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281A -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281A
KR20190120281A KR1020197027306A KR20197027306A KR20190120281A KR 20190120281 A KR20190120281 A KR 20190120281A KR 1020197027306 A KR1020197027306 A KR 1020197027306A KR 20197027306 A KR20197027306 A KR 20197027306A KR 20190120281 A KR20190120281 A KR 20190120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ime
light emitting
emitting mean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142B1 (ko
Inventor
마리안 힐거스
이자벨 프뢸리히
아론 포스트
다니엘 팔저
카트린 뵐커
마크 루카스
아우렐리아 프리드란드
다니엘 슐츠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120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29Type of notification
    • H04M2215/8141Optical, e.g. flashing indication of a lamp, icon, soft-key or symb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수단(10)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이동 수단,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신호 시퀀스가 제안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3)의 작동 장치(5)를 이용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이에 대응하여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무선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3)에 이동 수단(10)을 할당하는 단계 - 이동 수단(10)의 예상 도착 시간 및/또는 도착까지의 시간 간격을 사용자 단말기(3)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에 기초해서 결정된 대기 시간을 대기 시간의 표시를 위해 미리 규정된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6) 및/또는 시간 유닛당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다수의 발광 수단(6)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3)의 점등되는 발광 수단(6)의 위치를 이용해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신호 시퀀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술적으로 미숙한 사람뿐만 아니라 도로 교통에 참여하고자 하는 인지 및 감각적으로 제약을 가진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주문하기 위한 간단한 하드웨어에 관한 것이다.
점점 증가하는 교통량으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가 이동 수단을 함께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이 활성화되었다. 렌트카, 택시 제공업체, 카 셰어링 풀(car sharing pool) 및 이웃간 공유 차량은 각 차량의 평균 이용 기간을 높여서 교통량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에너지 자원 및 환경이 보존된다. 위의 개념들 중 대부분은 기존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상기 스마트폰에는 차량을 검색하고, 예약하고, 주문하고, 청구 관련 작업 단계를 수행하고, 이동 수단의 평가를 수행하고, 차량이 인수되어 추후에 다시 반환될 수 있는 주차장을 검색하기 위해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앱")이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잠재 사용자에게 스마트폰은 적절한 최종 사용자 하드웨어가 아니다. 이는 한편으로 스마트폰의 고가의 구매와 비싼 요금 부과(데이터 요금)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 및 노약자의 경우 작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식별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또한, 숫자와 문자로 정보를 표현하려면 상응하는 예비 교육이 필요하고, 이러한 예비 교육은 외국어를 구사하는 외국 시민과 교육적으로 취약한 계층, 미취학 및 초등학교 연령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선행 기술에 따라 교통량은 최선으로 감소하지 않는다.
DE 20 2016 004 260 U1호는 환자 수송을 담당하는 다수의 차량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사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해, 수송 파라미터는 주문 시 이미 디지털 형식으로 전송되고 이것과 운행 목적의 수행을 보장하기 위한 차량 파라미터 세트가 비교된다.
DE 10 2015 209 190 A1호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상에 주차 위치(예를 들어 주차장) 내에서 이동 수단이 자율 주행하는 궤도가 시각화되는 차량의 사용자 정의식 준비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http://www.manager-magazin.de/unternehmen/autoindustrie/autonomes- fahren-google-sucht-partner-fuer-roboterauto-in-autobranche-a-1009947.html은 자동차를 택시처럼 이용할 수 있기 위해,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동차의 주문을 가능하게 하는 사상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선행 기술의 전술한 단점들을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자동차, 대형 화물 트럭, 화물차, 오토바이, 항공기 및/또는 선박으로 설계될 수 있는 이동 수단은 이하 "제 이동 1 수단"으로 언급될 것이다.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작동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 장치는 이하 "제 1 사용자 단말기"라고도 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종래의 스마트폰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하드웨어 기술적으로 및 소프트웨어 기술적으로 덜 복잡하고 더 견고한 설계가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개별 광 신호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광학적 통신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스크린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버튼으로 설계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무선 메시지가 발송된다. 이러한 무선 메시지는 예를 들어 호출될 이동 수단으로 직접 발송될 수 있다. 