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100B1 -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100B1
KR930012100B1 KR1019910009573A KR910009573A KR930012100B1 KR 930012100 B1 KR930012100 B1 KR 930012100B1 KR 1019910009573 A KR1019910009573 A KR 1019910009573A KR 910009573 A KR910009573 A KR 910009573A KR 930012100 B1 KR930012100 B1 KR 93001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sheet
ring body
impact
centrifug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317A (ko
Inventor
백종찬
Original Assignee
백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찬 filed Critical 백종찬
Priority to KR101991000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2100B1/ko
Publication of KR93000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밑부분 골격사시도.
제2a, b도는 본발명의 시이트 및 반원링체의 움직임 상태도.
제3도는 충격전 시이트의 측면도.
제4도는 충격후 측면도.
제5도는 주행중 측면도.
제6도는 충돌시 초기 작동상태 측면도.
제7도는 충돌후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타물체와 충돌시 순간적인 엄청난 힘과 압력을 차량내의 신체안전벨트와 시이트의 원심작용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신체손상을 최소화하고 충돌사고로부터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의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는 수단으로는 에어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고급차종일수록 충돌시 벨트의 텐션을 유지시켜 주는 벨트텐셔너, 측면 충돌시 안전을 위한 가이드 임팩트 프러덕션등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운전자를 보조적으로 보호하는 수단으로 충돌시 운전자를 시이트 자체구조에 의하여는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시이트받침대를 충돌시 시계방향으로 예각내에서 회전케하여 별도장비없이는 운전자를 보호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시이트가 고정되며 하면에 반원링체가 고정된 시이트받침대와, 반원링체가 수평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고 차내 고정되며 앞부분이 점차 넓게 테이퍼진 반타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시이트받침대의 원심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써, 시이트를 저면에서 고정시키는 시이트받침대(5) 저면에 반원링체(2)를 결합시키며, 반원링체(2)는 앞부분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3)을 갖도록 테이퍼진 반타원체(1)에 수평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반타원체(1)는 우측 내주연은 반원링체(2)가 좌측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개방되고, 좌측내주연은 반원링체(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반원링체(2)의 회전시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편(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편(4)의 일예로는 반원링체(2)의 우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토록 반타원체(1)의 좌측 내주연 중앙부만 개방토록 반타원체(1)의 측면에서 일체로 절곡되는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시이트받침대(5)는 반원링체(2)의 지름보다 길도록 하여 양끝이 반타원체(1) 양끝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다만 시이트받침대(5)의 후단부는 겨우 반타원체 끝에 걸쳐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노말시에는 로킹기능을 수행하고 충돌의 압력이 가해지면 로킹해제되어 시이트받침대(5)가 시계방향으로 원심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로킹 구조를 부가 설치할 수도 있는바, 일례로 전자석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이트 장치는 제3도와 같이 측면구조를 이루어 시이트에 장착되고 반타원체(1)는 기존의 시이트 전후이동용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설치되기에 시이트의 전, 후 이동에는 영향이 없게 하고, 제5도와 같이 착석하여 주행중에 차량이 충돌하면 제6도처럼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상체가 앞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안전벨트에 의하여 상체는 일부 앞으로 가다가 멈추고 엉덩이 부분은 크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충돌에 따른 관성력은 엉덩이를 통하여 시이트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따라 시이트받침대(5)의 반원링체(2)가 고정된 반타원체(1)의 내주연을 따라 앞으로 일차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반원링체(2)의 선단부가 반타원체(1)의 좌측내에 맞닿으면서 반타원체(1)의 경사를 따라 제6도와 같이 시이트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제4도 및 7도와 같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지면 제동편(4)에 반원링체(2)가 맞닿게 되어 제동된다. 이는 반원링체(2)가 반원형상이고 반타원체(1)가 반타원이며, 반타원체(1)의 우측 내주연이 개방되어 있기에 가능한 것으로 제2도(a)의 일점쇄선 상태로 반원링체(2)가 대기하다가 충돌시 이점쇄선 상태로 충격 관성에 의하여 앞으로 수평이동하여 시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반원링체(2)가 반타원체(1)의 죄측내면에 닿으면 그때부터 반타원체(1)에 의해 반발력(제2도(b)의)이 생기게 되고, 기존의 수평이동에 따른 관성력을라 할 때, 합성벡터는와 같이 위로 힘을 받아 전체적으로는 시계방향으로 설정된 예가만큼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평이동시에는 관성력만 작용하다가 반원링체(2)가 반타원체(1) 좌측내면에 닿는 순간부터 본발명()이 점차 커지므로 합성벡터()는 시계방향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충격력이 안전벨트에 의하여 1/2로 감소되고 반타원체(1)에 의한 제동에 의해 다시 1/4로 이론상 감소되므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차량 충돌에 따른 순간적인 충격력을 분산시켜 충격은 적어도 1/3 이상의 충격완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시이트받침대(5)는 시이트 하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시이트 양측면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충돌시 시이트를 고정하는 반원링체가 반타원체 내주연을 따라 원심력이 발생되어 시이트와 운전자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충돌시 안전벨트에 의한 내장파열 및 좌상어깨 파열을 막아주고,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자세(특히, 머리 및 가슴부분)를 최대한 낮추어 외부충격에 따른 치명적인 상해를 막아주고, 반대로 다리는 들어 올려주므로 전반충격에 따른 차체의 함몰로 인하여 무릅의 정면충돌에 따른 무릅, 골반, 척추상해등의 부상을 예방시켜 준다.

