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728A -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728A
KR20190142728A KR1020190070509A KR20190070509A KR20190142728A KR 20190142728 A KR20190142728 A KR 20190142728A KR 1020190070509 A KR1020190070509 A KR 1020190070509A KR 20190070509 A KR20190070509 A KR 20190070509A KR 20190142728 A KR20190142728 A KR 20190142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axial direction
removal member
float glass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마사 이에다
겐지 쇼바야시
가즈아키 스미다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8Means for cleaning the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04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 C03B18/06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using mechanical means, e.g. restrictor bars, edge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specially adapted for both flat and bent sheets or 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7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specially adapted for removing defect sheets, ribbon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해도,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기 어려운 탄성 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주석 또는 주석 산화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플로트 배스(10)와, 드로스 박스(20)와, 서냉로(30)를 구비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이며, 드로스 박스(20)는, 리프트 아웃 롤(21)에 맞닿는 제거 부재(23)와, 제거 부재(23)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25)를 구비하고, 탄성 지지체(25)는, 리프트 아웃 롤(21)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탄성체와, 탄성체 상에 배치된 가대(26)를 구비하고, 복수의 탄성체는, 유리 리본(G)의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Description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FLOAT GLASS PRODUCTION DEVICE AND FLOAT GLASS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로트법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에 있어서, 유리 용해 가마로부터 플로트 배스라 불리는 용융 주석욕으로 용융 유리를 공급하고, 용융 주석욕 상에서 유리 리본을 성형한 후, 리프트 아웃 롤이라 불리는 반송 롤로 유리 리본을 반송하고, 서냉로로 이송한다. 통상, 유리 리본의 하면에는 드로스(주석 및 주석 산화물)라 불리는 결함이 부착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용도에서 사용되는 유리판에 있어서는, 드로스 결함에 대한 품질 요구가 높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 지지체인 판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프트 아웃 롤의 하부에 카본제의 제거 부재를 맞닿게 하여,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되는 주석 또는 주석 산화물을 깎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335127호 공보
그러나, 판 스프링은 고온 분위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하면,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고, 나아가서는 제거 부재가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주석 또는 주석 산화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유리 리본의 하면에는,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주석 또는 주석 산화물이 전사되어, 드로스 결함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해도,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기 어려운 탄성 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주석 또는 주석 산화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융 금속 상에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플로트 배스와, 상기 플로트 배스에 인접하는 드로스 박스와, 상기 드로스 박스에 인접하는 서냉로를 구비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이며, 상기 드로스 박스는, 상기 유리 리본을 인상하는 리프트 아웃 롤과, 상기 리프트 아웃 롤에 맞닿는 제거 부재와, 상기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 상에 배치된 가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 유리를 플로트 배스의 용융 금속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용융 금속 상에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고, 드로스 박스에 마련된 리프트 아웃 롤에 의해 상기 유리 리본을 상기 플로트 배스로부터 인출하고, 서냉로에 마련된 레이어 롤에 의해 상기 유리 리본을 반송하면서 서랭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드로스 박스에 있어서, 탄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상기 리프트 아웃 롤에 제거 부재를 탄성적으로 맞닿게 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 상에 배치된 가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해도,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기 어려운 탄성 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주석 또는 주석 산화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에 대하여, (A)는 판 스프링 본체와 가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 (C)는 반송 방향 하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A)는 1개의 경사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 본체의 단면도, (B)는 2개의 경사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에 대하여, (A)는 판 스프링 본체와 가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 (C)는 반송 방향 하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에 대하여, (A)는 판 스프링 본체와 가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내지」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도면에 있어서는, 적절히 3차원 직교 좌표계로서 XYZ 좌표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X축 방향은, 평면으로 보면 유리 리본(G)의 반송 방향이며, Y축 방향은, 평면으로 보면 유리 리본(G)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판 폭 방향)이며, Z축 방향은 연직 방향이다. 또한, 상류측 및 하류측이란, X축 방향에 대한 것이며, +X측이 하류측이고, -X측이 상류측이다. 한쪽 및 다른쪽이란, Y축 방향에 대한 것이며, +Y측이 한쪽이고, -Y측이 다른쪽이다. 종단면은 XZ 평면, 횡단면은 YZ 평면이다.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는, 상류측으로부터 플로트 배스(10)와, 플로트 배스(10)에 인접하는 드로스 박스(20)와, 드로스 박스(20)에 인접하는 서냉로(30)를 구비한다.
