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698A -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698A
KR20190133698A KR1020197030034A KR20197030034A KR20190133698A KR 20190133698 A KR20190133698 A KR 20190133698A KR 1020197030034 A KR1020197030034 A KR 1020197030034A KR 20197030034 A KR20197030034 A KR 20197030034A KR 20190133698 A KR20190133698 A KR 2019013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classification
medical agent
drug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081B1 (ko
Inventor
히로카즈 아마노
도모히로 스기모토
야스유키 요시카와
마키 마츠나가
고지 이토
유타 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24700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171A/ko
Publication of KR2019013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10Ba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4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by shape or form, e.g. by using shap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301/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2301/0016RFID-t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약제 분류 장치(1)는, 제1 카메라(13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64)와,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수용부(11)에 혼재된 상태에서 수용된 복수 종류의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고, 제2 수용부(14)에 저장하는 반송·분류 유닛(1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본 발명은, 약제를 분류하는 약제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품된 복수 종류의 약제는, 약사 또는 의사의 손에 의해 종류별로 분류되고 있다. 반품되는 약제는, 다양한 환자에게 처방되거나, 또는 처방된 조제 후의 약제이다. 그 때문에, 1환자 단위의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조제 기기 등에 미리 약종 단위로 정리된 약종군(약제 카세트)으로부터, 1회 복용 시기 단위별로 (1종 또는 복수종의) 약제(정제)를 한데 모으는(분포하는) 조제 업무에 비하여, 복수의 환자에게 처방된 약제가 통합되어 반품되는 약제의 종류는 매우 많다. 그 때문에, 반품된 약제를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재이용함의 유용성은 높다. 또한, 1회 복용 시기용으로 조제되는 약제는, 일반적으로 2 내지 3종류 정도이며, 많아도 10종류 정도이다.
또한, 분류 업무에 걸리는 시간, 수고, 또는 분류 실수(약제 카세트로의 복귀 실수)에 의한 투여 오류의 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해서, 반품된 약제를, 그대로 폐기하는 약국 또는 병원(정확하게는 원내 약제부)도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반품된 앰플 또는 바이알을 자동적으로 인식해서 저장하는 약제 분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약제 분류 장치는, 앰플 또는 바이알의 방향 및 자세와, 앰플 또는 바이알의 성상(예: 형상, 크기, 종류 및 사용 기한)을 인식한다. 그리고, 인식된 앰플 또는 바이알의 크기에 따라서 저장 시에 개개의 앰플 또는 바이알에 설정되는 저장 영역과, 개개의 앰플 또는 바이알의 식별 정보를 관련지어, 앰플 또는 바이알을 개별로 배치하고, 그것에 의해 개별의 앰플 또는 바이알을 취출 가능하게 저장한다.
국제 공개 제2015/170761호(2015년 11월 12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의 반품 대상은, 앰플 또는 바이알이며,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용기 등에 수용되지 않은 약제, 또는 포장 등이 실시되지 않은 약제 자체가 아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이와 같은 약제(예: 정제 또는 캡슐) 그 자체를 식별하고,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정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약제 자체를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분류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혼재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약제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해서 상기 제2 수용부로 저장하는 분류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혼재되어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에 대하여, 촬상된 화상을 사용해서 그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 또는 유저(예: 의사, 약사 등의 의료 종사자)는, 분류 후의 처리(목시 감사, 분포, 약제 선반(조제 선반)으로의 반환 등)를 효율적이면서도 보다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약제는, 앰플 또는 바이알(바꾸어 말하면, 용기에 수용된 약제)이 아니라, 용기 등에 수용되지 않은 약제 또는 포장 등이 실시되지 않은 약제 자체를 가리킨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약제 자체를, 판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는,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회동부가 회동시킨 복수의 위치로부터,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된 상기 약제를 촬상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를 배치 영역에 배치(고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약제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는, 상기 판별부가 판별한 약제의 종류별로,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을 분류하는 화상 분류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의 판별 결과(분류 결과)와 일치하도록, 약제의 화상을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화상을 유저가 봄으로써, 당해 분류된 복수의 약제가 동종인지 여부를 확인하는(목시 감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판별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특징을 추출함과 함께, 당해 특징을,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판별을 행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판별부는, 추출한 특징을 약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해서 상기 판별을 행함으로써, 동종의 약제에 대해서는 제2 수용부의 동일 위치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 또는 유저는, 분류 후의 처리를 효율적이면서도 보다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판별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특징을 추출함과 함께, 당해 특징끼리를 대비해서 이들이 동일하다고 간주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판별을 행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특징이 동일하다고 간주되는 약제를 제2 수용부의 동일한 위치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 또는 유저는, 분류 후의 처리를 효율적이면서도 보다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촬상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가,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라도(약제 데이터를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사전에 등록하지 않아도), 당해 약제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약제의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 했을 때, 상기 판별부는, 상기 기준 화상의 취득 후에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약제의 화상에 있어서의 당해 약제의 특징을, 상기 기준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특징과 대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약제에 대해서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는, 상기 약제에 자외광을 조사하는 자외광 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자외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촬상된 상기 약제의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을 행해도 된다.
자외광이 약제에 조사되면, 약제의 성분에 의해 서로 다른 형광을 발한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자외광을 조사해서 약제를 촬상함으로써, 동일 색(예: 백색)의 약제라도, 약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류의 판별 처리의 성능이 향상되므로, 방대한 양의 약제의 분류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판별부는,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촬상된 상기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의 후보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판별을 행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동일 색의 약제라도, 약제 데이터의 후보를 압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약제 데이터의 후보의 압축 성능이 향상되므로, 방대한 양의 약제의 분류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는,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약제 적재대와, 상기 약제 적재대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약제 적재대를, 상기 약제가 적재되는 적재 영역으로부터, 상기 촬상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약제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부로의 분류를 대기하는 분류 대기 영역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적재 영역에 있어서, 촬상 대상으로 되는 약제를 약제 적재대에 적재하는 것만으로, 약제 분류 장치는, 배치 영역에 있어서 당해 약제를 촬상할 수 있음과 함께, 촬상 후(종류의 판별 후)의 당해 약제를, 분류 대기 영역에 있어서 제2 수용부에 대한 분류를 대기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약제 분류 장치는, 약제 적재대 및 이동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약제의 촬상부터 제2 수용부에 대한 분류 직전까지의 처리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약제 적재대는 2개 구비되고, 당해 약제 적재대의 각각이 축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축부를 선회시킴으로써, 한쪽의 상기 약제 적재대를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했을 때, 다른 쪽의 상기 약제 적재대를 상기 적재 영역 또는 상기 분류 대기 영역에 배치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약제 적재대에 적재된 약제를 촬상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약제 적재대에 새로운 촬상 대상으로 되는 약제를 적재하거나, 또는 다른 쪽의 약제 적재대에 적재된 촬상 후의 약제를 제2 수용부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분류 장치는, 약제의 촬상과, 약제의 적재 또는 분류를 병행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영역에 있어서, 다른 적재 유닛을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유저의 목시 감사에 의해 상기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가 일의적으로 특정된 경우에는, 당해 약제 데이터를,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목시 감사에 의해 일의적으로 특정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신규 약제를 등록할 수 있어, 약제 데이터베이스를 수시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데이터베이스의 신규 작성 단계에 있어서, 모든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시켜 둘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판별부는, 종별을 판별한 상기 약제가, 분류가 필요하지 않은 분류 불필요 약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당해 약제를 분류 대상으로부터 제외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류 불필요 약제로 지정된 약제를, 분류 대상으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류 불필요 약제에 대한 분류 처리 또는 목시 감사 등의 불필요한 처리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류 처리 및 목시 감사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분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당해 제1 수용부로 이동하여, 당해 제1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약제를 흡착하는 흡착 기구와, 상기 흡착 기구에 의한, 상기 약제를 흡착하기 위한 흡인력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는, 상기 흡착 기구의 선단부의 근방에 상기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역치와, 상기 약제가 상기 선단부에 흡착되었다고 판정하기 위한 제2 역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의 흡착 시에, 상기 선단부에 의해, 제1 수용부에 쌓아올려진 약제를 무너뜨려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판별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문자에 대한 인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문자 중, 당해 문자의 크기가 소정 범위의 크기이며, 또한 당해 문자가 열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정된 문자에 대하여, 실제로 상기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문자라고 판정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기호의 판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 이외의 소정 부분의 모양을, 상기 촬상부가 미리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소정 모양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상부의 촬상 위치가 미리 규정된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소정 부분의 모양에 의해, 촬상 위치가 미리 규정된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간이한 방법으로 촬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되고,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약제 적재대를 지지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배치 영역에 상기 약제 적재대가 배치되었을 때, 상기 촬상부가 회동하는 축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부분의 모양은, 상기 축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정 부분의 모양이 축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기 때문에, 촬상부는,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다른 모양을 촬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촬상한 모양에 기초하여 촬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분류부는, 분류된 약제의 반환처에 관한 반환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분류 장치로부터 취출할 대상으로서 특정된 약제를, 상기 약제 분류 장치에 있어서의 약제의 취출측으로 분류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환처 정보에 기초하여(즉 반환처의 사양에 따라서) 약제 분류 장치로부터 취출할 대상으로서 특정된 약제를, 약제 분류 장치로부터 취출하기 쉬운 위치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당해 약제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약제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약제가 적재되는 상기 약제 적재대의 적재면과 대향하는 제1 방향, 또는 당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약제를 촬상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약제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부터의 촬상으로, 약제가 정제인지 캡슐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상기 판별부가 판정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적재면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상기 약제를 촬상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경사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약제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약제가 캡슐인 경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부터 촬상했을 때의 형상과 경사 방향으로부터 촬상했을 때의 형상이 대략 일치하지만, 약제가 정제인 경우에는 당해 2개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 외에, 경사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도 사용함으로써, 확실하게 정제인지 캡슐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는,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를 촬상한 화상에, 당해 분류 용기의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당해 분류 용기에 수용된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수용부를 촬상한 화상에, 당해 제1 수용부의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당해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을 변경하는 검출 영역 변경부를 구비해도 상관없다.
화상에 저부가 포함되는 경우, 분류 용기 또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수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하면, 화상에 저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검출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분류 용기 또는 제1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수의 다과에 따른 검출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약제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복수 종류의 약제의 각각에는, 약제를 특정하기 위한 약제 고유 정보가 복수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반환하는 반환처, 또는 당해 반환처로 반환하기 위한 반환 보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당해 약제에 관한 복수의 약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약제 고유 정보를, (1)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에 마련된 정보 기록 매체에 기억하거나, 또는 (2) 유저에 의한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인자한 저널에 인자해도 상관없다.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로 관리되는, 임의의 약제에 관한 복수의 약제 고유 정보와, 약제 분류 장치로 관리되는 당해 약제에 관한 복수의 약제 고유 정보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약제 분류 장치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억, 또는 저널에 인자한 약제 고유 정보를,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로 판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약제 고유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억, 또는 저널에 인자하기 때문에,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로 약제 고유 정보를 확실하게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가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유저 입력에 의해,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약제 중, 복수의 분류 용기 중 소정의 분류 용기로 분류하는 것을 유저가 희망하는 약제에 대해서, 당해 약제를 당해 소정의 분류 용기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부는, 상기 분류 식별 정보가 부여된 약제에 대해서는, 당해 분류 식별 정보가 부여된 소정의 분류 용기로 분류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희망에 따라서, 소정의 약제를 소정의 분류 용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분류 용기는, 상술한 구성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약제 분류 장치의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약제 분류 장치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로서, 상기 약제 분류 장치에 의해 분류된 약제가 삽입되는 개구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분류 용기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개구의 외주로서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어느 것에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분류 용기를 제2 수용부로부터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류 용기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분류 용기에서는, 인접하는 2변의 각각에, 상기 볼록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인접 부분의 높이는 동일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를 넓게 할 수 있으므로, 분류 용기의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분류 용기에서는,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분류 용기의 외벽과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당해 외벽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돌출된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분류 용기의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반환 방법은, 복수 종류의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약제 분류 공정과, 상기 약제 분류 공정에서 분류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하는 감사 공정과, 상기 감사 공정에서의 감사 결과에 기초하여, 목시 감사의 약제를, 반환처로 반환하는 반환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반환 방법은, 복수 종류의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약제 분류 공정과, 상기 약제 분류 공정에서 분류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하기 위한 감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공정과, 상기 표시 공정에서 표시된 감사 화상을 사용한 목시 감사 결과에 기초하여, 목시 감사의 약제를 반환처로 반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반환 준비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류한 약제를, 목시 감사를 거쳐서 반환처로 반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반환 방법에서는, 상기 약제가 분류된 복수의 분류 위치가 미리 준비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약제의 분류 상황을 나타내는 분류 화상에 나타내어진 상기 분류 위치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당해 분류 위치에 대응지어진 약제의 상기 감사 화상을 표시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류 화상에 대한 유저 입력에 의해, 원하는 감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반환 방법에서는, 상기 약제가 분류된 복수의 분류 위치의 각각에는,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 용기에 마련된 정보 기록 매체에는, 당해 분류 용기에 수용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상기 감사 화상을 표시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류 용기에 수용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의 판독에 의해, 원하는 감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반환 방법에서는,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약제 분류 공정에서 분류된 약제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약제를 분포한 분포지에 부여된,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감사 화상을 표시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라도, 원하는 감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반환 방법에서는, 상기 반환 준비 공정에서는, (1)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에 마련된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2) 상기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인자한 저널을 발행하거나, 또는 (3) 상기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당해 약제를 분포한 분포지에 부여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류 용기의 정보 기록 매체, 저널, 또는 분포지로부터,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원하는 반환처로 약제를 확실하게 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에 의하면, 약제 자체를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약제 분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약제 분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약제 분류 장치가 구비하는 약제 분류 영역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상기 약제 분류 장치가 구비하는 제1 수용부의 저부에 마련되는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 내지 (d)는 촬상된 시트의 화상 해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상기 약제 분류 장치가 구비하는 흡착 기구가 구비하는 제어 밸브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상기 약제 분류 장치가 구비하는 촬상 유닛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촬상 유닛의 내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상기 촬상 유닛의 선회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 및 (b)는, 상기 약제 분류 유닛이 구비하는 분류 컵에 대한 분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약제 분류 장치가 구비하는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화상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약제 분류 처리 중의 표시예이며, (b)는, 지정된 분류 컵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예이다.
도 12는, 화상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문자 인식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촬상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 내지 (c)는, 흡착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a) 내지 (d)는, 약제 흡착 범위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a) 및 (b)는, 약제 및 분류 컵의 지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반송·분류 유닛이 구비하는 흡착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19의 (a) 내지 (d)는, 약제 적재대에 적재된 약제의 개수 판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이다.
도 20은, 약제 분류부터 약제 반환까지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감사 화상의 표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의 (a) 및 (b)는, 감사 화상의 표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의 (a) 및 (b)는, 목시 감사 완료 후의 반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목시 감사 완료 후의 반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저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의 (a)는, 분류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분류한 약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분류 약제 일람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의 (a) 내지 (c)는, 분류 화상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했을 때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의 (a) 내지 (c)는, 감사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의 (a) 내지 (c)는, 감사 화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약제 분류 장치에 의해 분류된 약제의 집계 업무에 관한 표시 화상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의 (a) 내지 (d)는, 집계 결과가 저널에 의해 출력될 때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의 (a)는, 분류 컵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 내지 (d)는, 분류 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a)에 도시한 분류 컵의 6면도이다.
도 34의 (a) 내지 (c)는, 분류 컵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의 (a) 내지 (h)는, 분류 컵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의 (a) 내지 (d)는, 기호 특정 정보의 생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는, 기호 등록 정보의 생성 대상으로 되는 약제의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 내지 (d)는, 기호 특정 정보를 취득할 때의 약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약제 흡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는, 흡착 기구를 이동시키면서 비교적 작은 약제를 흡착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b) 및 (c)는, 약제의 크기에 의해 흡착 방법을 변경했을 때의, 약제가 흡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의 (a) 내지 (c)는, 흡착 위치의 특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약제 분류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당해 약제 분류 장치의 사시도이며, (b)는, 당해 약제 분류 장치가 구비하는 약제 분류 영역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약제 분류 장치(1)의 개요〕
우선, 약제 분류 장치(1)의 개요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약제 분류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약제 분류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 분류 영역(2), 터치 패널(3), 인쇄 출력부(4), 제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리더·라이터 유닛(5), 및 분포 기구(6)를 구비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복수 종류의 약제의 각각에 대하여 촬상하고, 촬상의 결과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고, 종류별로 약제를 분류한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분류 영역(2)에 있어서 이 처리가 행해진다. 약제 분류 영역(2)(약제 분류 장치(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종류별로 분류된 약제는, 유저에 의한 목시 감사가 행해진 후, 분포되거나, 약제 선반으로 반환되거나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종류의 약제는, 용기 등에 수용되지 않은 약제 또는 포장 등이 실시되지 않은 약제이며, 그 일례로서, 정제 또는 캡슐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복수 종류의 약제가 반품된 약제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약제의 반품으로서는, 약국 또는 병원에 있어서의 채용약이 당해 약국 또는 병원에서 「반품약」으로서 반품되는 경우와, 당해 약국 또는 병원에 있어서, 당해 채용약 이외에, 다른 약국 또는 병원에서 발행된 약제도 포함할 수 있는 「지참약」이 반품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바꾸어 말하면, 반품되는 약제라는 개념에는, 상기 「반품약」 및 「지참약」중 적어도 어느 것이 포함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가 반품된 후, 촬상부터 분류까지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3)은, 조작부(31)에서 각종 유저 입력을 접수함과 함께, 표시부(32)에서 각종 화상(예: 약제 분류의 추이를 나타내는 화상, 목시 감사용 화상)을 표시한다.
인쇄 출력부(4)는, 목시 감사 후의 유저 입력에 따라서, 목시 감사 후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예: 약제명, 제조원 또는 성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저널을 인자한다. 약제 데이터에는, 약제 고유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은, 제2 수용부(14)의 각 분류 컵(141)의 저부에 마련된 RFID 태그(도시생략)에 기억된, 각 분류 컵(141)에 저장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예: 저장된 약제의 개수, 약제 데이터, 및 촬상 유닛(13)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당해 데이터는, 목시 감사에 의해 결정된 약제 데이터(목시 감사 후의 약제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RFID 태그에 목시 감사 후의 약제 데이터를 기입해도 된다. 목시 감사 후의 약제 데이터는, 대응하는 분류 컵(141)에 저장된 약제를, (1) 분포 기구(6), 혹은 약제 분류 장치(1)와는 상이한 분포기로 분포할 때, 또는 (2) 약제 선반으로 반환할 때 사용된다.
분포 기구(6)는 분류된 약제를 분포한다. 분포 기구(6)는 옵션 기구이다. 분포 기구(6)가 약제 분류 장치(1)에 구비되는 경우, 반품된 약제의 분류부터, 목시 감사를 거친 후의 분포까지의 처리를, 약제 분류 장치(1)에서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분포 기구(6)로 약제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목시 감사를 제외하고, 상기 분류부터 분포까지의 처리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분포 기구(6)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정제 분포기 또는 산약 분포기의 분포부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동일 약종별로 분류된 분류 컵(141) 내의 약제를, 1포 또는 복수 포로 분포할 수 있다. 또한, 분포 처리 시에, 분포 기구(6)에 마련된 인쇄 기구에 의해,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된, 분류 컵(141) 내의 약제의 약제명이 분포지에 인쇄된다. 또한, 당해 약제의 약제명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각 포에 인쇄된다. 이들 인쇄는, 약제 선반으로의 반환 시, 또는 정제 분포기로의 반환 시 등에 활용된다.
〔약제 분류 영역(2)의 기본 구성〕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을 이용하여, 약제 분류 영역(2)의 기본 구성(약제 분류 장치(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약제 분류 영역(2)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영역(2)은, 하드웨어로서 주로, 제1 수용부(11), 반송·분류 유닛(12)(분류부), 촬상 유닛(13), 제2 수용부(14), 대기 트레이(15), 회수 트레이(16), 약제 투입구(17) 및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송·분류 유닛(12)을 제외한 각 부재는 받침대(19)에 마련되어 있다. 반송·분류 유닛(12), 촬상 유닛(13) 및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의 주요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수용부(11)는, 유저에 의해 반품된 복수 종류의 약제를 혼재한 상태에서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용부(11)는, 복수의 수용부에 분할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 전부가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면, 당해 수용부에 인접하는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가 반송 대상으로 된다. 또한, 제1 수용부(11)가 Z축(원기둥 형상의 중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컴퓨터(60)의 제어부(이후, 단순히 제어부라고 칭함)는, 예를 들어 하나의 수용부가 비어 있는 타이밍에, 반송·분류 유닛(12)이 약제를 취득하기 쉽도록 제1 수용부(11)를 회동시켜도 된다.
제1 수용부(11)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이다. 이 형상에 의해, 수용 용량의 증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종류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또한, 제1 수용부(11)의 저부에 도트 형상의 도안 또는 요철이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2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제1 수용부(11)가 비어 있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도트 형상이 도안으로 표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검출 대상의 약제보다도 충분히 작은 흑색점을 등간격으로 인자한 시트(도 4의 (a) 참조)에 의해 실현된다. 시트는 백지이며, 흑색점의 간격은 흑색점의 크기와 동일 정도로 한다. 또한, 요철로 표현되는 경우에는, 검출 대상의 약제보다도 충분히 작은 오목 또는 볼록이 등간격으로 마련된 시트에 의해 실현된다. 흑색점 또는 요철은, 시트 대신에 제1 수용부(11)의 저부에 직접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분류 컵(141)의 저부에도 마찬가지의 도안 또는 요철이 마련되어도 된다.
제2 수용부(14)는,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복수의 분류 컵(141)을 구비한다. 제어부는, 촬상 유닛(13)으로 촬상된 약제의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약제를 저장하는 분류 컵(141)을 결정한다. 당해 약제는, 그 결정된 분류 컵(141)으로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반송되고, 저장된다.
대기 트레이(15)는, 분류 컵(141) 전부에 약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에 의해, 그들 이외의 종류가 판별된 약제를 임시 배치해 두는 수용부이다. 분류 컵(141)으로부터 약제가 제거된 후, 대기 트레이(15)로부터 당해 분류 컵(141)으로 반송되어도 된다.
회수 트레이(16)는, 제어부에 의해 종류를 판별할 수 없는 물품(예: 약제 이외의 이물)을 저장하는 수용부이다. 약제 이외의 이물로서는, 예를 들어 PTP(Press Through Pack) 시트의 파편을 들 수 있다. PTP 시트의 파편은, 약제의 반품 시에 제1 수용부(11)에 혼입될 가능성이 있다.
약제 투입구(17)는, 약제 분류 장치(1)에 분포 기구(6)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제2 수용부(14)에 저장된 약제를,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분포 기구(6)로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당연히, 약제 분류 장치(1)에 분포 기구(6)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약제 투입구(17)는 불필요한 구성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의 상기 각 부재(하드웨어)를 통괄해서 제어하는 컴퓨터(60)를 구비한다. 컴퓨터(60)는, 제어부(소프트웨어)로서 주로, 반송 제어부(61), 분류 제어부(62), 촬상 제어부(63), 판별부(64), 화상 분류부(65), 조작 입력부(66), 표시 제어부(67), RFID 제어부(68) 및 인쇄 출력 제어부(69)를 구비한다. 반송 제어부(61), 분류 제어부(62), 촬상 제어부(63), 판별부(64) 및 화상 분류부(65)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 입력부(66) 및 표시 제어부(67)는, 각각 터치 패널(3)의 조작부(31) 및 표시부(32)를 제어한다. RFID 제어부(68)는,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 및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을 제어한다. 인쇄 출력 제어부(69)는, 조작 입력부(66)가 접수한 유저 입력에 따라서, 인쇄 출력부(4)를 제어한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가 분포 기구(6)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컴퓨터(60)는, 제어부로서 분포 기구(6)를 제어하는 분포 제어부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60)는 기억부(80)를 구비한다. 기억부(80)는, 예를 들어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약제 마스터)와, 제1 카메라(131)가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80)는, 판별부(64)의 판별 결과와, 분류 제어부(62)가 결정한 약제의 분류 위치를 관련지은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데이터는, 분류 개시부터 분류 완료까지의, 약제와 분류 위치를 관련지은 분류 상황 데이터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데이터베이스, 화상 데이터 및 분류 상황 데이터는, 기억부(80)에서 관리되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서 관리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약제 데이터베이스, 화상 데이터 및 분류 상황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당해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한, 약제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약제 데이터가 추가됨으로써, 갱신되어도 된다.
〔약제 분류 장치(1)에 있어서의 처리의 개요〕
약제 분류 장치(1)에서는, 반송·분류 유닛(12)이, 제1 수용부(11)로 반품된 각 약제를 촬상 유닛(13)까지 반송한다. 반송된 각 약제를 순차 촬상 유닛(13)이 촬상하고, 제어부는,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각 약제의 종류를 판별함과 함께, 판별한 각 약제의 제2 수용부(14)에 있어서의 분류 위치를 결정한다. 반송·분류 유닛(12)은, 결정된 분류 위치에 각 약제를 반송한다. 그리고, 제2 수용부(14)에 저장된 약제에 대한 정보는,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입되거나, 기억부(80)에 기억되거나, 터치 패널(3)에 표시되거나 한다. 또한, 약제의 분류가 완료된 후, 또는 분류의 도중에 있어서, 유저가 터치 패널(3)을 조작함으로써, 목시 감사, 분포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후, 각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촬상 유닛(13)으로의 약제 반송 처리〕
우선, 제1 수용부(11)로부터 촬상 유닛(13)으로의 약제 반송 처리에 대하여,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제1 수용부(11)의 저부에 마련되는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b) 내지 (d)는 촬상된 시트의 화상 해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흡착 기구가 구비하는 제어 밸브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상기 약제 반송 처리는, 주로 반송·분류 유닛(12) 및 반송 제어부(61)에 의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반송·분류 유닛(12)은,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를, 촬상 유닛(13)이 약제를 받아들이는 수납 영역 Ar1(도 6의 (b) 참조)까지 반송시킨다. 반송 제어부(61)는,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한 당해 반송 처리를 제어한다.
반송·분류 유닛(12)은, 제2 카메라(121), 흡착·셔터 기구(122) 및 반송 기구(123)를 구비한다.
제2 카메라(121)는, 반송 대상으로 하는 약제를 특정하기 위해서, 제1 수용부(11)를 축차 촬상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제2 카메라(121)의 촬상 처리를 제어한다. 제2 카메라(121)는, 반송·분류 유닛(12)의(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흡착·셔터 기구(122)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받침대(19)와 대향하는 측의 단부에 마련된다. 제2 카메라(121)는, 후술하는 흡착 기구의 선단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촬상 제어부(63)는,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여, 당해 화상에 약제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반송 제어부(61)는, 약제가 포함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선단부를 제1 수용부(11)에 근접시키고, 그때 촬상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를 반송 대상의 약제로서 특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카메라(121)는, 제1 수용부(11)에 포함되는 복수의 수용부 중 하나의 수용부 전체를 촬상한다. 촬상 제어부(63)는, 당해 수용부를 포함하는 화상을, 명암의 차를 기초로 2치화 처리한 명도 화상으로 변환하고, 당해 명도 화상에 있어서의 명암의 경계를 기초로, 복수의 약제로 이루어지는 덩어리의 윤곽 및 그 영역을 특정한다(약제 영역 특정 방법 1). 촬상 제어부(63)는, 특정한 영역 중, 가장 밝은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수용부 내의 위치에 상기 선단부를 근접해 감으로써, 당해 수용부 내에 포함되는 하나의 약제를 흡착한다.
