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344A - 선로 인명 구조장치 - Google Patents

선로 인명 구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344A
KR20200008344A KR1020180082376A KR20180082376A KR20200008344A KR 20200008344 A KR20200008344 A KR 20200008344A KR 1020180082376 A KR1020180082376 A KR 1020180082376A KR 20180082376 A KR20180082376 A KR 20180082376A KR 20200008344 A KR20200008344 A KR 2020000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late
track
unit
electric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710B1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이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규 filed Critical 이동규
Priority to KR102018008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7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6Nets, catchers, or the like for catching obstacles or removing them from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9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차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전동차의 전방부에 접힘 또는 펼침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방 또는 후방 이동되는 안전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판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안전판과; 상기 제1안전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안전판보다 상기 전동차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안전판;을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로 인명 구조장치{Lifesaving apparatus in railroa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로 인명 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가 설치되는 승강장에는 출퇴근 시간에 전동차에 승차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몰리며, 이때 인파, 혹은 지체 장애 및 음주에 의해 몸의 중심을 잃어 승객이 선로에 추락하거나, 승객이 선로에 투신하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선로로 추락한 사람을 전동차의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복수의 차량 칸이 연결되어 운행하는 전동차는 대중량으로 인해 급정차를 할 수 없으므로 전동차가 승강장으로 진입하면서 선로로 추락한 사람이 전동차와 충돌하여 생명을 잃는 인명사고가 발생한다.
종래 이러한 인명사고 방지하기 위해서 주로 에어백을 이용하거나 전동차의 전방부에 별다른 압축 및 접힘이 없는 판이 부착되며 외부로 노출되었고, 전동차가 받는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고, 특히 전동차 간 추돌이 발생되는 경우 맞부딪힘대(Anti-climber)가 파손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9526호(2009.06.11 공개, 발명의 명칭: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판부로 인하여 선로에 투신하는 대상체가 운행 중인 전동차에 충돌 및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차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전동차의 전방부에 접힘 또는 펼침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방 또는 후방 이동되는 안전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판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안전판과; 상기 제1안전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안전판보다 상기 전동차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안전판;을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판에는 상기 제1안전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홈부 또는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안전판의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일단부에 굴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부는, 상기 제1안전판과 결합되는 상기 제2안전판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3안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로에 접촉가능한 이동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로 상의 대상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안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롤러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롤러부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역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구조롤러부의 회전과 연동되는 역회전방지본체; 상기 역회전방지본체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역회전방지본체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트리거부; 및 상기 트리거부와 결합되며, 상기 트리거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판부에 부착되며 선로 상의 대상체가 상기 안전판부에 안착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는, 선로에 투신하는 대상체가 안전판부 상에 안착됨으로 인하여 대상체와 전동차 간 충돌을 방지하고, 대상체에 가해지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로 인하여 제1안전판과 제2안전판이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룰 수 있고, 제1안전판과 제2안전판이 평행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대상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롤러부로 인하여 전동차와 선로에 투신하는 대상체 간 접촉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롤러부로 인하여 대상체와 선로 인명 구조장치 간 충돌 후 대상체가 안전판부 상에 안착 시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안전판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회전방지부로 인하여 구조롤러부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고, 대상체가 안전판부에서 선로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와 대상체의 접촉 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하여 대상체가 안전판부에서 선로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 방지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 방지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1)는, 구동부(100), 안전판부(200), 이동롤러부(300), 구조롤러부(400), 역회전방지부(500), 마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5,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는 전동차(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동차(10)의 전방부(도 6 기준 좌측)에 설치된다.
구동부(100)는 뒤에 설명할 안전판부(200), 구체적으로 제1안전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100)가 제1안전판(210)에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안전판(220), 제3안전판(230)에 결합되는 등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구동부(100)는 제1안전판(210)에 결합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구동부(100)가 제1안전판(210)에 결합됨에 따라 제1안전판(210)에 동력을 전달하고, 구동부(100)가 전방 측(도 6 기준 좌측)으로 이동되면 제1안전판(210)도 전방 측으로 이동되고, 구동부(100)가 후방 측(도 6 기준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1안전판(210)도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는 실린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어치가 형성되어 랙-피니언 방식으로 전, 후방으로 이동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판부(200)는 전동차(10)의 전방부(도 6 기준 좌측)에 접힘 또는 펼침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방 또는 후방 이동될 수 있다.
