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88B1 -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88B1
KR101443888B1 KR1020130014603A KR20130014603A KR101443888B1 KR 101443888 B1 KR101443888 B1 KR 101443888B1 KR 1020130014603 A KR1020130014603 A KR 1020130014603A KR 20130014603 A KR20130014603 A KR 20130014603A KR 101443888 B1 KR101443888 B1 KR 10144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s
hopper
tablet
unit
p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206A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01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88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는 스테이지와, 정제카트리지 유닛과, 호퍼 유닛과, 픽커와, 수평 이송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정제카트리지 유닛은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정제들을 종류별로 나눠 수납한다. 호퍼 유닛은 스테이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다. 픽커는 정제카트리지 유닛에 수납된 정제를 픽업 또는 픽다운한다. 수평 이송 유닛은 정제카트리지 유닛과 호퍼 유닛 간에 픽커를 수평 이송시킨다. 제어부는 픽커와 수평 이송 유닛을 제어하여 처방 정보에 따른 정제들을 정제카트리지 유닛으로부터 픽업한 후 호퍼 내로 픽다운해서 1회 복용분씩 저장하며, 호퍼 내에 1회 복용분씩 저장된 정제들을 셔터를 제어하여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Automatic tablet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약제 포장장치에 채용되어 다양한 형상의 정제를 자동으로 조제할 수 있게 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약사의 수작업에 의한 약제 포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약제 포장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약제 포장장치는 다수의 정제카트리지가 다단으로 배열되어 상부에 배치되고, 정제카트리지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제가 수납된다. 정제카트리지들에 수납된 정제는 사용자의 컴퓨터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정제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며, 정제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정제는 호퍼에 집결되어 약제 포장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포장 유닛에서 포장된다.
한편, 신약 개발 등으로 인해 기존의 일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정제를 조제하거나, 정제를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 조제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특수 형상의 정제에 맞게 정제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등 초기 세팅을 위한 세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약조제자의 수작업으로 특수 형상의 정제를 약제 포장장치에 일일이 투여하여 일반 형상의 정제와 함께 조제되어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형태의 조제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약 조제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약조제자의 실수로 인해 약이 누락되거나 초과되어 조제되는 경우와 같이 조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5117호(2004.04.01,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정제의 형상에 무관하게 정제를 자동으로 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정제들을 종류별로 나눠 수납하는 정제카트리지 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는 호퍼 유닛;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에 수납된 정제를 픽업 또는 픽다운하는 픽커;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과 호퍼 유닛 간에 상기 픽커를 수평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 유닛; 및 상기 픽커와 수평 이송 유닛을 제어하여 처방 정보에 따른 정제들을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으로부터 픽업한 후 상기 호퍼 내로 픽다운해서 1회 복용분씩 저장하며, 상기 호퍼 내에 1회 복용분씩 저장된 정제들을 상기 셔터를 제어하여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에 의하면, 단독으로 또는 종래의 약제 포장장치에 채용되어, 처방전에 신약 개발 등에 의해 일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정제나,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진 정제 등과 같은 특수 정제가 포함되더라도 자동으로 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특수 정제에 맞게 정제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등과 같은 초기 세팅이 없이 신속한 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에 의해 조제시간이 단축되고, 약조제자의 실수로 인해 약이 누락되거나 초과되어 조제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조제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정제카트리지 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픽커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픽커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호퍼 유닛 쪽에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호퍼의 하측에 분류기가 더 구비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류기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분류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분류기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100)는 스테이지(110)와, 정제카트리지 유닛(120)과, 호퍼 유닛(130)과, 픽커(140)와, 수평 이송 유닛(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스테이지(110)는 상면에 정제카트리지 유닛(120)과, 호퍼 유닛(130), 및 수평 이송 유닛(150)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은 스테이지(110) 상에 배치된다.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정제들을 종류별로 나눠 수납한다. 예컨대,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에는 다양한 형태, 예컨대 일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정제나,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진 정제 등과 같은 특수 정제가 종류별로 나뉘어 수납될 수 있다.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에는 일반 형상을 갖는 일반 정제가 특수 정제와 함께 종류별로 나뉘어 수납될 수도 있다.