플로트 배스(10)는, 용융 금속(M)을 수용하는 욕조(11)를 구비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용융 금속(M) 상에서 유리 리본(G)으로 성형한다. 용융 유리는, 플로트 배스(10)의 상류측(-X측)에 배치되는 유리 용해로에서 유리 원료를 용해하고, 또한 청징 처리를 실시한 것이다.
플로트 배스(10)는, 상부 공간이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환원성 가스로 채워지고, 대기압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용융 금속(M)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드로스 박스(20)는, 유리 리본(G)을 인상하는 리프트 아웃 롤(21)과, 리프트 아웃 롤(21)에 맞닿는 제거 부재(23)와, 제거 부재(23)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25)와, 탄성 지지체(2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8)를 구비한다.
리프트 아웃 롤(21)은, 모터 등의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그 구동력에 의해 유리 리본(G)을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반송한다. 제거 부재(23)는, 리프트 아웃 롤(21)에 부착된 드로스 결함을 제거한다. 지지 부재(28)는, 드로스 박스(20)의 저벽 상에 배치되며, 종단면(XZ 평면) 형상이 단면 역ㄷ자 형상이다. 이에 의해, 유리 리본(G)의 반송 방향(X축 방향)에서 제거 부재(23) 및 탄성 지지체(25)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28)와 탄성 지지체(25)의 사이에는, 리프트 아웃 롤(21)의 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냉매관(예를 들어 수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탄성 지지체(25)를 냉각할 수 있으며, 탄성 지지체(25)가 드로스 박스(20) 내의 열기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아웃 롤의 개수는 3개이지만, 2개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드로스 박스(20)는 유리 리본(G)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천장이나 저벽에 히터를 구비해도 된다.
드로스 박스(20)는, 내부 공간이 비산화성 분위기(환원성 가스, 불활성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이다. 환원성 가스로서는 수소 가스 또는 아세틸렌 가스가 바람직하고, 불활성 가스로서는 질소 가스 또는 아르곤 가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드로스 박스(20)는, 내부 공간의 산소 농도가 1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서냉로(30)는, 유리 리본(G)을 레이어 롤(31)에 의해 반송하면서 유리의 변형점 온도 이하까지 서랭하여 판유리를 얻는다. 서냉로(30)는, 유리 리본(G)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천장 및 저벽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레이어 롤(31)은, 모터 등의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그 구동력에 의해 유리 리본(G)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한다. 서냉 후의 판유리는, 절단 장치에 의해 원하는 크기로 절단되어, 유리판이 된다.
서냉로(30)는, 하류측(+X측)의 출구에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이 산화성 분위기이다. 서냉로(30)의 내부는, 드로스 박스(20)의 내부를 통해 플로트 배스(10)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다.
