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973A -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973A
KR20190136973A KR1020190063191A KR20190063191A KR20190136973A KR 20190136973 A KR20190136973 A KR 20190136973A KR 1020190063191 A KR1020190063191 A KR 1020190063191A KR 20190063191 A KR20190063191 A KR 20190063191A KR 20190136973 A KR20190136973 A KR 2019013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body
functional layer
width direction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키 나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제2 기능층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c]:
[a] 상기 제1 기재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c] 상기 제2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

Description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층이나 위상차층 등을 포함하는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원편광판 등에 이용되는 광학 필름의 위상차층으로서 액정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JP 2015-21976 A1 및 JP 2015-22248 A1에는, 지지체 기재, 배향층, 위상차층, 접착층, 위상차층, 배향층 및 지지체 기재가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로부터 지지체 기재를 박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제2 기능층,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c]:
[a] 상기 제1 기재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c] 상기 제2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 (이하,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1)」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2]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 상기 [a]∼[c]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1]에 기재한 적층체.
[3]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은 각각 액정층인, [1] 또는 [2]에 기재한 적층체.
[4]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위상차층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체.
[5]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및 제2'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 [b] 및 [d]:
[a] 상기 제1 기재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d] 상기 제2'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
(이하,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2)」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6]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 상기 [a], [b] 및 [d]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5]에 기재한 적층체.
[7]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은 각각 액정층인, [5] 또는 [6]에 기재한 적층체.
[8]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위상차층인,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체.
[9] 추가로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층 측에, 수지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인, [5]∼[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기재의 적층체. (이하, 상기 적층체를 「적층체 (3)」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10]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용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는 것인, [9]에 기재한 적층체.
[11] 상기 수지 필름은 광학 필름인, [9] 또는 [10]에 기재한 적층체.
[12]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제2 기능층,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능층을 포함하는 제1 적층부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능층을 포함하는 제2 적층부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제1 기능층과 상기 제2 기능층이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적층부와 상기 제2 적층부를 적층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c]:
[a] 상기 제1 기재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c] 상기 제2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3]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및 제2'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2 기재층을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4] [5]∼[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기능층 측에, 수지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5] [9]∼[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1 기재층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제품의 재료로서 적합한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적층체 (1)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적층체 (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적층체 (2)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적층체 (2)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적층체 (3)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광학 적층체 (3)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적층체 (1)과 대비하기 위한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적층체 (1), 적층체 (2), 및 적층체 (3), 그리고 이들의 적층체 (1)∼(3)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는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이들보다도 앞의 실시형태 또는 그 변형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적층체 (1) 및 그의 제조 방법)]
(적층체 (1))
도 1은 적층체 (1)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적층체 (1)(41)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및 제2 기재층(21)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c]:
[a]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c]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a]∼[c]의 요건에 기재한 각 단부의 위치는 적층체 (1)(4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위치이고, 이하에서 각 층의 단부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 경우도, 적층체 (1)(4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위치이다.
적층체 (1)(41)은, 매엽(枚葉)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長尺)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제1 기재층(11)은, 그 위에 형성되는 제1 기능층(12)을 지지하는 지지층, 또는 제1 기능층(12)을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은 각각 복수의 필름이 적층된 층이어도 좋다. 제1 기재층(11)은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을 갖는 층이어도 좋다.
제2 기재층(21)은, 그 위에 형성되는 제2 기능층(22)을 지지하는 지지층, 또는 제1 기능층(12)을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기재층(11)은 이형성을 나타내는 필름이어도 좋고, 이형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1 기능층(1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다. 제2 기재층(21)은 이형성을 나타내는 필름이어도 좋고, 이형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2 기능층(2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다.
제1 기능층(12)으로는, 편광 특성이나 광학 보상 기능 등의 광학 특성을 보이는 광학 필름이나 액정층,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층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지 필름이라도 좋고, 액정층이라도 좋다.
제1 기능층(12)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이다(이하, 액정층인 제1 기능층(12)을 「제1 액정층」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제1 액정층은,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형성된 경화막이라도 좋다. 제1 기능층(12)은, 바람직하게는 위상차층, 터치 센서층, 편광층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층이다.
제2 기능층(22)으로는, 편광 특성이나 광학 보상 기능 등의 광학 특성을 보이는 박막층이나,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층을 들 수 있으며, 수지 필름이라도 좋고, 액정층이라도 좋다. 제2 기능층(22)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이다(이하, 액정층인 제2 기능층(22)을 「제2 액정층」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제2 액정층은, 제1 액정층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형성된 경화막이라도 좋다. 제2 기능층(22)은, 바람직하게는 위상차층, 터치 센서층 및 편광층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층이다.
접착층(30)은, 제2 기능층(22)과 제1 기재층(11) 및 제1 기능층(12)을 접착한다.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한 [a]∼[c]의 관계를 전부 만족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 (1)(4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는, 제1 기재층(11)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제1 기능층(12)의 단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또한 제2 기능층(22)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는,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고, 제2 기재층(21)의 단부의 위치는,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다.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와 제2 기재층(21)의 단부의 위치가 같고,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는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다.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와 제2 기재층(21)의 단부의 위치는 서로 다르더라도 좋다.
