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63B1 -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63B1
KR101909663B1 KR1020170069772A KR20170069772A KR101909663B1 KR 101909663 B1 KR101909663 B1 KR 101909663B1 KR 1020170069772 A KR1020170069772 A KR 1020170069772A KR 20170069772 A KR20170069772 A KR 20170069772A KR 101909663 B1 KR101909663 B1 KR 10190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backrest
safety cover
power transmitting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경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최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규 filed Critical 최진규
Priority to KR102017006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663B1/ko
Priority to PCT/KR2018/002329 priority patent/WO201815996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는,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채용되는 좌석 시트로서 상기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탑승자를 감싸서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탑승자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탑승자를 감싸서 상기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 커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는 횡단면이 원호 형상이며, 상기 안전 커버 장치는,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 커버 부재 ; 상기 안전 커버 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각각 결합 되며 길이가 신축 가능한 동력 전달 부재; 및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커버 부재의 돌출을 가속하도록 상기 안전 커버 부재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등받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적층된 가속 부재와 상기 가속 부재를 연동하는 와이어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Body safety apparatus for human bording means}
본 발명의 차량, 유모차, 항공기 등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의 좌석 시트에 채용되어 그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안전 구조를 구비한 신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컨대 상기 이동수단은 차량, 항공기, 기차, 유모차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의 일 예인 차량의 시트에는 안전벨트나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유아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안전벨트는 유아를 충분하게 보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차량의 사고시 차량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유아용 시트를 이용한다. 유아용 시트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 ISOFIX 규격을 구비하여 차량의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아용 시트는 자체적으로 유아용 안전벨트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아용 시트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호-003125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 시트나, 유아용 시트는 차량의 충격시 탑승자에게 큰 중력 가속도가 발생하는 경우,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 시트나 유아용 시트는 차량의 충격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나 팔이 주변의 단단한 물건에 부딪힐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 시트나 유아용 시트는 차량의 충격시 차량 내부에 있는 물건이 탑승자에게 날아와 부딪힐 경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시트나 유아용 시트는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의 충돌 사고와 같은 충격시 탑승자를 충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시트 구조를 개선하여 탑승자의 신체가 단단한 물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탑승자의 신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는,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채용되는 좌석 시트로서
상기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탑승자를 감싸서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탑승자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탑승자를 감싸서 상기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 커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는 횡단면이 원호 형상이며,
상기 안전 커버 장치는,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 커버 부재 ;
상기 안전 커버 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각각 결합 되며 길이가 신축 가능한 동력 전달 부재; 및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커버 부재의 돌출을 가속하도록 상기 안전 커버 부재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등받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적층된 가속 부재와 상기 가속 부재를 연동하는 와이어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가속 부재는 복수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1가속 부재;
상기 제1가속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가속 부재;
상기 제2가속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3가속 부재;
와이어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가속 부재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2가속 부재의 후단부에 고정된 제1와이어 부재; 및
와이어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가속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2가속 부재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3가속 부재의 후단부에 고정된 제2와이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커버 부재는 상기 제3가속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와이어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2가속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3가속 부재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안전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 고정된 제3와이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X자 형태의 부재가 복수 결합 되어 펜타그래프 방식으로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동력 전달 부재의 길이가 신장 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신장 된 상태에서 축소된 상태로 복원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사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 모듈은,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랙기어 형태의 제1라쳇 기어가 구비된 한 쌍의 복원 부재;
한 쌍의 상기 복원 부재에 구비된 상기 제1라쳇 기어와 치합되도록 랙기어 형태의 제2라쳇 기어가 구비된 트리거 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상기 복원 부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캠 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는 차량, 기차, 유모차, 항공기 등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의 시트에 채용되어,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순간적으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탑승자의 전방을 감싸서 그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안전 커버 부재가 돌출되어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단한 물질이 탑승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는, 이동수단에 대형 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외부로 튕겨나가는 2차 충돌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안전 커버 장치가 탑승자를 감싸서 보호하므로 2차 충돌 사고로 인한 탑승자의 신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에서 안전 커버 장치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의 등받이부와 안전 커버 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 - Ⅴ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 전달 부재와 탄성 부재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면에서 안전 커버 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가 이동수단의 고정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가 이동수단의 고정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를 구성하는 가속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Ⅵ - Ⅵ 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가속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 부재들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가속 부재들의 결합 관계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를 구성하는 재사용 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에서 안전 커버 장치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의 등받이부와 안전 커버 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 - Ⅴ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 전달 부재와 탄성 부재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면에서 안전 커버 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가 이동수단의 고정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가 이동수단의 고정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를 구성하는 가속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Ⅵ - Ⅵ 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가속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 부재들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가속 부재들의 결합 관계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를 구성하는 재사용 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10)는 자동차, 항공기, 기차, 유모차 등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의 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장치다. 