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042A -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042A
KR20200006042A KR1020197030582A KR20197030582A KR20200006042A KR 20200006042 A KR20200006042 A KR 20200006042A KR 1020197030582 A KR1020197030582 A KR 1020197030582A KR 20197030582 A KR20197030582 A KR 20197030582A KR 20200006042 A KR20200006042 A KR 2020000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inner container
contents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나카하시
나츠유키 만넨
덴미 구와가키
Original Assignee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8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 Y02W30/805
    • Y02W30/80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내부 용기가 변형되는 용기로서, 재이용 가능하고, 보향성이 우수한 토출 용기를 제공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토출 용기(10)는, 내용물이 충전됨과 함께 해당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 내부 용기, 및 해당 내부 용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해당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부 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13)와,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천장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에 장착되는 토출 캡(15)과, 외부와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토출 용기
본 발명은,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토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내부 용기, 및 해당 내부 용기가 내장됨과 함께 해당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부 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해당 용기 본체의 주둥이부에 장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과, 외부와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캡은, 천장 있는 통형의 본체 통 부재와, 해당 본체 통 부재 내에 연통하는 주출통과, 본체 통 부재 내 및 주출통 내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역지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4-23128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토출 용기는, 그 대부분이 PP(폴리프로필렌)제인 점에서, 재이용(리사이클)이 곤란한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토출 용기는, 내용물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일(미장성) 수 없는 것이었고, 또한, 내용물의 향기를 유지하는 성능(보향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내부 용기가 변형되는 용기로서, 내용물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일 수 있는 미장성이 있고, 재이용(리사이클) 가능하며, 보향성이 우수한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는, 적어도 이중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토출 용기로서, 당해 용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충전됨과 함께 해당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 내부 용기, 및 해당 내부 용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해당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부 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천장면부에 형성되어 있고, 해당 용기 본체의 주둥이부에 장착되는 토출 캡과,
외부와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양태의 토출 용기는, 소위 페트(PET) 용기의 일종인 점에서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내용물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일 수 있는 미장성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토출 용기에 비해, 내용물의 향기를 유지하는 성능, 즉 보향성이 향상된다.
토출 용기에 있어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한쪽 또는 양쪽이,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토출 용기의 내용물이 액상 식품이어도 된다.
토출 용기의 내용물이 간장 함유 조미료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내부 용기가 변형되는 용기로서, 내용물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일 수 있는 미장성이 있고, 재이용(리사이클) 가능하며, 보향성이 우수한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밸브체부의 일부에 유통 허용 홈이 형성된 토출 용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유통 허용 홈 및 그 주변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는 상이한 형태의 밸브체부의 일부에 유통 허용 홈이 형성된 토출 용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유통 허용 홈 및 그 주변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토출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토출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토출 용기를 구성하는 연결체 등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토출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토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토출 용기(10)는, 내용물 M(도 5 참조)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 M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내부 용기(11), 및 내부 용기(11)가 내장됨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한 외부 용기(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3)와,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에 장착되고, 내용물 M을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된 토출 캡(15)과, 토출 캡(15)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오버 캡(16)을 구비하고 있다(도 1, 도 8 등 참조).
토출 용기(10)의 용기 본체(13)는, 주둥이부(13a)와 동체부(13b)를 갖는다. 동체부(13b)는 견부(13c), 웨스트부(13d), 하측 동체부(13e), 바닥부(13f)를 갖고 있다(도 8 등 참조).
용기 본체(13)는, 바닥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은 천장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며, 오버 캡(16)의 덮개 덮임 상태에 있어서, 이들 용기 본체(13) 및 오버 캡(16)의 각 중심축이 공통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이 공통축을 용기축 O라 하고,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오버 캡(16)측을 상측, 용기 본체(13)의 바닥부(13f)측을 하측이라 하고, 또한 용기축 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 하고, 용기축 O를 중심으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또한, 용기 본체(13)는, 내부 용기(11)가 외부 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보틀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폐기될 수 밖에 없던 PP제 등의 종래의 토출 용기와는 달리, 사용 후에 재이용(리사이클)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내용물 M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일 수 있는 미장성을 갖는다. 또한, 토출 캡(15)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가 아닌 경우에는, 회수 공정의 어느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당해 토출 캡(15)이 제거된 상태의 용기 본체(13)가 재이용되게 된다.
또한,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인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PP제 등의 종래의 토출 용기와 비교하여, 내용물의 향기를 유지하는 성능, 요컨대 보향성이 우수하다.
또한,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로 하면서도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용기(11)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용기(11)의 두께를, 통상의 PET 용기의 두께(사용 목적이나 부위에 따라 PET 보틀(용기)의 두께는 다르지만, 예를 들어 1L 간장 PET 보틀의 경우, 두께는 대체로 0.2 내지 0.3㎜ 두께)의 2/3 내지 1/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정도 이하, 수치의 예를 들면 예를 들어 0.03 내지 0.2㎜ 두께,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5㎜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0㎜ 두께 등으로 하여, 내부 용기(11)가 외부 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며, 또한, 내용물이 충전됨과 함께 해당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이용 가능한 PET제의 토출 용기(PET 디라미네이션 용기)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부 용기(11)의 두께를 통상의 PET 용기의 두께의 2/3 내지 1/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정도 이하, 수치로서 0.03 내지 0.2㎜ 두께,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5㎜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0㎜ 두께 등 가요성을 갖게 하면, 당해 내부 용기(11)에 산소 투과성이 발생하여, 산소의 투과를 억제하는 기능(산소 배리어 기능)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용기(11)를,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외부 용기(12)를,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내부 용기(11) 대신에 외부 용기(12)를,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할 수 있고,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의 양쪽을,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보다 강력하게 배리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산소 흡수제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내용물 M의 보존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산소 흡수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내부 또는 표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161462호 공보(국제 공개 제2005/083003호 공보)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폴리아미드 재료 및 탈산소 재료를 갖는 것(폴리아미드/전이 금속 촉매계 산소 흡수제라고도 함)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공지된 무기계 산소 흡수제(예를 들어, 환원철과 아황산나트륨)나, 유기계 산소 흡수제(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류, 에틸렌계 불포화탄화수소/전이 금속 촉매계, 시클로헥센 측쇄 함유 폴리머/전이 금속 촉매계)도 사용할 수 있다. 산소 흡수제는 수지 속에 이겨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흡수제의 종류나 배합량은, 당업자라면 원하는 배리어 기능 등의 효과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전이 금속 촉매계 산소 흡수제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대해서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 배합해도 된다.
폴리아미드 재료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재료 호모폴리머 재료 또는 코폴리머 아미드 재료일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호모폴리머도 코폴리머도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재료의 바람직한 종류는 MX 나일론이다. MX 나일론은 m-크실릴렌디아민 단독, 또는 m-크실릴렌디아민 및 p-크실릴렌디아민을 전체의 30%보다 적은 양으로 함유하고, 6 내지 10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ω-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실릴렌디아민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구조 유닛을, 적어도 70몰%로 함유하는 폴리머이다.