제2 기재층(21)은 제2 기능층(2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함으로써, 적층체 (2)(42)(도 3)를 얻을 수 있다.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가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함(상기 [c]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접착층(30)이 제2 기재층(21)에 접착하지 않은 상태로 할 수 있다. 고로,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할 수 있다. 더욱이, 접착층(30)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기재층(11)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면서 또한 제1 기능층(12)의 단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함(상기 [a] 및 [b]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제2 기능층(22)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접착층(30)을 통해 제1 기재층(11)에 접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체 (1)(41)을 접착층(30)과 제1 기재층(11)의 사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박리력이, 제2 기능층(22)과 제2 기재층(21)의 사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박리력보다도 커진다. 이 박리력의 차이에 의해,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하려고 했을 때에, 접착층(30)과 제1 기재층(11) 사이에서 분리되기 어렵게 됨으로써,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 사이에서의 분리가 생기기 어렵게 되는 데 대하여, 제2 기재층(21)과 제2 기능층(22)의 사이에서의 분리가 생기기 쉽게 된다. 따라서,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적합하게 박리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적층체(41p)와 같이, 접착층(30p)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p) 및 제2 기능층(22p) 각각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내측에 있는 경우(상기 [b]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2 기재층(21p)을 박리하려고 했을 때에, 적층체(41p)가 제2 기재층(21p)과 제2 기능층(22p)의 사이에서 분리하지 않고, 제1 기재층(11p)과 제1 기능층(12p)의 사이에서 분리하여, 적층체(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적층체 (1)(41)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a]∼[c]의 관계를 전부 만족함으로써, 제2 기재층(21)을 박리하기 쉽고, 적층체 (1)(41)을 제2 기재층(21)과 제2 기능층(22p)의 사이에서 분리하기 쉽기 때문에, 후술하는 적층체 (2)(42)(도 3)를 얻기 쉽다.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 (1)(41)은, 특정 층 사이에서 분리할 때에 필요한 힘인 박리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적층체 (1)(41)을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의 사이에서 분리할 때에 필요한 힘인 박리력(i)은, 적층체 (1)(41)을 제2 기재층(21)과 제2 기능층(22)의 사이에서 분리할 때에 필요한 힘인 박리력(ii) 이상이라도 좋고, 박리력(ii) 이하라도 좋다. 적층체 (1)(41)을 접착층(30)과 제1 기재층(11)의 사이에서 분리할 때에 필요한 힘인 박리력(iii)은, 박리력(i) 및 박리력(ii)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력은, 예컨대 정밀만능시험기 AGS 시리즈(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적층체 (1)의 제조 방법)
도 2의 (a) 및 (b)는 적층체 (1)(4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적층체 (1)(41)의 제조방법은,
제1 기재층(11) 및 제1 기능층(12)을 포함하는 제1 적층부(10)를 준비하는 공정과(도 2(a)),
제2 기재층(21) 및 제2 기능층(22)을 포함하는 제2 적층부(20)를 준비하는 공정과(도 2(b)),
접착층(30)을 통해 제1 기능층(12)과 제2 기능층(22)이 대향하도록 제1 적층부(10)와 제2 적층부(20)를 적층하는 공정(도 1)을 포함한다.
제1 적층부(10)는, 도 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 상에 제1 기능층(12)을 갖는 것이면 된다.
제1 기능층(12)이 수지 필름인 경우,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을 분리 가능하게 맞붙이는 방법 등에 의해 제1 적층부(10)를 준비할 수 있다.
제1 기능층(12)이 제1 액정층인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1 기재층(11) 상에 도포하고, 제1 기재층(11) 상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1 기능층(12)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1 적층부(10)를 준비할 수 있다.
JP 2017-083843 A1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로 제1 기능층(12)을 형성함으로써, 제1 기능층을 편광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제10-1586736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능층으로 터치 센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적층부(20)는, 도 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기재층(21) 상에 제2 기능층(22)을 갖는 것이면 된다.
제2 기능층(22)이 수지 필름인 경우,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제2 기재층(21)과 제2 기능층(22)을 박리 가능하게 맞붙이는 방법 등에 의해 제2 적층부(20)를 준비할 수 있다.
제2 기능층(22)이 제1 액정층인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2 기재층(21) 상에 도포하고, 제2 기재층(21) 상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2 기능층(22)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1 적층부(1)를 준비할 수 있다.
JP 2017-083843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로 제2 기능층(12)을 형성함으로써, 제2 기능층을 편광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제10-1586736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능층으로 터치 센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적층부(10)와 제2 적층부(20)를 적층하는 공정은, 제1 적층부(10)의 제1 기능층(12) 측 및 제2 적층부(20)의 제2 기능층(22) 측 중 적어도 한쪽에, 접착층(30)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적층부(10)와 제2 적층부(20)를 적층하는 공정은, 접착 조성물층을 통해 제1 기능층(12)과 제2 기능층(22)이 대향하도록 제1 적층부(10)와 제2 적층부(20)를 적층하여, 접착 조성물층으로 접착층(30)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접착 조성물층으로 접착층(3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는, 접착 조성물층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서 적절하게 행하면 되며, 예컨대 접착 조성물층을 경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경화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행하면 되고, 경화 처리가 필요하게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접착 조성물층을 그대로 접착층으로 하면 된다.