이는 지상파 이동 통신, Wi-Fi 핫스팟 또는 이와 같은 것이 개입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추가로 서버도 개입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의 이동 수단 또는 다수의 이동 수단 사이의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히 후속해서 호출된 이동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해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위해 제 1 이동 수단이 예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기와 제 1 이동 수단의 논리적 링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링크는 특히 하나의 운행 목적에 (현재 사용자 위치에서 사용자의 픽업 및 사용자의 목적지 위치로 사용자를 데려다 주는 것) 관련되고 특히 운행 주문이 완료된 후에 해제될 수 있다. 할당과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이동 수단의 예상 도착 시간도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은 다른 인스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동 수단의 도착까지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이동 수단의 위치가 통지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 단말기는 자체 위치 및 디지털 맵 데이터 (선택적으로 또한 현재 교통 데이터에 기반해서도)를 파악하여 이동 수단의 예상 도착 시간을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 수단, 특히 이동 수단 내에 배치된 내비게이션 시스템도 사용자 단말기에서 예상 도착 시간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서버로 직접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다시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시간 정보는 절대 시각 및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지속 시간(예를 들어 15분)을 표시할 수 있다. 감각 또는 인지 능력과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대기 시간을 눈에 띄는 방식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에 기초해서 결정된 대기 시간(또한 대기 지속 시간)은 대기 시간의 표시를 위해 미리 규정된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을 이용해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모래시계에 상응하게, 각각의 점등되는 LED는 특정 지속 시간을 나타내므로,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합은 결정된 대기 시간을 명시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대기 시간의 표시는, 시간 단위당 비활성화될 발광 수단의 수가 규정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위해 제공된 모든 이용 가능한 발광 수단이 먼저 활성화되고, 예상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선형적으로 차례로 완전히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대기 시간은 먼저 모든 발광 수단에 고르게 분포되고, 대기 시간의 제 1 부분의 경과 후에 제 1 발광 수단이 비활성화되고, 대기 시간의 제 2 부분의 경과 후에 제 2 발광 수단 및 기타 등등이 비활성화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결정된 대기 시간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때로는 아날로그 시계에 알맞고, 상기 시계의 바늘 위치가 발광 수단 위치로 상징된다. 또한, 결정된 대기 시간에 따라서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다수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는 점등되는 제 1 발광 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제 2 위치는 점등되는 제 2 발광 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대기 시간의 경과 후에야 2개의 위치가 일치하거나 동일하도록, 제 1 위치는 제 2 위치와 비교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위치는 고정적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2개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결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 후에 미리 규정된 제 3 위치에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위치는 반대 방향으로 선형 또는 원형 궤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발광 수단들은 서로 비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숫자 및/또는 문자를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발광 수단은, 미리 규정된 및/또는 선택적인 형상 및/또는 기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디자인을 위해, LED의 램프(ramp)형 트리거는, 광의 조명 및 비조명 조명 영역 사이의 부드러운 전이가 이루어지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기 시간도 가장 단순한 하드웨어를 이용해서 거의 소프트웨어 없이 표시될 수 있어 매우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어린이, 고령자 및 기타 노약자들이 이동 수단에 편리하게 액세스할 수 있고, 이때 스마트폰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거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판독/이해하지 않아도 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서버에 미리 논리적으로 링크된 다수의 이동 수단 중에 이동 수단이 선택될 수 있다.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택시 회사 등의 서버 일 수 있다. 상응하게 사용자 단말기도 서버에 링크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소유자의 신원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지불 방식 및 연락처 데이터가 서버에 저장되며, 이 경우 이들은 반드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서 저장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사용자의 픽업 및 수송을 위해 필요한 사용자 단말기에 링크된 정보는 더 이른 시점에 스마트 폰, 태블릿 또는 PC 등을 이용해서 미리 규정되었을 수 있다.
사용자를 향한 가급적 최단 시간 도착과 사용자의 가급적 가장 짧은 대기 시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동 수단은 다수의 이동 수단 중에 종래의 방식으로 위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도착을 위해 발생하는 차량 배출 가스를 감소시킨다.
