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942A - 정제 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제 분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942A
KR20220141942A KR1020210047750A KR20210047750A KR20220141942A KR 20220141942 A KR20220141942 A KR 20220141942A KR 1020210047750 A KR1020210047750 A KR 1020210047750A KR 20210047750 A KR20210047750 A KR 20210047750A KR 20220141942 A KR20220141942 A KR 20220141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tablets
conveyor
sor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982B1 (ko
Inventor
황선일
Original Assignee
(주)메디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노드 filed Critical (주)메디노드
Priority to KR102021004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9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65B37/1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of centrifug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제1호퍼로 인입된 다수의 정제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정렬하는 정렬장치와, 상기 정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렬장치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하는 정제판별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제판별장치에 의해 판별된 정제를 공급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들을 분류하는 분류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정제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출한 정제 정보로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정제 분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제 분류 시스템{Pill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정제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는 정제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대형 병원에서는 환자가 병원에 입원 중, 복용중인 약은 여러 병명의 이유로 처방을 받아 복용을 한다. 그러나 복용중인 약의 처방이 바뀌게 되면 복용 중 남아 있는 약이 회수되어 약국에 모이게 된다.
이때 약국은 회수된 약을 약사가 정확히 재분류하여 원래의 약병에 담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약의 분류는 결국 약사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그 특성상 정확하게 분류해야 약물의 오남용을 막을 수 있기에 작업에 상당한 집중을 요한다.
이러한 이유로 정제약의 분류 작업을 기계적 수단으로 처리하여 약사의 작업량을 줄이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7384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8916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약품명칭을 입력받는 약품명칭입력부; 약품명칭입력부에서 입력된 약품명칭에 해당하는 약품정보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탐색하는 약품정보부; 약품정보부에서 탐색된 약품정보를 분류체계에 따라 각 단계로 분류하는 약품분류부; 약품분류부에서 각 단계로 분류된 약품 정보에 각각 색상을 부여하여 색상약품정보를 생성하는 색상부여부; 색상부여부에서 생성된 색상약품정보가 저장되는 색상약품정보저장부; 및 색상약품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색상약품정보를 유무선 연결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약품을 각각의 색상으로 분리하여 누구나 쉽게 약품에 대한 성분 및 효능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많은 약품이라도 색상만으로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의약품의 오남용 등의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자동 약품 분류장치는 투입부에 적재된 약품을 본체 내부를 통과하여 루프이동시키는 이송부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통과하는 약품의 윤곽을 인식하여 윤곽정보를 생성하는 음영인식부와, 윤곽정보에 근거하여 약품을 파지 이송하는 로봇암과, 파지 이송되는 약품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약품정보를 획득하는 바코드인식부와, 약품정보가 획득된 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이송부의 작동과 윤곽정보에 의하여 로봇암의 작동을 제어하고, 약품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다량의 약품을 인식함에 있어 인식이 실패한 경우에도 정지하지 아니하고 다음의 약품을 지속적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게 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약사가 감당하는 일련의 업무 중에서 극히 일부의 생력화를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이고 특히 전자의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의약품의 색상으로 분류됨에 한정될뿐더러 약사의 수작업 의존도가 여전히 높으며, 후자의 선행문헌 2에 의하면 다량의 약품을 인식하여 분류함을 요지로 하므로 다량의 정제약을 취급하기 위한 구성을 전혀 내포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기술적 제시가 미흡하다.