제2 카메라(121)의 근방에는 가시광원(도시생략)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 카메라(121)의 촬상 시에는, 수용부의 상방(+Z축 방향)으로부터 가시광이 조사된다. 그 때문에, 명도 화상에 있어서 가장 밝은 부분이, 수용부에 있어서 가장 상기 선단부에 가깝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장 밝은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향해서 상기 선단부를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약제부터 취득해 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명도 화상은, 촬상한 약제의 화상에 대하여, 화상의 속성인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어느 것을 변환한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촬상 제어부(63)는, 도 4의 (b)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해석을 행함으로써, 제1 수용부(11)에 포함되는 약제의 위치를 특정해도 된다(약제 영역 특정 방법 2). 또한, 제1 수용부(11)의 저부에는, 검출 대상의 약제보다도 충분히 작은 흑색점이 등간격으로 인자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제어부(63)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의 하나의 수용부에 수용된 복수의 약제를 포함하는 화상을 명도 화상으로 변환하고, 평탄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4의 (c)에 도시한 평탄화 화상을 생성한다. 촬상 제어부(63)는, 명도 화상의 계조값과 평탄화 화상의 계조값의 차분을 구하고, 소정값보다도 차분이 작은 영역을,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도 4의 (d)는, 상기 차분을 구한 후의 차분 화상이다.
도 4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분 화상에 있어서 약제가 없는 영역은, 약제가 존재하는 영역에 비하여, 상기 계조값의 차가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촬상 제어부(63)는, 상기 차분이 작은 영역을 약제의 영역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를 흡착해서 반송하는 기구에 있어서, 반송 대상으로 되는 약제의 위치 특정에 있어서는, 당해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의 하방으로부터 가시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투과 조명)가 마련되고, 약제와 배경의 명도 등의 차분을 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당해 기구를 구비하는 장치의 크기 혹은 비용의 제약 또는 장치의 운용 방법 등에 의해, 백라이트를 마련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약제와 배경의 색이 유사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 특정의 정밀도가 저하된다.
상술한 약제 영역 특정 방법 2에 의하면, 백라이트(투과 조명)를 구비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상기 위치 특정을 행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의 저부에 상기 흑색점이 마련되어 있으면, 상술한 약제 영역 특정 방법 1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착·셔터 기구(122)는, 반송 대상으로서 특정된 약제를 흡착하는 흡착 기구와, 흡착 기구가 흡착한 약제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셔터 기구를 포함한다. 흡착 기구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셔터 기구는 상기 단부의 전방에, XY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흡착 기구는, 약제 취득 시에, 상기 단부로부터 연신하여, 그 선단부에 있어서, 특정된 약제를 흡착한 후, 상기 단부의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반송 제어부(61)는,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셔터 기구를 이동시키고, 약제 반송 중, 셔터 기구의 위치를 유지한다(폐쇄 상태로 함). 반송 제어부(61)는, 수납 영역 Ar1에 배치된 약제 보유 지지 기구(133)의 약제 적재대(133a)(도 6의 (b) 참조)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흡착·셔터 기구(122)를 이동시키면, 셔터 기구를 상기 단부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다(개방 상태로 함). 그리고, 흡착 기구를 상기 단부로부터 연신시킨 후, 흡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약제 적재대(133a)에 약제를 적재한다.
바꾸어 말하면, 흡착 기구는, 촬상 유닛(13)으로의 약제 반송 처리 시에 있어서는, 제1 수용부(11)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제1 수용부(11)로 이동하고(바꾸어 말하면, 제1 수용부(11)의 상방으로부터 제1 수용부(11)의 내부로 이동하고), 제1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흡착한다.
흡착 기구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반송 대상의 약제에 접촉하는 흡착 패드(122a)를 구비하고 있다. 흡착 패드(122a)는, 공기가 흐르는 공기관(122b)을 통해 진공을 발생시키는(공기를 흡인하는) 진공 펌프(122d)에 접속되어 있다.
도 5의 (a)에서는, 공기관(122b)의 도중에, 공기관(122b)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비례 제어 전자기 밸브(122c)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5의 (b)에서는, 비례 제어 전자기 밸브(122c) 대신에 전자기 밸브(122p) 및 유량 제어 밸브(122q·122r)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b)의 예에서는, 공기관(122b)의 도중에, 유량 제어 밸브(122q)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기관(122b)으로부터 분기한 분기 공기관(122b')에, 공기관(122b)에 가까운 순으로부터, 유량 제어 밸브(122q·122r)를 제어하는 전자기 밸브(122p)와, 분기 공기관(122b')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122r)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의 (a)에서는 비례 제어 전자기 밸브(122c)에 의해, 도 5의 (b)에서는 전자기 밸브(122p) 및 유량 제어 밸브(122q·122r)에 의해, 공기관(122b)을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어, 흡착 패드(122a)에 있어서의 약제를 흡착하기 위한 흡인력(흡착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는, 전자기 밸브(122p)가 오프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흡착 패드(122a)로 약제를 흡착하는 경우에는, 공기의 유량을 높여서 비교적 강한 흡인력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흡착 패드(122a)로 복수의 약제를 동시에 흡착한 경우에는, 공기의 유량을 높여도 흡인력이 소정값보다도 올라가지 않음을 검출하고, 다시 약제의 흡착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흡착해서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는, 흡착 패드(122a)에 약제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도 약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량을 높여서 비교적 강한 흡인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흡착 시에 있어서, 흡인력을 변경하기 위해서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그 정도로 복잡하게 제어할 필요는 없다.
도 5의 (b)의 경우, 전자기 밸브(122p)를 사용해서 유량 제어 밸브(122q·122r)를 제어함으로써, 공기관(122b)을 흐르는 공기의 유량에 대하여, 「강」 및 「약」의 2개의 유량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기 밸브(122p)를 온함으로써 당해 공기의 유량을 작게 하고, 전자기 밸브(122p)를 오프함으로써 당해 공기의 유량을 크게 한다. 이 경우, 도 5의 (a)의 비례 제어 전자기 밸브(122c)의 경우보다도 공기의 유량 제어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흡착 기구의 제어는, 반송 제어부(61) 및 분류 제어부(62)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반송 제어부(61)(약제 분류 시에는 분류 제어부(62))는, 흡착 패드(122a)에 약제를 밀착시키고 나서, 상기 선단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릴 때(약제를 들어올릴 때)까지의 시간을, 약제의 종류에 따라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로 촬상한 약제의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약제의 크기 또는 형상이, 흡착 패드(122a)의 크기와 비교해서 밀착하기 어려운 크기 또는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반송 제어부(61)는, 밀착하기 어려운 약제의 크기 또는 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밀착하기 쉬운 약제라고 판정된 경우보다도, 상기 선단부로 끌어올릴 때까지의 시간을 소정 시간만큼 연장시킨다. 밀착하기 어려운 약제를 흡착 후 바로 끌어올린 경우, 흡인력이 끌어올리는데 충분한 규정값에 도달되어 있었다고 해도, 흡착 패드(122a)에 대한 흡착이 충분하지 않아 낙하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선단부로 끌어올릴 때까지의 시간을 소정 시간만큼 연장시킴으로써, 약제를 충분히 흡착 패드(122a)에 밀착시킬 수 있어, 끌어올릴 때의 약제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1)에 있어서의 흡착 시에는, 반송 제어부(61)는,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에 적당히 착색을 해 두고, 화상에 있어서의 착색된 부분의 면적과, 설정한 면적의 크기 값을 비교함으로써, 약제의 크기를 판단한다.
반송 기구(123)는, 반송 제어부(61)의 제어를 받아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흡착·셔터 기구(122)를 이동시킨다. 이 반송 기구(123)에 의해, 제1 수용부(11) 위에서의 반송 대상으로 되는 약제의 탐색 시의 흡착·셔터 기구(122)의 움직임, 또는 제1 수용부(11)로부터 약제 적재대(133a)까지의 약제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약제 분류 처리에 있어서도, 약제 적재대(133a)로부터 제2 수용부(14)로의 약제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송·분류 유닛(12)은, 상기 흡착 기구의 선단부에, 당해 선단부로부터 약제까지의 거리(Z축 방향의 거리)를 검출(측정)하는 측거 센서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흡착 기구에 의한 흡인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센서)를 구비해도 된다.
측거 센서에 의해 Z축 방향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반송 제어부(61)는, 제1 수용부(11)에 대한 제2 카메라(121)의 위치, 및 제1 수용부(11)에 있어서의 약제의 축적 상태에 의하지 않고, 약제의 정확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측거 센서는,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를, 촬상된 화상의 면적의 평균에 기초하여 측정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측거 센서가 취득한 당해 면적의 평균에 기초하는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평균 높이)의 범위에서 상기 선단부를 강하시킨다.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처리에 의해,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에 대해서 상기 선단부가 지나치지 않도록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측거 센서는, 제1 수용부(11)에 있어서 쌓아올림으로써 형성되는 약제의 산의 정상 부근까지의 거리를 측정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당해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의 바로 앞까지 단번에 상기 선단부를 강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의 전방에 대상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압력 센서가 검출하는 흡인력은 변화한다.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당해 흡인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선단부가 약제에 근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당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흡착 기구의 Z축 방향의 이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단부가 약제에 근접하여 흡인력이 변화한 경우에, 흡착 기구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를 작게 함으로써, 약제의 흡착 시에, 상기 선단부가 약제에 충돌해서, 제1 수용부(11)에 쌓아올려진 약제를 무너뜨려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압력 센서에 설정되는 역치를 2단계로 설정해도 된다. 역치가 1개인 경우에는, 반송 제어부(61)(약제 분류 시에는 분류 제어부(62))는, 흡인력이 당해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 상기 선단부가 흡착 가능한 위치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러나, 상기 선단부의 상기 이동 속도는 빠르기 때문에, 상기 판정 후에 이동 속도를 작게 해서 정지시켜도, 상기 선단부가 약제에 충돌해서 제1 수용부(11)에 쌓아올려진 약제를 무너뜨려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압력 센서에 설정되는 역치로서, 상기 선단부의 근방에 약제 등의 흡착 대상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역치와, 약제가 상기 선단부에 흡착했다고 판정하기 위한 제2 역치를 설정한다. 제1 역치는 제2 역치보다도 낮은 값이며, 또한 상기 1개인 경우의 역치보다도 낮은 값이다. 이들 2개의 역치는 실험 등을 거쳐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가 강하하고, 당해 선단부의 소정 범위 내(약제를 흡착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약제가 들어간 경우에는, 흡인력에 약간의 변화가 발생한다(흡인력은 조금 커진다). 제1 역치는, 이때의 변화 후의 흡인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한편, 약제의 흡착 시에는, 당해 변화 후의 흡인력보다도 큰 흡인력이 발생한다. 제2 역치는, 이 흡착 시의 큰 흡인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반송 제어부(61)는, 상기 선단부를 강하시킴과 함께, 진공 펌프(122d)에 의한 흡인을 개시한다. 반송 제어부(61)는, 압력 센서가 검출한 흡인력이 제1 역치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약제를 흡착할 수 있는 위치까지 상기 선단부가 약제에 근접하였다고 판정하고, 상기 선단부를 정지한다. 그 후, 반송 제어부(61)는, 상기 선단부에 가장 가까운 약제가 자연스럽게 흡착되어 오는 것을 소정 시간 대기한다. 상기 선단부에 약제가 흡착된 경우에는, 흡인력은 더욱 커져서, 변화 후의 흡인력은 제2 역치 이상으로 된다. 반송 제어부(61)는, 변화 후의 흡인력이 제2 역치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선단부가 약제를 흡착하였다고 판정하고, 상기 선단부를 상승시켜, 약제를 다음 반송처로 반송한다.
한편, 반송 제어부(61)는, 상기 선단부를 정지시키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역치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단 상기 선단부를 상승시킨 후, 다시 당해 선단부를 강하시킴으로써, 약제의 흡착 처리를 재시도해도 된다. 또한, 반송 제어부(61)는, 당해 경우에는, 정지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약제의 산을 찌부러뜨리지 않을 정도의 거리, 예를 들어 수 ㎜ 정도) 강하시켜, 흡인력이 제2 역치 이상으로 되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약제를 상기 선단부에 흡착시키도록, 당해 선단부를 조금만 강하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2단계의 역치(특히 제1 역치)를 설정함으로써, 약제의 흡착 시에, 상기 선단부에 의해, 제1 수용부(11)에 쌓아올려진 약제를 무너뜨려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제어부(61)는, 처음에 상기 선단부를 강하시키는 경우, 당해 선단부를, 소정 거리만큼(예: 당해 선단부가 제1 수용부(11)의 내부에 들어가지 않는 위치까지) 소정 속도로 강하시킨 후, 감속시켜도 된다. 그리고, 반송 제어부(61)는, 감속 후, 흡인력이 제1 역치 또는 제2 역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상기 선단부를 강하시켜도 된다. 상기 처음에 강하시킨다 함은, 적어도 흡착·셔터 기구(122)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받침대(19)와 대향하는 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선단부를 강하시키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반송 제어부(61)는, 흡인력이 단번에 제2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그대로 반송 처리로 이행한다.
〔약제 촬상 처리〕
다음으로, 촬상 유닛(13)에 의한 약제 촬상 처리에 대하여, 도 1, 도 3 및 도 6 내지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 및 (b)는, 촬상 유닛(13)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촬상 유닛(13)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촬상 유닛(13)의 선회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약제 촬상 처리는, 주로, 촬상 유닛(13) 및 촬상 제어부(63)에 의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유닛(13)은,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되고, 도 6의 (b) 및 도 7에 도시한 촬상 대상으로 되는 약제를 배치하는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를 촬상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촬상 유닛(13)에 의한 당해 촬상 처리와, 제1 카메라(131) 및 조명기(134)의 선회 이동과, 약제 보유 지지 기구(133)의 이동을 제어한다. 촬상 유닛(13)은,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31)(촬상부), 회전 기구(132)(회동부), 약제 보유 지지 기구(133)(약제 적재대, 이동 기구) 및 조명기(134)(자외광 조사부, 가시광 조사부)를 구비한다.
제1 카메라(131)는, 후술하는 판별부(64)에 있어서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서, 제1 카메라(131)와 대향하는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를 촬상한다. 약제 보유 지지 기구(133)는, 약제를 보유 지지하는 기구이며,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적재대(샤알레)(133a)와, 선회 기구(133b)(이동 기구)와, 약제 적재대(133a) 및 선회 기구(133b)를 접속하는 축부(133c)를 구비한다. 약제 적재대(133a)는, 촬상 대상으로 되는 약제를 적재하는 것이다. 선회 기구(133b)는, 약제 적재대(133a)를 이동시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약제 적재대(133a)를 XY 평면에 대해서 선회시킴과 함께, 축부(133c)를, 축부(133c)의 둘레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촬상 제어부(63)는, 약제 적재대(133a)에 제1 수용부(11)로부터 반송된 약제가 적재되면, 선회 기구(133b)를 구동하여, 당해 약제 적재대(133a)를 수납 영역 Ar1로부터 배치 영역 Ar2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적어도 제1 카메라(131) 및 조명기(134)를 제어하여,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를 촬상한다. 촬상한 화상은 기억부(80)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예를 들어 촬상이 완료된 후에, 선회 기구(133b)를 구동하여, 촬상된 약제가 적재된 약제 적재대(133a)를 배치 영역 Ar2로부터 수납 영역 Ar1로 이동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선회 기구(133b)는, 촬상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서, 약제 적재대(133a)를, 약제가 적재되는 수납 영역 Ar1(적재 영역)로부터, 배치 영역 Ar2로 이동시킨다. 또한, 선회 기구(133b)는, 약제 적재대(133a)를, 배치 영역 Ar2로부터, 제2 수용부(14)로의 분류를 대기하기 위해서, 다시 수납 영역 Ar1(분류 대기 영역)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가 적재되는 적재 영역과, 분류를 대기하는 분류 대기 영역의 기능을 수납 영역 Ar1이 겸용하고 있지만, 적재 영역 및 분류 대기 영역은, 각각 받침대(19)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적재대(133a)는 축부(133c)의 선단부(단부)에 2개 마련되어 있다. 선회 기구(133b)는, 축부(133c)를 선회시킴으로써, 한쪽의 약제 적재대(133a)를 배치 영역 Ar2에 배치했을 때, 다른 쪽의 약제 적재대(133a)를 수납 영역 Ar1에 배치한다. 배치 영역 Ar2에서의 약제 촬상 시에,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수납 영역 Ar1에 존재하는 약제 적재대(133a)에, 제1 수용부(11)로부터 약제를 반송해 둠으로써, 연속적인 약제의 촬상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약제 적재대(133a)는, 제2 수용부(14)에 대한 약제 분류 처리 후 등, 약제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 전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적재대(133a)는 투명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1 카메라(131)는,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 약제를, 약제 적재대(133a)를 통과시켜 다방면으로부터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적재대(133a)는 저부가 오목한 상태의 단면 V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6의 (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적재대(133a)가 수납 영역 Ar1 및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단면 V자 형상의 홈 방향(축부(133c)의 연신 방향)은, 회전 기구(132)에 의한 촬상 기구(후술)의 선회축 Ay(도 8의 (a) 참조)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다. 또한, 저부의 단면 V자 형상은, 예각의 V자 형상이 아니라, 약제 적재대(133a)의 이면측에서 보아도(촬상하여도), 약제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나타내는 정보(각인 정보 또는 인자 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이며, 또한 약제가 고정되는 정도의 형상이어도 된다.
약제가 캡슐 또는 변형 정제(예: 럭비볼형)인 경우, 약제 적재대(133a)의 저부가 평탄하면, XY 평면 상에서 약제의 방향이 맞춰지지 않아, 선명한 약제의 화상(각인 정보 또는 인자 정보)을 취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단면 V자 형상이면, 최하단부에 캡슐 또는 변형 정제가 끼워 맞춰져서, 당해 약제를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선명한 약제의 화상이 취득하기 쉬워진다. 또한, 정제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축부(133c)를 축부(133c)의 둘레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약제 적재대(133a)의 평면 부분을 제1 카메라(131)에 대향시킴으로써, 당해 약제를 확실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 밖에, 선회 기구(133b)는, 약제 적재대(133a)를 진동시키는(작게 움직이게 하거나, 흔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 캡슐에 진동을 가하여 굴림으로써, 캡슐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부여된 부분을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예: 당해 부분을, 후술하는 초기 위치에 배치된 제1 카메라(131)와 대향시킬 수 있음). 그 때문에, 촬상 제어부(63)는, 첫회(제1 카메라(131)의 선회전)의 약제의 촬상으로, 각인 또는 프린트를 포함하는 약제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에 의해, 예를 들어 원통형(저부가 원 형상)의 정제가 상기 평면 부분에 기립한 상태에서 적재되었다고 해도, 정제를 가로로 쓰러뜨릴(정제의 저부가 당해 평면 부분에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적재대(133a)의 저부 주연에 흑색막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촬상 시에 약제에 조사된 광이, 약제 적재대(133a)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기(134)는, 촬상 제어부(63)의 제어에 의해, 약제의 촬상 시에, 약제에 조사되는 광을 출사한다. 조명기(134)는, 도 6의 (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에 가시광을 조사하는 가시광 조사부(제1 조사부(134a) 및 제2 조사부(134b))와, 약제에 자외광을 조사하는 자외광 조사부(134c)를 구비한다. 제1 조사부(134a) 및 제2 조사부(134b)는, 가시광으로서 백색광을 약제에 조사한다. 제1 조사부(134a)는 바 형상의 가시광원(바 조명)이며, 제2 조사부(134b)는 링 형상의 가시광원(링 조명)이다. 제1 카메라(131)는, 제1 조사부(134a) 또는 제2 조사부(134b)로부터 출사되고, 약제에서 반사된 가시광을 수광함으로써, 가시광에 기초하는 화상(가시광 화상)을 취득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가 취득한 가시광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판별부(64)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카메라(131)가 배치 영역 Ar2에 대해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한다. 초기 위치는, 배치 영역 Ar2의 상방이며, 배치 영역 Ar2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의 위치라고도 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의 (a)에서는, 제1 카메라(131)는 초기 위치에 존재한다.
제1 조사부(134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있어서,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에 대해서 비스듬히 상방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1 조사부(134a)를 배치함으로써, 약제에 부여된 프린트가 선명한 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2 조사부(134b)는, 제1 조사부(134a)보다도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제2 조사부(134b)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에 대해서, 제1 조사부(134a)보다도 수평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부터 가시광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제2 조사부(134b)를 배치함으로써, 약제에 새겨진 각인(요철)이 선명한 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외광 조사부(134c)는, 약제에 자외광(예: 365㎚ 이상 41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약제에 포함되는 성분을 여기시킨다. 이에 의해, 약제로부터 형광(예: 410㎚ 이상 800㎚ 이하의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이 취출된다. 그 때문에, 자외광 조사부(134c)는, 약제를 여기시키는 여기광을 출사하는 여기 광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31)는, 약제로부터 발해진 형광을 수광함으로써, 자외광에 기초하는 화상(자외광 화상)을 취득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가 취득한 자외광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판별부(64)로 출력한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판별부(64)에서는, 가시광 화상 외에, 자외광 화상도 사용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외광 조사부(134c)는, 제1 조사부(134a)에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자외광 조사부(134c)의 배치 위치는, 약제에 자외광을 조사하고, 효율적으로 형광을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31)의 렌즈의 전방에는, 편광 필터(PL 필터)(131a)와, 자외광 제거 필터(131b)가 마련된다. 편광 필터(131a)는, 제1 카메라(131)를 향하는 광 중, 촬상에 불필요한 광(예: 약제 적재대(133a)에서의 반사광)을 제거한다. 자외광 제거 필터(131b)는, 제1 카메라(131)를 향하는 자외광, 예를 들어 자외광 조사부(134c)로부터 출사되고, 약제에 의해 여기되지 않고 반사된 자외광을 제거한다. 또한, 제1 조사부(134a)의 전방에는, 약제를 향해서 가시광만을 투과하고, 그 이외의 불필요한 광을 제거하는 편광 필터(134d)가 마련된다. 또한, 자외광 조사부(134c)의 전방에는, 약제를 향해서 자외광만을 투과하고, 그 이외의 불필요한 광(예: 가시광)을 제거하는 자외광 투과 필터(134e)가 마련된다.
회전 기구(13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대상으로 되는 약제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 Ar2(당해 위치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제1 카메라(131)를 회동시킨다. 제1 카메라(131)는, 회전 기구(132)가 회동시킨 복수의 위치로부터,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를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카메라(131) 및 조명기(134)를 포함하는 촬상 기구를, 배치 영역 Ar2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회동시킨다. 그 때문에, 배치 영역 Ar2에 대한 제1 카메라(131) 및 조명기(134)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제1 카메라(131)가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약제를 촬상할 수 있다.
회전 기구(132)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기구 구동부(132a)와 동력 전달 기구(132b)를 포함한다. 촬상 기구 구동부(132a)는, 촬상 기구를 배치 영역 Ar2의 주위를 선회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한다. 동력 전달 기구(132b)는, 촬상 기구 구동부(132a)가 발생시킨 동력을 촬상 기구로 전달한다. 촬상 기구 구동부(132a)는, 촬상 제어부(63)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여, 배치 영역 Ar2의 주위에 있어서의 촬상 기구의 위치를 변경한다.
회전 기구(132)는, 촬상 기구를, 초기 위치와, 초기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의 사이에 있어서 선회시킨다. 초기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는, 배치 영역 Ar2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의 위치이며, 배치 영역 Ar2의 하방 위치이다. 또한, 당해 위치는, 제1 카메라(131)가 배치 영역 Ar2에 존재하는 약제 적재대(133a)의 저부와 대향하는 위치라고도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 영역 Ar2의 중심을 통과하고 Z축과 평행한 축을 축 Ax0이라 하고, 배치 영역 Ar2의 중심 및 촬상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축 Ax1이라 한다. 또한, 축 Ax0과 축 Ax1이 이루는 각을 θ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기구(132)는, 촬상 기구를, θ=0°(초기 위치), 45°, 135° 및 180°의 위치 중 어느 것에 배치한다. 또한, 도 8의 (a)는 촬상 기구가 θ=0°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촬상 기구가 초기 위치로부터 선회해서 θ=45°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촬상 기구를 배치 영역 Ar2의 주위를 선회시킴으로써, 약제를 배치 영역 Ar2에 고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약제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적재대(133a)를 흔들어도 약제(정제)가 서 있는 경우라도, 경사 방향(θ=45° 또는 135°)으로부터의 촬상으로, 약제에 새겨진 각인 등이 나타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기구를 고정하고 약제를 회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당해 약제를 촬상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 기구(133b)가 약제 적재대(133a)에 진동을 가하여, 약제 적재대(133a) 상에서 약제를 굴림으로써, 고정된 촬상 기구에 의해, 각인 또는 프린트가 부여된 부분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약제를 촬상하는 구성으로서는, 이하의 (A) 내지 (C)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A) 배치 영역 Ar2의 상방에, 배치 영역 Ar2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카메라(131)와,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에 대해서 비스듬히 상방에 마련된 제1 조사부(134a) 및 자외광 조사부(134c)의 조가 배치(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당해 조는, 도 7에 도시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B) 배치 영역 Ar2의 하방에, 배치 영역 Ar2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카메라(131)와,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에 대해서 비스듬히 아래쪽에 마련된 제1 조사부(134a) 및 자외광 조사부(134c)의 조가 배치(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당해 조는, 배치 영역 Ar2를 사이에 두고 상기 (A)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C) 제2 조사부(134b)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의 근방에 마련된다.
(촬상 위치 제어)
다음으로, 촬상 기구의 위치 제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우선 촬상 기구를 초기 위치에 세트하고, 제1 카메라(131)에, 당해 초기 위치에 있어서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를 촬상시킨다. 이때, 제1 카메라(131)는, 제1 조사부(134a) 및 제2 조사부(134b)로부터의 가시광에 기초하는 가시광 화상(2개의 가시광 화상)을 취득함과 함께, 자외광 조사부(134c)로부터의 자외광에 기초하는 자외광 화상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촬상 제어부(63)는, 촬상 기구를 초기 위치와는 대향하는 위치에 세트하고, 제1 카메라(131)에, 당해 위치에 있어서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를 촬상시켜, 2개의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을 취득한다. 판별부(64)는, 이들 6개의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약제의 종류를 하나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촬상 제어부(63)는, θ=45° 및 135°의 위치에 있어서, 제1 조사부(134a) 및 제2 조사부(134b)로부터 가시광을 출사시켜, 제1 카메라(131)에 약제를 촬상시킨다. 판별부(64)는, 이때의 가시광 화상을 해석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기구의 위치 제어는 다양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촬상한 후, 초기 위치로부터 촬상을 행해도 된다. 또한, θ=45°의 위치로부터 촬상했을 때의 가시광 화상에 기초하는 약제의 판별 처리를 행하고, 약제의 종류를 하나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만 θ=135°의 위치로부터 촬상했을 때의 가시광 화상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초기 위치 및 초기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자외광 화상만을 취득하고, 당해 자외광 화상에 기초하는 약제의 판별 처리를 행한 후, 당해 위치에 있어서의 가시광 화상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모든 위치에 있어서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을 취득해도 된다.
