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052A -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 Google Patents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052A
KR20090117052A KR1020080042930A KR20080042930A KR20090117052A KR 20090117052 A KR20090117052 A KR 20090117052A KR 1020080042930 A KR1020080042930 A KR 1020080042930A KR 20080042930 A KR20080042930 A KR 20080042930A KR 20090117052 A KR20090117052 A KR 2009011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drug
plate
opening
releas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579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08004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5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agitators or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을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로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이형 약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기 위한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형 약제, 배출장치, 플레이트, 진동수단, 개폐수단, 약제 자동 포장기

Description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DEVICE FOR DISCHARGING A MEDICINE HAVING DIFFERENT SHAP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키는 약제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약을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tablet)나 캡슐(capsule) 등의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세트 장치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일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는,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110)와, 본체(100)의 하부에 배열되어 카세트 장치(110)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130)와, 약제를 포장하 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140)와, 호퍼(130)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150)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에 포함된 카세트 장치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카세트 본체와, 이 카세트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약제를 분리 배출하는 분배 블록과, 분배 블록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카세트 본체를 지지하는 카세트 받침대와, 카세트 본체에 설치되어 분배 블록에 의해 분리 배출되는 약제가 일정한 수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 부재를 포함한다.
분배 블록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배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카세트 본체에 수용된 약제는 이 배출 홈을 따라서 카세트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정해진 수량의 약제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홈을 중간에서 막아주는 칸막이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카세트 장치의 다양한 예로서, 일본 특허공개 평9-266940 호 및 미국 특허 제 5,803,309 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카세트 장치들을 들 수 있다. 이들 종래의 카세트 장치는 모두,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약제만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온전한 한 알의 정제가 아니라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 등의 이형 약제가 의사나 약사에 의해 처방될 경우가 있다. 원형의 납작한 정제를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은 이형 약제는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 된 종래의 카세트 장치로는 정확한 배출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반알 정제와 같은 이형 약제가 처방된 경우에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의한 자동 포장 기능을 이용할 수 없고, 약제를 수동으로 포장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약제 포장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으며, 약제를 손으로 분류하면서 약제가 오염될 우려까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동하는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감지하여 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알약을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로서,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이형 약제를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제1 이송수단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송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이형 약제를 후공정 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수단; 을 포함하며, 구동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상기 제1 이송수단의 구동속도보다 빠르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형 약제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이형 약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기 위한 개폐수단; 을 더 포 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진동수단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진동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상의 이형 약제들은 일측방향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공급된 이형 약제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통과한 이형 약제를 안내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의 수용부에는 이형 약제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개폐부재와, 상기 제1 개폐부재를 정역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형상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들이 한 지점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이형 약제를 한 알씩 정확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전방에는 이형 약제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후방에는 한 알의 이형 약제가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들로부터 이 형 약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회용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가 이형 약제를 감지하면 상기 선회용 모터를 서서히 정회전시켜 상기 제1 개폐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이형 약제를 통과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가 이형 약제의 통과를 감지하면 상기 선회용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마찰계수가 서로 상이한 금속 소재 및 비금속 소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로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이형 약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기 위한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이형 약제를 수용하고 있으며, 수용된 이형 약제를 상기 플레이트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상기 호퍼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이형 약제를 점진적으로 상기 플레이트에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제1 이 송수단의 말단에는 이형 약제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상기 개폐수단을 통과한 이형 약제를 후공정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제2 이송수단의 말단에는 이형 약제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로서,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카세트 장치에 수용된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상술한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하는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감지하여 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알약을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이형 약제란, 원형 혹은 타원형 정제 등을 반으로 자른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 반알 정제 등과 같이 정형화되지 않으며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약제로서, 종래의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게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약제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호퍼(21)로부터 배출되는 이형 약제(1)를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3)과, 이 제1 이송수단(3)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제1 이송수단(3)으로부터 전달된 이형 약제(1)를 포장 등의 후공정 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수단(5)을 포함한다. 이들 제1 및 제2 이송수단(3, 5)은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이송수단(3)으로부터 이형 약제가 낙하하는 지점과 제2 이송수단(5)으로부터 이형 약제가 낙하하는 지점에는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이형 약제의 이송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약제들을 정확하게 한 알씩 배출하기 위해서는, 호퍼(21)로부터 연속적으로 연달아 배출되는 이형 약제들(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시킬 필요가 있 다.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이송수단(3, 5)을 간헐적으로 구동시킬 때 이형 약제들이 지나치게 근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면, 관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이형 약제들(1)이 한꺼번에 배출되어 버리거나, 혹은 제1 및 제2 이송수단(3, 5)을 이루는 컨베이어의 롤러 부분의 곡선구간에 위치하는 이형 약제들(1)이 함께 배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이송수단(3, 5)을 간헐적으로 구동시켜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함으로써 이형 약제들(1)의 배출 개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2 이송수단(5) 상의 이형 약제들이 서로 충분히 이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이송수단(3)의 이송속도와 제2 이송수단(5)의 이송속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이형 약제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1 이송수단(3)의 이송속도에 비해 제2 이송수단(5)의 이송속도가 2배 빠르다면, 제2 이송수단(5) 상의 이형 약제들(1) 사이의 간격은 제1 이송수단(3) 상의 이형 약제들(1) 사이의 간격보다 2배 멀리 이격된다.