MX 폴리머의 예에는, 폴리-m-크실릴렌아디프아미드, 폴리-m-크실릴렌세바카미드와 같은 호모폴리머, m-크실릴렌/p-크실릴렌아디프아미드 코폴리머, m-크실릴렌/p-크실릴렌피페라미드 코폴리머, 및 m-크실릴렌/p-크실릴렌아제라미드 코폴리머 등의 코폴리머, 및 이들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성분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지방족 디아민, 피페라진과 같은 환상 디아민, p-비스(2-아미노에틸)벤젠과 같은 방향족 디아민, 테레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ε-카프로락탐, ω-아미노헵탄산과 같은 ω-아미노카르복실산, 및 p-아미노벤조산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카르복실산과의 코폴리머가 포함된다. 임의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나일론 11과 같은 폴리머를 MX 폴리머와 병용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메타크실릴렌디아민(H2NCH2-m-C6H4-CH2NH2)과 아디프산(HO2C(CH2)4CO2H)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머이며, 이것은 일본의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사가 MXD6의 표시로 제조 및 판매하는 제품이다. MXD6의 다양한 그레이드, 예를 들어 그레이드 6001, 6007, 6021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지방족 폴리아미드 재료는, 나일론 66이다. 다른 적절한 폴리아미드에는, GRIVORY(등록상표)(예를 들어, GRIVORY(등록상표) G16 및 G21, 이들은 선상 지방족 유닛 및 환상 방향족 성분을 갖는 코폴리아미드이며, EMS-Chemie Inc.로부터 입수 가능함)와, VERSAMID(등록상표)(잉크 수지로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이며, Cogni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함)가 포함된다.
희석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재료 외에, 프리 블렌딩은 탈산소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탈산소 재료는, 프리 블렌딩의 중량으로, 약 20ppm 내지 약2000ppm, 바람직한 약 50ppm 내지 약 1500ppm으로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 블렌딩의 중량으로, 프리 블렌딩은 바람직한 약 100ppm 내지 약1000ppm으로 탈산소 재료를 함유하고 있다.
탈산소 재료는, 예를 들어 주기율표의 제1, 제2, 및 제3 전이 계열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착체 또는 염이어도 된다.
탈산소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금속에는, 철, 코발트, 구리, 망간, 아연, 니켈,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및 백금이 포함된다. 탈산소 재료의 예로서,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늄 카바이드, 염화알루미늄, 코발트 분말, 산화코발트, 염화코발트, 안티몬 분말, 산화안티몬, 안티몬 삼아세트산, 염화안티몬 Ⅲ, 염화안티몬 Ⅴ, 철, 전해철, 산화철, 백금, 알루미나상의 백금, 팔라듐, 알루미나상의 팔라듐, 루테늄, 로듐, 구리, 산화구리, 니켈, 및 혼합 금속의 나노 입자(즉, 코발트 철 옥사이드 나노 입자)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중, 코발트, 철, 니켈, 구리, 또는 망간 화합물은, 바람직한 탈산소 재료이다. 그 중에서도, 코발트 화합물은 가장 바람직한 탈산소 재료인 탈산소 재료는, 금속의 염 또는 착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염의 음이온은 무기 또는 유기일 수 있다. 음이온의 예에는, 할라이드 특히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스테아레이트, 및 옥토에이트가 포함된다. 다른 탈산소 재료에는, 브롬화 코발트(Ⅱ) 및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가 포함된다.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는, 코발트SICCATOL(등록상표)로서 입수 가능하다.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는, C8 내지 C10의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이며, 코발트의 농도(금속으로서)는, 그 용액에 대해서 약 10중량%이다.
용기의 최내층에 있어서의 탈산소 재료의 배치나 양은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통부(17)와, 하측에 위치하고 상통부(17)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된 하통부(18)를 구비하는 2단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통부(17) 중, 외부 용기(12)로 구성된 부분(이하, '외측 상통부'라고 함)(17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상통부(17a)에 있어서, 수나사부(29)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내부 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29)에 있어서 흡기 구멍(19)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기축 O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상통부(17a)의 내주면은 원통면으로 되고, 이 내주면에, 상통부(17) 중, 내부 용기(11)로 구성된 부분(이하, '내측 상통부'라고 함)(17b)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측 상통부(17b)의 상단부는,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접혀 외측 상통부(17a)의 개구단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토출 캡(15)은,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를 폐색하는 속마개 부재(21)와, 해당 속마개 부재(21)를 덮음과 함께 토출구(14)가 형성된 천장 있는 통형의 본체 통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속마개 부재(21)는, 외주연부가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의 개구단부 위에 배치된 마개 본체(47)와, 해당 마개 본체(47)로부터 세워 설치된 연통 통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 본체(47)는,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 내에, 해당 주둥이부(13a)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 바닥 있는 통형의 내통부(24)와, 내통부(24)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의 개구단부 위에 배치된 플랜지부(25)와, 플랜지부(25)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외통부(26)와, 내통부(24)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플랜지부(25)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고,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 내에 액체 밀봉식으로 끼워 맞춰진 중간 통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내통부(24), 플랜지부(25), 외통부(26) 및 중간 통부(27)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26)의 하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외기 유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4)의 바닥 벽부에는, 상기 연통 통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바닥 벽부에는, 내부 용기(11) 내 및 연통 통부(22) 내의 양쪽에 개구되는 관통 구멍(42)이 관통되어 있다. 해당 관통 구멍(42)은,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됨과 함께 연통 통부(22)의 내경보다도 소경이며, 관통 구멍(42)의 용기축 O 방향을 따른 크기는, 연통 통부(22)의 용기축 O 방향을 따른 크기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본체 통 부재(23)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된 천장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 통 부재(23)의 주위벽부(23a)의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의 수나사부(29)에 나사 장착된 암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부(23a) 중, 암나사부(30)가 형성된 나사 부분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하단부 내에는, 용기 본체(13)의 주둥이부(13a)에 있어서의 하통부(18)가 기밀 상태로 끼워 맞춰지고, 상기 나사 부분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 내에는, 속마개 부재(21)의 외통부(26)가 끼워 맞춰져 있다.
