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037A -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037A
KR20190122037A KR1020180045677A KR20180045677A KR20190122037A KR 20190122037 A KR20190122037 A KR 20190122037A KR 1020180045677 A KR1020180045677 A KR 1020180045677A KR 20180045677 A KR20180045677 A KR 20180045677A KR 20190122037 A KR20190122037 A KR 2019012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weight
ginseng
preparing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횡
Original Assignee
강기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횡 filed Critical 강기횡
Priority to KR102018004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2037A/ko
Publication of KR2019012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6Homoge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은,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하는 단계; 상기 새싹인삼을 잎, 줄기, 뿌리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티백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Jinseng Tea}
본 발명은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경재배를 통해 기른 새싹인삼을 채취한 후 잎, 줄기, 뿌리로 분리하여 분쇄시킨 후 분쇄된 뿌리에 추가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새싹인삼 차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인체의 여러 생리 기능성을 조절해주는 유용한 약용작물 중에서도 대표적인 작물이다. 그동안 인삼은 대부분 뿌리를 이용하여 약용 및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인삼의 지상부인 인삼 잎이 지하부인 뿌리 부분 보다 사포닌 함량이 더 많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그리하여 잎, 줄기, 뿌리를 모두 섭취할 수 있는 새싹인삼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특히 수경재배를 통해 새싹인삼을 키우기 때문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새싹인삼을 재배할 수 있다.
새싹인삼은 하나 당 16.5%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5년근 재배인삼보다 그 함량이 6배가 높으며, 특히 항암작용에 뛰어는 Rh1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새싹인삼 한 뿌리 당 비타민 C의 함량은 65.9mg/g으로 새싹인삼 두 뿌리를 섭취하면 비타민 C의 1일 권장량인 100mg이 넘는 비타민 C를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새싹인삼을 섭취하는 방법으로는 요리에 첨가하거나 쌈 채소로 활용하여 섭취하는 방법 및 차로 끓여 마시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특히, 뜨거운 물에 새싹인삼을 우려내어 차를 마시는 방법이 새싹인삼의 쓴 맛에 대해 큰 거부감이 들지 않아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인데, 이로 인해 새싹인삼을 제조하는 여러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829355호(발명의 명칭 :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 제조방법)에서는 인삼 묘삼의 싹을 키워 인삼 새싹을 수확하는 수확단계와, 수확된 새싹들 중에서 잎과 줄기 또는 뿌리가 분리되지 않은 새싹을 선별해 골라내는 선별단계와, 선별된 새싹 인삼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새싹 인삼을 45℃로 온도 조절된 건조기에서 3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열풍 건조단계와, 열풍 건조된 새싹 인삼을 실온에서 냉각하는 실온 냉각단계와, 실온 냉각된 새싹 인삼을 손으로 바닥에 비벼 용수철 모양으로 만드는 성형단계와, 용수철 모양으로 성형 된 새싹 인삼을 90℃~100℃로 온도 조절된 건조실에서 5~6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새싹 인삼을 0.01~100mesh로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단계와, 분말 인삼 1~3중량%에 물 97~99중량%를 혼합하여 인삼액을 제조하는 인삼액 제조단계와, 제조된 인삼액을 상기 선별단계를 통해 선별된 새싹 인삼에 분사하는 분사단계와, 인삼액이 분사된 새싹 인삼을 60℃로 온도 조절된 건조실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건조 성형하는 건조 성형단계를 제시하여 장기간 저장 및 유통이 가능하고 우수한 약리 기능을 제공하는 새싹 인삼을 이용한 인삼차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66736호(발명의 명칭 : 새싹인삼 잎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새싹인삼 잎차)에서는 상기 새싹인삼 잎을 마이크로파로 건조함으로서 총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향상 및 관능적 품질이 향상된 새싹인삼 잎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새싹인삼 잎을 채취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1공정에서 세척된 새싹인삼 잎을 건물중이 10~15%가 되도록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400~900W로 1~1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2공정에서 건조된 새싹인삼 잎을 100~150℃에서 1~10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두 발명은 새싹인삼 차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건조 과정에서 새싹인삼 고유의 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싹인삼의 