상기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10)는 예컨대 차량의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시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10)는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의 메인 시트(main seat)에 바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10, 이하 "신체 보호 장치"라 함)는 상기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탑승자를 감싸서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탑승자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등받이부(30)의 측면 이외에서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탑승자의 상방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전장치는 시트부(20)와, 등받이부(30)와, 안전 커버 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이동수단에 고정된 시트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이동수단에 고정된 시트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부(20)는 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위다. 상기 시트부(20)는 통상적으로 탑승자의 엉덩이와 대퇴부를 지지한다. 상기 시트부(20)는 쿠션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부(20)는 공지된 종래의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에 구비된 구조와 대동소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의 시트에 벨트와 같은 수단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20)는 벨트 이외에도 클램프, 클립 등과 같은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시트부(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조는 시트부가 없이 등받이부가 이동수단의 시트에 벨트와 같은 수단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등받이부(30)는 상기 시트부(20)에 상향 경사지게 결합 된다. 상기 등받이부(30)는 인체의 상부를 지지한다. 상기 등받이부(30)의 상부에는 헤드 레스트(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30)는 상기 시트부(20)에 대해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30)의 횡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시트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부(30)는 시트부(2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상기 등받이부(3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상기 등받이부(30)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상기 등받이부(30)와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의 구조를 아래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기 등받이부(30)는 등받이 본체(40)와, 전면 커버(42)와, 후면 커버(44)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 본체(40)는 상기 시트부(20)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부재이다. 상기 등받이 본체(40)는 횡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본체의 종단면은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본체(40)는 시트부(2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이동수단에 고정된 시트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42)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 커버(42)에는 안전벨트(33)와 등받이 쿠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33)는 경우에 따라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42)는 탑승자의 등이 접촉되는 부재이다. 상기 전면 커버(42)의 후면은 상기 등받이 본체(4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 커버(42)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대해 일정한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후면 커버(44)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후면 커버(44)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고정된다. 상기 전면 커버(42)와 상기 후면 커버(44) 사이의 공간에 안전 커버 장치(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후면 커버(44)는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등받이 본체(40)의 후방에 결합 된다. 상기 후면 커버(44)는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상기 등받이부(3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의 충돌시 상기 등받이부(30)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돌출된다.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상기 등받이부(30)로부터 슬라이딩 이외의 방식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상기 등받이부(30)로부터 폴딩 방식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탑승자의 전방을 감싸서 탑승자의 상반신을 보호하는 장치다.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안전 커버 부재(52)와, 동력 전달 부재(54)와, 탄성 부재(56)와, 제1레일 부재(62)와, 제2레일 부재(64)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등받이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후면 커버(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한 쌍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미닫이문 형태로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표면에는 쿠션 구조가 구비되어 탑승자의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다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안전 커버 부재(5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와 상기 등받이부(30)에 각각 결합 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가 상기 등받이부(30)에 대해 출몰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부재이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소위 "자바라"라고 불리는 펜타그래프(pentagraph) 방식의 구조물이 채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X자 형태의 부재가 복수 결합 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X자 형태의 부재가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길이가 신축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에어백과 같이 폭발에 의해 신장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본체(40)의 후면에는 지면에 평행인 방향으로 제1레일 부재(6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레일 부재(62)는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의 중심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레일 부재(62)는 평면도 상에서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레일 부재(62)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용접, 볼팅, 리벳팅, 접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레일 부재(62)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 부재(62)는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신장 되는 과정에서 지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가 수평 방향으로 부드럽게 출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펜타 그래프 방식의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의 일단부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결합 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의 타단부는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에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제1레일 부재(62)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신장하는 경우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등받이부(30)로부터 돌출되어 탑승자의 전방을 감싸서 보호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등받이부(30)로 몰입되어 탑승자의 전방이 개방된다.