이형 약제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이격되어 있으면, 관성이 작용하여도 이형 약제들이 한꺼번에 배출되거나, 컨베이어의 롤러 부분 곡선구간에 하나 이상의 이형 약제들이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형 약제의 배출 개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이송수단(5) 상에 배열되는 이형 약제 사이의 간격은 제2 이송수단(5)의 구동 속도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형 약제의 배출 속도 및 제2 이송수단(5)의 구동 속도를 감안하여 제1 이송수단(3)의 구동 속도가 설정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제1 및 제2 이송수단(3, 5)으로서 컨베이어 장치가 활용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컨베이어 장치 이외에도 회전하는 속도 혹은 내경의 치수가 서로 상이한 원통형 튜브 등이 활용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가 작동 순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진동수단(15)에 의해 진동하는 플레이트(10)와, 호퍼(21)로부터 배출되는 이형 약제를 플레이트(10)로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23)과, 플레이트(10)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수단(30)과, 이 개폐수단(30)을 통과한 이형 약제를 포장 등의 후공정 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수단(25)을 포함한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에 비해, 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제1 이송수단(23)과 제2 이송수단(25) 사이에 플레이트(10)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이형 약제의 이동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41 내지 45)를 더 포함할 수 있 다. 감지 센서(41 내지 45)로서는 이형 약제의 이동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센서라도 사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10)는 도 3에서 볼 때 제2 이송수단(25) 쪽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진동수단(15)에 의해 플레이트(10)가 진동함에 따라 플레이트(10) 상의 이형 약제들은 점진적으로 제2 이송수단(25)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의 일측(도면에서 볼 때 좌측)에는 제1 이송수단(23)을 통하여 이송되어 온 이형 약제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플레이트(10)의 타측(도면에서 볼 때 우측)에는 개폐수단(30)을 통과한 이형 약제를 안내하기 위한 홈부(13)가 형성된다.
플레이트(10)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수단(15)으로서는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구성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수단(15)과 바닥판(19) 사이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 등의 방진부재(17)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수단(15)에 의해 진동하는 플레이트(10)는 금속 소재, 비금속 소재 혹은 금속 및 비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특히 이형 약제와 접촉하는 플레이트(10)의 상부면이 어떠한 소재로 만들어지는가에 따라 이형 약제의 이동속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설계시 요구되는 이형 약제의 이동속도에 맞춰 플레이트(10)의 소재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0)의 상부면이 금속 소재일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작아 동일한 크기의 진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빠른 이동속도를 가지게 되고, 플레이 트(10)의 상부면이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소재일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커 동일한 크기의 진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느린 이동속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플레이트(10)를 일부는 금속 소재로, 나머지는 비금속 소재로 만들어도 좋다. 이 경우, 이형 약제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것이 바람직한 상류측(예컨대, 수용부(11) 측)은 비금속 소재를 사용하고,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것이 바람직한 하류측(예컨대, 홈부(13) 측)은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플레이트(10)를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소재로 제작할 경우, 이형 약제와 접촉하는 플레이트의 상부면만을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하여도 좋다.