본체 통 부재(23)의 천장벽부(23b)는, 주위벽부(23a)의 상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환형의 하판부(31)와, 하판부(31)의 내경보다도 소경으로 되고, 하판부(31)보다도 상방에 배치된 상판부(32)와, 하판부(31)의 내주연과 상판부(32)의 외주연을 연결하는 연결 환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하판부(31), 상판부(32) 및 연결 환부(33)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판부(32)에는, 본체 통 부재(23) 내와 외부를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34)을 갖는 외기 도입용 돌기(3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부(32)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고, 내경이 속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의 내경과 동등하게 된 수용 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부(32)에는, 내부가 상기 토출구(14)로 된 토출통(36)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해당 토출구(14) 내에는, 오버 캡(16)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내측 시일 통부(시일부)(37)가 끼워 맞춰져 있다. 토출구(14)의 축선 방향은, 용기축 O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속마개 부재(21)와 본체 통 부재(23)의 사이에는, 속마개 부재(21)의 연통 통부(22)에 외부 끼움된 통형 부재인 외부 끼움 통부(40)가 배치되어 있다. 해당 외부 끼움 통부(40)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고, 외부 끼움 통부(40)의 하단부는, 연통 통부(22)에 외부 끼움됨과 함께 속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 내에 끼워 맞춰지고, 외부 끼움 통부(40)의 상단부는, 본체 통 부재(23)의 수용 통부(35)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외부 끼움 통부(40)의 용기축 O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는,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된 환형의 공기 밸브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밸브부(41)는, 수용 통부(35)와 연결 환부(33) 사이의 공간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기 밸브부(41)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고, 흡기 구멍(19)과 외기 도입 구멍(34)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한다.
또한 속마개 부재(21)에는, 토출구(14)와 내부 용기(11) 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43)은, 연통 통부(22)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고,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축 O 방향과, 연통 구멍(43)의 축선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연통 구멍(43)은, 토출구(14)보다도 하측, 즉 용기축 O 방향을 따른 내부 용기(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통 구멍(43)의 내용적은, 토출구(14)의 내용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43) 내에는,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탄성 변위하여 당해 연통 구멍(43)을 개폐하는 밸브체부(44)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부(44)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된 바닥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주연 상단부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플랜지부(44a)로 되어 있으며, 밸브체부(44)(플랜지부(44a))가 연통 통부(22)의 상단 개구면 위에 맞닿아, 관통 구멍(42)과 연통 구멍(43)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부(44)의 중앙부에는, 내측 시일 통부(37)의 하단부(37a)가 맞닿는 돌출부(44b)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밸브체부(44)의 주연 상단은, 연통 통부(22)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밸브체부(44)의 주연 상단에는, 밸브체부(44)와 외부 끼움 통부(40)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편(45)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탄성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도시한 예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고, 각 탄성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탄성 연결편(45)의 양단부의 용기축 O 방향의 위치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부(44), 외부 끼움 통부(40), 탄성 연결편(45) 및 공기 밸브부(41)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탄성 연결편(45)은, 탄성 변형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것을 허용한다(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탄성 연결편(45)이 탄성 변형하면서 밸브체부(44)가 변위되는 것을 탄성 변위라 표현하고 있음). 탄성 연결편(45)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3개)인 경우, 이들 탄성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 연결편(45)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탄성 변위할 때의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에 수직인 면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기울어진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 당해 밸브체부(44)의 원활한 변위를 보조할 수 있다(도 7 참조).
밸브체부(44)가 탄성 변위할 때, 탄성 연결편(45)은, 일부에 비틀기가 가해져서 탄성 변형하면서 전체적으로 경사진 상태로 된다(도 7 참조). 이때, 탄성 연결편(45) 자체는 일부가 비틀린 상태로 되고, 게다가 상태에 따라서 전체가 신장된 상태로 되어, 당해 탄성 연결편(45)의 탄성 복원력이, 밸브체부(44)를 변위 전의 위치로 복원 변위(복귀)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탄성 변위 혹은 복원 변위할 때,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지장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탄성 연결편(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밸브체부(44)의 초기 상태 또는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내측을 향해서 복원 변위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밸브체부(44)와 외부 끼움 통부(40)의 사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부(44)의 플랜지부(44a)와 외부 끼움 통부(40)의 내주면의 사이)의 좁은 간극에 간결하게 수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오버 캡(16)을 구비하는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오버 캡(16)을 폐쇄해서 덮개 덮임 상태로 할 때 내용물 M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하여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연통 통부(22)의 환형의 상단면이, 밸브체부(44)의 주연 상단부에 마련된 환형의 플랜지부(44a)와 맞닿아 해당 밸브체부(44)를 받치는 밸브 시트(밸브 누르개)(22a)로서 기능한다. 이때, 밸브체부(44)의 저면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맞닿아도 맞닿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밸브체부(44) 중 밸브 시트(22a)와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에는, 내용물 M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 허용 홈(44c)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유통 허용 홈(44c)은, 밸브체부(44)가 밸브 시트(22a)에 착석한 후, 내부 공간(46)에 잔류된 내용물 M을 내부 용기(11) 내로 복귀시키고, 또한 그 최종 단계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해당 내용물 M이 해당 유통 허용 홈(44c)을 폐색(공기의 유통을 저지)하는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내부 공간(46)에 잔류된 내용물의 일부가, 상기 유통 허용 홈(44c)에 의해 내부 용기로 복귀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유통 허용 홈(44c)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통 허용 홈(44c)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3, 도 4에 도시한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평판형의 밸브체부(44)가 채용되어 있다. 이 밸브체부(44) 중 밸브 시트(22a)와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에는, 내용물 M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 허용 홈(44c)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이 유통 허용 홈(44c)도 또한, 밸브체부(44)가 밸브 시트(22a)에 착석한 후, 내부 공간(46)에 잔류된 내용물 M을 내부 용기(11) 내로 복귀시키고, 또한 그 최종 단계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해당 내용물 M이 해당 유통 허용 홈(44c)을 폐색(공기의 유통을 저지)하는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통 허용 홈(44c)은, 밸브체부(44)의 이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외부 모서리까지 직선형으로, 예를 들어 직경과 동등한 길이가 되도록 마련해도 되고, 외부 모서리로부터 당해 이면의 중앙 부분의 임의 위치까지의 길이로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토출구에 내용물 M이 잔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사용할 때나 보관 시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등에, 이 잔류된 내용물 M의 누출이나 비산에 의해, 주위를 더럽힐 우려가 있다. 또한, 오버 캡(16)을 폐쇄해서 덮개 덮임 상태로 할 때, 상기 내부 공간(46)에 내용물 M이 잔류되어 있는 경우에는, 토출구(14)에 들어가 끼워 맞추려고 하는 내측 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 M을 압출하는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등에 도시한 토출 용기에 있어서, 토출구(14)의 부근이나 내부 공간(46)에 고여 있던 내용물 M은, 유통 허용 홈(44c)으로 유통되어, 관통 구멍(42)을 통하여 내부 용기(11)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버 캡(16)을 닫아 덮개 덮임 상태로 할 때, 내용물 M이 넘쳐서 오버 캡(16)의 내측이나 토출 캡(15)의 표면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밸브체부(44)에만 유통 허용 홈(44c)을 마련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밖에,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것에 추가하여 밸브 시트(22a)에도 유통 허용 홈을 마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토출 용기(10)로부터 내용물 M을 토출할 때에는, 우선, 토출 캡(15)으로부터 오버 캡(16)을 제거한다. 그 후, 토출구(14)가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도 5 참조), 토출 용기(10)를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압입하여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켜, 내부 용기(11)를 외부 용기(12)와 함께 변형시켜 용적 감소시킨다.
