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860A - 부직포 - Google Patents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860A
KR20190121860A KR1020197030268A KR20197030268A KR20190121860A KR 20190121860 A KR20190121860 A KR 20190121860A KR 1020197030268 A KR1020197030268 A KR 1020197030268A KR 20197030268 A KR20197030268 A KR 20197030268A KR 20190121860 A KR20190121860 A KR 2019012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movable layer
less
reg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370B1 (ko
Inventor
요시히코 세토
요시히코 기누가사
마사히로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combination with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other than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otherwise than in a plane, e.g. in a tubular wa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표리의 면 (10SA, 10SB) 을 구비한 가동층 (4) 을 갖고, 가동층 (4) 이, 상기 표리의 면의 일방의 면이 타방의 면에 대하여 그 일방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5 ㎜ 이상 가동할 수 있는 가동역을 갖는, 부직포 (10).

Description

부직포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베이비용 기저귀, 어른용 기저귀, 생리 용품, 아이마스크, 마스크 등에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부직포에 대해 여러 가지 기능을 갖게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부직포는, 일방의 면측에 돌출하는 제 1 돌출부와 일방의 면과는 반대면측에 돌출하는 제 2 돌출부가 면내의 상이한 2 방향을 향해 환상 (環狀) 구조의 벽부를 개재하여 복수 번갈아 퍼져 연속하고 있다. 이 부직포는, 피부에 대하여 점 접촉함으로써 부드럽게 접촉하는 양호한 촉감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 1 돌출부의 섬유 밀도가 제 2 돌출부의 섬유 밀도보다 낮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직물은, 벌크성 및 신장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서, 적어도 제 1 섬유와 제 2 섬유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제 1 섬유 수축률과 제 2 섬유 수축률의 차가 적어도 약 8 % 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부직포는, 볼록조부를 착용자의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볼록조부의 정부 (頂部) 인 정부역과 오목조부의 저부인 저부역의 사이에 있는 측부역의 섬유 밀도가, 정부역의 섬유 밀도 및 저부역의 섬유 밀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67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102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79529호
본 발명은, 부직포의 표리의 면을 구비한 가동층을 갖고, 그 가동층이, 상기 표리의 면 중 일방의 면이 타방의 면에 대하여 그 일방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5 ㎜ 이상 가동할 수 있는 가동역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적절히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기재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표면 시트로서 사용한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부직포의 표면을 따른 방향의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A) 도는 측정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 도는 측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부직포의 F1-F1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나타내는 부직포의 F2-F2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A) 도는 부직포의 조감도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고, (B) 도는 (A) 도의 P 부분의 주사 전자 현미경의 화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은, 구성 섬유의 개수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중의 P 부분의 주사 전자 현미경의 화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은, 섬유 배향도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중의 P 부분의 주사 전자 현미경의 화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은, 심 (芯) 의 수지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의 수지 성분이 폴리에틸렌인 심초 (core/sheath) 형 복합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의, 1 일 압축 후의 회복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부직포를 표면 시트로서 사용한 기저귀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A) 도는 지지체 수재 (雄材) 상에 섬유 웨브를 배치하고, 지지체 암재 (雌材) 를 상기 섬유 웨브 상으로부터 지지체 수재에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B) 도는 지지체 암재의 상방으로부터 제 1 열풍을 들이대어 섬유 웨브를 부형하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C) 도는 지지체 암재를 제거하여, 부형된 섬유 웨브의 상방으로부터 제 2 열풍을 분사하여 섬유끼리를 융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피부면에 대하여 우수한 추종성을 구비하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의 표면 또는 이면과 피부면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면이 움직일 때에 피부면에 대하여 부직포에 의한 쓸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피부면의 보호의 관점에서, 부직포가 종래보다 유연하게 변형하여 피부면에 대한 추종성을 높이고, 쓸림의 발생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점,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기재의 부직포에서는, 압력에 대한 부직포 전체의 형상 변형을 적게 억제할 수 있지만, 부직포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피부면의 움직임에 대한 부직포의 추종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기재의 부직포에서는 양면에 요철이 없는 플랫면을 갖는 부직포이기 때문에, 기복 등이 있는 장착 피부면에 대한 추종성이 낮고, 부직포면과 피부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 커져 상기의 쓸림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 기재의 부직포에서는, 볼록조부가 착용자의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피부면의 움직임에 대한 부직포의 추종성에는, 더욱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피부면에 대하여 우수한 추종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10) 는, 표리의 면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리의 면을, 표면 (10SA) 과, 그 표면 (10SA) 과는 반대측의 면을 이면 (10SB) 으로서 설명한다. 또,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표면 (10SA) 을 육안으로 보는 면 (관찰면) 으로서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부직포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면 (10SB) 을 육안으로 보는 면 (관찰면) 으로 해도 된다.
부직포 (10) 는, 표면 (10SA) 및 이면 (10SB) 을 구비한 가동층 (4) 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층 (4) 은,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으로, 표면측 (4S), 이면측 (4B) 및 가동층의 내부측 (4M) 의 영역을 갖는다. 표면측 (4S) 의 영역이란,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에서 보아, 볼 수 있는 섬유가 존재하고 있는 두께 방향의 영역을 말하고, 이면측 (4B) 의 영역이란, 부직포 (10) 의 이면 (10SB) 에서 보아, 볼 수 있는 섬유가 존재하고 있는 두께 방향의 영역을 말한다. 가동층의 내부측 (4M) 의 영역이란, 두께 방향으로 표면측 (4S) 과 이면측 (4B) 에 끼인 영역을 말한다. 즉,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의 영역은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을 포함하고, 가동층 (4) 의 이면측 (4B) 의 영역은 이면 (10SB) 을 포함한다.
가동층 (4) 은, 부직포 (10) 의 일방의 면이 타방의 면에 대하여, 즉, 표면 (10SA), 이면 (10SB) 이 각각 이면 (10SB), 표면 (10SA) 에 대하여, 평면 방향으로 5 ㎜ 이상 가동할 수 있는 가동역을 갖는다 (이하, 가동역의 크기를 「움직이는 범위」 또는 「가동량」 이라고도 한다.). 가동층 (4) 의 가동량은, 바람직하게는 6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이다. 가동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에 대한 첩부 (貼付) 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9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가동층 (4) 의 가동역에 있어서,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과 이면 (10SB) 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이, 피부와 부직포 (10) 의 마찰력 이하의 힘으로 가동하기 시작할 수 있는 변형성이 높은 중간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이하, 가동층 (4) 에 대해, 표면 (10SA) 이 이면 (10SB) 에 대하여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으로 가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면 (10SB) 이 표면 (10SA) 에 대하여 가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도 1 은,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피부면 (SK) 에 맞닿고, 이면 (10SB) 에 대하여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가동층 (4) 을 나타내고 있다.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이란, 부직포 (10) 를 펼쳐 그 이면 (10SB) 측을 평면 상에 두었을 경우,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에 접촉하도록 배치한 가상 평면을 따른 방향을 말한다. 따르는 방향이란,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가동층 (4) 이란,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으로 외력 (EF) (도 1 중, 화살표 EF 로 나타낸다) 이 가해졌을 경우에, 그 외력 (EF) 이 가해진 방향으로 표면 (10SA) 이 이면 (10SB) 에 대하여 움직이는 층을 말한다. 부직포 (10) 전체가 가동층 (4)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층 (4) 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후술하는 요철부를 갖고, 벽부를 갖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또는 이면 (10SB) 에 볼록부를 갖는 경우, 표면이 움직이는 범위를 D, 겉보기 두께를 t, 외각을 θ 로 하면, 하기 식 (1) 인 관계를 갖는다.
D = |t·cosθ| (1)
또, 부직포 (10) 가 요철을 갖지 않고, 표면 (10SA) 및 이면 (10SB) 모두 플랫한 면인 경우이더라도 가동층 (4) 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는 부직포 (10) 의 겉보기 두께에 제한받지 않는다. 가동층 (4) 의 섬유가 접혀 겉보기 두께가 얇아져 있어도, 움직이는 범위가 확보될 수 있다. 즉, 겉보기 두께 이상으로 가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겉보기 두께란,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부직포 (10) 의 두께이다.
가동층 (4) 의 가동성은, 가동층의 내부측 (4M) 의 섬유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어, 가동층의 내부측 (4M) 에, 가동층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보다,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적은 영역이 있는 것,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적은 영역이 있는 것, 섬유가 수직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영역이 있는 것 등에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피부면 (SK) 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표면 (10SA) 이 피부면 (SK) 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일 없이 움직이게 된다. 게다가, 표면 (10SA) 이, 피부면 (SK) 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작은 힘으로, 가동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특히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에 대하여 피부면 (SK) 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높이는 것을 하지 않아도, 가동층 (4) 의 가동성에 의해 표면 (10SA) 이 피부면 (SK) 에 추종하게 된다. 가동층 (4) 의 상기의 가동성은, 피부면 (SK) 의 랜덤인 움직임에 대해서도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추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부직포 (10) 의 추종성에 의해, 피부면 (SK) 에 대하여 생기는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에 의한 쓸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이, 한번 휘어 회복되지 않아도, 가동층 (4) 의 가동성으로부터, 추종성은 확보된다.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i) 측정 시료의 제조:
측정 시료로서, 50 ㎜ × 50 ㎜ 크기의 부직포 시료를 준비한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측 대지 (52) 의 전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 (51) 을 형성하고, 부직포 시료의 이면 (10SB) 을 접착층 (51) 에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접착제에는, 코니시 주식회사 제조, 본드 G103 을 사용하여, 0.5 g 을 도포한다. 또 표면측 대지 (54) 의 전체면에 상기와 동일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 (53) 을 형성하고, 부직포 시료의 표면 (10SA) 을 접착층 (53) 에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또, 50 ㎜ × 50 ㎜ 의 크기로 부직포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 상기의 크기가 되도록 복수 매를 늘어놓아 대지에 접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시판되는 흡수성 물품에 짜넣어진 부직포를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 콜드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부직포를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꺼내고, 상기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이 때, 시료에 핫멜트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핫멜트 접착제를 제거한다. 이 수법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다른 측정에 사용하는 시료에 관해서, 모두 동일하다.