제1 적층부(10)에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경우, 접착 조성물층은, 그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되며, 또한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적층부(20)에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경우, 제1 적층부(10)와 제2 적층부(20)를 적층했을 때에, 접착 조성물층이, 그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의 위치가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 (1)(41)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되는 제1 적층부(10) 및 제2 적층부(20)는, 매엽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적층체 (1)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및 하기에 나타내는 변형예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
접착층(30)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적층체 (1)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a]∼[c]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이라도 좋고, 적층체 (1)의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상기 [a]∼[c]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
적층체 (1)(41)은, 제1 기재층(11),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및 제2 기재층(21)에 더하여, 그 밖에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적층체 (1)(41)은 제1 기재층의 제1 기능층과는 반대쪽의 면에, 접착층 및 박리 필름을 이 순서로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제1 기능층(12)이 제1 액정층인 경우,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의 사이에 추가로 제1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2 기능층(22)가 제2 액정층인 경우, 제2 기재층(21)과 제2 기능층(22)의 사이에 추가로 제2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기능층(12)이 제1 액정층이고, 제2 기능층(22)이 제2 액정층인 경우, 적층체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적층부도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고, 제2 적층부도 제2 기재층(21)과 제2 기능층(22)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배향층의 단부는, 제1 기재층(11)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제1 기능층(12)의 단부와 같은 위치라도 좋고,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 또는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제2 기재층(21)과 제2 기능층(22)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2 배향층의 단부는, 제2 기재층(21)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제2 기능층(22)의 단부와 같은 위치라도 좋고,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 또는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2(적층체 (2) 및 그의 제조 방법)]
(적층체 (2))
도 3은 적층체 (2)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적층체 (2)(42)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및 제2' 기능층(22')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 [b] 및 [d]:
[a]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d]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와 같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a], [b] 및 [d]의 요건에 기재된 각 단부의 위치는, 적층체 (2)(42)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위치이고, 이하에 있어서 각 층의 단부의 위치의 관계를 규정하는 경우에도, 적층체 (2)(42)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위치이다.
적층체 (2)(42)는, 매엽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제1 기재층(11) 및 제1 기능층(12)은,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다.
제2' 기능층(22')은, 편광 특성이나 광학 보상 기능 등의 광학 특성을 보이는 광학 필름이나 액정층,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층 등을 들 수 있고, 수지 필름이라도 좋고, 액정층이라도 좋다.
제2' 기능층(22')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이다(이하, 액정층인 제2' 기능층(22)을 「제2' 액정층」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제2' 기능층(22')은,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형성된 경화막이라도 좋다. 제2' 기능층(22')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2 기능층(22)에 유래하는 층이라도 좋다. 제2' 기능층(22')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층이다.
앞선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기재층(11)은 제1 기능층(1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필름이어도 좋고,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을 갖는 층이어도 좋다.
접착층(30)은, 제2' 기능층(22)과 제1 기재층(11) 및 제1 기능층(12)을 접착한다.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한 [a], [b] 및 [d]의 관계를 전부 만족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 (2)(42)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는,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고,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으면서 또한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는,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으면서 또한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다. 더욱이,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는,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다.
적층체 (2)(4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적층체 (2)(42)는 후술하는 적층체 (3)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적층체 (2)의 제조 방법)
도 4의 (a) 및 (b)는 적층체 (2)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하는 적층체 (1)(41)은,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 (1)(41)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도 4(b)에 도시하는 적층체 (2)(42)는, 도 3에 도시하는 적층체 (2)(42)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적층체 (2)의 제조 방법은,
적층체 (1)(41)을 준비하는 공정과(도 4(a)),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하는 공정(도 4(b))을 포함한다.
적층체 (1)은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다. 적층체 (1)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적층체 (1)(41)에서는, 제2 기재층(21)이 제2 기능층(2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적층체 (1)(4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한 [a]∼[c]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함으로써, 도 3 및 도 4(b)에 도시하는 적층체 (2)(42)를 얻을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적층체 (1)(4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기능층(22)은, 접착층(30)이 형성된 영역인 접착층 형성 영역(22x)과, 접착층(3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인 접착층 미형성 영역(22y)(도 4(a) 중,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갖는다. 접착층 형성 영역(22x)이, 접착층(30) 상에 마련된 영역이기 때문에, 제2 기재층(21)을 박리하더라도 접착층(30)에 고정되어 제2 기재층(21)과 함께 박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한편, 접착층 미형성 영역(22y)은 접착층(30)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제2 기재층(21)과 함께 박리되기 쉽다. 고로,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하면, 도 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접착층 형성 영역(22x)이 접착층(30) 상에 존재하고, 접착층 미형성 영역(22y)이 제2 기재층(21) 상에 존재하도록 제2 기능층(22)이 분할되어, 접착층(30) 상에 존재하는 접착층 형성 영역(22x)이 제2' 기능층(22')으로 된다. 고로, 적층체 (1)(41)로부터 제2 기재층(21)을 박리함으로써 적층체 (2)(42)를 얻을 수 있다.
적층체 (2)(42)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되는 적층체 (1)(41)은, 매엽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적층체 (2)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및 하기에 나타내는 변형예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1)
접착증(30)의 단부의 위치는,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a], [b] 및 [d]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이라도 좋고,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상기 [a], [b] 및 [d]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2)
적층체 (2)(42)는, 제1 기재층(11),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및 제2' 기능층(22')에 더하여, 그 밖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 (2)(42)는, 제1 기재층(11)의 제1 기능층(12)과는 반대쪽에 접착층 및 격리 필름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기능층(12)이 제1 액정층인 경우,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의 사이에 추가로 제1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2' 기능층(22')이 제2' 액정층인 경우, 제2' 기능층(22')의 접착층(30)과는 반대쪽에 제2 배향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 (2)(42)가 제1 기재층과 제1 기능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배향층의 단부는, 제1 기재층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고, 제1 기능층의 폭 방향의 위치와 같은 위치라도 좋으며,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 또는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 (2)(42)가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적층체 (2)(42)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2 배향층의 단부는, 제2' 기능층의 단부와 같은 위치라도 좋고,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 (2)가 적층체 (1)로부터 제2 기재층을 박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우, 적층체 (1)이 제1 배향층이나 제2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 (1)이 제2 기재층과 제2 기능층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제2 기재층과 함께 제2 배향층을 박리함으로써 적층체 (2)를 얻더라도 좋고, 제2 배향층이 제2' 기능층 상에 존재하도록 제2 기재층을 박리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적층체 (1) 중의 제2 배향층은, 제2 기능층과 마찬가지로 제2 기재층의 박리 시에, 제2 기재층 상에 존재하는 영역과 제2' 기능층 상에 존재하는 영역으로 분할되어도 좋다.