보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한 후 잎, 줄기, 뿌리로 분리하여 건조 및 분쇄 과정을 통해 새싹인삼 차를 제조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싹인삼 잎을 분쇄하여 제조된 제 1 코팅액을 분쇄된 뿌리 표면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비즈왁스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액을 코팅층 상면에 도포하여 보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폴리페놀류 화합물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추가 코팅액을 보존 코팅층 상면에 도포하여 추가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은,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하는 단계; 상기 새싹인삼을 잎, 줄기, 뿌리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티백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 사이에는, 전체 제 1 코팅액 중량 대비, 새싹인삼의 잎을 채취한 후 상기 잎보다 작은 메쉬(mesh)로 분쇄된 잎 10 내지 40중량%와 물 60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뿌리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요철이 형성된 상기 뿌리를 상기 제 1 코팅액에 담지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건조된 상기 잎, 줄기, 뿌리의 표면에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비즈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 2 코팅액을 도포하여 보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 2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메틸셀룰로오스 5 내지 10중량%, 물 20 내지 50중량%, 에탄올 40 내지 70중량%, 가소제 1 내지 5중량%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에서 10 내지 20분 간 가열 교반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스테아르산 40 내지 60중량%와 팔미트산 40 내지 60중량%로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제 3 용액 중량 대비, 에틸셀룰로오스 1 내지 10중량%와 제 2 용액 1 내지 10중량% 및 에탄올 80 내지 95중량%를 60 내지 80℃로 가열 교반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제 제 4 용액 중량 대비, 비즈왁스 10 내지 30중량%와 에탄올 70 내지 90중량%를 60 내지 80℃로 가열 교반하여 제 4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제 2 코팅액 중량 대비, 상기 제 1 용액 40 내지 70중량%와 상기 제 3 용액 10 내지 40중량% 및 상기 제 4 용액 10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 차 제조 방법은,
1) 새싹인삼을 잎, 줄기, 뿌리로 분리하여 건조 및 분쇄함으로써, 새싹인삼 차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고,
2) 분쇄된 뿌리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새싹인삼의 약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3) 보존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습기를 흡수하여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추가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유지시켜 향기로운 새싹인삼 차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의 기본적인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의 세부적인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뿌리의 표면에 코팅층, 보존 코팅층, 점도층, 추가 코팅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코팅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도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코팅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의 기본적인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하는 단계(S100)와, 새싹인삼을 분리하는 단계(S200) 및, 분리된 새싹인삼을 분쇄하는 단계(S300)와, 분쇄된 새싹인삼을 건조시키는 단계(S400) 및, 건조된 새싹인삼을 티백 처리하는 단계(S8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하는 단계(S100)는 묘삼을 심은 후 묘삼에서 뿌리(10), 줄기, 잎이 모두 형성된 직후의 인삼인 새싹인삼을 선별하여 채취한 후 이를 세척하는 과정으로서, 순화시킨 묘삼을 수경 재배 방식을 통해 키운 후 줄기와 잎이 완성된(즉, 전엽이 완료된) 새싹인삼을 선별한 후 세척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새싹인삼을 분리하는 단계(S200)는 세척된 새싹인삼을 잎, 줄기, 뿌리(10)로 분리하는 과정이고, 분리된 새싹인삼을 분쇄하는 단계(S300)는 분리된 새싹인삼의 잎, 줄기, 뿌리(10)를 각각 분쇄하는 과정이다.
이때 잎, 줄기, 뿌리(10)를 모두 같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으며, 또는 잎은 0.1 내지 2mm의 크기로, 줄기와 뿌리(10)는 0.5 내지 2cm의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줄기 및 뿌리(10)보다 잎을 더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새싹인삼의 잎에 줄기 및 뿌리(10)보다 더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잎을 더 작은 크기로 분쇄하여 표면적을 증가시켜 뜨거운 물에 의해 잎에 함유된 사포닌이 최대한 많이 그리고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분쇄된 새싹인삼을 건조시키는 단계(S400)는 분쇄된 새싹인삼의 잎, 줄기, 뿌리(10)를 건조시키는 과정이다.