(ii)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다음으로,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 (55) 를 사용하여 이면측 대지 (52) 를 측정용의 기반 (56) 상에 고정시킨다. 부직포 시료의 표면 (10SA) 에 대하여 그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의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실 (57) 의 일단 (57A) 을 표면측 대지 (54) 에 장착한다. 실 (57) 의 타단 (57B) 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도르래 (58) 를 개재하여 연직 하방으로 늘어뜨린다. 측정 시에는, 실 (57) 의 타단 (57B) 에 추 (59) 를 매달도록 장착한다. 따라서, 실 (57) 의 타단 (57B) 에 추 (59) 가 장착되었을 때, 추 (59) 의 무게에 의해, 실 (57) 은 표면측 대지 (54) 를 부직포 시료의 표면을 따른 방향 (도 2(B) 에 있어서는, 도면 향하여 우방향) 으로 끌어당긴다.
측정은, 먼저 추 (59) 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부직포 시료의 초기 위치를 측정하여 측정값 M1 을 얻는다. 그 후, 추 (59) (50 g) 를 장착하고, 추 (59) 를 가만히 떼어냄으로써, 추 (59) 에 의해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을 그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 (도르래 방향) 으로 끌어당긴다. 도 2(B) 는 끌어당기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끌어당겼을 때에 부직포 시료의 표면 (10SA) 에 전단 응력 (상기 조건으로는 200 ㎩) 이 가해진다.
추 (59) 를 떼어 부직포 시료의 표면 (10SA) 의 움직임이 정지한 후, 부직포 시료의 정지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값 M2 를 얻는다. 그리고, 측정값 M2 와 측정값 M1 의 차를 구하고, 부직포 시료의 표면 (10SA) 이 가동한 양을 산출하고, 이 가동한 양을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로 한다.
다음으로, 부직포 (10) 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 5 는, 부직포 (10) 의 바람직한 양태 (부직포 (10A)) 를 나타내고 있다. 부직포 (10A) 는, 제 1 면측 (Z1) 에 요철부 (8) 를 갖고, 제 2 면측 (Z2) 에 요철부 (9) 를 갖는다. 요철부 (8) 가, 제 1 면측 (Z1) 측에서 본 오목부 (81) 와 볼록부 (82) 를 갖는다. 여기서는, 전술한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의 이면 (10SB) 을 제 2 면측 (Z2) 으로 하고, 표면 (10SA) 을 제 1 면측 (Z1) 으로 하여 설명한다. 부직포를 평면 상에 펼쳐 두었을 경우의 평면을 「기준면」 이라고 한다. 이 경우, 부직포 (10) 의 제 2 면측 (Z2) 을 아래로 하여 부직포 (10) 를 평면에 펼쳐 재치 (載置) 했을 때의 제 2 면측 (Z2) 의 면을 부직포 기준면 (10SS) 으로 한다 (이하, 기준면 (10SS) 이라고도 한다.) (도 4 참조). 따라서, 이면 (10SB) 과 기준면 (10SS) 이 동일면이 된다 (도 4 참조). 즉, 볼록부 (82) 가, 기준면 (10SS) 으로부터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으로 이랑 형상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이다. 또, 요철부 (9) 가, 제 2 면측 (Z2) 측에서 보아 오목부 (91) 와 볼록부 (92) 를 갖는다. 여기서, 오목부 (81) 와 볼록부 (92) 는 표리의 관계에 있고, 오목부 (91) 와 볼록부 (82) 는 표리의 관계에 있다. 또한, 상기 측정 방법에 있어서의 이면 (10SB) 측을 제 1 면측 (Z1) 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요철부 (8) 가 요철부 (9) 가 되고, 오목부 (81) 이 볼록부 (92) 가 된다.
요철부 (8) 및 요철부 (9)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요철부 (8) 가, 오목부 (81) 의 저부 (81B) (이하, 오목저부 (81B) 라고도 한다.), 볼록부 (82) 의 정부 (82T) (이하, 볼록정부 (82T) 라고도 한다.), 및 볼록정부 (82T) 와 오목저부 (81B) 를 연결하는 벽부 (3) 를 구비한다. 오목저부 (81B) 가, 제 2 면측 (Z2) 을 이루는 외면 섬유층 (2)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정부 (82T) 가, 제 1 면측의 Z1 의 평탄면을 이루는 외면 섬유층 (1) 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부 (3) 가, 오목부 (81) 및 볼록부 (82) 의 측면부를 이루고, 오목부 (81) 와 볼록부 (82) 를 구분하는 공통의 벽이다.
또, 요철부 (9) 가, 오목부 (91) 의 저부 (91B) (이하, 오목저부 (91B) 라고도 한다.), 볼록부 (92) 의 정부 (92T) (이하, 볼록정부 (92T) 라고도 한다.), 볼록정부 (92T) 와 오목저부 (91B) 를 연결하는 벽부 (3) 를 구비한다. 오목저부 (91B) 가, 제 1 면측 (Z1) 의 외면 섬유층 (1)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정부 (92T) 가, 제 2 면측 (Z2) 의 평탄면을 이루는 외면 섬유층 (2) 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부 (3) 가, 오목부 (91) 및 볼록부 (92) 의 측면부를 이루고, 오목부 (91) 와 볼록부 (92) 를 구분하는 공통의 벽이다.
게다가, 정부 (82T) 와 저부 (91B) 가 공통의 외면 섬유층 (1) 으로 구성된다. 정부 (92T) 와 저부 (81B) 가 공통의 외면 섬유층 (2) 으로 구성된다.
또 오목부 (91) 가, 외면 섬유층 (1) 의 제 1 외면 섬유층 (11) 및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각각에 대응하여, 제 1 외면 섬유층 (11) 이 저부가 되는 오목부 (911) 및 외면 섬유층 (12) 이 저부가 되는 오목부 (912) 를 갖는다. 그리고 제 2 면측 (Z2) 에 있어서, 오목부 (911) 가 Y 방향으로 연통하고, 오목부 (912) 가 X 방향으로 연통하고, 오목부 (911) 와 오목부 (912) 가 연통하고 있다.
또, 벽부 (3) 가, 제 1 면측 (Z1) 의 오목부 (81) 의 사방을 둘러싸는 외벽을 이루고 있다. 즉, 벽부 (3) 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부 (81) 의 내부가, 독립된 공간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4 개의 벽부 (3) 에 의해 박스형의 공간을 이루고 있다. 단, 오목부 (81) 를 둘러싸는 벽부 (3) 의 수나, 벽부 (3) 에 의해 이루어지는 오목부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면측 (Z2) 을 기준면 (10SS) 으로 했을 때, 볼록부 (82) 의 벽부 (3) 의 외각 (θ) 이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82) 를 구성하는 벽부 (3) 의 외각 (θ) 은, 부직포 (10) 의 일방향으로 따라, 요철부 (8) 의 오목부 (81) 중앙에 있어서의 종단면에 있어서, 벽부 (3) 의 최상 단부 (端部) 와 최하 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 (10SS) 이 이루는, 볼록부 (82) 외측의 각도라고 정의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볼록부 (82) 를 구성하는 벽부 (3) 의 외각 (θ) 은, 부직포 (10) 의 일방향으로 따라, 요철부 (8) 의 오목부 (81) 중앙에 있어서의 종단면에 있어서, 벽부 (3) 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 (10SS) 이 이루는 외각 (θ1) 과 (도 4), 부직포 (10) 의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요철부 (8) 의 오목부 (81) 중앙에 있어서의 종단면에 있어서, 벽부 (3) 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 (10SS) 이 이루는 외각 (θ2) (도 5) 을 갖는다. 외각 (θ1 및 θ2) 은, 도 3 에 있어서의 F1-F1 선을 따른 X 방향의 종단면, F2-F2 선을 따른 Y 방향의 종단면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측정되는 외각이다. 외각 (θ1, θ2) 은 모두, 하기의 규정값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면측 (Z1) 을 기준면 (10SS) 으로 했을 때는, 볼록부 (92) 의 벽부 (3) 의 외각 (θ) 이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각 (θ) 은, 가동층 (4) 을 전술한 가동역을 구비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외각 (θ) 을 전술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표면 (10SA) (외면 섬유층 (1) 의 표면) 에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벽부 (3) 전체가 부직포 기준면 (10SS) 의 기점으로부터 기울도록 가동하기 쉬워지고, 표면 (10SA) 의 가동량이 커져, 충분한 가동 범위가 얻어진다. 한편, 외각 (θ) 을 전술한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볼록부 (82) 끼리가 이간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요철 구조가 얻어진다.
또한, 벽부 (3) 의 상단부 (3A) 와 하단부 (3B) 의 사이에 있어서, 부직포 기준면 (10SS) 에 대한 벽부 (3) 의 외각 (θ) 이 부분적으로 상기 범위 외여도 허용된다. 예를 들어, 벽부 (3) 의 상단부 (3A) 와 하단부 (3B) 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종단면에서 본 벽부 (3) 가 물결친 형상이어도 된다.