제2 배향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1)로부터 제2 기재층과 함께 제2 배향층을 박리할지 제2 기재층만을 박리할지는, 제2 기재층, 제2 배향층 및 제2 기능층에 있어서의 각 층 사이의 박리력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박리력은, 예컨대 각 층에 포함되는 성분이나 각 층의 표면에 대하여 행해지는 표면 처리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배향층과 제2 기재층 또는 제2 기능층 사이의 박리력은, 제2 배향층이나 제2 기능층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종류나 양, 제2 기재층의 제2 배향층 측의 표면이나 제2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2 배향층의 표면에 대하여 행하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적층체 (3) 및 그의 제조 방법)]
(적층체 (3))
도 5는 적층체 (3)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 (3)(51)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층체 (2)(42)(즉, 제1 기재층(11),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및 제2' 기능층(22'))와, 광학 필름(60)(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적층체 (2)(42)의 제2' 기능층(22) 측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수지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광학 필름(60)이 적층되어 있다.
적층체 (3)(51)은, 매엽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적층체 (3)(51)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및 광학 필름(6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적층체 (2)(42)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및 제2' 기능층(22')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광학 필름(60)은, 편광층을 갖는 것이라도 좋고, 위상차층이라도 좋다. 적층체 (3)(51)의 폭 방향 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광학 필름(60)의 단부는, 제2' 기능층(22')의 단부의 위치나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와 같은 위치라도 좋고,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은 위치라도 좋고, 제1 기재층(11)의 단부의 위치와 같은 위치라도 좋으며, 이들의 어느 것과도 다르더라도 좋다.
또한, 적층체 (3)(51)을 이루는 각 층의 각 단부의 위치는, 적층체 (3)(5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위치이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은 광학 필름(60)과 제2' 기능층(22')을 접착한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는, 도 5에 도시한 적층체 (3)(5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기재층(11)과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면 된다. 특히, 상기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가 광학 필름(60)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면서, 또한 적층체 (2)(42)의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층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이, 적층체 (3)으로부터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이 비어져 나와 반송로를 오염시키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는, 도 5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의 폭 방향의 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제1 기능층(12)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적층체 (3)(51)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광학 적층체(52)(도 6(b))를 얻기 위해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광학 적층체(52)는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1 기재층(11)의 박리에 의해, 제1 기재층(11)과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사이에 있는 중간층(45)(제2' 기능층(22'), 접착층(30) 및 제1 기능층(12)을 포함하는 층)은,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이하, 「외측 영역」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과, 폭 방향 내측에 있는 영역(이하, 「내측 영역」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으로 분할된다(도 6의 (a), (b)).
상기한 것과 같이, 적층체 (3)(51)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는 경우, 제1 기재층(11)의 박리에 의해서 분할되는 중간층(45)은, 외측 영역이 제1 기재층(11)에 접착층(30)이 접착되어 있는 영역을 가지고, 내측 영역이 제1 기재층(11) 상에 제1 기능층(12) 또는 그 일부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된다(도 6의 (a), (b)).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은 제1 기능층(1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영역에서는 제1 기재층(11)과 접착층(30)의 사이에서 분리가 생기기 어렵고, 내측 영역에서는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의 사이에서 분리가 생기기 쉽게 된다. 따라서,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하면, 제1 기재층(11) 상에 외측 영역이 존재하고,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상에 내측 영역이 존재하도록 중간층(45)이 분할되어, 내측 영역에 있어서 제1 기재층과 제1 기능층을 분리할 수 있다. 고로,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52)를 얻을 수 있다(도 6(b)).
(적층체 (3)의 제조 방법)
적층체 (3)(51)(도 5)의 제조 방법은,
적층체 (2)(42)를 준비하는 공정과(도 3 또는 도 4(b)),
적층체 (2)(42)의 제2' 기능층(22') 측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수지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광학 필름(60)(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공정(도 5)을 갖는다.
적층체 (2)는, 도 3 또는 도 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 준비할 수 있다. 적층체 (2)(42)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광학 필름(60) 및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에 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광학 필름(60)은, 예컨대 적층체 (2)(42)의 제2' 기능층(22') 측 및 광학 필름(60) 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을 형성하기 위한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광학 필름(60)과 제2' 기능층(22')을 맞붙임으로써 적층할 수 있다.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으로부터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서 적절하게 행하면 되며, 예컨대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을 경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경화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행하면 되고, 경화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을 그대로 광학 필름용 접착층으로 하면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는 경우,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적층체 (2)(42)의 제2' 기능층(22') 측에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경우,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이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또한, 광학 필름(60) 상에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경우,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을 통해 광학 필름(60)과 적층체 (2)(42)를 적층했을 때에,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 (3)(51)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되는 적층체 (2)(42)는, 매엽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또한, 광학 필름도, 매엽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적층체 (3)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및 하기에 나타내는 변형예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적층체 (3)은 광학 필름(60)의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과는 반대쪽에 추가로 층을 갖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광학 필름(60)의 광학 필름용 접착 조성물층과는 반대쪽에 접착제층 및 박리 필름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 1)
적층체 (3)(5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제1 기능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을 박리하더라도, 중간층(45)의 내측 영역(적층체 (3)(5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내측에 있는 영역)에도, 제1 기재층에 접착층이 접착되어 있는 영역이 포함되기 때문에, 제1 기재층과 제1 기능층의 사이에서 분리가 생기기 어렵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는 경우, 제1 기능층(12)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적층체 (3)(51)의 단부를 제거함으로써,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 2)
적층체 (3)(51)에 있어서, 예컨대 광학 필름 대신에 박리 필름(수지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고,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대신에 적층체용 접착층(수지 필름용 접착층)을 이용하여도 좋고, 적층체 (3)(51)을 이루는 제1 기재층(11) 대신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다.