특히, 전술한 방법이 다수의 상이한 사용자 위치를 지원하는 경우에, 먼저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결정이 야기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Wi-Fi 핫스팟, 지상파 이동 무선 신호 및/또는 위성 기반 전송 신호들의 평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경우, 위치 결정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근거리 무선 접속(블루투스, 블루투스 LE)을 통해 사용자의 좌표가 이동 수단, 서버 또는 먼저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단말기의 결정된 위치(실제 위치)는 무선 메시지의 형태로 발송되어 제 1 이동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주행할 경로의 출발 지점으로써 이용된다. 이것은, 미리 규정된 다수의 출발 위치를 규정하는 데이터 메모리가 사용자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작동 장치를 이용해서 상이한 출발 위치에 할당된 작동 패턴을 통해 각각의 출발 지점을 이동 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키 스트로크(key stroke)는 집 주소에서 픽업을 표시할 수 있는 한편, 더블 클릭은 유치원에서 픽업을 야기한다. 길게 누르는 것은 양로원이나 다른 시설에서 픽업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행할 경로의 시작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를 하드웨어 기술적으로 가급적 단순하게 유지하고 조작 오류를 배제하기 위해, 스마트폰, PC 또는 태블릿을 이용해서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목적지가 기록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무선 정보 교환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적 접속을 위한 가능성은 PC에 연결될 수 있는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Firewire) 포트이다. 전술한 방식들 중 하나로, 결정된 목적지의 도착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가 미리 규정되는 시간 범위 (예를 들어, 특히 요일에 따른 하루 동안의 시각) 도 정해질 수 있다. 이어서, 호출된 제 1 이동 수단 내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이 자동적으로 결정되면, 사용자가 제 1 이동 수단에 목표 위치를 사전 설정하지 않고도, 미리 규정된 목적지에 자동으로 도달된다. 오히려 제 1 이동 수단은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인터넷 기반/서버 기반 프로필로부터, 어디로 운행해야 하는지를 판독한다. 이는, 사용자(특히, 어린이/노약자/정신적 판단력이 없는 승객)가 책임자(예를 들어 양육권자, 법률 후견인)가 규정한 목적지 이외의 다른 곳에 도달할 수 없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목적지 규정 없이 사용자에게 전달 또는 사용자에게 부착될 수 있다. 법률 후견인은 스마트폰, PC 등을 통해 서버상에서/클라우드에서 현재 도달할 목표 위치를 미리 규정할 수 있고, 이 경우 후견인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프로필을 새 목적지에 링크할 수 있다. 제 1 이동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자를 판독하는 즉시, 이동 수단은 서버/클라우드에, 업데이트된 목적지 위치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미리 규정되었는지 여부 또는 현재 날짜/시각에 기초하여 일반적으로 미리 규정된 목적지에 도달될 수 있는지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각 또는 인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목표 위치를 정하거나 이러한 목표 위치를 이동 수단의 운전자와 협의하는 것이 허가된 시각/요일 등도 유사한 방식으로 미리 규정될 수 있다.
광을 방출하고 또는 대기 시간을 표시하도록 트리거되는 발광 수단으로서 다수의 LED를 사용은 특히 견고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LED는 특히 선형, 원형, 타원형을 따라 또는 이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특히 LED는 작동 장치를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시력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문제없이 작동 장치를 찾아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LED는, 예를 들어 개별 발광 수단/LED의 식별을 어렵게 하거나 완전히 방지하는 광 확산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접근할 때 교통 흐름 변화 또는 이동 수단의 경로 계획 시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예상 도착 시간의 업데이트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시각화된 대기 시간도 조정할(업데이트할)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업데이트된 예상 대기 시간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점등되는 발광 수단 또는 시간 단위당 비활성화될 발광 수단의 수 또는 현재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음 및/또는 진동 패턴 및/또는 점멸 신호 및/또는 색 변경 표시는, 현재의 상황으로 인해 이동 수단의 기존의 예상 도착 시점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를 불안하게 하지 않기 위해, 특히 대기 시간이 시간 단위당 비활성화될 다수의 발광 수단에 의해 명시되는 경우, 현재 점등 중인 나머지 발광 수단으로 업데이트된 대기 시간이 분배되고, 따라서 점등 중인 나머지 발광 수단은 업데이트된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차례로 점점 빠르게 및/또는 점점 느리게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발광 수단의 비활성화가 언급되면, 당업자는 당연히, 예상 대기 시간이 발광 수단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활성화에 의해서도 명시될 수 있으므로, 대기 시간의 경과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된 모든 발광 수단이 광을 방출한다는 것을 파악한다. 따라서, 해당하는 대상은 마찬가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의 업데이트는 - 전술한 바와 같이 -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에너지 리소스 및 경우에 따라서 이를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데이터 요금을 요구하는 상당한 시그널링 비용과 연관된다. 업데이트 비용을 작게 유지하기 위해, 특히 미리 규정된 시간 단위에서 예상 도착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제안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예상 도착 시간/시간 간격의 이벤트 기반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에 결정된 대기 시간의 미리 규정된 퍼센티지가 경과한 후에 서버에 또는 도착 시간을 결정하는 인스턴스에 조회가 전송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미리 규정된 정해진 시간 범위는 결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 이전에 결정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예상 대기 시간 또는 시간 간격의 업데이트에 관한 조회가 전송될 수 있다. 