그렇게 하면, 내부 용기(11)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내부 용기(11) 내의 내용물 M이 관통 구멍(42)을 통하여 밸브체부(44)를 압박하게 되어, 탄성 연결편(45)이 탄성 변형되어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외측을 향해 탄성 변위되어, 연통 구멍(43)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 내부 용기(11) 내의 내용물 M이, 관통 구멍(42), 연통 구멍(43), 외부 끼움 통부(40) 내 및 토출구(14)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도 5 참조).
그 후,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내부 용기(11) 내의 내용물 M에 의한 밸브체부(44)에 대한 압박력을 약화시키면, 탄성 연결편(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내측을 향해 복원 변위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가 연통 구멍(43) 내에 진입하면, 밸브체부(44)의 외주면이 연통 구멍(43)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연통 구멍(43)이 폐색된다. 이에 의해, 본체 통 부재(23)와 속마개 부재(21) 사이에, 내부 용기(11)로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 M이 잔존하는 내부 공간(46)이 형성된다. 이 내부 공간(46)은, 토출구(14)에 연통함과 함께 밸브체부(44)를 구획벽의 일부로 하고, 해당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과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부 공간(46)이 형성된 후, 해당 밸브체부(44)가 복원 변위를 계속해서 연통 구멍(43) 내를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 밸브체부(44)의 복원 변위에 수반하여 내부 공간(46)의 내용적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14) 내의 내용물 M을 내부 공간(46) 내로 끌어당겨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토출구(14) 내로 외부로부터 공기 A를 흡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3)의 압박을 해제하면, 내부 용기(11)가 용적 감소 변형된 채 외부 용기(12)가 복원 변형되려고 한다. 이때,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흡기 구멍(19)을 통하여 공기 밸브부(41)에 작용함으로써, 공기 밸브부(41)가 개방 상태로 된다. 그러면, 외기 도입 구멍(34), 외기 유통 구멍(28), 연통 홈(20) 및 흡기 구멍(19)을 통하여 외부 용기(12)와 내부 용기(11) 사이에 외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외부 용기(12)와 내부 용기(11) 사이의 내압이 대기압까지 상승하면, 공기 밸브부(41)가 복원 변형되어 흡기 구멍(19)과 외부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내용물 M의 토출 후에 내부 용기(11)의 용적 감소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밸브체부(44)가 밸브 시트(22a)에 착석하여 폐색 상태로 된 시점에서 내부 공간(46)에 내용물 M이 잔류되었다고 해도, 당해 잔류된 내용물 M은, 유통 허용 홈(44c) 및 밸브체부(44)의 외주면과 연통 통부(22)의 내주면의 간극을 통하여 내부 용기(11) 내로 복귀될 수 있다. 나아가, 그 최종 단계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내용물 M이 유통 허용 홈(44c)을 폐색하여 공기의 유통을 저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용기 본체(13)의 외부 용기(12)를 스퀴즈 변형시키면, 공기 밸브부(41)는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점에서 외부 용기(12)와 내부 용기(11) 사이의 내압이 정압으로 되고, 이 정압에 의해 내부 용기(11)가 용적 감소 변형되고, 전술한 작용에 의해 내용물 M이 토출된다.
또한, 내용물 M을 토출한 후,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되기 전에,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할뿐만 아니라 해제도 한 경우, 내부 용기(11)가 외부 용기(12)에 추종하여 복원 변형되려고 한다. 그러면, 내부 용기(11)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부압이 밸브체부(44)에 작용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 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내측을 향해 원활하게 복원 변위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인 점에서, 내용물 M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일 수 있는 미장성을 갖고, 사용 후에 재이용(리사이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PP제 등의 종래의 토출 용기와 비교하여, 보향성(내용물의 향기를 유지하는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0)에 의하면, 내용물 M의 토출 후, 토출구(14) 내의 내용물 M을 내부 공간(46) 내로 끌어당겨 넣어, 토출구(14) 내로 외부로부터 공기 A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내부 용기(11)로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 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내용물 M의 토출 후, 내용물 M이 토출구(14)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42)이 연통 구멍(43)보다도 소경이므로, 밸브체부(44)가 의도치 않게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내부 용기(11)의 내측으로 변위하려고 해도, 밸브체부(44)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맞닿게 되어, 밸브체부(44)의 전술한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오버 캡(16)에 내측 시일 통부(37)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오버 캡(16)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 M이 예기치 않게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 M의 토출 후, 내부 용기(11)로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 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 M의 토출 후에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시키고, 내측 시일 통부(37)를 토출구(14) 내에 끼워 맞추었을 때, 내측 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 M이 토출구(14)로부터 외부로 밀려 나오거나, 내측 시일 통부(37)에 내용물 M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밸브부가 있는 토출 용기(10)를 설명하였지만, 공기 밸브부를 구비하지 않은 토출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공기 밸브부가 없고 극도로 좁은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3)를 구성하는 내부 용기(11) 및 외부 용기(12)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토출 용기(10)는, 내용물 M이, 액상 식품을 비롯한 각종 액상물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액상 식품의 구체예로서는, 간장, 간장 가공품 등의 간장 함유 조미료, 혹은 그 밖의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의 용기 본체(13)를 시험 제작하고, 이들에 있어서의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의 실제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이하의 기기, 측정 방법 등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기기: OLYMPUS Magna-Mike 8600
측정 금속 볼: 1/16 IN
측정 방법: 특별히 상세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견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4개의 리브(돌기)가 있고, 그 연장선상 4군데에 대하여, 용기 본체(13)의 바닥부(13f)로부터 높이 30㎜마다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의 두께(살 두께)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에 의해 얻어진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의 두께는,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단위는 [㎜]이며, <1> 내지 <4>는, 견부 리브의 연장선상 4군데의 각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금형의 이음매(「파팅 라인」)가 이 4개 중 2개의 리브 위에 있으며, 나머지 리브는 파팅 라인으로부터 90°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일반적으로는 파팅 라인을 표적으로 삼아 용기의 두께 측정이 행해진다.
