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585B1 -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585B1
KR101824585B1 KR1020150012200A KR20150012200A KR101824585B1 KR 101824585 B1 KR101824585 B1 KR 101824585B1 KR 1020150012200 A KR1020150012200 A KR 1020150012200A KR 20150012200 A KR20150012200 A KR 20150012200A KR 101824585 B1 KR101824585 B1 KR 10182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leaning
out roller
floa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723A (ko
Inventor
오준학
손호전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1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5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16Construction of the float tank; Use of material for the float tank; Coating or protection of the tank w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로트 배스 내부에서 용융 금속으로부터 전진하면서 성형되는 유리 리본을 들어 올려 서냉로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프트-아웃 롤러들;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응하는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정 부재들; 및 세정 부재들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본 발명은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트-아웃 롤러로부터 드로스를 제거하는 방식이 개선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비롯한 대부분의 판유리는 플로트법 또는 퓨전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플로트법은 퓨전법과 달리 큰 면적의 대형 판유리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트법은, 용융 금속(용융 주석 등)이 저장된 플로트 배스 안에서 유리 리본을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된 유리 리본을 서냉시키는 서냉 공정을 포함한다. 플로트 배스 내부에서 성형되는 유리 리본은 1개 이상의 리프트-아웃 롤러들에 의해 플로트 배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서냉로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주행되는 유리 리본의 하면에는 주석 및 주석 산화물(SnO, SnO2)(이하, ‘드로스’라 함)이 달라 붙기 쉽고, 리프트-아웃 롤러들에 의해 유리 리본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드로스는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으로 달라 붙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플로트 배스에서 생성된 주석 및 주석산화물이 기류 형태로 전달되어 리프트-아웃 롤러 표면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통상적으로, 리프트-아웃 롤러의 롤러 본체는 내열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착력에 의해 드로스가 롤러의 표면에 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철, 크롬, 니켈 등과 같은 롤러 본체의 성분들은 접착성이 있는 드로스의 산화물과 반응하여 합금을 형성한다. 이러한 합금의 형성은 리프트-아웃 롤러가 설치된 리프팅 박스의 내부 온도가 높을수록 더 빨라진다.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주석 산화물로 구성된 드로스의 접착, 합금 형성 및 산화 현상은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대한 국부적 부식을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롤러 본체 표면에 결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결함의 형성을 억제하여 롤러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세라믹 피복층을 용사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플로트 배스로부터 기인하는 주석 및 주석 산화물은 롤퍼 표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유리 리본에 스크래치, 불필요한 롤러 자국, 미세 균열 등과 같은 유리 제품의 불량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와이어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의 브러시를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시켜 롤러 본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드로스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리프트-아웃 롤러에 대한 장시간의 물리적 마찰에 의해 리프트-아웃 롤러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프트-아웃 롤러의 하단에 BN 또는 흑연을 포함하는 세정 블록을 접촉시켜 롤러 표면의 오염물을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세정 블록은 장시간 사용 후 교환해야 하고, 교체 주기가 길어질 경우 생산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실제적으로 접촉되는 세정 블록의 접촉면은 전체 표면에 비하여 국소 부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아웃 롤러에 부착되는 세정 부재의 위치를 운용 중에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할 때마다 이동시킬 수 있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플로트 배스 내부에서 용융 금속으로부터 전진하면서 성형되는 유리 리본을 들어 올려 서냉로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프트-아웃 롤러들; 상기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응하는 상기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정 부재들; 및 세정 부재들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세정 부재들 각각은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폭과 리프트-아웃 롤러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 세정 블록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이송 부재는: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들; 및 트레이들을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트레이들 각각은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이격 설치된 수납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납 프레임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 측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바이어스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액츄에이터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세정 부재는 C, SiC, ZrO2 및/또는 Al2O3를 포함하는 미세하게 연마된 경질 재료와 6각형 BN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플로트 배스 내부에 수용된 용융 금속의 표면 위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플로트 배스의 출구로부터 끌어 당기면서 유리 리본을 서냉로로 반송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저장된 플로트 배스로부터 유리 리본을 인출하기 위한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되는 세정 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세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세정 부재를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부재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송 부재는: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들; 및 트레이들을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트레이들 각각은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이격 설치된 수납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납 프레임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 측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바이어스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액츄에이터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세정 부재는 C, SiC, ZrO2 및/또는 Al2O3를 포함하는 미세하게 연마된 경질 재료와 6각형 BN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은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되는 세정 부재의 접촉부가 마모되는 경우, 일정 주기마다 세정 부재를 접촉부의 접선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사용 기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으므로, 위험부담이 적고, 교체를 진행하지 않고 세정 부재의 위치 변경에 의해 교환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세척력 저하를 막을 수 있고,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세정 부재와 이송 부재 부위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세정 부재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00)는 소위, 플로트 법에 의해 유리판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의 플로트 배스(112) 및 플로트 배스(112)의 상부를 덮고 있는 지붕(114)을 포함하고, 입구(미도시)와 출구(116)를 가지는 밀폐된 구조의 플로트 챔버(110)를 구비한다.