상기 탄성 부재(56)는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탄성 부재(56)는 예컨대 고무줄, 코일 스프링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56)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채용하였다. 상기 탄성 부재(56)의 양단부는 펜타그래프 구조의 X자 상하 양단부에 결합 되어 그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한다. 상기 탄성 부재(56)의 양단부는 제2레일 부재(64)를 따라 움직인다. 상기 제2레일 부재(64)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에 구비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4)는 상기 등받이 본체(40)의 후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4)는 상기 제1레일 부재(62)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4)는 직선 형태의 구조물이다. 즉, 상기 제2레일 부재(64)는 상기 등받이부(30)에 구비된다. 상기 제2레일 부재(64)는 상기 탄성 부재(56)의 양단부가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는 트리거 시스템(70)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0)로부터 돌출된다. 예컨대, 상기 트리거 시스템(70)은 와이어(72)와 후크(7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72)의 일단부는 상기 전면 커버(42)에 결합 된다. 상기 와이어(72)의 타단부는 상기 후크(74)와 결합 된다. 상기 후크(74)는 상기 탄성 부재(56)에 결합 된다. 즉, 상기 후크(74)가 상기 탄성 부재(56)의 양단부를 붙잡아 탄성 복원력의 발생을 억제한다. 이동수단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가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힘을 받아 이동할 경우, 안전벨트(33)에 힘이 가해진다. 상기 안전벨트(33)를 통해 상기 전면 커버(42)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면 커버(42)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72)가 상기 후크(74)를 당긴다. 상기 후크(74)는 상기 탄성 부재(56)의 양단부에 결합을 해제한다. 상기 탄성 부재(56)는 압축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상기 탄성 부재(5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장 된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신장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30)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원호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므로 상기 등받이부(30)로부터 돌출되어 탑승자의 전방을 감싼다. 즉, 상기 트리거 시스템(70)은 상기 전면 커버(42)에 일단부가 결합 된다. 상기 트리거 시스템(70)은 상기 탄성 부재(56)에 타단부가 결합 된다. 상기 트리거 시스템(70)은 상기 전면 커버(42)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56)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트리거 시스템(70)은 와이어(72)와 후크(74)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트리거 시스템(70)은 압력 센서나 가속도 센서로 상기 전면 커버(42)나 상기 시트부(20)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가속도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후크(74)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압력 센서나 가속도 센서로 탑승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56)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에 작용하도록 구성한 경우, 이동수단의 전방 충돌에 국한하지 않고, 이동수단의 전방, 후방, 측방 충돌시에도 상기 안전 커버 장치(50)가 작동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를 다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다단구조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돌출 속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돌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한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돌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조로서 가속 부재와 와이어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가속 부재는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돌출을 가속하도록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를 연결한다. 상기 가속 부재는 상기 등받이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적층 된다. 상기 가속 부재는 와이어 부재에 의해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에 연동한다. 상기 가속 부재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속 부재는 제1가속 부재(521)와, 제2가속 부재(522)와, 제3가속 부재(523)와, 제1와이어 부재(531)와, 제2와이어 부재(532)와, 제3와이어 부재(5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속 부재(521)는 상기 등받이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가속 부재(521)는 복수의 롤러(545)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0)에 구비된 가이드 홈부(547)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롤러(545)는 브라켓(546)에 의해 상기 제1가속 부재(5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속 부재(521)의 일단부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에 결합된다. 상기 제1가속 부재(521)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와이어 부재(531)가 경유하는 가속 롤러(5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 부재(522)는 상기 제1가속 부재(52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제2가속 부재(522)는 상기 제1가속 부재(521)의 상측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 부재(522)는 복수의 롤러(545)에 의해 상기 제1가속 부재(521)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 홈부(547)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 부재(522)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와이어 부재(532)가 경유하는 가속 롤러(5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속 부재(523)는 상기 제2가속 부재(52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가속 부재(523)는 상기 등받이부(30)에 결합 된 상태로 상기 제2가속 부재(52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가속 부재(523)는 복수의 롤러(545)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0)에 구비된 가이드 홈부(547)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속 부재(523)가 상기 등받이부(30)에 결합 된 상태로 슬라이딩 될 경우 상기 제3가속 부재(523)와 상기 등받이부(30)의 결합 