적층체용 접착층은, 예컨대 적절한 타이밍에 박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적층체 (3)을 광학 표시 소자에 맞붙이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 3)
적층체 (3)(51)에 있어서, 제1 기능층(12)이 제1 액정층이고 제2' 기능층(22')이 제2' 액정층인 경우, 예컨대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고, 제2' 기능층(22')과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 (3)(51)이 제1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제1 배향층의 단부는, 적층체 (3)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기재층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제1 기능층의 단부와 같아도 좋으며,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 또는 폭 방향 외측에 있어도 좋다. 적층체 (3)(51)이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제2 배향층의 단부의 위치는 제2' 기능층(22')의 위치와 같아도 좋고,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 (3)이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제2 배향층을 갖는 적층체 (2)와 광학필름을 준비하여, 적층체 (2)의 제2 배향층 측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을 통해 광학 필름을 적층하면 된다.
[실시형태 4(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도 6은 광학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은 도 5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광학 적층체(52)의 제조 방법은,
적층체 (3)(51)을 준비하는 공정과(도 6(a)),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하는 공정(도 6(b))을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52)는,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및 광학 필름(6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적층체 (3)(51)은,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및 광학 필름(6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52)는, 그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예컨대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및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각각의 단부의 위치가 같다. 도 6(b)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52)에서는, 광학 필름(60)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폭 방향 내측이라도 좋고,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와 같아도 좋다.
또한, 광학 적층체(52)를 이루는 각 층의 각 단부의 위치는, 광학 적층체(52)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위치이다.
광학 적층체(52)에 포함되는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및 제2" 기능층(22")은, 각각 적층체 (3)(51)에 포함되는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및 제2' 기능층(22')에 유래하는 층이다.
광학 적층체(52)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 (3)(51)은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적층체 (3)(5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는, 제1 기능층(12)의 단부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에서는, 제1 기재층(11)은 제1 기능층(1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접착층(30)의 단부의 위치가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다. 그 때문에, 도 6(a)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에 있어서,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외측의 접착층(30)이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제1 기재층(11)과 접착층(30) 사이의 분리는 생기기 어렵지만, 제1 기능층의 단부보다 내측에서는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 사이의 분리가 생기기 쉽다.
상기한 것과 같이, 도 6(a)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는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다. 그 때문에,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하려고 하면, 도 6의 (a) 및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기능층(22')이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이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사이에서 분할되고, 제2' 기능층(22')의 제1 기재층(11) 측에 있는 접착층(30)도, 적층체 (3)(5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부분과 내측에 있는 부분으로 분할된다. 또한 제1 기능층(12)은, 적층체 (3)(5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가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는 경우,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부분과 내측에 있는 부분으로 분할되고, 적층체 (3)(51)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기능층(12)의 단부의 위치가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의 위치와 같은 경우, 제1 기능층(12)과 접착층(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경계 부분에서 분할된다.
이와 같이, 도 6(a)에 도시하는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하면, 제1 기재층(11)과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사이에 있는 제2' 기능층(22'), 접착층(30) 및 제1 기능층(12)을 포함하는 중간층(45)은,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단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외측 영역(도 6의 (a) 및 (b) 중의 우측으로 내려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과, 폭 방향 내측에 있는 내측 영역으로 분할된다. 외측 영역은 제1 기재층(11)에 접착층(30)이 접착되어 있는 영역을 가지고, 내측 영역은 제1 기재층(11) 상에 제1 기능층(12) 또는 그 일부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되기 때문에, 외측 영역에서는 제1 기재층(11)과 접착층(30) 사이의 분리는 생기기 어려우나, 내측 영역에서는, 제1 기재층(11)은 제1 기능층(12)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기재층(11)과 제1 기능층(12) 사이의 분리가 생기기 쉽게 된다. 따라서, 적층체 (3)(51)으로부터 제1 기재층(11)을 박리하면,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에 외측 영역이 존재하고,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상에 내측 영역이 존재하도록 중간층(45)이 분할되어, 내측 영역에 있어서 제1 기재층과 제1 기능층을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및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각각의 단부의 위치가 같은 광학 적층체(52)를 얻을 수 있다.
광학 적층체(52)의 제조 방법은, 또한 광학 적층체(52)의 제1' 기능층(12')의 접착층(30')과는 반대쪽에 적층체용 접착층을 마련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적층체용 접착층은 광학 적층체를 광학 표시 소자에 맞붙이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52)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되는 적층체 (3)(51)은, 매엽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라도 좋다.
광학 적층체(52)에 있어서, 광학 필름(60)을 직선편광판으로 하고, 제2" 기능층(22")을 1/2 파장판으로 하고, 제1' 기능층(12')을 1/4 파장판으로 함으로써 광학 적층체(52)를 원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광학 필름(60)을 직선편광판으로 하고, 제2" 기능층(22")을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판으로 하고, 제1' 기능층(12')을 포지티브 C 플레이트로 함에 의해서도 광학 적층체(52)를 원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52)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및 하기에 나타내는 변형예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1)
광학 적층체(52)는, 제1' 기능층(12'), 접착층(30'), 제2" 기능층(22"), 광학 필름용 접착층(36) 및 광학 필름(60) 이외에 더하여, 그 밖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52)는, 제1' 기능층(12)이 제1' 액정층이고 제2" 기능층(22")이 제2" 액정층인 경우, 예컨대 제1' 기능층(12')의 접착층(30')과는 반대쪽에 제1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고, 제2" 기능층(22")과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가 제1 배향층을 갖는 경우, 광학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1 배향층의 단부는, 제1' 기능층(12')의 단부와 같은 위치라도 좋고,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의 위치라도 좋다. 광학 적층체가 제1 배향층을 갖는 경우, 상기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하는 적층체 (3)이 제1 배향층을 갖는다.