조회의 수신에 대응하여 이동 수단 또는 서버는 새로운 경로 계산을 개시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업데이트된 예상 도착 시간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저 에너지- 및 데이터 통신 비용으로 항상 현재의 예상 도착 시간/대기 시간에 대해 정보를 받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서로 공간적으로 근접 시 이용되는 이동 수단과 사용자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가능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먼저, 제 1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해,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또한, 제 2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해,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된다. 제 2 사용자 단말기도 직접 제 2 이동 수단에 및/또는 미리 규정된 서버로 (예를 들어 전술한 서버로) 무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제 2 이동 수단이 할당된다. 기다리는 사용자가 이동 수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색 정보와 구별되는 제 2 색 정보도 제 2 이동 수단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이동 수단도 제 2 색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광 방출을 하게 한다. 제 2 사용자 단말기도 제 2 색 정보에 의해 규정되고 제 2 이동 수단에 의해 방출되는 광 컬러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색을 갖는 광 방출을 하게 한다. 잠재적 사용자의 수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색 공간의 사용은 경우에 따라서 제 1 색 정보와 제 2 색 정보의 색의 구별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와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각각의 위치 정보가 서로 비교될 수 있다. 2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서로 충분히 다른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로 다른 거리 또는 심지어 도시의 다른 구에 위치하는 경우), 동일한 색이 사용되더라도, 접근하는 각각의 이동 수단을 혼동할 염려는 없다. 2개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미리 규정된 공간적 관계(근접)에 대응하여, 제 2 색 정보는 제 1 색 정보에 대한 미리 규정된 최소 색 간격이 유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원색이 제 1 및 제 2 색 정보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므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그들의 각각의 이동 수단을 (예를 들어, 박람회, 유치원 등의 출구에서) 기다리는 경우에 혼동의 위험은 없다. 혼동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서비스는 훨씬 더 개선될 수 있다. 한편으로, 제 1 사용자에 의해 제 1 시점에 호출된 제 1 이동 수단을 이후의 제 2 시점에야 제 2 이동 수단을 주문한 제 2 사용자가 실수로 탑승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동 수단의 미리 규정될 수 있는 원하는 구성은 각각의 대기중인 사용자의 요구에 더 잘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치원 아동이 아동용 시트 부스터 시트 또는 아동용 시트를 필요로 하고, 다른 이동 수단이 이를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는 차량을 혼동함으로써 운행 목적을 그르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공간적으로 근접하다는 전제하에서) 충분한 색 간격에 의해, 이동 수단 또는 그것의 운영자의 서비스는 더 정확하고 편리해질 수 있다.
접근 가능한 제 1 이동 수단을 사용자에 의해 가급적 조기에 장애 없이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1 색 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에 할당된 제 1 이동 수단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색 정보가 포함된 제 1 이동 수단으로 무선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응하게 제 1 색 정보가 포함된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예를 들어, 서버 또는 이동 수단에 의해) 무선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색 정보에 해당하는 색의 광 방출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서 접근하는 어떤 이동 수단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먼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방출된 광을 관찰한 후에, 동일한 색의 광을 방출하는 이동 수단을 주변에서 찾아낼 수 있다. 컬러 톤을 특히 서로 잘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사용자는 접근 중인 이동 수단의 방향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판을 이용해서 이동 수단을 식별하기 위해, 문자를 판독하거나 파악할 필요가 없다. 특히 어두울 때에는, 이동 수단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멀리서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탑승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로 측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미리 규정된 색의 광"이 언급되면, 이는 또한 미리 규정된 시간에 따른 컬러 프로파일, 미리 규정된 시간에 따른 강도 프로파일 및/또는 미리 규정된 공간 광 분포 패턴을 의미하고, 이것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뿐만 아니라 이동 수단에 의해서도 상응하게 반영될 수 있다. 물론, 식별을 위해 색 정보에 따라서 방출된 광은 대기 시간을 명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방출되는 광일 수 있거나 상기 광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핸드헬드 송신기(handheld transmitter)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작동 장치, 위치 결정 장치, 송수신 장치 및 평가 유닛(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견고하고, 부피가 작으며 저렴한 하드웨어 구성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미리 규정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이 제공된다. 평가 유닛은, 작동 장치(예를 들어 푸시 버튼)와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에 부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 수단들의 미리 규정된 풀(pool)로부터 이동 수단을 호출하고자 하는 요구를 나타낸다. 