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667A -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667A
KR20190116667A KR1020180039591A KR20180039591A KR20190116667A KR 20190116667 A KR20190116667 A KR 20190116667A KR 1020180039591 A KR1020180039591 A KR 1020180039591A KR 20180039591 A KR20180039591 A KR 20180039591A KR 20190116667 A KR20190116667 A KR 20190116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achine
ring body
circular knitting
body fram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322B1 (ko
Inventor
장혜연
Original Assignee
장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연 filed Critical 장혜연
Priority to KR102018003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3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double)환편기의 금속재의 천정판에 다수개로 설치된 고정부를 전자석으로 탈부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링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역 및 정회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기어가 링체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부와 이 기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는 안정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상기 링체프레임부상에 상기 에어공급부(50)를 설치하여서, 상기 에어공급부와 연동되는 상기 에어분사부들이 링체프레임부에서 더블(double)환편기의 니들부위 상부와 마주하여 왕복하여 자유롭게 분사하도록 하여 이 에어분사부들로 분사되는 에어로 더블(double)환편기의 편직작동으로 발생되는 린트가 니들 부위를 통하여 원사의 편직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니들부위에 린트가 떨어진 것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li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블(double)환편기의 금속재의 천정판에 다수개로 설치된 고정부를 전자석으로 탈부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링체프레임부에 설치하고,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역 및 정회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기어가 링체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부와 이 기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는 안정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상기 링체프레임부상에 상기 에어공급부를 설치하여서, 상기 에어공급부와 연동되는 상기 에어분사부들이 링체프레임부에서 더블(double)환편기의 니들부위 상부와 마주하여 안정적으로 왕복하여 자유롭게 분사하도록 하여 이 에어분사부들로 분사되는 에어로 더블(double)환편기의 편직작동으로 발생되는 린트가 니들부위를 통하여 원사의 편직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니들부위에 린트가 떨어진 것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편기의 편직작업 중 발생되는 린트는 공중에 떠다니는 먼지와 그외 미세한 입자들과 함께 니들부위에 쌓이면서 뭉치게 되면 린트 슬러브(Lint Slub)가 되며, 이러한 린트 슬러브가 원사에 혼입되어 편직될 경우에는 그 원단은 불량품이 될 뿐 아니라 원사를 끊어지게 하거나 또는 바늘을 부러뜨리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환편기는 크게 고정부와 회전부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니들부위도 고정부에 속한 니들부위와, 회전부에 속한 니들부위로 구분된다. 고정부의 니들부위에는 사도, 롤라, 싱카판 등이 있고, 회전부의 니들부위에는 니들과 싱카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린트슬러브는 고정부의 니들부위인 사도, 롤라, 상카판 등과 회전부의 니들부위인 니들과 싱카핀의 아주 좁은 간격의 틈에 끼이게 된다.
따라서 환편기의 니들부위에서 린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환편기 업계의 공통적인 과제가 되어 왔다.
한편, 환편기에서 원단을 편직할 때 린트 및 린트슬러브가 원단에 혼입되어 불량원단이 생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다. 그런데 린트 및 린트슬러브가 원단에 혼입되어 불량원단이 생산되는 가장 큰 원인은, 린트 및 린트슬러브가 환편기의 니들부위에 쌓여 있다가 편직되는 순간 원단에 손쉽게 혼입되기 때문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니들부위에 린트슬러브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니들부위에 생성되는 린트슬러브는 즉시 제거하여야 하고, 환편기는 바늘이 촘촘하게 꽂혀 있는 실린더가 자전하면서 캠으로 바늘을 움직여 원사를 편직하는 구조를 갖는 기계로서, 환편기의 니들부위는 편직되는 원단을 고급품화하거나 또는 불량품화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부분인데, 이와 같이 주요부분인 니들부위는 기계구조상 항시 오픈(open)된 상태이기 때문에 편직작업 중 공중을 떠다니는 린트는 니들부위로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편기의 니들부위 상방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송풍팬을 작동시켜서 바람을 송풍시키는 방법으로 린트를 제거하는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린트를 제거하는 장치로서는, 특허등록 제10-0292000호의 린트제거장치가 제안된 바, 상기 린트제거장치는 니들부위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장치가 회전장치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지 않고 정역 방향으로 왕복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호스 또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등이 꼬이지
않도록 하면서 니들부위 위에 이미 떨어져 있거나 날아다니는 린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회전장치를 정 및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장치가 고가이고 또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비싸지게 되며, 이로 인해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고, 모터로 구동되는 회전장치는 환편기에 한번 고정설치하면 탈착하기에 불편하고, 회전장치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환편기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회전장치를 하나의 구동장치에 다수개의 안내롤러들을 구비하여 하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장치에서 안정적으로 구동되지 못하여 환편기의 니들부위에 침투 및 낙하된 린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더블(double)환편기의 금속재의 천정판에 다수개로 설치된 고정부를 전자석으로 