본 발명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정제 분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판별장치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은 제1호퍼로 인입된 다수의 정제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정렬하는 정렬장치와, 상기 정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렬장치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하는 정제판별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제판별장치에 의해 판별된 정제를 공급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들을 분류하는 분류장치와,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정제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출한 정제 정보로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정제들을 인입하여, 일정한 갯수로 배출하는 제1호퍼와, 상기 제1호퍼의 하부에 일측이 근접 배치되고, 상기 제1호퍼에서 배출된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송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 중 상기 제1호퍼의 하부와 연결된 위치부터 상측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과 이송스크류 사이 공간에 정제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렬장치는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공급장치에서 낙하된 정제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후방측 상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를 일측편으로 정렬하는 제1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1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정렬암에서 이탈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정렬하는 제2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2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암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거리 이상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향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배출펀치와, 상기 배출펀치와 대향진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펀치에 의해 이탈하는 정제를 받아 수거하는 정제수집부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측 중 해당 지정위치에 위치한 정제를 전방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푸쉬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펀치는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컨베이어 중 푸쉬수단이 배치된 지점에는 해당 위치의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제판별장치는 상기 정렬장치에서 공급되는 정제가 투입되는 제2호퍼와, 상기 제2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이드의 타측에서 낙하한 정제를 받아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암과, 상기 이송암의 하부에 수평선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송암으로 낙하한 정제를 지지하며, 제1분류공과, 촬영공과, 제2분류공을 형성한 판별플레이트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하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카메라,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제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3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암의 수용공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수용공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조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플레이트 중 촬영공에는 상기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지지커버와, 상기 촬영공의 내주면에는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의 하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조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류장치는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공급된 정제를 인입하는 제3호퍼와, 상기 제3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수직선상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노즐과, 상기 가이드노즐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노즐을 수직선상을 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가이드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노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노즐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도록 환상을 이루고, 길이를 따라 다수의 분류칸으로 구획된 분류트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공급장치 및 정렬장치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공급장치 및 정렬장치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공급장치 및 정렬장치를 상측에서바라본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정제판별장치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정제판별장치의 요부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 중 분류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의 성분, 색깔, 종류 등에 무관하게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키는 정제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은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 데이터베이스(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공급장치(100)는 제1호퍼(110)를 통해 인입된 다수의 정제(알약)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정제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급장치(100)는 제1호퍼(110)와, 이송스크류(120)와, 스크류하우징(13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호퍼(110)는 통산의 호퍼와 같이 개방된 상, 하측공이 연통하는 각추(角錐)형의 통 형태로, 상측공이 하측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호퍼(110)의 상측공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제1호퍼(110)의 상측공을 통해 다수의 정제를 한꺼번에 상기 제1호퍼(110)에 인입하여도, 인입된 정제들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공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하측공의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줄지어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120)는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가 일측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제1호퍼(110)에서 배출된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120)는 통상의 이송스크류와 같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둘레의 길이를 따라 나선면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이송체인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 이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송스크류(120)는 정제배출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가 상기 경사진 이송스크류(120)의 중간 부분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제1호퍼(110)와 이송스크류(120)가 'y'자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에서 배출된 정제들은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중간에서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회전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되어 최상단지점에서 방출되어 외부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을 구비하는데,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은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가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 중 상기 제1호퍼(110)의 하부와 연결된 위치부터 상측까지 절개되어 절개부(131)를 형성하는데, 상기 절개부(131)는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과 이송스크류(120) 사이 공간에 정제들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 중 상측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된 정제가 해당 위치상에 방출되어 낙하하도록 해당 형상으로 절개된 낙하부(132)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된 정제가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의 낙하부(132)로 도달하면, 상기 낙하부(132)를 통해 이송된 정제가 방출되어 다음 장치로 낙하해 공급된다.
여기서 낙하된 정제는 정렬장치(200)로 공급되고,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130)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2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정렬장치(200)는 상기 공급장치(100)에서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될 수 있도록 정렬한다.
상기 정렬장치(2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정렬장치(200)는 컨베이어(210)와, 제1정렬암(220)과, 제2정렬암(230)과, 배출펀치(240)와, 정제수집부(250)와, 푸쉬수단(26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컨베이어(210)는 통상의 벨트식 컨베이어와 같이 구동축과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종동축을 벨트로 연결한 것으로, 벨트 상에 놓인 이송체인 정제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후방측 상에는 제1정렬암(220)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1정렬암(220)은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일측편으로 정렬되도록 안내한다.