리프트 아웃 롤(21) 또는 레이어 롤(31)(이하, 함께 「반송 롤」이라 한다.)은, 직경이 100 내지 5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내지 50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경이 100mm 이상이면, 구동 장치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반송 롤의 주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500mm 이하이면, 반송 롤과 인접하는 반송 롤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며, 반송 롤간에서 유리 리본(G)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판 두께가 2mm 이하인 유리 리본(G)은 반송 롤간에서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직경이 500mm 이하인 반송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롤은, 축 방향(Y축 방향)의 동체부 길이가 50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동체부 길이가 5000mm 이상이면, 유리 리본(G)의 판 폭을 넓게 할 수 있으며, 플로트 유리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반송 롤은, 표면 재질로서 산화물계, 탄화물계, 질화물계의 각종 세라믹스 또는 스테인리스강이 적용된다. 각종 세라믹스의 구체예로서, 산화지르코늄(ZrO2)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르코니아계 세라믹스, 산화알루미늄(Al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루미나계 세라믹스, 산화규소(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카계 세라믹스를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에 대하여, (A)는 판 스프링 본체와 가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 (C)는 반송 방향 하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A)는 1개의 경사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 본체의 단면도, (B)는 2개의 경사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 내지 (C) 및 도 3의 (A), (B)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탄성 지지체(25) 및 3개의 제거 부재(23)는,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은, 유리 리본의 판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탄성 지지체(25)는,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탄성체와, 탄성체 상에 배치된 가대(26)를 구비한다. 복수의 탄성체는,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X축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반송 방향(X축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탄성체는, 판 스프링 본체(27)이다. 또한,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 압축 코일 스프링, 접시 스프링, 볼류트 스프링, 링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판 스프링 본체(27)는, 가대에 접속되는 제1 평탄부(27A)와, 제1 평탄부(27A)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을 향해 점차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27B)를 구비한다. 또한, 판 스프링 본체(27)의 제1 평탄부(27A)와, 가대는,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된다.
판 스프링 본체(27)는, 경사부(27B)의 하단으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을 향해 신장되고 있는 제2 평탄부(27C)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본체(27)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28) 상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판 스프링 본체(27)는, 1개의 경사부(27B)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평탄부(27A)의 일단부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의 한쪽을 향하는 경사부(27B)를 구비한다.
도 3의 (B)에 도시하는 판 스프링 본체(27)는, 2개의 경사부(27B)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평탄부(27A)의 일단부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의 한쪽을 향하는 경사부(27B)와, 제1 평탄부(27A)의 타단부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의 다른쪽을 향하는 경사부(27B)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판 스프링 본체를 「1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 도 3의 (B)에 도시하는 판 스프링 본체를 「2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라 부른다.
판 스프링 본체(27)의 경사부(27B)는, 축 방향(Y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5 내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0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도가 5도 이상이면, 연직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원하는 탄성 복원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도가 45도 이하이면, 지지 부재와 탄성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는 수관에 의해, 판 스프링 본체(27)의 상부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사부(27B)는, 제1 평탄부(27A)의 단부 중 측단부에 접속되지만, 제1 평탄부(27A)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양태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사부(27B)는, 횡단면(YZ 평면)에 있어서, 제1 평탄부(27A)의 일단(타단)부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의 한쪽(다른쪽)을 향해 직선 형상이지만, 원호 형상, 물결 형상, 계단 형상 등이어도 된다.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탄성 지지체(25)는, 반송 방향(X축 방향)의 상류측(-X측)의 열에 있어서, 1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27-1)와, 2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27-1)를 구비한다. 1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27-1)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한쪽(+Y측) 및 다른쪽(-Y측)의 제거 부재(23)의 외측의 단부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드로스 박스 내에 탄성 지지체(25)를 수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탄성 지지체(25)는, 반송 방향(X축 방향)의 하류측(+X측)의 열에 있어서, 2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27-2)를 구비한다.
판 스프링 본체(27-1)의 제1 평탄부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제거 부재(23)가 서로 접하는 접촉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판 스프링 본체(27-2)의 제1 평탄부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접촉 위치의 사이의 위치(예를 들어 중앙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1개의 제거 부재(23)는, 3개의 판 스프링 본체(27-1, 27-2)(2개의 판 스프링 본체(27-1) 및 1개의 판 스프링 본체(27-2))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2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27-1)의 제1 평탄부는, 1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27-1)의 제1 평탄부보다도 축 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길고, 인접하는 2개의 제거 부재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1개의 제거 부재(23)는, 3개 이상의 판 스프링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열을 3열 이상으로 하거나, 판 스프링 본체(27-1, 27-2)의 경사부의 각도를 크게 한 후, 열마다의 판 스프링 본체(27-1, 27-2)의 선 밀도를 크게 하거나 함으로써, 4개 이상의 지지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에 관한 탄성 지지체(525)는, 복수의 판 스프링 본체(527)가 형성하는 열은 1열이다. 판 스프링 본체(527)의 제1 평탄부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제거 부재(23)가 서로 접하는 접촉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1개의 제거 부재(23)는, 2개의 판 스프링 본체(527)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탄성 지지체(525)는,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하면,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는 것의 영향을 크게 받아, 제거 부재가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주석 또는 주석 산화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탄성 지지체(25)는, 1개의 제거 부재(23)가 3개의 판 스프링 본체(27-1, 27-2)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해도,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는 것의 영향이 작아, 리프트 아웃 롤에 대하여 제거 부재(23)를 균일하게 맞닿게 하여 드로스 결함을 불균일 없이 제거할 수 있다.