송수신 장치(예를 들어, 안테나를 포함함)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장치와 관련하여 제 1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해 무선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메시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 수단 간의 중개를 담당하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장치는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 1 이동 수단의 할당의 확인 및 선택적으로 제 1 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이동 수단은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호출을 따르며 다른 승객에게 서비스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동 수단이 도착할 때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독립적으로 자신의 위치와 이동 수단의 현재 위치를 서로 비교할 수 있고 (예컨대, 디지털 맵 데이터 및/또는 교통 흐름 분석 데이터와 관련해서), 예상 도착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서버 및/또는 예상되는 이동 수단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수단 및/또는 서버로부터) 무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메시지로부터 이동 수단의 도착까지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재 시각에 따라서 사용자를 위한 대기 시간이 결정될 수 있고, 이를 명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내의 점등되는 상응하는 다수의 발광 수단이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미리 규정된 수의 발광 수단은 전기적으로 트리거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대기 시간은 시간 단위당 비활성화될 다수의 발광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이를 위해 제공된 발광 수단 전체의 트리거에 기초해서) 또는 시간 단위당 활성화될 다수의 발광 수단에 의해 (이를 위해 제공된 발광 수단 전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 기초해서) 명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단일 발광 수단 또는 미리 규정된 (특히 비 가변적인) 발광 수단들의 그룹의 미리 규정된 위치가 시계의 바늘에 상응하게 대기 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신된 색 정보에 따라서 발광 수단은 또한, 색 정보에 의해 규정된 색을 갖는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 수단 사이의 광학적 할당이 이루어진다. 요약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운행 서비스 회사로 무선 메시지의 전송에 대응하여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정보를 운행 서비스 회사로부터 할당받도록 그리고 이동 수단의 도착까지 대기 시간을 개별적으로 트리거되는 LED의 미리 규정된 시간 거동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할당된 이동 수단에 동일한 색 정보가 전달되면, 이동 수단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전술한 방법과 관련해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특징, 특징 조합 및 장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평가 유닛에서 실행될 때, 평가 유닛이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안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CD, DVD, 플래시 메모리, ROM/RAM, 블루 레이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평가 유닛에서 실행될 때, 평가 유닛이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가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의 영구 저장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메모리가 첨부된 청구항들의 유효 범위를 벗어나서 배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재현하는 명령들의 제공도 보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및 특징 조합은 다음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2개의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2개의 실시예가 이용되는 시나리오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3 내지 도 10은 대기 시간 또는 대기 시간의 경과를 명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예의 발광 수단들의 다양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은 목적지인 집(17)에 도착하기 위해 자율 주행 가능한 이동 수단(10)을 이용하고자 하는 제 1 사용자인 학생(1)과 목적지인 양로원(18)에 도착하기 위해 휠체어에 적합한 유인 환자 수송 차량(11)을 호출하고자 하는 제 2 사용자인 노약자(2)를 위치(16)에서 도시한다. 학생(1)은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사용자 단말기(3)에 스마트폰(15)을 연결하였고, 이 경우 스마트폰(15)은 위성(13)을 사용하여 학생(1)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연결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도 학생(1)의 현재 위치(16)에 관한 정보를 받는다. 자율 주행 이동 수단(10)을 호출하기 위해, 학생(1)은 사용자 단말기(3)의 조작 장치인 버튼(5)을 누르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는 송신탑(8)을 통해 이동 수단(10, 11, 12)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서버(7)에 무선 메시지를 전송한다. 서버(7)는, 이동 수단(10)이 학생(1)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운행 주문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도록 준비되어 있음을 결정한다. 추가로 서버(7)는, 어느 경로에서 이동 수단(10)이 학생(1)을 향해 이동할 것인지 그리고 이를 위해 얼마의 이동 시간이 추정될 수 있는지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이 경우 현재의 교통 데이터/교통 흐름 데이터에도 액세스될 수 있다. 후속해서, 결정된 이동 시간은 무선 메시지에 의해 송신탑(8)을 통해 서버로부터 학생(1)의 사용자 단말기(3)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에 대응하여 발광 수단(6)의 개별 LED의 트리거를 통해 대기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를 생성한다. 언제 늦어도 (다시) 위치(16)에 나타나서 이동 수단(10)에 탑승해야 하는지를 학생(1)에게 신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이 경우에 도 3 내지 도 6에 따라 감소하는 다수의 점등 발광 수단이 이용된다. 그 후에 바로, 서버(7)는 노약자(2)의 사용자 단말기(4)로부터 환자 수송 차량(11)을 보내달라는 조회를 수신하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4)는 위성(13)을 사용하여 노약자(2)의 현재 위치를 독립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결정 장치를 이용해서) 결정하고, 서버(7)에 무선 메시지 내로 해당 정보를 포함시킨다. 또한, 환자 수송 차량(11)에 대해, 디지털 맵 데이터에 따라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교통 데이터/교통 흐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경로 및 예상 도착 시간이 서버(7)에 의해 계산되고, 노약자(2)의 사용자 단말기(4)가 송신탑(8)을 통해 전송된다. 발광 수단(6) 내의 개별 LED를 이용해서, 도 7 내지 도 10에 따라 2개의 LED의 가변적인 위치에 의해, 언제 환자 수송 차량(11)이 노약자(2)에게 도착할 것인지 명시된다.