관계가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3가속 부재(523)는 상기 제2가속 부재(522)가 폭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벽에 유동 방지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제3가속 부재(523)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제3가속 부재(523)의 상 측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복수의 롤러(545)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0)에 대해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제3가속 부재(523)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3가속 부재(523)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가 상기 제3가속 부재(523)에 결합 된 상태로 슬라이딩 될 경우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가 상기 제3가속 부재(523)를 매개로 상기 등받이부(30)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는 와이어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의 일단부는 상기 등받이부(30)에 고정된다.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는 상기 제1가속 부재(521)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2가속 부재(52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는 상기 제1가속 부재(521)의 선단부에 구비된 가속 롤러(540)를 경유하여 상기 제2가속 부재(52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동력 전달 부재(54)가 상기 제1가속 부재(521)를 미는 경우 상기 제1가속 부재(521)가 상기 등받이부(30)에 대해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가속 부재(522)는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에 의해 상기 제1가속 부재(521)에 대해 슬라이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로부터의 동력 전달 속도가 증가한다.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는 상기 제1가속 부재(521)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속 롤러(54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가 상기 제1가속 부재(521)를 관통하여 제2가속 부재(522)의 후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이 사익 제1가속 부재(521)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와이어 부재(532)는 와이어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2와이어 부재(532)의 일단부는 상기 제1가속 부재(521)에 고정된다. 상기 제1와이어 부재(531)와 상기 제2와이어 부재(532)는 서로 겹치거나 꼬이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와이어 부재(532)는 상기 제2가속 부재(522)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3가속 부재(523)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와이어 부재(532)는 상기 제2가속 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된 가속 롤러(540)를 경유하여 상기 제3가속 부재(523)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속 부재(521)가 상기 등받이부(30)에 대해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제3가속 부재(523)는 상기 제2와이어 부재(532)에 의해 상기 제2가속 부재(522)에 대해 슬라이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로부터의 동력 전달 속도가 증가한다. 상기 제2와이어 부재(532)는 상기 제2가속 부재(522)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와이어 부재(533)는 와이어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3와이어 부재(533)의 일단부는 상기 제2가속 부재(522)에 고정된다. 상기 제3와이어 부재(533)는 상기 제3가속 부재(523)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3와이어 부재(533)는 상기 제3가속 부재(523)의 선단부에 구비된 가속 롤러(540)를 경유하여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속 부재(522)가 상기 등받이부(30)에 대해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상기 제3와이어 부재(533)에 의해 상기 제3가속 부재(523)에 대해 슬라이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로부터의 동력 전달 속도가 증가한다. 상기 제3와이어 부재(533)는 상기 제3가속 부재(523)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가속 부재는 제1가속 부재(521), 제2가속 부재(522), 제3가속 부재(523)를 포함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2가속 부재(522) 또는 상기 제3가속 부재(523) 중 적어도 하나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가속 부재는 상술한 실시 예와 대동소이한 구조로 4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속 부재는 동력 전달 부재(54)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가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한 쌍의 안전 커버 부재(52)는 탑승자의 전방에 반 원통(semi-cylinder) 형태의 안전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단단한 물체가 탑승자의 머리를 포함한 상부 신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는 이동수단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전방에 순간적으로 보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서 적용되는 재사용 모듈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재사용 모듈(550)은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신장 된 상태에서 축소된 상태로 복원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재사용 모듈(550)은 복원 부재(552)와, 트리거 부재(554)와, 캠 부재(560)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 부재(552)는 상기 탄성 부재(56)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복원 부재(552)는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복원 부재(552)는 상기 탄성 부재(56)의 양단부와 일체로 움직인다. 상기 복원 부재(552)는 랙기어 형태의 제1라쳇 기어(553)를 구비한다. 상기 제1라쳇 기어(553)는 상기 복원 부재(552)가 상기 탄성 부재(56)가 인장 되는 방향으로는 저항을 받지 않지만 상기 탄성 부재(56)가 수축되는 방향으로는 저항을 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리거 부재(554)는 상기 복원 부재(55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재이다. 상기 트리거 부재(554)는 한 쌍의 상기 복원 부재(552)에 구비된 상기 제1라쳇 기어(553)와 치합되도록 랙기어 형태의 제2라쳇 기어(555)가 구비된다. 