안전판부(200)는, 제1안전판(210), 제2안전판(220), 제3안전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판부(200)가 3개의 안전판의 결합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2개, 4개, 5개 이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1안전판(210)은 구동부(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펼침 상태에서 제2안전판(220), 제3안전판(230)에 비하여 전동차(1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선로(R)에 투신하는 대상체(H)가 전동차(10)에 충돌하기 전에 먼저 제1안전판(2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안전판(220)은 제1안전판(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안전판(210)보다 전동차(10)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안전판(220)은 제1안전판(2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안전판(220)은 구동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안전판(210)이 전동차(10) 측으로 이동되는 접힘 상태에서 제1안전판(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0)는 제1안전판(210)의 하측에 결합되는데 이로 인하여 접힘 상태에서 구동부(100)와 제2안전판(22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안전판(220)은, 선로 인명 구조장치(1)의 접힘 상태에서 제1안전판(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안전판(220)의 측면에는 제1안전판(2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221)가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안전판(210)에 결합되는 가이드샤프트(211)가 관통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홈부의 형성으로 형성되어 가이드샤프트(211)가 걸쳐지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1안전판(210)에는 가이드샤프트(211)가 결합되고, 가이드샤프트(211)에 의해 제1안전판(210)과 제2안전판(220)이 연결되고, 가이드부(221)를 따라 제1안전판(210)과 제2안전판(220)이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가이드부(221)는 제2안전판(220)에 대한 제1안전판(210)의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일단부에 굴절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21)에는 제1직선부(X1)와 굴절부(223)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게 제2직선부(X2)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직선부(X1)와 제2직선부(X2)는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직선부(X1)와 제2직선부(X2) 사이의 각도는 제1안전판(210)과 제2안전판(220) 사이의 각도와 동일하며, 145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안전판(210)에 안착되는 대상체(H)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전판부(200)가 구동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완전히 전개, 즉 펼쳐진 상태에서 제1안전판(210)은 가이드부(221), 구체적으로 굴절부(223)에서 이동되며, 최종 전개된 상태에서 제1안전판(210)과 제2안전판(220)이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는 가이드부(221)에 형성되는 제1직선부(X1)와 제2직선부(X2) 사이의 각도이며, 이는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전판(210)과 제2안전판(220)이 선로 인명 구조장치(1)의 펼침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룸으로 인하여 제1안전판(210)은 지면, 선로(R)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안전판(220)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선로(R)에 투신하는 대상체(H)가 선로(R)와 평행한 제1안전판(210)에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안전판(210)과 제2안전판(220)이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제2안전판(220)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안전판(210)에 안착한 대상체(H)가 제1안전판(210)의 후방측으로 이동 시 제동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4,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안전판(230)은, 제2안전판(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안전판(210)과 결합되는 제2안전판(220)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3안전판(230)은 제2안전판(220)과의 결합 부분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방 측(도 5 기준 좌측)으로 제1안전판(210)이 이동됨에 따라 제2안전판(220), 제2안전판(220)에 힌지 결합되는 제3안전판(230)도 함께 이동되고, 제3안전판(230)은 전동차(10)의 전방 헤드부(도면 부호 미설정)에 걸쳐지게 된다.