플로트 배스(112)는 용융 주석, 용융 주석 합금 등의 용융 금속(M)을 저장한다. 이러한 용융 금속(M) 위에는 플로트 배스(112)의 상류측(도면 좌측)으로부터 용융 유리 공급되어 하류측(도면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리본 형태의 유리 리본(G)이 형성된다. 또한, 용융 금속(M)은 플로트 배스(112) 내부의 온도 구배에 의해 비교적 고온으로 유지되는 플로트 챔버(110)의 상류측으로부터 저온의 하류측으로 유동됨과 동시에 플로트 배스(112)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양 측면으로 유동된다. 용융 유리 즉, 유리 리본(G)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이동한 후, 테이크 오프점에서 용융 금속(M)의 욕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플로트 챔버(112)의 출구(116)에 인접되어 설치된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에 의해 당겨져서 서냉로(160)로 이동된다.
플로트 챔버(110) 내부의 분위기는 질소와 수소의 혼합 기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혼합 기체는 외부 대기보다 약간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고, 전기 히터(미도시)에 의해 약 800-1300℃ 정도로 가열된다. 용융 유리(G)는 무알칼리 유리 또는 소다라임 유리 등이다. 플로트 배스(112) 내부에서의 용융 금속(M)의 유동 발생 원리와 구조 및 용융 유리(G)의 투입, 리본화, 이동 및 배출 등은 일반적인 플로트 법에 의해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리프팅 박스(120) 내부에는 3개의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이 배치된다. 이러한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은 플로트 챔버(110)의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되어 플로트 챔버(110)의 하류측을 향하여 용융 금속(M)의 표면 위로 이동되는 용융 유리(G)를, 하류측에 설정된 이격 위치에서 용융 금속(M)으로부터 끌어올려 리프팅 박스(120)의 출구측에 배치된 서냉로(cooling lehr)(16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은 각각 미도시된 모터에 의해 소정 속도로 회전되며, 각각의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는 용융 유리 또는 유리 리본(G)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로 다른 수평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의 롤러 본체는 내열강, 세라믹 피복층이 형성된 내열강 또는 세라믹 특히, 슬립 주조 및 소결된 용융형 실리카 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피복층 또는 용융형 실리카 세라믹은 합금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로트 배스(112)에 저장된 용융 금속(M)은 고온(대략 600~1100℃) 상태이므로, 용융 금속(M), 용융 유리(G), 분위기 중의 N2, H2, 미량의 O2, H2O 및 S2 등이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일반적으로 ‘드로스(Dross)’로 불리는 불순물을 발생시킨다(통상적으로, 780℃ 이하에서 드로스가 발생됨). 특히, 플로트 챔버(110)의 하류측의 테이크 오프점 근방은 상류측에 비해 저온이기 때문에 용융 금속의 용해도가 감소하고, 이에 의해 미세한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SnO2 등의 이물질의 생성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테이크 오프점으로부터 리본 형태의 용융 유리 또는 유리 리본(G)을 끌어 올릴 때, 드로스는 유리 리본(G)의 하면에 부착된 채 플로트 챔버(110)로부터 인출되므로, 유리 리본(G)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의 표면에도 드로스가 달라 붙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세정 부재와 이송 부재 부위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00)는 각각의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의 하방의 위치에서 상응하는 리프트-아웃 롤러(122)와 접촉되도록 위치된 세정 부재들(132,134,136) 을 구비한다. 세정 부재들(132,134,136) 각각은 상응하는 리프트-아웃 롤러들(122,124,126)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폭(W)과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L)를 가진 세정 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세정 부재들(132,134,136)은 C, SiC, ZrO2 및/또는 Al2O3를 포함하는 미세하게 연마된 경질 재료와 6각형 BN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송 부재(140)는 세정 부재들(132,134,136) 각각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들(142) 및 트레이들(142)을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44)를 구비한다. 