이는 새싹인삼의 잎, 줄기, 뿌리(10)에 존재하는 수분을 모두 증발시켜 건조된 잎, 줄기, 뿌리(10)를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하고 새싹인삼 차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잎, 줄기, 뿌리(10)를 말리는 방법은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동결 건조 등이 있으며,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마지막으로, 건조된 새싹인삼을 티백 처리하는 단계(S800)는 열풍 건조된 새싹인삼의 잎, 줄기, 뿌리(10)를 티백 처리하여 새싹인삼 차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완성된 티백 형태의 새싹인삼 차는 뜨거운 물에 우려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싹인삼 차를 제조하는 기본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새싹인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고유의 향을 잃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새싹인삼 차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유지함과 동시에 새싹인삼의 중요 성분인 사포닌의 함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음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도 2와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의 세부적인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뿌리(10)의 표면에 코팅층(20), 보존 코팅층(30), 점도층(40), 추가 코팅(50)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새싹인삼 차의 보존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새싹인삼을 분쇄하는 단계(S300)와 건조시키는 단계(S400) 사이에는, 제 1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S310)와, 분쇄된 뿌리(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S320) 및, 요철이 형성된 뿌리(10)를 제 1 코팅액에 담지시켜 코팅층(20)을 형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S310)는 별전체 제 1 코팅액 중량 대비, 새싹인삼의 잎을 채취한 후 상기 잎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된 잎 10 내지 40중량%와 물 60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코팅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잎은 뿌리(10)에 비해 8 내지 9배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 별도의 새싹인삼으로부터 잎을 채취 및 분쇄함으로써 새싹인삼 차를 마시는 사람이 사포닌을 많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코팅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즉, 이는 새싹인삼 중 사포닌이 가장 많이 함유된 부분인 새싹인삼의 잎을 주재료로 하는 제 1 코팅액을 제조함으로써 후술할 코팅층(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분쇄된 뿌리(10)의 표면에 코팅층(20)을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 1 코팅액은 상기 잎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어, 0.01 내지 0.1mm)로 분쇄한 잎을 물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이는 물과의 혼합력을 높이고 뿌리(10)의 표면에 코팅층(20)이 잘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후,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S320)는, 분쇄된 뿌리(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뿌리(10)의 표면적을 넓혀 보다 큰 면적에 코팅층(20)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뿌리(10)의 표면은 흔히 칼집을 내는 방법이나 요철 무늬가 인각된 롤러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뿌리(10)를 누르거나 두드리는 방법을 통해 요철을 형성할 수 있으며, 뿌리(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그 제한이 없다.
마지막으로, 코팅층(20)을 형성하는 단계(S330)는 분쇄된 뿌리(10)를 새싹인삼의 잎과 물의 혼합물인 제 1 코팅액에 담지시켜 뿌리(10)의 표면을 코팅 처리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분쇄된 뿌리(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표면적이 넓어진 뿌리(10)를 제 1 코팅액에 담지시킴으로써, 사포닌 함량이 많은 잎을 뿌리(10)의 표면에 코팅하여 코팅층(20)을 형성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포닌의 함량이 높은 새싹인삼 잎으로 제조된 제 1 코팅액에 뿌리(10)를 담지시켜 뿌리(10)의 표면에 코팅층(20)을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사포닌의 함량이 적은 뿌리(10)의 영양학적 측면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코팅층(20)이 형성된 뿌리(10)의 표면에 셀룰로오스 및 비즈왁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 코팅액을 도포하여 새싹인삼의 보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제공하는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코팅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건조시키는 단계(S400) 이후에는 코팅층(20)의 상면에 제 2 코팅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단계(S500)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보존 코팅층(30)은 건조된 새싹인삼의 보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제 2 코팅액은 수분, 가스, 용질의 투과 저해성을 가지는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한다.