가대(26)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XY 평면으로 보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가대(26)는, 축 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가대(26) 상에 나란히 배치된 제거 부재(23)의 길이의 합계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X축 방향)의 길이가, 제거 부재(23)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대(26)는, 판 스프링 본체(27)의 아래에도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인접하는 판 스프링 본체(27)의 제2 평탄부(27C)가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거 부재(23)는, 형상이 직육면체이다. 제거 부재(23)는, 횡단면(YZ 평면)이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의 사각 기둥이어도 된다. 도 2의 (B), (C)에 도시하는 제거 부재(23)의 개수는 3개이지만,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거 부재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각 제거 부재(23)의 중앙 위치에서 2분할한 것이며, 개수가 6개여도 된다. 이 경우, 1개의 분할 후의 제거 부재는, 2개의 판 스프링 본체(27-1, 27-2)(1개의 판 스프링 본체(27-1) 및 1개의 판 스프링 본체(27-2))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러나, 분할 후의 제거 부재의 축 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분할 전의 제거 부재(23)의 길이의 절반이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해도, 탄성 지지체(25)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는 것의 영향이 작다. 또한, 제거 부재(23)의 개수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의 리프트 아웃 롤의 동체부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제거 부재(23)는, 카본(흑연)의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부재(23)로서는, 질화붕소, 알칼리 황산염, 알칼리 토류 황산염, 알칼리 탄산염, 알칼리 토류 탄산염, 실리카계 미립자 또는 알루미나 미립자의 성형체를 사용해도 된다.
제거 부재(23)는, 축 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250 내지10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 내지 80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길이가 250mm 이상이면, 1개의 리프트 아웃 롤에 대하여 사용하는 제거 부재(23)의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거 부재(23)의 교환 작업이 신속해진다. 또한, 길이가 1000mm 이하이면, 제거 부재(23)의 교환 작업에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제거 부재(23)는 높이가 50 내지 2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15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높이가 50 내지 200mm이면, 제거 부재(23)의 교환 작업에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제거 부재(23)는,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X축 방향)의 길이가 20 내지 1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8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길이가 20mm 이상이면, 리프트 아웃 롤과의 맞닿음 압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100mm 이하이면, 제거 부재(23)의 교환 작업에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제거 부재(23)는, 성형체에 사용되는 카본 분체의 최대 입경이 0.1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최대 입경이 0.1 내지 3mm이면, 성형체인 제거 부재(23)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거 부재(23)는 쇼어 경도가 20 내지 90HS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80H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쇼어 경도가 20 내지 90HS이면, 리프트 아웃 롤에 대한 제거 부재(23)의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에 대하여, (A)는 판 스프링 본체와 가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반송 방향 상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 (C)는 반송 방향 하류측의 판 스프링 본체 및 가대 그리고 제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 및 제거 부재와 내용이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125)는, 판 스프링 본체(127-1, 127-2)가 모두 1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지지체(25)와는 상이하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방향(X축 방향)의 상류측(-X측)의 열에 있어서, 모든 판 스프링 본체(127-1)는, 제1 평탄부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의 한쪽(+Y측)을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한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방향(X축 방향)의 하류측(+X측)의 열에 있어서, 모든 판 스프링 본체(127-2)는, 제1 평탄부로부터 축 방향(Y축 방향)의 다른쪽(-Y측)을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판 스프링 본체(127-1)와, 판 스프링 본체(127-2)의 경사부가 역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 본체(127-1)에 의한 한쪽(+Y측)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과, 판 스프링 본체(127-2)에 의한 다른쪽(-Y측)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이 서로 상쇄된다. 이에 의해, 리프트 아웃 롤에 대하여 제거 부재(23)를 균일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열을 3열 이상으로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반송 방향(X축 방향)의 상류측(-X측)으로부터 세어 홀수번째의 열에 판 스프링 본체(127-1), 짝수번째의 열에 판 스프링 본체(127-2)를 마련한다. 여기서, 열의 수가 홀수인 경우, 한쪽(+Y측)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과, 다른쪽(-Y측)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경사부의 길이, 경사부가 축 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 판 스프링 본체의 개수, 판 스프링 본체의 재질 등을 적절히 변경한다. 또한, 반송 방향(X축 방향)의 상류측(-X측)으로부터 세어 짝수번째의 열에 판 스프링 본체(127-1), 홀수번째의 열에 판 스프링 본체(127-2)를 마련해도 된다.
