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016A -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 Google Patents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016A
KR20200007016A KR1020197036709A KR20197036709A KR20200007016A KR 20200007016 A KR20200007016 A KR 20200007016A KR 1020197036709 A KR1020197036709 A KR 1020197036709A KR 20197036709 A KR20197036709 A KR 20197036709A KR 20200007016 A KR20200007016 A KR 2020000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array
microneedle
lips
lip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037B1 (ko
Inventor
잉-슈 취안
후미오 가미야마
히로시 다나카
나오코 곤도
Original Assignee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filed Critical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0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44Micromachined materials, e.g. made from silicon wafer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or comprising nanotechn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입술의 라이트닝이나 풍윤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다 간편하게 실현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입술의 라이트닝 및/또는 풍윤화를 행할 목적으로 입술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로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마이크로니들의 높이는 50㎛ 내지 300㎛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선단이 직경 5 내지 150㎛의 원형 또는 그와 동면적을 갖는 평면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Description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본 발명은, 입술에 대한 국소 적용 마이크로니들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입술의 라이트닝(lightening) 및/또는 입술의 풍윤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입술의 색소 침착의 담색화(lighten)에는 강한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다. 자주 있는 피부 증상으로서는, 색소 침착 과잉, 기미가 있다. 또한, 가령(加齡) 또는 피로에 의한 입술의 「마름」도, 최근에 특히 여성의 관심을 깊게 끌고 있는 현상이다.
많은 물질이 피부를 담색화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히드로퀴논, 코직산, 감초(licorice) 및/또는 그의 유도체, 아스코르브산/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알부틴(arbutin) 등이다. 그들을 유가물로서 입술의 담색화를 위해 립크림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알려져 있었다.
한편, 입술의 마름에는 히알루론산 주입 등의 미용 의사의 손기술이 다용되어 오고 있다.
마이크로니들 제제는, 경피 흡수성이 높아,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니들 제제의 적용 부위는 피부 표피이지만, 예를 들어 경내 볼 투여에 의한 백신 접종으로서의 미소침 패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본 미소침 패치는, 내볼 점막의 외측층을 관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 형상의 생체 적합성 매트릭스와 그 표면 또는 내부에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본 마이크로니들은, 눈밑, 아랫입술 또는 팔자 주름에 사용할 수 있으며, 눈밑, 입 주위 등의 적용 부위에 부착 가능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마이크로니들 제제는, 돌기부를 각질층 내에 관통시키지 않고도 표피를 잡아 늘여 표피의 보호 특성을 저하시켜, 화장료나 의약을 투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본 투여 장치는, 돌기부의 선단에 미소 돌기를 더 갖는다.
일본 특허공표 제2015-51547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16-8747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7-130417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입술의 라이트닝이나 풍윤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다 간편하게 실현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니들을 경내 볼 투여 또는 눈밑 혹은 아랫입술에 사용하는 기술이 공표되어 있지만, 입술에는 각질은 없이 외점막이 피내 조직을 덮고 있다. 입술에 마이크로니들을 삽입하여 점막을 찢어 유가물을 피내에 송달하는 것은, 피내를 자극해 염증을 일으키므로 피해야만 한다. 본 발명자들은, 입술 조직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마이크로니들 자체 및 그것을 일으키는 기판 자체를 금속, 실리카보다도 탄성률이 낮아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물질로 구성하고, 입술에 밀착시키는 것, 나아가 입술 외점막을 찢지 않고 외점막 내에 그치도록 높이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입술에 적합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1] 입술의 라이트닝 및/또는 풍윤화를 행할 목적으로 입술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로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마이크로니들의 높이는 50㎛ 내지 300㎛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2] 마이크로니들의 선단이 직경 5 내지 150㎛의 원형 또는 그와 동면적을 갖는 평면인, 상기 [1]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3] 마이크로니들의 밀도는 50 내지 2000개/㎠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4] 마이크로니들의 기판부의 두께는 3 내지 200㎛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5] 수용성 