일례로 상기 제1정렬암(220)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일측편으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사선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에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서 고정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정렬암(220)은 전체적인 형상이 'ㅅ'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정렬암(220)은 고정바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 고정되고, 가이드바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 사선으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는 상기 제1정렬암(220)의 가이드바 안내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일측편으로 유도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제1정렬암(220)의 전방측에는 제2정렬암(230)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2정렬암(230)은 상기 제1정렬암(220)에서 이탈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중앙으로 정렬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정렬암(230) 역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중앙으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사선으로 배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정렬암(230)은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210)의 외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 사선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제1정렬암(220)에서 이탈한 정제는 상기 제2정렬암(230)의 안내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중앙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제2정렬암(230)의 전방측에는 배출펀치(240)를 구비하는데, 상기 배출펀치(240)는 상기 제2정렬암(230)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밀어 외부인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으로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펀치(240)는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에서 측방향을 가로지르는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펀치(240)의 일측에는 커넥팅로드(241)가 관절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팅로드(241)는 해당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하는 구동암(242)과 관절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암(242)의 회전으로 상기 커넥팅로드(241)가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펀치(240)가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배출펀치(240)가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정제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펀지(240)는 정제를 밀어 배출한 후, 상기 구동암(242)의 회전으로 상기 커넥팅로드(241)가 원위치인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다시 해당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펀치(240)는 이동 궤도를 유지하도록, 펀치가이드(243)에 의해 안내되는데, 상기 펀치가이드(243)는 상기 컨베이어(210)를 측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펀치가이드(243)에는 길이를 따라 장공을 형성하면서, 상기 장공에 상기 배출펀치(240)가 롤러로 상기 장공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펀치(240)는 상기 펀치가이드(243)의 장공 안내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측방향을 가로지르는 이동 궤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펀치(240)에는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를 인식하는 제1정제감지센서(244)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정제감지센서(244)는 상기 컨베이어(210)의 이송으로 상기 제2정렬암(230)을 이탈한 정제들의 간격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펀치(240)는 제1정제감지센서(244)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제어부(600)에서 인가하는 제어신호로 구동하는데, 상기 제1정제감지센서(244)가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제2정렬암(230)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가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배출펀치(240)의 구동암(242)을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로 상기 구동암(242)이 구동하여 상기 배출펀치(240)가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밀어 외부로 이탈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정제감지센서(244)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배출펀치(240)에 위치하는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간격을 이루지 않는 정제가 해당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컨베이어(210) 중 상기 배출펀치(240)가 배치된 지점의 대향측인 상기 컨베이어(210)의 타측에는 정제수집부(25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정제수집부(250)는 상기 배출펀치(240)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는 정제를 받아 수거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전방측에는 푸쉬수단(260)을 구비하는데, 상기 푸쉬수단(260)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전방측에 위치되어, 해당 지정위치에 위치하는 정제를 전방으로 밀어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푸쉬수단(260)은 'ㄴ' 형태의 바로, 상측단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축으로 상기 푸쉬수단(260)이 회전함에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정제가 상기 푸쉬수단(260)에 밀려 전방으로 이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10) 중 푸쉬수단(260)이 배치된 지점에는 정제를 인식하는 제2정제감지센서(261)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정제감지센서(261) 역시,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을 이송된 정제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정제감지센서(261)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으로 정제가 상기 컨베이어(2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다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에 다다르면, 상기 제2정제감지센서(261)가 정제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송출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컨베이어(210)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푸쉬수단(260)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에 따라 상기 푸쉬수단(260)이 구동하여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정제를 밀어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으로 이탈시킨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10)의 전방측으로 이탈된 정제는 정제판별장치(300)로 공급된다.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상기 정렬장치(20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인입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제2호퍼(310), 가이드(320), 이송암(330), 판별플레이트(340), 제1카메라(350), 제2카메라(360), 통신부(37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제2호퍼(310)는 상기 정렬장치(200)의 컨베이어(210)에서 이탈하여 낙하는 정제가 투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2호퍼(310) 역시, 통산의 호퍼와 같이 개방된 상, 하측공이 연통하는 각추(角錐)형의 통 형태로, 상측공이 하측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호퍼(310)의 상측공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제2호퍼(310)의 상측공을 통해 다수의 정제를 한꺼번에 상기 제2호퍼(310)에 인입하여도, 인입된 정제들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공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하측공의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줄지어 정렬된다.