〔화상 처리·판별 처리〕
다음으로, 촬상 유닛(13)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대한 화상 처리와, 화상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는 약제의 판별 처리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상 처리는, 주로 촬상 제어부(63)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판별 처리는, 주로 판별부(64)에 의해 행해진다.
판별부(64)는, 제1 카메라(131)에 의해 촬상된 약제의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판별부(64)는, 제1 조사부(134a) 또는 제2 조사부(134b)로부터 가시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촬상된 약제의 촬상 결과(가시광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또한, 판별부(64)는, 자외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촬상된 약제의 촬상 결과(자외광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판별부(64)는, 가시광 화상 및/또는 자외광 화상의 각각에 있어서 화상 해석을 실행함으로써, 당해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특징을 추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판별부(64)는, 약제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의 기능을 갖는다. 약제의 특징으로서는, 예를 들어 크기, 형상, 각인, 프린트, 할선, 대표색(각인 또는 프린트가 부여된 영역의 색)을 들 수 있다.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을 행한 경우에는, 약제의 특징으로서, 각인 또는 프린트에 의해 표시된 약제명 또는 제조원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 사용 기한 등의 기타 정보가 추출된다. 또한, 자외광 화상의 경우에는, 약제의 특징으로서, 화상 중의 약제에 있어서의 대표색을 들 수 있다. 판별부(64)는, 추출한 각 약제의 특징을, 약제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부(80)에 기억한다. 또한, 약제의 특징 추출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판별부(64)는, 각 약제의 특징을 약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함으로써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바꾸어 말하면, 판별부(64)는, 추출된 약제의 특징에 기초하여, 패턴 매칭 등을 사용하여, 약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촬상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의 후보를 압축하는 약제 데이터 추출부의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술한 크기, 형상, 각인, 프린트, 할선 및 대표색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해서 약제 데이터의 후보를 압축한다. 그 후, 판별부(64)는, OCR 등을 행하고, 각인 또는 프린트에 표시된 식별 정보 등을 판독, 패턴 매칭 등을 사용해서 상기 후보 중에서 약제 종류를 더욱 압축한다.
또한, 판별부(64)는, 각 약제의 특징끼리를 대비해서 이들이 동일하다고 간주되는지 여부에 의해,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바꾸어 말하면, 판별부(64)는, 패턴 매칭 등을 사용하여, 추출한 약제의 특징(대상 특징)을, 그때까지 추출한 약제의 특징(대조용 특징)과 대조하여, 그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대조부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대상 특징 및 대조용 특징으로서 대조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약제 분류 처리에 의해 분류 컵(141)으로 분류된 약제의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 한 경우, 그 후 취득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특징(대상 특징)에 대해서는, 기준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특징(대조용 특징)과 대비된다.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약제가 분류 컵(141)으로 분류된 경우, 당해 약제의 화상도 기준 화상으로 된다. 이와 같이, 판별부(64)는, 분류된 약제의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 하고, 그 이후에 촬상된 약제의 화상에 있어서의 특징을, 당해 기준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특징과 대비한다. 이에 의해, 기준 화상을 약제 데이터베이스 대신에 사용해서 상기 대조를 행할 수 있으므로,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약제가 사전 등록되어 있지 않아도, 분류 컵(141)에 대한 약제 분류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첫번 째의 약제(분류 대상물), 또는 기준 화상의 특징과 일치하지 않은 약제(분류 대상물)는, 예를 들어 당해 분류 대상물의 특징이, 약제가 갖는 특징이라고 판별된 경우(후술하는 추정 약제의 경우)에는, 분류 컵(141)으로 분류된다. 또한, 당해 분류 대상물은, 그 특징이, 소정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약제의 특징과 대비된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 컵(141)으로 분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압축에 있어서, 판별부(64)는, 자외광 화상의 해석 결과도 사용한다. 여기서, 자외광 화상의 해석 결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약제에 부여된 각인 또는 프린트가 선명한 상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약제의 색, 크기 또는 형상 등에 의해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이 경우, 동일 색(예: 백색)의 약제이며, 크기 또는 형상도 거의 동일한 약제에 대해서는, 동일한 종류라고 판별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이 판별해버리면, 후의 목시 감사에 있어서 동일한 종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 부담이 커지게 된다.
판별부(64)는, 자외광 조사에 의해 약제로부터 발해지는 형광이 약제의 성분에 따라 상이함을 이용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 때문에, 동일 색상·동일 크기·동일 형상의 약제라도 약제의 성분이 상이하면, 서로 다른 약제로서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약제의 성분은 약제별로 고유하기 때문에, 자외광 화상의 해석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가시광 화상만을 사용한 압축에 비하여, 정확한 후보의 압축 및 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판별부(64)는, 상기 후보의 압축에 있어서의 제1 단계로서, 자외광 화상의 해석 결과(약제의 대표색)를,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각 약제의, 자외광을 조사했을 때 얻어지는 대표색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후보의 압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별부(64)는, 우선, 자외광 조사에 의해 약제가 형광을 발하는 것에 기초하여, 자외광 화상에 있어서 약제의 윤곽(형광에 의해 주위와 명도가 상이한 영역의 윤곽)을 추출함으로써, 자외광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를 특정한다. 그 후, 자외광 화상에 있어서 특정한 약제의 대표색과, 약제 데이터베이스의 대표색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후보의 압축을 행한다.
이 경우, 자외광 화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압축 후의 후보수의 삭감이 예상되므로, 적은 후보수에 대해서, 그 밖의 특징을 이용하여 대조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후보수가 삭감된 경우, OCR 등에 의해 식별 정보 등을 특정하지 않아도 약제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화상 처리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투명 약제의 경우, 가시광 화상에서는, 가시광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와 약제 적재대(133a)(배경)의 구별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약제의 윤곽(영역)을 추출할 수 없어, 투명 약제의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자외광 화상을 사용한 경우, 투명 약제라도 형광의 발광에 의해 약제의 윤곽을 추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가 투명 약제라도 그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품되는 약제의 종류는, 조제에서 사용되는 약제와는 달리 다종다양하며, 그 수도 방대하다. 그 때문에, 약제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음은, 후의 목시 감사의 작업 부담을 고려하면, 매우 중요한 팩터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약제의 종류의 판별 처리의 성능의 향상에 의해, 방대한 양의 약제의 분류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판별부(64)는, 특징끼리의 대조의 경우에 있어서도, 약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순으로 특징끼리가 동일하다고 간주될지 여부를 판정하고, 대상 특징에 대응하는 약제 데이터의 압축을 행해도 된다.
또한, 판별부(64)는, 특징끼리의 대조 및 약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대조를 병행해도 되고, 이하와 같이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판별부(64)는, 추출한 약제의 특징을 약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하고, 당해 특징에 기초하여, 약제 데이터베이스 중에, 촬상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의 후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판별부(64)는, 약제 데이터베이스 중에, 당해 후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상 특징과 대조용 특징의 대조를 행함으로써, 약제의 종류를 판별해도 된다.
또한, 판별부(64)는,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촬상된 약제의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의 각각으로부터, 당해 약제의 복수의 색 데이터를 당해 약제의 특징으로서 추출하여, 상기 후보의 압축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판별부(64)는, 복수의 색 데이터에 대해서, 예를 들어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대표색과 대비한다(바꾸어 말하면, 색 매칭을 행함). 또한, 가시광 화상의 경우에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가시광을 조사했을 때 얻어지는 대표색과 대비되고, 자외광 화상의 경우에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자외광을 조사했을 때 얻어지는 대표색과 대비된다. 또한, 대조용 특징으로서 추출한 색 데이터와 대비해도 된다.
또한, 약제에, 당해 약제의 제조원을 나타내는 로고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로고도 식별 정보로서 약제의 특징으로 된다. 그 때문에, 판별부(64)는, 당해 경우에는, 로고도 사용해서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다. 로고는 각인 또는 프린트로 약제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판별부(64)는, 가시광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로고를 취득한다. 또한 로고에 대해서는, 판별부(64)는, 인공지능(기계학습, 특히 딥러닝)을 사용하여, 대상 특징과, 약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대조용 특징을 대조함으로써, 상기 후보의 압축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판별부(64)는, 자외광 화상에 의해 후보를 압축한 후, 패턴 매칭을 사용한, 로고 이외의 대상 특징과, 약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대조용 특징의 대조에 의한 후보의 압축 외에, 로고에 대해서는 인공지능에 의한 상기 대조를 행함으로써 후보의 압축을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딥 러닝의 경우, 주요한 제조원의 로고(크기, 형상, 색 등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로고)를 나타내는 각인 또는 프린트가 부여된 약제의 화상을 사용하여, 심층 학습을 위한 신경망에 대해서, 다중 클래스 분류 문제를 학습시킨다. 예를 들어, 다중 클래스 분류 문제는, 제조원의 수가 20개 있으면, 20클래스 분류 문제로 된다.
로고는, 일반적으로 그 시인성을 중시하여, 크기(문자이면 폰트), 형상, 색 등이 종종 변경된다. 그 때문에, 약제의 판매 시기에 따라서, 동일한 약제라도 서로 다른 크기 등의 로고가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캡슐과 정제에 있어서, 제조원이 동일해도 부착되는 로고의 크기 등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로고에 대하여, 패턴 매칭 등을 사용하여, 대상 특징과 약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대조용 특징의 대조를 행하여도,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로고 또는 대조용 특징의 로고와 상이한 크기 등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제조원의 동종의 로고라도, 동일하다고 판별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판별부(64)가 로고의 대조에 있어서 인공지능을 사용함으로써, 패턴 매칭의 경우와는 달리, 로고의 특징 추출 방법 자체를 학습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크기, 형상, 색 또는 조명 조건 등의 변동에 대해서 완강한 매칭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패턴 매칭에서는 동일하다고 판별할 수 없던 로고에 대하여, 동일하다고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로고의 대조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후보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추출한 로고의 특징(화상 데이터)을 축적하고, 상기 학습에 사용함으로써 인공지능에 의한 대조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판별부(64)는, 대상 특징이,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없으며, 또한 대조용 특징과 동일하다고 간주되지 않는 경우라도, 대상 특징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약제(정제 또는 캡슐)라고 추정되는 경우에는, 약제의 종류를 추정 약제로서 판별한다. 이 경우, 추정 약제도, 제2 수용부(14) 또는 대기 트레이(15)에 대한 분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판별부(64)는, 약제의 종류의 판별 결과를 분류 제어부(6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약제의 종류를 하나로 특정할 수 있는 경우, 또는 소정수 이내의 후보수로 압축한 경우에는,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판별 결과로서 출력한다. 이 경우, 판별부(64)는,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당해 약제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부(80)에 기억한다.
또한, 판별부(64)는, 후보수가 소정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판별 결과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수(예: 5개)를 역치로서 설정해 두고, 판별부(64)는, 압축된 후보수가 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별부(64)는, 후보수가 역치를 초과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복수의 후보에 대하여, 판별 대상의 약제 특징에 유사한 순으로 순위 매김을 행한다. 그리고, 상위부터 역치로서 설정된 수의 후보(예: 상위 5개)를 추출하고, 당해 후보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판별 결과로서 출력한다. 유사순은, 예를 들어 일치하는 특징의 수의 많음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각 특징에 가중치 부여를 행해 두고, 가중치 부여를 고려한 각 특징의 일치 정도로부터 유사순을 결정해도 된다.
판별부(64)는, 약제의 종류를 추정 약제로서 판별한 경우에는, 약제의 특징(추정 약제로서 추정된 물품의 특징)을 판별 결과로서 출력한다. 한편, 판별부(64)는,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물품이 약제 이외의 이물이라고 판별한 경우, 약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없다는 취지를 판별 결과로서 출력한다.
또한, 판별부(64)가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여 확정시킨 후,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에 의해, 당해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 적재대(133a)의 가시광 화상을 취득하여, 당해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80)에 기억한다. 가시광 화상은, 예를 들어 각인 또는 프린트가 부여된 약제의 표면을 포함하는 화상 및 그 반대측의 표면을 포함하는 화상이다. 이 가시광 화상은, 분류 컵(141)에 기입되는 약제에 관한 데이터에 포함되어, 표시 제어부(67)에 의한 표시 대상으로 된다(도 11의 (b) 참조).
〔화상 분류 처리〕
다음으로, 상기 판별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는 화상 분류 처리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상 분류 처리는, 주로 화상 분류부(65)에 의해 행해진다.
화상 분류부(65)는, 판별부(64)가 판별한 약제의 종류별로, 제1 카메라(131)가 촬상한 화상을 분류한다. 화상 분류부(65)는, 판별부(64)에 의한 판별 결과를 받으면, 당해 판별 결과와 동일한 판별 결과가 기억부(80)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분류를 행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판정 결과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판별 결과의 기억 영역을 새롭게 작성하고, 당해 기억 영역에, 약제의 종류가 판별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동일한 판정 결과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판별 결과의 기억 영역에, 약제의 종류가 판별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화상 분류부(65)는, 기억 영역이 작성될 때마다, 기억 영역에 명칭(가나문자)을 부여하고 있다. 이 명칭으로서는, 예를 들어 판별부(64)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된 약제명(후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유사순 1위의 약제명)이 부여된다. 추정 약제의 경우에는, 추정 약제라는 취지가 부여된다. 각 기억 영역의 명칭은, 목시 감사 시에 일의적으로 특정된 약제명으로 변경된다.
또한, 화상 분류부(65)는, 판별부(64)에 의한 판별 결과, 판별 대상의 약제에 복수의 약제 데이터의 후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복수의 약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각 약제의 복수의 약제 데이터의 전부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2개의 판별 결과가 동일하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추정 약제라고 판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추정 약제의 특징과, 기억되어 있는 하나의 약제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징의 전부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2개의 판별 결과가 동일하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화상 분류부(65)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하는 약제 분류 처리에 의한 분류 결과와 일치하도록, 약제의 화상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분류된 화상 데이터군에 포함되는 각 화상 데이터를 봄으로써, 임의의 분류 컵(141)으로 분류된 복수의 약제가 동종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제 분류 처리〕
다음으로, 상기 판별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는 약제 분류 처리에 대하여, 도 1,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 및 (b)는, 분류 컵(141)에 대한 분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약제 분류 처리는, 주로 반송·분류 유닛(12) 및 분류 제어부(62)에 의해 행해진다.
반송·분류 유닛(12)은, 판별부(64)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제2 수용부(14) 또는 대기 트레이(15)에 저장한다. 분류 제어부(62)는, 반송·분류 유닛(12)을 제어하여, 촬상 및 판별 처리 후에 수납 영역 Ar1에 배치된 약제를,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수용부(14)의 소정의 분류 컵(141) 또는 대기 트레이(15)까지 반송한다.
분류 제어부(62)는, 약제의 판별 결과를 받으면, 당해 약제를 저장하는 분류 위치를 결정하고, 당해 판별 결과와, 결정한 분류 위치를 관련지어 기억부(80)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류 제어부(62)는, 상기 판별 결과와 동일한 판별 결과가 기억부(80)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들 2개의 판별 결과가 동일한지 여부의 판정 방법은, 상기 〔화상 분류 처리〕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판별 결과와 동일한 판별 결과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기억되어 있는 판별 결과에 관련지어진 분류 컵(141)을, 분류 위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기억되어 있는 판별 결과에 관련지어진 분류 위치가 대기 트레이(15)인 경우, 대기 트레이(15)를 분류 위치로서 결정한다. 한편, 상기 판별 결과와 동일한 판별 결과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 약제 미저장의 분류 컵(141)(분류 위치로서 미결정의 분류 컵(141))을, 분류 위치로서 결정한다. 분류 컵(141)의 전부에 약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기 트레이(15)를 분류 위치로서 결정한다.
분류 제어부(62)는, 분류 위치를 결정하면, 반송 제어부(61)와 마찬가지로 반송 기구(123)를 제어하여, 반송·분류 유닛(12)을 수납 영역 Ar1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분류 제어부(62)는, 반송 제어부(61)와 마찬가지로, 제2 카메라(121) 및 흡착·셔터 기구(122)를 제어하여, 수납 영역 Ar1에 배치된 약제를 흡착한다. 그 후, 반송 기구(123)에 의해, 결정한 분류 컵(141) 또는 대기 트레이(15)로 약제를 반송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반송 중에는 셔터 기구가 폐쇄 상태로 되기 때문에, 결정한 분류 위치 이외의 영역(예: 결정한 분류 컵(141) 이외의 분류 컵(141))으로 약제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송 후, 흡착을 해제함으로써, 당해 분류 컵(141) 또는 대기 트레이(15)에 약제를 저장한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분류 컵(141)에 저장한 약제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분류 위치에 관련지어 기억부(80)에 기억한다.
분류 제어부(62)가, 수납 영역 Ar1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의 약제(판별 완료 후의 약제)를 분류 위치로 반송한 후, 반송 제어부(61)는, 반송·분류 유닛(12)을 제어하여, 제1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비어진 상기 약제 적재대(133a)로 반송하고, 적재한다. 이에 의해,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의 종류의 판별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판별부(64)에 의해 대상 특징과 대조용 특징이 대조되어 있는 경우, 분류 제어부(62)는, 판별부(64)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 위치를 결정한다고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류 제어부(62)는, 판별부(64)에 의해 대상 특징과 대조용 특징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대상 특징을 갖는 약제를, 대조용 특징을 갖는 약제를 분류한 위치와 동일 위치로 반송한다. 한편, 분류 제어부(62)는, 대상 특징과 대조용 특징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대상 특징을 갖는 약제를, 당해 약제의 분류 전에 대조용 특징을 갖는 약제가 이미 분류되어 있는 위치와는 상이한 새로운 위치로 반송한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약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없다는 취지의 판별 결과를 받은 경우에는, 판별 후에 수납 영역 Ar1에 배치된 물품은 이물이기 때문에, 당해 이물을 회수 트레이(16)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분류 제어부(62)는, 약제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르지 않고,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물품의 전부를, 제2 수용부(14), 대기 트레이(15) 또는 회수 트레이(16) 중 어느 것에 저장한다. 그 때문에, 약제의 종류를 하나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제1 수용부(11)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던 경우라도, 그것을 이유로 분류 처리를 정지하지 않고,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수납 영역 Ar1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로부터, 판별 처리가 완료된 약제를 취출하기 위해서, 제2 카메라(121)에 당해 약제 적재대(133a)를 촬상시켜, 당해 약제의 위치를 압축한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분류 컵(141)에 저장된 약제의 분포 기구(6)로의 반송 시에, 당해 분류 컵(141)으로부터 약제를 취출하기 위해서, 제2 카메라(121)에 당해 분류 컵(141)을 촬상시켜, 반송 대상으로 하는 약제를 압축한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분류 컵(141)에 저장되는 약제의 개수의 상한값까지 약제가 저장된 경우에는, 분류하려고 하는 약제의 종류가, 당해 분류 컵(141)으로 분류된 약제의 종류와 동일하더라도, 분류하려고 하는 약제를, 당해 분류 컵(141)과는 상이한 빈 분류 컵(141)에 저장한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분류 컵(141)에 보다 많은 약제를 적재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분류 제어부(62)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 컵(141)에 약제를 저장하는 위치를, 분류 컵(141)의 기준 위치(여기서는 중심선 CL)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D만큼 어긋나게 한 위치에 결정하고, 당해 위치에 약제를 적재한다. 한편, 당해 분류 컵(141)에 다음의 약제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분류 제어부(62)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약제를 저장하는 위치를, 도 9의 (a)의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D만큼 어긋나게 한 위치에 결정하고, 당해 위치에 약제를 적재한다.
소정 거리 D(기준 위치에서의 이동량)는, 촬상에 의해 취득 가능한 약제의 최대 길이와, 어긋나게 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분류 컵(141)의 폭에 기초하여, 분류 컵(141) 내에 약제가 저장되도록 산출된다. 예를 들어, 약제의 최대 길이가 큰 경우에는, 작은 약제에 비하여 이동량이 작아지도록 산출된다.
이와 같이, 분류 컵(141)으로의 약제의 저장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중심선 CL을 따라서 약제를 쌓아올린 경우에, 쌓아올려진 약제가 쓰러져서, 분류 컵(141)의 밖으로 굴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셔터 기구(122)의 흡착 기구의 선단부가, 쌓아올려진 약제와 충돌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제어부(62)에 의해 분류 컵(141)에 저장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는,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에 의해, 당해 분류 컵(141)에 마련된 RFID 태그에 기억된다.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은,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과 마찬가지로, RFID 태그에 대한 약제 데이터의 기입 또는 RFID 태그에 기억된 약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분류 제어부(62)는, RFID 제어부(68)에, 분류 컵(141)에 약제를 저장할 때마다, 당해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기입시킨다.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은, 제2 수용부(14)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입 시에, 각 분류 컵(141)의 저부와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RFID 리더·라이터 유닛(18)은, X축 방향으로 복수의 RFID 리더·라이터(18a)가 병설되어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이드 부재(18b)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처리 시에 기입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후의 처리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처리〕
다음으로, 표시 처리에 대하여, 도 1,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화상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약제 분류 처리 중의 표시예(약제 분류의 추이를 나타내는 화상예)이며, (b)는 지정된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예(목시 감사용 화상예)이다. 도 12는, 화상 표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67)는, 분류 제어부(62)가 결정한 분류 위치와, 당해 분류 위치에 관련지어진 약제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 분류 처리 중의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부(32)에 표시한다. 각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 및 표시 전환 등의 각 아이콘은, 조작부(31)를 통과하여 유저 입력을 접수 가능하다.
도 11의 (a)의 표시 화상예에서는, 약제가 저장된 각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에, 약제명, 개수, 목시 완료인지 여부가 표시된다. 표시 제어부(67)는, 1개의 약제의 분류가 완료될 때마다, RFID 제어부(68)에, 적어도 바로 근처에서 약제가 저장된 분류 컵(141)의 RFID 태그로부터,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시킨다. 이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표시 화상예에 있어서, 1행째가 약제 분류 장치(1)의 앞쪽(+Y축 방향측), 7행째가 안쪽(-Y축 방향측)에 각각 마련된 분류 컵(141)에 대응한다. 또한, 이 표시 화상예에서는, B-1의 분류 컵(141)에 50정(본 예에 있어서의, 하나의 분류 컵(141)에 저장 가능한 개수의 상한값)의 약제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51정째 이후에는, C-1의 분류 컵(141)에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화상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 제어부(62)는, 앞쪽의 1행째, 및 안쪽의 7행째의 분류 컵(141)으로부터, 약제를 저장해 가도 된다. 이 경우, 제2 수용부(14)에 있어서의 앞쪽의 영역을, 정제 분포기에 실장되어 있는 약제가 분류되는 영역으로 하고, 안쪽의 영역을, 약제 선반 등으로 되돌리는, 정제 분포기에는 실장되지 않은 약제를 분류하는 영역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정제 분포기에 실장되어 있는 약제를 취출하기 쉬운 위치로 분류할 수 있다.
약제가 저장된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에 있어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표시 제어부(67)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분류 컵(141)에 저장된 약제의 전체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67)는,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종류별로 분류된 분류 컵(141)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분류 컵(141)에 저장된 모든 약제에 대한 가시광 화상(약제의 종류가 확정된 후에 취득된 약제 적재대(133a)의 가시광 화상)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동일 또는 동종의 약제가 동일한 분류 컵(141)으로 분류되어 있다는 전제에서, 당해 분류 컵(141) 내의 모든 당해 약제의 화상을 개별적으로 목시 감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약제나 이물 등이 있으면 발견 가능하다.
또한, 작업 효율의 관계로부터 「일괄 OK」 또는 「일괄 NG」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67)는, 도 11의 (a)에 있어서 해당의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을, 목시 완료라는 취지의 표시로 전환한다. 또한, RFID 제어부(68)는, 목시 완료임을, 당해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등록)한다. 이때, 기억부(80)에 있어서도 목시 완료임을 기억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후보의 약제 데이터가 관련지어진 약제, 또는 추정 약제라고 판별된 약제에 대해서는, 목시 감사에 있어서,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가 일의적으로 특정된다. 그 때문에, 일의적으로 특정된 약제 데이터가, RFID 태그 또는 기억부(80)에 등록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처리 중 또는 처리 후의 표시 화상에 있어서, 약제의 반환처(예: 정제 분포기 또는 약제 선반)에 따라서, 각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을 색 구분해도 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분포기 P로 반환되는 약제와, 분포기 Q로 반환되는 약제와, 약제 선반으로 반환되는 약제와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색 구분되어 있다. 기억부(80)에는, 반환처와, 반환처에 대응지어서 설정된 표시색이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목시 감사 전에 색 구분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판별부(64)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는 약제 데이터와, 각 정제 분포기가 실장하고 있는 약제 데이터를 대조하고,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각 분류 컵(141)의 약제를 반환하는 정제 분포기를 결정한다. 정제 분포기에 실장되지 않은 약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반환처를 약제 선반이라고 결정한다. 표시 제어부(67)는, 당해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직사각형 부분의 색 구분 표시를 행한다. 제어부는, 목시 감사에 의해 약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에는, 당해 변경 결과에 맞춰서 표시색을 변경한다. 추정 약제의 경우에는, 제어부는, 예를 들어 색 구분을 보류해 두고, 목시 감사에 의한 약제 데이터 확정 후에 최종적인 표시색을 결정한다.
한편, 목시 감사 후이면, 제어부는, 각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입된 약제 데이터와, 각 정제 분포기가 실장하고 있는 약제 데이터를 대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색 구분 표시를 행함으로써, 유저는, 약제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어느 분류 컵(141)을 취출하면 되는 것인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 색 구분 표시는, 정제 분포기를 복수 소유하는 유저에게는 특히 유용하다. 약제(분류 컵(141)) 반환 시의 반환처의 확인 작업에 드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타 처리〕
기타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제 데이터베이스의 작성·갱신)
약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데이터베이스는, 약제 분류 장치(1)에 있어서 취급되는 약제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약제 데이터베이스는, 다종다양하게 존재하는 약제의 모든 약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의 출하 시에, 그 전부를 망라해 두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곤란하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의 출하 후에, 신규 약제가 개발될 가능성도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추가(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추정 약제라고 판별된 약제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목시 감사에 있어서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가 일의적으로 특정된 경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시에,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등록한다. 이에 의해,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신규 약제를 등록할 수 있어, 약제 데이터베이스를 수시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데이터베이스의 작성 단계에 있어서 모든 약제를 포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판별부(64)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된 각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는, 목시 감사를 지원하기 위해서 약제 분류 장치(1)로 예측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제어부(67)가 표시하는 약제명은 예측 약제명이다. 표시된 각 약제의 화상 데이터 및 예측 약제명에 기초하여, 유저가 목시 감사를 행함으로써,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가 일의적으로 특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화상을 사용하여(바꾸어 말하면, 대상 특징과 대조용 특징의 대조 결과를 사용하여) 약제의 종류의 판별을 행하는 경우에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약제가 사전 등록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목시 감사에 의해 일의적으로 특정된 약제의 약제 데이터를, 기준 화상과 함께, 정식의 약제 데이터로서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가게 된다.