즉,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분에 대한 투과 저해성을 갖는 셀룰로오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존 코팅층(30)을 통해 건조된 새싹인삼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미생물이 번식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제 2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는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10)와,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20) 및,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30)와, 제 4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S540) 및 제 2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10)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메틸셀룰로오스 5 내지 10중량%, 물 20 내지 50중량%, 에탄올 40 내지 70중량%, 가소제 1 내지 5중량%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에서 10 내지 20분 간 가열 교반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하나인 메틸셀룰로오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성의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가소제는 후술할 보존 코팅층(30)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로는 솔비톨, 글리세린, 글리세롤, PEG 등이 있으나 솔비톨, 글리세린, 글리세롤이 첨가될 경우 보존 코팅층(30)이 부서지기 쉬우므로 PEG를 가소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제 1 용액은 그 점도가 10 내지 20cP, 바람직하게는 15cP인 것이 후술할 보존 코팅층(30)이 형성되기에 적합하며, 메틸셀룰로오스는 50 내지 55℃에서 겔을 형성하므로 상기 온도 조건(80 내지 90℃)에서 가열 교반하여 혼합이 잘 되도록 한 후 50 내지 55℃까지 냉각시켜 겔이 형성됨으로써 잎, 줄기, 뿌리(10) 표면에 후술할 보존 코팅층(3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은 후술할 보존 코팅층(30)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용매의 증발 시간을 감소시키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제 1 용액 제조 시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40 내지 70중량%의 에탄올을 첨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20)는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스테아르산 40 내지 60중량%와 팔미트산 40 내지 60중량%로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40 내지 60중량%(바람직하게는 45중량%)일 때 투습도가 최소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스테아르산 40 내지 60중량%와 팔미트산 40 내지 60중량%로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30)는 전체 제 3 용액 중량 대비, 에틸셀룰로오스 1 내지 10중량%와 제 2 용액 1 내지 10중량% 및 에탄올 80 내지 95중량%를 60 내지 80℃로 가열 교반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에틸셀룰로오스는 제 3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후술할 비즈왁스의 혼합이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하이드로콜로이드성의 상기 제 1 용액과의 혼합 역시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 4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40)는 전제 제 4 용액 중량 대비, 비즈왁스 10 내지 30중량%와 에탄올 70 내지 90중량%를 60 내지 80℃로 가열 교반하여 제 4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비즈왁스는 투습도가 매우 낮은 지질(Lipid)로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투과를 저해하여 물질의 보존성(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새싹인삼의 보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이다.
마지막으로, 제 2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S550)는 전체 코팅액 중량 대비 제 1 용액 40 내지 70중량%와 제 3 용액 10 내지 40중량% 및 제 4 용액 10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코팅액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제 2 코팅액은 하이드로콜로이드인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지질인 비즈왁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셀룰로오스의 우수한 산소 투과 저해성과 비즈왁스의 우수한 수증기 투과 저해성을 기반으로 건조된 새싹인삼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분리된 잎, 줄기, 뿌리(10)를 말리는 단계가 진행된다고 하였는데, 이때 말리는 과정에서 새싹인삼 특유의 향이 많이 소실될 수 있다. 이는 새싹인삼 차 고유의 향을 저해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존 코팅층(30)의 상면에 향을 보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 코팅층(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존 코팅층(30)과 추가 코팅층(50)이 분리되지 않고 잘 유지시키기 위하여 보존 코팅층(30)과 추가 코팅층(50) 사이에 점도액을 도포하여 점도층(4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추가 코팅층(50)을 설명하기에 앞서 점도층(4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점도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단계(S500) 이후에는 보존 코팅층(30)의 상면에 점도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점도층(40)을 형성하는 단계(S6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점도층(40)은 상술한 보존 코팅층(30)과 후술할 추가 코팅층(5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점도층(40)을 형성하는 점도액은 키틴 및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점도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준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610)와,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S620) 및, 침전물을 중화시키는 단계(S630)와,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는 단계(S640) 및, 점도액을 완성하는 단계(S6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준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610)는 전체 준비 용액 중량 대비, 키틴 30 내지 70중량%와 수산화나트륨 30 내지 70중량%를 혼합한 후 150 내지 20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준비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키틴은 고분자 화합물인 셀룰로오스와 유사한 구조를 지닌 천연고분자 다당류로서, 셀룰로오스의 뼈대에 단백질의 특수 성분인 질소를 부가시킨 구조를 지닌다. 여기서 키틴이 함유하고 있는 아세틸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는데, 수산화나트륨의 상은 액상이나 고상일 수 있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키틴의 과도한 가수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키틴이 갖고 있는 아세틸기가 제거되어 키토산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준비 용액은 앞으로 제조될 점도액의 점성을 향상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S620)는 준비 용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준비 용액에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써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침전물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후술할 중화시키는 단계에서 양잿물의 성분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수산화나트륨을 제하고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침전물만을 얻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침전물을 중화시키는 단계(S630)는 침전물을 물로 수회 세척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이다.