판 스프링 본체(127-1)의 제1 평탄부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제거 부재(23)의 다른쪽(-Y측)의 단부 위치 및 제거 부재(23)의 중앙 위치보다도 약간 한쪽(+Y측) 근처의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판 스프링 본체(127-2)의 제1 평탄부는,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제거 부재(23)의 한쪽(+Y측)의 단부 위치 및 제거 부재(23)의 중앙 위치보다도 약간 다른쪽(-Y측) 근처의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1개의 제거 부재(23)는, 4개의 판 스프링 본체(127-1, 127-2)(2개의 판 스프링 본체(127-1) 및 2개의 판 스프링 본체(127-2))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탄성 지지체(125)는,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해도,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는 것의 영향이 작고, 리프트 아웃 롤에 대하여 제거 부재(23)를 균일하게 맞닿게 하여 드로스 결함을 불균일 없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 부재(23)는, 5개 이상의 판 스프링 본체(127-1, 127-2)에 의해 지지되어도 된다.
여기서, 탄성 지지체(125)는, 모두 1개 다리의 판 스프링 본체로 구성되며,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판 스프링 본체의 경사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지지체(25)보다도 판 스프링 본체(127-1, 127-2)를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거 부재(23)를 지지하는 판 스프링 본체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프트 아웃 롤에 대하여 제거 부재(23)를 보다 균일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방향(X축 방향)에 대하여 판 스프링 본체(127-1)와, 판 스프링 본체(127-2)가 약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지만, 예를 들어 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판 스프링 본체(127-1)의 사이의 중앙 위치에 판 스프링 본체(127-2)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 양태는, 제거 부재(23)에 대하여 보다 균일한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용융 유리를 플로트 배스의 용융 금속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용융 금속 상에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고, 드로스 박스에 마련된 리프트 아웃 롤에 의해 유리 리본을 플로트 배스로부터 인출하고, 서냉로에 마련된 레이어 롤에 의해 유리 리본을 반송하면서 유리의 변형점 온도 이하까지 서랭한다.
드로스 박스에 있어서, 탄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리프트 아웃 롤에 제거 부재를 탄성적으로 맞닿게 하고, 리프트 아웃 롤에 부착된 드로스 결함을 제거한다.
탄성 지지체는,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탄성체와, 탄성체 상에 배치된 가대를 구비한다.
복수의 탄성체는,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고, 반송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다.
서냉 후의 판유리는, 절단 장치에 의해 원하는 크기로 절단되어, 유리판이 된다.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제조하는 경우, 유리판의 평탄도를 양호화시키기 위해, 또한 유리판을 연마하는 연마 공정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는, 창 유리·차량 용도의 소다 석회 유리여도 되지만, 커버 유리 용도의 화학 강화용 유리와 같은 알칼리 금속 성분을 함유하는 유리나, 알칼리 금속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무알칼리 유리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칼리 금속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합량이 0.1질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무알칼리 유리는, 주로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에 사용된다. 커버 유리 용도의 유리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은, 드로스 결함에 대한 품질 요구가 엄격하다.