탈부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링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역 및 정회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기어가 링체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부와 이 기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는 안정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상기 링체프레임부상에 상기 에어공급부를 설치하여서, 상기 에어공급부와 연동되는 상기 에어분사부들이 링체프레임부에서 더블(double)환편기의 니들부위 상부와 마주하여 안정적으로 왕복하여 자유롭게 분사하도록 하여 이 에어분사부들로 분사되는 에어로 더블(double)환편기의 편직작동으로 발생되는 린트가 니들부위를 통하여 원사의 편직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니들부위에 린트가 떨어진 것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 새로운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환편기(10)의 중앙축(11)을 감싼 상태로 천정판(12)에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들이 내측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링체프레임부(30)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기어부(40)와; 상기 기어부(40)와 맞물리는 구동기어(51)를 구동축(52)에 구비한 모터(53)가 상기 고정부(20)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성된 구동부(50)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부외측둘레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에어연결구(61)와, 상기 에어연결구(61)들을 서로 연결하는 에어호스(62)와, 상기 에어연결구(61)중 어느 하나에 에어공급구(63)가 설치된 에어공급부(60)와; 상기 에어연결구(61)의 하부에 절곡되어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환편기(10)의 니들부위(13)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환편기에서 편직작동시 발생되는 린트가 상기 니들부위(13)에 침투방지 및 상기 니들부위(13)에 떨어진 린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에어분사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판(21)과, 상기 수평판(21)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22)과, 상기 전자석(22)의 자성을 온 및 오프하는 스위치(23)가 상기 전자석(22)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의해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판(21)과, 상기 수평판(21)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22)과, 상기 전자석(22)의 자성을 온 및 오프하는 스위치(23)가 상기 전자석(22)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의해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24)와, 상기 수평판(21)의 중앙에 설치된 관통공(25)과, 상기 관통공(25)의 하부가외둘레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모터(53)와, 상기 모터(53)의 구동축(52)은 상기 관통공(25)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되어 상기 수평판(21)의 상부로 노출된 구동축(52)에 설치된 구동기어(51)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기 기어부(4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의 하부에는 안내턱(31)이 형성되어 양 상기 안내롤러(24)의 외측면과 하부면이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롤러(24)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판(21)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외측안내부(24a)가 설치되고, 양 상기 외측안내부(24a)의 상부에는 볼(24b)이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볼(24b)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면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4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1/2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40)는 만곡된 래크기어(40a)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40)에 맞물리는 상기 모터(53)의 상기 구동기어(51)는 피니언기어(51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부(70)에 회전전환부(7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1)의 구성인 전자석(22)의 하부에 회동되게 설치된 회동부(26)와, 상기 회동부(26)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공(27)에 삽입된 수평회동부(28)와, 상기 회동공(27)에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수평회동부(28)의 노출부(28a)에 고정너트(28b)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회동부(28)의 일측은 수평판(21)의 하부에 위치하여 힌지(h)로 상기 수평회동부(28)가 상기 수평판(2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블(double)환편기의 금속재의 천정판에 다수개로 설치된 고정부를 전자석으로 탈부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링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역 및 정회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기어가 링체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부와 이 기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는 안정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상기 링체프레임부상에 상기 에어공급부를 설치하여서, 상기 에어공급부와 연동되는 상기 에어분사부들이 링체프레임부에서 더블(double)환편기의 니들부위 상부와 마주하여 왕복하여 자유롭게 분사하도록 하여 이 에어분사부들로 분사되는 에어로 더블(double)환편기의 편직작동으로 발생되는 린트가 니들부위를 통하여 원사의 편직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니들부위에 린트가 떨어진 것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하부와 수평판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의 회전전환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체프레임부와 안내롤러와, 외측안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하부와 수평판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사의 회전전환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체프레임부와 안내롤러와, 외측안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는 고정부(20)와, 링체프레임부(30)와, 기어부(40)와, 구동부(50)와, 에어공급부(60)와, 에어분사부(70)로 구성된다.
