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019B1 - 정제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019B1
KR102549019B1 KR1020230000808A KR20230000808A KR102549019B1 KR 102549019 B1 KR102549019 B1 KR 102549019B1 KR 1020230000808 A KR1020230000808 A KR 1020230000808A KR 20230000808 A KR20230000808 A KR 20230000808A KR 102549019 B1 KR102549019 B1 KR 10254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stage
photographing
sorting device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일
Original Assignee
(주)메디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노드 filed Critical (주)메디노드
Priority to KR102023000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할 정제가 놓이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상면촬영부;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하면촬영부; 및 상기 상면촬영부와, 하면촬영부에서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전송받아 그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정제의 상, 하면을 각각 촬영하는 상측카메라 및 하측카메라 선단측에 화각을 해당 범위로 제한하는 가림판이 구비되어, 정제의 표면을 촬영할 시, 반대측 카메라가 피사체로 인식되지 않아 명확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촬영영역에 위치하는 정제에 바람을 불어 정제의 자세를 교정한 후, 재차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도록 하여, 정제에 각인된 문자 인식 불능을 해소할 수 있는 정제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제 선별장치{tablet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정제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바탕으로 정제의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한 정제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대형 병원에서는 환자가 병원에 입원 중, 복용중인 약은 여러 병명의 이유로 처방을 받아 복용을 한다. 그러나 복용중인 약의 처방이 바뀌게 되면 복용 중 남아 있는 약이 회수되어 약국에 모이게 된다.
이때 약국은 회수된 약을 약사가 정확히 재분류하여 원래의 약병에 담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약의 분류는 결국 약사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그 특성상 정확하게 분류해야 약물의 오남용을 막을 수 있기에 작업에 상당한 집중을 요한다.
이러한 이유로 정제약의 분류 작업을 기계적 수단으로 처리하여 약사의 작업량을 줄이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7384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8916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약품명칭을 입력받는 약품명칭입력부; 약품명칭입력부에서 입력된 약품명칭에 해당하는 약품정보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탐색하는 약품정보부; 약품정보부에서 탐색된 약품정보를 분류체계에 따라 각 단계로 분류하는 약품분류부; 약품분류부에서 각 단계로 분류된 약품 정보에 각각 색상을 부여하여 색상약품정보를 생성하는 색상부여부; 색상부여부에서 생성된 색상약품정보가 저장되는 색상약품정보저장부; 및 색상약품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색상약품정보를 유무선 연결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약품을 각각의 색상으로 분리하여 누구나 쉽게 약품에 대한 성분 및 효능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많은 약품이라도 색상만으로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의약품의 오남용 등의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자동 약품 분류장치는 투입부에 적재된 약품을 본체 내부를 통과하여 루프이동시키는 이송부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부를 통과하는 약품의 윤곽을 인식하여 윤곽정보를 생성하는 음영인식부와, 윤곽정보에 근거하여 약품을 파지 이송하는 로봇암과, 파지 이송되는 약품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약품정보를 획득하는 바코드인식부와, 약품정보가 획득된 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이송부의 작동과 윤곽정보에 의하여 로봇암의 작동을 제어하고, 약품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다량의 약품을 인식함에 있어 인식이 실패한 경우에도 정지하지 아니하고 다음의 약품을 지속적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게 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기 위해 정제가 놓이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 하 양측에 카메라가 각각 배치됨에 따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할 시, 반대측 카메라가 피사체로 인식됨에 따라 정제를 기준으로 초점이 제대로 잡히지 않는 어려움이 있었고, 그리고 정제를 촬영할 시, 상, 하측 간의 조명이 서로 간섭됨에 따라 고품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촬영영역에 놓인 정제가 정자세로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정제의 상, 하면에 각인된 문자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정제의 상, 하면을 각각 촬영하는 상측카메라 및 하측카메라 선단측에 화각을 해당 범위로 제한하는 가림판이 구비되어, 정제의 표면을 촬영할 시, 반대측 카메라가 피사체로 인식되지 않아 명확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촬영영역에 위치하는 정제에 바람을 불어 정제의 자세를 교정한 후, 재차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도록 하여, 정제에 각인된 문자 인식 불능을 해소할 수 있는 정제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는 촬영할 정제가 놓이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상면촬영부;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하면촬영부; 상기 상면촬영부와, 하면촬영부에서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전송받아 정제의 종류를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테이지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정제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 및 타측으로 정제를 이송하는 이송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암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상면촬영부와, 하면촬영부에서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에 바람을 불어 상기 정제의 자세를 교정하는 블로우를 구비한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테이지는 판 상으로 호상을 이루고, 일측에는 상기 이송암에 의해 이송된 정제의 상, 