이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수산화나트륨을 씻어내어 침전물을 중화시키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산화나트륨은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 섭취 시 인체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끼치므로, 준비 용액을 제조하면서 첨가한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는 것이 점도액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는 단계(S640)는 중화된 침전물에 전체 중간 침전물 중량 대비 아세트산 0.1 내지 1중량%를 첨가하여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중화된 침전물에 잔여하는 수산화나트륨을 아세트산과의 중화 반응을 통해 추가적으로 제거하여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를 섭취하는 사람의 신체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면서 다른 종류의 산을 통해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할 수 있으나,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면서 잔여하게 되는 아세트산은 미량 섭취를 해도 인체에 큰 영향이 없기 때문에 중간 침전물 제조 시 아세트산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점도액을 완성하는 단계(S650)는 전체 점도액 중량 대비, 중간 침전물 30 내지 70중량%와 정제 목초액 3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여 점도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중간 침전물은 여전히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이러한 중간 침전물을 정제된 목초액과 혼합하면 점성을 가지는 천연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혼합된 정제 목초액은 천연 추출물 중의 하나로서 목재의 탄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목초액은 항균, 살균, 항산화 효과, 향취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첨가제로 사용되어 왔는데,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목초액에 포함된 발암물질(예를 들어, 목타르, 페놀류, 메탄올 등)을 제거하여 목초액을 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도액에 의해 형성된 점도층(40)은 상기 보존 코팅층(30)과 후술할 추가 코팅층(50)을 견고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제 이러한 점도층(40)의 상면에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보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 코팅층(5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코팅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점도층(40)을 형성하는 단계(S600) 이후에는 점도층(40)의 상면에 폴리페놀류 화합물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카제인나트륨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추가 코팅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추가 코팅층(50)을 형성하는 단계(S7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추가 코팅층(50)을 형성하는 추가 코팅액은 폴리페놀류 화합물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카제인나트륨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폴리페놀류 화합물은 향 보존제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여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보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페놀류 화합물의 예로 이소플라본, 탄닌, 카테킨 등 천연 향료와 시나몬 잎 오일, 페퍼민트 오일, 오렌지 오일, 피톤치드 오일 등 정유(Essential oil)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폴리페놀류 화합물은 항산화제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시력 개선, 혈관 보호 등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카제인나트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추가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추가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710)와,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720) 및, 추가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S7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710)는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폴리페놀류 화합물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60 내지 70℃에서 교반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여기서 에탄올은 폴리페놀류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용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폴리페놀류 화합물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720)는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사이클로덱스트린 0.1 내지 10중량%와 카제인나트륨 0.1 내지 10중량% 및 물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사이클로덱스트린은 6 내지 8개의 글루코오스가 α-1,4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분자 내부가 소수성을 띠고 있어 각종 분자들과 포접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탈취, 휘발성 물질의 안정화, 난용성 물질의 유화 작용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물에 잘 녹지 않는 폴리페놀류 화합물이 잘 유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유발하는 분자를 포접하여 새싹인삼의 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제인나트륨은 TV 광고에 의해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잘 알려져 있으나, 이는 유제품 속에 들어있는 단백질 중 하나인 카제인에 나트륨을 붙인 것이다. 이러한 카제인나트륨은 상기 단계에서 유화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공기와 물, 지방과 물 사이의 액상 계면을 흡수하는 강한 결합력을 보여 유화를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후술할 추가 코팅액의 에멀젼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가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S730)는 전체 추가 코팅액 중량 대비, 1차 용액 1 내지 10중량%와 2차 용액 90 내지 99중량%를 균질기로 12,000 내지 14,000rpm으로 10 내지 20분간 교반하여 추가 코팅액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균질기는 액상 시료 내의 입자를 작게 잘라주고 분산, 균질화, 유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구로서, 폴리페놀류 화합물이 포함된 1차 용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된 2차 용액이 골고루 교반되어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제조된 추가 코팅액은 에멀젼의 형상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에멀젼 형상의 추가 코팅액을 상기 점도층(40)의 상면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추가 코팅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추가 코팅층(50)은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유실될 수 있는 새싹인삼 고유의 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새싹인삼 차를 섭취하는 사람이 새싹인삼 향을 충분히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대조예를 들어 비교함으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될 실시예 및 대조예에 대해서는 25명의 평가단이 관찰 및 시식을 하고 향을 평가하여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와 시판 새싹인삼 차의 향을 각각 매우 좋음(5), 좋음(4), 보통(3), 나쁨(2), 매우 나쁨(1)의 5단계로 평가하여 그 평균점을 판정하였다.