트레이들(142) 각각은 액츄에이터(144)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46), 세정 부재들(132,134,136) 각각을 수납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46)에 대해 이격 설치된 수납 프레임(148), 및 베이스 프레임(146)에 대해 수납 프레임(148)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 측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스 부재(15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프레임(146)은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구들(141)을 구비한다. 배출구들은 마개(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44)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도 1의 참조 부호 127은 리프팅 박스(120)의 천정에 설치된 다수의 드레이프부재들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167은 서냉로(160)의 천정에 설치된 드레이프부재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162는 유리 리본(G)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서냉로(160)에 설치된 레어 롤러들(Lehr rolls)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이송 부재의 작동에 의해 세정 부재의 위치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00)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로트 배스(112)와 지붕(114)으로 구성된 플로트 챔버(110)의 내부의 밀폐된 소정의 가스 분위기, 온도 조건 등의 성형 조건에 의해 유리 리본(G)이 성형된다. 이렇게 성형된 유리 리본(G)은 리프팅 박스(120)에 회전되게 설치된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의해 플로트 챔버(110)의 하류 측(테이크 오프 점)에서 들어 올려져 플로트 챔버(112)의 출구(116)를 통해 인출된다. 또한, 연속되는 유리 리본(G)은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의 회전에 의해 리프팅 박스(120)로부터 서냉로(160) 측으로 공급되고, 서냉로(160)로 진입된 유리 리본(G)은 레어 롤러들(162) 위를 주행하면서 소정의 온도 조건으로 내부 분위기가 유지되는 서냉로(160) 내부에서 서서히 필요한 온도 범위까지 냉각된다.
이 과정에서, 플로트 챔버(110)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드로스(D)는 유리 리본(G)의 하면에 부착되어 유리 리본(G)과 함께 리프팅 박스(120) 내부로 이동되고, 그러한 드로스(D)는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달라붙게 된다.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의 표면에 부착된 드로스(D)는 세정 부재들(132,134,136)에 의해 긁혀져서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고, 베이스 프레임(146)으로 수거된다.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초기 설정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모서리 부분이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접촉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한편, 세정 부재들(132,134,136)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작업이 일정 기간 진행되면,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표면이 마모되어 더 이상 세정이 불가능할 정도가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44)를 작동시켜서 트레이(142)의 위치를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이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접촉되게 위치시킨다. 액츄에이터(144)에 의한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적절한 위치 이동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정 부재들(132,134,136)를 이용하여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의 표면에 존재하는 드로스를 제거하는 작업이 일정 기간 진행되면,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중간 부분 역시 마모가 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액츄에이터(144)를 작동시켜 트레이(142)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길이 방향 좌측 끝단 부분을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접촉되도록 셋팅할 수 있다.