(흡착·셔터 기구의 위치 검출)
제어부는, 제2 카메라(121) 및 흡착·셔터 기구(122)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위치를 검출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당해 하우징의 +X축 방향을 향한 표면, 및 +Y축 방향을 향한 표면에 각각 측거 센서를 설치하고, 약제 분류 장치(1)의 하우징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위치를 검출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흡착·셔터 기구(122)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흡착·셔터 기구(122)가 정확한 분류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장해물 검지 기구)
또한, 약제 분류 장치(1)에는, 약제 분류 영역(2)에 어떠한 장해물이 놓여 있음을 검지하는 장해물 검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장해물 검지 기구는, 예를 들어 분류 컵(141)이 정확하게 적재되지 않고 받침대(19)에 대해서 비스듬히 적재된 경우에, 받침대(19)에 정확하게 적재되어 있는 경우의 분류 컵(141)의 최상면보다도 돌출된 분류 컵(141)의 일부를, 상기 장해물로서 검지한다. 또한 장해물 검지 기구는, 예를 들어 약제가 겹쳐지고, 분류 컵(141)의 최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버린 경우에, 당해 최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약제를, 상기 장해물로서 검지한다. 장해물 검지 기구는,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 및 흡착·셔터 기구(122)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저부(받침대(19)와 대향하는 최하면)와, 받침대(19)에 정확하게 적재되어 있는 경우의 분류 컵(141)의 최상면 사이의 공간에, 장해물이 놓여진 경우에, 당해 장해물을 검지한다.
장해물 검지 기구는, 상기 공간에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장해물이 놓여진 경우, 센서는, 레이저광을 수광할 수 없게 됨으로써, 당해 놓여졌음을 검지한다. 예를 들어, 받침대(19)의 일단부에 장해물 검지 기구를 마련하고, 타단부에 반사 미러를 마련한다. 이 경우, 센서는,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반사 미러로 반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한다. 또한, 장해물 검지 기구는, 받침대(19)의 일단부를 따라 가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분류 불필요 약제의 제외)
약제 분류 장치(1)는,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가, 분류가 불필요한 분류 불필요 약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분류하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판별부(64)는, 종별을 판별한 약제가 분류 불필요 약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당해 약제를 분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분류 불필요 약제는, 예를 들어 유저가, 약제 분류 업무의 운용 등에 비추어 분류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약제이며, 약제 분류 장치(1)에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유저는, 분류 조건 설정 화면을 통해 분류 불필요 약제의 조건을 설정한다. 당해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4개를 들 수 있으며, 판별부(64)는, 약제가 당해 조건 중 어느 것에 해당된 경우에는, 판별 대상의 약제를 분류 불필요 약제로서 분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1) 약가가 소정 요금 이하인 약제. (2) 최종 분포일이 분류 처리일보다도 소정일 이상 전인 약제. (3) 플래그(예: 향정신약을 나타내는 플래그, 항암제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부여되어 있는 약제. (4) 약제명에 특정한 문자열이 포함되는 약제. 또한, 상기 (1)의 약가 정보, 및 상기 (3)의 플래그는, 외부 장치가 관리하는 의약품 종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 가능하다. 상기 (2)의 최종 분포일, 및 상기 (4)의 약제명은, 정제 분포기로부터 마스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취득 가능하다.
판별부(64)가 분류 불필요 약제라고 판별한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흡착·셔터 기구(122)를 제어하여, 당해 약제를 적재한 약제 적재대(133a)로부터 당해 약제를 취출하고, 회수 트레이(16)로 반송하여, 1군데에 정리해 둔다. 이와 같이, 유저가 분류하고 싶지 않은 약제를 분류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당해 약제에 대한 분류 처리 또는 목시 감사 등의 불필요한 처리를 배제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의 로그)
분류 컵(141)으로부터 약제를 취출하여 분포할 때, 어느 약제를 취출해서 분포하였는지 등을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도록(당해 처리의 흐름의 트레이서빌리티를 목적으로 하여), 분류 컵(141)으로부터 취출했을 때의 화상을 남겨 두어도 된다. 흡착·셔터 기구(122)를 사용하여, 분류 컵(141)의 약제를, 약제 투입구(17)를 통해 분포 기구(6)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로 약제를 촬상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80)에 기억한다. 이 경우, 약제가 취출될 때마다 화상 데이터가 로그로서 기록되게 된다. 그 때문에, 당해 화상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분포 처리 후에, 분포 처리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품원의 지정)
약제의 분류 개시 전에 반품원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분류된 약제의 반품원을 이력으로서 남기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의 제어부는, 반품원의 정보를, 병원 내의 정제 분포기로부터 마스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취득한다. 반품원의 정보는, 유저 입력에 의해 취득해도 되고, 반품된 약제에 부여된 바코드(식별 정보)를 판독해서 취득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약제의 분류 개시 전에,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의 반품원을 특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분류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에 반품원의 정보를 관련짓는다. 이에 의해, 약제 분류 장치(1) 또는 약제 분류 장치(1)와 접속된 외부 장치에서, 분류된 약제의 반품원의 이력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 또는 외부 장치는, 반품된 약제의 집계 처리(집계 업무)에 있어서, 병동, 진료과 또는 시설별로, 반품된 약제수를 카운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해도 된다.
(처방전 발행 의사의 지정)
약제의 분류 개시 전에, 처방전 발행 의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분류된 약제를 처방한 의사를 이력으로서 남기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의 제어부는, 처방전 발행 의사의 정보를, 유저 입력에 의해 취득해도 되고, 당해 의사에 발행되어 있는 식별 정보(예: ID 카드에 부여된 바코드)를 판독해서 취득해도 된다. 또한, 당해 정보를, 병원 내의 정제 분포기로부터 마스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약제의 분류 개시 전에,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를 처방한 의사를 특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분류한 약제에 관한 데이터에, 당해 약제를 처방한 의사의 정보를 관련짓는다. 이에 의해, 약제 분류 장치(1) 또는 약제 분류 장치(1)와 접속된 외부 장치에서, 분류한 약을 처방한 의사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 또는 외부 장치는, 반품된 약제의 집계 처리(집계 업무)에 있어서, 의사별로 반품된 약제수를 카운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해도 된다.
〔약제 분류 장치(1)의 주요부 구성〕
약제 분류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을 구비한다. 이하의 (1) 내지 (4)는, 그 다양한 구성 중, 특히 주요한 구성의 일례이다. 이하의 (1) 내지 (4)는 어디까지나 일례이지, 약제 분류 장치(1)의 기타 구성을 주요한 구성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1) 약제 분류 장치(1)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혼재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제1 수용부(제1 수용부(11))와, 상기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제2 수용부(제2 수용부(14))와, 상기 약제를 촬상하는 촬상부(제1 카메라(131))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판별부(64))와, 상기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상기 제2 수용부에 저장하는 분류부(반송·분류 유닛(12))를 구비한다.
(2)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해 두는 분류부와, 판별부가 판별한 약제의 종류별로,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을 분류하는 화상 분류부(화상 분류부(65))를 구비한다.
(3)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약제에 자외광을 조사하는 자외광 조사부(자외광 조사부(134c))와,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촬상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의 후보를 압축하는 약제 데이터 추출부(판별부(64))를 구비한다.
(4)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특징을 추출함과 함께, 당해 특징끼리를 대비해서 이들이 동일하다고 간주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해 상기 특징끼리가 동일하게 간주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판별부가 종류를 판별한 약제를, 상기 판별부가 그때까지 종류를 판별한 약제를 분류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분류해 두는 분류부를 구비한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예〕
약제 분류 장치(1)의 제어 블록(특히 반송 제어부(61), 분류 제어부(62), 촬상 제어부(63), 판별부(64), 화상 분류부(65), 조작 입력부(66), 표시 제어부(67), RFID 제어부(68), 인쇄 출력 제어부(69))은, 집적 회로(IC 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해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약제 분류 장치(1)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컴퓨터(또는 CPU)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 또는 기억 장치(이들을 「기록 매체」라고 칭함),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또는 CPU)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논리 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묻힌 데이터 신호의 형태여도 실현될 수 있다.
이하에, 약제 분류 장치(1)의 추가의 구성 및 처리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 또는 구체적으로 기재한 부분도 있음에 유의하길 바란다.
<다양한 처리 또는 동작예>
(문자 인식)
우선, 판별부(64)에 의한 문자 인식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a) 내지 (d)는, 문자 인식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판별부(64)는, 제1 카메라(131)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문자(예: 숫자)에 대한 인식 처리를 행한다. 이 인식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OCR 등을 행함으로써, 약제의 특징을 추출하는 처리이다.
상기 인식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약제는,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다. 이때, 약제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인자된 위치가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약제가 적재되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판별부(64)는, 촬상된 약제의 화상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인식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약제에 부여된 할선 또는 로고 등의 모양에 대해서도 무리하게 문자로서 인식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판별부(64)는, 상기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문자 중, 당해 문자의 크기가 소정 범위의 크기이며, 또한 당해 문자가 열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정한 문자에 대하여, 실제로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문자라고 판정한다.
판별부(64)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라고 인식한 부분(도면 중의 직사각형 부분)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당해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긴 변의 길이 h1, h2 및 h3이, 미리 설정된 길이의 범위(소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긴 변의 길이 h1, h2 및 h3이 소정 범위 내이면, 판별부(64)는, 각 부분이 소정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이라고 판정한다.
상기 소정 범위는, 예를 들어 문자라고 인식된 부분의 긴 변의 길이(높이)를 미리 복수 취득하고, 이 높이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되어도 상관없다. 소정 범위는,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평균값의 0.8배 이상, 평균값의 1.2배 이하의 범위로 설정된다. 소정 범위는, 판별부(64)가 약제에 부여된 문자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긴 변의 길이를 사용하여, 각 부분의 크기가 소정 범위의 크기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짧은 변의 길이, 또는 각 부분의 크기(면적)를 사용해서 판정해도 상관없다.
판별부(64)는, 각 부분이 소정 범위의 크기를 갖는다고 판정한 경우, 각 부분의 배열에 직선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판별부(64)는, 주목하는 부분의 임의의 1변의 단부와, 당해 부분으로부터 소정 범위에 있는 부분이 임의의 1변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 처리를, 모든 부분에 대하여 행한다. 판별부(64)는, 이와 같이 하여 연결된 복수의 선분이 직선, 또는 직선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경우에, 당해 선분을 형성하는 각 부분의 배열에 직선성이 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약제의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예에서는, 판별부(64)가 숫자의 배열을 정확하게 판독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별부(64)는,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식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실제의 문자 「A」를 문자 「4」(도면 중의 부호 Ch1)로서 인식하고, 실제의 문자 「R」을 문자 「0」(도면 중의 부호 Ch2)으로서 인식한다. 또한, 판별부(64)는, 상기 인식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실제의 문자 「E」의 일부를 문자 「1」(도면 중의 부호 Ch3)로서 인식하고, 실제의 할선의 일부를 문자 「1」(도면 중의 부호 Ch4)로서 인식한다. 또한, 판별부(64)는, 도 1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식 처리에 의해 실제의 문자 「102」를 문자 「102」로서, 판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식 처리가 행해진 경우, 실제로 부여되어 있는 문자 「102」와는 상이한 숫자 열을 판독해버리게 된다.
판별부(64)는, 문자(상기 부분)의 크기가 소정 범위의 크기이며, 또한 당해 문자의 배열에 직선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호 Ch3이 부여된 부분은, 소정 범위의 크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식하는 문자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부호Ch1, Ch2 및 Ch4가 부여된 부분은, 그 배열에 직선성이 없는 것으로서 제외된다. 한편, 실제의 문자 「102」에 대해서는, 화상에 있어서, 「1」, 「0」 및 「2」의 각 부분의 크기가 소정 범위의 크기를 갖고 있으며, 또한 그 배열에 직선성이 있는 것으로서 판정된다.
그 결과, 판별부(64)는, 화상으로부터 숫자 열로서, 실제의 약제에 부여된 「102」만을 추출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판별부(64)에 의하면, 정확하게 숫자 열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 내지 (d)에서는 숫자 열을 판독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숫자 이외의 문자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판정할 수 있다. 즉, 본 예의 판별부(64)에 의하면,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문자의 판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촬상 위치의 특정)
다음으로, 촬상 제어부(63)에 의한 촬상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 내지 (e)는, 촬상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되고, 촬상 대상으로 되는 약제를 적재하는 약제 적재대(133a)에는, 약제 적재대(133a)를 지지하는 축부(133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축부(133c)는, 배치 영역 Ar2에 약제 적재대(133a)가 배치되었을 때, 제1 카메라(131)가 회동하는 축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된다.
본 예의 축부(133c)에는, 촬상 제어부(63)가 촬상한 화상을 사용하여 촬영 위치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모양이 부여된 확인 영역 Cr이 마련되어 있다. 이 판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예에서는, 확인 영역 Cr에는, 축부(133c)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모양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그 모양으로서, 축부(133c)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종류의 색이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확인 영역 Cr로서의 축부(133c)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적색, 녹색, 청색, 주황색 및 보라색이 이 순서로 균등하게 부여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4의 (b)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31)의 촬상 위치에 따라서, 제1 카메라(131)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확인 영역 Cr 내에 존재하는 각 색의 비율이 상이해진다. 따라서, 도 14의 (b)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을, 각 촬상 위치에 있어서 미리 촬상해 둠으로써, 제1 카메라(131)가 미리 규정된 위치로부터 약제를 촬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제어부(63)는, 약제의 종류의 판별을 위해서 촬상한 화상을 취득하면, 당해 화상에 포함되는 모양을, 미리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모양(소정 모양)과 비교함으로써, 제1 카메라(131)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예에서는, 촬상 제어부(63)는, 각 촬상 위치에 있어서, 화상에 포함되는 확인 영역 Cr 내에 존재하는 각 색의 비율을 미리 요구하고, 당해 비율을 기억부(80)에 기억해 둔다. 촬상 제어부(63)는, 약제의 종류의 판별을 위한,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확인 영역 Cr 내에 존재하는 각 색의 비율을 구하고, 당해 각 색의 비율(대상 비율이라고 칭함)을, 미리 구한 각 색의 비율(참조 비율이라고 칭함)과 비교한다. 그 결과, 촬상 제어부(63)는, 대상 비율이 참조 비율과 대략 일치한(대상 비율과 참조 비율과의 차가 소정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촬상 위치가 적절한 위치라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촬상 위치 0°(배치 영역 Ar2의 바로 위)로부터 약제를 촬상하는 경우,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를 촬상 위치 0°에 배치한 후, 당해 촬상 위치로부터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 약제를 촬상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대상 비율을 구함과 함께, 촬상 위치 0°의 참조 비율을 판독한 후, 대상 비율을 참조 비율과 비교한다. 이에 의해, 촬상 제어부(63)는, 촬상한 화상이, 규정된 촬상 위치 0°로부터 촬상한 화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131)가, 규정된 촬상 위치 0°로부터 약제를 촬상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제어부(63)는, 규정된 촬상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촬상 위치를 조정한 후, 조정 후의 촬상 위치가 적절한 위치인지 여부를 다시 판정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1 카메라(131)의 촬상 범위 내로 되는 축부(133c)의 주 방향으로, 복수 종류의 색이 부여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제어부(63)가 촬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약제 분류 장치(1) 내에 모양이 부여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각 촬상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비추는 약제 분류 장치(1)의, 축부(133c) 이외의 일부분(예: 약제 적재대(133a)의 일부)에 부여된 모양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색이 아니라, 요철 형상 등이어도 상관없다. 단, 각 촬상 위치에 있어서 그 모양의 비치는 방법이 서로 다를 필요는 있다. 또한, 축부(133c)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종류의 색이 부여되는 경우, 촬상 위치별로 일의적인 비율이 요구되는 것이면, 상기 5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복수 종류의 색이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 이외의 소정 부분의 모양을, 제1 카메라(131)가 미리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소정 모양과 비교한다. 이에 의해,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의 촬상 위치가 미리 규정된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131)의 촬상 범위에 모양을 부여해 둔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촬상하고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흡착 위치의 특정)
다음으로, 반송 제어부(61)에 의한 흡착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 내지 (c)는, 흡착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제어부(61)는, 제1 수용부(11)로부터 제1 카메라(131)측(구체적으로는 수납 영역 Ar1)으로 약제를 반송하는 반송·분류 유닛(12)을 제어한다. 본 예의 반송 제어부(61)는, 또한,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약제가 포함되었다고 추정되는 약제 추정 영역의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돌출 영역 내의 위치를, 흡착 기구가 약제를 흡착하는 흡착 위치로서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제어부(61)는,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약제의 흡착 영역(피킹 영역)을 압축한 후,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약제 추정 영역 Mr을 복수 추출한다. 이 휘도 분포에 기초하는 약제 추정 영역 Mr의 추출에는, 예를 들어 공지된 Watershed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반송 제어부(61)는,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한 복수의 약제 추정 영역 Mr 중 가장 큰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를 특정한다. 반송 제어부(61)는,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가 소정 형상, 또는 소정 형상에 유사한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형상은, 약제 고유의 형상이며,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의 형상이다. 즉, 화상에 있어서 진원도 또는 직사각형도가 비교적 높은 형상이다.
반송 제어부(61)는,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가 소정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에 있어서 복수의 약제가 인접 또는 겹쳐 있다고 판정한다. 반송 제어부(61)는, 예를 들어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와 소정 형상과의 일치도가 소정값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가 소정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즉, 약제로서 부자연스러운 형상)이라고 판정한다.
반송 제어부(61)는,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가 소정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에 외접하는 외접 직사각형 영역 Rr을 설정한다. 반송 제어부(61)는, 설정한 외접 직사각형 영역 Rr의 외주에 내접하는 소정 영역에 있어서, 가장 돌출된 돌출 부분 Pp를 특정한 후, 그 돌출 부분 Pp를 포함하는 돌출 영역 Pr을 특정한다.
그 후, 반송 제어부(61)는, 특정한 돌출 영역 Pr 내의 임의의 위치(예: 돌출 영역 Pr의 중심)를, 흡착 위치로서 특정한다.
제1 수용부(11)에 있어서 복수의 약제가 인접 또는 겹쳐 있는 경우, 약제 추정 영역 Mr의 중앙 부근을 흡착 위치로서 특정해도, 약제를 흡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예에 의하면, 복수의 약제가 인접 또는 겹쳐 있는 경우라도, 약제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흡착 위치로서 특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약제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를 사용해서 흡착 위치의 특정을 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 이외의 약제 추정 영역 Mr을 사용해서 흡착 위치의 특정을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예에서는, 최대 약제 추정 영역 Mrmax의 형상이 소정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판정을 행하지 않고, 추출한 복수의 약제 추정 영역 Mr 중 하나의 약제 추정 영역 Mr을 사용해서 흡착 위치의 특정을 행해도 상관없다.
(약제 흡착 범위의 특정)
다음으로,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에 의한 약제 흡착 범위의 특정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 내지 (d)는, 약제 흡착 범위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예의 분류 제어부(62)(검출 영역 변경부)는, 제2 카메라(121)가 분류 컵(141)을 촬상한 화상에, 분류 컵(141)의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을 변경한다. 마찬가지로, 본 예의 반송 제어부(61)(검출 영역 변경부)는, 제2 카메라(121)가 제1 수용부(11)를 촬상한 화상에, 제1 수용부(11)의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을 변경한다. 본 처리는, 분류 제어부(62) 및 반송 제어부(61)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서 행해지면 된다.
이 검출 영역의 특정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예에서는,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 컵(141)의 저부에 마크 Mk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의 저부에 마크 Mk가 부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마크 Mk가 마련된 시트가 저부에 삽입되어 있지만, 저부에 직접 마크 Mk가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검출 영역의 특정 처리는, 분류 제어부(62) 및 반송 제어부(61)에 있어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후에서는, 분류 제어부(62)에 의한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분류 제어부(62)는,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에 분류 컵(141)의 저부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 컵(141)의 저부 크기 Br보다도 작은 범위를 검출 영역 Dr로서 특정한다. 본 예에서는, 분류 제어부(62)는, 화상에 있어서 마크 Mk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화상에 저부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화상에 저부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분류 컵(141)에 포함되는 약제의 수가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류 컵(141)이 소정의 배치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도 고려하여, 분류 제어부(62)는, 저부의 크기 Br보다도 작은 범위를 검출 영역 Dr로서 특정한다.
한편, 분류 제어부(62)는, 촬상한 화상에 분류 컵(141)의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1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 컵(141)의 저부의 크기 Br과 대략 동일한 범위를, 검출 영역 Dr로서 특정한다. 이 검출 영역 Dr은, 원래 설정되어야 할 검출 영역 Dr이다. 본 예에서는, 분류 제어부(62)는, 화상에 있어서 마크 Mk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 화상에 저부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화상에 저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분류 컵(141)에 포함되는 약제의 수가 적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 약제는 분류 컵(141)의 단부 부근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류 제어부(62)는, 저부의 크기 Br과 대략 동일한 범위를 검출 영역 Dr로서 특정한다. 또한, 마크 Mk를 기준으로 하여, 검출 영역 Dr의 크기를 구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화상에 저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검출 영역 Dr(구체적으로는 그 크기)을 변경함으로써,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에 포함되는 약제의 수의 다과에 따른 검출 영역 Dr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약제를 취출할 수 없을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처리에 의하면, 보다 확실하게 약제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약제의 취출 방법(제1 취출 방법)은,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가 대략 투명한 경우에 유용하다. 대략 투명한 경우, 예를 들어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의 저면은 미세한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그 측면은 대략 투명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분류 제어부(62) 또는 반송 제어부(61)는,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을 해석했을 때, 저면과 측면과의 경계 부분을 약제의 일부로서 오검출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분류 제어부(62) 또는 반송 제어부(61)는, 당해 화상을 해석했을 때, 당해 경계 부분에 적재된 비교적 작은 약제를 검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제1 취출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은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가 색감(예: 흑색)을 갖는 경우, 특히 한가지 색으로 통일되어 있는 경우, 분류 제어부(62) 또는 반송 제어부(61)는, 상기 화상의 해석에 있어서, 상기 경계 부분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류 제어부(62) 또는 반송 제어부(61)는, 휘도 또는 색 등에 의해 약제를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제1 취출 방법을 채용하지 않아도,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로부터 약제를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가 색감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취출 방법과는 상이한 제2 취출 방법으로, 분류 컵(141)으로부터 약제를 취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분류 제어부(62)는, 분류 컵(141)의 저면의 중심 부근에 존재하는 약제부터 순서대로 약제를 흡착하도록, 당해 저면에 대해서 흡착 기구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분류 제어부(62)는, 먼저 약제의 흡착 영역으로서, 저면의 중심을 포함하는, 당해 중심 부근으로 압축한 영역을 특정하고, 당해 영역 내의 약제를 흡착하도록, 흡착 기구의 위치를 제어한다. 그 후, 분류 제어부(62)는, 흡착 영역을 서서히(예: 2단계로) 측면측으로 확장해 간다. 이에 의해, 분류 컵(141)에 있어서 약제가 쌓여 올라가고 있었다고 해도, 중심 부근으로부터 약제를 무너뜨리면서 흡착해 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송 제어부(61)는, 마찬가지의 처리로 제1 수용부(11)로부터 약제를 취출해도 상관없다.
또한, 분류 컵(141) 또는 제1 수용부(11)가 색감을 갖는 경우, 분류 제어부(62) 또는 반송 제어부(61)는, 상기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저면에 있어서는 검출하기 어려웠던 대략 투명한 캡슐, 또는 저면에 기립한 비교적 작은 약제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약제 및 분류 컵의 지정)
다음으로, 분류 제어부(62)에 의한 약제 및 분류 컵(141)의 지정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a) 및 (b)는, 약제 및 분류 컵(141)의 지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의 (a)는, 약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예: 메인터넌스)할 때의 메인터넌스 화상 Im10이다. 도 17의 (b)는,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정보 기록 매체)의 기억 내용을 초기화할 때의 초기화 화상 Im11이다.
또한, 표시부(32)에 표시 대상으로 되는 화상에 대해서는, 화면이라고 칭해져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 화상 및 초기화 화상은, 각각 메인터넌스 화면 및 초기화 화면이라고 칭해져도 상관없다. 그 밖에, 후술하는 분류 화상, 감사 화상, 분류 약제 일람 화상, 표시색 전환 화상, 반환원 선택 화상, 확대 표시 화상 및 집계 화상도, 각각 분류 화면, 감사 화면, 분류 약제 일람 화면, 표시색 전환 화면, 반환원 선택 화면, 확대 표시 화면 및 집계 화면이라고 칭해져도 상관없다.
메인터넌스 화상 Im10의 분류 그룹 선택 영역 Gr1 및 초기화 화상 Im11의 분류 용기 그룹 설정 영역 Gr2는, 분류 식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영역이다. 분류 식별 정보는, 소정의 분류 컵(141)으로 분류하는 것을 유저가 희망하는 약제에 대해서 부여되는, 약제를 소정의 분류 컵(141)으로 분류하기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특정 분류 컵(141)에 특정 약제를 분류하고 싶은 경우, 당해 약제의 메인터넌스 화상 Im10을 표시부(32)에 표시시켜, 당해 메인터넌스 화상 Im10의 분류 그룹 선택 영역 Gr1에, 분류 식별 정보로서, 분류 그룹을 특정하기 위한 분류 그룹 번호를 입력한다.
또한, 유저는, 초기화 화상 Im11을 표시부(32)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초기화 화상 Im11의 분류 용기 그룹 설정 영역 Gr2에, 분류 식별 정보로서, 메인터넌스 화상 Im10의 분류 그룹 선택 영역 Gr1에 입력한 분류 그룹 번호와 동일한 분류 그룹 번호를 입력한다.
분류 그룹 선택 영역 Gr1에 입력된 분류 그룹 번호, 및 분류 용기 그룹 설정 영역 Gr2에 입력된 분류 그룹 번호는, 기억부(80)에 기억된다. 그 때문에, 분류 제어부(62)는, 분류 그룹 선택 영역 Gr1에 입력된 분류 그룹 번호가 부여된 약제를, 분류 용기 그룹 설정 영역 Gr2에 입력된 분류 그룹 번호와 동일한 분류 그룹 번호가 부여된 분류 컵(141)을 특정할 수 있다. 즉, 반송·분류 유닛(12)은, 특정 약제를 특정 분류 컵(141)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식별 정보는, 분류 컵(141)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 분류 그룹 선택 영역 Gr1 및 분류 용기 그룹 설정 영역 Gr2에 이 분류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분류 컵(141)은 재이용되기 때문에, 착색의 약제 또는 OD 정제(구강 내 붕괴 정제) 등, 다른 약제와 접촉시키고 싶지 않은 약제를 분류하는 경우에는, 사용 후의 분류 컵(141)을 청소할 필요가 있었다. 착색의 약제 또는 OD 정제 등의 반품이 많은 병동 등에 있어서는, 그 청소에 시간을 요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약제에 대해서는, 분류 식별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분류 컵(141)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약제를 분류하기 위한 청소 작업을 경감 또는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분류 위치의 결정)
다음으로, 분류 제어부(62)에 의한 분류 위치의 결정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류 제어부(62)는, 반송·분류 유닛(12)을 제어함으로써, 약제 분류 장치(1)로부터 취출할 대상으로서 특정된 약제를, 약제 분류 장치(1)에 있어서의 약제의 취출측(제2 수용부(14)에 있어서 앞쪽의 영역에 배치된 분류 컵(141))으로 분류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분류 제어부(62)는, 분류된 약제의 반환처에 관한 반환처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한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인자한 저널의 필요 여부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분류 제어부(62)는, 저널이 필요한 약제라고 판정한 경우, 당해 약제를, 약제 분류 장치(1)로부터 취출할 대상으로서 특정한다.