하면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영역을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단에는 상기 이송암에 의해 이송된 정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공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투시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시공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영역으로 이송된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재질의 지지판과,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 상에 놓인 정제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측조명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UV필터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암은 호상을 이루는 스테이지의 표면을 따라 회동하는 것으로, 외부에 인입된 정제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용공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상측조명수단을 구비한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면촬영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상측카메라와, 상기 상측카메라의 하측에 구비되고, 해당 화각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1촬영공을 형성하여 해당 화각으로 정제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측가림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면촬영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 하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하측카메라와, 상기 하측카메라의 상측에 구비되고, 해당 화각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2촬영공을 형성하여 해당 화각으로 정제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측가림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정제의 상, 하면을 각각 촬영하는 상측카메라 및 하측카메라 선단측에 화각을 해당 범위로 제한하는 가림판이 구비되어, 정제의 표면을 촬영할 시, 반대측 카메라가 피사체로 인식되지 않아 명확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촬영영역에 위치하는 정제에 바람을 불어 정제의 자세를 교정한 후, 재차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도록 하여, 정제에 각인된 문자 인식 불능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를 간략하게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의 스테이지에서 이송암의 회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의 블로우에 의해 정제의 자세가 교정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에 의해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를 구비한 정제 분류 시스템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일반 유리, pp재질, UV필터가 구비된 지지판에서 각각 촬영된 정제의 이미지를 보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정제(알약)의 분류를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으로 정제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제정보를 기반으로 정제의 분류가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제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는 스테이지(100)와, 이송암(200)과, 상면촬영부(300)와, 하면촬영부(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스테이지(100)는 외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해당 위치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놓이는 것으로, 상기 스테이지(1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테이지(100)는 판 상으로 반원 형태의 호상을 이루고, 일측에는 상기 이송암(200)에 의해 이송된 정제의 상, 하면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영역(110)을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단에는 상기 이송암(200)에 의해 이송된 정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공(1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투시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투시공(111)에는 투명한 재질의 지지판(112)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112)이 상기 촬영영역(110)으로 이송된 정제를 지지하면서 정제의 하면이 하부로 투시되어, 정제의 하면이 촬영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12)은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은 HMC UV필터(97% 광투과율)로 형성되어, 정제의 상면을 촬영할 시 조명에 의하여 반사되는 불필요한 자외선을 차단하여 선명한 화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UV필터는, 상기 지지판(112)의 표면에 코팅되거나, 상기 지지판(112)의표면에 별도의 부재로 겹쳐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일반 유리의 지지판에서 촬영된 정제의 이미지, pp재질의 지지판에서 촬영된 정제의 이미지, 상기 UV필터가 구비된 지지판에서 촬영된 정제의 이미지를 보인 것으로, 일반 유리, pp재질의 지지판에서는 조명빛이 반사되어 광노이즈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UV필터가 구비된 지지판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광노이즈를 포함하지 않아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 하측에는 하측조명수단(130)을 구비하는데, 상기 하측조명수단(130)은 상기 지지판(112) 상에 놓인 정제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하측조명수단(130)에 확산판(131)이 구비되어, 상기 하측조명수단(130)에서 조사되는 빛을 고르게 분산시켜 정제에 음영이 발생하지 않는 양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측조명수단(130)은 상기 하면촬영부(400)의 하측카메라(410)와 연동되는데, 상기 하면촬영부(400)의 하측카메라(410)가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할 시, 정제의 하면에 빛을 조사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한 상기 이송암(200)은 호상을 이루는 상기 스테이지(100)의 표면을 따라 회동하는 것으로, 호상을 이루는 상기 스테이지(100)의 중심점 선상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상기 이송암(200)의 일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암(200)이 일측단을 축으로 상기 스테이지(1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모터로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이송암(200)이 상기 