고분자가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6]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보호 점착 테이프로 보강되어 있으며, 해당 점착 테이프의 기재는 물 투과성이며, 또한 점착제가 부분 도공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7] 라이트닝 성분, 보습 성분, 항염증 성분의 1종 이상을 마이크로니들부에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8] 안료 또는 합성 착색료를 더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9] 1 시트에 2장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고, 위아랫입술에 동시에 적용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국소성 라이트닝 조성물 내지는 풍윤화 조성물이 종래 불가능했던 높은 효능을 나타낸다고 하는 놀랍고도, 예기치 못한 사실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방법에 유용한 구체적 방책은, 수용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니들을 입술에 적용함으로써 초래되었다. 마이크로니들은 공지된 약물 경피 흡수 수단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 이전에 마이크로니들을 입술에 적용하여 라이트닝, 풍윤화에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것을 예측한 보고도, 하물며 시도한 보고조차 없었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마이크로니들은 미국에서의 연구 개발에서 발단되지만, 거기에서의 마이크로니들 재료는 스테인리스, 실리카, 티타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매우 단단한 재료가 주를 이뤄 본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니들을 부드러운 굴곡성의 입술에 적용하기에는 위화감이 있다는 사실에 의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입술에 적용한 경우, 입술은 각질층을 갖지 않으므로 유가물의 침투가 일반 피부보다도 빨라, 그 때문에 단시간의 적용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시트의 평면도.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특징은, 재료의 성질(수용성인 점) 및 바늘 형상이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바늘 형상
입술에는 각질이 없이 외점막이 피내 조직을 덮고 있다. 입술은 눈에 띄는 기관으로, 마이크로니들을 삽입하여 점막을 찢어 유가물을 피내에 송달하는 일은, 피내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므로 피해야만 한다. 마이크로니들의 형상 및 높이는, 엄밀하게 컨트롤하여 피내에 삽입되지 않도록 형상 설계되지 않으면 안된다. 구체적으로는, 바늘의 선단은 직경 5㎛ 이상의 원형 혹은 그와 동면적을 갖는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5㎛ 미만의 선단 면적이면, 적용 시에 입술을 찢어뜨려 피내로 삽입될 위험성을 갖는다. 바늘 형상은, 막대 형상이 아니라 원뿔대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이 바람직하다. 원뿔대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의 경우에는, 바늘부가 입술에 적용될 때 입술 외점막과의 접촉 면적이 크게 입술을 압박하므로, 입술 외점막이 당겨져서 얇아지고, 그에 의해 유가물의 피내 송달이 유리해진다. 그에 반하여, 막대 형상의 바늘의 경우에는, 입술 외점막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 유가물 송달에 불리하다. 바늘 선단부 직경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 직경이 150㎛를 초과하면 입술 외점막이 당겨지는 효과가 작아져서 마이크로니들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
바늘 높이는,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 2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50㎛ 미만이면 입술을 압박하는 정도가 작아 유가물의 송달에 불리하다. 300㎛를 초과하면 적용 시에 바늘이 외점막을 찢어뜨릴 위험성이 있다.
바늘 밀도는, 50 내지 2000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1200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0개/㎠ 이하이면 유가물의 함유량이 적어, 유가물의 송달량이 불충분하다. 2000개/㎠ 이상이면 부드러운 입술의 점막에 삽입하는 일은 어려워진다.
또한, 입술의 점막에 적용하여 니들을 빠르게 녹이기 위해서는, 니들의 기판부의 두께의 설계도 중요하다. 기판부의 두께는 3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 이하이면, 성막의 인성(靭性)이 약해 니들을 확실하게 지탱하는 것이 어렵다. 200㎛ 이상이면 막이 단단해져서 부드러운 입술의 형상에 추종하기 어려워,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분을 줘서 기판부도 포함해 전체를 용해시킬 때, 대량의 물 또는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재료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재료는, 수용성이며 경도가 낮은 소재가 중요하다. 이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유가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작하면, 유가물은 마이크로니들 부분뿐만 아니라 기판 부분에도 포함되게 된다. 2 공정 충전의 제법에 의해, 유가물을 마이크로니들 부분에만 함유해도 된다. 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입술에 적용하면, 마이크로니들 부분은 입술을 압박하여 입술 외점막에 당김을 주어 얇게 하고, 그것에 의해 포함되는 유가물의 입술 내 송달을 촉진한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유연한 소재로 제작하면, 기판부도 입술의 굴곡에 추종하여 입술에 밀착해서 기판부도 압박되어 거기에 존재하는 유가물도 또한, 마이크로니들 부분보다는 비율적으로 작다고는 해도, 입술 내로 송달된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재료로서는, 히알루론산 및 그의 유도체(예, 나트륨염, 폴리에틸렌옥시드그래프트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르복시메틸화 히알루론산 나트륨, 아세틸 히알루론산 나트륨),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수용성 고분자의 특징은, 소량의 물을 흡수할 때 팽윤성이 있다.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입술의 점막 중에서 용해된 수용성 고분자는,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입술의 세로 주름의 들어올림이나 입술의 보습 효과를 초래한다.