서버(7)는 또한 학생(1)과 노약자(2) 사이의 미리 규정된 공간 근접도 결정하고, 그로부터 접근하는 차량들(10, 11)이 서로 유사한 색 정보를 가진 경우에 혼란 위험을 알리고, 자동 주행 이동 수단(10)에 전송된 색 정보와 충분히 명확하게 구분되는 환자 수송 차량(11)에 대한 색 정보를 찾는다. 상응하게 자동 주행 이동 수단(10)은 송수신 장치인 안테나(19)를 통해 운행 주문과 색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평가 유닛인 전자 제어부(14)는, 학생(1)에 접근 시 100m에서 발광 수단인 플래시 등(23)을 색 정보에 따라서 이동 수단(10)의 주변으로 유색 광을 방출하기 위해 사용하게 한다. 사용자 단말기(3)는 위치(16)에 이동 수단(10)의 예상 도착 시간과 일치하는 색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푸시 버튼(5)을 둘러싸는 발광 수단(6)이 색 정보에 대응하는 색으로 반짝인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4)도 환자 수송 차랑(11)에 전송된 색 정보 및 환자 수송 차량(11)의 예상 도착 시간을 수신한다.
최종적으로, 환자 수송 차량(11)이 대략 100m에서 노약자(2)의 위치(16)에 접근하였고, 건물(9)을 통과한 후에 노약자(2)에 대한 광축(optical axis)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플래시 등(23)은 수신된 색 정보에 의해 규정된 색을 가진 광을 방출하는 것이 확인된다. 사용자 단말기(4)의 발광 수단(6)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로써 노약자(2)는 접근 중인 환자 수송 차량(11)을 결정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접근 중인 자동 주행 이동 수단(10)과 구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의 발광 링(6)도 트리거되는 LED의 감소하는 수에 의해 예상 도착 시점까지 감소하는 지속 시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아일렛(24)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를 분실할 수 없도록 대비하기 위해, 각 사용자의 열쇠 꾸러미, 벨트 버클에 사용자 단말기(3)의 간단하고 안전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는 열쇠고리로서 설계될 수 있다. 작동 장치인 푸시 버튼(5)은 발광 링(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링의 확산기는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으므로, 그 뒤에 위치한 원형 링 형상 내에 라인 형태로 배치된 LED(6a)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에 이동 수단이 할당된 즉시, LED(6a)는 평가 유닛인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20)에 의해 트리거된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20)는 지상파 이동 통신을 위한 또는 Wi-Fi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22)를 통해 해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GPS 안테나(21)는 위치 결정 장치로서 제공되고, 정보 기술적으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20)에도 연결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하드웨어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3)의 (도시되지 않은) 에너지 저장 장치는 특히 작아질 수 있고 신속하게 (예를 들어 유도성으로) 충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는 USB 포트(25)를 통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이로써 인가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에 대해 (특히 요일- 및/또는 시간대에 따라서) 픽업 장소와 목적지를 미리 규정할 수 있다. 물론, 안테나(22)를 통해서도 해당하는 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와 관련하여 논의된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드웨어를 갖는 열쇠고리 형태의 사용자 단말기(3)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발광 수단(6)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가 트리거되므로, 푸시 버튼(5) 주위에 배열된 링 전체가 조명된다. 활성화된 LED의 수는 대기 시간을 정적으로 명시할 수 있고, 이 경우 완전히 조명된 링은 예를 들어 1시간, 30분 또는 25 분의 대기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경우 발광 수단(6)은 부분적으로만 활성화된다(도면 순서 번호가 커짐에 따라 감소한다). 도시된 각각의 구성은 전송된/결정된 대기 시간을 표시를 위해 적용되거나 대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의 작동을 위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푸시 버튼(5)을 둘러싸는 발광 수단(6)이 2개의 발광 위치(도 8 및 도 9 참조)를 나타내고, 상기 위치들은 후속해서 사용자를 향해 중첩/서로 병합되어(도 10), 결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를 명시할 수 있다.
도 11은 제 1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단계 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작동 장치를 이용해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사용자는 미리 규정된 위치로 이동 수단을 주문한다. 위치는 예를 들어 시각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계 200에서, 이동 수단에 대해 사용자의 운행의 시작점을 결정하기 위해,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결정이 야기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위성 기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 300에서, 결정된 위치는 데이터 형태로 코딩되고, 단계 400에서 이동성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무선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다. 단계 500에서, 사용자에 의해 규정된 운행 목적에 적합한 이동 수단이 선택되고, 사용자 단말기에 이동 수단이 할당된다. 후속해서 단계 600에서,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이동 수단의 도착까지의 시간 간격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정된다. 이를 위해, 서버는 디지털 맵 데이터, 이동 수단 및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선택적으로 교통 데이터/교통 흐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 700에서,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이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접속도 사용될 수 있으며, 시간/시간 간격이 예를 들어 지상파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WLAN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800에서, 이동 수단의 도착까지 사용자가 대비해야 하는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에 기초해서 결정된 대기 시간은 대기 시간의 표시를 위해 미리 규정된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을 이용해서 표시된다. 다시 말해서 우선,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발광 수단 전체가 발광되고,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점차적으로 선형적으로 감소하면서 비활성화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시계나 문자/숫자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 없이 모래시계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900에서, 예상 도착 시간에 도달한 것이 결정된다. 이 시점에 이동 수단의 근거리(무선) 통신 신호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아직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계 900에서, 이동 수단의 예상 도착 시간의 업데이트에 대한 요구가 있다는 것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단계 1000에서, 업데이트된 예상 도착 시간의 수신에 관한 조회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발송된다. 조회의 수신에 대응하여, 단계 1100에서 예상 도착 시간이 서버에서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도착 시간에 따라서 단계 1200에서 업데이트된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이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된다. 단계 1300에서 이에 대응하여, 현재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수는, 현재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합이 예상 대기 시간을 다시 명시하도록 조정된다. 다시 말해서,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수는, 각각의 점등되는 발광 수단에 의해 상징되는 시간 단위가 점등되는 발광 수단의 수와 곱한 결과 현재 전류 대기 시간이 얻어지도록 선택된다.
