 1 티스(112a)로 한다. 또한, 제 1 티스(112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한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제 2 티스(112b)로 하고, 제 1 티스(112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다른 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제 3 티스(112c)로 한다. 도 1에서는, 1번째의 티스(112)가 제 1 티스(112a)이고, 2번째의 티스(112)가 제 2 티스(112b)이고, 7번째의 티스(112)가 제 3 티스(112c)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제 1 티스(112a)에만, 1상만의 코일(12)이 장착되고, 다른 티스(112)에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는,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기초로 규격화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는, 제 2 티스(112b)에 장착되는 복수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고,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복수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다.
또한,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는, 제 1 티스(112a) 이외의 6개의 각 티스(112)의 각각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다. 또한,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은,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 이외의 5개의 각 티스(112)의 각각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하는 것에 의해, 각 상의 인덕턴스를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어,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상의 사이에 있어서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끼리의 상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자 철심(11)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i를 1부터 7까지의 자연수로 하고, i번째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U상의 코일(12)의 감은 수를 Nui로 하고, i번째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V상의 코일(12)의 감은 수를 Nvi로 하고, i번째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W상의 코일(12)의 감은 수를 Nwi로 한다. 또한, U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 ΣNui 2, V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 ΣNvi 2 및 W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 ΣNwi 2의 평균치를 a로 한다.
도 12는 도 10의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과 인덕턴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에서는, 가로축은 감은 수의 제곱합에 대한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량의 절대치의 최대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3상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예컨대, 극수 P가 10, 슬롯의 수 N이 12, 극수 P 및 슬롯의 수 N의 최대공약수 C가 2, 상의 수가 3인 회전 전기 기계에서는, 슬롯의 수 N/최대공약수 C가 6이고, 상의 수 3의 배수이다. 이 때문에, 각 상의 티스의 수는, 4개씩이 되고, 서로 동일해지므로, 각 티스(112)에 동수의 감은 수의 코일(12)을 장착할 수 있어, 각 상의 인덕턴스가 동일해진다. 그 결과,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는 1이 되고,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은, 0이 된다.
도 13의 파선은, 7개의 티스(112)의 각각에 1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하고, 또한,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를 균등하게 한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일점쇄선은, 7개의 티스(112)의 각각에 1개의 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하고, 또한,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를 균등하게 한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을 반으로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 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의 평균치 a로부터의 편차량이 15% 이하인 경우에,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은, 각 티스(112)에 1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한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 이하가 된다. 또한, 각 상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제곱합의 평균치 a로부터의 편차량이 7.5% 이하인 경우에, 토크 리플은, 각 티스(112)에 1상의 코일(12)만을 장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반 이하로 할 수 있다.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한 경우에는,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은,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가 균등하게 되어 있는 경우의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에 대한 1로부터의 편차량의 반 이하가 되어 있다.
도 14는 도 10의 회전 전기 기계에 발생하는 토크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의 실선은, 각 티스(112)에 장착된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한 경우의 토크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파선은, 모든 코일(12)의 감은 수를 균등하게 한 경우의 토크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서는, 세로축은 평균 토크로 규격화된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함으로써, 인덕턴스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가 1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구동 때의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각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감은 수로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고,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이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인 구성, 또는 제 1 티스(112a)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가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고,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이 다른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인 구성이면, 상이한 감은 수의 조합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슬롯의 수 N이 7이고, 상의 수가 3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슬롯의 수 N은 그 외의 수이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상마다의 인덕턴스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극수 P가 6, 슬롯의 수 N이 7, 극수 P 및 슬롯의 수 N의 최대공약수 C가 1인 회전 전기 기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단위를 기본으로 하여, 최대공약수 C가 2, 3 등, 1 이외의 다른 자연수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대공약수 C가 2인 경우로서는, 예컨대, P=12, N=14가 있고, 최대공약수 C가 3인 경우로서는, 예컨대, P=18, N=21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극수 P가 6인 회전 전기 기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극수 P는, 2, 4, 6, 8 등의 짝수, 바꾸어 말하면 2의 자연수 배의 수이면 된다. 