상기 제2호퍼(310)의 하측공에는 가이드(320)가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3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해당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호퍼(310)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어,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미끄러져 안내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320)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는 제3정제감지센서(321)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3정제감지센서(321)는 상기 가이드(320)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3정제감지센서(321)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이송암(330)에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송암(330)은 상기 가이드(32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320)의 타측에서 낙하한 정제를 받아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이송암(330)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이송암(330)은 암의 일측은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대향진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320)의 타측에서 낙하하는 정제를 받아 수용하는 수용공(3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빛을 비추는 제1조광부(332)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암(330)의 하부에는 판별플레이트(340)를 수평선상으로 구비하는데, 상기 판별플레이트(340)는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으로 낙하한 정제를 지지하여,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가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에는 길이를 따라 제1분류공(341)과, 촬영공(342)과, 제2분류공(343)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분류공(341)과, 촬영공(342)과, 제2분류공(343)은 상기 이송암(330)의 축을 기준으로 호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분류공(341)은 정제 정보를 획득한 정제를 배출하는 공이고, 상기 제2분류공(343)은 정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정제를 배출하는 공이며, 상기 촬영공(342)은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정제를 촬영하는 위치이다.
그러므로 상기 촬영공(342)을 기준으로 상기 제1분류공(341)은 상기 촬영공(342)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분류공(343)은 상기 촬영공(342)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공(342)에서 촬영을 마친 정제 중 정제 정보를 획득한 정제는 상기 이송암(330)에 의해 상기 제1분류공(341)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분류공(341)을 통해 다음 장치인 분류장치(400)로 배출되고, 정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정제는 상기 이송암(330)에 의해 상기 제2분류공(343)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2분류공(343)을 통해 정제수거부로 배출되어, 추후 수작업에 의해 분류되거나, 다시 정제판별장치(300)의 제2호퍼(310)로 투입되어 재촬영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별플레이트(340) 중 촬영공(342)에는 상기 촬영공(342)에 위치하는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지지커버(344)를 구비하고, 상기 촬영공(342)의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의 하면에 빛을 비추는 제2조광부(345)를 구비한다.
더불어,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의 상부에는 제1카메라(35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카메라(350)는 선택적으로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고,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의 하부에는 제2카메라(36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카메라(360)는 선택적으로 정제의 하면을 촬영한다.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로 상기 이송암(330)이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 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가 촬영공(342)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이 상기 촬영공(342)에 위치하면,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는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상, 하면을 각각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통신부(370)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부(370)는 데이터베이스(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카메라(350), 제2카메라(360)에 의해 촬영된 정제 이미지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와 통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판별장치(300)는 상기 정렬장치(200)의 컨베이어(210)에서 이탈하여 공급되는 정제를 상기 제2호퍼(310)를 통해 받고, 상기 제2호퍼(310)로 공급된 정제는 상기 제2호퍼(3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32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낙하하여 수용되며,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으로 정제가 수용되면, 상기 이송암(330)이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 상으로 정제를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플레이트(340)의 촬영공(342) 상에 정제가 이송되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촬영공(342)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가 상기 이송암(330)의 수용공(331)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촬영한다.
이때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와 연동하여 상기 제1조광부(332)와 제2조광부(345)도 구동하여, 정제가 촬영될 시 정제에 조명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정제판별장치(300)는 통신부(370)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부(370)는 데이터베이스(500) 및 제어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600)에서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제1카메라(350) 및 제2카메라(360)에 의해 촬영된 정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500)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인가한 정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통신부(370)에서 수신한 정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송암(330)을 제1분류공(341) 측으로 회전하게 제어하거나, 상기 제2분류공(343) 측으로 회전하게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장치(400)는 상기 정제판별장치(300)에 의해 판별된 정제(정제 정보를 획득한 정제)를 인수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를 분류한다.
이때 상기 분류장치(400)는 제3호퍼(410)와, 가이드노즐(420)과, 가이드구동부(430)와, 분류트레이(44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3호퍼(410)는
상기 정렬판별장치(300)의 제1분류공(341)에서 낙하하는 정제가 투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3호퍼(410) 역시, 통산의 호퍼와 같이 개방된 상, 하측공이 연통하는 각추(角錐)형의 통 형태로, 상측공이 하측공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3호퍼(410)의 상측공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제3호퍼(410)의 상측공을 통해 다수의 정제를 한꺼번에 상기 제3호퍼(410)에 인입하여도, 인입된 정제들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공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하측공의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줄지어 정렬된다.