제3안전판(230)에는 후크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전동차(10)의 헤드부에는 제3안전판(230)에 형성되는 후크부가 걸리도록 걸림홈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안전판(230)으로 인하여 선로(R)에 투신하는 대상체(H)가 제1안전판(210), 제2안전판(220)을 거쳐 구동부(100) 측으로 이동하여 선로(R)에 추락하거나, 구동부(1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안전판(230)은 선로 인명 구조장치(1), 구체적으로 안전판부(200)인 제1안전판(210), 제2안전판(220), 제3안전판(230)이 접힘 상태에서 제2안전판(220)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제2안전판(220) 측을 향해 각도유지부(2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3안전판(230)이 제2안전판(220) 상에 접히는 경우 제2안전판(220)과 소정 각도를 유지하며, 구동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안전판(210)이 전방 측(도 6 기준 좌측)으로 이동 시 제3안전판(230)이 전동차(10)의 전방 헤드부와 접촉하며 전방 헤드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제3안전판(230)과 제2안전판(220)이 평행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안전판(210)이 전동차(10)의 전방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안전판(230)이 제2안전판(220)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전동차(10)의 전방 헤드부에 걸쳐지도록 하고, 제3안전판(230)이 전동차(10)의 전방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안전판(230)은 제2안전판(220)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시계 방향(도 7)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전동차(10)의 전방 헤드부에 걸쳐진 제3안전판(230)의 각도 이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하며 선로(R)에 투신한 대상체(H)가 제1안전판(210)에 안착되고, 전동차(10)의 제동까지 전동차(10)의 후방 측(도 7 기준 우측)으로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대상체(H)가 전동차(10)의 하측, 제1안전판(210), 제2안전판(220)의 후방 측(도 7 기준 우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롤러부(300)는 제1안전판(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선로(R)에 접촉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롤러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롤러부(300)는 제1안전판(210)에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안전판(22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롤러부(300)가 선로(R)에 접촉되고, 마찰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제1안전판(210)과 선로(R) 간 간섭,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제1안전판(210)과 선로(R)의 충돌로 인한 제1안전판(2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롤러부(300)로 인하여 선로(R)에 투신한 대상체(H)가 안전판부(200)의 상측으로 이동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안전판부(200)와 선로(R) 간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롤러부(400)는 선로(R) 상의 대상체(H)와 접촉되도록 제1안전판(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롤러부(400)는 제1안전판(210)에 회전 중심축인 샤프트가 결합되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그러나 제1안전판(210)에 안착되는 대상체(H)가 다시 선로(R)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뒤에 설명할 역회전방지부(500)가 구조롤러부(400)의 회전을 일방향으로만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조롤러부(400)의 외주면은 스펀지, 실리콘 등의 완충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선로(R)에 투신한 대상체(H)가 구조롤러부(400)에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대상체(H)에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방지부(500)는 구조롤러부(400)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롤러부(40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방지부(500)는 역회전방지본체(510), 트리거부(520), 탄성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방지본체(510)는 구조롤러부(400)의 회전과 연동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역회전방지본체(510)의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트리거부(520)와 접촉하면서 트리거부(520)에 의해 역회전방지본체(510)의 일방향 회전만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부(520)는 역회전방지본체(510)와 접촉이 가능한 것으로, 역회전방지본체(510)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역회전방지본체(510)에 형성되는 기어치의 회전 반경 내에 트리거부(520)가 위치됨으로 인하여 역회전방지본체(510)가 회전됨에 따라 트리거부(520)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부재(530)는 트리거부(520)와 결합되는 것으로, 트리거부(520)가 회전됨에 따라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530)는 트리거부(520)를 탄성 지지하며, 코일(Coil) 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역회전방지본체(510)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역회전방지본체(510)의 기어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트리거부(520)도 시계 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되며 탄성부재(530)가 압축되고, 탄성부재(5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귀된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역회전방지본체(5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트리거부(52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탄성부재(5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트리거부(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트리거부(520)의 회전이 차단됨에 따라 역회전방지본체(51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차단되며, 역회전방지본체(510)는 구조롤러부(400)의 회전과 연동되므로, 구조롤러부(40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도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구조롤러부(40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시 제1안전판(210)에서 선로(R) 측 방향(도 5 기준 좌측)으로 대상체(H)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상체(H)가 다시 선로(R)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역회전방지부(500)가 구조롤러부(40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차단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시게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고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등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역회전방지부(5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구조롤러부(400)의 양측에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구조롤러부(400)의 역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차단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방지부(500)로 인하여 선로(R)에 투신한 대상체(H)가 안전판부(20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대상체(H)가 다시 