화학 강화용 유리는, 예를 들어 산화물 기준의 몰% 표시로, SiO2: 62 내지 68%, Al2O3: 6 내지 12%, MgO: 7 내지 13%, Na2O: 9 내지 17%, K2O: 0 내지 7%를 함유하고, Na2O 및 K2O의 함유량의 합계로부터 Al2O3 함유량을 뺀 차가 10% 미만이고, ZrO2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함유량이 0.8% 이하이다.
다른 화학 강화용 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몰% 표시로, SiO2: 65 내지 85%, Al2O3: 3 내지 15%, Na2O: 5 내지 15%, K2O: 0 내지 2% 미만, MgO: 0 내지 15%, ZrO2: 0 내지 1%를 함유하고, SiO2 및 Al2O3의 함유량의 합계 SiO2+Al2O3이 88% 이하이다.
다른 화학 강화용 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몰% 표시로, SiO2를 50 내지 75%, Al2O3을 9 내지 20%, Na2O를 10 내지 20%, K2O를 0 내지 6%, MgO를 0 내지 15%, CaO, SrO 및 BaO를 합량(CaO+SrO+BaO)으로 0 내지 10%, ZrO2 및 TiO2를 합량(ZrO2+TiO2)으로 0 내지 5%, B2O3을 0 내지 10%, Li2O를 0 내지 20% 함유한다.
무알칼리 유리는, 예를 들어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50 내지 73%, Al2O3: 10.5 내지 24%, B2O3: 0 내지 12%, MgO: 0 내지 10%, CaO: 0 내지 14.5%, SrO: 0 내지 24%, BaO: 0 내지 13.5%, MgO+CaO+SrO+BaO: 8 내지 29.5%, ZrO2: 0 내지 5%를 함유한다.
무알칼리 유리는, 높은 변형점과 높은 용해성을 양립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58 내지 66%, Al2O3: 15 내지 22%, B2O3: 5 내지 12%, MgO: 0 내지 8%, CaO: 0 내지 9%, SrO: 3 내지 12.5%, BaO: 0 내지 2%, MgO+CaO+SrO+BaO: 9 내지 18%를 함유한다.
무알칼리 유리는, 특히 높은 변형점을 얻고자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54 내지 73%, Al2O3: 10.5 내지 22.5%, B2O3: 0 내지 5.5%, MgO: 0 내지 10%, CaO: 0 내지 9%, SrO: 0 내지 16%, BaO: 0 내지 2.5%, MgO+CaO+SrO+BaO: 8 내지 26%를 함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의 판 두께는, 커버 유리 용도에서는 0.1 내지 2.0mm이며,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용도에서는 0.1 내지 0.7mm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8년 6월 18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2018-115232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의 용도는, 건축용, 차량용,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용, 또는 기타 각종 용도를 들 수 있다.