호퍼 유닛(130)은 스테이지(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호퍼 유닛(130)은 호퍼(131)와 셔터(133)를 구비한다. 호퍼(131)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에 유입구(132a)가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132b)가 형성된다. 호퍼(131)는 유입구(132a)로부터 배출구(132b)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셔터(133)는 배출구(132b)를 개폐한다. 셔터(133)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호퍼(131)는 배출구(132b)가 셔터(133)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픽커(140)로부터 이송되어 온 정제들을 내부 공간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픽커(140)는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에 수납된 정제를 픽업(pick-up) 또는 픽다운(pick-down)한다. 즉, 픽커(140)는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에 수납된 정제를 픽업한 후, 픽업된 정제를 호퍼(131) 내로 픽다운한다. 픽커(140)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수평 이송 유닛(150)은 정제카트리지 유닛(120)과 호퍼 유닛(130) 간에 픽커(140)를 수평 이송시킨다. 따라서, 픽커(140)는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으로부터 정제를 픽업한 상태에서 수평 이송 유닛(150)에 의해 호퍼(131)의 유입구(131a)로 이송된 후, 픽업된 정제를 호퍼(131) 내로 픽다운할 수 있다. 수평 이송 유닛(150)은 픽커(140)와 함께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수평 이송 유닛(150)은 스테이지(110) 상부에서 픽커(140)를 X축 및 Y축을 따라 수평 이송시키는 X-Y 이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X-Y 이송기구는 스테이지(110) 상에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Y축 이동대(151)와, Y축 이동대(151)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X축 이동대(156)를 포함한다. Y축 이동대(151)를 구동시키는 Y축 구동부(152)와, X축 이동대(156)를 구동시키는 X축 구동부(157)는 통상적인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픽커(140)와 수평 이송 유닛(150)을 제어하여 처방 정보에 따른 정제들을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으로부터 픽업한 후 호퍼(131) 내로 픽다운해서 1회 복용분씩 저장하며, 호퍼(131) 내에 1회 복용분씩 저장된 정제들을 셔터(133)를 제어하여 호퍼(131)의 배출구(132b)를 통해 배출시킨다.
상술하면, 제어부(160)는 입력 받은 처방 정보에서 1회 복용분에 해당하는 정제들 중 어느 하나를 픽커(140)에 의해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으로부터 픽업하며 정제를 픽업한 픽커(140)를 수평 이송 유닛(150)에 의해 호퍼(131)의 유입구(132a)로 이송한 후, 픽커(140)에 의해 호퍼(131) 내로 정제를 픽다운해서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호퍼(131) 내에 1회 복용분의 정제들을 저장 완료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셔터(133)에 의해 호퍼(131)의 배출구(132b)를 개방시켜 호퍼(131) 내에 1회 복용분으로 저장된 정제들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회 복용분씩 호퍼(131)의 배출구(132b)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들은 호퍼(131) 하측의 정제 투입 위치로 이송 중인 포장지 내에 1회 복용분씩 투입된 후, 밀봉되어 포장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100)에 의하면, 처방전에 신약 개발 등에 의해 일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정제나,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진 정제 등과 같은 특수 정제가 포함되더라도 자동으로 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특수 정제에 맞게 정제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등과 같은 초기 세팅 없이 신속한 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에 의해 조제시간이 단축되고, 약조제자의 실수로 인해 약이 누락되거나 초과되어 조제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조제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정제카트리지 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은 카트리지 케이스(121) 및 칸막이(12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121)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121)의 저면에는 정제들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122)들이 다수 행과 다수 열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126)들은 카트리지 케이스(121) 내에 설치되어 정제 종류별로 정제 수납 공간들을 구획할 수 있다. 칸막이(126)들은 카트리지 케이스(121) 내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카트리지 케이스(121)의 내벽에는 칸막이(126)들의 양쪽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끼움 홈(123)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칸막이(126)들의 위치 조정에 따라 정제 수납 공간들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칸막이(126)들의 각 위치 정보는 위치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60)로 입력됨으로써, 제어부(160)는 정제 수납 공간들의 각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정제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정제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정제 위치 정보를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정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픽커(140)와 수평 이송 유닛(150)을 제어하여 처방전에 따른 정제들을 호퍼(131) 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커(140)는 X축 이동대(156)에 장착되어 X-Y 이송기구에 의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픽커(140)는 진공흡착노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흡착노즐(141)은 공압 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해 부압을 공급받아서 정제를 흡착하고, 공압 공급수단에 의해 정압을 공급받아서 정제를 탈착할 수 있다. 진공흡착노즐(141)의 하단에는 노즐 팁(141a)이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팁(141a)은 정제될 정제의 크기에 맞게 적절히 마련되어 진공흡착노즐(141)의 하단에 장착됨으로써, 흡착 오류 없이 정제를 흡착할 수 있다.