또한, 슬롯의 수 N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4, 5, 7, 8, 10 등의 자연수로서, 슬롯의 수 N/최대공약수 C가 상의 수 3의 배수가 되지 않는 수이면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만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제 1 티스(112a)에만 1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서는, 1티스당 감은 수의 합계에 따라, 코일(12)을 구성하는 도선의 선경이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1티스당 감은 수의 합계가 비교적 적은 티스(112)에는, 선경이 비교적 큰 도선으로 구성된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1티스당 감은 수의 합계가 비교적 많은 티스(112)에는, 선경이 비교적 작은 도선으로 구성된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 또는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코일(12)의 전기 저항은, 도선의 선경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도선의 선경이 작을수록 코일(12)의 전기 저항이 커지고, 도선의 선경이 클수록 코일(12)의 전기 저항이 작아진다. 또한, 코일(12)의 전기 저항은, 코일(12)의 선 길이, 즉, 감은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감은 수가 많을수록 코일(12)의 전기 저항이 커지고, 감은 수가 작을수록 코일(12)의 전기 저항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감은 수에 따라 코일(12)을 구성하는 도선의 선경을 선정하는 것에 의해, 티스(112)마다의 전기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 발열량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어, 열 성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마다의 전기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크 리플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각 코일(12)의 도선의 선경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이므로, 티스(112)에 장착되는 코일(12)의 전기 저항의 차분을 작게 할 수 있어, 코일(12) 발열량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열 성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만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서는,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제 1 티스(112a)에만 1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동일한 티스(112)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은,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중심(中心)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동일한 티스(112)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 중에서, 티스(112)에 대하여 가까이 배치된 코일(12)은 감은 수가 크고, 티스(112)에 대하여 멀리 배치된 코일(12)은 감은 수가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티스(112)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 중에서, 감은 수가 큰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를 짧게 하고, 감은 수가 작은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코일(12)의 전기 저항은,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에 비례한다. 코일(1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중심(重心)을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으로 한 경우에,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는,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과 티스(112)의 중앙의 사이의 거리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마다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차이에 의한 전기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각 상에 흐르는 전류치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어, 폐회로 내에 흐르는 순환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3까지와 마찬가지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만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제 1 티스(112a)에만 1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동일한 티스(112)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은, 한쪽의 코일(12)에 있어서의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 A와 고정자(1)의 중심(中心) B를 잇는 선 C가, 다른 쪽의 코일(12)에 있어서의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 D를 통과하지 않도록, 분할되어 있다.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는, 슬롯(113) 내에 배치되어 있는 1상분의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과 티스(112)의 중앙의 사이의 거리에 의존하기 때문에,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이 티스(112)에 대하여 가까이 배치된 코일(12)은 감은 수가 크고,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이 티스(112)에 대하여 멀리 배치된 코일(12)은 감은 수가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티스(112)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 중에서, 감은 수가 큰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를 짧게 하고, 감은 수가 작은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코일(12)의 전기 저항은,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에 비례한다. 코일(1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중심(重心)을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으로 한 경우에,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는, 코일 단면의 중심(重心)과 티스(112)의 중앙의 사이의 거리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마다의 코일(12)의 감은 수의 합계의 차이에 의한 전기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각 상에 흐르는 전류치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어, 폐회로 내에 흐르는 순환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각 코일(12)의 도선의 평균 길이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이므로, 1개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코일의 전기 저항의 차분을 작게 할 수 있어, 전기 저항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고정자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서는, 감은 수의 합계가 큰 코일(12)이 티스(112)에 장착되는 고정자(1)의 요부를 고정자(1)의 중심(中心)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22에서는,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이 티스(112)에 장착되는 고정자(1)의 요부를 고정자(1)의 중심(中心)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자(1)는, 티스(112)에 장착된 인슐레이터(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13)는, 수지, 절연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티스(112)에는, 인슐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3)는, 감은 수의 합계가 큰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3)에 대하여, 고정자(1)의 축 방향에 대한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3)는, 감은 수의 합계가 큰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3)와 동일한 것에 대하여, 스페이서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3)는, 스페이서와 일체 성형에 의해 구성되더라도 좋다.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는, 감은 수의 합계가 큰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3)가,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에 장착된 경우와 비교하여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과 감은 수의 합계가 큰 코일(12)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티스(112)마다의 발열량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어, 열 성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4까지와 마찬가지이다.