오목부 (81) 를 측부로부터 둘러싸는 벽부 (3) 는, 각각 동 (同) 정도로 기울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각 벽부의 외각 (θ) 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벽부의 일방향으로부터 측정되는 외각 (θ) (예를 들어 θ1) 이, 그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측정되는 외각 (θ) (예를 들어 θ2) 과 동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 정도라는 것은, 양자의 외각 (θ1, θ2) 의 차가 0° 이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외각 (θ) 의 측정 방법]
전술한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의 (i) 측정 시료의 제조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부직포 (10) 의 측정 시료를, 요철부 (8) 또는 요철부 (9) 를 포함하도록, 제 1 면측 (Z1) 면으로부터 제 2 면측 (Z2) 면을 향하여, 혹은 제 2 면측 (Z2) 면으로부터 제 1 면측 (Z1) 면을 향하여 자르고, 종단면 (F1-F1 단면 (斷面) (도 4 참조) 또는 F2-F2 단면 (도 5 참조)) 을 얻는다. 이 때, 각 단면에는, 오목부 (81), 볼록부 (82), 벽부 (3), 또는 오목부 (91), 볼록부 (92), 벽부 (3) 를 포함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부직포 (10) 의 기준면 (10SS) 이 수평이 되도록 정치 (靜置) 하여, 오목부 (81), 볼록부 (82), 벽부 (3), 또는 오목부 (91), 볼록부 (92), 벽부 (3) 를 포함하도록, 상기 각 종단면을 촬영하고, 단면 화상을 얻는다. 촬영한 각 단면 화상으로부터 벽부 (3) 의 외각 (θ) 을 측정한다. 외각 (θ) 의 측정 방법의 하나로는, 단면 화상 상에, 벽부 (3) 의 상단부 (3A) 와 하단부 (3B) 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 (10SS) 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긋고, 직선과 기준선이 이루는 외각을, 예를 들어 분도기로 측정하고, 벽부 (3) 의 외각 (θ) 을 얻는다. 육안으로 보이는 벽부 (3) 의 면이 평탄하지 않은 요철면인 경우도,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부직포 (10) 는,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도 1 참조) 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 (융착점 수) 가,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표면측 (4S) 또는 이면측 (4B) 보다 가동층의 내부측 (4M) 이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이것은, 가동층의 내부측 (4M) 이 구성 섬유의 융착점에 의해 구성 섬유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것이 적어지고, 움직이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또는 이면측 (4B) 에 가해진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의 외력 (예를 들어, 피부면으로부터의 하중) 에 대하여 가동층 (4) 의 표면 (10SA) 이 추종하여 움직이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면 (SK) 과 가동층 (4) 의 표면 (10SA) 의 사이에 작용하는 정지 마찰력보다 작은 힘으로 가동층 (4) 을 가동시키는 관점에서, 가동층 (4) 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를 하기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그리고, 가동층의 부직포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다. 또한, 구성 섬유의 융착점 수가 상기 하한값 내 이상으로 함으로써 부직포 강도가 확보되고 가동층 (4) 이 잘 주저앉지 않게 되어, 형상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융착점 수의 측정 방법]
(i) 측정 시료의 제조:
전술한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의 (i) 측정 시료의 제조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ii)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 전자 현미경 (니혼 전자 주식회사 제조의 JCM-5100 (상품명)) 을 사용하여, 부직포 (10) 를 제 1 면측 (Z1) 및 제 2 면측 (Z2) 으로부터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배율 100 배로 관찰을 실시하고, 예를 들어 관찰 영역 (P) 의 관찰 화상을 취득한다.
이어서, 취득한 관찰 화상 내에, 직경 0.5 ㎜ (관찰 화상 내의 치수) 의 기준원 (C) 을 부여하고 (도 6(B) 참조), 기준원 (C) 내의 융착점 수 (j) 를 세어, 하기 식 (2) 에 기초하여 1 ㎟ 당 융착점 수 (J) 로 환산한다.
융착점 수 J (개/㎟) = j × 5.1 (2)
또한, 도 6(B) 는, 제 1 면측 (Z1) 으로부터의 관찰 화상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검은 동그라미 부분이 기준원 (C) 내의 융착점 (Y) 의 위치이며, 그 수를 세어 융착점 수의 측정값으로 한다. 각각의 면측에 대해 측정하고 환산한 수치를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수치로 한다.
(iii)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도 1 참조) 에 대해서는,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 중심부의 두께 방향 부직포 단면 (부직포 평면에 직교하는 단면) 과, 그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 중심부의 두께 방향 부직포 단면에 직교하는 단면에 대해, 상기 (ii) 의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한 관찰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융착점 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융착점 수가 많은 단면의 값을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영역의 1 ㎟ 당 융착점 수로서 채용한다.
(iv) 상기 (ii) 및 (iii) 각각의 측정을, 동일 측정 시료에 있어서 각 3 개 지점의 관찰 화상을 준비하여 측정하고, 평균한 것을 각 영역에 있어서의 측정값으로 한다.
부직포 (10) 는, 적층된 것이 아니라, 1 매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직포란, 섬유 웨브를 열 융착한 후의 것을 가리키며, 열 융착 전에 섬유 웨브를 적층한 것은 1 매의 부직포라고 정의된다. 열 융착 전에 섬유 웨브를 적층한 것인지 여부는, 부직포를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제조된 부직포에 있어서, 필름상으로 녹은 상태의 섬유가 발견되지 않으면, 「1 매의 부직포」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엠보스에 의한 융착점을 갖는 것은 「부직포를 첩합 (貼合) 한 것」 으로서 1 매의 부직포는 아니다.
부직포 (10) 가 1 매의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에 가동을 저해하는 융착점의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가동층 (4) 이 움직이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적층 부직포에서는, 부직포를 적층하기 위해서 섬유끼리를 접착하는 융착점을, 적층 부직포의 내부측의 영역에 갖고, 이 융착점이 평면 방향으로의 전술한 가동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부직포가 1 매로 구성되어 있으면, 적층 부직포와 같은 층간의 융착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가동층 (4) 의 가동역이 넓어진다.
부직포 (10) 는,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도 1 참조) 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이,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또는 이면측 (4B) 의 영역보다 섬유간의 거리를 확보하여 가동하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도 1 참조) 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는,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8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다. 그리고, 가동층의 부직포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4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상기와 같은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동층의 내부측 (4M) 의 영역의 가동성이 높아진다. 또한, 구성 섬유의 개수가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가동층 (4) 의 쿠션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섬유 개수의 측정 방법]
(i) 측정 시료의 제조:
전술한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의 (i) 측정 시료의 제조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ii)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전술한 [융착점 수의 측정 방법] 의 (ii) 와 마찬가지로, 제 1 면측 (Z1) 및 제 2 면측 (Z2) 으로부터의 관찰 화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도 7 의 부호 P 로 나타내는 관찰 화상). 각각의 관찰 화상에 대해, 전술한 도 6 에 나타낸 기준원 (C) 을 부여한다 (도 7 참조). 그 기준원 (C) 의 선을 통과하는 섬유 (Fb) 의 개수를 세고, 그 개수의 총합의 절반을 그 면적 중에 존재하는 섬유 개수 (n) 로 하고, 하기 식 (3) 에 기초하여 1 ㎟ 당 섬유 개수 (N) 로 환산한다. 또한, 도 7 은, 제 1 면측 (Z1) 으로부터의 관찰 화상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도시예에서는, 검은 동그라미 부분이 기준원 (C) 을 통과하는 섬유 (Fb) 의 위치이며, 그 수를 세어 환산을 실시한다.
섬유 개수 N (개/㎟) = (n/2) × 5.1 (3)
(iii)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
전술한 [융착점 수의 측정 방법] 의 (iii) 과 마찬가지로,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 중심부의 두께 방향 부직포 단면 (부직포 평면에 직교하는 단면) 과, 그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 중심부의 두께 방향 부직포 단면에 직교하는 단면의 관찰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ii) 의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한 관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리고, 섬유 개수가 많은 단면의 값을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의 섬유 개수로서 채용한다.
또한 부직포 (10) 가 요철부를 갖는 경우,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은, 예를 들어, 요철부의 벽부 (3) 의 두께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고, 벽부 (3) 에 직교한 벽부 (3) 의 두께 방향을 따른 단면과, 그 단면에 직교하는 벽부를 따른 단면에 대해 측정한다.
(iv) 상기 (ii) 및 (iii) 각각의 측정을, 동일 샘플에서 각 3 개 지점의 관찰 화상을 준비하여 측정하고, 평균한 것을 측정값으로 한다.
부직포를 평면에서 본 평면 방향에 대하여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수직인 편이, 섬유가 쓰러지도록 가동한다. 그 때문에, 섬유 상호의 가동이 용이해지는 관점에서, 가동층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도 1 참조)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의 1.1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배 이상이다. 그리고, 가동층의 부직포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1.4 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하이다.
상기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가동층의 내부측 (4M) 이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즉 가동층 (4) 이 움직이는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섬유 배향도가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가동층 (4) 이 충분한 가동성을 갖는다. 한편, 섬유 배향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두께 방향의 하중에 대해서도 잘 찌그러지지 않게 되어, 가동층 (4) 의 가동역이 확보되고, 피부면 (SK) 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하여 추종하기 쉬워져, 피부면과의 쓸림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섬유 배향도는 하기 <섬유 배향도의 정의> 에 나타내는 수치이며, 하기 [섬유 배향도의 측정 방법] 에 의해 측정된다.
<섬유 배향도의 정의>
섬유가 일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정도를 섬유 배향도로 하고,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또는 이면측 (4B) 에 대해서는,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의 방향 (예를 들어, MD 방향, CD 방향) 으로 섬유가 배향하고 있는 정도를, 섬유 배향도의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가동층의 내부측 (4M) 의 섬유 배향도는, 두께 방향의 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섬유가 배향하고 있는 정도로 한다. 여기서, MD 방향이란, 기계 흐름 방향 (Machine Direction) 이고, CD 방향은 상기 MD 방향의 직교 방향 (Cross Direction) 이다.
