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876A -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876A
KR20190129876A KR1020197027585A KR20197027585A KR20190129876A KR 20190129876 A KR20190129876 A KR 20190129876A KR 1020197027585 A KR1020197027585 A KR 1020197027585A KR 20197027585 A KR20197027585 A KR 20197027585A KR 20190129876 A KR20190129876 A KR 2019012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wafer
ozone water
cleaning
hydrofluoric acid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269B1 (ko
Inventor
켄사쿠 이가라시
타츠오 아베
Original Assignee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2Wet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08Ac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s being dipped in baths or vess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2Electronic devices, e.g. PCBs or semi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9Fluorine [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을 충전한 불산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불산에 침지하고, 상기 불산조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오존수를 충전한 오존수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존수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으로서, 상기 오존수조 내에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을, 적어도,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단이 상기 오존수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가 완전히 오존수에 침지될 때까지,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에 침지하여 세정한 후, 오존수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티클 등의 이물의 잔류나 제거한 이물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웨이퍼의 배치식 세정에 있어서, 불산(HF)과 오존수를 이용한 침지식 세정방법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HF세정으로 웨이퍼 상의 산화막을 제거함과 동시에 파티클 등의 이물을 제거하고, 그 후의 오존수세정으로 웨이퍼의 산화를 행함으로써, 자연산화막의 생성과, 남아 있는 파티클 등의 이물의 제거를 행하고 있다.
이때, 종래부터, 반도체 웨이퍼를 세정액이 충전된 세정조 내에 침지(삽입)하는 속도(침지속도)에 비해, 세정조로부터 인상하는(인출하는) 속도(인상속도)가 중요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종래, 반도체 웨이퍼 상에 부착하는 파티클 등의 이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불산조로부터의 인상속도를 저속으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H9-283483호 공보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세정하여 자연산화막을 박리하면, 베어면(소수면)이 나와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베어면이 나와 있는 상태인 웨이퍼를 오존수조에서 세정(산화)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오존수조에의 침지(삽입)속도는 고정되어 있으며, 변경되는 일은 없고, 일반적으로 10000mm/min 정도로 저속이었다.
그러나, 오존수조에서의 세정공정에 있어서는, 산화막의 형성시에 파티클 등의 이물의 제거도 동시에 행해지는데, 침지속도가 느린 경우, 오존수와 반도체 웨이퍼의 상대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파티클의 탈리가 일어나기 어려워, 파티클 등의 이물이 잔류하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오존수의 약액의 흐름이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방향이므로, 세정조의 액면 부근에 파티클 등의 탈리한 이물이 체류하기 쉽다. 그러므로, 침지속도가 느리면, 탈리한 파티클이 웨이퍼 상의 완전히 산화가 진행되지 않은 개소에 재부착되는 문제가 있는 것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에 침지하여 세정한 후, 오존수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티클 등의 이물의 잔류나 제거한 이물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을 충전한 불산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불산에 침지하고, 상기 불산조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오존수를 충전한 오존수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존수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으로서, 상기 오존수조 내에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을, 적어도,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단(下端)이 상기 오존수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가 완전히 오존수에 침지될 때까지,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이면, 파티클 등의 이물의 잔류나 제거한 이물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송속도의 고속화로도 이어지므로, 스루풋이 향상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불산조로부터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인출을, 인출속도 1000mm/min 이하로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불산조로부터의 인출속도를 저속화시킴으로써, 한층 더, 파티클 등의 이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오존수조 내에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을,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단이 상기 오존수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단(上端)이 상기 오존수의 액면으로부터 50mm 이상의 위치가 될 때까지,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오존수조 내에 반도체 웨이퍼를 삽입함으로써, 오존수조의 액면 부근에 체류해 있는 파티클 등의 이물의 부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도체 웨이퍼로서, 실리콘 웨이퍼를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방법은, 실리콘 웨이퍼를 세정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이면,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에 침지하여 자연산화막을 제거한 후, 오존수에 침지하여 자연산화막을 형성하는 세정방법에 있어서, 파티클 등의 이물의 잔류나 제거한 이물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반송속도의 고속화로도 이어지므로, 스루풋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세정플로우도이다.