반환처 정보는,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의 각각에 관련지어, 기억부(80)에 기억되어 있다. 반환처 정보에는, 예를 들어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에 약제 데이터를 판독하는 리더(예: RFID 리더)가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리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반환처 정보에는, 반환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에 부속의 분포 기구(6)인지를 나타내는 분포기 정보가 포함된다.
반환처에는, 예를 들어 정제 분포기, 산약 분포기, 약제 선반, 또는 약제 분류 장치(1)가 구비하는 분포 기구(6)가 포함된다. 반환 보조 장치는, 반환처(예: 약제 선반)로 반환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적어도 리더 정보는, 약제 분류 장치(1)와는 상이한 타설비 또는 타장치(예: 상술한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로부터 취득한다.
여기서, 반환 보조 장치는, 예를 들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예: 약제의 식별 정보) 및 반환처 정보를, 저널로부터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판독부와, 판독부가 판독한 약제 데이터 및 반환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 데이터 및 반환처 정보가 적어도 바코드 또는 이차원 코드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판독부는 바코드 리더로 실현된다. 또한, 표시부는, 판독부가 판독한 반환처 정보에 포함되는 약제 선반(예: 선반 번호) 등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에 반환처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가 반환처를 착각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반환처로 되는 개개의 약제 선반에 선반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반환 보조 장치는, 저널에 부여된 반환처 정보 외에, 약제 선반에 부여된 선반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반환 보조 장치는, 판독한 이들 정보의 대조를 행함으로써, 대조 결과를 통보한다. 이에 의해, 반환 보조 장치를 사용한 유저는, 약제의 반환처로 되는 약제 선반을 착각할 가능성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분류 제어부(62)는, 약제를 분류할 때, 당해 약제의 반환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반환처가 분포 기구(6)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반환처가 타설비 또는 타장치인 경우, 반환처에 RFID 리더가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분류 제어부(62)는, 반환처가 타설비 또는 기타 장치이며, 또한, 반환처에 RFID 리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저널이 필요한 약제라고 판정한다. 한편, 분류 제어부(62)는, 반환처가 분포 기구(6)라고 판정된 경우, 또는, 반환처에 RFID 리더가 마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저널이 불필요한 약제라고 판정한다.
분류 제어부(62)는, 저널이 필요한 약제에 대해서는, 앞쪽의 영역에 배치된 분류 컵(141)으로 분류하도록, 반송·분류 유닛(12)을 제어한다. 반송·분류 유닛(12)은, 저널이 필요하다고 판정할 때마다, 예를 들어 바로 앞 우측에 배치된 분류 컵(141)으로부터 순서대로 약제를 수용해 간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저널이 불필요한 약제에 대해서는, 안쪽의 영역에 배치된 분류 컵(141)으로 분류하도록, 반송·분류 유닛(12)을 제어한다. 반송·분류 유닛(12)은, 저널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할 때마다, 예를 들어 안쪽 좌측에 배치된 분류 컵(141)으로부터 순서대로 약제를 수용해 간다.
저널은, 분류된 약제가 수용되는 분류 컵(141)에 삽입된다. 유저는, 저널을 분류 컵(141)에 삽입할 때, 약제 분류 장치(1)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처리에 의해, 취출할 필요가 있는 약제(즉, 저널이 필요한 약제)를, 취출하기 쉬운 앞쪽의 분류 컵(141)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취출할 대상의 약제를 분류하는 분류 컵(141)(즉, 취출할 대상의 약제가 분류된 앞쪽의 소정 영역)을, 미리 설정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반환처 정보에, 리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 경우, 분류 제어부(62)는, 예를 들어 약제의 반환처만을 사용하여, 저널의 필요 여부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분류 제어부(62)는, 반환처가 분포기인 경우, 분포기가 어느 분포기인지를 특정함으로써, 분류된 약제에 관한 저널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분포기마다 RFID 리더가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에, 분포기별로 저널의 필요 여부를 관련지어 기억해 두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우도, 분류 제어부(62)는, RFID 리더가 마련되어 있는 분포기가 반환처인 약제에 대해서는, 저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안쪽의 영역에 배치된 분류 컵(141)으로 분류한다. 한편, 반환처가 약제 선반인 경우에는, 저널이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분류 제어부(62)는, 약제 선반이 반환처인 약제에 대해서는, 앞쪽의 영역에 배치된 분류 컵(141)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저널은,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발행되어도 상관없다. 유저가, 분류 컵(141)을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에 적재함으로써, 표시 제어부(67)는, 당해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한다. 이에 의해, 표시 제어부(67)는,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감사 화상(후술)을 표시한다. 유저는, 감사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목시 감사를 실행한다. 유저는, 목시 감사 후,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반환처에 따라서 저널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저널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널 필요 여부 확인 화상에 대해서, 저널 발행을 위한 유저 입력을 행한다. 인쇄 출력 제어부(69)는, 당해 유저 입력을 접수한 경우, 인쇄 출력부(4)를 제어함으로써, 저널을 발행한다. 유저는, 발행된 저널을, 목시 감사를 행한 분류 컵(141)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분류 컵(141)을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에 적재할 때마다 저널을 인자하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저널을 착각하여 다른 분류 컵(141)에 삽입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제 분포기에 실장되어 있는 약제를 앞쪽의 영역으로, 정제 분포기에 실장되지 않은 약제를 안쪽의 영역으로, 각각 분류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분류된 약제가 정제 분포기에 실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에 관련지어져 기억부(8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반환처 정보에 의해, 약제가 정제 분포기에 실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제2 수용부(14)의 앞쪽의 영역에 약제를 분류하는 경우, 제2 수용부(14)의 가장 앞쪽의 열로부터 중앙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약제를 수용해 간다. 또한, 분류 제어부(62)는, 제2 수용부(14)의 안쪽 영역으로 약제를 분류하는 경우, 제2 수용부(14)의 가장 안쪽의 열로부터 중앙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약제를 수용해 간다.
(약제의 형상의 특정)
다음으로, 판별부(64)에 의한 약제의 형상의 특정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카메라(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θ=0° 및 180°의 위치로부터 약제를 촬상한 후, 약제의 종류를 하나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θ=45° 및 135°의 위치로부터 약제를 촬상한다.
여기서, 정제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본 경우의 형상이 대략 원 형상이며, 측면에서 본 경우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한편, 캡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대략 원기둥형(단, 단부는 대략 반구형)이다. 그 때문에, 캡슐을 평면으로 본 경우 및 측면에서 본 경우, 그 형상은 모두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따라서, 약제를 θ=0° 및 18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경우(즉 평면으로 보는 위치로부터 촬상한 경우), 약제가 정제인지 캡슐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θ=0° 및 18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정제의 형상은 대략 원 형상이지만, θ=45° 및 135°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정제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즉, θ=0° 및 18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경우와, θ=45° 및 135°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경우에, 화상에 있어서의 정제의 형상은 상이하다. 한편, 캡슐의 경우에는, 어느 쪽의 위치로부터 촬상하여도, 화상에 있어서의 캡슐의 형상은 대략 일치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우선, 판별부(64)는, 제1 카메라(131)가 θ=0°의 위치(제1 방향) 또는 180°의 위치(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형상에 기초하여,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θ=0°의 위치는, 약제가 적재되는 약제 적재대(133a)의 적재면과 대향하는 위치(방향)이다.
예를 들어, 판별부(64)는, 이들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약제의 형상을 추출하고, 기억부(80)에 기억된, 일반적인 정제의 형상과의 일치도를 구함으로써, 당해 약제가 정제인지 캡슐인지를 판정한다. 제1 카메라(131)는, 우선 θ=0°또는 180°의 위치로부터 약제를 촬상한다. 그 때문에, 약제 판별 처리의 초기 단계에서 정제인지 캡슐인지의 압축을 행할 수 있음으로써, 약제 판별 처리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θ=0°또는 18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별부(64)가 판정할 수 없는 경우, 제1 카메라(131)는, θ=45°또는 135°의 위치(즉, 상기 적재면에 대해서 경사 방향)로부터 약제를 촬상한다. 그리고, 판별부(64)는, θ=0°또는 18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 및 θ=45°또는 135°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형상에 기초하여,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판별부(64)는, θ=0°또는 18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제1 형상과, θ=45°또는 135°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의 제2 형상을 비교함으로써,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제의 경우, 제1 형상과 제2 형상은 상이하지만, 캡슐의 경우, 제1 형상과 제2 형상은 대략 일치한다. 그 때문에, 판별부(64)는, 제1 형상과 제2 형상이 대략 일치하는(제1 형상과 제2 형상의 차가 소정 범위에 있는) 경우, 약제가 캡슐이라고 판정하고, 당해 차가 소정 범위 외인 경우에는, 약제가 정제라고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적재면과 대향하는 위치가 θ=0°의 위치이기 때문에, θ=0°의 위치로부터의 촬상 방향을 제1 방향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적재면과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촬영하는 경우의 촬영 방향이 제1 방향이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카메라(131)는, 매뉴얼 포커스 기능을 갖는 것이 채용되지만,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는 것이 채용되어도 상관없다. 제1 카메라(131)가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는 경우, 약제의 높이에 따라서, 약제에 핀트를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촬상 제어부(63)는, 미리 등록된 약제의 직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핀트의 조정을 행한다. 캡슐의 경우, 약제의 직경이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되었을 때의 약제 높이로 되기 때문에, 당해 직경의 정보를 이용하여 핀트의 조정을 행한다. 한편, 정제의 경우, 예를 들어 소정의 직경 이상인 경우에 적용하는 약제의 높이와, 소정의 직경 미만인 경우에 적용하는 약제의 높이를 기억부(80)에 기억해 둔다. 촬상 제어부(63)는, 미리 등록된 약제의 직경으로부터 적용되는 약제의 높이를 특정하고, 당해 약제의 높이에 따른 핀트의 조정을 행한다.
(약제 고정 정보의 사용예)
다음으로, 약제(약제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약제 고유 정보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약제 고유 정보는, 약제를 다루는 장치마다 개별로 할당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동일한 약제라도,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와, 약제 분류 장치(1)는 서로 다른 타설비 또는 타장치(예: 반환처로서의 정제 분포기 혹은 산약 분포기, 또는 반환 보조 장치)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약제 고유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에서는, 임의의 약제의 약제 고유 정보로서 「001」, 「002」 및 「003」이 기억되어 있으며, 타장치 또는 타설비에서는, 당해 약제 고유 정보로서 「002」 및 「003」이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하나의 약제에 대하여 복수의 약제 고유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이며, 또한, 저널에 대한 인자를 위해서 처음에 등록된 약제 고유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 고유 정보로서 「001」을 채용한다. 즉,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 고유 정보로서 「001」이 인자된 저널을 발행한다. 또한, 약제 고유 정보가 예를 들어 GS1인 경우, 저널에는 GS1 바코드로서 인자된다.
이 경우, 저널에 인자된 약제 고유 정보를 타장치 또는 타설비로 판독했다고 해도, 타장치 또는 타설비에서는, 약제 고유 정보로서 「001」을 기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조를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타장치 또는 타설비로 약제를 반환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인쇄 출력 제어부(69)는, 약제 분류 장치(1)와는 상이한 타장치 또는 타설비인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분류된 약제에 관한 복수의 약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약제 고유 정보를 저널에 인자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는, 반환처 및 반환 보조 장치의 전부로부터, 이들 장치에서 관리되고 있는 모든 약제 고유 정보를 반환처와 관련지어 미리 취득해 둔다. 약제 고유 정보가 약제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어 있는 경우, 약제 데이터베이스를 취득해도 상관없다.
분류된 약제의 반환처가 특정되면, 인쇄 출력 제어부(69)는, 특정된 반환처(반환처가 약제 선반의 경우에는 반환 보조 장치)에서 관리되고 있던, 당해 약제에 관한 복수의 약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약제 데이터베이스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쇄 출력 제어부(69)는, 특정된 반환처 또는 반환 보조 장치에서 관리되고 있던 약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되는 약제의 약제 고유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약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약제 고유 정보 파일을 텍스트 변환한 데이터를, 저널에 대한 인자에 사용하는 약제 고유 정보로 하여도 상관없다.
인쇄 출력 제어부(69)는, 추출한 약제 고유 정보를 예를 들어 GS1 바코드로서 인자한 저널을 발행한다. 이에 의해, 반환처가 갖는 약제 고유 정보를 반드시 사용해서 저널을 발행할 수 있으므로, 반환처에서 확실하게 대조를 행할 수 있어, 그 결과, 확실하게 약제를 반환처로 반환할 수 있다.
특히 GS1 바코드로서 약제 고유 정보를 저널에 인자하는 경우, 하나의 약제 고유 정보가 인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특히 저널에 약제 고유 정보가 인자되는 경우에 있어서 유용한 처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출력 제어부(69)는, 약제 분류 장치(1)가 원래 기억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고유 정보와, 반환처로부터 취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장치 고유 정보를, 저널에 대한 인자 대상으로서 특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컵(141)에 마련된 RFID 태그에, 반환처로부터 취득한 약제 고유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기억해도 상관없다. RFID 태그에 기억된 약제 고유 정보를, 반환처의 RFID 리더로 판독한 경우에 있어서도, 반환처에서 확실하게 대조할 수 있다.
(약제 적재대의 청소 동작)
다음으로, 약제 적재대(133a)의 청소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반송·분류 유닛(12)이 구비하는 흡착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흡착 기구는, 약제 적재대(133a)의 청소 동작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8의 예에서는, 흡착 기구는, 흡착 패드(122a)와 진공 펌프(122d)를 연결하는 공기관(122b)의 도중에, 공기관(122b)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전자기 밸브(122p')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기구는, 공기관(122b)으로서, 공기를 흡착 패드(122a)로부터 배출하는 제1 경로와, 흡착 패드(122a)로부터 공기를 빨아 올리는 제2 경로를 구비한다. 제2 경로상의, 흡착 패드(122a)와 전자기 밸브(122p')의 사이에는, 흡착 패드(122a)로부터 빨아 올려진 분진 등을 수집하기 위한 필터(122f)가 마련되어 있다. 필터(122f)는 대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수용부(11)에 약제가 투입되었을 때 약제가 부서져, 그 파편 또는 분진이 제1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제1 수용부(11)로부터 반송되며, 또한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 약제에, 그 파편 또는 분진이 부착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먼지 등이 약제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배치 영역 Ar2에 배치된 약제 적재대(133a)는,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해서 제1 카메라(131)의 촬상 대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분진 등의 이물이 부착된 약제가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되거나, 당해 이물이 약제 적재대(133a)에 축적하거나 하면,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약제의 윤곽 또는 각인 등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판별부(64)에 의한 약제의 종류의 판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위생면을 고려하면, 이물은 제거하는 편이 좋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반송·분류 유닛(12)을 사용해서 약제 적재대(133a)의 청소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제어부(61)는, 약제 적재대(133a)를 청소하는 경우, 약제 적재대(133a)의 저부의 내면(내부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흡착 패드(122a)를 당해 내부 저면에 근접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반송 제어부(61)는, 진공 펌프(122d)에 공기의 인입을 행하게 한다. 이에 의해, 약제 적재대(133a) 내의 이물은, 흡착 패드(122a)를 통해 필터(122f)에 있어서 수집된다. 이 동작에 의해, 약제 적재대(133a)는 청소된다.
여기서, 흡착 기구는, 약제를 흡착함과 함께, 약제를 풀어놓는 동작을 행한다. 공기관(122b)의 경로가 하나인 경우, 약제를 풀어놓는 동작을 행할 때, 필터(122f)로 수집한 이물이 역류하여, 흡착 기구의 외부로 배출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수집한 이물을 약제 분류 장치(1)의 내부(분류 컵(141)을 포함함)로 되돌려버리게 된다.
본 예의 흡착 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관(122b)으로서, 공기를 흡착 패드(122a)로부터 배출하는 제1 경로와, 흡착 패드(122a)로부터 공기를 빨아 올리는 제2 경로를 구비한다. 이물을 흡착할 때에는, 진공 펌프(122d)에 의해 인입된 공기가 제2 경로를 흐르고, 약제를 풀어놓을 때에는, 진공 펌프(122d)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제1 경로를 흐른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122f)로 흡착한 이물이 약제 분류 장치(1)의 내부로 되돌려버린다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반송 제어부(61)는, 흡착 기구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약제 적재대(133a)의 내부 저면 전체에 대해서 흡착 기구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내부 저면을 전체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제어부(61)는,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내부 저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만을 청소 대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에서는, 약제 적재대(133a)의 내부 저면을 청소 대상으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제1 수용부(11) 또는 분류 컵(141)의 내부 저면을 청소 대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분류 컵(141)의 청소 대상으로 되는 경우, 반송 제어부(61)의 처리를 분류 제어부(62)가 행하면 된다.
(눈 막힘 회피 동작)
도 18에 도시한 흡착 기구는, 필터(122f)를 구비함으로써, 후단의 공기관(122b), 전자기 밸브(122p') 또는 진공 펌프(122d)에 분진 등의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물에 의해 필터의 눈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는, 필터(122f)를 새로운 필터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흡착 기구에 있어서도, 공기관(122b)의, 흡착 패드(122a) 근방에 필터를 마련함으로써, 당해 이물의 혼입을 방지해도 상관없다.
흡착 기구에 유량 센서(후술)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반송 제어부(61)(또는 분류 제어부(62))는, 공기관(122b) 내의, 약제를 비흡착 시의 공기의 유량이, 소정의 유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유량은, 약제가 흡착 가능한 유량(약제의 흡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유량)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반송 제어부(61)는, 소정의 유량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필터의 눈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판정한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예를 들어 회수 트레이(16) 상으로 흡착 기구를 이동시키고, 흡착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흡착 패드(122a)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에 의해, 필터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사용 기간(필터 교환까지의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약제 적재대의 오염 검출)
약제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의 약제 적재대(133a)를 제1 카메라(131)로 촬상함으로써, 약제 적재대(133a)에 오염(예: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시광을 출사하는 가시광 조사부(제1 조사부(134a) 및 제2 조사부(134b))와, 자외광을 출사하는 자외광 조사부(134c)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제1 카메라(131)는,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을 사용하여, 약제 적재대(133a)에 오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신품 상태인 약제 적재대(133a)(즉, 깨끗한 상태의 약제 적재대(133a))를 미리 촬상해 두고, 그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각각 참조 가시광 화상 및 참조 자외광 화상이라고 칭함)을 기억부(80)에 기억해 둔다.
예를 들어 분류 개시 시에, 촬상 제어부(63)는, 약제가 적재되지 않은 약제 적재대(133a)를, 제1 카메라(131)를 사용해서 촬상한다. 제어부는, 이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각각 대상 가시광 화상 및 대상 자외광 화상이라고 칭함)을 각각, 참조 가시광 화상 및 참조 자외광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대상 가시광 화상 및 대상 자외광 화상에 있어서, 약제 적재대(133a)의 배경에 있는 약제 분류 장치(1)의 부품(배경 부분)을 특정한다.
약제 적재대(133a)는 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약제 적재대(133a)의 배경 부분도 가시광 화상에 투영한다. 또한, 배경 부분의 재질에 따라서는, 자외광 화상에 있어서 발광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참조 가시광 화상과 대상 가시광 화상과의 비교, 또는, 참조 자외광 화상과 대상 자외광 화상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배경 부분을 오염의 판정 대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상 가시광 화상에 있어서, 배경 부분과는 상이한 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는, 배경 부분과는 상이한 상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그 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는, 소정의 크기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그 상을 오염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대상 자외광 화상에 있어서, 배경 부분과는 상이한 발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는, 배경 부분과는 상이한 발광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그 발광의 강도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는, 소정의 크기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그 발광이 오염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판정한다.
제어부는, 약제 적재대(133a)에 오염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예를 들어 표시부(32)를 통해 약제 적재대(133a)의 청소를 재촉하는 통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약제 적재대(133a)의 청소가 행해짐으로써, 오염이 판별부(64)에 의한 약제의 종류의 판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가시광 화상의 경우, 먼지를 인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자외광 화상의 경우, 먼지를 인식하기 쉽지(먼지는 자외광의 조사를 받아서 발광하기 쉽지)만, 거무스름한 물체를 인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가시광 화상 및 자외광 화상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서 약제 적재대(133a)의 오염의 존재를 판정함으로써, 다양한 오염의 특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의 크기의 비교 대상인 소정의 크기, 및 발광 강도의 비교 대상인 소정의 크기는, 상기 판별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오염을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오염의 판정에 있어서 배경 부분의 영향이 적은 경우에는, 촬상한 화상을, 참조 가시광 화상 또는 참조 자외광 화상과 반드시 비교할 필요는 없다.
(약제의 흡착 가부 판정)
다음으로,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에 의한 약제의 흡착 가부 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분류 유닛(12)은, 흡착 기구의 공기관(122b)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센서(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61)(또는 분류 제어부(62))는, 흡착 패드(122a)로 약제를 흡착한 것을, 유량 센서가 검출하는 유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다. 즉, 반송 제어부(61)는, 당해 흡착의 판정을, 압력 센서가 검출하는 흡인력의 변화 대신에, 유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다.
약제의 흡착 상태로 변화가 있던 경우(예: 약제를 흡착한 상태, 약제를 흡착한 상태로부터 풀어 놓은 상태)에도, 그 변화를 압력 센서를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공기관(122b) 내의 압력이 변화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한편, 유량의 경우, 약제의 흡착 상태의 변화에 추종해서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압력 센서를 대신하여 유량 센서를 사용하여, 반송 제어부(61)가 약제의 흡착 가부를 판정함으로써, 압력 센서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당해 흡착 가부의 판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와 마찬가지로, 반송 제어부(61)는, 유량 센서가 검출하는 유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흡착 기구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범위까지 약제가 근접해졌음을 검출해도 상관없다. 또한, 역치를 적절히 설정해 둠으로써, 반송 제어부(61)는, 당해 유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흡착 기구가 흡착 패드(122a) 자체를 흡입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할 수도 있다. 이 판정에 대해서도,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행하는 경우보다도, 유량 센서를 사용하여 행한 경우의 쪽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약제 적재대에 적재된 약제의 개수 판정)
다음으로, 촬상 제어부(63)에 의한,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 약제의 개수 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제 적재대(133a)에는, 판별부(64)의 판별 대상으로 되는 약제가 1개 적재되지만, 약제 적재대(133a)에 약제가 남은 채 다른 약제가 적재되어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2개 이상의 약제가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판별부(64)에 의한 약제의 종류의 판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촬상 제어부(63)는, 약제 적재대(133a)에 2개 이상의 약제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촬상 제어부(63)는, 약제의 표면(θ=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상)에 대한 영역 추출 처리에 있어서, 약제가 2개 이상 있다고 판정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촬상 제어부(63)는, 약제의 이면(θ=18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상)에 대한 영역 추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에러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표시부(32)를 통해 그 취지를 통보함과 함께, 제어부는, 약제 분류 처리를 일시 중단해도 상관없다.
촬상 제어부(63)는, 약제 적재대(133a)에 2개 이상의 약제가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행한다.
우선, 약제에 부여된 색에 의해,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밝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3종류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는 영역으로 분류하는 경우, 제1 휘도 역치 및 제 2 휘도 역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촬상 제어부(63)는, 제1 휘도 역치 이상의 휘도를 갖는 영역 R(A), 제1 휘도 역치 미만, 제2 휘도 역치 이상의 휘도를 갖는 영역 R(B), 및 제2 휘도 역치 미만의 휘도를 갖는 영역 R(C)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촬상 제어부(63)는, 상기 화상에 대해서 형상 특징량에 의한 압축 처리를 행한다. 형상 특징량은, 약제가 아닌 대상물의 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징량이다. 형상 특징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약제로서 상정되는 면적 및 테두리부의 새김눈 형성 정도(깔쭉깔쭉한 정도, 볼록볼록한 정도)를 들 수 있다. 촬상 제어부(63)는, 형상 특징량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화상으로부터, 약제가 아니라고 추정되는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약제라고 추정되는 영역만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촬상 제어부(63)는, 약제라고 추정되는 영역에 있어서, 영역 R(A), 영역 R(B) 및 영역 R(C) 중 어느 것만을 추출한다. 여기서, 영역 R(A)는 비교적 밝은 색이 부여된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영역 R(C)는 비교적 어두운 색이 부여된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영역 R(B)는 그 중간색이 부여된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라고 추정된다.
촬상 제어부(63)는, 화상에 있어서, 영역 R(A) 및 영역 R(B)가 추출되어 있는 경우, 당해 영역이 비교적 밝은 색이 부여된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라고 판정하여, 영역 R(A)를 추출한다. 촬상 제어부(63)는, 화상에 있어서, 영역 R(B) 및 영역 R(C)가 추출되어 있는 경우, 당해 영역이 비교적 어두운 색이 부여된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라고 판정하여, 영역 R(C)를 추출한다. 촬상 제어부(63)는, 화상에 있어서, 영역 R(A), 영역 R(B) 및 영역 R(C)가 추출되어 있는 경우, 당해 영역이 그 중간색이 부여된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라고 판정하여, 영역 R(B)를 추출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영역 R(A), 영역 R(B) 및 영역 R(C) 중 어느 것을 추출한 후, 당해 추출한 영역에 대하여, 휘도 분포에 기초하는 분할 처리(예: 공지된Watershed 알고리즘을 사용한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추출한 영역 중에 휘도 분포로 분할할 수 있는 영역이 있으면, 2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촬상 제어부(63)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영역이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라고 판정하고, 그 개수를 계수한다. 촬상 제어부(63)는, 그 개수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도 19의 (a) 내지 (d)는, 상기 개수 판정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카메라(131)가 촬상한 화상이다.