플레이트(10)에 대한 이형 약제의 공급은 호퍼(21)와 제1 이송수단(23)을 이용한다. 제1 이송수단(23)을 거치지 않고 호퍼(21)에서 직접 플레이트(10)의 수용부(11) 측으로 이형 약제를 공급할 경우, 지나치게 많은 양의 이형 약제가 플레이트(10) 상에 공급되어 개폐수단(30) 앞에서 이형 약제가 적체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호퍼(2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이형 약제는, 제1 이송수단(23)에 의해 적절한 분량만큼 순차적으로 플레이트(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이송수단(23)으로서는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컨베이어 벨트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혹은 필요에 따라 단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형 약제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 제1 이송수단(23)의 말단 부분에는 제1 감지 센서(4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레이트(10)의 수용부(11)에는 제2 감지 센서(4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기 위한 개폐수단(30)은, 플레이트(10)의 수용부(11)와 홈부(13) 사이에 위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와, 제1 개폐부재(31)를 정역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용 모터(33)와, 이 선회용 모터(33)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34)과, 제2 개폐부재(32)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35)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는 중간부분이 절곡된 얇고 긴 판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의 말단은 대략 영문 V자 형상을 이루도록 맞닿아 있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들은 한 지점(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의 말단이 서로 맞닿는 지점)으로 집중될 수 있다.
한편, 개폐수단(30)에 의해 이형 약제를 한 알씩 정확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제3 및 제4 감지 센서(44)가 설치된다. 제3 감지 센서(43)는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의 전방에 이형 약제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제4 감지 센서(44)는 한 알의 이형 약제가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수단(3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은 수순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의 수용부(11)에 이송되 어 온 이형 약제가 진동수단(15)에 의한 진동으로 인하여 개폐수단(30)의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의 전방까지 이동해 오면, 제3 감지 센서(43)가 이형 약제를 감지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에서는 제3 감지 센서(43)의 이형 약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선회용 모터(33)를 서서히 정회전(도 3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시켜 제1 개폐부재(31)를 선회시킨다. 이때 이형 약제는 진동수단(15)에 의해 계속해서 플레이트(10) 상에서 홈부(13) 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 개폐부재(31)가 선회하여 제1 개폐부재(31)와 제2 개폐부재(32) 사이가 열리게 되면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한 알의 이형 약제가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 사이의 열린 공간을 통과하여 홈부(13) 쪽으로 이동한다.
한 알의 이형 약제가 제1 및 제2 개폐부재(31, 32)를 통과하면, 이를 제4 감지 센서(44)가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한다. 제4 감지 센서(44)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선회용 모터(33)를 신속하게 역회전(도 3에서 볼 때 시계방향)시켜 제1 개폐부재(31)를 역방향으로 선회시킨다. 그에 따라 제1 개폐부재(31)와 제2 개폐부재(32) 사이의 공간은 폐쇄되고 이형 약제는 더 이상 통과할 수 없게 된다.
계속해서 또 다른 이형 약제가 제3 감지 센서(43)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이형 약제가 한 알씩 배출될 수 있다. 홈부(13) 쪽으로 배출된 이형 약제는, 이 홈부(1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이송수단(25)에 의해 포장 등의 후공정 측으로 이송된다.