상기 환편기(10)는 더블(double)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환편기(10)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20)는 환편기(10)의 중앙축(11)을 감싼 상태로 천정판(12)에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되는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0)는 후술되는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과 연계되어 4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판(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21)의 중앙에는 관통공(25)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공(25)의 하부외측둘레에 후술되는 모터(53)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21)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22)의 자성을 온 및 오프하는 스위치(23)가 상기 전자석(22)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전자석(22)에 전원을 상기 스위치(23)를 온하여 상기 전자석(22)에서 자성을 발생시켜 금속재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23)를 오프하여 상기 전자석(22)의 자성을 소멸시켜 금속재에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40)를 상기 전자석(22)으로 구성하여,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환편기(10)의 몸체 또는 상기 환편기(10)의 상기 천정판(12)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되게 하여 상기 고정부(40)들을 갖는 본 발명의 린트제거장치가 고장시 보다 수월하게 상기 환편기(10)에서 이탈시켜 린트제거장치의 고정난 구성부를 손쉽게 고쳐서 다시 상기 환편기(10)에 손쉽게 부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평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의해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24)로 구성된다.
즉, 양 상기 안내롤러(24)들은 상기 링체프레임부(20)의 내측둘레가 회동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21)의 구성인 상기 전자석(22)의 하부에 회동되게 설치된 회동부(26)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26)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공(27)에 삽입된 수평회동부(28)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공(27)에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수평회동부(28)의 노출부(28a)에 고정너트(28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회동부(28)의 일측은 수평판(21)의 하부에 위치하여 힌지(h)로 상기 수평회동부(28)가 상기 수평판(21)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자석(22)의 하부에 상기 회동부(26), 상기 수평회동부(28)를 구성하여 상기 수평판(21)의 하부와 서로 연결하여서, 상기 전자석(22)이 상기 수평판(21)에서 상기 수평회동부(28)로 수평으로 360도 회전이 자유롭고 상기 회동부(26)로 수직으로 360도 회전이 자유롭게 회동되어서 상기 전자석(22)을 상기 환편기(10)의 상기 천정판(12)에 부착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환편기(10)의 어느 부위에도 자유롭게 상기 전자석(22)으로 탈부착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체프레임부(30)는 상기 고정부(20)들이 내측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링체프레임부(30)는 중앙이 빈 환형의 링체로 형성된다.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는 4개의 상기 고정부(20)의 구성인 양 상기 안내롤러(24)들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일부분에는 후술되는 기어부(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의 하부에는 안내턱(3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내턱(31)의 상부면과 내측면은 후술되는 양 안내롤러(24)의 외측면과 하부면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양 상기 안내롤러(24)의 하부면의 외측둘레가 상기 안내턱(31)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양 상기 안내롤러(24)가 설치된 상기 수평판(21)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20)의 구성인 상기 전자석(22)이 상기 환편기(10)의 상기 천정판(12)에 부착되어 고정될 시, 상기 고정부(20)의 구성인 상기 수평판(21)이 양 상기 안내롤러(24)들로 인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기 안내턱(31)의 내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안내롤러(24)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판(21)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외측안내부(24a)가 설치되고, 양 상기 외측안내부(24a)의 상부에는 볼(24b)이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볼(24b)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면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21)의 외측에 상기 볼(24b)을 갖는 양 상기 외측안내부(24a)를 설치하는 것은, 양 상기 외측안내부(24a)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볼(24b)들로 인해 상기 볼(24b)과 맞닿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면을 안내하도록하여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설치된 기어부(40)와 연계된 구동부(50)에 의해 상기 링체프레임부(30)가 왕복작동시, 상기 볼(24b)들로 인해 상기 링체프레임부(30)가 보다 원할하게 구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어부(4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기어부(4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1/2부위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부(40)는 만곡된 래크기어(40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어부(40)에 맞물리는 모터(53)의 구동기어(51)는 피니언기어(51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기어부(40)와 맞물리는 구동기어(51)를 구동축(52)에 구비한 모터(53)가 상기 고정부(20)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판(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21)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22)의 자성을 온 및 오프하는 스위치(23)가 상기 전자석(22)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의해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24)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21)의 중앙에 설치된 관통공(25)과, 상기 관통공(25)의 하부가외둘레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모터(53)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53)의 구동축(52)은 상기 관통공(25)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되어 