적층체 (3)이 제1 기재층과 제1 기능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제1 기재층과 함께 제1 배향층을 박리하여 도 6(b)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52)를 얻더라도 좋고, 제1 배향층이 제1' 기능층(12') 상에 존재하도록 제1 기재층을 박리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적층체 (3) 중의 제1 배향층은, 중간층(45)과 마찬가지로 제1 기재층의 박리 시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36)의 폭 방향의 단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과 폭 방향 내측에 있는 영역으로 분할되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가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광학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2 배향층의 단부는, 제2" 기능층(12)"의 단부와 같은 위치라도 좋고,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의 위치라도 좋다. 광학 적층체가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상기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하는 적층체 (3)이 제2 배향층을 갖는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2)
광학 적층체(52)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용 접착층 대신에 박리 필름 및 적층체용 접착층을 이용함으로써, 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기능층의 접착층과는 반대쪽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광학 필름을 마련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각 구조 및 각 공정을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모든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공통되는 각 사항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이하, 양자를 통합하여 「기재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산계 수지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적어도 1종」을 의미한다.
기재층은 이형성을 나타내는 필름이어도 좋고,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을 갖는 층이라도 좋다. 기재층은, 굴곡 가능한 전면판으로서 적용되는 수지 필름이라도 좋다.
<전면판>
전면판은, 액정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의 휘어짐을 억제하거나, 화상 표시 소자를 보호하거나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며, 예컨대 투광성의(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판형체이다. 전면판은, 단층 구조라도 좋고, 다층 구조라도 좋다.
전면판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에 있어서 최외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실외 또는 반실외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면판은, 유리 또는 강화 유리 등의 무기 재료, 영률이 2 ㎬ 이상인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및 강화 유리 등의 무기 재료,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용도로서는 수지 필름이 적합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올레핀계 필름, 아크릴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필름 중에는,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 유기 미립자, 고무 입자 등을 분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굴곡 가능한 전면판은, 적어도 편면에 하드코트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하드코트층은 공지의 방법으로 수지 필름의 표면에 마련할 수 있다.
기재층은, 수지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단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각 층을 이루는 수지는 서로 같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기재층이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인 경우, 기재층에는 임의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료 및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의 점에서 1∼3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1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
적층체 (1)∼(3) 및 광학 적층체가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이하, 양자를 통합하여 「배향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그 위에 형성되는 액정층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액정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다. 배향층으로서는,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 광배향 폴리머로 형성된 광배향성 폴리머층, 층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그루브(홈)를 갖는 그루브 배향층을 들 수 있다. 배향층의 두께는 통상 10∼500 nm이며, 10∼2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성 폴리머층은, 배향성 폴리머를 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하여 용제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 러빙 처리를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 규제력은,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이라면, 배향성 폴리머의 표면 상태나 러빙 조건에 의해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배향성 폴리머층은,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하고, 편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 규제력은, 광배향성 폴리머층이라면, 광배향성 폴리머에 대한 편광 조사 조건 등에 의해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루브 배향층은, 예컨대 감광성 폴리이미드막 표면에 패턴 형상의 슬릿을 갖는 노광용 마스크를 통해 노광, 현상 등을 행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표면에 홈을 갖는 판 형상의 원반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미경화층을 형성하고, 이 층을 기재층에 전사하여 경화하는 방법, 기재층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미경화층을 형성하고, 이 층에, 요철을 갖는 롤 형상의 원반을 바싹 대거나 함으로써 요철을 형성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능층 및 제2 기능층)
제1 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이하, 양자를 통합하여 「기능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은, 편광 특성이나 광학 보상 기능 등의 광학 특성을 보이는 광학 필름이나 액정층,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층 등을 들 수 있고, 수지 필름이라도 좋고, 액정층이라도 좋다.
상기 기능층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으로서는, 후술하는 광학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는, 위상차 필름, 편광층 및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층이 바람직하고, 위상차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통상, 5 ㎛ 이상 100 ㎛ 이하이다.
(광학 필름)
광학 필름으로서는, 편광층, 편광층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편광판, 편광판의 적어도 편면에 프로텍트 필름이 적층된 프로텍트 필름 구비 편광판, 반사 필름, 반투과형 반사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방현 기능 구비 필름, 위상차 필름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를 갖는 것이라도 좋고, 2개 이상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광학 필름은 액정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이 액정층은 위상차층이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층」이란, 무편광의 빛을 입사시켰을 때, 흡수축에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 층을 말한다.
광학 필름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은 편광층으로서는, 단층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이라도 좋고, 기재 필름 상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층을 형성한 2층 이상의 적층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편광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2색성 색소를 배향시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킨 경화막이라도 좋다. 이 경우, 편광층은 액정층일 수도 있다.