도 19의 (a)의 예에서는, 촬상 제어부(63)는, 영역 R(A)로서, 영역 R1(A) 및 영역 R3(A)를 추출하고, 영역 R(B)로서, 영역 R2(B)를 추출하고, 영역 R(C)로서, 영역 R4(C) 및 영역 R5(C)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촬상 제어부(63)는,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 특징량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하게 약제의 형상과는 상이한 영역 R3(A), 영역 R4(C) 및 영역 R5(C)를 제외하고, 약제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는 영역 R1(A) 및 영역 R2(B)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촬상 제어부(63)는, 추출한 영역이 영역 R1(A) 및 영역 R2(B)이기 때문에,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 R1(A)를 추출한다. 촬상 제어부(63)는, 추출한 영역 R1(A)에 대해서 휘도 분포에 기초하는 분할 처리를 행한다. 도 19의 예에서는, 도 1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제어부(63)는, 영역 R1(A)를 2개의 영역을 추출한다. 즉 이 경우에는, 촬상 제어부(63)는, 약제 적재대(133a)에 약제가 2개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하여,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이에 의해, 약제 적재대(133a)에 약제가 1개 적재되어 있을 때에만, 판별부(64)에 판별 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즉, 약제 분류 처리를 안전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약 설정)
또한, 표시 제어부(67)는, 약제의 분류 개시 시각을 예약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 가능한 설정 화상을 표시부(32)에 표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제어부는, 설정된 분류 개시 시각이 된 시점에서,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의 분류 처리를 개시한다. 그 때문에, 분류 동작의 개시까지 약제 분류 장치(1)를 슬립 모드(에코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약제 분류 장치(1)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간보다도 야간 쪽이 전기 요금은 저렴하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처리가 야간에 행해지도록 분류 개시 시각이 설정된 경우에는, 전기 요금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지참약 감별 및 재분포 처리)
다음으로,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한 지참약 감별 및 재분포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른 병원에 통원 또는 입원하고 있던 환자를 받아들이는 경우, 수납처인 병원 또는 약국에 있어서, 다른 병원 또는 약국에서 처방된 약제(즉 지참약)의 감별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환자가 지참한 분포지를 풀어서 지참약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하고, 그 후, 의사에 의한 진찰 결과에 기초하여 재분포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 지참약의 목시 감사 및 재분포 처리에, 약제 분류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임의의 한 환자가 지참한 분포지를 풀어서, 당해 분포지에 내포되어 있던 지참약을 제1 수용부(11)에 수용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지참약을 제2 수용부(14)로 분류한다. 그 후, 유저에 의한 목시 감사가 행해진다. 또한, 당해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찰 결과를 받아서, 당해 환자에 관한 처방전 정보가 입력된다. 약제 분류 장치(1)의 분포 기구(6)는, 제2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참약을, 입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재분포한다.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지참약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약제를 추가해서 분포할 수 있다. 또한, 지참약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처방전 정보에 입력되지 않은 약제에 대해서는 분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스터 화상의 배신 가부 판정)
다음으로, 관리 장치에 의한 마스터 화상의 배신 가부 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반품된 약제를 제1 카메라(131)로 촬상한 후, 목시 감사를 행한 화상을, 약제명과 관련지어 마스터 화상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는, 복수의 장소(예: 병원)에 설치된 경우,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 약제 분류 장치(1)에서 등록된 마스터 화상을, 다른 장소에 설치된 약제 분류 장치(1)로 배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스터 화상의 신빙성을 확인하지 않고, 다른 약제 분류 장치(1)로 배신한 경우, 당해 약제 분류 장치(1)에서 약제의 종류의 판별을 잘못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복수의 약제 분류 장치(1)로부터 마스터 화상을 수집하고, 또한 복수의 약제 분류 장치(1)로 마스터 화상을 배신 가능한 관리 장치(도시생략)에 있어서, 마스터 화상의 배신 가부 판정을 행한다. 관리 장치는, 마스터 화상의 배신 가부 판정을, 예를 들어
(A1) 마스터 화상을 등록한 등록일,
(A2) 약제 분류 장치(1)에 대한 반품 횟수,
(A3) 정제 분포기 또는 산약 분포기에 처음으로 반품된 반품 최초일, 및
(A4) 정제 분포기 또는 산약 분포기에 마지막으로 반품된 반품 최종일과 같은 4개의 관점으로부터 결정한다. 상기 (1) 내지 (4)의 정보는, 약제 분류 장치(1)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등록한 마스터 화상에 관련지어 관리 장치에 송신된다.
관리 장치는, 약제 분류 장치(1)로부터 마스터 화상을 수신하면, 예를 들어
(B1) 등록일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고 있는지,
(B2) 반품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고 있는지,
(B3) 반품 최초일로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고 있는지, 및
(B4) 반품 최종일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B1)에 관하여, 등록일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약제 분류 장치(1)에서 마스터 화상이 사용된 횟수(즉 목시 감사에 사용된 횟수, 바꾸어 말하면 사용 실적)가 낮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빙성이 낮은 마스터 화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관리 장치는, 등록일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지 않은 경우, 배신 대상의 마스터 화상으로부터 제외한다.
(B2)에 관하여, 반품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마스터 화상의 사용 실적이 적기 때문에, 그 신빙성이 낮은 마스터 화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관리 장치는, 반품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배신 대상의 마스터 화상으로부터 제외한다.
(B3)에 관하여, 반품 최초일로 소정 일수 경과하지 않은 경우, 가령 마스터 화상의 사용 실적이 높은 경우라도(반품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고 있었다고 해도), 그 후의 목시 감사에 있어서, 잘못해서 마스터 화상의 등록이 이루어져 있다고 판단될 가능성도 있다. 그 때문에, 마스터 화상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서, 관리 장치는, 반품 최초일로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지 않은 경우, 배신 대상의 마스터 화상으로부터 제외한다.
(B4)에 관하여, 반품 최종일로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고 있는 경우, 정제 분포기 또는 산약 분포기에 마지막으로 반품되고 나서 얼마동안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마스터 화상의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관리 장치는, 반품 최종일부터 소정 일수 경과하고 있는 경우, 배신 대상의 마스터 화상으로부터 제외한다.
이와 같이 마스터 화상의 배신 가부를 판정함으로써, 약제 분류 장치(1)에 신빙성이 높은 마스터 화상을 배신할 수 있다.
또한, (B1), (B3) 및 (B4)의 소정 일수는, 사용 실적의 관점에서 경험 등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으면 되며, (B1), (B3) 및 (B4)의 소정 일수는 각각 상이한 일수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B2)의 소정 일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약제 분류부터 약제 반환까지의 처리예>
이하에, 약제 분류부터 약제 반환까지의 처리예(약제 반환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약제 분류부터 약제 반환까지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약제 분류 장치(1)에서 복수 종류의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제1 수용부(11)에 복수 종류의 약제가 투입되면, 제2 수용부(14)의 분류 컵(141)의 각각에, 약제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수용한다(약제 분류 공정).
그 후,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 분류 장치(1)로 분류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하기 위한 감사 화상 Im2를 터치 패널(3)에 표시한다(표시 공정). 즉, 유저는, 터치 패널(3)에 표시된 감사 화상 Im2를 사용하여, 약제 분류 장치(1)로 분류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한다(감사 공정).
그 후, 약제 분류 장치(1)는, 감사 화상 Im2를 사용한 목시 감사 결과에 기초하여, 목시 감사 후의 약제를 반환처인 분포기(200) 또는 약제 선반(300)으로 반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반환 준비 공정). 즉, 유저는, 목시 감사 결과(감사 결과)에 기초하여, 목시 감사 후의 약제를, 분포기(200) 또는 약제 선반(300)으로 반환한다(반환 공정). 또한, 분포기(200)로서는, 예를 들어 정제 분포기 또는 산약 분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공정을 거침으로써, 약제 분류 장치(1)가 분류한 약제를, 유저에 의한 목시 감사를 거쳐 반환처인 분포기(200) 또는 약제 선반(300)으로 반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 및 도 22를 사용하여, 감사 화상 Im2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도 22의 (a) 및 (b)는, 감사 화상 Im2의 표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의 분류 동작을 임의의 타이밍에 정지할 수 있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예를 들어 분류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한 경우, 또는,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의, 제2 수용부(14)에 대한 분류가 완료된 경우에, 분류 동작을 정지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 동작을 정지한 경우(예: 약제의 분류 동작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의 분류 상황을 나타내는 분류 화상 Im1을 표시한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 동작 중에 분류 화상 Im1을 표시해도 상관없다.
약제가 분류된 복수의 분류 위치의 각각과, 당해 분류 위치에 배치되는 분류 컵(141)과,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는 관련지어져, 기억부(80) 및 분류 컵(141)에 마련된 RFID 태그에 기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1)는, 제2 수용부(14)에 있어서의 복수의 분류 위치와, 분류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의 분류 상황(예: 수용된 약제의 개수)을 반영한, 분류 화상 Im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 화상 Im1에 나타내어진 분류 위치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당해 분류 위치에 대응지어진 약제의 감사 화상 Im2를 터치 패널(3)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가 목시 감사를 행하는 것을 원하는 약제의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는, 제1 수용부(11)에 수용된 약제가 없어질 때까지 분류를 행한다. 제2 수용부(14)에 배치할 수 있는 분류 컵(141)의 수가 예를 들어 40개인 경우, 약제 분류 장치(1)는, 제2 수용부(14)에 40종류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에 41종류 이상의 약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약제 분류 장치(1)는, 제2 수용부(14)에 모든 약제를 분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1)는, 제2 수용부(14)에 배치된 모든 분류 컵(141)에 약제가 분류되어 있는 경우, 41종류째 이후의 약제에 대해서는, 대기 트레이(15)로 분류한다.
이 경우, 약제 분류 장치(1)는, 대기 트레이(15)에 수용된 약제를 분류 컵(141)에 수용하기 위해서, 어느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취출하고, 분포 기구(6)에서 분포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분류가 완료된 약제가 수용된 분류 컵(141)이, 분포 기구(6)에 의한 자동 분포의 대상으로 된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에서는, 유저는, 임의의 타이밍에,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할 수 있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목시 감사가 행해진 약제에 대해서는 분류가 완료된 것이라고 판정함과 함께, 목시 감사 완료 후의 약제를 취출 대상 또는 분포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의 분류 중이더라도,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가 행해진 경우에는, 당해 약제의 분류가 완료된 것으로 하여, 당해 약제를, 상술한 바와 같이 분포 기구(6)에 의한 자동 분포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단,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의 분포 처리를 행하는 경우, 약제의 분류 처리를 일단 정지한다.
분포 기구(6)는,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분포의 대상으로 된 약제를 분포한 후, 분포지에, 감사 화상 Im2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를 부여한다. 당해 바코드에는, 예를 들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유저는, 분류된 약제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코드 리더(도시생략)에, 분포지에 부여된 바코드에 포함되는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판독시킨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바코드 리더가 판독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당해 데이터에 관련지어져 기억부(8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감사 화상 Im2를 터치 패널(3)에 표시한다.
또한,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 컵(141)에 마련된 RFID 태그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유저는, 반환처에 대한 반환 대상으로 되는 약제가 수용된 분류 컵(141)을 취출하여,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에 적재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이 판독한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당해 데이터에 관련지어져 기억부(8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감사 화상 Im2를 터치 패널(3)에 표시한다. 화상 데이터가 RFID 태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당해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감사 화상 Im2를 터치 패널(3)에 표시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도 22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서도, 유저가 목시 감사를 행할 것을 원하는 약제의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목시 감사 완료 후의 반환 방법에 대하여, 도 23 및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의 (a) 및 (b), 및 도 24는, 목시 감사 완료 후의 반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반환처인 분포기(200)에, 분류 컵(141)에 마련된 RFID 태그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환 방법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분류 장치(1)는, 유저 입력 또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한다. 유저는, 감사 화상 Im2를 확인함으로써, 임의의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목시 감사를 행한다. 유저는, 목시 감사가 완료된 후, 약제 분류 장치(1)에 대하여 그 취지의 유저 입력을 행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당해 유저 입력을 받아서, 목시 감사 결과를 판정한 당해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당해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한다.
그 후, 유저는, 당해 분류 컵(141)을 분포기(200)까지 운반하고, 분포기(200)에 마련된 RFID 리더(도시생략)에,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는,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분포기(200)에 마련된, 당해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도시생략)로 수용(반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포기(200)의 카세트가 로크가 부착된 덮개를 마련하고 있는 경우,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된, 목시 감사 결과, 즉, 본 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인식된 약제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나타내는 정보(각인 정보 또는 인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된 감사 화상 Im2를 유저가 목시 감사한 결과로서, 당해 분류 컵(141)의 목시 감사가 모두 OK라는 감사 결과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분포기(200)의 카세트 로크를 열도록 해도 된다.
한편, 반환처인 분포기(200)에, 분류 컵(141)에 마련된 RFID 태그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 또는, 반환처가 약제 선반(300)인 경우, 예를 들어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환 방법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목시 감사의 대상으로 하는 분류 컵(141)을,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에 적재한다. 이에 의해, 약제 분류 장치(1)는, 당해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한다. 그 후, 유저는, 감사 화상 Im2를 확인함으로써, 당해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목시 감사를 행한다. 유저는, 목시 감사가 완료된 후, 약제 분류 장치(1)에 대하여 그 취지의 유저 입력을 행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당해 유저 입력을 받아서,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 및 반환처 정보 등을 인자한 저널 Jo를 발행한다.
그 후, 반환처가 분포기(200)인 경우, 유저는, 당해 분류 컵(141) 및 저널 Jo를 분포기(200)까지 운반한다. 그리고, 분포기(200)에 마련된 바코드 리더(도시생략)에, 저널 Jo에 인자된 바코드에 포함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판독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는,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분포기(200)에 마련된, 당해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로 수용(반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포기(200)의 카세트에 로크가 부착된 덮개를 마련하고 있는 경우, 저널 Jo에 인자된 바코드에 포함되는 목시 감사 결과, 즉, 본 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인식된 약제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나타내는 정보(각인 정보 또는 인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된 감사 화상 Im2를 유저가 목시 감사한 결과로서, 당해 분류 컵(141)의 목시 감사가 모두 OK라는 감사 결과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분포기(200)의 카세트 로크를 열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반환처가 약제 선반(300)인 경우, 유저는, 상술한 반환 보조 장치에 마련된 판독부(예: 바코드 리더)에, 저널 Jo에 인자된 바코드에 포함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 및 반환처 정보를 판독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는, 분류 컵(141) 및 저널 Jo를 반환처인 약제 선반(300)까지 운반함과 함께,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약제 선반(300)의 소정의 위치로 수용(반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제 선반(300)이 로크가 부착된 도어를 마련하고 있는 경우, 저널 Jo에 인자된 바코드에 포함되는 목시 감사 결과, 즉 본 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인식된 약제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나타내는 정보(각인 정보 또는 인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된 감사 화상 Im2를 유저가 목시 감사한 결과로서, 당해 분류 컵(141)의 목시 감사가 모두 OK라는 감사 결과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약제 선반(300)의 도어 로크를 열도록 해도 된다.
또한, 분포 기구(6)로 분포한 약제를, 분포기(200) 또는 약제 선반(300)으로 반환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환 방법으로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14)에 배치된 모든 분류 컵(141)에 약제가 수용되며, 또한 대기 트레이(15)에 약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분류 컵(141)의 약제를 취출하고, 대기 트레이(15)의 약제를 분류 컵(141)에 수용하게 된다. 이 경우, 분류 컵(141)으로부터 취출된 약제가 분포 기구(6)에 의해 분포된다.
도 23의 (a)와 마찬가지로, 유저는, 목시 감사가 완료된 후, 약제 분류 장치(1)에 대해서 그 취지의 유저 입력을 행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당해 유저 입력을 받아서,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당해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당해 분류 컵(141)의 RFID 태그 및 기억부(80)에 기억한다.
그 후, 약제 분류 장치(1)는, RFID 태그 또는 기억부(80)에 기억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포 기구(6)에 의한 당해 약제의 분포를 행한다. 이때,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 및/또는 반환처 정보를, 예를 들어 바코드 형식으로 당해 약제를 분포한 분포지에 부여한다. 유저는, 도 23의 (b)와 마찬가지로, 분포기(200)에 마련된 바코드 리더, 또는 반환 보조 장치에 마련된 판독부에 의해, 분포지에 인자된 바코드에 포함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 및/또는 반환처 정보를 판독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는,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분포기(200)의 카세트, 또는 약제 선반(300)의 소정의 위치에 수용(반환)할 수 있다. 이때, 분포기(200)의 카세트 덮개나, 상기 약제 선반(300)이 도어를 갖고, 거기에 로크 기구를 갖는 것이면, 상기 분포지에 인자된 바코드에 포함되는 목시 감사 결과, 즉, 본 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인식된 약제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나타내는 정보(각인 정보 또는 인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된 감사 화상 Im2를 유저가 목시 감사한 결과로서, 당해 분류 컵(141)의 목시 감사가 모두 OK라는 감사 결과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분포기(200)의 카세트 로크나, 상기 약제 선반(300)의 도어 로크를 열도록 해도 된다.
(저널의 일례)
다음으로, 도 25를 이용하여, 약제 분류 장치(1)가 발행하는 저널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의 (a) 및 (b)는, 저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의 (a)는, 임의의 분류 컵(141)에 수용된 전체 약제가 동일 종류의 약제라는 목시 감사 결과를 받아서 발행되는 저널 Jo1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의 목시 감사 결과를 「목시 OK」라고 칭한다. 도 25의 (b)는, 임의의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 중 적어도 하나의 약제의 종류가 다른 약제의 종류와는 상이하다는 목시 감사 결과를 받아서 발행되는 저널 Jo2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의 목시 감사 결과를 「목시 NG」라고 칭한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OK」인 경우, 저널 Jo1에는, 목시 감사 결과를 나타내는 약제에 관한 정보로서, 바코드 및 문자 정보가 인자된다. 바코드에 포함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약제 고유 정보(약제 식별 코드) 외에, 약제 분류 장치(1)를 특정하기 위한 장치 고유 정보, 또는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개수를 들 수 있다.
저널 Jo1에 장치 고유 정보 또는 개수의 정보가 기록됨으로써, 분포기(200)로 반환(충전)할 때, 이들 정보를 분포기(200)측에서 판독할 수 있다. 장치 고유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어느 약제 분류 장치(1)로 분류된 약제인지를, 분포기(200)측에서 판별할 수 있다.
저널 Jo1에 인자되는 문자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감사 일시, 감사자명, 약제명, 약제에 새겨진 각인, 분류 컵(141)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 총수, 당해 약제의 약가 합계, 분류 컵(141)을 식별하기 위한 용기 고유 정보 및 반환처를 나타내는 각 정보를 들 수 있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널 Jo1에는, 반환 후보로 되는 복수의 반환처가 인자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환처로 되는 분포기(200)의 종류, 분포기(200)의 기체 번호, 및 분포기(200)가 구비하는 카세트의 카세트 번호가 인자되어 있다. 또한, 약제 선반(300)의 선반 번호가 인자되어 있다.
한편,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NG」인 경우, 저널 Jo2에도, 목시 감사 결과를 나타내는 약제에 관한 정보로서, 바코드 및 문자 정보가 인자되지만, 저널 Jo1과는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저널 Jo2는, 분류 컵(141)에 「목시 NG」의 약제(다른 약제와는 상이한 종류의 약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발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바코드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개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경우, 분포기(200)측에서는 반환되는 약제의 개수를 특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저널 Jo2에는, 목시 감사의 결과가 NG인 약제(상기 「목시 NG」의 약제)를 제거해서 남은 약제(목시 감사의 결과가 OK인 약제)의 개수를 세고, 또한 그 개수를 유저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문장이 인자된다. 또한, 저널 Jo2에서는, 저널 Jo1에 인자되는 약제 총수 대신에 목시 감사의 결과가 OK인 약제의 개수(목시 OK 수), 및 목시 감사의 결과가 NG인 개수(목시 NG 수)가 인자된다. 또한, 저널 Jo2에서는,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시 감사 결과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목시 NG」의 문자가 인자된다.
또한, 바코드는, 도 24에 도시한 반환 방법에 있어서 분포지에도 부여된다. 분포지에 부여되는 바코드는, 상술한 바코드여도 된다. 즉, 분포지에 부여되는 바코드에 대해서도, 「목시 OK」인지 「목시 NG」인지에 의해 바코드에 포함되는 정보가 상이해도 상관없다.
(표시 화상예: 분류 화상 및 감사 화상)
다음으로, 도 26 내지 도 29를 이용하여 표시 화상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의 (a)는 분류 화상 Im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분류한 약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6의 (a)에 도시한 분류 화상 Im1은, 도 11의 (a)에 도시한 표시 화상의 다른 예이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분류 화상 Im1에서는, 주로 그 하단의 구성이, 도 11의 (a)에 도시한 표시 화상과는 상이하다. 여기에서는, 주로, 분류 화상 Im1에 있어서 도 11의 (a)에 도시한 표시 화상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7의 (a) 내지 (c)는, 분류 화상 Im1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했을 때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분류 화상 Im1에 있어서, 제2 수용부(14)에 배치된 각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복수의 직사각형 부분 Rs는, 유저 입력을 접수 가능하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직사각형 부분 Rs에 대한 유저 입력에 의해, 당해 직사각형 부분 Rs에 대응하는 감사 화상 Im2(도 28의 (a) 참조)를 표시한다. 또한, 도 11의 (a)와 마찬가지로,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를 분류된 분류 컵(141)에 대응시키는 직사각형 부분 Rs에는, 분류된 약제의 개수를 표시한다.
「표시 전환」 버튼 Bo1은, 직사각형 부분 Rs의 색 구분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버튼이다. 약제 분류 장치(1)는, 「표시 전환」 버튼 Bo1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색 구분 방법을 나타내는 표시색 전환 화상 Im4를 팝업 표시한다.
표시색 전환 화상 Im4에는, 예를 들어 「반환처별로 색 구분」 버튼 Bo11 및 「목시 감사 상태별로 색 구분」 버튼 Bo12가 포함된다. 「반환처별로 색 구분」 버튼 Bo11은, 반환처별로 색을 구분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버튼이다. 「목시 감사 상태별로 색 구분」 버튼 Bo12는, 목시 감사 상태별로 색 구분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버튼이다.
「반환처별로 색 구분」 버튼 Bo11에 유저 입력이 있던 경우, 약제 분류 장치(1)는, 예를 들어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약제명을 판별하고 있는 경우,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반환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직사각형 부분 Rs의 색 구분을 행한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명을 판별하지 않은 직사각형 부분 Rs 및 약제가 수용되지 않은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 Rs에 대해서는, 약제명을 판별하고 있는 경우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약제명이 판별되지 않은 직사각형 부분 Rs와, 약제가 수용되지 않은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 Rs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도 상관없다. 반환처별로의 직사각형 부분 Rs의 표시예로서는, 상술한 도 12에 도시한 표시 화상을 들 수 있다.
「목시 감사 상태별로 색 구분」 버튼 Bo12에 유저 입력이 있던 경우에는, 약제 분류 장치(1)는, 예를 들어 (1)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OK」인 직사각형 부분 Rs, (2)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NG」인 직사각형 부분 Rs, 및 (3) 목시 감사 미실시의 직사각형 부분 Rs를 각각 색 구분하여 표시한다. 도 26의 (a)는, 목시 감사 상태별의 색 구분 표시를 행하고 있는 분류 화상 Im1의 일례이다. 또한, 상기 3종류의 목시 감사 상태 중 적어도 1종류의 목시 감사 상태가, 다른 목시 감사 상태와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분류 화상 Im1에는,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한 분류를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분류」 버튼 Bo3, 및 분포 기구(6)에 의한 분포를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분포」 버튼 Bo4가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한 약제 분류 처리와, 분포 기구(6)에 의한 분포 처리를 동시에 처리할 수 없는 사양이어도 상관없다. 당해 사양의 경우,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처리 중이면, 「분포」 버튼 Bo4는 비 액티브한 상태로 된다(분류를 정지하기 위한 버튼(사각 버튼)만 액티브한 상태로 됨). 한편, 분포 처리 중이면, 「분류」 버튼 Bo3이 비 액티브한 상태로 된다(분포를 정지하기 위한 버튼(사각 버튼)만 액티브한 상태로 됨). 또한, 약제 분류 장치(1)가 분포 기구(6)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포」 버튼 Bo4는 표시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반환원 선택」 버튼 Bo5는, 약제의 반환원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버튼이다. 반환원이란, 약제 분류 장치(1)에 투입되기 전에 약제가 보관되어 있던 장소이며, 예를 들어 병동, 진료과, 또는 시설(예: 의료 기관)이다. 「반환원 선택」 버튼 Bo5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예를 들어 도 27의 (b)에 도시한 반환원 선택 화상 Im5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가 분포기(200)와 연동하고 있는(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제 분류 장치(1)는, 분포기(200)가 설치된 병동 등을 특정하는 정보(예: 병동 ID)를 취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1)는, 병동 ID 등을 특정하는 정보를, 투입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부(80) 또는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억할 수 있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반환원 선택 화상 Im5에 표시된 반환원이 선택되면, 도 26의 (a)에 도시한 반환원(도면 중에서는 「미선택」이라고 표시)에, 선택된 반환원이 표시된다.
「분포 대상 선택」 버튼 Bo6은, 분포 기구(6)에 의한 약제의 분포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버튼이다. 「분포 대상 선택」 버튼 Bo6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예를 들어 도 2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팝업 표시를 행한다. 도 27의 (c)의 예에서는, (1) 분류된 전체 약제를 분포 기구(6)로 분포하는 「전체 분포」 버튼 Bo61, (2) 분류된 전체 약제 중, 목시 감사가 완료된 약제만을 분포 기구(6)로 분포하는 「목시 완료만」 버튼 Bo62, (3) 분류된 전체 약제 중, 반환처에 있어서 미실장의 약제만을 분포 기구(6)로 분포하는 「미실장만」 버튼 Bo63, 및 (4) 분류된 전체 약제 중, 유저가 개별로 선택한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만을 분포 기구(6)로 분포하는 「선택만」 버튼 Bo64가 표시된다. 유저에 의한 선택에 따라서, 도 26의 (a)에 도시한 분포 방법(도면 중에서는 「미선택」이라고 표시)에, 선택된 분포 방법이 표시된다. 또한, 분류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에 반환처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분포 대상 선택」 버튼 Bo6에 대한 유저 입력은, 반환처 정보가 나타내는 반환처가 분포 기구(6)인 약제를 수용한 분류 컵(14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 Rs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분류 일람」 버튼 Bo7은, 분류 화상 Im1로부터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으로 표시 화상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분류 일람」 버튼 Bo7에 유저 입력이 있던 경우에는,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의 표시로 전환한다.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은,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한 분류의 이력을 약제의 종류별로 나타내는 것이다. 기억부(80) 또는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는,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을 생성 가능하도록,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 분류 컵(141)을 특정하기 위한 용기 고유 정보,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개수, 및 반환처 정보 등이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에 포함되는 임의의 약제가 선택된 상태이며, 또한 「목시 감사」 버튼 Bo31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당해 약제의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한다. 또한,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에 포함되는 약제의 일람은, 유저 입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으며, 또한 소트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의 「용기 일람」 버튼 Bo32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으로부터 분류 화상 Im1의 표시로 전환한다.
또한, 분류 화상 Im1은,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한 약제 분류 처리 중의 약제 분류 상태(현재의 분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화상이다. 한편,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은, 약제 분류 처리 중의 약제 분류 상태 외에,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한 과거의 약제 분류 상태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이다. 즉,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을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예를 들어 과거에 분류한 목시 감사 미완료의 약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8의 (a) 내지 (c)는, 감사 화상 Im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8의 (a) 및 (b)에 도시한 감사 화상 Im2는, 도 11의 (b)에 도시한 표시 화상의 다른 예이다. 주로, 감사 화상 Im2에 있어서 도 11의 (b)에 도시한 표시 화상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 화상 Im1 또는 분류 약제 일람 화상 Im3에 있어서 임의의 약제가 선택되면, 당해 약제의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한다. 감사 화상 Im2의 「목시 감사 개시」 버튼 Bo21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목시 감사의 확인 결과를 접수 가능한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한다.