상기 트리거 부재(554)는 상기 제1라쳇 기어(553)와 상기 제2라쳇 기어(55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리거 부재(554)는 코일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수단에 의해 상기 복원 부재(552)를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부재(554)는 충돌 센서에 연계되어 상기 복원 부재(5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 부재(560)는 상기 등받이부(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캠 부재(560)는 회전축(562)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폭과 좌우 방향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캠 부재(560)는 상기 회전축(562)을 기준으로 예컨대 전후 방향의 폭이 좌우 방향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캠 부재(560)가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복원 부재(55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캠 부재(560)에는 큰 토크를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캠 부재(560)의 회전축(562)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5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6)가 수축된 상태로부터 상기 재사용 모듈(550)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부(564)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캠 부재(560)를 90°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캠 부재(56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 부재(560)의 긴 부분이 상기 복원 부재(55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복원 부재(552)는 상기 트리거 부재(554)에 결합 된 상태로 상기 트리거 부재(554)를 슬라이딩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라쳇 기어(553)는 상기 제2라쳇 기어(555)의 저항을 받지 않아 상기 탄성 부재(56)가 인장 되는 방향으로 상기 복원 부재(552)가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캠 부재(560)가 90°를 초과하여 회전하면 상기 캠 부재(560)가 상기 복원 부재(552)에 가하는 외력이 제거된다. 이때 상기 복원 부재(552)는 상기 탄성 부재(5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런데 상기 트리거 부재(554)에 구비된 제2라쳇 기어(555)가 상기 복원 부재(552)에 구비된 제1라쳇 기어(553)에 치합되어 상기 복원 부재(552)가 상기 탄성 부재(56)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56)는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에 힘을 가할 수 있는 탄성 위치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는 수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재사용 모듈(550)은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를 돌출시킬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3실시 예와 같이 복수의 가속 부재가 구비된 구조에 상기 재사용 모듈(550)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인접한 가속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재사용 모듈용 인장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가속 부재가 상기 재사용 모듈(550)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이동할 경우 복수의 가속 부재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사용 모듈용 인장 코일 스프링은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와 상기 제1가속 부재(521)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사용 모듈용 인장 코일 스프링은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재사용 모듈용 인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탄성 부재(56)의 탄성 복원력보다 낮아야 상기 가속 부재의 작동이 원활하다.
이제, 상기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10)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트리거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트리거 부재(554)가 상기 복원 부재(5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간 이동한다. 상기 제1라쳇 기어(553)가 상기 제2라쳇 기어(555)와 분리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56)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수축한다. 상기 복원 부재(5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복원 부재(552)에 연결된 상기 동력 전달 부재(54)가 신장하면서 상기 안전 커버 부재(52)를 상기 등받이부(30)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는 차량, 기차, 유모차, 항공기 등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의 시트에 채용되어,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순간적으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탑승자의 전방을 감싸서 그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안전 커버 부재가 돌출되어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단한 물질이나 유리 파편 등이 탑승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는, 이동수단에 대형 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외부로 튕겨나가는 2차 충돌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안전 커버 장치가 탑승자를 감싸서 보호하므로 2차 충돌 사고로 인한 탑승자의 신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와 같이 가속 부재와 와이어 부재가 구비된 경우에는 안전 커버 부재의 돌출 속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어서 충돌시 신체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와 같이 재사용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보호 장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양산용 자동차 시트에 직접 적용할 수도 있으며, 보조 시트 형태로 양산용 자동차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10 :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20 : 시트부
30 : 등받이부
31 : 헤드 레스트
33 : 안전벨트
40 : 등받이 본체
42 : 전면 커버
44 : 후면 커버
50 : 안전 커버 장치
52 : 안전 커버 부재
54 : 동력 전달 부재
56 : 탄성 부재
62 : 제1레일 부재
64 : 제2레일 부재
70 : 트리거 시스템
72 : 와이어
74 : 후크
521 : 제1가속 부재
522 : 제2가속 부재
523 : 제3가속 부재
531 : 제1와이어 부재
532 : 제2와이어 부재
533 : 제3와이어 부재
540 : 가속 롤러
545 : 롤러
546 : 브라켓
547 : 가이드 홈부
550 : 재사용 모듈
552 : 복원 부재
553 : 제1라쳇 기어
554 : 트리거 부재
555 : 제2라쳇 기어
560 : 캠 부재
562 : 회전축
564 : 손잡이부

Claims (4)

  1.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수단에 채용되는 좌석 시트로서