이때 향은 평가단이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를 섭취할 때 느껴지는 새싹인삼 고유의 향에 대한 평가단의 기호를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와 시판 새싹인삼 차의 향이 잘 느껴질수록 매우 좋음(5)에 가깝게, 새싹인삼 차의 향이 나지 않을수록 매우 나쁨(1)에 가깝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 후 잎, 줄기, 뿌리(10)로 분리한 다음 1mm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다음으로, 분쇄된 새싹인삼 잎보다 더 작은 크기로 분쇄된 잎 20g과 물 80g을 혼합하여 제 1 코팅액을 제조한 후, 분쇄된 뿌리(10)를 담지시켜 뿌리(10)의 표면에 코팅층(20)을 형성하였다.
이후, 메틸셀룰로오스 7g, 물 35g, 에탄올 50g, 가소제 1g을 혼합한 후 80℃에서 10분 간 가열 교반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였고, 스테아르산 5g과 팔미트산 5g을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에틸셀룰로오스 1g, 제 2 용액 5g, 에탄올 80g을 혼합한 후 70℃에서 가열 교반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였고, 비즈왁스 10g과 에탄올 80g을 혼합한 후 가열 교반하여 제 4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제 1 용액 50g, 제 3 용액 20g, 제 4 용액 20g을 혼합하여 제 2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 2 코팅액을 코팅층(20)의 상면에 20㎛ 두께로 도포하여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키틴 3g, 수산화나트륨 7g을 혼합한 후 17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준비 용액을 제조하였고, 준비 용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였으며, 침전물을 물로 10회 세척하여 중화시켰고, 중화된 침전물에 0.5g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였으며, 중간 침전물 3g과 정제 목초액 7g을 혼합하여 점도액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점도액을 보존 코팅층(30)의 상면에 10㎛ 두께로 도포하여 점도층(40)을 형성하였다.
이후, 피톤치드 오일 0.1g과 에탄올 8g을 혼합한 후 60℃ 교반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였고, 사이클로덱스트린 0.8g, 카제인나트륨 0.2g, 물 100g을 혼합 및 교반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2차 용액에 1차 용액 10g을 첨가한 후 균질기로 13500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추가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추가 코팅액을 점도층(40)의 상면에 20㎛ 두께로 도포하여 추가 코팅층(5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40℃에서 분쇄된 잎 및 줄기와 코팅층(20), 보존 코팅층(30), 점도층(40), 추가 코팅층(50)이 형성된 뿌리(10)를 열풍 건조시킨 후 티백 처리하여 새싹인삼 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코팅층(20)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새싹인삼 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3>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새싹인삼 차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추가 코팅층(50)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새싹인삼 차를 제조한다.
<대조예>
시판 새싹인삼 차.
도 7은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에 나타난 바를 통해, 평가단이 실시예와 대조예를 섭취한 후 향을 평균 점수로 표현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며, 앞서 설명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대조예와 비교하여 높은 평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새싹인삼 차(실시예 1 내지 4)는 평가단이 향에서 대조예인 시판 새싹인삼 차보다 향이 더 잘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코팅층(20)을 형성하는 단계와 보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추가 코팅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한 향의 유지 기능을 파악할 수 있어 각 공정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뿌리 20 : 코팅층
30 : 보존 코팅층 40 : 점도층
50 : 추가 코팅층
S100 :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하는 단계
S200 : 잎, 줄기, 뿌리로 분리하는 단계
S300 : 분쇄하는 단계
S310 : 제 1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S320 : 뿌리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S330 :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S400 : 건조시키는 단계
S500 : 보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S510 :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520 :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530 :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540 : 제 4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550 : 제 2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
S600 : 점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S610 : 준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620 :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S630 : 중화시키는 단계
S640 :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는 단계
S650 : 점도액을 완성하는 단계
S700 : 추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S710 :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720 :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730 : 추가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
S800 : 티백 처리하는 단계

Claims (8)

  1.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으로서,
    새싹인삼을 채취 및 세척하는 단계;
    상기 새싹인삼을 잎, 줄기, 뿌리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상기 잎, 줄기, 뿌리를 티백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 사이에는,