도 23은 도 21의 고정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에서는, 코일(12)을 나타내고 있지 않다. 또한, 도 23에서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는 티스(112)를 나타내고 있다. 인슐레이터(13)는, 지름 방향 안쪽의 부분에 마련된 얇은 부분(131)과, 지름 방향 바깥쪽의 부분에 마련된 두꺼운 부분(132)을 구비하고 있다. 두꺼운 부분(132)은, 얇은 부분(131)과 비교하여, 축 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슐레이터(13)는, 지름 방향 안쪽의 부분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의 부분이 축 방향의 치수가 크다.
두꺼운 부분(132)에는, 감은 수의 합계가 작은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얇은 부분(131)에는, 감은 수의 합계가 큰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마다의 감은 수의 합계의 차이에 의한 전기 저항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얇은 부분(131)이 인슐레이터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 안쪽의 부분에 마련되고, 두꺼운 부분(132)이 인슐레이터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 바깥쪽의 부분에 마련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얇은 부분(131)이 인슐레이터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 바깥쪽의 부분에 마련되고, 두꺼운 부분(132)이 인슐레이터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 안쪽의 부분에 마련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티스(112)의 축 방향 단부에 마련된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코일(12)의 도선의 선 길이의 차이를 저감하고, 상마다의 전기 저항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코일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에서는, 제 2 티스(112b) 및 제 3 티스(112c)에만 복수의 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도 24에서는, 1개의 티스(112)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의 코일(12)은,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코일이 개별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어, 동일한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상의 코일(12)은, 7번째의 티스(112)와, 1번째의 티스(112)와, 2번째의 티스(112)에 배치되고, 각각의 코일(12)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121)에 의해 연속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V상의 코일(12)은, 2번째의 티스(112)와, 3번째의 티스(112)와, 4번째의 티스(112)에 배치되고, 각각의 코일(12)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121)에 의해 연속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W상의 코일(12)은, 5번째의 티스(112)와, 6번째의 티스(112)와, 7번째의 티스(112)에 배치되고, 각각의 코일(12)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121)에 의해 연속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까지와 마찬가지이다.
도 25는 도 24의 고정자의 코일(12)의 접속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에서는, 제 1 티스(112a)에만 1상의 코일(12)이 장착되어 있다. U상의 코일(12)은, 6번째의 티스(112)와, 7번째의 티스(112)와, 1번째의 티스(112)와, 2번째의 티스(112)와, 3번째의 티스(112)에 배치되고, 각각의 코일(12)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121)에 의해 연속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V상의 코일(12)은, 2번째의 티스(112)와, 3번째의 티스(112)와, 4번째의 티스(112)와, 5번째의 티스(112)에 배치되고, 각각의 코일(12)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121)에 의해 연속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W상의 코일(12)은, 4번째의 티스(112)와, 5번째의 티스(112)와, 6번째의 티스(112)와, 7번째의 티스(112)에 배치되고, 각각의 코일(12)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121)에 의해 연속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동일한 직렬 회로에 접속되는 동상의 코일(12)은, 축 방향 한쪽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결선 쪽에 연결선(121)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코일(12)의 결선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공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직렬 회로 상에 접속되어 있는 코일(12) 중, 짝수 개의 코일(12)의 감은 수를 Nt±0.5(Nt는 자연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때의 토크 리플의 2f 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의하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상의 코일(12)은, 코일(12)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121)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코일(12)을 결선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공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선(121)은, 티스(112)의 축 방향 한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코일(12)을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공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7.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는, 영구자석식 리니어 전동기로 되어 있다. 직동 전동기는, 고정자(1)와, 고정자(1)에 대하여 대향하여 마련되고, 고정자(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자(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고정자(1)가 계자이고, 가동자(3)가 전기자이다.
고정자(1)는, 가동자(3)의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가동자(3)는, 고정자(1)의 긴 방향에 대하여, 고정자(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자(1)는, 고정자 철심(11)과, 고정자 철심(11)에 마련된 복수의 영구자석(14)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영구자석(14)은, 고정자(1)의 긴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동자(3)는, 가동자 철심(31)과, 가동자 철심(31)에 장착된 복수의 코일(32)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의 형태 7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에서는, 가동자(3)가 코일(32)을 구비하고, 고정자(1)가 영구자석(14)을 구비하고 있지만,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와 마찬가지이다.