스테이지(1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암(200)에는 수용공(201)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201)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정제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201)의 내주면에는 상측조명수단(210)을 구비하는데, 상기 상측조명수단(210)은 상기 수용공(201)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상측조명수단(210)에 확산판(211)이 구비되어, 상기 상측조명수단(210)에서 조사되는 빛을 고르게 분산시켜 정제에 음영이 발생하지 않는 양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측조명수단(210)은 상기 상면촬영부(300)의 상측카메라(310)와 연동되는데, 상기 상면촬영부(300)의 상측카메라(310)가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할 시, 정제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한 상기 이송암(200)에는 블로우(220)를 구비하는데, 상기 블로우(220)는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상면촬영부(300)와, 하면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에 놓인 정제에 바람을 불어 상기 정제의 자세를 교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는 상기 촬영영역(110)에 위치하는 정제에 바람을 불어 정제의 자세를 교정한 후, 재차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도록 하여, 정제에 각인된 문자 인식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촬영부(300)는 상기 스테이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100)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것으로, 상측카메라(310)와, 상측가림판(320)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카메라(310)는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카메라(310)의 하측에는 상측가림판(320)을 구비하는데, 상기 상측가림판(320)은 해당 화각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1촬영공(321)을 형성하여 해당 화각으로 정제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면촬영부(400)는 상기 스테이지(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100)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것으로, 하측카메라(410)와, 하측가림판(4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카메라(410)는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 하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카메라(410)의 상측에는 하측가림판(420)을 구비하는데, 상기 하측가림판(420)은 해당 화각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2촬영공(421)을 형성하여 해당 화각으로 정제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는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할 시, 정제의 상, 하면을 순차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측카메라(310)와 상기 하측카메라(410)의 선단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상측가림판(320) 및 하측가림판(420)에 의해 반대측의 카메라가 배경으로 인식되지 않아 정제 판별 성능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를 구비한 정제 분류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공급장치(10)와, 정제 정렬이송장치(20)와, 정제판별장치(30)와, 분류장치(40)와, 데이터베이스(50) 및 메인제어부(60)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선별장치는 정제판별장치에 포함된다.
상기 공급장치(10)는 인입된 다수의 정제들을 낙하시켜 정제 정렬이송장치(20)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정제 정렬이송장치(20)는 상기 공급장치(10)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장치(10)를 통해 공급된 정제들을 일렬로 정렬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정제판별장치(30)는 상기 정제 정렬이송장치(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정제 정렬이송장치(2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정렬된 정제를 개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토대로 정제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정제판별장치(30)에는 촬영할 정제가 놓이는 스테이지(100)와, 상기 스테이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100)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상면촬영부(300)와, 상기 스테이지(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100)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하면촬영부(400)와, 상기 상면촬영부(300)와, 하면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전송받아 그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스테이지(100)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정제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로 상기 스테이지(100)의 일측 및 타측으로 정제를 이송하는 이송암(200)을 포함하는 정제 선별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100)의 촬영영역(110)에 위치하는 정제에 바람을 불어 정제의 자세를 교정한 후, 재차 정제의 상, 하면을 촬영하도록 하여, 정제에 각인된 문자 인식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장치(40)는 상기 정제판별장치(30)에 의해 판별된 정제의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분류칸 중 해당 분류칸으로 정제들을 분류한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50)는 상기 정제판별장치(30)에서 촬영된 정제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정제에 대응하는 정제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메인제어부(60)는 상기 공급장치(10), 정제 정렬이송장치(20), 정제판별장치(30), 분류장치(40), 데이터베이스(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상기 공급장치(10), 정제 정렬이송장치(20), 정제판별장치(30), 분류장치(40)에 각각 구비된 정제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 및 데이터베이스(50)에서 송출한 정제 정보로 상기 공급장치(10), 정제 정렬이송장치(20), 정제판별장치(30), 분류장치(40)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테이지 110: 촬영영역
111: 투시공 112: 지지판
120: 배출공 130: 하측조명수단
131, 211: 확산판 200: 이송암
201: 수용공 210: 상측조명수단
211: 확산판 220: 블로우
300: 상면촬영부 310: 상측카메라
320: 상측가림판 321: 제1촬영공