    전체 제 1 코팅액 중량 대비, 새싹인삼의 잎을 채취한 후 상기 잎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된 잎 10 내지 40중량%와 물 60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뿌리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요철이 형성된 상기 뿌리를 상기 제 1 코팅액에 담지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건조된 상기 잎, 줄기, 뿌리의 표면에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비즈왁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 2 코팅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보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메틸셀룰로오스 5 내지 10중량%, 물 20 내지 50중량%, 에탄올 40 내지 70중량%, 가소제 1 내지 5중량%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에서 10 내지 20분 간 가열 교반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스테아르산 40 내지 60중량%와 팔미트산 40 내지 60중량%로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제 3 용액 중량 대비, 에틸셀룰로오스 1 내지 10중량%와 상기 제 2 용액 1 내지 10중량% 및 에탄올 80 내지 95중량%를 60 내지 80℃로 가열 교반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제 제 4 용액 중량 대비, 비즈왁스 10 내지 30중량%와 에탄올 70 내지 90중량%를 60 내지 80℃로 가열 교반하여 제 4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제 2 코팅액 중량 대비, 상기 제 1 용액 40 내지 70중량%와 상기 제 3 용액 10 내지 40중량% 및 상기 제 4 용액 10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보존 코팅층의 상면에 키틴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점도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점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준비 용액 중량 대비, 키틴 30 내지 70중량%와 수산화나트륨 30 내지 70중량%를 혼합한 후 150 내지 20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준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준비 용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전물을 물로 수회 세척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중화된 상기 침전물에 전체 중간 침전물 중량 대비 아세트산 0.1 내지 1중량%를 첨가하여 중간 침전물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점도액 중량 대비, 상기 중간 침전물 30 내지 70중량%와 정제 목초액 3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여 점도액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점도층의 상면에 폴리페놀류 화합물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카제인나트륨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추가 코팅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추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페놀류 화합물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60 내지 70℃에서 교반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사이클로덱스트린 0.1 내지 10중량%와 카제인나트륨 0.1 내지 10중량% 및 물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추가 코팅액 중량 대비, 상기 1차 용액 1 내지 10중량%와 상기 2차 용액 90 내지 99중량%를 균질기로 12,000 내지 14,000rpm으로 10 내지 20분간 교반하여 추가 코팅액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KR1020180045677A 2018-04-19 2018-04-19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KR20190122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77A KR20190122037A (ko) 2018-04-19 2018-04-19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77A KR20190122037A (ko) 2018-04-19 2018-04-19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37A true KR20190122037A (ko) 2019-10-29

Family

ID=6842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77A KR20190122037A (ko) 2018-04-19 2018-04-19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2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09B1 (ko) * 2021-03-03 2021-10-25 정성열 새싹인삼과립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새싹인삼과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09B1 (ko) * 2021-03-03 2021-10-25 정성열 새싹인삼과립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새싹인삼과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CN103478885B (zh) 一种含有茶树花提取物的烟草薄片及其制备方法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CN110628508A (zh) 生津增润的复方植物提取物的制备方法和冷萃电子烟油
KR101582275B1 (ko) 초록색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초록색 고춧가루
KR20160113533A (ko)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410810B (zh) 一种柳叶蜡梅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16846A (ko) 비파잎을 이용한 화장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화장수
KR20090132127A (ko) 기호성이 우수한 감귤향 녹차, 유채꽃향 녹차, 동백꽃향녹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2037A (ko) 새싹인삼 차의 제조 방법
KR101808586B1 (ko) 정유성분을 제거한 고순도 흑마늘 진액의 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CN110613036A (zh) 一种柚子花桑叶茶及其制备方法
KR101996467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양파즙의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25813B1 (ko) 자소, 어성초 및 녹차를 함유하는 도라지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94013A (zh) 一种蒲公英黑茶及其生产方法
KR20130031729A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801B1 (ko) 복분자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고춧가루
CN106719950A (zh) 一种防治番茄病毒病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106184B1 (ko) 참가시나뭇잎 액기스 제조 방법
KR20100121008A (ko) 장뇌삼이 함유된 맛김의 제조방법
JP5509495B2 (ja) 植物抽出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93687B1 (ko) 파파야 잎 차, 이의 추추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0948B1 (ko) 울금을 이용한 캔디, 캐러멜, 젤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