상기 제3호퍼(410)의 하측공에는 가이드노즐(420)가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4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해당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3호퍼(410)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어,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하측은 가이드구동부(430)와 연결하는데, 상기 가이드구동부(430)는 수직선상을 축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노즐(420)을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환상의 분류트레이(440)가 배치되는데, 상기 분류트레이(440)는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는 둘레를 갖는 환상을 이루고, 길이를 따라 다수의 분류칸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정제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로, 상기 가이드노즐(420)의 끝단이 상기 분류트레이(430) 중 해당 분류칸(431)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구동부(4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노즐(420)이 상기 분류트레이(440)의 중심을 축으로 해당 분류칸(431)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정제판별장치(300)의 제1분류공(341)을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해당 분류칸(431)으로 안내하여 분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는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정제정보가 수집 저장된 것으로, 상기 정제판별장치(300)의 통신부(370) 및 제어부(600)와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정제이미지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상기 제어부(600)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 데이터베이스(500)와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244, 261, 321)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송출한 정제정보로 상기 공급장치(100), 정렬장치(200), 정제판별장치(300), 분류장치(4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분류 시스템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제가 신속히 분류되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약사의 단순 분류작업에서 탈피하여 업무강도를 줄이면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고관리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500) 또는 제어부(600)는 상기한 일례의 과정을 연속반복 학습한 인공지능(AI)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급장치 110: 제1호퍼 120: 이송스크류
130: 스크류하우징 131: 절개부 132: 낙하부
200: 정렬장치 210: 컨베이어 220: 제1정렬암
230: 제2정렬암 240: 배출펀치 241: 커넥팅로드
242: 구동암 243: 펀치가이드 244: 제1정제감지센서
250: 정제수집부 260: 푸쉬수단 261: 제2정제감지센서
300: 정제판별장치 310: 제2호퍼 320: 가이드
321: 제3정제감지센서 330: 이송암 331: 수용공
332: 제1조광부 340: 판별플레이트 341: 제1분류공
342: 촬영공 343: 제2분류공 344: 지지커버
345: 제2조광부 350: 제1카메라 360: 제2카메라
370: 통신부 400: 분류장치 410: 제3호퍼
420: 가이드노즐 430: 가이드구동부 440: 분류트레이
500: 데이터베이스 600: 제어부

Claims (11)

  1. 제1호퍼로 인입된 다수의 정제들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면서 낙하시켜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장치를 통해 낙하되어 공급된 정제들을 개별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정렬하는 정렬장치;
    상기 정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렬장치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된 정제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하는 정제판별장치;
    상기 정제판별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정제판별장치에 의해 판별된 정제를 공급받아 그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들을 분류하는 분류장치;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정제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출한 정제 정보로 상기 공급장치, 정렬장치, 정제판별장치, 분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정제들을 인입하여, 일정한 갯수로 배출하는 제1호퍼와;
    상기 제1호퍼의 하부에 일측이 근접 배치되고, 상기 제1호퍼에서 배출된 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송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 중 상기 제1호퍼의 하부와 연결된 위치부터 상측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스크류하우징과 이송스크류 사이 공간에 정제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는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공급장치에서 낙하된 정제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후방측 상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정제를 일측편으로 정렬하는 제1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1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정렬암에서 이탈하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정렬하는 제2정렬암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제2정렬암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암을 이탈한 정제 중 선발 이송 정제와 해당 지정거리 이상을 이루지 않는 정제를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향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배출펀치와;
    상기 배출펀치와 대향진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펀치에 의해 이탈하는 정제를 받아 수거하는 정제수집부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 중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측 중 해당 지정위치에 위치한 정제를 전방으로 밀어 이탈시키는 푸쉬수단;을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펀치는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1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중 푸쉬수단이 배치된 지점에는 해당 위치의 정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2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제판별장치는
    상기 정렬장치에서 공급되는 정제가 투입되는 제2호퍼와;
    상기 제2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이드의 타측에서 낙하한 정제를 받아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암과;
    상기 이송암의 하부에 수평선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송암으로 낙하한 정제를 지지하며, 제1분류공과, 촬영공과, 제2분류공을 형성한 판별플레이트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상기 판별플레이트의 촬영공 하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전기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카메라,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제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중 일측에는
    정제의 인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제3정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송암의 수용공 내주면에는
    선택적으로 수용공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조광부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별플레이트 중 촬영공에는 상기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지지커버와;
    상기 촬영공의 내주면에는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촬영공에 위치하는 정제의 하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조광부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는
    상기 정제판별장치에서 공급된 정제를 인입하는 제3호퍼와,
    상기 제3호퍼의 하측과 일측이 수직선상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을 통해 인입된 정제를 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노즐과,
    상기 가이드노즐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노즐을 수직선상을 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가이드구동부와,
    상기 가이드노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노즐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도록 환상을 이루고, 길이를 따라 다수의 분류칸으로 구획된 분류트레이를 포함하는 정제 분류 시스템.