1: 학생 2: 노약자
3, 4: 사용자 단말기 5: 푸시 버튼
6: 발광 링 6a: LED
7: 서버 8: 송신탑
9: 건물 10: 자동 주행 이동 수단
11: 환자 수송 차량 12: 이동 수단
13: 위성 14: 전자 제어부
15: 스마트 폰 16: 학생/노약자 현재 위치
17: 집 18: 양로원
19: GPS 안테나 20: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21: GPS 안테나 22: 안테나
23: 플래시 등 24: 아일렛
25: USB 포트 100-1500: 방법 단계

Claims (13)

  1. 이동 수단(10)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사용자 단말기(3)의 작동 장치(5)를 이용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100), 이에 대응하여,
    -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400),
    - 무선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 상기 이동 수단(10)을 할당하는 단계(500),
    - 상기 이동 수단(10)의 예상 도착 시간, 및/또는
    - 도착까지의 시간 간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서
    - 결정하는 단계(600), 및
    - 상기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상기 시간 간격에 기초해서 결정된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시간의 표시를 위해 미리 규정된
    -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6), 및/또는
    - 시간 유닛당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다수의 발광 수단(6), 및/또는
    - 상기 사용자 단말기(3)의 점등되는 발광 수단(6)의 위치를 이용해서 표시하는 단계(800)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버(7)에 미리 논리적으로 링크된 다수의 이동 수단(10, 11, 12) 중에 상기 이동 수단(10)이 선택되는 것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5)는 하드웨어로 설계된 주문 버튼인 것인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특히 스마트폰(15)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의 위치 결정을 야기하는 단계(200), 및
    - 상기 이동 수단(10)으로 운행을 위한 출발 지점을 규정하기 위해 결정된 위치를 무선 메시지로 코딩하는 단계(300)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상기 시간 간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 전달하는 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6)은 다수의 LED들(6a)을 포함하고, 상기 LED들(6a)은 특히 서로 선형 배열을 갖고 및/또는 직선 배열을 갖지 않는 것인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예상 도착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1100), 및
    - 상기 업데이트된 예상 도착 시간에 따라서,
    - 현재 점등되는 발광 수단(6)의 수, 또는
    - 상기 사용자 단말기(3)의 시간 단위당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발광 수단(6)을 조정하는 단계(1300)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예상 도착 시간이 - 특히 미리 규정된 편차를 제외하고 - 도래한 것 또는 상기 시간 간격 및/또는 대기 시간이 - 특히 미리 규정된 편차를 제외하고 - 경과한 것을 결정하는 단계(900), 및 이에 대응하여,
    - 업데이트된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상기 시간 간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 전송하는 단계(1200)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 상기 업데이트된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상기 시간 간격의 수신에 관한 조회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1000)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사용자 단말기(3)로서,
    - 작동 장치(5),
    - 송수신 장치(22),
    - 평가 유닛(20), 및
    - 발광 수단(6)을 포함하고,
    - 상기 평가 유닛(20)은, 상기 작동 장치(5)와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에 부합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송수신 장치(22)는, 이에 대응하여,
    - 이동 수단(10)을 호출하기 위한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그리고
    -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 대한 상기 이동 수단(10)의 할당의 확인, 및
    - 상기 이동 수단(10)의 예상 도착 시간, 및/또는
    - 도착까지의 시간 간격과 관련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상기 시간 간격에 따라서,
    - 상기 발광 수단(6)은, 도착 시간 또는 시간 간격에 기초해서 결정된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시간의 표시를 위해 미리 규정된
    - 점등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6), 및/또는
    - 시단 단위당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다수의 발광 수단(6), 및/또는
    - 점등되는 발광 수단(6)의 위치를 이용해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3).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의 평가 유닛(20)에서 실행될 때, 상기 평가 유닛(20)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의 평가 유닛(20)에서 실행될 때, 상기 평가 유닛(20)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
KR1020197027306A 2017-03-06 2018-02-06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KR102325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3613.3A DE102017203613A1 (de) 2017-03-06 2017-03-06 Anwenderendgerät und Verfahren zum Herbeirufen eines Fortbewegungsmittels
DE102017203613.3 2017-03-06
PCT/EP2018/052860 WO2018162159A1 (de) 2017-03-06 2018-02-06 Anwenderendgerät und verfahren zum herbeirufen eines fortbewegungsmitt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281A true KR20190120281A (ko) 2019-10-23
KR102325142B1 KR102325142B1 (ko) 2021-11-12

Family

ID=6118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306A KR102325142B1 (ko) 2017-03-06 2018-02-06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93299A1 (ko)