히알루론산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뮤코다당)의 1종이며,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의 이당 단위가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히알루론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계관, 탯줄 등으로부터 단리되는 생물 유래의 히알루론산, 유산균, 연쇄 구균 등에 의해 대량 생산되는 배양 유래의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생물 유래의 히알루론산은, 그 유래로 되는 생물이 갖는 콜라겐을 완전하게는 제거할 수 없어, 잔존하는 콜라겐이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 유래의 히알루론산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히알루론산은 배양 유래의 히알루론산을 50중량%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성분으로서 사용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는, 이들 고분자 물질로 성형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면 단단해져서 피부에 꽂히기 쉬워지고, 반대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커지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끈적한 성질이 강해지므로, 경도가 저하되어 피부에 꽂히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200만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입술에 적용할 때에는 외점막을 관통하지 않을 정도의 경도로 접히기 어렵고, 또한, 유가물을 침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인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의 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 이상이면 되고, 200만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 이하이면 되고, 10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을 혼합할 때의 비율은, 각 고분자 물질의 종류 및 중량 평균 분자량에 따라서도 상이하므로, 바람직한 기계적 강도 및 경도가 되도록 적절히 결정되면 되지만, 일반적으로,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 1중량% 이상,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 99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가물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에 있어서는, 상술한 재료와 바늘 형상이 중요하며 또한 신규이지만, 그 마이크로니들에 함침되는 유가물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입술 라이트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히드로퀴논, 코직산, 감초(licorice) 및/또는 그의 유도체, 아스코르브산/에틸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알부틴(arbutin) 등의 멜라닌 합성 효소 저해에 유효한 물질을 첨가하면 된다. 또한, 아스타크산틴, 풀러렌, 코엔자임 Q10 등의 산화 방지제, 비타민 E 등의 혈류 촉진제, 레티놀 및 레티날, 아데노신 등의 턴오버를 재촉하는 성분, 나이아신아미드 등의 신진 대사를 개선하는 성분, 입술 거칠음 방지의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 및 화장품으로서 상용되고 있는 방향제를 첨가해도 된다. 그 밖에, 세라마이드, 비타민 A, E, 요소 등의 보습 성분, 및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의 항염증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첨가량은 다양하며, 물질의 종류 및 성질 및 요망되는 효과의 정도에 의한다. 라이트닝제, 및 기타 첨가제는 일반적으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약 0.001wt% 내지 약 20wt%,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wt% 내지 약 5wt%,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wt% 내지 약 2.5wt%까지의 양으로 존재한다.
입술의 라이트닝이 더 진행되어 입술을 더욱 윤이 나는 색조로 하기 위해서는, 라이트닝 후 혹은 라이트닝과 동시에 립스틱 성분을 유가물로서 마이크로니들에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하면 된다. 그 첨가량은 라이트닝제에 준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홍화나 코치닐 등의 천연 색소를 원료로 한 안료나, 합성 착색료인 색소(착색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착색료로서는 적색 104호, 적색 105호, 적색 201호, 적색 203호, 적색 205호, 적색 206호, 적색 207호, 적색 208호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입술의 풍윤화의 목적에는 히알루론산 및 그의 유도체, 콜라겐, 콘드로이틴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플라센타 등 피내에서 팽윤하는 고분자 물질을 유가물로서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히알루론산 및 그의 유도체는 마이크로니들의 재료로서 적절한 것이므로, 풍윤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히알루론산 단독으로의 마이크로니들 성형에 의해 목적을 이룰 수 있다. 즉, 이 경우 히알루론산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재료와 유가물을 겸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되면 되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이 구멍을 뚫은 형태로, 상기 고분자량 히알루론산과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및 필요에 따라 유가물의 수용액을 유연하고, 건조시킨 후 박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유가물을 마이크로니들 부분에만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유가물 함유 원료와 유가물 불포함 원료를 2 공정으로 나누어 충전시키는 제법(2 공정 충전 제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박리한 후, 입술 형상으로 재단하고, 보호 점착 테이프로 보강해서 사용한다. 입술에 적용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바늘부를 빠르게 입술부에서 용해시키기 위해서, 어레이 뒤에서, 물 내지는 미용액을 공급하는 것은 유효하다. 또한, 입술부로부터의 수분 증산을 방지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스팀하여 바늘의 용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수증기 투과성이 낮은 보호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보강 보호 점착 테이프의 기재가 물 투과성(예를 들어, 부직포)인 경우, 점착제를 부분 도공하면, 물을 거즈 등으로 공급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그 후,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첩부부를 마사지함으로써, 빠른 용해를 달성하기 쉬워진다.