1: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10: 플로트 배스
11: 욕조
20: 드로스 박스
21: 리프트 아웃 롤
23: 제거 부재
25: 탄성 지지체
26: 가대
27: 판 스프링 본체
27A: 제1 평탄부
27B: 경사부
27C: 제2 평탄부
28: 지지 부재
30: 서냉로
31: 레이어 롤
G: 유리 리본
M: 용융 금속

Claims (9)

  1. 용융 금속 상에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플로트 배스와, 상기 플로트 배스에 인접하는 드로스 박스와, 상기 드로스 박스에 인접하는 서냉로를 구비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이며,
    상기 드로스 박스는, 상기 유리 리본을 인상하는 리프트 아웃 롤과, 상기 리프트 아웃 롤에 맞닿는 제거 부재와, 상기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 상에 배치된 가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 스프링 본체이며,
    상기 판 스프링 본체는, 상기 가대에 접속되는 제1 평탄부와, 상기 제1 평탄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을 향해 점차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 스프링 본체는,
    상기 제1 평탄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한쪽을 향하는 경사부와,
    상기 제1 평탄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다른쪽을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열 중,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 홀수번째의 열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한쪽을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 중,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 짝수번째의 열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다른쪽을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열 중,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 짝수번째의 열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한쪽을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 중,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 홀수번째의 열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다른쪽을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본체는, 상기 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을 향해 신장되고 있는 제2 평탄부를 구비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3개 이상의 상기 판 스프링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는 상기 축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고,
    상기 제1 평탄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거 부재가 서로 접하는 접촉 위치와, 인접하는 상기 접촉 위치 사이의 위치에 마련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9. 용융 유리를 플로트 배스의 용융 금속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용융 금속 상에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고, 드로스 박스에 마련된 리프트 아웃 롤에 의해 상기 유리 리본을 상기 플로트 배스로부터 인출하고, 서냉로에 마련된 레이어 롤에 의해 상기 유리 리본을 반송하면서 서랭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이며,
    상기 드로스 박스에 있어서, 탄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상기 리프트 아웃 롤에 제거 부재를 탄성적으로 맞닿게 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리프트 아웃 롤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 상에 배치된 가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1020190070509A 2018-06-18 2019-06-14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20190142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5232 2018-06-18
JP2018115232A JP2019218222A (ja) 2018-06-18 2018-06-18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及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728A true KR20190142728A (ko) 2019-12-27

Family

ID=6892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509A KR20190142728A (ko) 2018-06-18 2019-06-14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218222A (ko)
KR (1) KR20190142728A (ko)
CN (1) CN1106156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2219B (zh) * 2019-12-28 2024-05-14 蚌埠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浮法玻璃锡槽断板提升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127A (ja) 1998-05-26 1999-12-07 Central Glass Co Ltd フロートガラス用搬送ロールに付着した錫の除去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3439B (zh) * 2006-12-08 2012-09-26 旭硝子株式会社 玻璃片材的制造方法
JP5152478B2 (ja) * 2007-08-22 2013-02-2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JP5311142B2 (ja) * 2009-12-25 2013-10-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5446950B2 (ja) * 2010-02-03 2014-03-19 旭硝子株式会社 フロートガラス用搬送ロールの付着物除去部材
KR101512607B1 (ko) * 2011-10-28 2015-04-1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리어 롤의 클리닝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JP2016128363A (ja) * 2013-04-26 2016-07-14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127A (ja) 1998-05-26 1999-12-07 Central Glass Co Ltd フロートガラス用搬送ロールに付着した錫の除去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15601A (zh) 2019-12-27
JP2019218222A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1793A1 (ja) レアーロール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ガラス板製造装置
US11318508B2 (en) Glass-plate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plate
KR20160137603A (ko) 화학 강화 처리에 의해 유리판에 발생하는 휨을 저감하는 방법, 화학 강화용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화학 강화 유리판의 제조 방법
CN108349787B (zh) 显示器用玻璃基板、以及显示器用玻璃基板的制造方法
JP2014087879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US10399894B2 (en) Glass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sheet
KR102623926B1 (ko) 알칼리-무함유 보로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
KR20190142728A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20200088907A (ko) 개선된 에지 품질을 갖는 유리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10034582A (ko)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판유리의 제조 방법
WO2014174986A1 (ja)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CN109422444B (zh) 浮法玻璃制造装置及浮法玻璃制造方法
KR20150032936A (ko) 판 유리의 제조 장치 및 판 유리의 제조 방법
KR20160080054A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JP2019116413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及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JP6454188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2020189771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及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KR101824585B1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CN215799180U (zh) 玻璃制造装置
JP2022188662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JP2024030123A (ja) ステンレスロール、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製造方法
JP2022063638A (ja)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CN117980118A (zh) 脆性材料基板的刻划方法
JP2017031018A (ja) フロート板ガラス搬送用ロール、フロート板ガラスの搬送方法
JP2016124747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