진공흡착노즐(141)은 노즐 승강구동부(142)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승강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픽커(140)는 진공흡착노즐(141)의 승강 동작에 따라 정제를 픽업 또는 픽다운할 수 있다. 노즐 승강구동부(142)는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승강 동작 부위는 진공흡착노즐(141)에 고정되고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고정 부위는 X축 이동대(156)에 고정됨으로써, 진공흡착노즐(141)이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진공흡착노즐(141)의 3차원 위치 정보는 픽커(140)와 수평 이송 유닛(150)에 구비된 위치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60)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커(140)는 진공흡착노즐(141) 대신 그리퍼(241)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퍼(241)는 기계식 그리퍼 또는 텐던식 그리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픽커(140)에는 정제감지용 센서(146)가 장착될 수 있다. 정제감지용 센서(146)는 정제카트리지 유닛(120)으로부터 픽업할 정제 유무를 감지한다. 즉, 픽커(140)가 정제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위치로 이송되어 정제를 픽업하기에 앞서, 정제감지용 센서(146)는 픽업 위치에 정제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만일, 픽업 위치에 정제가 없다면, 정제감지용 센서(146)는 후속하는 픽업 위치 중 정제가 있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하여금 픽커(140)에 의해 정제를 픽업할 수 있게 한다. 정제감지용 센서(146)로는 광학식 근접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진공흡착노즐(141)에 의한 정제 흡착시 유량 변화에 의해 정제의 흡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되거나, 그리퍼(241)에 의한 정제 파지시 압력 변화에 의해 정제의 파지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100)는 호퍼(131) 내에 1회 복용분씩 저장된 정제들을 인식해서 조제오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170)는 호퍼(131)의 배출구 쪽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등과 같은 비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170)는 호퍼(131) 내에 저장된 정제들의 형태와 색상을 촬영해서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제어부(160)는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170)로부터 제공된 정제들의 형태와 색상 정보를 기초로 호퍼(131) 내에 정제들이 1회 복용분으로 정상적으로 조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호퍼(131) 내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나, 정제들에 크랙이 발생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제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셔터(133)에 의해 호퍼(131)의 배출구(132b)를 개방시켜 호퍼(131) 내의 정제들을 배출시킨다. 만일, 제어부(160)는 조제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 등에 의해 약조제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셔터(133)는 도어(134)와 도어 선형 구동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34)는 호퍼(131)의 배출구(132b)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형 왕복함에 따라 배출구(132b)를 개폐한다. 도어(134)는 도어 가이드(135)에 의해 선형 왕복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도어 가이드(135)는 내측면을 따라 도어(134)의 선형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가이드(135)는 일측 개구를 통해 호퍼(131)의 배출구(132b) 부위를 끼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 선형 구동부(136)는 도어(134)를 선형 왕복시킨다. 일 예로, 도어 선형 구동부(136)는 회전 모터(137)와 회전 모터(137)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운동 변환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37)의 몸체는 도어 가이드(135)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직선운동 변환부(138)는 2개의 링크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들은 서로 힌지 결합되며, 링크부재들 중 하나는 회전 모터(137)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도어(134)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모터(137)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링크부재들은 접히거나 펼쳐지며, 도어(134)는 도어 가이드(135)의 안내를 받아서 선형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어(134)의 개폐 여부는 개폐감지용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60)로 제공됨으로써, 제어부(160)에 의해 도어(134)의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134)가 호퍼(131)의 배출구(132b)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형 왕복하면서 개폐 동작함에 따라, 호퍼(131) 내에 저장된 정제들은 도어(134)의 수평 면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호퍼(131) 내에 저장된 정제들은 누락 없이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170)의 비전부에 의해 촬영될 수 있으므로, 조제오류 여부가 보다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다.