가동층의 내부측 (4M) 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표면측 (4S) 또는 이면측 (4B) 보다 높기 때문에, 가동층의 내부측 (4M) 이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층 (4) 이 움직이는 범위가 넓어진다.
[섬유 배향도의 측정 방법]
(i) 측정 시료의 제조:
전술한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의 (i) 측정 시료의 제조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ii)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전술한 [융착점 수의 측정 방법] 의 (ii) 와 마찬가지로, 제 1 면측 (Z1) 및 제 2 면측 (Z2) 으로부터의 관찰 화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도 8 의 부호 P 로 나타내는 관찰 화상). 각각의 관찰 화상에 대해, 0.5 ㎜ × 0.5 ㎜ (관찰 화상 내의 치수) 의 정방형 (SQ) 을 이루는 기준선 (L) 을 부여한다 (도 8 참조). 여기서 기준선 (L) 은, 부직포 또는 부직포가 짜넣어진 물품의 길이 방향 (예를 들어 MD 방향) 또는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CD 방향) 과 일치하도록 작성한다. 즉, 상하 기준선이 정방형 (SQ) 의 상변 (L1), 하변 (L2) 으로 구성되고, 상하 기준선을 통과하는 섬유를 「상하 섬유 개수」 라고 하고, 좌우 기준선이 정방형의 좌우 변 (L3, L4) 으로 구성되고, 좌우 기준선을 통과하는 섬유를 「좌우 섬유 개수」 라고 한다.
섬유 배향도 (K) 는, 상하 섬유 개수와 좌우 섬유 개수 중 값이 큰 쪽을 A, 값이 작은 쪽을 B 로 하고, 하기 식 (4) 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섬유 배향도 K (도) = [A / (A + B)] × 100 (4)
또한, 도 7 은, 제 1 면측 (Z1) 으로부터의 관찰 화상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도시예에서는, 검은 동그라미 부분이 정방형의 각 변 (기준선) 을 섬유 (Fb) 가 통과하는 위치이다.
(iii) 부직포 (10) 의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
가동층의 내부측 (4M) 에 대해서는,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 중심부의 두께 방향 부직포 단면 (부직포 평면에 직교하는 단면) 에 대해, 상기 (ii) 의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한 관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iv) 상기 (ii) 및 (iii) 각각의 측정을, 동일 샘플에서 각 3 개 지점의 관찰 화상을 준비하여 측정하고, 평균한 것을 측정값으로 한다.
부직포 (10) 에 있어서,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과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과의 사이의 관계가, 전술한 섬유의 융착점, 섬유 개수 및 섬유 배향도의 바람직한 수치 범위의 적어도 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전부를 만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부를 만족하는 경우, 피부면과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의 영역) 의 사이에 있어서의 마찰 제로 (피부 추종하지 않는다) 가 되는 상태를 가장 강하게 배제할 수 있고, 피부면에 대한 부직포의 쓸림 억제 효과를 보다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도 3 ∼ 5 에 나타내는 부직포 (10A) 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직포 (10A) 는,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의 영역에, 제 1 면측 (Z1) 의 외면 섬유층 (1) 이 제 1, 제 2 외면 섬유층 (11, 12) 을 갖는다. 제 1, 제 2 외면 섬유층 (11, 12) 은, 부직포 (10A) 의 평면에서 보아 교차하는 상이한 방향의 각각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연장되는 방향은, 부직포 (10A) 의 변을 따른, 서로 직교하는 X 방향과 Y 방향이다. 일례로서, Y 방향이 부직포 (10A) 의 길이 방향이고, X 방향이 부직포 (10A) 의 폭 방향이다.
제 1 외면 섬유층 (11) 은, 부직포 (10A)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Y 방향으로 끊어짐 없이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즉, 제 1 외면 섬유층 (11) 이, 부직포 (10A) 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끊어짐 없이 연속하고, Y 방향과 직교하는 X 방향으로, 복수가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외면 섬유층 (12) 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X 방향으로 이간하여 병렬하는 제 1 외면 섬유층 (11, 11) 의 사이를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외면 섬유층 (11, 11) 사이를 연결하여」 있다는 것은, 제 1 외면 섬유층 (11) 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제 2 외면 섬유층 (12) 끼리가 직선상으로 늘어서 있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중심선과, 제 1 외면 섬유층 (11) 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한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중심선의 어긋남이,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폭 (Y 방향의 길이) 의 범위인 것을 말하고, 예를 들어 5 ㎜ 이내인 것을 말한다.
제 2 외면 섬유층 (12) 은, 제 1 외면 섬유층 (11) 보다 제 1 면측 (Z1) 의 위치가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제 2 외면 섬유층 (12) 이, 제 1 외면 섬유층 (11) 의 개재에 의해 X 방향의 길이가 분단되고, 복수 개가 서로 이간하면서 X 방향으로 열을 이루고 있다. 또,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폭 (Y 방향의 길이) 이, 제 1 외면 섬유층 (11) 의 폭 (X 방향의 길이) 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X 방향의 열은, 또한 Y 방향에 대해 복수가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면측 (Z1) 의 위치나 폭을 제 1 외면 섬유층 (11) 과 동일하게 해도 된다.
상기 외면 섬유층 (1) 이 연장 방향이 상이한 복수 종을 갖는 경우, 연장 방향이 되는 「평면에서 보아 교차하는 상이한 방향」 은 X 방향 및 Y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직포 (10) 의 평면 방향 (표면을 따른 방향과 평행한 방향) 에 있어서의 교차하는 방향이면 여러 가지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은, 가동층 (4) 의 이면측 (4B) 의 영역에 있고, 복수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면 섬유층 (2) 은, 제 2 면측 (Z2) 에 있어서, 제 1 면측 (Z1) 의 제 1 외면 섬유층 (11, 11) 사이의 이간 공간을 덮고, 외면 섬유층 (11) 의 연장 방향 (Y 방향) 을 따라 복수 서로 이간하여 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외면 섬유층 (2) 의 Y 방향의 열이, Y 방향과 직교하는 X 방향에 대해, 복수가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다. 즉, 외면 섬유층 (2) 이 X 방향으로도 배열된다. 외면 섬유층 (2) 의 배열 방향이, 평면에서 보아, 외면 섬유층 (1) 과 면이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외면 섬유층 (1) 의 연장 방향으로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면 섬유층 (1) 의 연장 방향이 상기 X 방향 및 Y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취하는 경우, 외면 섬유층 (2) 의 배열 방향도 이것에 따라 상기 X 방향 및 Y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 된다.
또, 벽부 (3) 는,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있고, 제 1 면측 (Z1) 의 제 1 외면 섬유층 (11) 과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을 연결하는 제 1 벽부 (31) 와, 제 1 면측 (Z1) 의 제 2 외면 섬유층 (12) 과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을 연결하는 제 2 벽부 (32) 를 갖는다. 벽부 (3) (제 1 벽부 (31) 및 제 2 벽부 (32)) 가, 외면 섬유층 (1 및 2) 의 이간 배치에 맞추어, 부직포 (10) 의 평면 방향으로 복수가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벽부 (3) 를 구성하는 제 1 벽부 (31) 및 제 2 벽부 (32) 가, 부직포 (10) 의 평면에서 보아 교차하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벽부 (31) 가,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의 Y 방향의 변에 일치하는 길이를 갖고, 제 1 면측 (Z1) 의 제 1 외면 섬유층 (11) 의 연장 방향을 따른 면을 구비한다. 즉, 제 1 벽부 (31) 의 면이 Y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한편, 제 2 벽부 (32) 가,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의 X 방향의 변에 일치하는 길이를 갖고, 제 1 면측 (Z1) 의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연장 방향을 따른 면을 구비한다. 즉, 제 2 벽부 (32) 의 면이 X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벽부 (3) (제 1 벽부 (31) 및 제 2 벽부 (32)) 의 면이 따르는 방향이, 외면 섬유층 (1) (제 1 외면 섬유층 (11) 및 제 2 외면 섬유층 (12)) 의 연장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면 섬유층 (1) 의 연장 방향이 상기 X 방향 및 Y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취하는 경우, 벽부 (3) 의 면이 따르는 방향도 이것에 따라 상기 X 방향 및 Y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 된다.
다음으로,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9 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 3 ∼ 5 에 의해 나타낸 상기 실시형태의 부직포 (10A) 와 동일한 구성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9 에 나타내는 부직포 (10 (10B)) 는, 전술한 부직포 (10A) 의 제 2 면측 (Z2) 의 전체면에 피복층 (70) 이 배치된 것이다. 피복층 (70) 이외에는 전술한 부직포 (10A) 와 동일하다. 피복층 (70) 이 가동층 (4) 의 이면측 (4B) 의 영역에 위치한다. 이 부직포 (10B) 는, 표면 (10SA) (가동층 (4) 의 표면측 (4S) 의 영역) 이 피부면 (SK) 에 추종할 때, 이면 (10SB) (가동층 (4) 의 이면측 (4B) 의 영역) 인 피복층 (70) 이 미끄러지지 않고, 표면 (10SA) 이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상기 부직포 (10) 는, 이하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10) 내에서 겉보기 중량이 상이하고,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 (Z 방향) 에 대해,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보다 겉보기 중량이 적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겉보기 중량이 적은 부분에서는 섬유끼리의 공간이 넓기 때문에, 표면 (10SA) 을 따른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용이해진다.