가동자 철심(31)은, 고정자(1)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코어 백(311)과, 코어 백(311)으로부터 고정자(1)로 향해 연장되는 7개의 티스(312)를 갖고 있다. 7개의 티스(312)는, 고정자(1)의 긴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6에서는, 각 티스(312)에 대하여 편의적으로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6에서는, 각 티스(312)에 대하여,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향해, 5, 6, 7, 1, 2, 3, 4의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1번째의 티스(312)가 제 1 티스(312a)이고, 2번째의 티스(312)가 제 2 티스(312b)이고, 7번째의 티스(312)가 제 3 티스(312c)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가동자(3)가,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제 1 티스(312a)를 중심(中心)으로 자기적으로 대칭이 되기 때문에,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티스(312)에 장착되는 코일(32)의 감은 수는, 도 2를 참조함으로써, 상마다의 인덕턴스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6까지와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7에서는, 티스(312)의 수가 7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티스(312)의 수는, 그 외의 수이더라도 좋다. 도 27은 도 26의 직동 전동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에서는, 티스(312)의 수가 5로 되어 있다. 도 27에서는, 각 티스(312)에 대하여,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향해, 4, 5, 1, 2, 3의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1번째의 티스(312)가 제 1 티스(312a)이고, 2번째의 티스(312)가 제 2 티스(312b)이고, 5번째의 티스(312)가 제 3 티스(312c)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가동자(3)가 자기적으로 대칭이 되기 때문에,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티스(312)에 장착되는 코일(32)의 감은 수는, 도 8을 참조함으로써, 상마다의 인덕턴스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직동 전동기에서는, 가동자(3)가 전기자이고, 고정자(1)가 계자인 직동 전동기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것에 대하여, 가동자(3)가 계자이고, 고정자(1)가 전기자인 직동 전동기이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8.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는, 영구자석식 리니어 전동기로 되어 있다. 직동 전동기는, 고정자(1)와, 고정자(1)에 대하여 대향하여 마련되고, 고정자(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자(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자(1)는, 가동자(3)의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가동자(3)는, 고정자(1)의 긴 방향에 대하여, 고정자(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자(1)는, 고정자 철심(11)과, 고정자 철심(11)에 마련된 복수의 영구자석(14)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영구자석(14)은, 고정자(1)의 긴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동자(3)는, 가동자 철심(31)과, 가동자 철심(31)에 장착된 복수의 코일(32)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의 형태 7과 관련되는 직동 전동기에서는, 가동자(3)가 코일(32)을 구비하고, 고정자(1)가 영구자석(14)을 구비하고 있지만,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회전 전기 기계와 마찬가지이다.
가동자 철심(31)은, 고정자(1)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코어 백(311)과, 코어 백(311)으로부터 고정자(1)로 향해 연장되는 7개의 티스(312)를 갖고 있다. 7개의 티스(312)는, 고정자(1)의 긴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8에서는, 각 티스(312)에 대하여 편의적으로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8에서는, 각 티스(312)에 대하여,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향해, 5, 6, 7, 1, 2, 3, 4의 티스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1번째의 티스(312)가 제 1 티스(312a)이고, 2번째의 티스(312)가 제 2 티스(312b)이고, 7번째의 티스(312)가 제 3 티스(312c)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가동자(3)가,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제 1 티스(312a)를 중심(中心)으로 자기적으로 대칭이 되기 때문에, 토크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티스(312)에 장착되는 코일(32)의 감은 수는, 도 11을 참조함으로써, 상마다의 인덕턴스의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크 리플, 특히 전기각 180° 주기, 즉 전기각 2차의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6까지와 마찬가지이다.
또, 도 28에 나타내는 직동 전동기에서는, 가동자(3)가 전기자이고, 고정자(1)가 계자인 직동 전동기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것에 대하여, 가동자(3)가 계자이고, 고정자(1)가 전기자인 직동 전동기이더라도 좋다.