빠른 용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고분자 물질 이외에,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콜라겐 등의 용해 용이성 고분자 재료를 사용하면 유효하다. 또한, 분자량 1000 이하의 수용성 물질, 비타민 C, 단당, 이당류 등을 10% 이상 포함하는 조성으로 함으로써 바늘의 용해성은 촉진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입술에 적용하는 것이지만, 입술은 각질층을 갖지 않으므로 유가물의 침투가 일반 피부보다도 빨라, 단시간의 적용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국소성 조성물(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은, 가령 얼룩, 암색 얼룩, 색소 침착 과잉, 염증 후 과잉 색소 침착(예를 들어, 좌창 후 색소 침착 과잉), 변색과 같은 다양한 피부의 상태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옵션으로서, 1 이상의 이하의 성분: 마취약, 항 알레르겐제, 항진균류성제, 항염증제, 방부제(antiseptics), 킬레이트제, 착색료, 피부연화제, 각질제거제(exfollients), 피막 형성제(film formers), 방향제, 습윤제, 방충제, 윤활제, 보습제, 의약품, 방부제(preservatives), 피부 보호제, 피부 침투 증진제, 안정제, 계면 활성제, 증점제, 점도 조정제, 또는 비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면 중 부호 1은, 감광성 수지에 광조사하는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원추형의 마이크로니들 패턴을 형성한 후, 전주 가공함으로써 원추형의 마이크로니들 패턴을 전사한 원추형의 마이크로니들 형성용 오목부(11)가 형성된 주형이다.
마이크로니들 형성용 오목부(11)는 근원의 직경이 0.6㎜, 선단 직경이 0.02㎜, 깊이 0.2㎜의 원추형이며, 0.6㎜ 간격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실온에서 물 100중량부에 히알루론산(기코만 바이오 케미파 제조, 상품명 「FCH-SU」, 분자량 100,000) 20중량부 및 적색 104호의 0.1중량부를 용해한 수용액을 주형(1) 위에 유연하고, 가열하여 히알루론산 수용액층의 수분을 증발시킨 후, 주형(1)으로부터 박리해서 각을 둥글게 한 직사각형(7×50㎜)으로 펀칭하고, 그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각을 둥글게 한 직사각형(9×56㎜)의 점착 테이프의 중앙부에 세트함으로써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얻었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반부의 두께는 60㎛였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점착 테이프마다 실험 지원자 2명의 입술부의 우측으로 압박해서 점착부에 의해 고정하고, 30분 후에 박리하였다. 직후에 가볍게 입술부를 물로 씻고,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적색 색소를 씻어냈다. 그 상태에서 입술을 관찰하면, 양쪽 모두 우측이 명백하게 적색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좌측에 비하여 부푼감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알부틴 2중량부를 추가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성을 갖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주형에 의해 긴 직경 5㎝, 짧은 직경 0.8㎝ 타원형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하였다. 그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부에, 단위 면적당 중량 50g/㎡의 부직포 편면에 점착제를 패턴 도공(세로 줄 2㎜ 폭, 간격 10㎜)한 점착 테이프를 보강해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얻었다. 구체적 양상은 도 2를 참조하길 바란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점착 테이프마다 실험 지원자 2명의 위아랫입술부에 압박해서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한 직후에, 부직포측으로부터 물을 거즈로 공급한 후, 거즈를 떼어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첩부부를 마사지하고, 15분 후에 박리하였다. 그 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관찰하면, 입술부에 있어서 적색과 부푼감이 명료하게 관찰되었다. 본 첩부 조작을 하루에 한 번 7일간 반복하면, 첩부부의 투명감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히알루론산 대신에 PEG-그래프트 히알루론산을 사용하고, 추가로 누룩산 2중량%, 비타민 C 에틸 1중량%,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중량%, 적색 218호 0.1중량%를 수용액 100g에 첨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품의 효과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얻어졌다.