부직포 (10) 의 겉보기 두께는, 섬유간의 가동 공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1.5 ㎜ 이상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겉보기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흡수성 물품 등의 상품 형태에 있어서, 휴대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9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겉보기 두께의 측정 방법]
측정 대상의 부직포를 10 ㎝ × 10 ㎝ 로 재단하고,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그 크기를 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큰 면적으로 잘라,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레이저 두께계 (오므론 주식회사 제조, 고정밀도 변위 센서 ZS-LD80) 를 사용하여, 50 ㎩ 의 하중 시의 두께를 측정한다. 3 개 지점 측정하고, 평균값을 겉보기 두께로 한다.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의 측정 방법]
상기 겉보기 두께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시료를 제조한다. 천칭을 사용하여, 측정 시료의 질량을 g 단위로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측정 시료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겉보기 중량으로 한다.
부직포의 각 부위의 겉보기 중량의 측정 방법은, 측정 대상의 부직포로부터 각 부위를 잘라내고, 잘라낸 폭 및 길이를 ㎜ 단위로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정밀하게 측정한다. 그리고 합계가 50 ㎟ 이상이 될 때까지 측정 시료를 잘라내고, 그 합계가 50 ㎟ 이상이 된 측정 시료의 질량을, 정밀 천칭을 사용하여 g 단위로 소수점 네째 자리까지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측정 시료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겉보기 중량으로 한다.
부직포 (10) 는, 구성하는 섬유가 심초 구조를 갖고, 부직포 (10) 내에서 그 심초 구조의 섬유의 심초비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에 대해,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보다 초비가 적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초비는, 섬유 제조 시의 심 수지량과 초 수지량의 질량비 (질량%) 에 의해 정의된다. 초비가 작은 지점에서는, 섬유간의 융착 수지량이 적기 때문에 융착 부분이 변형하기 쉬워져 움직이기 쉬운 구조가 된다.
섬유가 심초 구조를 갖는 경우, 심 성분과 초 성분에서 상이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섬유끼리를 효과적으로 융착시키는 관점에서, 저융점 성분 및 고융점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 (예를 들어 초가 저융점 성분, 심이 고융점 성분인 심초형 복합 섬유)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가 저융점 성분, 심이 고융점 성분인 심초형 복합 섬유의 구체예로는, 초가 폴리에틸렌 (PE), 심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인 심초형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또, 심초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심의 수지 성분보다 초의 수지 성분 쪽이,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경우 (이하, 저유리전이온도 수지라고 한다) (예를 들어, 심의 수지 성분이 PET 이고 초의 수지 성분이 PE), 저유리전이온도 수지 성분의 질량비를 작게 함으로써, 부직포 두께의 회복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생각된다. 저유리전이온도 수지는, 완화 탄성률이 낮은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완화 탄성률이 낮으면 변형에 대하여 잘 회복되지 않는 것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유리전이온도 수지 성분을 가능한 한 적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두께 회복성을 부직포에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심초형 복합 섬유의 경우, 섬유 총량에 있어서의 저유리전이온도 수지 성분 (PE 등) 의 비율은, 질량비로, 섬유 총량에 있어서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수지 성분 (PET 등) 의 비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총량에 있어서의 저유리전이온도 수지 성분의 비율은, 질량비로, 4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저유리전이온도 수지 성분의 비율을 작게 함으로써, 부직포의 두께의 회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부직포의 제조상의 관점에서, 상기 비율은, 질량비로,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10 에 나타내는 그래프로부터도 알 수 있다. 도 10 에서는, 심의 수지 성분 (PET) 및 초의 수지 성분 (PE) 의 비율을 바꾸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1 일 압축 후의 회복률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낸 「1 일 압축 후의 회복성」 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한다.). 또한 부직포는 도 12 에 나타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에어스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제 1 열풍 (W1) 에 의한 분사 처리는, 온도 160 ℃, 풍속 54 m/s, 분사 시간 6 s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제 2 열풍에 의한 분사 처리는, 온도 160 ℃, 풍속 6 m/s, 분사 시간 6 s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제조한 부직포의 겉보기 두께는, 「심비 30」 의 것이 6.0 ㎜, 「심비 50」 의 것이 6.9 ㎜, 「심비 70」 의 것이 6.6 ㎜, 「심비 90」 의 것이 6.0 ㎜ 였다.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PE 즉 초의 수지 성분의 비율이 작을 (심의 수지 성분의 비율이 클) 수록, 1 일 압축 후의 회복률은 높다. 특히, 초의 수지 성분의 비율이 50 질량% 미만 (심의 수지 성분의 비율이 50 질량% 초과) 이 되면, 1 일 압축 후의 회복률이 70 % 이상이 되어 바람직하다.
부직포 (10) 는, 부직포 내의 단위면적당 권축하고 있는 섬유수가 상이하다. 그리고,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에 대해,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보다 권축하고 있는 섬유수가 적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권축 섬유가 적은 지점에서는, 섬유의 뒤엉킴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섬유가 얽혀 움직임이 저해되는 경우가 거의 없고, 움직이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의 일부에 권축하고 있는 섬유수가 적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벽부 (3) 의 높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권축하고 있는 섬유수가 적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벽부 (3) 의 전체를 권축하고 있는 섬유수가 적은 영역으로 해도 된다.
부직포 (10) 는, 구성 섬유의 섬유경이 상이하고,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에 대해,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보다 섬유경이 굵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벽부 (3) 의 높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섬유경이 굵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섬유경이 굵은 영역에서는, 섬유가 밀집하지 않기 때문에, 섬유의 뒤엉킴이 잘 일어나지 않고, 섬유가 얽혀 움직임이 저해되는 경우가 없고, 움직이기 쉬워진다.
부직포 (10) 는, 구성 섬유의 열 신축률이 상이하고,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에 대해,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에, 표면측 (4S) 및 이면측 (4B) 의 영역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 각각보다 열 신장하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동층 (4) 의 두께 방향으로 열 신장하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 신장하는 영역은, 볼록부 높이가 높아져, 겉보기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다음 식과 같이,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가 커진다.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길이를 D, 겉보기 두께를 t, 외각을 θ 로 했을 때, 전술한 식 (1) 인 관계가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벽부 (3) 에 열 신장하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벽부 (3) 의 전체를 열 신장하는 섬유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부직포 (10) 는, 외면 섬유층 (1, 2) 및 벽부 (3) 는 상호, 적어도 일부의 섬유끼리가 융착하여 이음매 없이 일체화 되어 있다. 부직포 (10) 는, 벽부 (3) 가 제 1 면측 (Z1) 의 외면 섬유층 (1) 과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을 연결하여 지탱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두께가 있는 것이 된다. 부직포 (10) 의 두께란, 외면 섬유층 (1, 2) 이나 벽부 (3) 의 국소의 두께가 아니라, 부직포 전체의 부형된 형상에 있어서의 겉보기 두께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부직포 (10) 에 있어서, 외면 섬유층 (1, 2), 벽부 (3) 및 접속 부분 이외의 각 부위에 있어서도 적어도 일부의 섬유끼리의 교점에서 융착하고 있다. 또 부직포 (10) 에는 융착하지 않는 교점이 있어도 된다. 또, 부직포 (10) 가 열가소성 섬유 이외의 섬유를 포함해도 되고, 열가소성 섬유가 그 이외의 섬유와의 교점에서 융착하는 경우를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표면이 5 ㎜ 이상의 가동역을 갖는 한, 상기한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것 이외에, 예를 들어, 표면이나 이면에 요철을 갖지 않는 플랫면을 갖는 부직포에 대해서도,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5 ㎜ 이상의 가동역을 갖는 본 발명의 부직포로 할 수 있다. 가동층 (4) 의 내부측 (4M) 의 영역은, 전술한 융착점 수, 섬유 개수, 섬유 배향도, 겉보기 중량, 심초비, 권축수, 섬유경, 열 신장 영역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6791호의 도 1 에 나타낸 구성의 부직포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79529호의 도 1 에 나타낸 구성의 부직포에 대해서도, 상기 융착점 수 등의 각 조건, 및 벽부의 외각 등을 적절히 설정하는 등 하여, 본 발명의 부직포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를 표면 시트에 사용한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로서 기저귀 (200) 의 본체 (204) 에 대한 적용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기저귀는 테이프형의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이며, 평면에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를 다소 구부려 내측 (피부맞닿음면 측) 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저귀 (200) 에 사용되는 흡수성 본체 (204) 는 이하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즉, 피부맞닿음면 측에 배치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 (201) 와, 비피부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액난투과성의 이면 시트 (202) 와, 표면 시트 (201) 와 이면 시트 (202) 의 사이에 개재되는 액 유지성을 갖는 흡수체 (203) 를 갖는다.
표면 시트 (201) 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부직포 (10) 가 적용된다. 표면 시트 (20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부직포 (10A) 를 그 제 1 면측 (Z1) 을 피부맞닿음면 측을 향하게 하여 배치한 것이다. 이면 시트 (202) 는 전개 상태에서, 그 양측 가장자리가 길이 방향 중앙부 (C) 에 있어서 내측으로 잘록해진 형상을 갖고 있고, 1 매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트 (205) 가 이루는 옆샘 방지 개더 (206) 가 배치된다. 또한, 도 11 에 있어서는 각 부재의 배치 관계나 경계를 엄밀하게는 도시하고 있지 않고, 이런 종류의 기저귀의 일반적인 형태로 되어 있으면 특별히 그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저귀 (200) 는 테이프형의 것을 나타내고 있고, 등측 (R) 의 플랩부에는 패스닝 테이프 (207) 가 형성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 (207) 를 배측 (F) 의 플랩부에 형성한 테이프 첩부부 (도시하지 않음) 에 첩부하여, 기저귀를 장착 고정시킨다. 이 때, 기저귀 중앙부 (C) 를 완만하게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 흡수체 (203) 가 엉덩이부로부터 하복부에 걸쳐 따르게 되도록 착용한다. 부직포 (10) 를 표면 시트 (1) 로서 적용한 것에 의해, 피부면의 움직임에 대한 부직포 표면의 추종성이 좋아지고, 또한 촉감이 부드럽고 보들보들한 질감의 양호함을 나타낼 수 있다.