도 2는 반도체 웨이퍼를 오존수조 내에 삽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6, 비교예 1~4에 있어서의, 오존수조 내에의 실리콘 웨이퍼의 삽입속도와, 파티클 측정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조에 침지하여 자연산화막을 제거 후, 오존수조에 침지함으로써 산화하고, 자연산화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세정방법에서는, 파티클 등의 이물이 잔류하는 문제나 제거한 이물이 재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오존수조 내에의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을, 소정의 삽입속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파티클 등의 이물의 잔류나 제거한 이물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을 충전한 불산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불산에 침지하고, 상기 불산조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오존수를 충전한 오존수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존수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으로서, 상기 오존수조 내에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을, 적어도,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단이 상기 오존수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가 완전히 오존수에 침지될 때까지,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속도」란, 반도체 웨이퍼와 세정조의 상대속도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i)반도체 웨이퍼를 인하하여, 소정의 위치의 세정조에 삽입하는 경우의, 반도체 웨이퍼의 인하속도, (ii)세정조를 상승시켜 소정의 위치의 반도체 웨이퍼를 세정조에 삽입하는 경우의 세정조의 상승속도, (iii)반도체 웨이퍼의 인하 및 세정조의 상승이 함께 행해지고, 반도체 웨이퍼의 인하속도와 세정조의 상승속도를 더한 속도 등도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인출속도」도 마찬가지로, 반도체 웨이퍼와 세정조의 상대속도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세정플로우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정대상인 반도체 웨이퍼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할 수 있다.
반도체 웨이퍼에 대해, 불산세정의 전에, 예를 들어 암모니아·과수세정(SC1세정)이나 순수에 의한 린스를 행할 수 있다(도 1(A), (B)).
이어서,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을 충전한 불산조 내에 삽입하여, 불산에 침지하여 불산세정을 행한다(도 1(C)). 이 불산세정에서는, 반도체 웨이퍼에 형성되어 있던 자연산화막이 제거된다. 불산의 농도나 온도는 한정되지 않으나, 농도는 0.3~3.0%, 온도는 10~30℃가 바람직하다.
불산조로부터의 반도체 웨이퍼의 인출은, 인출속도 1000mm/min 이하로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불산조로부터의 반도체 웨이퍼의 인출을 비교적 저속으로 행함으로써, 한층 더, 파티클 등의 이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인출속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mm/min를 초과하는 속도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반도체 웨이퍼를, 오존수를 충전한 오존수조 내에 삽입하여, 오존수에 침지하여 세정한다(도 1(D)).
도 2는, 반도체 웨이퍼를 오존수조 내에 삽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1)를, 오존수(2)가 충전된 오존수조(3) 내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반도체 웨이퍼(1)의 하단이 오존수(2)에 접촉하고 나서(도 2(A)), 반도체 웨이퍼(1)가 완전히 오존수(2)에 침지될 때까지(도 2(B)),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50000mm/min가 장치한계이다.
불산조에서의 세정으로 자연산화막이 제거된 반도체 웨이퍼(1)는, 표면이 베어면(소수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파티클 등의 이물이 부착되기 쉽고, 또한, 반도체 웨이퍼(1)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의 양도 많다.
불산조에서의 세정 후의 오존수조에서의 세정(재산화처리)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저속(10000mm/min 정도)으로 오존수조 내에 침지하면, 산화막 형성시에 파티클 등의 이물의 제거도 동시에 행해지는데, 오존수와 반도체 웨이퍼의 상대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파티클의 탈리가 일어나기 어려워, 파티클 등의 이물이 잔류한다.
또한, 오존수의 세정액의 흐름이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방향이므로, 오존수조의 액면 부근에 파티클 등의 탈리한 이물이 체류하기 쉽다. 그러므로, 침지속도가 느리면 탈리한 파티클이 웨이퍼 상의 완전히 산화가 진행되지 않은 개소에 재부착된다.