한편, 호퍼(131)의 배출구(132b)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들은 조제오류 판별결과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호퍼(131)의 하측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류기(180)가 마련될 수 있다. 분류기(180)는 상부가 개구되고 양 옆에 제1,2 개방구(182a)(182b)를 갖는 분류 용기(181)와, 회전 동작함에 따라 제1,2 개방구(182a)(182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분류판(183), 및 분류판(183)을 회전 구동시키는 분류판 구동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류 용기(181)는 호퍼(13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상부 개구를 통해 공급받는다. 제1 개방구(182a)는 정상으로 판별된 정상적인 정제들을 배출시켜 포장 처리될 수 있게 한다. 제2 개방구(182b)는 조제오류로 판별되거나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크랙이 발생된 정제들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정제들을 배출시켜 회수 처리될 수 있게 한다. 분류판(18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방구(182a)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경사져 위치됨으로써, 정상적인 정제들을 제1 개방구(182a)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분류판(18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방구(182b)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경사져 위치됨으로써, 비정상적인 정제들을 제2 개방구(182b)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분류판 구동부(184)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제오류 판별결과에 따라 분류판 구동부(184)를 제어해서 분류판(183)에 의해 제1,2 개방구(182a)(182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분류판 구동부(184)는 회전 모터(185)와, 회전 모터(185)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 기어(186)와, 구동 기어(186)와 치합되고 분류판(183)에 결합된 종동 기어(1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모터(185)의 회전력은 구동 기어(186)와 종동 기어(187)를 거쳐 분류판(183)으로 전달됨으로써, 분류판(183)이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분류판 구동부(184)는 분류판(183)을 회전 구동시키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분류기(28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분류기(280)는 상부가 개구된 분류 용기(281)와, 분류 용기(281)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282)를 포함한다. 분류 용기(281)는 호퍼(13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상부 개구를 통해 공급받는다. 분류 용기(281)는 하단이 컨베이어(282)의 벨트(283)에 고정되어, 벨트(283)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베이어(282)의 하측 영역 중 좌측 영역이 정상적인 정제들을 포장 처리하는 포장 영역으로 설정되고, 우측 영역이 비정상적인 정제들을 회수 처리하는 회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류 용기(281) 내에 정상적인 정제들이 공급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분류 용기(281)가 좌측으로 이송되어 뒤집어짐으로써, 분류 용기(281) 내의 정상적인 정제들은 포장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분류 용기(281) 내에 비정상적인 정제들이 공급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8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분류 용기(281)가 우측으로 이송되어 뒤집어짐으로써, 분류 용기(281) 내의 비정상적인 정제들은 회수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컨베이어(282)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제오류 판별결과에 따라 벨트(283)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서 분류 용기(281)를 포장 영역 또는 회수 영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분류기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스테이지 120..정제카트리지 유닛
130..호퍼 유닛 131..호퍼
133..셔터 140..픽커
141..진공흡착노즐 150..수평 이송 유닛
160..제어부 170..조제오류 판별용 센서
180,280..분류기

Claims (7)

  1.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정제들을 종류별로 나눠 수납하는 정제카트리지 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는 호퍼 유닛;
    상기 호퍼 내에 1회 복용분씩 저장된 정제들을 인식해서 조제오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
    상기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들을 공급받아 상기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에 의한 조제오류 판별 결과에 따라 분류해서 포장 처리 영역과 회수 처리 영역으로 배출하는 분류기;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에 수납된 정제를 픽업 또는 픽다운하는 픽커;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과 호퍼 유닛 간에 상기 픽커를 수평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 유닛; 및
    상기 픽커와 수평 이송 유닛을 제어하여 처방 정보에 따른 정제들을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으로부터 픽업한 후 상기 호퍼 내로 픽다운해서 1회 복용분씩 저장하며, 상기 호퍼 내에 1회 복용분씩 저장된 정제들을 상기 셔터를 제어하여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며,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들을 상기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분류기에 의해 분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배출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형 왕복함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선형 왕복시키는 도어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제오류 판별용 센서는 상기 호퍼의 배출구 쪽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은,