    상기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탑승자를 감싸서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탑승자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충격 사고시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탑승자를 감싸서 상기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 커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는 횡단면이 원호 형상이며,
    상기 안전 커버 장치는,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 커버 부재 ;
    상기 안전 커버 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각각 결합 되며 길이가 신축 가능한 동력 전달 부재; 및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커버 부재의 돌출을 가속하도록 상기 안전 커버 부재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등받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적층된 가속 부재와 상기 가속 부재를 연동하는 와이어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부재는 복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1가속 부재;
    상기 제1가속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가속 부재;
    상기 제2가속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3가속 부재;
    와이어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가속 부재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2가속 부재의 후단부에 고정된 제1와이어 부재; 및
    와이어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가속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2가속 부재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제3가속 부재의 후단부에 고정된 제2와이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커버 부재는 상기 제3가속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와이어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2가속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3가속 부재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안전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 고정된 제3와이어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X자 형태의 부재가 복수 결합 되어 펜타그래프 방식으로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동력 전달 부재의 길이가 신장 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신장 된 상태에서 축소된 상태로 복원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사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 모듈은,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랙기어 형태의 제1라쳇 기어가 구비된 한 쌍의 복원 부재;
    한 쌍의 상기 복원 부재에 구비된 상기 제1라쳇 기어와 치합되도록 랙기어 형태의 제2라쳇 기어가 구비된 트리거 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상기 복원 부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캠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KR1020170069772A 2017-03-02 2017-06-05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KR101909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72A KR101909663B1 (ko) 2017-06-05 2017-06-05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PCT/KR2018/002329 WO2018159968A1 (ko) 2017-03-02 2018-02-26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72A KR101909663B1 (ko) 2017-06-05 2017-06-05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663B1 true KR101909663B1 (ko) 2018-10-25

Family

ID=6413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772A KR101909663B1 (ko) 2017-03-02 2017-06-05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6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4812A (ja) 2007-12-27 2009-07-16 Toyota Central R&D Labs Inc 乗員保護装置
US20160082915A1 (en) 2014-08-01 2016-03-24 Stephen Madaras Vehicle Safety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4812A (ja) 2007-12-27 2009-07-16 Toyota Central R&D Labs Inc 乗員保護装置
US20160082915A1 (en) 2014-08-01 2016-03-24 Stephen Madaras Vehicle Safety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1518A (en) Vehicle restraint system
US3981520A (en) Protective enclosure for passengers of transport devices
US5375908A (en) Integral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9731635B2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seats
RU2693602C2 (ru) Узел сиденья
US6381758B1 (en) Head restraint system for racecar drivers
EP3060426B1 (en) Leg restraint device for side-facing seated vehicle occupants
JP2013124063A (ja) 車両の側面衝突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20200094772A1 (en) Deployable seat mounted occupant shoulder restraint for side impact
CN105799560B (zh) 儿童安全座椅
KR101909663B1 (ko)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KR101746824B1 (ko)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EP2907692B1 (en) Child seat with lateral head protection
US4099743A (en)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head and knee restraint
JP6537169B2 (ja) 乗員保護装置
GB2130150A (en) Vehicle safety system
US3829122A (en) Safety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0208481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6899241B2 (ja) アームレスト
US3938825A (en) Vehicle safety apparatus
KR101792428B1 (ko) 충격 흡수 시트장치
US11760292B2 (en) Sleeping bedsheet crash protection system for lie-flat sleeping passenger
US11745630B2 (en) Passive safety system having an energy conversion device
JP2011156934A (ja) 乗員保護装置
US8820831B2 (en) Safety ba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