상기 수평판(21)의 상부로 노출된 구동축(52)에 설치된 구동기어(51)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기 기어부(4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53)의 구동축(52)에 설치된 상기 구동기어(51)는 피니언기어(51a)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40)의 만곡된 래크기어(40a)맞물려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 1/2의 부위에 상기 기어부(40)의 상기 래크기어(40a)가 설치되어 상기 래크기어(40a)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1a)인 상기 구동기어(51)의 구동으로 상기 링체프레임부(30)는 상기 고정부(20)들의 상기 안내롤러(24)들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는 상기 환편기(10)의 상기 천정판(12)의 하부에서 좌에서 우로 구동하고 다시 우에서 좌로 구동하도록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에어공급부(6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부외측둘레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에어연결구(61)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연결구(61)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부에 3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에어연결구(61)들을 서로 연결하는 에어호스(62)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연결구(61)중 어느 하나에 에어공급구(6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에어공급구(63)는 에어공급개폐수단(미도시)을 구비한 에어발생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에어분사부(70)는 상기 에어연결구(61)의 하부에 절곡되어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부(70)는 상기 환편기(10)의 니들부위(13)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환편기에서 편직작동시 발생되는 린트가 상기 니들부위(13)에 침투방지 및 상기 니들부위(13)에 떨어진 린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에어분사부(70)에서 분사되는 에어로 상기 환편기(10)의 편직작동으로 발생되는 린트가 상기 니들부위(13)를 통하여 원사의 편직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니들부위에 린트가 떨어진 것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에어분사부(70)에 회전전환부(7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에어분사부(70)에 회전전환부(71)가 설치되는 것은, 상기 에어분사부(70)를 상기 니들부위(13)의 상부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하여 린트가 상기 니들부위(13)를 통하여 원사의 편직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니들부위에 린트가 떨어진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더블(double)형으로 구성된 상기 환편기(10)의 금속재의 상기 천정판(12)에 다수개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20)를 상기 전자석(22)으로 탈부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상기 링체프레임부(30)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20) 중 어느 하나에 역 및 정회전되는 상기 모터(53)로 구동되는 상기 구동기어(51)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기어부(40)와 이 상기 기어부(40)와 연동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는 왕복운동을 하고 상기 링체프레임부(30)상에 상기 에어공급부(50)를 설치하여서, 상기 에어공급부(50)와 연동되는 상기 에어분사부(70)들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에서 더블(double)형으로 구성된 상기 환편기(10)의 상기 니들부위(13) 상부와 마주하여 안정적으로 왕복하여 자유롭게 분사하도록 하여 이 상기 에어분사부(70)들로 분사되는 에어로 더블(double)형으로 구성된 상기 환편기(10)의 편직작동으로 발생되는 린트가 상기 니들부위(13)를 통하여 원사의 편직에 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니들부위(13)에 린트가 떨어진 것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환편기 11: 중앙축
12: 천정판 13: 니들부위
20: 고정부 21: 수평판
22: 전자석 22a: 스위치
24: 안내롤러 25: 관통공
26: 회동부 27: 회동공
28: 수평회동부 28a: 노출부
28b: 고정너트 30: 링체프레임부
40: 기어부 40a: 래크기어
50: 구동부 51: 구동기어
51a: 피니언기어 52: 구동축
53: 모터 60: 에어공급부
61: 에어연결구 62: 에어호스
63: 에어공급구 70: 에어분사부
71: 회전전환부 h: 힌지

Claims (7)

  1. 환편기(10)의 중앙축(11)을 감싼 상태로 천정판(12)에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들이 내측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링체프레임부(30)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기어부(40)와;
    상기 기어부(40)와 맞물리는 구동기어(51)를 구동축(52)에 구비한 모터(53)가 상기 고정부(20)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성된 구동부(50)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부외측둘레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에어연결구(61)와, 상기 에어연결구(61)들을 서로 연결하는 에어호스(62)와, 상기 에어연결구(61) 중 어느 하나에 에어공급구(63)가 설치된 에어공급부(60)와;
    상기 에어연결구(61)의 하부에 절곡되어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환편기(10)의 니들부위(13)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환편기에서 편직작동시 발생되는 린트가 상기 니들부위(13)에 침투방지 및 상기 니들부위(13)에 떨어진 린트를 제거 하도록 구성된 에어분사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판(21)과, 상기 수평판(21)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22)과, 상기 전자석(22)의 자성을 온 및 오프하는 스위치(23)가 상기 전자석(22)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의해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판(21)과, 상기 수평판(21)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22)과, 상기 전자석(22)의 자성을 온 및 오프하는 스위치(23)가 상기 전자석(22)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의해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24)와, 상기 수평판(21)의 중앙에 설치된 관통공(25)과, 상기 관통공(25)의 하부가외둘레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모터(53)와, 상기 모터(53)의 구동축(52)은 상기 관통공(25)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되어 상기 수평판(21)의 상부로 노출된 구동축(52)에 설치된 구동기어(51)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상기 기어부(4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의 하부에는 안내턱(31)이 형성되어 양 상기 안내롤러(24)의 외측면과 