[내부 용기의 두께]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1> 0.057, <2> 0.075, <3> 0.078, <4> 0.08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1> 0.074, <2> 0.087, <3> 0.099, <4> 0.077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1> 0.067, <2> 0.096, <3> 0.116, <4> 0.073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1> 0.066, <2> 0.09, <3> 0.115, <4> 0.057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1> 0.081, <2> 0.099, <3> 0.123, <4> 0.079
또한, 내부 용기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는 이하와 같이 되었다.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73, 표준 편차 0.010536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84, 표준 편차 0.01129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88, 표준 편차 0.02246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82, 표준 편차 0.026038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96, 표준 편차 0.020421
[외부 용기의 두께]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1> 0.253, <2> 0.246, <3> 0.255, <4> 0.263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1> 0.276, <2> 0.256, <3> 0.286, <4> 0.252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1> 0.278, <2> 0.261, <3> 0.297, <4> 0.26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1> 0.245, <2> 0.246, <3> 0.267, <4> 0.343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1> 0.275, <2> 0.27, <3> 0.266, <4> 0.31
또한, 외부 용기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는 이하와 같이 되었다.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54, 표준 편차 0.006994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68, 표준 편차 0.016197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75, 표준 편차 0.01621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75, 표준 편차 0.046292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80, 표준 편차 0.020172
또한, 상기 측정 결과로부터 얻어진,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각각의 두께 분포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내부 용기의 두께 분포]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72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842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88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82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955
[외부 용기의 두께 분포]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542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67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752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7525
바닥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8025
≪제2 실시 형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이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이라고도 함)(101)는, 압박에 의한 변형에 대해서 원형 복귀 가능한 외각 보틀(102)과, 외각 보틀(102)의 내측에 수용되어 압박에 의해 변형되는 내부 용기체(103)로 이루어진다.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예를 들어 300 내지 1000밀리리터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된다.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방향족계 다가 카르복실산과 지방족계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합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쇄 주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특히 적합하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합성 수지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인성이 높아지므로,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적어도 0.7 이상의 고유 점도를 갖는 수지가 적합하다. 또한, 내용물에 직접 접하지 않는 외각 보틀(102)에는, 음료 식품용 합성 수지제 보틀로서 사용되고 있던 수지의 리사이클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어, 환경 부하가 보다 저감된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로 할 수 있다.
외각 보틀(102)은, 원통형의 외부 주둥이부(104)와, 외부 주둥이부(104)의 하단부로부터 점차 확경되는 견부(105)와, 견부(105)에 연접하는 동체부(106)와, 동체부(106)에 연접하고, 점차 축경되는 바닥부(107)를 구비하고 있다. 외각 보틀(102)은 바닥부(107)의 내주측에 외각 보틀(102)의 내측으로 팽출하여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에 자립성을 부여하는 저면 요입부(108)를 구비하고 있으며, 바닥부(107)와 저면 요입부(108)의 사이가 접지부(109)로 되어 있다.
외부 주둥이부(104)는 외주면에 수나사부(110)와, 서포트 링(111)을 구비하고, 견부(105)는 외부 주둥이부(104)에 접하는 부분이 제1 사각추형부(112)로 되어 있으며, 제1 사각추형부(112)의 하방에 제1 사각추형부(112)로부터 동체부(106)를 향해 점차 확경됨과 함께 사각추의 각이 매끄러워지는 동체부 상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동체부(106)는, 동체부 상부(113)에 연접하고, 확경으로부터 비확경으로 전환되는 제1 부위(106a)와, 제1 부위(106a)의 하부에 연접하여 소정의 길이에 걸쳐 동일 직경을 구비하는 제1 곧은 동체부(106b)와, 제1 곧은 동체부(106b)에 연접하는 통형 동체부(106c)와, 통형 동체부(106c)에 연접하여 소정의 길이에 걸쳐 동일 직경을 구비하는 제2 곧은 동체부(106d)와, 제2 곧은 동체부(106d)가 바닥부(107)에 연접하여, 축경으로 전환되기 전의 비축경 부위(106e)를 구비하고 있다.
통형 동체부(106c)는, 축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 형상이며, 단차부(106f)를 거쳐 제1 곧은 동체부(106b)에 연접하는 한편, 단차부(106g)를 거쳐 제2 곧은 동체부(106d)에 연접되어 있다. 단차부(106f)는 제1 곧은 동체부(106b)로부터 통형 동체부(106c)를 향해 점차 축경되어 있으며, 단차부(106g)는 제2 곧은 동체부(106d)로부터 통형 동체부(106c)를 향해 점차 축경되어 있다.
또한, 통형 동체부(106c)는, 단차부(106f)의 하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점차 축경되고, 중앙부로부터 단차부(106g)의 상단부를 향해 점차 확경되는 장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통형 동체부(106c)는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브(114)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107)는, 접지부(109)에 접하는 부분이 제2 사각추형부(115)로 되어 있으며, 제2 사각추형부(115)의 상방에, 제2 사각추형부(115)로부터 제2 곧은 동체부(106d)를 향해 점차 확경됨과 함께 사각추의 각이 매끄러워지는 동체부 하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제2 사각추형부(112, 115)는 각각 축에 직교하는 단면이 사각 형상이며 그 정점에는 R이 부여되어 있으며, 해당 정점에 능선(112a, 115a)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능선(115a)은 능선(112a)의 연장상으로 이어져 있다.
한편, 내부 용기체(103)는, 외부 주둥이부(104)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원통형 내부 주둥이부(117)와, 내부 주둥이부(117)에 연접하고, 외각 보틀(102)의 견부(105), 동체부(106), 바닥부(107), 저면 요입부(108), 접지부(109)의 내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의 내부 용기체 본체(118)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주둥이부(117)는, 상부에 외부 주둥이부(104)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119)와, 연장 돌출부(119)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20)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랜지부(120)에 의해 외부 주둥이부(104)의 상단 모서리에 걸어 멈춰져 있다.
또한, 내부 주둥이부(117)는, 외주면에 세로 홈(121)을 구비하고 있다. 세로 홈(121)은 플랜지부(120)의 하면에 형성된 가로 홈(122)에 연접되어 있으며, 가로 홈(122)은 플랜지부(120)의 외주연에서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이 결과, 세로 홈(121) 및 가로 홈(122)에 의해, 외각 보틀(102)과 내부 용기체(103)의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는 통기로(12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사용 시에는 내부 용기체(103)에 도시하지 않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한편, 외부 주둥이부(104)와 내부 주둥이부(117)로 이루어지는 용기 주둥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역지 밸브를 구비한 주출 캡이 장착되어 있다.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상기 내용물을 주출할 때에는, 외부 주둥이부(104) 및 내부 주둥이부(117)를 하방을 향해 기울이고, 외각 보틀(102)의 통형 동체부(106c)를 파지하여 압박한다. 이렇게 하면, 내부 용기체 본체(118)가 표면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접혀 용적 감소 변형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내부 주둥이부(117)로부터 상기 역지 밸브를 통해 주출된다.