도 28의 (b)에 도시한 감사 화상 Im2에는, 표시된 약제(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에 대하여 목시 감사 결과를 일괄 등록 가능한 「일괄 OK」 버튼 Bo22 및 「NG 있음」 버튼 Bo23이 포함된다. 이 「일괄 OK」 버튼 Bo22 및 「NG 있음」 버튼 Bo23은, 도 11의 (b)에 도시한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등록」 버튼을 대신하는 조작 버튼이다.
「일괄 OK」 버튼 Bo22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표시된 전체 약제의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OK」인 것으로 보고, 당해 목시 감사 결과를, 당해 약제가 수용된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입한다. 한편, 「NG 있음」 버튼 Bo23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표시된 전체 약제 중 적어도 하나의 약제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NG」인 것으로 보고, 당해 목시 감사 결과를, 당해 약제가 수용된 분류 컵(141)의 RFID 태그에 기입한다.
또한, 도 28의 (a) 및 (b)에 도시한 감사 화상 Im2에 있어서,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의 화상(촬상 유닛(13)에 의해 촬상된 약제의 가시광 약제)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도 2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약제의 확대 표시 화상 Im6을 표시한다.
확대 표시 화상 Im6의 확대 표시 영역 R21에는, 선택된 약제의 확대 화상이 표시된다. 촬상 유닛(13)에 의해 촬상된 약제의 표면 및 이면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정화상(正畵像) 표시 영역 R22에는, 선택된 약제의,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화상(마스터 화상)(예: 나정(裸錠) 화상) 및 크기가 표시된다.
선택된 약제에 대해서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OK」이면, 약제 분류 장치(1)는, 「목시 OK」 버튼 Bo22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목시 감사 결과로서 「목시 OK」를 접수한다. 한편, 「목시 NG」이면, 약제 분류 장치(1)는, 「NG 있음」 버튼 Bo23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목시 감사 결과로서 「목시 NG」를 접수한다.
또한, 도 28의 (a) 및 (b)에 도시한 감사 화상 Im2에서는, 촬상된 약제의 화상에 대한 유저 입력에 의해, 당해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예: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이에 의해, 도 28의 (a) 및 (b)에 도시한 감사 화상 Im2에서는, 도 11의 (b)에 도시한 표시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 사이즈」 버튼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는, 감사 화상 Im2에 있어서, 분류 컵(141)에 수용된 복수의 약제의 화상에 대하여,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당해 약제의 화상과의 매칭 정밀도가 높은 순으로(예를 들어 좌측 상단으로부터) 배열해도 상관없다. 또는, 매칭 정밀도가 낮은 순으로(예를 들어 좌측 상단으로부터) 배열해도 상관없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가장 시각적으로 보기 쉬운 위치로부터 순서대로, 매칭 정밀도가 낮은 약을 표시할 수 있어, 목시 감사의 효율과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분포기(200)의 당해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도시생략)로 수용(반환)하거나, 약제 선반(300)의 소정의 위치로 수용(반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덮개나 선반의 도어에 로크 기구를 갖는 것이면, 반환하려고 하는 당해 분류 컵(141)에 수용된 모든 약제의 매칭 정밀도가 소정값 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카세트의 덮개나 선반의 도어의 로크 기구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상기 매칭 정밀도는,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해 인식되는 약제의 각인 또는 프린트가 나타내는 정보(각인 정보 또는 인자 정보)의 인식의 확실성의 높이에 기초하여 레벨이나 역치를 설정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9의 (a) 내지 (c)는, 감사 화상 Im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목시 감사의 실행 유무 및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도 2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일괄 OK」 버튼 Bo22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한 경우와, 「NG 있음」 버튼 Bo23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한 경우로, 표시 방법을 상이하게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1)는,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괄 OK」 버튼 Bo22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감사 대상으로 된 약제의 표시 영역 R23의 전체를 소정 모양(예: 녹색)으로 둘러싼다. 한편, 약제 분류 장치(1)는,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NG 있음」 버튼 Bo23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면, 표시 영역 R23의 전체를 상기 소정 모양과는 상이한 모양(예: 황색)으로 둘러싼다.
또한, 도 2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는, 표시 영역 R23에 표시된 개개의 약제 화상에 대해서, 목시 감사의 실행 유무 및 목시 감사 결과가 판별 가능한 모양을 부여한 감사 화상 Im2를 표시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각 약제에 대하여, 목시 감사 미실행,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OK」, 및 목시 감사 결과가 「목시 NG」의 3개의 상태가 판별 가능한 모양이 부여된다. 도 29의 (c)에서는, 표시 영역 R23의 상측 2단의 각 약제의 화상에 대해서는 목시 감사 미실행을 나타내는 모양이 부여되어 있으며(예: 청색으로 둘러싸여 있음), 하측 3단의 각 약제의 화상에 대해서는 「목시 OK」를 나타내는 모양이 부여되어 있다(예: 녹색으로 둘러싸여 있음).
(표시 화상예: 집계 화상)
다음으로, 도 30 및 도 31을 이용하여 표시 화상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약제 분류 장치(1)에 의해 분류된 약제의 집계 업무에 관한 표시 화상(집계 화상 Im7)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의 집계 업무를 행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집계 화상 Im7을 표시한다. 집계 화상 Im7은, 예를 들어 「집계 기간」, 「출력 구분」, 「출력 단위」 및 「저널 출력 형식」을 특정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이들의 유저 입력에 따라서, 집계 결과의 표시(예: CSV(Co㎜a Separated Value) 출력) 또는 저널에 의한 출력을 행한다.
「집계 기간」에 있어서는, 유저가 원하는 집계 기간이 설정된다.
「출력 구분」에 있어서는, 집계 결과의 출력 방법이 설정된다. 「출력 구분」의 선택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분류 결과 집계」 및 「본체 에러 이력 집계」가 풀 다운 표시된다. 「분류 결과 집계」가 선택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된 약제에 관한 집계를 행한다. 「본체 에러 이력 집계」가 선택되면,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 분류 장치(1)에 있어서의 에러의 이력을 집계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반송·분류 유닛(12)의 동작 에러, 약제 분류 장치(1)에 있어서의 통신 에러, 또는 흡착 기구에 의한 약제의 흡착 미스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로그를 기억해 둠으로써, 당해 로그를 에러의 이력으로서 집계한다.
「출력 단위」에 있어서는, 분류된 약제에 관한 집계를 행할 때의 출력 방법이 설정된다. 「출력 단위」의 선택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약품별」, 「약품 종류별」, 「약효 분류별」, 「반품원별(병동/진료과/시설)」 및 「이용자별」이 풀 다운 표시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선택된 항목에 따라서, 약제별로, 약제의 종류별로, 약효별로, 반품원별로, 또는 이용자(유저)별로, 분류된 약제에 관한 집계를 행한다.
「저널 출력 형식」에 있어서는, 분류된 약제의 집계 결과를 저널에 인자해서 출력할 때의 출력 방법이 선택된다. 「저널 출력 형식」의 선택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분류 약품수(약품별)」, 「분류 약가(약품별)」, 「분류 약품수, 약가(약품별)」 및 「분류 약품수, 약가(총계)」가 풀 다운 표시된다. 약제 분류 장치(1)는, 선택된 항목에 따라서, 분류된 약제별 개수, 분류된 약제별 약가(합계, 즉 약제의 개수×약제의 단가), 분류된 약제별 개수 및 약가(합계), 또는 분류된 전체 약제의 개수 및 약가의 총계에 대하여 집계를 행한다.
도 31의 (a) 내지 (d)는, 집계 결과가 저널에 의해 출력될 때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의 (a)는, 분류된 약제별로, 약제의 개수가 저널에 인자되어 있는 예이다. 이 예에서는, 집계 화상 Im7에 있어서, 「저널 출력 형식」과 「분류 약품수 (약품별)」가 선택되어 있다. 도 31의 (b)는, 분류된 약제별로, 약제의 약가가 저널에 인자되어 있는 예이다. 이 예에서는, 집계 화상 Im7에 있어서, 「저널 출력 형식」과 「분류 약가(약품별)」가 선택되어 있다. 도 31의 (c)는, 분류된 약제별로, 약제의 개수 및 약가의 양쪽이 저널에 인자되어 있는 예이다. 이 예에서는, 집계 화상 Im7에 있어서, 「저널 출력 형식」과 「분류 약품수, 약가(약품별)」가 선택되어 있다. 도 31의 (d)는, 분류된 약제 전체의 개수 및 약가가 저널에 인자되어 있는 예이다. 이 예에서는, 집계 화상 Im7에 있어서, 「저널 출력 형식」과 「분류 약품수, 약가(총계)」가 선택되어 있다.
또한, 도 31의 (a) 내지 (c)의 저널 출력예에서는, 분류된 전체 약제의 개수 및 약가의 총계도 함께 인자되어 있지만, 이 인자는 임의이다.
집계 업무 시에, 이러한 집계 화상 Im7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약제 분류 장치(1)는, 예를 들어 「분류 처리회별(병동, 진료과 또는 시설별)」 및 「지정 기간별」로, 분류한 약제의 집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는, 「약제별」, 「약효별」또는 「약종별」로, 약제의 개수(분류 정수(錠數)) 또는 약가(합계)를 집계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분류 장치(1)는, 집계 결과를 표시 또는 저널에 대한 인자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약가에 대해서는 각 약제의 단가를 출력해도 상관없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는, 분류할 수 없던 약제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그 개수(총 정수)를 집계해서 출력해도 상관없다.
<분류 컵의 구성예>
이하에, 분류 컵(141)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의 (a)는, 분류 컵(141)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a)에 도시한 분류 컵(141)의 6면도이다.
분류 컵(1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14)에 배치됨으로써, 약제 분류 장치(1)(구체적으로는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이다.
도 32의 (a)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 컵(141)은, 측벽(143)(외벽) 및 저부(144)로 구성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즉, 개구(142) 측에서 보았을 때의, 분류 컵(141)의 형상(개구(142) 및 저부(144)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이 경우, 분류 컵(141)이 대략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비하여, 제2 수용부(14)에 간극 없이 분류 컵(141)을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수용부(14)에 있어서의 분류 컵(141)의 수용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류 컵(141)의 형상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에는, 네 모퉁이가 곡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특히, 개구(142)측에서 보았을 때의, 분류 컵(141)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 형상인 경우, 제2 수용부(14)에 분류 컵(141)을 배치했을 때의, 분류 컵(141)의 방향성을 규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류 컵(141)의 각각의 긴 변(또는 짧은 변)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의 분류 컵(141)을 정렬해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14)에 있어서, 분류 컵(141)의 적재 장소를 이 분류 컵(141)의 형상에 맞춰서 형성해 둠으로써, 복수의 분류 컵(141)을 간극 없이, 또한 소정의 방향으로 일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분류 컵(141)에서는, 반송·분류 유닛(12)에 의해 분류된 약제가 삽입되는 개구(142)는, 측벽(143)에 의해 분류 컵(14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143)의 상부는, 개구(142)의 외주로서의 테두리부(145)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반송·분류 유닛(12)이 반송한 약제를 분류 컵(141)에 수용하기 쉽도록, 및 분류 컵(141)에 수용된 약제를 취출하기 쉽도록, 저부(144)의 크기보다도 개구(142)의 크기 쪽이 커도 상관없다. 즉, 저부(144)의 수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분류 컵(141)의 단면 형상(측벽(143) 측에서 본 분류 컵(141)의 단면 형상)은, 개구(142)측보다도 저부(144)측의 쪽이 작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류 컵(141)은, 직육면체 형상(저부(144)의 크기와 개구(142)의 크기가 대략 동일)이어도 상관없다.
분류 컵(141)에는, 테두리부(145)의 적어도 일부에 볼록부(146)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두리부(145)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볼록부(146)가 마련되어 있다. 즉, 테두리부(145)는, 볼록부(146)와, 볼록부(146) 이외의 부분인 기저부(148)로 구성되어 있다.
유저는 볼록부(146)를 파지함으로써, 제2 수용부(14)에 배치된 분류 컵(141)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테두리부(145)에 볼록부(146)를 마련함으로써, 제2 수용부(14)에 수용된 복수의 분류 컵(141)의 각각을, 제2 수용부(14)로부터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32의 (a)에서는, 테두리부(145)의 4변의 각각에 1개의 볼록부(14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2변의 각각에 마련된 볼록부(146)는 서로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고 있는 인접 부분(146a)의 높이(146h)는 동일하다. 이에 의해, 볼록부(146)를 넓게 할 수 있으므로, 분류 컵(141)의 취급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32의 (a)에서는, 볼록부(146)는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142) 및 저부(144)는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그 때문에, 유저는, 분류 컵(141)의 방향을 맞춰서 제2 수용부(14)에 배치하기 쉽고, 그 결과, 모퉁이부에 마련된 볼록부(146)끼리가 인접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의식하지 않고, 분류 컵(141)을 취출하기 쉽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개구(142) 및 저부(144)가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유저가 의식해서 분류 컵(141)을 배치하지 않으면, 인접하는 분류 컵(141)에 있어서, 볼록부(146)끼리가 인접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유저는, 볼록부(146)를 파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분류 컵(141)을 취출하기 어려워진다. 단, 예를 들어 제2 수용부(14)에 있어서, 취출하기 쉬워지도록 분류 컵(141)의 배치 장소를 규정하는 것이면, 개구(142)측에서 보았을 때의, 분류 컵(141)의 형상은 정사각형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유저가 의식하지 않고 분류 컵(141)을 취출하기 쉽도록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와 같이 모퉁이부에 볼록부(146)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대향하는 변에 있어서 점 대칭이 되도록, 각각의 변에 볼록부(146)가 마련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분류 컵(141)의 형상은 어떤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개구(142) 또는 저부(144)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상관없고, 개구(142) 또는 저부(144)의 외주의 일부가 곡선형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볼록부(146)는, 모든 변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고, 모퉁이부에 있어서 인접하도록, 또한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한, 인접하는 볼록부(146)에 있어서, 인접 부분(146a)의 높이가 서로 상이해도 상관없다.
테두리부(145)는, 측벽(143)과의 접속 부분(측벽(143)의 상부)에 있어서, 측벽(143)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반환 부분)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돌출부에 손가락을 걸 수 있으므로, 취출의 용이함이 더욱 향상된다. 단, 이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테두리부(145)가 측벽(143)도 반드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2의 (a)에서는, 볼록부(146)의 상부(146u)는, 경사가 없으며, 또한 직선형이다. 볼록부(146)의, 기저부(148)까지 연신하는 연신 부분(146e)은, 상부(146u)로부터 기저부(148)를 향해서 경사져 있다. 기저부(148)는, 경사가 없으며, 또한 직선형이다. 볼록부(146)의 상부(146u)와 연신 부분(146e)의 접속 부분(146c) 및 볼록부(146)의 연신 부분(146e)과 기저부(148)의 접속 부분(146d)은, 모두 대략 원호형이다.
본 예의 분류 컵(141)은, 제2 카메라(121)에 의한 촬상에 있어서 약제를 특정하기 쉽도록 색감(예를 들어 흑색)을 갖고 있다. 단, 약제를 촬상할 수 있는 것이면, 광투과성을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분류 컵(141)의 변형예)
도 32의 (b) 내지 (d)는, 분류 컵(14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의 (b)에 도시한 분류 컵(141a)에서는, 개구(142) 및 저부(144)의 형상이, 도 32의 (a)에 도시한 분류 컵(141)의 개구(142) 및 저부(144)보다도 가로로 긴(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도 32의 (c)에 도시한 분류 컵(141b)에서는, 볼록부(146)의 높이(146h')가, 도 32의 (a)에 도시한 분류 컵(141)의 볼록부(146)의 높이(146h)보다도 높다. 도 32의 (d)에 도시한 분류 컵(141c)은, 분류 컵(141)에 있어서, 테두리부(145)에 상기 돌출부(반환 부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도 34의 (a) 내지 (c) 및 도 35의 (a) 내지 (h)는, 분류 컵(14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의 (a) 내지 (c) 및 도 35의 (a) 내지 (h)에 있어서는, 테두리부(145)에 상기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분류 컵(141)과 같이 테두리부(145)에 상기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34의 (a)에 도시한 분류 컵(141d)에서는, 볼록부(146)(즉 상부(146u) 및 연신 부분(146e))가 대략 원호형이다. 즉, 상부(146u)에 있어서, 연신 부분(146e)과 접속되어 있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도 34의 (a)에서는, 볼록부(146)끼리가 인접하는 인접 부분(146a))가 상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다. 도 34의 (b)에 도시한 분류 컵(141e)에서는, 볼록부(146) 및 연신 부분(146e) 외에, 기저부(148)도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분류 컵(141d)에서는, 적어도 기저부(148)가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분류 컵(141d)에서는, 점 Px 및 점 Py를 연결하는 곡선은, 그 대략의 중심 Pc에 있어서 점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34의 (c)에 도시한 분류 컵(141f)에서는, 상부(146u)가 직선형이며, 연신 부분(146e) 및 기저부(148)가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적어도 기저부(148)는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5의 (a)에 도시한 분류 컵(141g)에서는, 볼록부(146)의 중앙 부근이 상측으로 융기한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분류 컵(141g)에서는, 볼록부(146)에 있어서 상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것은 그 중앙 부근이며 인접 부분(146a)이 아닌 점에서, 도 34의 (a)에 도시한 분류 컵(141d)과는 상이하다. 또한, 기저부(148)도, 그 중앙 부근이 상측으로 융기한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5의 (b)에 도시한 분류 컵(141h)에서는, 볼록부(146)는 도 35의 (a)와 마찬가지의 만곡 형상을 갖고 있지만, 기저부(148)가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도 35의 (c)에 도시한 분류 컵(141i)에서는, 볼록부(146)는 도 35의 (a)와 마찬가지의 만곡 형상을 갖고 있지만, 기저부(148)는 도 34의 (b)에 도시한 분류 컵(141e)과 마찬가지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5의 (a) 내지 (c)에 도시한 분류 컵(141g 내지 141i)에서는, 볼록부(146)가 만곡 형상이었지만, 도 35의 (d) 내지 (g)에 도시한 분류 컵(141j 내지 141m)과 같이, 볼록부(146)가 다각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도 35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46)가 계단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기타 : 분류 컵의 저부 형상)
분류 컵(141)의 내부 저면에, 미세한 돌기를 마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분류 컵(141)의 내부 저면에 상기 흡착 기구에 근접해서, 분류 컵(141)을 흡인한 결과, 분류 컵(141)을 들어올려버릴 가능성이 있다. 내부 저면에 미세한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분류 컵(141)을 흡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1)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1 수용부(11)의 내부 저면에, 미세한 돌기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기타 다양한 처리 또는 동작예>
(문자 인식)
다음으로, 판별부(64)에 의한 문자 인식 처리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기억부(80)에는, 예를 들어 약제명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문자, 각인 및 할선 등을 포함하는 약제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마스터 화상)를, 약제의 마스터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화상 데이터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 경우, 판별부(64)는, 배치 영역 Ar에 있어서 제1 카메라(131)에 의해 촬상된 약제의 화상에 대하여, 기억부(80)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의 패턴 매칭을 행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OCR 처리를 행하는 경우, 대상으로 되는 화상에 포함되는 문자의 방향 및 크기가 일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판별부(64)는, 가시광 화상을 회전시키면서 OCR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해석 시마다 가시광 화상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 처리 시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OCR 처리에 의한 문자 인식 정밀도가 반드시 높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약제에 나타내어진 기호의 종류(예: 문자(숫자 및 영문 등), 메이커 마크, 및 할선), 크기 및 각도를 나타내는, 약제에 나타내어진 기호를 특정하기 위한 기호 특정 정보를, 미리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등록해 둔다. 판별부(64)는, 기호 특정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약제의 종류를 특정한다.
기호 특정 정보의 생성 방법에 대하여, 도 3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기호 특정 정보의 생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의 (a)는, 기호 등록 정보의 생성 대상으로 되는 약제의 화상 Im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 내지 (d)는, 기호 특정 정보를 취득할 때의 약제의 화상 Imr1 내지 Imr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기호 특정 정보의 생성 처리는, 기호 특정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정보 생성 장치를 약제 분류 장치(1)에 구비하고, 약제 분류 장치(1)에서 기호 등록 정보를 생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정보 생성 장치는, 상술한 마스터 정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정보 생성 장치는, 도 3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호 등록 정보의 생성 대상으로 되는 약제의 화상 Ima를 취득한다. 이 예에서는, 화상 Ima에는, 1, 2, 3의 문자(숫자)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정보 생성 장치는, 도 36의 (b)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Ima를 회전시키면서, 약제의 마스터 정보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와의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기호 특정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도 36의 (b)의 상태에 있어서는,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화상 Imr1로부터 「1」을 취득한다. 이때, 정보 생성 장치는, 화상 Imr1에 있어서의 「1」을 덧그리듯이 선을 그음으로써, 「1」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특정한다. 이에 의해, 정보 생성 장치는, 화상 Imr1에 있어서의 「1」의 크기를 특정한다. 또한 이때, 문자의 종류를 숫자로 특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정보 생성 장치는, 도 36의 (a)에 도시한 화상 Ima의 위치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당해 기준으로부터의 화상 Imr1의 각도도 취득한다. 이에 의해, 정보 생성 장치는, 화상 Imr1에 있어서의 「1」의 각도를 특정한다. 도 36의 (c) 및 (d)의 상태에 있어서도, 화상 Imr2에 있어서의 「2」, 화상 Imr3에 있어서의 「3」의 각각의 크기 및 각도를 특정한다.
정보 생성 장치는, 특정한 문자의 종류, 크기 및 각도를 기호 특정 정보로서, 식별 정보(마스터 정보)에 관련지어, 약제 분류 장치(1)의 기억부(80)에 기억한다.
판별부(64)는, 촬상된 약제의 화상에 대하여, 기억부(80)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의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매칭 스코어가 높은 순서대로 복수(예: 10종류)의 약제의 종류를 압축한다. 판별부(64)는, 압축한 복수의 약제의 각각에 대하여, 촬상된 화상을 기호 특정 정보와 대조한다(촬상된 화상에 기호 특정 정보를 적용시킴). 판별부(64)는, 압축한 약제의, 촬상된 화상 중, 기호 특정 정보와의 일치도가 가장 높은 약제의 화상을 특정하고, 당해 약제가, 당해 기호 특정 정보에 관련지어진 약제의 종류(약제명)인 것을 특정한다.
이와 같이, 판별부(64)는, 기호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대조를 행함으로써, OCR 처리에 비하여, 간이하고도 정확하게 약제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판별부(64)는, 신속하고도 고정밀도로 약제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약제 흡착 방법)
다음으로, 약제 흡착 방법에 대하여, 도 3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약제 흡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의 (a)는, 흡착 기구를 이동시키면서 비교적 작은 약제를 흡착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b) 및 (c)는, 약제의 크기에 의해 흡착 방법을 변경했을 때의, 약제가 흡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 기구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흡인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약제 흡착 시의 Z축 방향에 대한 이동 속도(강하 시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흡착 기구가 제1 수용부(11)의 약제를 흡착할 때에는, 그 강하에 의해 약제를 밀어넣지 않도록, 흡착 기구는 약제의 바로 앞에서(약제와의 접촉 전에) 정지한다. 이 경우, 흡착 기구는, 약제의 바로 앞에서 약제를 흡착하게 되기 때문에, 진공 펌프(122d)로 공기를 흡인한 상태에서 강하한다.
여기서, 비교적 작은 약제는 그 질량도 비교적 가볍다. 그 때문에, 도 3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으로 약제를 흡착하고자 하면, 비교적 작은 약제는, 그 바로 앞에서 비스듬히 빨아올려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흡착 패드(122a)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거나, 흡착 패드(122a)의 위치에 의해 흡인력(유량)이 상이하거나 하기 때문에, 흡인력이 안정되지 않게 되어버린다. 그 때문에, 흡착 패드(122a)에 당해 약제가 흡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흡인력의 변화에 의해 특정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약제의 흡착 시에는, 제2 카메라(121)에 의해 약제 적재대(133a)에 수용된 약제를 촬상한다. 그 때문에, 분류 제어부(62)는, 촬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흡착 대상으로 하는 약제의 크기(면적)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약제 흡착 시에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되는 약제는 1개이기 때문에, 분류 제어부(62)는, 비교적 용이하게, 흡착 대상으로 되는 약제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약제의 크기는, 예를 들어 취득한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상의 픽셀 수를 계수함으로써 특정된다.
본 예에서는, 분류 제어부(62)는, 산출한 약제의 크기가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약제의 흡착 방법을 변경한다. 이 소정값은, 예를 들어 실험 등을 거쳐 미리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류 제어부(62)는, 산출한 약제의 면적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약제가 비교적 작은 경우), 도 3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하지 않는 상태에서 흡착 기구를 소정 위치 PS1까지 강하시킨다. 그 후, 분류 제어부(62)는, 소정 위치 PS1에 있어서 흡인을 개시함으로써, 약제를 흡착한다. 소정 위치 PS1은, 흡인에 의해 약제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이며, 예를 들어 상술한 방법에 의한 흡인력이 변화하는 개소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흡착시킨 경우, 약제를 바로 위로 들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도 37의 (a)의 경우와는 달리, 약제가 흡착된 상태의 흡인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류 제어부(62)는, 비교적 작은 약제의 흡착 판정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정 위치 PS1은, 일률적으로 동일 위치(높이)로 설정되어 있어도 상관없고, 예를 들어 측거 센서가 검출한 약제까지의 거리로부터 산출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소정 위치 PS1은, 약제의 종류가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약제의 크기에 관한 정보(예: 직경, 두께)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상관없다.
한편, 분류 제어부(62)는, 산출한 약제의 면적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약제가 비교적 큰 경우), 도 3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방법으로 약제를 흡착한다. 즉, 분류 제어부(62)는, 흡인하면서 흡착 기구를 강하시켜 가서, 흡인력이 변화한 시점(즉 소정 위치 PS2)에서 흡착 기구를 정지한다. 즉, 흡착 기구는, 약제의 바로 앞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흡착 기구는 약제를 흡착한다. 약제가 비교적 큰 경우, 이 방법으로도 비스듬히 들어올릴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약제가 흡착한 상태의 흡인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인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소정 위치 PS2에서 흡착 기구를 정지하므로, 간이한 방법이며 또한 확실하게, 약제의 바로 앞에서 (약제를 찌부러뜨리지 않고) 흡착 기구를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제의 대소(즉 약제의 중량)에 따라서 흡착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약제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흡착 패드(122a)에 약제를 흡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의 흡착의 실패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약제 분류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큰 약제를 흡착하는 경우에도, 도 37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흡인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 위치 PS2까지 흡착 기구를 이동시킨 후, 소정 위치 PS2에서 흡인을 개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약제의 대소 판정 처리는 불필요해진다.
또한, 제1 수용부(11) 및 분류 컵(141)에 있어서의 약제의 흡착에 있어서도, 도 37의 (b) 및 (c)에서 설명한 방법이 채용되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촬상된 화상 중에서 흡착 대상으로 되는 약제를 특정한 다음에, 당해 약제의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소정 위치 PS1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측거 센서에 의한 흡착 대상으로 되는 약제까지의 거리의 검출에 의해 산출된다.