KR1020210047750A 2021-04-13 2021-04-13 정제 분류 시스템 KR10256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750A KR102563982B1 (ko) 2021-04-13 2021-04-13 정제 분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750A KR102563982B1 (ko) 2021-04-13 2021-04-13 정제 분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42A true KR20220141942A (ko) 2022-10-21
KR102563982B1 KR102563982B1 (ko) 2023-08-08

Family

ID=8380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750A KR102563982B1 (ko) 2021-04-13 2021-04-13 정제 분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019B1 (ko) * 2023-01-03 2023-06-29 (주)메디노드 정제 선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052A (ko) * 2008-05-08 2009-11-12 (주)제이브이엠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101669596B1 (ko) *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KR20170007247A (ko) * 2014-05-09 2017-01-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류 장치
KR20190133698A (ko) * 2017-04-14 2019-12-0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JP2020156746A (ja) * 2019-03-26 2020-10-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薬剤鑑別装置、薬剤撮影装置及び薬剤撮影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052A (ko) * 2008-05-08 2009-11-12 (주)제이브이엠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20170007247A (ko) * 2014-05-09 2017-01-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류 장치
KR101669596B1 (ko) *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KR20190133698A (ko) * 2017-04-14 2019-12-03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류 장치, 분류 용기 및 약제 반환 방법
JP2020156746A (ja) * 2019-03-26 2020-10-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薬剤鑑別装置、薬剤撮影装置及び薬剤撮影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019B1 (ko) * 2023-01-03 2023-06-29 (주)메디노드 정제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982B1 (ko)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10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and/or Sorting of Medicines
CN111228114B (zh) 药剂分类装置
EP16566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a series of medicaments
US7600642B2 (en) High throughput automated seed analysis system
CA2757936C (en) Device for the return of empties, in particular plastic bottles and metal cans
CN105107758B (zh) 检查系统
US7412302B2 (en) Pharmaceutical singulation counting and dispensing system
JP7469729B2 (ja) 薬剤仕分装置、及び、薬剤仕分装置の制御方法
EP1805714A1 (en) Embedded imaging and control system
JP5457599B1 (ja) 薬剤分包システム
KR20220141942A (ko) 정제 분류 시스템
JPH11197609A (ja) 廃棄瓶の仕分装置
KR101443888B1 (ko)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KR20160127432A (ko)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JP2000097865A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H0228406A (ja) オーダによる注射アンプル自動供給装置及ぎその供給方法
CN1185546C (zh) 用于装有镜头的摄影胶片组件的姿态调整装置和方法
KR102632508B1 (ko) 인공지능 기반 사출물 고속 품질 검사 시스템
KR102549019B1 (ko) 정제 선별장치
KR100797623B1 (ko) 병 자동분류 장치
CN116867617A (zh) 用于分离和识别物品的系统
KR20230090724A (ko) 정제 정렬이송장치
KR101147628B1 (ko) 스트로 불량품 검출 및 정품 투입장치
EP4302743A1 (en) Drug sortation apparatus
KR101767820B1 (ko) 정제약 분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