400: 하면촬영부 410: 하측카메라
420: 하측가림판 421: 제2촬영공
500: 제어부

Claims (9)

  1. 촬영할 정제가 놓이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상면촬영부;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하면촬영부;
    상기 상면촬영부와, 하면촬영부에서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를 전송받아 정제의 종류를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테이지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정제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 및 타측으로 정제를 이송하는 이송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암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상면촬영부와, 하면촬영부에서 촬영된 정제의 상, 하면 이미지로 정제에 각인된 문자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정제에 바람을 불어 상기 정제의 자세를 교정하는 블로우를 구비한 정제 선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판 상으로 호상을 이루고, 일측에는 상기 이송암에 의해 이송된 정제의 상, 하면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영역을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단에는 상기 이송암에 의해 이송된 정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공을 형성한 정제 선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투시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시공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영역으로 이송된 정제를 지지하는 투명한 재질의 지지판과,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 상에 놓인 정제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측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정제 선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UV필터를 구비하는 정제 선별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암은
    호상을 이루는 스테이지의 표면을 따라 회동하는 것으로,
    외부에 인입된 정제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용공에 수용된 정제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상측조명수단을 구비하는 정제 선별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촬영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에 놓인 정제의 상면을 촬영하는 상측카메라와,
    상기 상측카메라의 하측에 구비되고, 해당 화각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1촬영공을 형성하여 해당 화각으로 정제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측가림판를 포함하는 정제 선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촬영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 하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의 촬영영역에 놓인 정제의 하면을 촬영하는 하측카메라와,
    상기 하측카메라의 상측에 구비되고, 해당 화각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2촬영공을 형성하여 해당 화각으로 정제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측가림판를 포함하는 정제 선별장치.
KR1020230000808A 2023-01-03 2023-01-03 정제 선별장치 KR10254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808A KR102549019B1 (ko) 2023-01-03 2023-01-03 정제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808A KR102549019B1 (ko) 2023-01-03 2023-01-03 정제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019B1 true KR102549019B1 (ko) 2023-06-29

Family

ID=8694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808A KR102549019B1 (ko) 2023-01-03 2023-01-03 정제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0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747A (ja) * 1994-04-14 1995-10-27 Nippon Steel Corp 銅含有スクラップの識別分離装置
JPH09113211A (ja) * 1995-10-17 1997-05-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ノイズ防止機能付干渉計
JP2000036215A (ja) * 1998-07-17 2000-02-02 Sanyo Electric Co Ltd 光源装置及び該光源装置を用いた投写装置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747A (ja) * 1994-04-14 1995-10-27 Nippon Steel Corp 銅含有スクラップの識別分離装置
JPH09113211A (ja) * 1995-10-17 1997-05-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ノイズ防止機能付干渉計
JP2000036215A (ja) * 1998-07-17 2000-02-02 Sanyo Electric Co Ltd 光源装置及び該光源装置を用いた投写装置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0136B2 (ja) 薬剤認識装置及び方法
TWI768399B (zh) 藥劑辨別裝置及藥劑分類裝置
TWI442045B (zh)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JP7147925B2 (ja) 薬剤仕分装置及び薬剤仕分方法
EP16566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a series of medicaments
JP2023181366A (ja) 薬剤供給装置
TWI458963B (zh) The inspection device and the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of the inspection object
CN111842183B (zh) 瓶体检测装置及瓶体检测方法
CN109073564B (zh) 药剂监查装置及方法以及记录介质
JP2003211096A (ja) 物品の仕分け・整列装置
TW201732290A (zh) 檢查輔助系統、錠劑分包裝置、分包控制程式
JP7376786B2 (ja) 薬剤カセット取扱装置、及び薬剤払出装置
EP270411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edication dispenser, and medication dispenser
KR102549019B1 (ko) 정제 선별장치
JP6978970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2563982B1 (ko) 정제 분류 시스템
JP2017158743A (ja) 薬剤認識装置
JP2000097865A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H0639762A (ja) 部品供給装置
JPH082655A (ja) 容器整列装置
JPH06260798A (ja) 部品供給装置
KR102257955B1 (ko)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KR102271655B1 (ko) 정제에 대한 인쇄 및 검사를 수행하는 정제 인쇄 겸 검사 장치 및 방법
JPH1035626A (ja) 物品分包機
WO2023276915A1 (ja) 薬剤仕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