    상부가 개구된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정제 종류별로 정제 수납 공간들을 구획하는 칸막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는 진공흡착노즐과 그리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정제를 픽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서 상기 픽커를 X축 및 Y축을 따라 수평 이송시키는 X-Y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에 장착되어 상기 정제카트리지 유닛으로부터 픽업할 정제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정제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KR1020130014603A 2013-02-08 2013-02-08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KR10144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03A KR101443888B1 (ko) 2013-02-08 2013-02-08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03A KR101443888B1 (ko) 2013-02-08 2013-02-08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06A KR20140101206A (ko) 2014-08-19
KR101443888B1 true KR101443888B1 (ko) 2014-09-23

Family

ID=5174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603A KR101443888B1 (ko) 2013-02-08 2013-02-08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820B1 (ko) 2016-03-22 2017-08-14 박의식 정제약 분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908B1 (ko) * 2014-09-04 2016-02-19 주식회사 인포피아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KR101994626B1 (ko) * 2017-05-22 2019-07-02 (주)제이브이엠 약제 포장장치
CN107284938A (zh) * 2017-07-06 2017-10-24 王显武 一种自动配药装置
CN107274577B (zh) * 2017-07-06 2024-01-12 王显武 一种自动取配药装置
CN109351655B (zh) * 2018-12-12 2024-05-17 华东交通大学 一种红枣分选装置
CN114751025B (zh) * 2022-03-08 2023-10-27 梁山县人民医院(梁山县人民医院和缓互联网医院) 一种药房用药片智能分装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963A (ko) * 1990-09-22 1992-04-27 김연학 조제약의 자동조제 및 포장장치
KR920019331A (ko) * 1991-04-26 1992-11-19 김연학 조약제의 자동조제 및 포장에 따른 약 투입장치
KR20030090433A (ko) * 2002-05-23 2003-11-28 주식회사 약기 에어 구동방식의 가동 헤드를 이용한 비접촉식 자동 약분배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04522A (ko) * 2009-11-17 2012-09-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963A (ko) * 1990-09-22 1992-04-27 김연학 조제약의 자동조제 및 포장장치
KR920019331A (ko) * 1991-04-26 1992-11-19 김연학 조약제의 자동조제 및 포장에 따른 약 투입장치
KR20030090433A (ko) * 2002-05-23 2003-11-28 주식회사 약기 에어 구동방식의 가동 헤드를 이용한 비접촉식 자동 약분배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04522A (ko) * 2009-11-17 2012-09-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분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820B1 (ko) 2016-03-22 2017-08-14 박의식 정제약 분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06A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888B1 (ko)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KR101481967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EP2987147B1 (en)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
JP7381977B2 (ja) 薬剤供給装置
EP2256703B1 (en) Automated medicine storage and medicine introduction/discharge management system
EP06393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blood products
CA2408641C (en) Medication dispenser
EP0376711B1 (en) A capsule charging apparatus
CN1724310A (zh) 药品供给装置
US20100147868A1 (en) Apparatus for releasing drugs
TW201402425A (zh) 藥劑取出裝置
WO2018021323A1 (ja) 薬剤払出し装置
CN111417991A (zh) 用于包装一定剂量的固体药物的装置
KR101474714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CN107108056A (zh) 用于药品包装的箱体
KR20170068279A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JP5456601B2 (ja) バケットリフタ
JP7413743B2 (ja) 薬剤一包化パック搬送装置
KR102531178B1 (ko) 블리스터 팩용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의 블리스터 팩킹 장치
KR102515162B1 (ko)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시트 공급기
KR102346557B1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101980276B1 (ko)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JP2001039401A (ja) 薬剤分割包装装置
JP2016210479A (ja) 袋状容器供給装置
AU2001261921B2 (en) Medication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