1: 주형
11: 마이크로니들 형성용 오목부
2: 히알루론산 수용액층
3: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시트
4: 보강 부직포 시트
5: 점착제

Claims (9)

  1. 입술의 라이트닝 및/또는 풍윤화를 행할 목적으로 입술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로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마이크로니들의 높이는 50㎛ 내지 300㎛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의 선단이 직경 5 내지 150㎛의 원형 또는 그와 동면적을 갖는 평면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의 밀도는 50 내지 2000개/㎠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의 기판부의 두께는 3 내지 200㎛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가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인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보호 점착 테이프로 보강되어 있으며, 해당 점착 테이프의 기재는 물 투과성이며, 또한 점착제가 부분 도공되어 있는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트닝 성분, 보습 성분, 항염증 성분의 1종 이상을 마이크로니들부에 함유하는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료 또는 합성 착색료를 더 포함하는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시트에 2장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고, 위아랫입술에 동시에 적용하는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KR1020197036709A 2017-08-17 2018-08-17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KR102333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7681 2017-08-17
JPJP-P-2017-157681 2017-08-17
PCT/JP2018/030587 WO2019035489A1 (ja) 2017-08-17 2018-08-17 口唇用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016A true KR20200007016A (ko) 2020-01-21
KR102333037B1 KR102333037B1 (ko) 2021-12-01

Family

ID=6536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709A KR102333037B1 (ko) 2017-08-17 2018-08-17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06800A1 (ko)
EP (1) EP3669929A4 (ko)
JP (1) JP2019034151A (ko)
KR (1) KR102333037B1 (ko)
CN (1) CN110769891A (ko)
AU (1) AU2018317057B2 (ko)
CA (1) CA3067694C (ko)
WO (1) WO2019035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94146A (ja) * 2019-12-16 2021-06-24 ロレアル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を使用する美容方法
CN111408032A (zh) * 2020-03-05 2020-07-14 优微(珠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气透水微针贴片及其使用方法
JP2021143146A (ja) * 2020-03-11 2021-09-24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天然保湿因子含有貼付型化粧料
JP2021164635A (ja) * 2020-04-03 2021-10-14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短時間溶解マイクロニードル
CN111803789A (zh) * 2020-06-28 2020-10-23 王瑾 一种无创伤美唇方法
DE102021118997A1 (de) 2021-07-22 2023-01-26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Mikronadelarray mit Antiseptika
JP7235352B1 (ja) * 2021-09-29 2023-03-08 ラファ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唇に適用する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製造用組成物およびこの組成物で製造された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
US20230130124A1 (en) * 2021-10-25 2023-04-27 Cosmed Pharmaceutical Co., Ltd. Cosmetic microneed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417A (ja) 2005-11-08 2007-05-31 Nano Device & System Research Inc 経皮投与装置
JP2013075165A (ja) * 2011-09-12 2013-04-25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迅速溶解法
KR20150037826A (ko) * 2012-06-15 2015-04-08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턴 스로우 잇츠 센터 포 커머셜라이제이션 마이크로구조체 기반의 상처 클로저 기기
JP2015515474A (ja) 2012-04-03 2015-05-28 セラジェク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クチンの経頬送達のための溶解性微小針アレイ
KR101549086B1 (ko) * 2014-11-10 2015-09-02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 패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533B1 (en) * 1999-06-09 2001-07-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n intracutaneous microneedle array
JP2006517913A (ja) * 2003-02-13 2006-08-03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改良型炭疽ワクチンおよび送達方法
JP2008513132A (ja) * 2004-09-16 2008-05-01 ジュヴァ・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組織増強装置
JP2006087474A (ja) * 2004-09-21 2006-04-06 Olympus Corp 処置具システム及び内視鏡処置システム