1 : 고정자
2 : 회전자
3 : 가동자
11 : 고정자 철심
12 : 코일
13 : 인슐레이터
14 : 영구자석
21 : 샤프트
22 : 회전자 철심
23 : 영구자석
31 : 가동자 철심
32 : 코일
111 : 코어 백
112 : 티스
112a : 제 1 티스
112b : 제 2 티스
112c : 제 3 티스
113 : 슬롯
121 : 연결선
131 : 얇은 부분
132 : 두꺼운 부분
311 : 코어 백
312 : 티스
312a : 제 1 티스
312b : 제 2 티스
312c : 제 3 티스

Claims (15)

  1.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대향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된 회전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는, 회전 방향인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2의 자연수 배의 수인 P개의 자극을 갖고,
    상기 고정자는, 코어 백(core back) 및 상기 코어 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정수인 N개의 티스(teeth)를 포함하는 고정자 철심과, 상기 티스에 장착된 코일을 갖고,
    상기 티스에는, 3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고,
    상기 P 및 상기 N의 최대공약수를 C로 한 경우에, N/C=P/C±1, N/C가 3의 배수가 아닌 관계에 있고,
    상기 N개의 상기 티스 중에는, 1상만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상기 티스와,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상기 티스가 있고,
    1상만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로서, 인접하는 상기 티스에는 동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1 티스로 하고, 상기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한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2 티스로 하고, 상기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다른 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3 티스로 한 경우에,
    상기 제 1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number of turns)는 상기 제 2 티스에 장착된 복수의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고 또한 상기 제 3 티스에 장착된 복수의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하고,
    상기 제 1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는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고 또한 상기 제 2 티스 및 상기 제 3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는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이고 또한 상기 제 2 티스 및 상기 제 3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인
    회전 전기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티스 및 상기 제 3 티스에만,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티스에만, 1상만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기 티스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차례로 1부터 상기 N까지의 번호를 할당하고, 정수인 i번째의 상기 티스에 장착되는, 1부터 3까지의 정수인 j상의 상기 코일의 감은 수를 정수인 Wji로 하는 경우에, 상마다의 제곱합의 평균치 a를
    Figure pct00001
    로 하고,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 bj
    Figure pct00002
    로 한 경우에, 상기 bj의 상기 a로부터의 편차량의 절대치의 최대치가 24% 이하인 회전 전기 기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기 티스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차례로 1부터 상기 N까지의 번호를 할당하고, 정수인 i번째의 상기 티스에 장착되는, 1부터 3까지의 정수인 j상의 상기 코일의 감은 수를 정수인 Wji로 하는 경우에, 상마다의 제곱합의 평균치 a를
    Figure pct00003
    로 하고, 각 상의 감은 수의 제곱합 bj
    Figure pct00004
    로 한 경우에, 상기 bj의 상기 a로부터의 편차량의 절대치의 최대치가 15% 이하인 회전 전기 기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코일의 도선의 선경(wire diameter)은, 동일한 회전 전기 기계.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코일의 도선의 선경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인 회전 전기 기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코일의 도선의 평균 길이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인 회전 전기 기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의 축 방향 단부에 마련된 스페이서를 더 구비한 회전 전기 기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상의 상기 코일은, 상기 코일의 사이에 마련된 연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티스에 축 방향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전기 기계.
  12.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대향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된 회전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는, 코어 백 및 상기 코어 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티스를 포함하는 고정자 철심과, 상기 티스에 장착된 코일을 갖고,
    복수의 상기 티스 중에는, 1상만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상기 티스와,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상기 티스가 있고,
    1상만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로서, 인접하는 상기 티스에는 동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1 티스로 하고, 상기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한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2 티스로 하고, 상기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다른 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3 티스로 한 경우에,
    상기 제 1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는,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고,
    상기 제 2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 및 상기 제 3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은,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인
    회전 전기 기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는, 상기 제 2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한 회전 전기 기계.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는, 상기 제 3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와 상이한 회전 전기 기계.
  15. 전기자와, 상기 전기자에 대하여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전기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자는, 복수의 티스를 포함하는 전기자 철심과, 상기 티스에 장착된 코일을 갖고,
    복수의 상기 티스 중에는, 1상만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상기 티스와,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상기 티스가 있고,
    1상만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로서, 인접하는 상기 티스에는 동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1 티스로 하고, 상기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 한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2 티스로 하고, 상기 제 1 티스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 다른 쪽에 인접하고, 복수의 상의 상기 코일이 장착된 상기 티스를 제 3 티스로 한 경우에,
    상기 제 1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는,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대이고,
    상기 제 2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 및 상기 제 3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은, 다른 각 상기 티스에 장착된 상기 코일의 감은 수의 합계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인
    직동 전동기.