하부면이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롤러(24)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판(21)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외측안내부(24a)가 설치되고, 양 상기 외측안내부(24a)의 상부에는 볼(24b)이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볼(24b)은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하부면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40)는 상기 링체프레임부(30)의 내측둘레에 1/2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40)는 만곡된 래크기어(40a)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40)에 맞물리는 상기 모터(53)의 상기 구동기어(51)는 피니언기어(51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70)에 회전전환부(7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의 구성인 전자석(22)의 하부에 회동되게 설치된 회동부(26)와, 상기 회동부(26)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공(27)에 삽입된 수평회동부(28)와, 상기 회동공(27)에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수평회동부(28)의 노출부(28a)에 고정너트(28b)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회동부(28)의 일측은 수평판(21)의 하부에 위치하여 힌지(h)로 상기 수평회동부(28)가 상기 수평판(2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KR1020180039591A 2018-04-05 2018-04-05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KR10221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91A KR102217322B1 (ko) 2018-04-05 2018-04-05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91A KR102217322B1 (ko) 2018-04-05 2018-04-05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667A true KR20190116667A (ko) 2019-10-15
KR102217322B1 KR102217322B1 (ko) 2021-02-17

Family

ID=6820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91A KR102217322B1 (ko) 2018-04-05 2018-04-05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3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5153A (zh) * 2019-11-29 2020-04-14 石狮市佳鑫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可切换除尘范围的针织机旋转式喷气除尘装置
CN111632927A (zh) * 2020-06-09 2020-09-08 杭州藏储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全方位清洗烘干的铸件清洗设备
CN111809301A (zh) * 2020-07-18 2020-10-23 泉州泉港华誉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针织机用的上针筒吹纱机构
CN114351347A (zh) * 2021-12-24 2022-04-15 上海东北亚新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织袜机的精细除尘机构及织袜机
KR102565726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린트제거부를 포함하는 환편기
KR102565727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환편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282U (ko) * 1985-06-19 1987-02-20 오영진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발광체 비상구 표시등
KR100292000B1 (ko) * 1999-02-22 2001-06-01 유철 환편기의 정·역회전식 린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282U (ko) * 1985-06-19 1987-02-20 오영진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발광체 비상구 표시등
KR100292000B1 (ko) * 1999-02-22 2001-06-01 유철 환편기의 정·역회전식 린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5153A (zh) * 2019-11-29 2020-04-14 石狮市佳鑫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可切换除尘范围的针织机旋转式喷气除尘装置
CN111632927A (zh) * 2020-06-09 2020-09-08 杭州藏储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全方位清洗烘干的铸件清洗设备
CN111809301A (zh) * 2020-07-18 2020-10-23 泉州泉港华誉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针织机用的上针筒吹纱机构
CN114351347A (zh) * 2021-12-24 2022-04-15 上海东北亚新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织袜机的精细除尘机构及织袜机
CN114351347B (zh) * 2021-12-24 2024-04-16 上海东北亚新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织袜机的精细除尘机构及织袜机
KR102565726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린트제거부를 포함하는 환편기
KR102565727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322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6667A (ko)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KR102295703B1 (ko)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US7017375B1 (en) Fiber blowing and heat dissipating system of single-sided circular knitting machine
US7043941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dust removal device
KR20190064544A (ko) 환편기의 압축공기 분사장치
JPH06101146A (ja)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吸塵・排出装置
CN117702383A (zh) 用于线材的在线处理的方法及系统
KR20120063863A (ko) 오일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868364B1 (ko)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KR101876979B1 (ko) 컨베이어 벨트 세척장치
KR101835996B1 (ko) 환편기용 먼지제거 에어분사노즐
KR101904346B1 (ko) 틈새 끼임 방지용 링이 구비된 고무 사상기
US20200199789A1 (en) Workstation of a Rotor Spinning Machine Comprising a Cleaning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KR100411836B1 (ko) 환편기의 린트슬러브 제거 방법 및 장치
CN217149554U (zh) 一种断线停针的缝纫装置
CN112359515A (zh) 一种纺织纱线除尘上浆装置
KR200464628Y1 (ko) 장력 균일화장치
TWI841596B (zh) 用於在線處理線材的處理單元及提供線材的在線處理的方法
KR20090010075U (ko) 섬유기계용 고무사 자동공급차단기
CN114232153B (zh) 一种快速减少纱线毛羽的纺纱装置
JP4971090B2 (ja) ダブル編用丸編機及びダブル生地の編成方法
KR100729963B1 (ko) 편면 환편기의 섬유 송풍 및 열 소산 시스템
CN1092125C (zh) 喂纱系统
CN219823099U (zh) 一种具有收卷功能的针织横机
CN110950168B (zh) 一种适用范围广的具有除静电功能的络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