한편으로, 본 발명과 같이, 반도체 웨이퍼(1)의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고속으로 하면, 반도체 웨이퍼(1)로부터의 파티클의 탈리가 효율좋게 이루어지고, 반도체 웨이퍼(1)를 오존수조(3) 내에 재빨리 가라앉힐 수 있으므로, 액면(조계면) 부근에서의 파티클의 재부착이 감소되어, 고품질의 웨이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반송속도의 고속화로도 이어지므로, 스루풋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웨이퍼(1)의 하단이 오존수(2)에 접촉하고 나서(도 2(A)), 반도체 웨이퍼(1)의 상단이 오존수(2)의 액면으로부터 50mm 이상의 위치가 될 때까지(도 2(C)),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반도체 웨이퍼(1)의 오존수조(3)에의 삽입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존수조(3)의 액면 부근에 체류해 있는 파티클 등의 이물의 부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도 2(C)에 있어서의 반도체 웨이퍼(1)의 상단의 위치는, 오존수(2)의 액면으로부터 200mm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존수조(3) 내에 삽입된 반도체 웨이퍼(1)는, 웨이퍼 유지부(4)에 유지된 상태로 오존수(2)에 침지된다(도 2(D)). 오존수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ppm 이상이고, 오존수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30℃이고, 바람직한 세정시간은 60~300초이다.
그 후, 반도체 웨이퍼(1)를 오존수조(3)로부터 인출한다. 이때의 인출속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0mm/min 이하로 할 수 있다. 오존수에 의한 세정 후에는, 적당히, 건조 등의 처리(도 1(E))를 행해도 된다.
한편, 오존수조 이외의 모든 조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속도는, 고속화함으로써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어, 파티클 등의 재부착의 억제나 스루풋의 개선이 기대된다. 따라서, 모든 조의 삽입속도를 고속으로, 예를 들어, 20000mm/min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비교예 1~4)
직경 300mm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암모니아·과수세정→순수린스→불산세정→오존수세정의 순으로 딥식 세정을 행하고, 그 후 건조를 행하였다. 이때, 오존수조 내에의 실리콘 웨이퍼의 삽입속도를, 실리콘 웨이퍼의 하단이 오존수에 접촉하고 나서, 실리콘 웨이퍼의 상단이 오존수의 액면으로부터 50mm의 위치가 될 때까지, 표 1에 나타내는 속도로 하여 행하였다. 오존수조 이외의 조 내에의 삽입속도는, 15000mm/min로 하고, 모든 조로부터의 인출속도는, 1000mm/min로 하였다.
건조 후, KLA-Tencor사제 SP5로, 직경 16nm 이상의 파티클에 대하여, 파티클 측정을 행하였다. 표 1에 측정된 파티클수를 나타낸다. 도 3에, 오존수조 내에의 실리콘 웨이퍼의 삽입속도와, 파티클 측정결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리콘 웨이퍼 상의 파티클수는, 오존수조에의 침지속도를 상승시켜 감과 함께 감소해 가고, 삽입속도가 20000mm/min(실시예 1) 이상이면, 웨이퍼 상의 파티클수는 수속(收束)되어 가 거의 일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시예 1~6에서는, 웨이퍼 상의 파티클수가 개선되어, 웨이퍼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한편으로, 비교예 1~비교예 4에서는, 파티클이 많이 관찰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반도체 웨이퍼를, 불산을 충전한 불산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불산에 침지하고, 상기 불산조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오존수를 충전한 오존수조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존수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으로서,
    상기 오존수조 내에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을, 적어도,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단이 상기 오존수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가 완전히 오존수에 침지될 때까지,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조로부터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인출을, 인출속도 1000mm/min 이하로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수조 내에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삽입을,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단이 상기 오존수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단이 상기 오존수의 액면으로부터 50mm 이상의 위치가 될 때까지, 삽입속도를 20000mm/min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로서, 실리콘 웨이퍼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KR1020197027585A 2017-03-29 2018-03-05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KR102466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5628 2017-03-29
JP2017065628A JP6686955B2 (ja) 2017-03-29 2017-03-29 半導体ウェーハの洗浄方法
PCT/JP2018/008197 WO2018180224A1 (ja) 2017-03-29 2018-03-05 半導体ウェーハの洗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876A true KR20190129876A (ko) 2019-11-20
KR102466269B1 KR102466269B1 (ko) 2022-11-11

Family

ID=6367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585A KR102466269B1 (ko) 2017-03-29 2018-03-05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77125B2 (ko)
JP (1) JP6686955B2 (ko)
KR (1) KR102466269B1 (ko)
CN (1) CN110447088B (ko)
DE (1) DE112018001115T5 (ko)
SG (1) SG11201908278RA (ko)
TW (1) TWI755496B (ko)
WO (1) WO2018180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5092A (ja) * 2019-08-06 2021-02-2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3483A (ja) 1996-04-08 1997-10-31 Nkk Corp 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893676B2 (ja) * 1994-05-19 1999-05-24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ェーハのhf洗浄方法