또한, 수납 프레임(148)은 바이어스 부재(15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46)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되기 때문에, 세정 부재들(132,134,136)는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일정한 바이어스력으로 밀착되어 세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플로트 챔버(110) 내부에 수용된 용융 금속(M)의 표면 위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G)를 플로트 챔버(110)의 출구(116)로부터 끌어 당기면서 목표 두께의 유리 리본을 성형하고, 이러한 유리 리본(G)을 서냉로(160)로 반송시키는 과정에서, 플로트 챔버(110)로부터 유리 리본(G)을 인출하기 위한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접촉된 세정 부재(132,134,136)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이러한 단계에 의해,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표면이 연마되어 세정력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다른 부위가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세정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정은 종래의 방법 예를 들어,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브러쉬 부재 또는 유리 리본에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된 제거부재 등과 달리, 종전과 동일한 구조의 세정 부재들(132,134,136)의 위치 이동에 의해 일정한 사이즈의 세정 부재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드로스(D) 제거 작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을 줄임으로써 리프트-아웃 롤러(122,124,126)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110…플로트 챔버
112…플로트 배스 114…지붕
116…출구 120…리프팅 박스
122,124,126…리프트-아웃 롤러 127…드레이프부재
132,134,136…세정 부재 141구멍
142트레이 144액츄에이터
146베이스 프레임 148수납 프레임
150바이어스 부재 160…서냉로
167…드레이프부재

Claims (12)

  1. 플로트 배스 내부에서 용융 금속으로부터 전진하면서 성형되는 유리 리본을 들어 올려 서냉로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프트-아웃 롤러들;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응하는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정 부재들; 및
    세정 부재들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부재를 구비하며,
    세정 부재들 각각은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폭과 리프트-아웃 롤러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 세정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부재는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세정 부재의 표면이 마모된 경우 상기 이송 부재에 의해 상기 세정 부재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 부재는: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들; 및
    트레이들을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트레이들 각각은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이격 설치된 수납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납 프레임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 측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바이어스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정 부재는 C, SiC, ZrO2 및/또는 Al2O3를 포함하는 미세하게 연마된 경질 재료와 6각형 BN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7. 플로트 배스 내부에 수용된 용융 금속의 표면 위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 유리를 플로트 배스의 출구로부터 끌어 당기면서 유리 리본을 서냉로로 반송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융 금속이 저장된 플로트 배스로부터 유리 리본을 인출하기 위한 리프트-아웃 롤러에 접촉되는 세정 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세정 부재의 위치 이동 단계는, 이송 부재가 세정 부재들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세정 부재들 각각은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폭과 리프트-아웃 롤러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 세정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부재는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리프트-아웃 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세정 부재의 표면이 마모된 경우 이송 부재에 의해 상기 세정 부재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세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세정 부재를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부재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이송 부재는: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들; 및
    트레이들을 리프트-아웃 롤러의 접촉부에서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트레이들 각각은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세정 부재들 각각을 수납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이격 설치된 수납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납 프레임을 대응되는 리프트-아웃 롤러 측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바이어스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세정 부재는 C, SiC, ZrO2 및/또는 Al2O3를 포함하는 미세하게 연마된 경질 재료와 6각형 BN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1020150012200A 2015-01-26 2015-01-26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824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00A KR101824585B1 (ko) 2015-01-26 2015-01-26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00A KR101824585B1 (ko) 2015-01-26 2015-01-26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23A KR20160091723A (ko) 2016-08-03
KR101824585B1 true KR101824585B1 (ko) 2018-02-01

Family

ID=5670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200A KR101824585B1 (ko) 2015-01-26 2015-01-26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2252B (zh) * 2016-09-09 2018-09-04 蚌埠中建材信息显示材料有限公司 一种辊道下部的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23A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2921B (zh) 浮法玻璃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KR102450782B1 (ko) 유리 기재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KR100812753B1 (ko) 유리 리본 지지 장치
TWI466834B (zh) A cooling furnace for a floating glass manufacturing facility
JP2007191319A (ja) ガラス成形品の製造方法
CN106242251B (zh) 浮法玻璃制造方法和浮法玻璃制造装置
US20100223956A1 (en) Float bath system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KR101824585B1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TWI585051B (zh) Production method of plate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late glass
WO2014174986A1 (ja)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製造方法
TW201226337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loat plate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float plate glass
JP2015516938A (ja) フロートガラス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KR101772060B1 (ko) 판유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0901812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flat glass according to the float method
KR101772059B1 (ko) 판유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461193A (zh) 显示器用玻璃基板的制造方法
JP2001146433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のシール構造
TW200304902A (en) Equipment to cleanse the surface of light-out-rollers of a float-apparatus to manufacture a floated glass-band
KR20120001368A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90142728A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JP2015093794A (ja)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方法
JP5273581B2 (ja) ガラス板製造方法
CN107531541B (zh) 浮法玻璃的制造方法
CN215799180U (zh) 玻璃制造装置
KR102070683B1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