흡수성 본체 (204) 의 형상이, 장착 시에 착용자의 가랑이 부분을 개재하여 하복부측으로부터 엉덩이부측으로 배치되는 길이 방향과 이것과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는 세로로 긴 형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 (204)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있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상기 길이 방향이 전형적으로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인체의 전후 방향과 일치한다.
표면 시트 (201) 는, 전술한 본 발명의 부직포 (10) 로 구성되고, 친수성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부직포로는, 그 섬유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복합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의 복합 섬유 등으로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섬유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면 시트 (202) 및 흡수체 (203) 에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778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05565호 등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저귀 (200) 의 표면 시트 (201) 로서, 본 발명의 부직포 (10) 가, 가동층 (4) 이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5 ㎜ 이상 가동 가능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엉덩이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 (201) 에 의한 피부면에 대한 쓸림이 억제되어, 피부면에 자극없는 표면 시트가 된다. 또, 배설점에 표면 시트 (201) 가 항상 맞게 되어, 샘이 억제된다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항상 원하는 위치에 표면 시트를 존재시킬 수 있으므로, 표면 시트를 종래보다 작은 면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각종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용이나 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소변용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리 용품이나 기저귀 등의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서브 레이어, 흡수체의 피복 시트 (코어 랩 시트) 등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청소용 와이핑 시트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10) 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2 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10)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부직포화 하기 전의 섬유 웨브 (110) 를 부형하기 위한 지지체 수재 (120) 와 지지체 암재 (130) 를 사용한다.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수재 (120) 상에 섬유 웨브 (110) 를 재치하고, 섬유 웨브 (110) 위로부터 지지재 암재 (130) 로 눌러 끼워 넣어 부형한다.
지지체 수재 (120) 는, 부직포 (10) 의 공간을 둘러싸는 4 개의 벽부 (3) 및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도 3 등 참조) 이 부형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돌기 (121) 를 갖는다. 돌기 (121, 121) 사이는, 제 1 면측 (Z1) 의 외면 섬유층 (1) 이 부형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오목부 (122) 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체 수재 (120) 는 요철 형상을 갖고 있고, 돌기 (121) 와 오목부 (122) 가 평면에서 보아 상이한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122) 의 저부 (123) 는 열풍이 불어 지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구멍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음).
지지체 암재 (130) 는, 지지체 수재 (120) 의 오목부 (122) 에 대응하는 격자상의 돌기 (131) 를 갖는다. 돌기 (131, 131) 사이는, 지지체 수재 (120) 의 돌기 (121) 에 대응하는 오목부 (132) 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체 암재 (130) 는 요철 형상을 갖고 있고, 돌기 (131) 와 오목부 (132) 가 평면에서 보아 상이한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132) 의 저부 (133) 는, 열풍이 불어 지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다수의 구멍이 배치되어 있다. 돌기 (131, 131) 사이의 거리는, 지지체 수재 (120) 의 돌기 (121) 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그 거리는, 지지체 수재 (120) 의 돌기 (121) 와 지지체 암재 (130) 의 돌기 (131) 와 섬유 웨브 (110) 를 끼워 넣어 섬유가 두께 방향으로 배향하는 벽부 (3) 를 적합하게 부형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또, 지지체 암재 (130) 에 있어서의 돌기 (131) 의 배치는, 상기 격자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패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지만, 지지체 암재 (130) 가, 지지체 수재 (120) 의 지지체 오목부 (122) 에 대응하고, 또한, 평면에서 보아 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돌기 (131) 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돌기 (131, 131) 사이는, 지지체 수재 (120) 의 돌기 (121) 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지지체 오목부 (132) 가 된다. 이에 따라, 지지체 암재 (130) 는 요철 형상을 갖고 있고, 돌기 (131) 와 지지체 오목부 (132) 가,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링 형상의 원반을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 등간격으로 연결한 드럼 형상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 암재 (130) 가 돌기 (131) 를 격자상으로 배치한 것인 경우에 비해, 도 3 에 나타내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82) 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게 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융착하기 전의 섬유 웨브 (110) 를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카드기 (도시하지 않음) 로부터 웨브를 부형하는 장치에 공급한다.
이어서,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수재 (120) 상에,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웨브 (110) 를 배치하고, 섬유 웨브 (110) 상으로부터, 지지체 수재 (120) 의 돌기 (121) 를 지지체 암재 (130) 의 지지체 오목부 (132) 에 삽입한다. 또, 지지체 수재 (120) 의 지지체 오목부 (122) 에 지지체 암재 (130) 의 돌기 (131) 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섬유는 두께 방향과 평면 방향으로 배향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암재 (130) 의 측으로부터 섬유 웨브 (110) 에 대해 제 1 열풍 (W1) 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섬유 웨브 (110) 는 부직포 (10) 의 요철 형상을 유지 가능할 정도로 융착된다.
돌기 (121) 의 정부와 오목부 (132) 의 저부의 사이에서는, 제 1 열풍 (W1) 이 불어 지나가는 것이 억제되고, 섬유가 평면 방향에서 융착된다. 이에 따라,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에 상당하는 섬유층이 부형된다. 또, 오목부 (122) 의 저부와 돌기부 (131) 의 정부의 사이에서, 섬유가 평면 방향으로 배향한다. 돌기부 (131) 는 열풍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형성되는 섬유층에는 융착이 적고, 매끄러운 섬유층이 실현된다. 이에 따라, 제 1 면측 (Z1) 의 외면 섬유층 (1) 에 상당하는 섬유층이 부형된다. 이 때 두께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벽부 (3) 의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도면 화살표는 제 1 열풍 (W1) 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열풍 (W1) 의 온도가, 열가소성 섬유를 세로 배향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온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종류의 제품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섬유 재료를 고려하면, 섬유 웨브 (110)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섬유의 융점에 대하여 0 ℃ 이상 70 ℃ 이하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열풍 (W1) 의 풍속은, 효과적으로 융착시키는 관점에서, 2 m/s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섬유 웨브 (110) 를 요철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임시 융착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지지체 암재 (130) 를 떼어낸다. 그리고, 도 1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에 부형된 섬유 웨브 (110) 의 각 섬유가 적당히 융착 가능한 온도의 제 2 열풍 (W2) 을 분사하여, 섬유끼리를 더욱 융착시킨다. 이 경우도 제 1 열풍 (W1) 과 마찬가지로, 섬유 웨브 (110) 에 대해, 부직포 (10) 에 있어서의 제 2 면측 (Z2) 으로부터 제 2 열풍 (W2) 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열풍 (W2) 의 온도는, 이런 종류의 제품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섬유 재료를 고려하면, 섬유 웨브 (110)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섬유의 융점에 대하여 0 ℃ 이상 70 ℃ 이하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열풍 (W2) 의 풍속은, 지지체 수재 (120) 의 돌기 (121) 의 높이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3 m/s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섬유에 대한 열 전달을 충분한 것으로 하여 섬유끼리를 융착시키고, 요철 형상의 고정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열가소성 섬유로는, 부직포의 소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으며, 단일의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복합 섬유로는, 예를 들어 심초형,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등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부직포 (10) 가 제조된다.
얻어진 부직포 (10) 가, 제 2 면측 (Z2) 은 제 1 열풍 (W1) 및 제 2 열풍 (W2) 이 분사된 측이기 때문에,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의 섬유끼리의 융착점이 많아진다. 이와 같이 부직포 (10) 의 두께 방향으로 융착점 수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부직포의 표면은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지지체 수재 (120) 의 오목부 (122) 의 저부에 부형된 제 1 면측 (Z1) 의 외면 섬유층 (1) 보다, 지지체 수재 (120) 의 돌기 (121) 의 정부에 부형된 제 2 면측 (Z2) 의 외면 섬유층 (2) 을 향함에 따라서 섬유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부직포의 표면이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부직포 및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1>
부직포의 표리의 면을 구비한 가동층을 갖고, 그 가동층이, 상기 표리의 면의 일방의 면이 타방의 면에 대하여 그 일방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5 ㎜ 이상 가동할 수 있는 가동역을 갖는, 부직포.
<2>
상기 가동층의 상기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범위가, 5 ㎜ 이상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9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인 <1> 에 기재된 부직포.
<3>
상기 가동층이 움직이는 범위는, 하기 [부직포의 표면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부직포.
[부직포의 표면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i) 측정 시료의 제조:
측정 시료로서, 50 ㎜ × 50 ㎜ 크기의 부직포 시료를 준비한다. 이면측 대지의 전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부직포 시료의 이면을 접착층에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또 표면측 대지의 전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부직포 시료의 표면을 접착층에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ii)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다음으로, 고정구를 사용하여 이면측 대지를 측정용의 기반 상에 고정시킨다. 부직포 시료의 표면에 대하여 그 표면을 따른 방향의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실의 일단을 표면측 대지에 장착한다. 상기 실의 타단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도르래를 개재하여 연직 하방으로 늘어뜨린다. 측정 시에는, 상기 실의 타단에 50 g 의 추를 매달도록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실의 타단에 추가 장착되었을 때, 그 추의 무게에 의해, 상기 실은 표면측 대지를 부직포 시료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측정은, 먼저 상기 추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하여, 부직포 시료의 초기 위치를 측정하여 측정값 M1 을 얻는다. 그 후, 상기 추를 장착하여, 그 추를 가만히 떼어냄으로써, 그 추에 의해 부직포 시료의 표면을 그 표면을 따른 방향 (도르래 방향) 으로 끌어당긴다.