제2 이송수단(25)으로서는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컨베이어 벨트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혹은 필요에 따라 단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형 약제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 제2 이송수단(25)의 말단 부분에는 제5 감지 센서(4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23, 25)은 플레이트(10)의 설치 높이를 감안하여, 제1 이송수단(23)은 제1 이송 프레임(24)에 의해 플레이트(10)보다 높게 설치되고, 제2 이송수단(25)은 제2 이송 프레임(26)에 의해 플레이트(10)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이송수단(23)이 플레이트(10)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이형 약제를 플레이트(10)에 공급하기 용이하고, 제2 이송수단(25)이 플레이트(10)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이 플레이트(10)로부터 배출되는 이형 약제를 받아내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약제 자동 포장기와는 별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약제 자동 포장기 내의 카세트 장치에 수용된 약제가 배출되어 포장되는 포장 주기에 맞춰 이형 약제를 포장장치 쪽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이형 약제를 동시에 배출하여 포장하기 위해 복수개의 이형 약제 배출장치가 사용될 경우, 이들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공동의 호 퍼(도시생략)에 이형 약제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가 하나의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플레이트(10)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15)은 하나만이 구비되어 복수의 플레이트(10)를 동시에 진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만, 복수의 플레이트(10)가 하나의 진동수단(15)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도, 이형 약제의 배출은 각각의 이형 약제 배출장치마다 별도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는, 이형 약제뿐만 아니라 원형 혹은 타원형 정제나 캡슐 등의 일반 약제를 배출시키는 용도로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순서에 따른 주요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형 약제 3 : 제1 이송수단
5 : 제2 이송수단 10 : 플레이트
11 : 수용부 13 : 홈부
15 : 진동수단 17 : 방진부재
19 : 바닥판 21 : 호퍼
23 : 제1 이송수단 24 : 제1 이송 프레임
25 : 제2 이송수단 26 : 제2 이송 프레임
30 : 개폐수단 31 : 제1 개폐부재
32 : 제2 개폐부재 33 : 선회용 모터
34 : 제1 지지 프레임 35 : 제2 지지 프레임
41 ~ 45 : 감지 센서

Claims (21)

  1.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로서,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이형 약제를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제1 이송수단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송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이형 약제를 후공정 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수단; 을 포함하며,
    구동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상기 제1 이송수단의 구동속도보다 빠르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형 약제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은 컨베이어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이형 약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 레이트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기 위한 개폐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진동수단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진동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상의 이형 약제들은 일측방향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공급된 이형 약제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통과한 이형 약제를 안내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수용부에는 이형 약제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개폐부재와, 상기 제1 개폐부재를 정역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형상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들이 한 지점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이형 약제를 한 알씩 정확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전방에는 이형 약제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후방에는 한 알의 이형 약제가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들로부터 이형 약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회용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가 이형 약제를 감지하면 상기 선회용 모터를 서서히 정회전시켜 상기 제1 개폐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이형 약제를 통과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가 이형 약제의 통과를 감지하면 상기 선회용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 개폐부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마찰계수가 서로 상이한 금속 소재 및 비금속 소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4.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로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이형 약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기 위한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이형 약제를 수용하고 있으며, 수용된 이형 약제를 상기 플레이트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호퍼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이형 약제를 점진적으로 상기 플레이트에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제1 이송수단의 말단에는 이형 약제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을 통과한 이형 약제를 후공정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이며,
    상기 제2 이송수단의 말단에는 이형 약제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20.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로서,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이형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약제 배출장치.
  21. 복수의 카세트 장치에 수용된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080042930A 2008-05-08 2008-05-08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100996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30A KR100996579B1 (ko) 2008-05-08 2008-05-08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30A KR100996579B1 (ko) 2008-05-08 2008-05-08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963A Division KR100996580B1 (ko) 2010-05-28 2010-05-28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052A true KR20090117052A (ko) 2009-11-12
KR100996579B1 KR100996579B1 (ko) 2010-11-25

Family

ID=4160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930A KR100996579B1 (ko) 2008-05-08 2008-05-08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285B1 (ko) 2005-05-25 2006-11-27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579B1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2678B2 (ja) 製品、特に化学薬品を容器に詰めるための装置
US20140231446A1 (en) Medicine dispenser, method of discharging medicin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ispenser
KR101559311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261265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2002230513A (ja)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KR20190119655A (ko) 복용량의 고체 약품들의 포장 시스템 및 방법
JP2016504241A (ja) 固体物質を調剤及び包装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971319B1 (ko) 제어 장치
KR100996580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CN111465565B (zh) 用于使袋装药物卸堆和铺开的装置
KR100996579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101595906B1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KR20130108747A (ko) 약제 절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JP2020089655A (ja) 薬剤供給装置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3761831B2 (ja) Ptpシート製造装置
KR10198260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89691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40090745A (ko) 약제 불출 장치
KR20100006770A (ko) 약포 정렬장치
KR102046780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1862544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2594513B2 (ja) 錠剤等の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