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165B1 -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165B1
KR0130165B1 KR1019940018795A KR19940018795A KR0130165B1 KR 0130165 B1 KR0130165 B1 KR 0130165B1 KR 1019940018795 A KR1019940018795 A KR 1019940018795A KR 19940018795 A KR19940018795 A KR 19940018795A KR 0130165 B1 KR0130165 B1 KR 0130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vehicle
arm
lever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103A (ko
Inventor
이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165B1/ko
Publication of KR96000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53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93Additional pads or cushions in vehicle compartments, e.g.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나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지붕(1)에 고정된 인장 코일스프링(2)의 타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충격력에 의해 동작하는 타격추(3)와, 상기한 타격추(3)의 타격에 따라 핀(5)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 레버(4)와, 상기 레버(4)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a)에 걸려지고 레버(4)가 회전할 때 힌지(8)를 중심으로 급속히 회전하며, 끝단부에는 쿠션(7)이 형성된 아암(6)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상기 아암(6)을 작동시켜 운전자 및 탑승객의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객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안전벨트와 달리 항상 착용할 필요없이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와 같은 차량에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탑승객 지지수단이 순간적으로 운전자나 탑승객의 신체방향으로 회동하여 운전자나 탑승객의 어깨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동작하는 타격수단과, 상기한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있고 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타격수단의 타격에 의해 선회하도록 한 레버와, 선단 일측에는 힌지가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레버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는 탑승객 보호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로서,일단이 지붕(1)에 고정된 인장 코일스프링(2)의 타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충격력에 의해 동작하는 타격추(3)와, 상기한 타격추(3)의 타격에 의해 핀(5)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4)와, 상기한 레버(4)의 선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4a)에 걸려 지고 레버(4)가 회전하는 순간 힌지(8)를 중심으로 급속히 회전하며, 선단 일측에는 쿠션(7)이 형성된 아암(6)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와 같이 인장 코일스프링(2)의 탄성한계를 넘는 일정량 이상의 충격력이 차체에 가해지게 되면 차량의 주행관성력에 의해 타격추(3)가 전방으로 급속히 이동하면서 인장 코일스프링(2)이 신장되어 진다.
레버(4)는 핀(5)에 의해 회동하며, 선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4a)은 아암(6)의 쿠션(7)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굴곡져 있다.
또한, 상기한 아암(6)은 지붕(1)내에 삽설되도록 지붕(1)의 저면에는 안착홈이형성되어 있으며, 일단 운전자 및 탑승객의 어깨부위로 회동한 상태에 있는 아암(6)은 관성력을 받는 운전자 및 탑승객의 몸이 앞으로 쏠리면서 사람의 어깨가 아암(6)을 큰 관성력으로 밀게 되더라도 탑승객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요성(flexibility)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완충력을 갖도록 하며, 또한 지붕과의 사이에 도시안된 비틀림 스프링 등을 추가하여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신속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인장 코일스프링(2)의 탄성력과 타격추(3)의 질량 및 타격추(3)와 레버(4) 사이의 거리등과 같이 제작에 필요한 조건들은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다치는 정도를 고려한 충격력이 가해질 때 아암(6)이 작동하도록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지붕(1)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아암(6)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도어 내측면에 안착홈을 수평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안착홈으로 아암(6)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지붕(1)에 설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에서와 같이 충돌이나 추돌등에 의해 차량이 가해질 경우 도시안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아암(6)이 돌출되도록 하여 도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회동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는, 차랑에 충돌이나 추돌이 발생하게 되면 인장 코일스프링(2)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져 있던 타격추(3)가 충격력을 받아서 순간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레버(4)를 타격하게 되고, 레버(4)가 타격력에 의해 핀(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레버(4)의 걸림턱(4a)이 전방으로 젖혀지면 아암(6)이 힌지(8)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아암(6)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운전자 혹은 탑승객의 어깨와 밀착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 및 탑승객의 상체 역시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로 인한 관성력을받아서 순간적으로 앞으로 쏠리게 되나 운전자나 탑승객의 신체 일부, 예컨데 어깨,머리 또는 무릎이 아암(6)의 쿠션(7)에 걸리게 되어 운전자나 탑승객이 전방으로 돌진하는 것이 아암(6)에 의해 제지되므로 운전자 및 탑승객의 상체가 핸들, 혹은 차량의 전면유리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아암(6)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탑승객의 신체에 걸린 아암(6)이 탄성에 의해 서서히 원래의 위치 방향으로 밀리는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충격이 흡수되어 아암(6)과의 접촉에 따른 탑승객의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탑승객의 안전장치는, 차량의 주행중 허리와 어깨에 지속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종래의 안전벨트와 달리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와 같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만 작동함으로써 안전벨트를 항상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행동에 대한 제약을 방지하고 운전에 집중하도록 해주는 한편,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도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의 개략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의 작동상태.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붕 2 : 인장 코일스프링
3 : 타격추 4 : 레버
4a : 걸림턱 5 : 핀
6 : 아암 7 : 쿠션
8 : 힌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 및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아암이 순간적으로 회동하여 운전자나 탑승객의 어깨를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승차자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에 따라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구성한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 운전자 및 탑승객의 신체중 어깨 및 허리부위를 감싸는 안전벨트(B)가 시트(A)에 대해 대각선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전벨트(B)는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운전자나 탑승객이 충격에 따른관성력에 의해 시트(A)로부터 급격히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 차량 내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객의 부상을 최소화하여 생명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안전벨트(B)는 차량이 주행전에 미리 어깨 및 허리부분을 감싸도록 한 다음, 안전벨트(B)의 선단에 부착된 버클을 차량의 저부에 위치한 로커에 결합시킨 상태로 착용을 해야 하므로 장시간에 걸쳐 주행을 할 경우에는 안전벨트(B)의 압박에 의해 피로가 가중되어지는데, 특히 운전자의 경우에는 안전벨트(B)가 신체를 구속하여 행동에 많은 제약을 줌으로써 조향핸들이나 변속레버 등의 조작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객 모두 안전벨트(B)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빈발하게 되어 사고발생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안전벨트와 별도록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운전자나 탑승객이 차량의 주행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진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하도록 조향핸들이나 대쉬보드와 같은 차량의 실내에 에어백을 장착하게 되는데,이와 같은 에어백은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한편, 통상적으로 에어백의 팽창이 장약의 폭발에 따라 생성된 가스에 의해이루어지는 관계로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Claims (6)