US20060253079A1 (en) * 2005-04-25 2006-11-09 Mcdonough Justin Stratum corneum piercing device
WO2008020632A1 (fr) * 2006-08-18 2008-02-21 Toppan Printing Co., Ltd. Micro-aiguille et timbre à micro-aiguilles
WO2008053481A1 (en) * 2006-11-01 2008-05-08 Svip 6 Llc Microneedle arrays
JP2009254756A (ja) * 2008-04-14 2009-11-05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WO2011016230A1 (ja) * 2009-08-07 2011-02-10 株式会社メドレックス 剣山型マイクロニードルのアプリケータデバイス
US20150223988A1 (en) * 2010-03-04 2015-08-13 Donald Spector Bandage with a compressed layer that expands upon contact with liquid
CA2827158A1 (en) * 2011-01-18 2012-07-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vice and uses thereof
US20140200508A1 (en) * 2012-06-29 2014-07-17 Isaac D. Cohen Microneedles Comprising One Or More Cosmetic Ingredients
EP3068408A4 (en) * 2013-11-14 2017-09-06 University Medical Pharmaceuticals Corporation Microneedles for therapeutic agent delivery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WO2015147040A1 (ja) * 2014-03-26 2015-10-01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角質層に留まるマイクロニードル
JP2016189844A (ja) * 2015-03-31 2016-11-1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
WO2017056893A1 (ja) * 2015-09-30 2017-04-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集合モールドの作製方法、パタ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電鋳金型の作製方法、及び電鋳金型を用いた第2モールドの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417A (ja) 2005-11-08 2007-05-31 Nano Device & System Research Inc 経皮投与装置
JP2013075165A (ja) * 2011-09-12 2013-04-25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迅速溶解法
JP2015515474A (ja) 2012-04-03 2015-05-28 セラジェク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クチンの経頬送達のための溶解性微小針アレイ
KR20150037826A (ko) * 2012-06-15 2015-04-08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턴 스로우 잇츠 센터 포 커머셜라이제이션 마이크로구조체 기반의 상처 클로저 기기
KR101549086B1 (ko) * 2014-11-10 2015-09-02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 패치
JP2016087474A (ja) 2014-11-10 2016-05-23 スモール ラボ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MALL LAB Co., Ltd マイクロニードル及び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67694C (en) 2023-01-03
CN110769891A (zh) 2020-02-07
WO2019035489A1 (ja) 2019-02-21
AU2018317057B2 (en) 2021-03-25
AU2018317057A1 (en) 2020-01-16
JP2019034151A (ja) 2019-03-07
KR102333037B1 (ko) 2021-12-01
CA3067694A1 (en) 2019-02-21
US20210106800A1 (en) 2021-04-15
EP3669929A1 (en) 2020-06-24
EP3669929A4 (en)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037B1 (ko)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US10953220B2 (en) Device and method of skin care and treatment via microneedles having inherent anode and cathode properties, with or without cosmetic or pharmacological compositions
US8167852B2 (en) Microneed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521492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80549A (ko) 미백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및 그 제조방법
CN109045460B (zh) 一种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US20150141910A1 (en) Microneedles for therapeutic agent delivery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N104826228B (zh) 用于皮肤修复与保养的生物贴
KR20150016355A (ko) 하나 이상의 화장 성분을 포함하는 미세바늘
WO2014044808A2 (en) Fast-penetration cosmetic dermal filler for topical application
CN104921961B (zh) 一种多效修复的可降解生物微针贴
EP3685876B1 (en) Hyaluronic acid filler using microneedle patch
KR20150011260A (ko) 패치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키트 및 미용 방법
CN113727751A (zh) 微针装置及其制法
CN113197814A (zh) 一种玻尿酸微针贴片制备方法
JP2021509344A (ja) 皮膚増強のための高装填マイクロニードル及び組成物
Huang et al. Sustained release microneedles: materials and applications in facial rejuvenation
JP7429458B2 (ja) 抗シワ組成物、抗シワ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30398040A1 (en) A multi-layered sheet mask
WO2021182269A1 (ja) 天然保湿因子含有貼付型化粧料
TWM643895U (zh) 微針貼片
CN102917752A (zh) 带微小突起的阵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