다음으로, 외각 보틀(102)의 통형 동체부(106c)의 압박을 해제하면, 외각 보틀(102)과 내부 용기체 본체(118)의 사이에 통기로(123)로부터 외기가 도입되고, 외기압에 의해 외각 보틀(102)은 원형으로 복귀되지만 내부 용기체 본체(118)는 상기 역지 밸브의 작용에 의해 용적 감소 변형한 채의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외기가 내부 주둥이부(117)로부터 내부 용기체 본체(118)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외각 보틀(102)과 내부 용기체 본체(118)의 사이에는 외기가 도입되므로, 해당 외기 중의 산소 등이 내부 용기체 본체(118)를 투과해서 내부에 침입되는 것이 염려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에 있어서, 내부 용기체(103)는, 내부 용기체(103)를 구성하는 수지 속에 3 내지 8질량%의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용존 산소를 제거한 증류수를 만주 충전하여 내부 주둥이부(117)를 밀봉하고, 해당 외각 보틀과 내부 용기체 사이의 통기로를 개방 상태로 하여 20℃의 온도에서 60일간 유지한 후의 해당 증류수의 용존 산소량이 3ppm 이하로 되는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내부 용기체 본체(118)를 투과해서 내부에 침입하는 외기 중의 산소를 저감할 수 있어, 내부 용기체 본체(118) 내에 수용되어 있는 간장을 포함하는 액체 조미료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이 외기 중의 산소 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산소 배리어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탈산 소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m-크실릴렌디아민 모노머 단위, p-크실릴렌디아민 모노머 단위, 또는 이들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산소제로서는, 코발트, 철, 니켈, 구리, 망간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 염 혹은 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산소 배리어제로서, 예를 들어 발스파·소싱·인코포레이티드사제 valOR(상품명)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예를 들어 방향족계 다가 카르복실산과 지방족계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합성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외부 프리폼의 내주측에, 상기 산소 배리어제를 3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합성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내부 프리폼을 배치하여, 해당 외부 프리폼과 해당 내부 프리폼을 동시에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압박에 의한 변형에 대해서 원형 복귀 가능한 외각 보틀의 내부에, 압박에 의한 용적 감소에 의해 변형되는(이하, 「용적 감소 변형」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내부 용기체를 배치하고, 해당 외각 보틀과 해당 내부 용기체의 사이에 외기가 도입되도록 한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2017-065712호 공보 참조).
상기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은, 외각 보틀의 동체부를 압박함으로써, 내부 용기체를 용적 감소 변형시켜 내부 용기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주둥이부로부터 주출 하는 한편, 압박이 해제되면 별도 마련된 역지 밸브 등의 작용에 의해 외각 보틀과 내부 용기체의 사이에 외기가 도입된다. 이 결과, 외기압에 의해 외각 보틀이 원형 복귀되는 한편, 상기 내부 용기체는 용적 감소 변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할 때에는, 상기 주둥이부로부터 내부 용기체의 내부로 외기가 침입되는 일이 없으므로, 내부 용기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외기 중의 산소 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상기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에서는, 압박이 해제되었을 때 외각 보틀과 내부 용기체의 사이에 도입되는 외기 중의 산소 등이 해당 내부 용기체를 투과해서 내부에 침입되어, 상기 내용물을 변질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로서는, 다중 용기로서, 외각 보틀과 내부 용기체가 폴리에틸렌제의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제 다중 용기는 투명성이 떨어져, 내용물을 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간장 혹은 간장을 포함한 액체 조미료 등에 있어서는, 장기 보존 시에 있어서의 침입 산소에 의한 색조, 향미 등의 변질 열화의 억제 대책으로서, 다중 용기의 산소 배리어성의 더 한층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폴리에틸렌 수지제 다중 보틀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수지의 산소 배리어성, 투명성이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해 우수한 PET 수지를 외각 보틀과 내부 용기체에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제 다중 보틀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제 다중 보틀에 있어서도, 장기간 보존에서의 내용물의 향미 등을 유지하고, 변색을 억제하여,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내부 용기체의 주둥이부로부터 침입되는 외기를 차단하고, 주둥이부로부터의 산소의 침입을 방지해도, 압박이 해제되었을 때 외각 보틀과 내부 용기체의 사이에 도입되는 외기 중의 산소 등이 해당 내부 용기체를 투과해서 내부에 침입되고, 상기 내용물을 변질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에 대한 대책이 불충분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어, 다중 용기로서는, 보다 한층 산소 배리어성을 높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제 다중 보틀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 상황의 과제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상기 외각 보틀(102)의 동체부를 압박해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용기체(103)를 용적 감소 변형시켜, 해당 내부 용기체(103)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상기 내부 주둥이부(117)로부터 주출한다. 그 후, 상기 외각 보틀(102)의 압박을 해제하면, 상기 통기로(123)로부터 해당 외각 보틀(102)과 상기 내부 용기체(103)의 사이에 외기가 도입되어, 외기압에 의해 해당 외각 보틀(102)이 원형 복귀되는 한편, 해당 내부 용기체(103)는 용적 감소 변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에서는, 상기 내부 주둥이부(117)로부터 상기 내부 용기체(103)의 내부로 외기가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외각 보틀(102) 및 내부 용기체(103)의 구성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블렌드 사용할 수 있고, 산소를 차단하고, 포착할 수 있는 산소 배리어제로서 액티브 배리어제, 혹은 패시브 배리어재로서 공지된 산소 배리어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체(103)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속에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산소 포착제를 병용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그 사용량은 내용물의 요구 품질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이 간장을 포함한 액체 조미료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경우, 해당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해당 내부 용기체(103)에 용존 산소를 제거한 증류수를 만주 충전하여, 해당 내부 주둥이부(117)를 밀봉하고, 해당 외각 보틀(102)과 내부 용기체(103) 사이의 통기로(123)를 개방 상태로 하여 20℃의 온도에서 60일간 보존한 후의 해당 증류수의 용존 산소량이 3ppm 이하로 되는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도록, 내부 용기체(103)를 형성하는 수지 속에 산소 배리어제를 적절하게 블렌드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상기 내부 용기체(103)에 용존 산소를 제거한 증류수를 만주 충전하여 상기 내부 주둥이부(117)를 밀봉하고, 해당 외각 보틀(102)과 내부 용기체(103) 사이의 통기로(123)를 개방 상태로 하여 20℃의 온도에서 60일간 유지한 후의 해당 증류수의 용존 산소량이 3ppm 이하로 되는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외각 보틀(102)의 압박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통기로(123)로부터 해당 외각 보틀(102)과 상기 내부 용기체(103)의 사이에 외기가 도입되어도, 외기 중의 산소 등이 해당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의 내부에 침입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에 있어서는, 해당 외각 보틀(102)과 해당 내부 용기체(103) 사이의 상기 통기로(123)를 개방 상태로 한 통상의 사용 상태와, 해당 외각 보틀이 없는 내부 용기체만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내부 용기체(103) 내의 용존 산소 농도를 비교한 결과, 다중 보틀로 사용하는 상태 쪽이 장기간에 걸쳐 용존 산소 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음을 지득하였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에 의하면, 다중 보틀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내부 용기체(103) 내에 수용되어 있는 간장을 포함한 액체 조미료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이 외기 중의 산소 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산소 투과성이, 상기 증류수의 용존 산소량이 3ppm을 초과한 것일 때에는, 해당 내부 용기체(103)의 내부에 수용한 액체 조미료의 산소에 의한 색조 변화 등의 변질을 충분히 저감, 방지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상기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 용기체(103)를 구성하는 수지 속에 3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내부 용기체(103)를 구성하는 수지 속에 함유하는 상기 산소 배리어제가 3질량% 