Claims (1)

  1. 시트를 고정시키며 하면에 반원링체(2)가 고정된 시이트받침대(5)와 : 반원링체(2)가 수평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고 차내 고정되며 앞부분이 점차 넓게 테이퍼진 반타원체(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심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시이트장치.
KR1019910009573A 1991-06-11 1991-06-11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KR93001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573A KR930012100B1 (ko) 1991-06-11 1991-06-11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573A KR930012100B1 (ko) 1991-06-11 1991-06-11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17A KR930000317A (ko) 1993-01-15
KR930012100B1 true KR930012100B1 (ko) 1993-12-24

Family

ID=1931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573A KR930012100B1 (ko) 1991-06-11 1991-06-11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2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150A (zh) * 2015-07-31 2015-11-18 王敬泊 一种提高乘客安全性的座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150A (zh) * 2015-07-31 2015-11-18 王敬泊 一种提高乘客安全性的座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17A (ko) 199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7390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occupant of a vehicle
JPH06500748A (ja) 自動車内の安全装置
JPH07172254A (ja) 自走車両の乗員室用安全装置
US4183582A (en) Emergency passive restraint protective system for vehicle occupants
KR930012100B1 (ko)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KR100747034B1 (ko) 자동차의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100496683B1 (ko) 목 보호용 안전장치
KR100313321B1 (ko) 차량의탑승자보호장치
WO1998024652A1 (en)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KR100196173B1 (ko) 자동차의 시트 에어백
KR200213858Y1 (ko) 자동차의 충돌 완충용 시트 쿠션 구조
KR960005994B1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02634408B1 (ko) 차량의 서브마린 방지 시트 벨트 및 그 작동 방법
KR100440227B1 (ko) 승객보호용 버스의 시트백 프레임구조
KR0130165B1 (ko)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KR930001859Y1 (ko)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충격완화구
KR20060083608A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목 보호장치
KR0177413B1 (ko) 에어백 충격 접점 포인트 적응성 시트 패널 구조
KR200154177Y1 (ko) 무릎 보호대
KR0113353Y1 (ko) 시트벨트용 감쇠스프링
KR200149305Y1 (ko) 룸밀러의 충돌완화 장치
KR20230153639A (ko) 사용하지 않을 때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3점식 안전벨트
KR960010002Y1 (ko) 자동차의 엔진 진입 방지장치
KR0130817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의 고정용 너트
KR100217634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