  1.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동작하는 타격수단과, 상기한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핀(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타격수단의 타격에 의해 선회하도록 한 레버(4)와, 선단 일측에는 힌지(8)가 연결되고 타단으로 레버(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탑승객 보호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은, 선단 일측이 차실내부에 고정되도록한 인장 코일스프링(2)과,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2)의 타단에 연결되는 타격추(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 보호수단은, 아암(6)과, 상기한 아암의 선단 외부에 피복되도록 한 쿠션(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는, 차실내부의 지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레버(4)는, 탑승객 보호수단의 선단이 지지되도록 상기한 탑승객 보호수단과의 결합부위에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객 안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아암(6)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KR1019940018795A 1994-07-30 1994-07-30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KR0130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95A KR0130165B1 (ko) 1994-07-30 1994-07-30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95A KR0130165B1 (ko) 1994-07-30 1994-07-30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103A KR960004103A (ko) 1996-02-23
KR0130165B1 true KR0130165B1 (ko) 1998-04-10

Family

ID=1938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795A KR0130165B1 (ko) 1994-07-30 1994-07-30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481A (ko) * 2004-07-24 2006-02-01 공석태 대나무살을 적층 혼합하여 만드는 에프알피 제조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103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96705A (zh) 装在车辆外扶手内的侧边空气囊
KR0130165B1 (ko)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JP2017094923A (ja) 乗員拘束装置
KR100489986B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KR20090102132A (ko) 차량용 베이비시트 에어백
KR100384019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100196173B1 (ko) 자동차의 시트 에어백
KR100323062B1 (ko) 자동차의무릎보호충격흡수장치
KR100483784B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KR200152246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100412839B1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에어백장치
KR100456543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구조
KR940000524Y1 (ko) 차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휴대용 안전장치
KR100512445B1 (ko) 차량의 시트안전장치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KR960012267B1 (ko) 자동차 시트의 안전장치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20030013819A (ko) 토션바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방 시트 구조
KR200213858Y1 (ko) 자동차의 충돌 완충용 시트 쿠션 구조
KR200302838Y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KR200181831Y1 (ko) 자동차 조수석의 에어백 구조
KR200177713Y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KR930005088Y1 (ko) 자동차 충격시의 의자 안전장치
KR100448129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