상기 추를 떼어내어 부직포 시료의 표면의 움직임이 정지한 후, 부직포 시료의 정지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값 M2 를 얻는다. 그리고, 측정값 M2 와 측정값 M1 의 차를 구하고, 부직포 시료의 표면이 가동한 양을 산출하고, 이 양을 부직포의 표면이 움직이는 범위로 한다.
<4>
상기 가동층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 적은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5>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이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과 상기 가동층의 이면측에 끼인 영역을 말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6>
상기 부직포가 두께 방향으로 그 부직포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기준면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벽부의 외각이 110° 이하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7>
상기 기준면이, 상기 부직포를 평면 상에 펼쳐 두었을 경우의 평면인 <6> 에 기재된 부직포.
<8>
상기 볼록부를 구성하는 벽부의 외각이, 상기 부직포의 일방향으로 따라, 요철부의 오목부 중앙에 있어서의 종단면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이 이루는 외각 (θ1) 과,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요철부의 오목부 중앙에 있어서의 상기 종단면과 직교하는 종단면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이 이루는 외각 (θ2) 을 갖고, 그 외각 (θ1, θ2) 모두, 110° 이하인 <6> 또는 <7> 에 기재된 부직포.
<9>
상기 외각이, 60° 이상 1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또,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인 <6>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0>
상기 벽부의 일방향으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외각 (θ1) 과, 그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외각 (θ2) 이 동 정도인 <8> 또는 <9> 에 기재된 부직포.
<11>
상기 외각 (θ1) 과 상기 외각 (θ2) 이 동 정도라는 것은, 양자의 각도의 차가 0° 이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인 <10> 에 기재된 부직포.
<12>
상기 외각 (θ1) 과 상기 외각 (θ2) 이 동 정도라는 것은, 양자의 각도의 차가 0° 이상 4° 이하인 <10> 에 기재된 부직포.
<13>
상기 부직포가 1 매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4>
상기 1 매의 부직포란, 필름상으로 녹은 섬유를 갖지 않는 것인 <13> 에 기재된 부직포.
<15>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40 % 이상 80 % 이하인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6>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40 % 이상 8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7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인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7>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40 % 이상 8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7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인 <16> 에 기재된 부직포.
<18>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30 % 이상 70 % 이하인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9>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30 % 이상 7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인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0>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30 % 이상 7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인 <19> 에 기재된 부직포.
<21>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에 대하여 1.1 배 이상 1.4 배 이하인 <1>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2>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에 대하여 1.1 배 이상 1.4 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1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배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1.35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하인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3>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에 대하여 1.1 배 이상 1.4 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1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배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1.35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하인 <22> 에 기재된 부직포.
<24>
상기 부직포 내에서 겉보기 중량이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상기 겉보기 중량이 적은 영역을 갖는 <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5>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심초 구조를 갖고,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심초 구조의 섬유의 심초비가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초비가 작은 영역을 갖는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6>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권축하고 있는 섬유수가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권축하고 있는 섬유가 적은 영역을 갖는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7>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부직포의 섬유경이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섬유경이 굵은 영역을 갖는 <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8>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열 신축률이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열 신장하는 영역을 갖는 <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9>
<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를 갖는 흡수성 물품.
<30>
<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를 표면 시트에 사용한 흡수성 물품.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도 3 에 나타내는 부직포를, 섬도 1.2 dtex 의 심초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심):폴리에틸렌 (PE) (초) = 5:5 (질량비)) 의 열가소성 섬유를 사용하여, 도 12 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에어스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것을 실시예 1 의 부직포 시료로 하였다. 제 1 열풍 (W1) 에 의한 분사 처리는, 온도 160 ℃, 풍속 54 m/s, 분사 시간 6 s 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제 2 열풍에 의한 분사 처리는, 온도 160 ℃, 풍속 6 m/s, 분사 시간 6 s 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
겉보기 중량을 표 1 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2 의 부직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섬도를 표 1 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 의 부직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섬도 3.2 dtex 의 심초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심):폴리에틸렌 (PE) (초) = 7:3 (질량비)) 의 열가소성 섬유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4 의 부직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7)
도 12 에 나타내는 지지체 암재 (130) 에 대해, 돌기 (131) 를 격자상으로 배치한 것이 아니라, 돌기 (131) 를 링 형상의 원반을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 등간격으로 연결한 드럼 형상의 것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 3 과 동일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5 ∼ 7 의 부직포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6791호에 기재된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부직포를 비교예 1 의 부직포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2)
에어스루 제조 방법에 의해 두께가 일정한 플랫한 부직포를 제조하고, 비교예 2 의 부직포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79529호에 기재된 발명의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이홈 (齒溝) 연신 가공에 의해 제조한 물결판상의 부직포를 비교예 3 의 부직포 시료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 대해, 전술한 [부직포 (10) 의 표면 (10SA) 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에 기초하여 「가동량」 을 측정하고, 전술한 [외각 (θ) 의 측정 방법] 에 기초하여 「벽부 외각」 을 측정하였다. 또,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 대해, [융착점 수의 측정 방법], [섬유 개수의 측정 방법], [섬유 배향도의 측정 방법] 및 [부직포의 겉보기 두께의 측정 방법] 에 기초하여 각 값을 측정하고,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의 측정 방법] 에 기초하여 「볼록부 정부의 겉보기 중량」 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하기하는 바와 같이, 「1 일 압축 후의 회복성」 의 시험도 실시하였다.
즉, 두께 0.7 ㎜ 의 와셔와 함께 부직포를 2 매의 아크릴판으로 사이에 끼우고, 그 위로부터 추 (20 ㎏) 를 재치하여 하중을 가하고, 부직포를 두께 0.7 ㎜ 로 압축하였다. 이 상태로 1 일 방치 후, 추와 아크릴판을 부직포로부터 떼어내고, 10 분 후에 부직포의 겉보기 두께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과, 사전에 측정한 압축 전의 부직포의 겉보기 두께로부터, 부직포의 두께의 회복률을 구하고, 부직포의 1 일 압축 후의 회복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 중, 「Y」 는 1 매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N」 은 부직포를 첩합한 것을 나타낸다.
표 1 로부터, 이하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 ∼ 7 의 부직포 쪽의, 비교예 1 ∼ 3 의 부직포 어느 것보다, 가동량이 5 ㎜ 이상이고, 대폭 길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 ∼ 7 의 부직포는, 피부면의 움직임에 대하여 우수한 추종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실시예 1 ∼ 7 의 부직포는, 상기 추종성에 의해, 피부면의 움직임에 의해 생기는 피부면에 대한 부직포의 쓸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 ∼ 7 의 부직포 쪽이, 비교예 1 ∼ 3 의 부직포보다, 섬유 개수 및 융착점 수 모두,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보다 두께 중심 (가동층의 내부측) 쪽이 적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 ∼ 7 의 부직포는, 가동층의 내부측의 섬유가 보다 움직이기 쉬워지고, 비교예 1 ∼ 3 의 부직포보다 가동층이 움직이기 쉬워졌다. 또한, 실시예 1 ∼ 7 의 부직포 쪽이, 비교예 1 ∼ 3 의 부직포에 비해, 두께 중심 (가동층의 내부측) 에 있어서, 표면측 또는 이면측보다 높은 섬유 배향도를 갖기 때문에, 표면측 또는 이면측 쪽이 움직이기 쉬웠다. 이 때문에, 실시예 1 ∼ 7 의 부직포 쪽이, 비교예 1 ∼ 3 의 부직포보다 가동층이 움직이는 범위가 보다 넓어지므로, 상기의 피부면에 대한 효과가 보다 발휘되었다.
또한, 실시예 1 ∼ 7 중에서도, 초 수지인 PE (유리 전이 성분의 온도가 심 수지인 PET 보다 낮다) 의 질량비를 작게 한 심초형 복합 섬유를 사용한 실시예 4 는, 1 일 압축 후의 회복성이 우수하고, 팩 등으로 부직포를 짓누른 다음에도 두께의 회복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 및 실시예와 함께 설명했지만, 우리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우리의 발명을 설명의 어느 세부 (細部) 에 있어서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는 일 없이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원은, 2017년 8월 31일에 일본에서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168003 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것들은 여기에 참조하여 그 내용을 본 명세서의 기재된 일부로서 도입한다.
1 : 제 1 면측의 외면 섬유층
2 : 제 2 면측의 외면 섬유층
3 : 벽부
4 : 가동층
4S : 표면측
4B : 이면측
4M : 가동층의 내부측
10 : 부직포
10SA : 표면
10SB : 이면
10SS : 기준면
Z1 : 제 1 면측
Z2 : 제 2 면측
SK : 피부면
θ, θ1, θ2 : 외각

Claims (30)

  1. 부직포의 표리의 면을 구비한 가동층을 갖고, 그 가동층이, 상기 표리의 면의 일방의 면이 타방의 면에 대하여 그 일방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5 ㎜ 이상 가동할 수 있는 가동역을 갖는,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상기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범위가, 5 ㎜ 이상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9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인,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이 움직이는 범위는, 하기 [부직포의 표면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부직포.
    [부직포의 표면이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방법]
    (i) 측정 시료의 제조:
    측정 시료로서, 50 ㎜ × 50 ㎜ 크기의 부직포 시료를 준비한다. 이면측 대지의 전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부직포 시료의 이면을 접착층에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또 표면측 대지의 전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부직포 시료의 표면을 접착층에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ii) 움직이는 범위의 측정:
    다음으로, 고정구를 사용하여 이면측 대지를 측정용의 기반 상에 고정시킨다. 부직포 시료의 표면에 대하여 그 표면을 따른 방향의 일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실의 일단을 표면측 대지에 장착한다. 상기 실의 타단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도르래를 개재하여 연직 하방으로 늘어뜨린다. 측정 시에는, 상기 실의 타단에 50 g 의 추를 매달도록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실의 타단에 추가 장착되었을 때, 그 추의 무게에 의해, 상기 실은 표면측 대지를 부직포 시료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측정은, 먼저 상기 추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하여, 부직포 시료의 초기 위치를 측정하여 측정값 M1 을 얻는다. 그 후, 상기 추를 장착하여, 그 추를 가만히 떼어냄으로써, 그 추에 의해 부직포 시료의 표면을 그 표면을 따른 방향 (도르래 방향) 으로 끌어당긴다.