미만일 때에는, 해당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의 내부에 대한 외기 중의 산소의 침입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내부 용기체(103)를 구성하는 수지 속에 함유하는 상기 산소 배리어제가 10질량%를 초과해도 산소 배리어성은 그다지 변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배리어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탈산 소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소 배리어제는,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산소의 침입 통과를 차폐하거나, 혹은 상기 탈산 소재가 침입된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내부 용기체(103)의 내부에 대한 외기 중의 산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을 폴리에스테르 수지제로 함으로써, 상기 산소 배리어제가 내부 용기체(103)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속에 균일 분산되기 쉬워,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소 배리어성과 어울려, 우수한 산소 배리어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2-1〕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외부 프리폼의 내주측에, 발스파·소싱·인코포레이티드사제 산소 배리어제(상품명: valOR A115J)를 3질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내부 프리폼을 배치하고, 해당 외부 프리폼과 해당 내부 프리폼을 동시에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형상을 구비하고, 내용량 500밀리리터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는, 내부 용기체(103)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 3질량%의 상기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통기로(123)를 개방 상태로 하고, 내부 용기체 본체(118)의 내면에 산소 농도 측정 센서 칩을 첩부하여, 내부 용기체(103)에 증류수를 만주 충전하였다. 이어서, 상기 증류수에 용존하고 있는 산소를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여 제거하고, 내부 주둥이부(117)를 히트 시일용 알루미늄박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20℃의 온도에서 60일간 유지한 후, 산소 투과성의 지표로서의 해당 증류수의 용존 산소 농도를 사전에 설치한 센서 칩에 의해 측정하여 용존 산소량으로 하였다. 본 측정은 프리센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산소 농도 측정 장치(상품명: Fibox3-Trace)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통기로(123)를 개방 상태로 하고, 내부 용기체(103)에 간장(기코만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만주 충전하고, 내부 주둥이부(117)를 히트 시일용 알루미늄박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20℃의 온도에서 60일간 유지한 후, 내용물의 색조 안정성을 눈으로 봐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산소 배리어제를 5질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내부 프리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형상을 구비하고, 내용량 500밀리리터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는, 5질량%의 상기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산소 투과성의 지표로서의 증류수의 용존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한편,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내용물의 색조 안정성을 눈으로 봐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산소 배리어제를 7질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내부 프리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형상을 구비하고, 내용량 500밀리리터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는, 7질량%의 상기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산소 투과성의 지표로서의 증류수의 용존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한편,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내용물의 색조 안정성을 눈으로 봐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산소 배리어제를 8질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내부 프리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형상을 구비하고, 내용량 500밀리리터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는, 8질량%의 상기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산소 투과성의 지표로서의 증류수의 용존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한편,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내용물의 색조 안정성을 눈으로 봐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산소 배리어제를 10질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내부 프리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형상을 구비하고, 내용량 500밀리리터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는, 10질량%의 상기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은, 내부 용기체(103)의 투명성이 조금 저하되는 경향이 보였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산소 투과성의 지표로서의 증류수의 용존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한편,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내용물의 색조 안정성을 눈으로 봐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본 비교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산소 배리어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내부 프리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형상을 구비하고, 내용량 500밀리리터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의 내부 용기체(103)는, 상기 산소 배리어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본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산소 투과성의 지표로서의 증류수의 용존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한편,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내용물의 색조 안정성을 눈으로 봐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용존 산소를 제거한 증류수를 만주 충전하고 내부 주둥이부(117)를 밀봉하여 20℃의 온도에서 60일간 유지한 후의 해당 증류수의 용존 산소량이 3ppm 이하가 되는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에 의하면, 해당 증류수의 용존 산소량이 3ppm을 초과하고, 7.0ppm 이상이 되는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는 비교예의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101)과 비교하여 내용물의 색조 안정성이 우수하고, 내용물의 변질의 방지에 대해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명확하다.
10: 토출 용기
11: 내부 용기
12: 외부 용기
13: 용기 본체
13a: 주둥이부
14: 토출구
15: 토출 캡
19: 흡기 구멍
34: 외기 도입 구멍
101: 합성 수지제 다중 보틀(토출 용기)
102: 외각 보틀
103: 내부 용기체(내부 용기)
104: 외부 주둥이부
105: 견부
106: 동체부
107: 바닥부
117: 내부 주둥이부
118: 내부 용기체 본체
123: 통기로
M: 내용물

Claims (8)

  1. 적어도 이중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토출 용기이며, 당해 용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토출 용기.
  2. 내용물이 충전됨과 함께 해당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 내부 용기, 및 해당 내부 용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해당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부 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천장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용기 본체의 주둥이부에 장착되는 토출 캡과,
    외부와 상기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토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한쪽 또는 양쪽이,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토출 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당해 토출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에 용존 산소를 제거한 증류수를 만주 충전하여 내부 주둥이부를 밀봉하고,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의 통기로를 개방 상태로 하여 20℃의 온도에서 60일간 유지한 후의 해당 증류수의 용존 산소량이 3ppm 이하가 되는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는, 토출 용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당해 내부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의 3 내지 10질량%의 범위 산소 배리어제를 함유하는, 토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배리어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탈산 소재를 함유하는 것인, 토출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액상 식품인, 토출 용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간장 함유 조미료인, 토출 용기.