광학 필름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은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액정층은, 기재층 또는 이 위에 형성된 배향층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하고,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은, 입사광의 진행 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필름의 면내 방향)에 위상차를 부여하는 필름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올레핀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등의 고분자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제조되는 연신형 위상차 필름이라도 좋다. 상기 연신형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200 ㎛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100 ㎛이다. 두께가 200 ㎛를 넘으면 유연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위상차 필름의 다른 일례로서는, 고분자 필름 상에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액정 도포형 위상차 필름이라도 좋다. 상기 액정 조성물은, 네마틱, 코레스테릭, 스메틱 등의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성질을 갖는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액정 조성물 중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은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있다. 상기 액정 도포형 위상차 필름은, 상기 액정 편광층에서의 기재와 마찬가지로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도포 경화하여 액정 위상차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차 필름은 단층이라도 다층이라도 좋고, 연신형 위상차와 액정형 위상차를 적층한 것이라도 좋다.
<편광층>
편광층은, 직선편광판, 또는 원편광판일 수 있다.
[직선편광판]
직선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을 염색, 연신함으로써 제조되는 필름형 편광자라도 좋다. 연신에 의해 배향한 PVA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2색성 색소가 흡착, 또는 PVA에 흡착한 상태로 연신됨으로써 2색성 색소가 배향하여, 편광 성능을 발휘한다. 상기 필름형 편광자의 제조에 있어서는, 그 외에 팽윤, 붕산에 의한 가교, 수용액에 의한 세정, 건조 등의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연신이나 염색 공정은 PVA계 필름 단독으로 행하여도 좋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다른 필름과 적층된 상태로 행할 수도 있다. 이용되는 PVA계 필름으로서는 10∼100 ㎛, 연신 배율은 2∼10배가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형 편광자는 적어도 편면에 후술하는 보호 필름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다른 기재와 적층하여 연신된 것인 경우는, 편광자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기재를 박리하여도 좋고, 연신 시의 기재를 그대로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례로서는, 액정 편광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액정 도포형 편광자라도 좋다. 상기 액정 편광 조성물은, 액정성 화합물 및 2색성 색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편광층은, 배향막 상에 액정 편광 조성물을 도포하여 액정 편광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정 편광층은, 필름형 편광자에 비해서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편광층의 두께는 0.5∼10 ㎛, 바람직하게는 1∼5 ㎛라도 좋다.
상기 배향막은, 예컨대 기재 상에 배향막 형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러빙, 편광 조사 등에 의해 배향성을 부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편광층은 기재로부터 박리하여 전사하여 적층할 수도 있고, 상기 기재를 그대로 적층할 수도 있다. 기재로서는, 후술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예시되는 고분자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서는, 투명한 고분자 필름이면 좋고 상기 투명 기재에 사용되는 재료,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필름, 올레핀계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 등의 카치온 경화 조성물이나 아크릴레이트 등의 라디칼 경화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하여 얻어지는 코팅형의 보호 필름이라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용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는, 200 ㎛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100 ㎛이다. 두께가 200 ㎛를 넘으면 유연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원편광판]
원편광판은, 직선편광판에 λ/4 위상차판을 적층함으로써 우 또는 좌원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 기능층이다. 예컨대 외광을 우원편광으로 변환하여 유기 EL 패널에서 반사되어 좌원편광이 된 외광을 차단하고, 유기 EL의 발광 성분만을 투과시킴으로써 반사광의 영향을 억제하여 화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이용된다. 원편광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직선편광판의 흡수축과 λ/4 위상차판의 지상축은 이론상 45°일 필요가 있지만, 실용적으로는 45±10°이다. 직선편광판과 λ/4 위상차판은 반드시 인접하여 적층될 필요는 없고, 흡수축과 지상축의 관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전체 파장에 있어서 완전한 원편광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용상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원편광판은 타원 편광판도 포함한다. 직선편광판의 시인측에 λ/4 위상차 필름을 더 적층하여, 출사광을 원편광으로 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를 건 상태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의 재료는, 일반적으로는, 단파장일수록 복굴절이 크고 장파장이 될수록 작은 복굴절을 나타내는 재료가 많다. 이 경우에는 전체 가시광 영역에서 λ/4의 위상차를 달성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시감도가 높은 560 ㎚ 부근에 대하여 λ/4가 되는 것 같은 면내 위상차 100∼180 ㎚, 바람직하게는 130∼150 ㎚가 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과는 반대의 복굴절률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한 역분산 λ/4 위상차판을 이용하는 것은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연신형 위상차판의 경우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2873호 공보 등,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의 경우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0-3097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λ/4 위상차판과 조합함으로써 광대역 λ/4 위상차판을 얻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성10-90521호 공보). λ/2 위상차판도 λ/4 위상차판과 동일한 재료 방법으로 제조된다. 연신형 위상차판과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의 조합은 임의이지만, 어느 쪽도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을 이용하는 것은 막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원편광판에는 경사 방향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적층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4-224837호 공보). 포지티브 C 플레이트도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이라도 연신형 위상차판이라도 좋다. 두께 방향의 위상차는 -200∼-20 ㎚, 바람직하게는 -140∼-40 ㎚이다.
[터치 센서]
터치 센서는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터치 센서로서는,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 여러 가지 양식이 제안되어 있고, 어느 방식이어도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정전 용량 방식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활성 영역은 표시 패널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이고, 비활성 영역은 표시 장치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비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터치 센서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감지 패턴과;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 패턴과 패드부를 통해 외부의 구동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각 센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으로서는, 상기 전면판의 고분자 필름 기재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를 박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터치 센서 부분만 적층체에 전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능층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이다. 상기 액정층은, 공지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막대형 액정 화합물, 원반형 액정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용제,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배향층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액정 경화층인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기재층 상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기재층과 함께 연신함으로써 액정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액정층은, 위상차층이라도 좋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용제 외에, 중합개시제, 반응성 첨가제, 레벨링제, 중합금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용제, 중합개시제, 반응성 첨가제, 레벨링제, 중합금지제 등은, 공지의 것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액정층의 두께는, 통상 0.1 ㎛ 이상 10 ㎛ 이하이다.