    상기 추를 떼어내어 부직포 시료의 표면의 움직임이 정지한 후, 부직포 시료의 정지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값 M2 를 얻는다. 그리고, 측정값 M2 와 측정값 M1 의 차를 구하고, 부직포 시료의 표면이 가동한 양을 산출하고, 이 양을 부직포의 표면이 움직이는 범위로 한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 적은, 부직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이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과 상기 가동층의 이면측에 끼인 영역을 말하는, 부직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두께 방향으로 그 부직포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기준면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벽부의 외각이 110° 이하인, 부직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이, 상기 부직포를 평면 상에 펼쳐 두었을 경우의 평면인, 부직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구성하는 벽부의 외각이, 상기 부직포의 일방향으로 따라, 요철부의 오목부 중앙에 있어서의 종단면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이 이루는 외각 (θ1) 과,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요철부의 오목부 중앙에 있어서의 상기 종단면과 직교하는 종단면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기준면이 이루는 외각 (θ2) 을 갖고, 그 외각 (θ1, θ2) 모두, 110° 이하인, 부직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이, 60° 이상 1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또,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인, 부직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일방향으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외각 (θ1) 과, 그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외각 (θ2) 이 동 (同) 정도인, 부직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 (θ1) 과 상기 외각 (θ2) 이 동 정도라는 것은, 양자의 각도의 차가 0° 이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인, 부직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 (θ1) 과 상기 외각 (θ2) 이 동 정도라는 것은, 양자의 각도의 차가 0° 이상 4° 이하인, 부직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1 매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1 매의 부직포란, 필름상으로 녹은 섬유를 갖지 않는 것인, 부직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40 % 이상 80 % 이하인, 부직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40 % 이상 8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7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인, 부직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의 개수의 40 % 이상 8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7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인, 부직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30 % 이상 70 % 이하인, 부직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30 % 이상 7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인, 부직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구성 섬유끼리의 융착점의 수의 30 % 이상 7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인, 부직포.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에 대하여 1.1 배 이상 1.4 배 이하인, 부직포.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에 대하여 1.1 배 이상 1.4 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1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배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1.35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하인, 부직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가,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 배향도에 대하여 1.1 배 이상 1.4 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1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배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1.35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하인, 부직포.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내에서 겉보기 중량이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상기 겉보기 중량이 적은 영역을 갖는, 부직포.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심초 (core/sheath) 구조를 갖고,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심초 구조의 섬유의 심초비가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초비가 작은 영역을 갖는, 부직포.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권축하고 있는 섬유수가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권축하고 있는 섬유가 적은 영역을 갖는, 부직포.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부직포의 섬유경이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섬유경이 굵은 영역을 갖는, 부직포.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내에서 그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열 신축률이 상이하고, 상기 가동층의 내부측의 영역에, 상기 가동층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의 영역보다 열 신장하는 영역을 갖는, 부직포.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갖는, 흡수성 물품.
  30.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표면 시트에 사용한, 흡수성 물품.
KR1020197030268A 2017-08-31 2018-07-17 부직포 KR102119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8003 2017-08-31
JPJP-P-2017-168003 2017-08-31
PCT/JP2018/026731 WO2019044220A1 (ja) 2017-08-31 2018-07-17 不織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860A true KR20190121860A (ko) 2019-10-28
KR102119370B1 KR102119370B1 (ko) 2020-06-05

Family

ID=6552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268A KR102119370B1 (ko) 2017-08-31 2018-07-17 부직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054501A1 (ko)
JP (1) JP6561183B2 (ko)
KR (1) KR102119370B1 (ko)
CN (1) CN110832129B (ko)
DE (1) DE112018002957T5 (ko)
GB (1) GB2582405B (ko)
RU (1) RU2721351C1 (ko)
TW (1) TWI766071B (ko)
WO (1) WO2019044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8722B (zh) 2015-07-31 2022-04-08 宝洁公司 用于成型非织造布的成形带
US11826230B2 (en) 2015-07-31 2023-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 of absorbent articles utilizing a shaped nonwoven
US10858768B2 (en) 2015-07-31 2020-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ES2720805T3 (es) 2016-04-29 2019-07-24 Reifenhaeuser Masch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fabricar no tejidos a base de filamentos continuos
US10888471B2 (en) 2016-12-15 2021-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RU2725401C1 (ru) 2017-01-31 2020-07-02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Формован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DE112018000617T5 (de) 2017-01-31 2019-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formte Vliesstoffe und diese enthaltende Artikel
EP3576697B1 (en) 2017-01-31 2023-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WO2019005910A1 (en) 2017-06-30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US11214893B2 (en) 2017-06-30 2022-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US11896466B2 (en) 2018-06-12 2024-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haped, soft and textured nonwoven fabrics
EP3810057A1 (en) 2018-06-19 2021-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2020184595A2 (en) 2019-03-11 2020-09-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GB2596718A (en) 2019-03-18 2022-01-05 Procter & Gamble Shaped nonwovens that exhibit high visual resolution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324A (ja) * 2002-12-20 2006-09-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布状のパーソナルケア用品
JP2009510278A (ja) 2005-10-03 2009-03-12 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デラウェア・コーポレーション 不織布、不織布からなる物品、および不織布の製造法
JP2012136791A (ja) 2010-12-24 2012-07-19 Kao Corp 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16079529A (ja) 2014-10-17 2016-05-16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6658B2 (ja) * 1992-08-26 1999-10-2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H06136654A (ja) * 1992-10-23 1994-05-17 New Oji Paper Co Ltd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1030564A1 (en) * 1999-10-22 2001-05-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composite laminate employing nonwoven formed by component fibers of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DE10010867A1 (de) * 2000-03-06 2001-09-20 Roekona Textilwerk Gmbh Textiles Gleitmaterial
US6679869B1 (en) * 2000-08-16 2004-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lastic outer cover
JP3875007B2 (ja) * 2000-09-01 2007-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連続フィラメントを有する表面層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90703B2 (ja) * 2001-04-20 2008-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PA05005755A (es) * 2002-12-20 2005-08-16 Procter & Gamble Trama fibrosa de hilos en bucle.
CN100396271C (zh) * 2002-12-20 2008-06-25 宝洁公司 布状个人护理制品
JP2007175376A (ja) * 2005-12-28 2007-07-12 Creative Kamiya Kk 液体吸収製品
JP5729948B2 (ja) * 2010-08-31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吸収性物品
JP5858776B2 (ja) * 2011-12-27 2016-02-10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JP5999754B2 (ja) * 2012-02-28 2016-09-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シート状素材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並びに吸収性物品用シート状素材の製造方法
JP6209331B2 (ja) * 2012-12-03 2017-10-04 花王株式会社 凹凸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
JP6190260B2 (ja) * 2013-12-09 2017-08-30 花王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5931131B2 (ja) * 2014-06-26 2016-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
WO2016104768A1 (ja) * 2014-12-26 2016-06-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賦形された不織布を製造する方法
JP6074470B2 (ja) * 2015-08-25 2017-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シート状素材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MY196655A (en) * 2016-07-29 2023-04-27 Unicharm Corp Laminated Nonwoven Fabric for Liquid-Permeable Sheet in Absorbent Article, and use of Said Laminated Nonwoven Fabric for Liquid-Permeable Sheet in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324A (ja) * 2002-12-20 2006-09-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布状のパーソナルケア用品
JP2009510278A (ja) 2005-10-03 2009-03-12 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デラウェア・コーポレーション 不織布、不織布からなる物品、および不織布の製造法
JP2012136791A (ja) 2010-12-24 2012-07-19 Kao Corp 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16079529A (ja) 2014-10-17 2016-05-16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82405B (en) 2021-03-31
US20200054501A1 (en) 2020-02-20
GB2582405A (en) 2020-09-23
CN110832129B (zh) 2022-03-22
DE112018002957T5 (de) 2020-04-02
JP6561183B2 (ja) 2019-08-14
TWI766071B (zh) 2022-06-01
GB201917297D0 (en) 2020-01-08
KR102119370B1 (ko) 2020-06-05
RU2721351C1 (ru) 2020-05-19
CN110832129A (zh) 2020-02-21
WO2019044220A1 (ja) 2019-03-07
TW201912863A (zh) 2019-04-01
JP2019044321A (ja)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860A (ko) 부직포
JP4895710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KR101389693B1 (ko) 흡수성 물품
WO2015146717A1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該表面シートを備える吸収性物品
KR20020041411A (ko) 비대칭 접합 형태를 가지는 개선된 부직포
TW200304797A (en)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
JP2014070298A (ja) 繊維シート
CN111094640B (zh) 无纺布
JP538634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6002303A (ja) 立体不織布
RU2736266C1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CN109496242B (zh) 吸收性物品的透液性片用的层叠无纺布及上述层叠无纺布在吸收性物品的透液性片中的使用
JP7310034B2 (ja) 吸収性物品用不織布
US9463606B2 (en) Composite stretchable member
KR102192284B1 (ko) 흡수성 물품용 부직포
JP5225449B2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7343635B2 (ja) 不織布
WO2023188404A1 (ja) 不織布、及び当該不織布の製造方法
JP2022174632A (ja) 不織布及びこれを構成部材として含む吸収性物品
JP2023054943A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