KR1020197030582A 2017-04-05 2018-04-02 토출 용기 KR20200006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5276 2017-04-05
JPJP-P-2017-075276 2017-04-05
JPJP-P-2017-196194 2017-10-06
JP2017196194 2017-10-06
PCT/JP2018/014073 WO2018186334A1 (ja) 2017-04-05 2018-04-02 吐出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042A true KR20200006042A (ko) 2020-01-17

Family

ID=6371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582A KR20200006042A (ko) 2017-04-05 2018-04-02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55398B2 (ko)
EP (1) EP3608240A4 (ko)
JP (1) JP7497975B2 (ko)
KR (1) KR20200006042A (ko)
CN (1) CN110770133B (ko)
RU (1) RU2755422C2 (ko)
WO (1) WO2018186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7000B1 (en) * 2016-05-20 2022-08-24 Tokyo Light Industry Co. Ltd. Cap and discharge container
US20200239174A1 (en) * 2017-10-06 2020-07-30 Hokkai Can Co., Ltd. Synthetic resin multilayer bottle
JP7279398B2 (ja) * 2019-02-19 2023-05-23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重容器
EP3919399A1 (en) * 2020-06-03 2021-12-08 Sulzer Mixpac AG Liquid applicator
CN112849724A (zh) * 2021-03-15 2021-05-28 广州长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单向密封的双层瓶
US11772851B2 (en) 2021-06-21 2023-10-03 Medmix Switzerland Ag Liquid applic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280A (ja) 2003-01-31 2004-08-1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066A (en) * 1980-11-21 1982-05-18 Robert Berliner Receptacle with collapsible internal container
JP3595571B2 (ja) * 1993-05-07 2004-12-0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二重壁ボトルとその成形方法及び装置
WO1996028353A1 (fr) * 1995-03-10 1996-09-19 Yoshino Kogyosho Co., Ltd. Recipient a pellicule laminee et technique correspondante
DE69925658T2 (de) 1998-03-12 2005-11-10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Sauerstoffabsorbierende Mehrschichtfolie, deren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packungsbehälter
JP4715063B2 (ja) * 2001-08-24 2011-07-06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3335856A (ja) 2002-03-11 2003-11-28 Mitsubishi Gas Chem Co Inc 酸素吸収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酸素吸収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AU2003200821B2 (en) 2002-03-11 2007-06-1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oxygen absorb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oxygen absorb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produced by the process
WO2003091128A1 (fr) * 2002-06-26 2003-11-06 Daizo Co.,Ltd. Contenant d'emballage pour la distribution d'une pluralite de contenus, produit d'emballage comprenant ce contenant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 produit
JP2005015686A (ja) 2003-06-27 2005-01-20 Kiyomitsu Kawasaki フルーツ様香料組成物
US8192676B2 (en) 2004-02-12 2012-06-05 Valspar Sourcing, Inc.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15341B2 (en) 2004-06-10 2011-03-29 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20080257846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JP5267901B2 (ja) * 2007-06-29 2013-08-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ダイレクトブロー成形法による合成樹脂製二重容器
US20090045222A1 (en) * 2007-08-14 2009-02-19 Power Container Corp. Bag of variable volume, device suitable for dispensing fluids comprising said bag, and process for filling said device
EP2241599B1 (en) 2008-01-18 2013-06-05 Toyo Seikan Kaisha, Ltd.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 and oxygen-absorb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4801689B2 (ja) 2008-03-26 2011-10-26 株式会社 伊藤園 光劣化を抑制した容器詰高Brix果汁飲料
CA2731928C (en) * 2008-08-01 2017-02-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ackaging unit with a plastic bottle and a foil bag arranged therein
JP5168572B2 (ja) * 2008-09-30 2013-03-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CH701683A2 (de) * 2009-08-24 2011-02-28 Innoprax Ag Kunststoffflasche mit Vertiefung zur Aufnahme eines Trinkhalms.
JP5392654B2 (ja) * 2009-12-25 2014-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二重容器
JP5550174B2 (ja) 2010-01-29 2014-07-16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樹脂成形体、樹脂製ボトル容器
DE102011011352B4 (de) * 2011-02-16 2013-06-06 NOAFLEX GmbH Reibungsgeminderter Füllgütbehälter mit gummielastischem Krafterzeugungskörper zur Aufnahme des Füllguts
JP5667010B2 (ja) * 2011-06-09 2015-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336702B2 (ja) 2011-08-05 2018-06-06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JP5877716B2 (ja) 2012-01-06 2016-03-08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醤油含有調味料
JP6011929B2 (ja) * 2012-10-31 2016-10-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4300355B2 (en) 2013-06-28 2016-12-15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walled container
JP6377331B2 (ja) 2013-09-27 2018-08-2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CN110040326B (zh) 2013-11-27 2022-02-25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
KR102402208B1 (ko) 2013-11-27 2022-05-25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KR102265211B1 (ko) * 2013-11-27 2021-06-14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ES2687769T3 (es) 2013-11-27 2018-10-29 Kyoraku Co., Ltd Recipiente deslaminable
JP6219187B2 (ja) * 2014-01-31 2017-10-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6238295B2 (ja) 2014-03-19 2017-11-29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に優れた単層の樹脂製ボトルの製造方法
JP6488151B2 (ja) * 2015-02-27 2019-03-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2016193743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US9573737B2 (en) * 2015-04-15 2017-02-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a spray valve
JP6867111B2 (ja) 2015-05-08 2021-04-2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重構造容器成形用プリフォーム及び二重構造容器
JP6001726B1 (ja) * 2015-05-21 2016-10-05 東洋製罐株式会社 表面にゲル状被覆を有する構造体
JP2017030846A (ja) * 2015-08-06 2017-02-09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カップゴム使用のバックサクション機構、このバックサクション機構を備えた二重容器、およびこの二重容器を備えたスクイーズ操作態様のポンプ式製品
JP6730794B2 (ja) 2015-09-29 2020-07-29 北海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多重ボトル
US9908689B2 (en) * 2016-03-30 2018-03-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ntainer with spray valve
US10046889B2 (en) * 2016-03-30 2018-08-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ntainer with molded bag on valve assembly
EP3608241A4 (en) 2017-04-05 2021-01-27 Kikkoman Corporation FOOD AND BEVERAGE COMPOSITION PACKED IN A DOUBLE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280A (ja) 2003-01-31 2004-08-1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1564A1 (en) 2020-01-30
US11155398B2 (en) 2021-10-26
RU2019134933A (ru) 2021-05-05
CN110770133A (zh) 2020-02-07
RU2755422C2 (ru) 2021-09-15
JP7497975B2 (ja) 2024-06-11
JPWO2018186334A1 (ja) 2020-02-13
EP3608240A4 (en) 2021-01-27
RU2019134933A3 (ko) 2021-05-05
CN110770133B (zh) 2021-11-05
EP3608240A1 (en) 2020-02-12
WO2018186334A1 (ja)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6042A (ko) 토출 용기
AU2009200632B2 (en) Biaxially drawn, blow-molded bottle and its preform
US20130112688A1 (en) Hydrogen generating, oxygen scavenging closure cap
CA2444558C (en) Biaxially drawn, blow-molded bottle and preform thereof
RU2744527C2 (ru) Барьерная пробка и емкость с барьерной пробкой
US10710774B2 (en) Packaging tube comprising flavor barrier composition
AU2003236184B8 (en) Container prepar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US7052752B2 (en) Container for oxidation dye
JP2003191973A (ja) 逆止弁付チューブ容器
JP7399041B2 (ja) 積層剥離容器
KR102109318B1 (ko) 통상 성형체, 배리어 마개, 및 배리어 마개 장착 용기
TWI756477B (zh) 合成樹脂製多層瓶
JP7502608B2 (ja) 多層容器
CN210083945U (zh) 抗菌耐压材料盖子
JP4671161B2 (ja)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
CA3220140A1 (en) Plastic container with oxygen scavenger and passive oxygen barrier in body portion
JP2022015022A (ja) 積層剥離容器
CA3208735A1 (en) Polymeric preform and container including active oxygen scavenger layer and recycled material
JPH02122909A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94284A (ja) エアゾール製品
JP2003026214A (ja) 逆止弁付きプラスチック製チュー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