(공기 분출 동작)
다음으로, 흡착 기구에 의한 공기 분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착 기구의 흡착 대상으로 되는 약제가 적재된 위치, 또는 당해 약제의 자세에 따라서는, 흡착 기구가 당해 약제를 흡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약제가 제1 수용부(11), 분류 컵(141) 또는 약제 적재대(133a) 등의 단부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 또는 비스듬히 서 있는 경우, 흡착 기구가 당해 약제를 흡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흡착 대상의 약제를 흡착할 수 없는 경우, 흡착 기구는, 예를 들어 소정 횟수 흡착 동작(피킹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흡착을 시도한다. 즉 이 경우, 약제 흡착의 재시도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흡착 대상의 약제 흡착에 실패했다고 판정한 경우, 흡착 기구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킨다. 이에 의해, 당해 약제의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 있던 약제를 눕히거나, 약제의 위치를 단부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변경하거나 하는 등, 약제를, 흡착에 실패했을 때와는 상이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약제를 흡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약제 흡착의 재시도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흡착 대상의 약제 흡착에 실패했다고 판정된 경우, 흡착 기구는, 당해 약제 및 그 근방을 향해서, 소정 횟수 공기를 분출해도 상관없다. 즉, 흡착 기구는, 동일한 장소를 향해서 소정 횟수 공기를 분출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이 경우, 흡착 기구가 공기를 분출한 후, 제2 카메라(121)는 제1 수용부(11) 등을 촬상한다. 이 분출 동작과 촬상 동작을 소정 횟수 반복하여, 그 때마다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을 기억부(80)에 기억해 둔다.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복수회 촬상한 화상에 대하여, 흡착 기구가 공기를 분사한 영역에 있어서의 상의 변화를 특정한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 등의 하우징의 상을 제외한 상에 대하여, 복수 회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변화가 없는 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공기를 분사한 영역에 존재하는 약제이면, 분사된 공기에 의해 약제의 위치 또는 자세는, 다소 변경된다. 그 때문에,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복수회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변화가 없는 상이 존재한 경우에는, 당해 상을 제1 수용부(11) 등에 부착된 오염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약제의 흡착에 실패했을 때 제2 카메라(121)가 취득한 화상도 포함하여, 상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복수 회의 공기의 분출 동작에 의해, 제1 수용부(11) 등에 오염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수용부(11) 등에 오염의 부착이 있다는 취지(청소가 필요한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회의 공기 분출 동작은, 약제의 흡착에 실패했을 때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1) 등에 약제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복수회의 공기 분출 동작을 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상술한 화상의 비교에 의해, 약제 적재대(133a) 이외에 상의 변화가 없는 물체를, 약제 적재대(133a)에 부착된 오염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적재대(133a) 등에 약제의 파편 또는 분진 등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당해 파편 등에 의해 약제의 식별 정밀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파편 등의 위치 또는 크기에 따라서는, 당해 파편을 약제(또는 그 일부)라고 오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약제 적재대(133a)에서는,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지만, 파편 등의 위치 또는 크기에 따라서는 당해 판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흡착 기구는, 약제 적재대(133a)를 향해서 공기를 분출한다. 이에 의해, 파편 등을 약제 적재대(133a)의 외부로 날려버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편 등이 약제 적재대(133a)에 부착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착 기구는, 예를 들어 약제 적재대(133a)에 약제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예: 약제 적재대(133a)에 약제를 적재하기 전에, 또는 약제 적재대(133a)로부터 약제를 취출한 후)에 있어서, 공기의 분출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1 수용부(11) 및 분류 컵(141) 등에 대해서도 흡착 기구가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파편 등을 날려버리거나, 파편 등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흡착 기구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약제의 흡착에 실패했을 때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약제의 자세 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과 함께, 파편 등을 날려버릴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흡착 기구는,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1) 및 분류 컵(141)에 약제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공기의 분출 동작을 행해도 상관없다.
(흡착 위치의 특정 처리)
다음으로, 흡착 위치의 특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제1 수용부(11) 또는 분류 컵(141) 등에 있어서의 약제의 위치를 특정한다. 제1 수용부(11)가 색감(예: 흑색, 회색)을 갖는 경우, 반송 제어부(61)는,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제1 수용부(11)의 색감과 약제의 색감의 상이로부터 약제의 위치를 특정한다. 분류 컵(141)이 색감을 갖는 경우에 대해서도, 분류 제어부(62)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약제의 위치를 특정한다. 그러나, 어두운 색을 갖는 약제(제1 수용부(11) 등의 색감에 가까운 약제), 또는 약제가 투명 약제인 경우, 이 방법에서는 약제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약제의 표면에 조사되며, 또한 당해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위치를, 약제의 위치로서 특정한다. 도 38의 (a) 내지 (c)는, 흡착 위치의 특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반송·분류 유닛(12)은, 제2 카메라(121)의 촬상 시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124)을 구비한다. 광원(124)은, 제2 카메라(121)의 근방에 마련되고, 제1 수용부(11) 또는 분류 컵(141)을 향해서 광을 출사한다. 이에 의해, 제2 카메라(121)는, 약제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반사광의 위치를, 약제의 위치로서 특정할 수 있다.
도 38의 (a)에서는, 반송·분류 유닛(12)은 광원(124)을 2개 구비하고 있다. 단,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약제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광원(124)의 수는 1개여도 상관없고, 3개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2개의 광원(124)을 1개의 광원으로서 고려한 경우, 도 3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가 적재되어 있는 위치에 의해, 약제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위치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약제의 위치가 광원(124)의 바로 아래이면, 반사광의 위치는, 약제의 중심 위치 또는 그 근방으로 된다. 한편, 약제의 위치가 광원(124)의 바로 아래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사광의 위치는, 약제의 중심 위치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약제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위치를 보정한다. 기억부(80)에는, 반사광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보정량 및 방향)을 나타내는 보정값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보정값 정보는, 실험 등에 의해 설정된다.
보정값은, 약제의 위치를 변경하여 미리 촬상한 당해 약제의 각 위치(즉 반사광의 각 위치)에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도 3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값은, 광원(124)의 바로 아래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게 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124)의 바로 아래로부터 어긋난 위치 P1, P3 및 P4의 약제에서는, 반사광의 위치 Pre는 약제의 중심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그 때문에, 반사광의 위치 Pre가 약제의 중심 위치(반사광을 검출하는 검출 위치 Pde)가 되도록 보정값이 결정된다. 한편, 광원(124)의 바로 아래인 위치 P2의 약제에서는, 반사광의 위치 Pre는 약제의 중심 위치와 동일해지기 때문에, 보정값은 0으로 된다.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제2 카메라(121)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반사광의 위치 Pre를 특정한 후, 보정값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반사광의 위치 Pre를 반사광의 검출 위치 Pde로 보정한다. 반송 제어부(61) 또는 분류 제어부(62)는, 이 반사광의 검출 위치 Pde를 약제의 흡착 위치로서 특정한다.
이에 의해, 제1 수용부(11) 또는 분류 컵(141)이 색감을 갖는 경우이며, 또한, 약제의 색감이 제1 수용부(11) 또는 분류 컵(141)에 가까운 색감이거나, 또는 투명한 경우라도, 약제의 흡착 위치를 고정밀도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약제가 특히 작은 경우에 있어서 흡착 위치의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 처리에 의하면 보다 고정밀도로 흡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카메라의 회동 방향의 결정 방법)
다음으로, 제1 카메라(131)의 회동 방향의 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카메라(131)가 위로부터 약제를 촬상할 때의 제1 카메라(131)의 위치를 0°로 한 경우에, 약제(예: 캡슐)에 부여된 식별 정보 등의 정보가 315°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당해 약제가 약제 적재대(133a)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촬상 제어부(63)는, 제1 카메라(131)가 315°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약제를 해석함으로써 식별 정보 등의 정보(이하, 단순히 식별 정보라고 칭함)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구(132)가, 배치 영역 Ar2의 주위를 일 방향(예: 약제 분류 장치(1)의 전방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만 선회하도록 제1 카메라(131)를 회동시키는 경우를 생각한다. 상기 상태에서 적재된 약제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는 경우, 회전 기구(132)는, 제1 카메라(131)를 45°, 135° 및 225°의 3군데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1 카메라(131)가 당해 약제를 촬상한 후에, 315°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45°, 135° 및 225°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을 해석하여도,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회전 기구(132)는, 배치 영역 Ar2의 주위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하도록 제1 카메라(131)를 회동시킨다. 촬상 제어부(63)는, 0°의 위치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회전 기구(132)를 제어하여, 제1 카메라(131)의 회동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촬상 제어부(63)는, 약제를 0°의 위치로부터 촬상했을 때의 화상에 있어서, 축부(133c)가 연신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제1 카메라(131)의 회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약제를 이등분하여, 약제 상에 2개의 영역을 설정한다. 촬상 제어부(63)는, 2개의 영역 중, 약제에 부여된 식별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영역을 특정하고, 특정한 영역이 존재하는 방향을, 제1 카메라(131)의 회동 방향으로서 결정한다. 2개의 영역 중 어느 쪽에도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촬상 제어부(63)는, 식별 정보가 차지하는 면적이 큰 쪽의 영역이 존재하는 방향을, 제1 카메라(131)의 회동 방향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약제를 0°의 위치로부터 촬상했을 때의 화상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촬상 제어부(63)는, 초기 설정되어 있는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제1 카메라(131)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식별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의 시간, 및 약제의 종류를 특정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약제 분류 장치의 구성예>
다음으로, 약제 분류 장치(1a)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약제 분류 장치(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약제 분류 장치(1a)의 사시도이며, (b)는, 약제 분류 장치(1a)가 구비하는 약제 분류 영역(2)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약제 분류 장치(1)에서는,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이 약제의 취출측(전방면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약제 분류 장치(1a)에서는, 도 3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분류 장치(1a)에서는, 받침대(19)의, 약제의 취출측에,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이 구비되어 있다.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이 받침대(19)에 구비됨으로써, 분류 컵(141)의 RFID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 약제 분류 장치(1a)의 외부에 분류 컵(141)을 취출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약제 분류 장치(1a)의 외부에 있어서, 분류 컵(141)을 낙하시켜, 분류 컵(141) 내의 약제를 산재시켜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운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RFID 리더·라이터 유닛(5)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약제 분류 장치(1a)에서는, 도 3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의 취출측에 개폐 도어(52)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수용부(14)에 수용된 약제를 분포 기구(6)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약제 분류 장치(1a)는, 예를 들어 당해 약제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포장 호퍼 및 포장 호퍼에 보유 지지된 약제를 분포 기구(6)로 이동시키는 이동 통로를 구비한다. 또한, 적어도 이동 통로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폐 도어(52)를 개방함으로써, 이동 통로를 약제 분류 장치(1a)로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즉, 개폐 도어(52)를 마련함으로써, 이동 통로를 취출하여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 통로를 분리한 상태에서, 약제 투입구(17)와 분포 기구(6)의 사이에 구비된 부재(예: 포장 호퍼)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약제 분류 장치(1a)는, 약제의 취출측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폐 셔터(5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약제 분류 장치(1)에도, 개폐 셔터(51)와 마찬가지의 개폐 셔터가 구비되어 있다(도 2에서는, 약제 분류 영역(2)을 시인 가능하도록, 개폐 셔터를 대략 투명한 것으로서 도시).
〔부기 사항〕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약제 분류 장치
11: 제1 수용부
14: 제2 수용부
12: 반송·분류 유닛(분류부)
61: 반송 제어부(검출 영역 변경부)
62: 분류 제어부(검출 영역 변경부)
63: 촬상 제어부
64: 판별부
65: 화상 분류부
122: 흡착·셔터 기구(흡착 기구)
131: 제1 카메라(촬상부)
132: 회전 기구(회동부)
133a: 약제 적재대
133b: 선회 기구(이동 기구)
133c: 축부
134: 조명기(자외광 조사부, 가시광 조사부)
134a: 제1 조사부(가시광 조사부)
134b: 제2 조사부(가시광 조사부)
134c: 자외광 조사부
141, 141a 내지 141j: 분류 컵(분류 용기)
142: 개구
143: 측벽(외벽)
145: 테두리부
146: 볼록부
146a: 인접 부분
Ar1: 수납 영역(적재 영역, 분류 대기 영역)
Ar2: 배치 영역
Dr: 검출 영역
Jo, Jo1, Jo2: 저널
Im1: 분류 화상
Im2: 감사 화상

Claims (31)

  1. 복수 종류의 약제를 혼재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약제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상기 제2 수용부에 저장하는 분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회동부가 회동시킨 복수의 위치로부터,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된 상기 약제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판별한 약제의 종류별로,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을 분류하는 화상 분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특징을 추출함과 함께, 당해 특징을,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특징을 추출함과 함께, 당해 특징끼리를 대비해서 이들이 동일하다고 간주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약제의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 했을 때,
    상기 판별부는, 상기 기준 화상의 취득 후에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약제의 화상에 있어서의 당해 약제의 특징을, 상기 기준 화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특징과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에 자외광을 조사하는 자외광 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자외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촬상된 상기 약제의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 중으로부터, 촬상된 상기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의 후보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약제 적재대와,
    상기 약제 적재대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약제 적재대를, 상기 약제가 적재되는 적재 영역으로부터, 상기 촬상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약제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부에 대한 분류를 대기하는 분류 대기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적재대는 2개 구비되고, 당해 약제 적재대의 각각이 축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축부를 선회시킴으로써, 한쪽의 상기 약제 적재대를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했을 때, 다른 쪽의 상기 약제 적재대를 상기 적재 영역 또는 상기 분류 대기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의 목시 감사에 의해 상기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가 일의적으로 특정된 경우에는, 당해 약제 데이터를,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종별을 판별한 상기 약제가, 분류 불필요한 분류 불필요 약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당해 약제를 분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당해 제1 수용부로 이동하여, 당해 제1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약제를 흡착하는 흡착 기구와,
    상기 흡착 기구에 의한, 상기 약제를 흡착하기 위한 흡인력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는, 상기 흡착 기구의 선단부의 근방에 상기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역치와, 상기 약제가 상기 선단부에 흡착되었다고 판정하기 위한 제2 역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문자에 대한 인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된 복수의 문자 중, 당해 문자의 크기가 소정 범위의 크기이며, 또한 당해 문자가 열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정한 문자에 대하여, 실제로 상기 약제에 부여된 복수의 문자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약제 이외의 소정 부분의 모양을, 상기 촬상부가 미리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소정 모양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상부의 촬상 위치가 미리 규정된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되고,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약제 적재대를 지지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배치 영역에 상기 약제 적재대가 배치되었을 때, 상기 촬상부가 회동하는 축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부분의 모양은, 상기 축부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분류된 약제의 반환처에 관한 반환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분류 장치로부터 취출할 대상으로서 특정된 약제를, 상기 약제 분류 장치에 있어서의 약제의 취출측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촬상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약제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약제가 적재되는 상기 약제 적재대의 적재면과 대향하는 제1 방향, 또는 당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약제를 촬상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약제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상기 판별부가 판정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적재면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상기 약제를 촬상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경사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약제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가 정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를 촬상한 화상에, 당해 분류 용기의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당해 분류 용기에 수용된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수용부를 촬상한 화상에, 당해 제1 수용부의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당해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을 변경하는 검출 영역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약제의 각각에는, 약제를 특정하기 위한 약제 고유 정보가 복수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반환하는 반환처, 또는 당해 반환처로 반환하기 위한 반환 보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당해 약제에 관한 복수의 약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약제 고유 정보를, (1)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에 마련된 정보 기록 매체에 기억하거나, 또는 (2) 유저에 의한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인자한 저널에 인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가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유저 입력에 의해, 복수 종류의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약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약제 중, 복수의 분류 용기 중 소정의 분류 용기로 분류하는 것을 유저가 희망하는 약제에 대해서, 당해 약제를 당해 소정의 분류 용기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부는, 상기 분류 식별 정보가 부여된 약제에 대해서는, 당해 분류 식별 정보가 부여된 소정의 분류 용기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류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분류 장치가 구비하는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약제 분류 장치에 의해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로서,
    상기 약제 분류 장치에 의해 분류된 약제가 삽입되는 개구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분류 용기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개구의 외주로서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용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변의 각각에, 상기 볼록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인접 부분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용기.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분류 용기의 외벽과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당해 외벽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용기.
  26. 복수 종류의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약제 분류 공정과,
    상기 약제 분류 공정에서 분류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하는 감사 공정과,
    상기 감사 공정에서의 감사 결과에 기초하여, 목시 감사 후의 약제를, 반환처로 반환하는 반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반환 방법.
  27. 복수 종류의 약제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약제 분류 공정과,
    상기 약제 분류 공정에서 분류된 약제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하기 위한 감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공정과,
    상기 표시 공정에서 표시된 감사 화상을 사용한 목시 감사 결과에 기초하여, 목시 감사 후의 약제를 반환처로 반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반환 준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반환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분류된 복수의 분류 위치가 미리 준비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약제의 분류 상황을 나타내는 분류 화상에 나타난 상기 분류 위치에 대한 유저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당해 분류 위치에 대응지어진 약제의 상기 감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반환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분류된 복수의 분류 위치의 각각에는,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 용기에 마련된 정보 기록 매체에는, 당해 분류 용기에 수용된 약제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상기 감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반환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공정에서는, 상기 약제 분류 공정에서 분류된 약제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약제를 분포한 분포지에 부여된,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감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반환 방법.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 준비 공정에서는, (1) 분류된 약제를 수용하는 분류 용기에 마련된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당해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2) 상기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인자한 저널을 발행하거나, 또는 (3) 상기 목시 감사 결과를 반영한 약제에 관한 약제 데이터를, 당해 약제를 분포한 분포지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반환 방법.
KR1020197030034A 2017-04-14 2018-04-12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KR102644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7049A KR20240033171A (ko) 2017-04-14 2018-04-12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0623 2017-04-14
JPJP-P-2017-080623 2017-04-14
JP2018048554 2018-03-15
JPJP-P-2018-048554 2018-03-15
PCT/JP2018/015338 WO2018190394A1 (ja) 2017-04-14 2018-04-12 薬剤仕分装置、仕分容器、及び薬剤返却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049A Division KR20240033171A (ko) 2017-04-14 2018-04-12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698A true KR20190133698A (ko) 2019-12-03
KR102644081B1 KR102644081B1 (ko) 2024-03-07

Family

ID=637934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034A KR102644081B1 (ko) 2017-04-14 2018-04-12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KR1020247007049A KR20240033171A (ko) 2017-04-14 2018-04-12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049A KR20240033171A (ko) 2017-04-14 2018-04-12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4747B2 (ko)
EP (1) EP3610843A4 (ko)
JP (5) JP6750732B2 (ko)
KR (2) KR102644081B1 (ko)
WO (1) WO20181903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4594B2 (ja) * 2018-04-03 2021-12-01 富士フイルム富山化学株式会社 薬剤判定装置及び薬剤判定方法
TWI831775B (zh) * 2018-06-19 2024-02-11 日商湯山製作所股份有限公司 藥劑分類裝置
US20220005172A1 (en) * 2018-11-21 2022-01-06 Sony Group Corporation Work determination system, work determination apparatus, and work determination method
JP7364888B2 (ja) * 2018-12-27 2023-10-1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種類判別装置
JP7143802B2 (ja) * 2019-03-26 2022-09-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薬剤鑑別装置、薬剤撮影装置及び薬剤撮影方法
JP7445131B2 (ja) * 2019-06-27 2024-03-0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取出装置、及び薬剤仕分装置
WO2021010276A1 (ja) * 2019-07-17 2021-01-21 富士フイルム富山化学株式会社 識別支援システム、識別支援クライアント、識別支援サーバ、及び識別支援方法
JP7436780B2 (ja) * 2019-08-21 2024-02-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分包データ生成装置、分包システム、包数決定装置、制限日決定装置、及び分包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WO2021039437A1 (ja) * 2019-08-27 2021-03-04 富士フイルム富山化学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携帯端末、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450677A (zh) * 2019-10-01 2022-05-06 富士胶片富山化学株式会社 药剂对照装置、药剂对照系统、药剂管理方法及程序
JP6771248B1 (ja) * 2020-03-09 2020-10-21 株式会社トーショー 個包錠剤再分類機
WO2021193271A1 (ja) * 2020-03-23 2021-09-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鑑査支援システム、鑑査支援プログラム
WO2021230318A1 (ja) * 2020-05-14 2021-11-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持参薬仕分装置及び持参薬仕分方法
US20210375418A1 (en) * 2020-05-29 2021-12-02 Cvs Pharmacy, Inc.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Pharmacy Workflow in a Virtual Verification System
CN112163110B (zh) * 2020-09-27 2023-01-0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图像分类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92130A1 (ja) 2020-10-29 2022-05-0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種類判別装置、種類判別方法、種類判別プログラム、及び薬剤仕分装置
CN112495841B (zh) * 2021-02-04 2021-05-11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基于神经网络的中药分拣系统
WO2022219998A1 (ja) 2021-04-16 2022-10-2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システム、調整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22168612A (ja) * 2021-04-26 2022-11-08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CN113410170B (zh) * 2021-06-16 2023-12-08 武汉新芯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提高拣片效率的方法、三维集成芯片的制造方法及芯片
JP7283644B1 (ja) 2021-06-29 2023-05-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仕分装置
CN114871120B (zh) * 2022-05-26 2023-11-07 江苏省徐州医药高等职业学校 基于图像数据处理的药品确定分拣方法及装置
CN115384968B (zh) * 2022-08-05 2024-01-09 深圳诺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药品回收方法及药柜
CN115830298B (zh) * 2023-02-17 2023-05-05 江苏羲辕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的药品监管码识别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3623A1 (en) * 2011-05-17 2012-11-22 Gii Acquisition, Llc Dba General Inspection, Llc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small manufactured objects at a plurality of inspection stations and sorting the inspected objects
JP2013055970A (ja) * 2011-09-06 2013-03-28 Windy:Kk 分包薬剤検査システム
JP2015510040A (ja) * 2012-02-15 2015-04-02 ロンゲヴィティ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エスア 金属表面の局所硬化
WO2015170761A1 (ja) 2014-05-09 2015-11-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仕分装置及び薬剤仕分方法
WO2016027849A1 (ja) * 2014-08-22 2016-02-2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仕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2512A (en) 1994-05-09 1996-06-04 Merck & C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eeding, inspecting and diverting tablets for continuous filling of tablet containers
US5720154A (en) * 1994-05-27 1998-02-24 Medco Containment Services, Inc. Enhanced drug dispensing system
JP3633155B2 (ja) 1996-11-29 2005-03-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自動錠剤計量装置
JPH10246702A (ja) 1997-03-03 1998-09-14 Eisai Co Ltd 錠剤等の識別装置及び包装システム
JP3373817B2 (ja) 1999-10-06 2003-02-04 プレシジョン・システム・サイエンス株式会社 仕分けシステムおよび仕分け方法
US6705827B2 (en) * 2000-08-25 2004-03-16 Aagrinomics, Llc Robotic seed-handling apparatus and methods
SE0300009D0 (sv) * 2003-01-03 2003-01-03 Bomill Ab Sorting Device
US7080755B2 (en) * 2004-09-13 2006-07-25 Michael Handfield Smart tray for dispensing medicaments
WO2010113436A1 (ja) 2009-03-31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管理方法
DE102010002317B4 (de) * 2010-02-24 2018-06-14 Apologistic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Vereinzelung und Kommissionierung von Artikeln
EP2633475B8 (en) * 2010-10-29 2016-09-07 Mint Solutions Holding BV Medication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8861816B2 (en) * 2011-12-05 2014-10-14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cription medication verification
JP5902022B2 (ja) * 2012-04-06 2016-04-13 株式会社セントラルユニ 返品薬仕分け装置および返品薬仕分け方法
JP5916032B2 (ja) * 2012-09-27 2016-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薬剤検査支援装置及び方法
TWI577620B (zh) * 2013-07-29 2017-04-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自動取藥裝置及方法
JP6190672B2 (ja) * 2013-09-05 2017-08-30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品仕分装置、薬品仕分装置のための仕分けトレイ
US9940439B2 (en) 2013-11-29 2018-04-10 Atabak Reza Royaee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and/or sorting of medicines
JP6607185B2 (ja) 2014-03-31 2019-11-2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撮影装置
US9797506B2 (en) * 2014-09-15 2017-10-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ransmission node speed monitoring
CN107072881B (zh) 2014-09-25 2020-07-03 株式会社汤山制作所 检查辅助系统、片剂分包装置
WO2016171119A1 (ja) * 2015-04-21 2016-10-27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CA2933860C (fr) * 2016-06-23 2017-08-29 Matthieu Grosfils Systemes et equipements permettant de controler le contenu d'un ou des compartiment(s) d'un distributeur de medicaments, methode de fabrication des systemes et equipements et methode d'utilisation correspondantes
JP6397061B2 (ja) * 2017-01-11 2018-09-2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方法
US10872688B2 (en) * 2018-07-30 2020-12-22 Arxium, Inc. Visual analysis pill dispenser
WO2020060753A1 (en) * 2018-09-18 2020-03-26 AMP Robotics Corporation Vacuum extraction for material sorting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3623A1 (en) * 2011-05-17 2012-11-22 Gii Acquisition, Llc Dba General Inspection, Llc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small manufactured objects at a plurality of inspection stations and sorting the inspected objects
JP2013055970A (ja) * 2011-09-06 2013-03-28 Windy:Kk 分包薬剤検査システム
JP2015510040A (ja) * 2012-02-15 2015-04-02 ロンゲヴィティ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エスア 金属表面の局所硬化
WO2015170761A1 (ja) 2014-05-09 2015-11-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仕分装置及び薬剤仕分方法
WO2016027849A1 (ja) * 2014-08-22 2016-02-2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仕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87150B2 (ja) 2020-04-22
JP2023068205A (ja) 2023-05-16
US20200156120A1 (en) 2020-05-21
JP6866953B2 (ja) 2021-04-28
JPWO2018190394A1 (ja) 2020-02-20
JP7120370B2 (ja) 2022-08-17
US11504747B2 (en) 2022-11-22
EP3610843A1 (en) 2020-02-19
JP2021100678A (ja) 2021-07-08
WO2018190394A1 (ja) 2018-10-18
JP6750732B2 (ja) 2020-09-02
EP3610843A4 (en) 2021-01-27
JP2022000245A (ja) 2022-01-04
JP2020175245A (ja) 2020-10-29
JP7255651B2 (ja) 2023-04-11
KR102644081B1 (ko) 2024-03-07
KR20240033171A (ko) 2024-03-12
JP2020025870A (ja)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7150B2 (ja) 薬剤仕分装置
JP7469729B2 (ja) 薬剤仕分装置、及び、薬剤仕分装置の制御方法
JP2022130740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7486003B2 (ja) 薬剤仕分装置
JP7424630B2 (ja) 薬剤仕分装置
US20230394785A1 (en) Type discrimination device, type discrimination method, type discrimination program, and drug sorting device
JP7283644B1 (ja) 薬剤仕分装置
JP7230985B2 (ja) 薬剤仕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