안전판부(2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600)는 안전판부(200)에 부착되는 것으로, 선로(R) 상의 대상체(H)가 안전판부(200)에 안착 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판부(200)에는 대상체(H)와의 접촉 시 마찰이 증가되도록 부착력이 있는 벨크로(Velcro) 테이프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전판부(200), 구체적으로 제1안전판(210) 상에 안착되는 대상체(H)와 접촉 시 마찰로 인하여 대상체(H)가 안전판부(200)의 외측, 즉 선로(R)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동차(10)가 약 50Km/h 이하의 속도로 역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에어백 등의 별도의 구동방식을 따르지 않고도, 마찰부(600)와의 접촉 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하여 선로(R)에 투신한 대상체(H)가 안전판부(200)에서 선로(R)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인명 구조장치(1)는 전동차(10)의 헤드부의 하부에 접힘 상태로 내장되며, 선로(R)에 대상체(H)가 투신하는 경우 펼침 상태로 전동차(10)의 헤드부 전방 측으로 안전판부(200)가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전동차(10)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심미성을 보존할 수 있으며, 전동차(10)의 헤드부가 받는 공기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전동차(10) 간 추돌 및 충돌 시 맞부딪힘대(Anti-climber)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선로 인명 구조장치 R: 선로
H: 대상체 10: 전동차
X1: 제1직선부 X2: 제2직선부
100: 구동부 200: 안전판부
210: 제1안전판 211: 가이드샤프트
220: 제2안전판 221: 가이드부
223: 굴절부 230: 제3안전판
231: 각도유지부 300: 이동롤러부
400: 구조롤러부 500: 역회전방지부
510: 역회전방지본체 520: 트리거부
530: 탄성부재 600: 마찰부

Claims (11)

  1. 전동차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전동차의 전방부에 접힘 또는 펼침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방 또는 후방 이동되는 안전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판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안전판과; 상기 제1안전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안전판보다 상기 전동차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안전판;을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판에는 상기 제1안전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홈부 또는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안전판의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일단부에 굴절부가 형성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부는, 상기 제1안전판과 결합되는 상기 제2안전판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3안전판;을 더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안전판은,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2안전판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2안전판 측으로 각도유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로에 접촉가능한 이동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선로 상의 대상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안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롤러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롤러부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역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구조롤러부의 회전과 연동되는 역회전방지본체;
    상기 역회전방지본체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역회전방지본체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트리거부; 및
    상기 트리거부와 결합되며, 상기 트리거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부에 부착되며 선로 상의 대상체가 상기 안전판부에 안착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선로 인명 구조장치.
KR1020180082376A 2018-07-16 2018-07-16 선로 인명 구조장치 KR10207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76A KR102072710B1 (ko) 2018-07-16 2018-07-16 선로 인명 구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76A KR102072710B1 (ko) 2018-07-16 2018-07-16 선로 인명 구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44A true KR20200008344A (ko) 2020-01-28
KR102072710B1 KR102072710B1 (ko) 2020-02-03

Family

ID=6937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376A KR102072710B1 (ko) 2018-07-16 2018-07-16 선로 인명 구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7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17A (ja) * 2000-12-04 2002-08-20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
JP2003341513A (ja) * 2002-05-22 2003-12-03 East Japan Railway Co 車両の緊急救助装置及び緊急救助システム
KR20070059472A (ko) * 2005-12-06 2007-06-12 오은섭 전동차의 안전범퍼
JP2013509967A (ja) * 2009-11-06 2013-03-21 ランドール, ティー. ワサーマン, スノーボード用の引き込み可能な制動装置
KR101518247B1 (ko) * 2013-11-13 2015-05-12 장범근 요람 겸용 유모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17A (ja) * 2000-12-04 2002-08-20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
JP2003341513A (ja) * 2002-05-22 2003-12-03 East Japan Railway Co 車両の緊急救助装置及び緊急救助システム
KR20070059472A (ko) * 2005-12-06 2007-06-12 오은섭 전동차의 안전범퍼
JP2013509967A (ja) * 2009-11-06 2013-03-21 ランドール, ティー. ワサーマン, スノーボード用の引き込み可能な制動装置
KR101518247B1 (ko) * 2013-11-13 2015-05-12 장범근 요람 겸용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710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2719A (en) Child's seat for motor vehicles
US3901550A (en) Passive restraint seat system
KR102072710B1 (ko) 선로 인명 구조장치
JP2009045963A (ja) 乗員の安全確保装置
CN106183911A (zh) 一种儿童安全座椅
CN111038543B (zh) 用于车辆的桌台
TW201615455A (zh) 汽車座椅
US20210038448A1 (en) Wheelchair carrying vehicle
US2069282A (en) Bumper
JP4300122B2 (ja) 鉄道車両
KR100521793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헤드레스트 자동이동장치
JP2021070370A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KR200285689Y1 (ko) 전동차용 승강장 안전장치
CN211391196U (zh) 一种安全带高度调节器
KR930012100B1 (ko)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US515868A (en) Street-car fender
KR100736790B1 (ko) 안전벨트 마모방지용 리트렉터
KR101676251B1 (ko) 시트 벨트
KR100387642B1 (ko) 자동차용 졸음 방지용 헤드레스트
KR101909663B1 (ko)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KR890004574Y1 (ko) 자동차 완충장치
JPS62128853A (ja) 自動車前席乗員の衝撃吸収装置
KR100245208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장치
KR940011846B1 (ko) 자동차좌석의 안전장치
JPH01269642A (ja) シートベルトのプリロ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