KR20170020136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웨이퍼 세정장치 및 웨이퍼 세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9615B2 (ja) * 1990-01-24 1998-12-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基板の洗浄液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77201A (ja) * 1992-06-29 199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板洗浄方法
US5415698A (en) * 1992-06-29 1995-05-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cleaning semiconductor wafers
JP3146841B2 (ja) * 1994-03-28 2001-03-19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ウエーハのリンス装置
JP2914555B2 (ja) * 1994-08-30 1999-07-05 信越半導体株式会社 半導体シリコンウェーハの洗浄方法
JP3202508B2 (ja) * 1994-11-29 2001-08-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ウェハの洗浄方法
JPH10256211A (ja) * 1997-03-11 1998-09-25 Sony Corp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
US5837662A (en) 1997-12-12 1998-11-17 Memc Electronic Materials, Inc. Post-lapping cleaning process for silicon wafers
TW426874B (en) * 1998-10-14 2001-03-2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cleaning a semiconductor wafer
US6199564B1 (en) * 1998-11-03 2001-03-13 Tokyo Electron Limite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4844912B2 (ja) * 2001-08-01 2011-12-28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JP4020810B2 (ja) * 2002-03-29 2007-12-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半導体キャリアの寿命測定装置,その方法
US20050208774A1 (en) * 2004-01-08 2005-09-22 Akira Fukunaga Wet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of substrate
JP6347232B2 (ja) * 2015-06-18 2018-06-27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ェーハ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3676B2 (ja) * 1994-05-19 1999-05-24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ェーハのhf洗浄方法
JPH09283483A (ja) 1996-04-08 1997-10-31 Nkk Corp 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20170020136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웨이퍼 세정장치 및 웨이퍼 세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86955B2 (ja) 2020-04-22
TWI755496B (zh) 2022-02-21
US11177125B2 (en) 2021-11-16
TW201841244A (zh) 2018-11-16
US20200027721A1 (en) 2020-01-23
CN110447088B (zh) 2023-03-28
SG11201908278RA (en) 2019-10-30
KR102466269B1 (ko) 2022-11-11
WO2018180224A1 (ja) 2018-10-04
CN110447088A (zh) 2019-11-12
DE112018001115T5 (de) 2019-11-21
JP2018170366A (ja)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271B1 (ko) 실리콘 웨이퍼 세정 방법
KR102474557B1 (ko)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JP6347232B2 (ja) シリコンウェーハの洗浄方法
CN109326501B (zh) 一种半导体晶圆最终抛光后的清洗方法
KR102466269B1 (ko)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WO2013179569A1 (ja) 半導体ウェーハの洗浄方法
US11114317B2 (en) Method for cleaning semiconductor waf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wafer using the method for cleaning
KR101429594B1 (ko) 세정 방법
US6451124B1 (en) Process for the chem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wafers
JP2006269960A (ja)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および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KR20220094152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230005174A (ko)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방법
JPH056884A (ja) シリコンウエハーの洗浄方法
KR100199376B1 (ko) 세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웨이퍼 세정 방법
JPH07321080A (ja) シリコンウェハーの洗浄方法
US65002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t cleaning wafers without ammonia vapor damage
JP2001284309A (ja) 容器の処理方法
KR970001344Y1 (ko)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장치
JPH087838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266467A (ja) 半導体製造装置及び半導体製造方法
JP2004281860A (ja) 基板収納容器,基板のエッチング方法及び基板の洗浄方法
JPH05343380A (ja)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
JP2010123773A (ja) ウェハ洗浄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64007A (ja) 半導体基板の洗浄装置
JPH06151404A (ja) 基板の溶液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基板の溶液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