(박리 필름)
박리 필름은, 점착제층을 지지하고, 점착제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세퍼레이터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박리 필름으로서는,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지지하는 쪽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등의 이형 처리가 실시된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을 이루는 수지 재료로서는, 상기한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을 이루는 수지 재료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1층 구조라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다층 수지 필름이라도 좋다.
(접착층)
접착층은, 접착제,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이라도 좋다. 접착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서로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점착제 등 중 1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며,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나, 이들 모노머에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과 같은 활성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첨가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자외선 경화성의 에폭시계 모노머 및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이 형성되는 층의 표면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
광학 필름용 접착층은, 상기의 접착제,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이라도 좋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서로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및 점착제로서는, 상기 접착층에 이용되는 접착제 및 점착제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이 형성되는 층의 표면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적층체용 접착층)
적층체용 접착층은, 상기의 접착제,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이라도 좋다. 적층체용 접착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서로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적층체용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및 점착제로서는, 상기 접착층에 이용되는 접착제 및 점착제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적층체용 접착층이 형성되는 층의 표면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10: 제1 적층부, 11: 제1 기재층, 12: 제1 기능층(제1 액정층), 12': 제1' 기능층(제1' 액정층), 20: 제2 적층부, 21: 제2 기재층, 22: 제2 기능층(제2 액정층), 22x: 접착층 형성 영역, 22y: 접착층 미형성 영역, 22': 제2' 기능층(제2' 액정층), 22": 제2" 기능층(제2" 액정층), 30: 접착층, 30': 접착층, 36: 광학 필름용 접착층, 41: 적층체 (1), 42: 적층체 (2), 45: 중간층, 51: 적층체 (3), 52: 광학 적층체, 60: 광학 필름(수지 필름).

Claims (15)

  1.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제2 기능층,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c]:
    [a] 상기 제1 기재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c] 상기 제2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상기 [a]∼[c]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은 각각 액정층인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위상차층인 적층체.
  5.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및 제2'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 [b] 및 [d]:
    [a] 상기 제1 기재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d] 상기 제2'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상기 [a], [b] 및 [d]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은 각각 액정층인 적층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층 및 상기 제2'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위상차층인 적층체.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추가로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층 측에, 수지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인 적층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용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는 것인 적층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광학 필름인 적층체.
  12.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제2 기능층, 및 제2 기재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능층을 포함하는 제1 적층부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능층을 포함하는 제2 적층부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제1 기능층과 상기 제2 기능층이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적층부와 상기 제2 적층부를 적층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는, 하기 [a]∼[c]:
    [a] 상기 제1 기재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b] 상기 제1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에 있음,
    [c] 상기 제2 기능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폭 방향 내측에 있음
    의 관계를 전부 만족하는 것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3. 제1 기재층, 제1 기능층, 접착층, 및 제2'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2 기재층을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4.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기능층 측에, 수지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공정
    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5. 제9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1 기재층을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90063191A 2018-05-31 2019-05-29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136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4809 2018-05-31
JP2018104809 2018-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73A true KR20190136973A (ko) 2019-12-10

Family

ID=6873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91A KR20190136973A (ko) 2018-05-31 2019-05-29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689433B2 (ko)
KR (1) KR20190136973A (ko)
CN (1) CN110554451B (ko)
TW (1) TWI808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4418B2 (ja) * 2018-06-14 2022-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801370A (zh) * 2022-04-25 2022-07-29 江苏铁锚玻璃股份有限公司 消除夹胶件内部元器件机械应力方法及夹胶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00Y2 (ko) * 1988-02-02 1993-07-28
JP2881509B2 (ja) * 1991-01-31 1999-04-12 タキロン株式会社 調光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H04289685A (ja) * 1991-03-19 1992-10-14 Teijin Ltd 透明面状ヒーター
JP6303725B2 (ja) * 2014-03-31 2018-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剥離基材付き柄印刷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柄印刷積層体の製造方法、並びに剥離基材付き柄印刷積層体、柄印刷積層体及び中間積層体
JP6456686B2 (ja) * 2014-12-25 2019-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7151164A (ja) * 2016-02-22 2017-08-3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148775B1 (ja) * 2016-02-25 2017-06-14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646213B1 (ko) * 2016-06-30 2024-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향상을 위한 광학부재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6453288B2 (ja) * 2016-10-14 2019-01-1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8184B (zh) 2023-07-11
JP2019211771A (ja) 2019-12-12
CN110554451A (zh) 2019-12-10
JP6689433B2 (ja) 2020-04-28
JP2020116955A (ja) 2020-08-06
CN110554451B (zh) 2022-06-07
TW202003222A (zh)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0044B2 (en) Set of polarizing plates having a young&#39;s modulus and front-plate-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KR10170894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646260B1 (ko) 복합 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
WO2017082133A1 (ja) 偏光板及び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19148734A (ja) 円偏光板
KR20190134507A (ko) 원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443686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117920A (ko)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19204121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TWI682225B (zh) 光學異向性膜之製造方法
TW201946774A (zh) 偏光板及顯示裝置
CN110554451B (zh) 层叠体及其制造方法
WO2020262143A1 (ja) 光学積層体
JP7014418B2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28133A (ja)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TWI816795B (zh) 光學積層體的製造方法
JP7085414B2 (ja) 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7122168B2 (ja) 接着層付き積層体、積層体、液晶層積層体、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2085402A1 (ja) 積層直線偏光板
KR102267513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CN110531456B (zh) 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US1199911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N110531457B (zh) 圆偏振板的制造方法
JP2020060615A (ja) 光学フィルム
JP2024050788A (ja) 円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