KR (1) KR102325142B1 (ko)
DE (1) DE102017203613A1 (ko)
WO (1) WO20181621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0907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营运车辆服务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0308A1 (de) * 2018-11-27 2020-05-28 Audi Ag Verfahren zur Bestellung eines Fahrdienstes mit einem Fahrzeug, sowie elektronisches Fahrdienstsystem
US20220164718A1 (en) * 2019-04-02 2022-05-26 Nissan Motor Co., Ltd. Allocated vehicle extraction server, allocated vehicle extraction means, allocated vehicle extraction method, and allocated vehicle display terminal
DE102019208794A1 (de) * 2019-06-17 2020-1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Navigationsverfahren unter Berücksichtigung eines Nutzerprofi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698A (ja) * 2002-11-06 2004-06-03 Nec Corp タクシー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タクシーサービス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13002868A (ja) * 2011-06-14 2013-01-07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35520A (ja) * 2012-05-10 2013-11-21 Haruka Nishimori 携帯端末に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ダウンロードされ、その携帯端末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45465B1 (es) * 2012-08-03 2015-03-10 Univ Rey Juan Carlos Procedimiento de coordinación de flotas para la asistencia de eventos en entornos dinámicos
DE102013013569A1 (de) 2013-08-14 2015-02-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fahren und System zur Anzeige einer Wartezeit eines Kraftfahrzeuges an einer externen Verkehrseinheit
US20160042303A1 (en) 2014-08-05 2016-02-11 Qtech Partners LLC Dispatch system and method of dispatching vehicles
DE102015209190A1 (de) 2015-05-20 2016-1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nutzerdefinierten Bereitstellung eines Fahrzeugs
DE202016004260U1 (de) 2015-07-14 2016-08-17 Sonnenschein Personenbeförderung GmbH System zur Koordination mehrerer Fahrzeu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698A (ja) * 2002-11-06 2004-06-03 Nec Corp タクシー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タクシーサービス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13002868A (ja) * 2011-06-14 2013-01-07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35520A (ja) * 2012-05-10 2013-11-21 Haruka Nishimori 携帯端末に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ダウンロードされ、その携帯端末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0907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营运车辆服务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142B1 (ko) 2021-11-12
EP3593299A1 (de) 2020-01-15
US20210082287A1 (en) 2021-03-18
DE102017203613A1 (de) 2018-09-06
WO2018162159A1 (de)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142B1 (ko) 이동 수단을 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US10883843B2 (en) Method for remotely identifying one of a passenger and an assigned vehicle to the other
CN110462341B (zh) 用于交通工具导航辅助的移动应用接口装置
CN109017811A (zh) 用于提供乘客对自主车辆的增强使用的系统和方法
JP7309980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7308992B2 (ja) Lidarベースの通信
CN110154881B (zh) 车辆用照明系统及车辆
CN108933988A (zh) 基于光的车辆-装置通信
US96712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CN104180816A (zh) 车载装置、导航信息输出方法、便携电话及车辆导航系统
JP2017087876A (ja) 車両用投射装置および車両用投射システム
US2015030447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mobile telephone and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14134897A (ja) 車両用意思疎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9032806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8144925A (ja) 配達管理装置、配達管理方法および配達管理システム
JP2016201008A (ja) 車載端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歩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待ち合わせ方法
WO2020186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to-offline services
JP2002054945A (ja) 歩行者向け経路誘導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CN110392896B (zh) 用户终端设备、行进装置、服务器和用于呼叫行进装置的方法
JP2018088193A (ja) 対象識別システム、駐車場装置及び自動車
US12002365B2 (en)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ending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JP7133635B2 (ja) 予約車両制御方法、予約車両制御装置、及び予約車両制御システム
WO201704677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KR20010097444A (ko) 이동전화, 유선전화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근접 차량 호출방법
JP6721532B2 (ja) 情報分析装置及び情報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