KR1020197038104A 2017-07-04 2018-03-29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 KR102230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1146 2017-07-04
JPJP-P-2017-131146 2017-07-04
PCT/JP2018/013221 WO2019008848A1 (ja) 2017-07-04 2018-03-29 回転電機および直動電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493A true KR20200010493A (ko) 2020-01-30
KR102230326B1 KR102230326B1 (ko) 2021-03-19

Family

ID=6494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104A KR102230326B1 (ko) 2017-07-04 2018-03-29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77544B2 (ko)
KR (1) KR102230326B1 (ko)
CN (1) CN110832747B (ko)
TW (1) TWI678052B (ko)
WO (1) WO2019008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0409B1 (ja) * 2021-03-23 2022-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
JP2023000667A (ja) * 2021-06-18 2023-01-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
JPWO2023145014A1 (ko) * 2022-01-28 2023-08-03
CN118160193A (zh) * 2022-04-19 2024-06-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动机
JP2024067802A (ja) * 2022-11-07 2024-05-17 株式会社デンソー 固定子
WO2024127543A1 (ja) * 2022-12-14 2024-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機子及び電動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8039A (ja) 1990-11-30 1992-07-29 Victor Co Of Japan Ltd 多相直流モータ
JP2011223676A (ja) * 2010-04-06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永久磁石式電動機
JP2012200127A (ja) * 2011-03-10 2012-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8369A (ja) * 2013-01-29 2014-09-11 Okuma Corp 三相交流電動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896B2 (ja) * 1998-05-07 2003-07-22 オークマ株式会社 トルクリップルを低減したモータ
TWI473413B (zh) * 2012-11-21 2015-02-11 Univ Nat Cheng Kung 電流向量控制的同步磁阻馬達驅動方法
US8922087B1 (en) * 2013-08-26 2014-12-30 Norman P Rittenhouse High efficiency low torque ripple multi-phase permanent magnet machine
KR101699216B1 (ko) * 2014-02-28 2017-01-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영구 자석식 회전 전동기의 제어 장치
US9755470B2 (en) * 2014-10-30 2017-09-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ing rotary electric machine
JP6046180B2 (ja) * 2015-01-28 2016-12-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3層の巻線構造を有する電動機
WO2016135725A2 (en) * 2015-02-28 2016-09-01 Gavrielov Shmuel Electric motor
JP6599713B2 (ja) * 2015-09-30 2019-10-30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
CN205319913U (zh) * 2015-12-07 2016-06-15 泰豪科技股份有限公司 二极异步启动永磁同步电动机定子绕组
CN106787336B (zh) * 2016-12-30 2019-07-23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三相36槽4极电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8039A (ja) 1990-11-30 1992-07-29 Victor Co Of Japan Ltd 多相直流モータ
JP2011223676A (ja) * 2010-04-06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永久磁石式電動機
JP2012200127A (ja) * 2011-03-10 2012-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8369A (ja) * 2013-01-29 2014-09-11 Okuma Corp 三相交流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326B1 (ko) 2021-03-19
CN110832747A (zh) 2020-02-21
JP6877544B2 (ja) 2021-05-26
TW201907642A (zh) 2019-02-16
WO2019008848A1 (ja) 2019-01-10
CN110832747B (zh) 2021-12-31
TWI678052B (zh) 2019-11-21
JPWO2019008848A1 (ja)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326B1 (ko) 회전 전기 기계 및 직동 전동기
US8471428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7569962B2 (en) Multi-phase brushless motor with reduced number of stator poles
JP5620759B2 (ja) 電気機械
JP6094149B2 (ja) 3相回転電機の波巻き巻線
KR20030085502A (ko) 유도전동기
US9240707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EP3128658B1 (en) Double-stator switched reluctance dynamo
JP5619046B2 (ja) 回転電機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テータの製造方法
US20140306565A1 (en) Coaxial Motor
JP2007507192A (ja) 誘導回転子を有する回転電機
JP2019004537A (ja) 回転電機
JPWO2020178953A1 (ja) 発電電動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7012A (ja) 回転電機
EP2536004B1 (en) Sta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6497173B2 (ja) スイッチトリラクタンス回転機
JP5748878B2 (ja) 回転電機
JP2015512241A (ja) 電気機械
US9979248B2 (en) Short circuit fault tolerant permanent magnet machine
CN103944315A (zh) 旋转电机系统
JP2022076731A (ja) 回転電機
JP6498775B2 (ja) 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JP6582973B2 (ja)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64302B2 (ja) 非重ね集中巻誘導電動機
KR101905512B1 (ko) 기동 장치가 필요 없는 영구자석 단상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