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703B1 -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 Google Patents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703B1
KR102295703B1 KR1020200186999A KR20200186999A KR102295703B1 KR 102295703 B1 KR102295703 B1 KR 102295703B1 KR 1020200186999 A KR1020200186999 A KR 1020200186999A KR 20200186999 A KR20200186999 A KR 20200186999A KR 102295703 B1 KR102295703 B1 KR 10229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compressed air
knitting machine
circular knitting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헌
Original Assignee
(주)서진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니트 filed Critical (주)서진니트
Priority to KR102020018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내측 중심에 설치된 회전체에 설치된 수개의 압축공기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니들부위에 분사시켜 린트 및 린트슬러브를 제거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린트 등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모터를 구비한 린트유도모듈을 더 포함하는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apparatus for removing lints}
본 발명은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직 과정 중 발생하는 린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환편기(丸編機, circular knitting machine)는 바늘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원형의 통상(筒狀)의 천이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편직하는 작동에 따라 회전부와 고정부로 대변하는데, 회전부에는 실린더가 있고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수많은 홈을 파 그곳에 바늘을 꽂아 넣고, 실린더의 상단에는 수평으로 수많은 홈을 파 그곳에 싱카핀을 바늘과 엇갈리는 순서로 꽂아 넣은 회전하면서 편직하게 된다.
고정부에는 환편기가 편직작동을 위하여 실린더가 회전할 때 실린더에 꽂혀있는 바늘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니들캠(NEEDLE CAM)이 캠홀더에 부착되어 있고, 싱카핀이 수평으로 꽂혀있는 싱카캠은 싱카플레이트에 있으며, 원사의 공급을 유도하는 사도(絲道)와 롤러가 있는 원사공급부위가 있다.
또 편직부는 회전부와 원사공급부위인 고정부 사이는 수많은 니들과 싱카핀이 상,하 및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환편기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편직하는 편직부에 실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을 편직부에 안내하는 사도와 실과의 마찰이 일어나고 또 편직하는 과정에서 바늘의 상하이동으로 발생된 린트 등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편직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하는 바늘과 싱카핀에 내려앉아 편직되는 원단에 직접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불량원단을 생산하게 하기도 하지만 바늘과 싱카핀을 조립설치하는 공간에 달라붙거나 들어가는 경우에는 바늘과 싱카핀이 수직 및 수평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바늘 및 싱카핀이 실린더의 바늘홈 및 싱카핀홈에 끼어 들어가 오일과 함께 뭉쳐져 딱딱하게 굳어져 얇은 바늘과 싱카핀이 바늘홈 및 싱카핀홈에서 원활하게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정밀하게 조립되어 정확한 자리에서 이동하는 바늘과 싱카핀이 조립된 바늘홈 및 싱카핀홈으로부터 밀려나와 정상의 위치에 작동하지 못하여 실이 절사되는 경우에는 기계를 정지하여 실을 연결하여작동하여야 하고 또 편직된 원단의 조직은 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고정 배치한 후 이를 통하여 분사하는 압축공기가 니들과 싱카핀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하고 있으나, 공기 중의 작은 린트는 편직부에서 제거된 효과가 있었지만 니들과 싱카핀에 생성되고 있는 뭉쳐진 린트덩어리가 떨어져 나와 편직되는 원단에 들어가게 되어 회전하고 있는 회전부의 니들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미 니들홈에 린트덩어리가 만들어지거나 또는 편직하는 과정에서 작동을 멈추고 린트덩어리 등을 제거할 수밖에 없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주요 부분인 니들부위는 기계구조상 항시 오픈(open)된 상태이기 때문에 편직작업 중 공중을 떠다니는 린트는 니들부위로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편기의 니들부위 상방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송풍팬을 작동시켜서 바람을 송풍시키는 방법으로 린트를 제거하는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091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직과정 중 발생하는 린트를 분리한 후 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 내측 중심에 설치된 회전체에 설치된 수개의 압축공기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니들부위에 분사시켜 린트 및 린트슬러브를 제거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린트 등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모터를 구비한 린트유도모듈을 더 포함하는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린트유도모듈에 의하여 이동하는 린트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린트흡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린트흡입모듈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에 의하면, 편직과정 중 발생하는 린트를 회전부나 고정부 주요 구성에서 분리하도록 함은 물론 분리된 린트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편직과정의 효율을 높이고 직물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에 의하면, 제거된 린트를 흡입하기에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송풍팬을 추가 적용함으로써 린트 제거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트제거장치가 설치된 환편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트제거장치가 설치된 환편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린트제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상기 도 7에서 공기흡입모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트제거장치가 설치된 환편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I-I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트제거장치가 설치된 환편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는 회전부(1)와 고정부(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1)는 공지된 기술과 같은 실린더(90)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9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각각 니들(80)이 삽입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92)의 상단에는 수평으로 수많은 홈을 형성시킨 후 그곳에 싱카핀(84)을 상기 니들(80)과 엇갈리는 순서로 꽂아 넣은 회전부(1)의 편직부위가 적용된다.
상기 고정부(2)에는 환편기가 편직작동을 위하여 상기 실린더(90)가 회전할 때 상기 실린더(90)에 꽂혀있는 니들(80)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니들 캠(210)이 캠홀더(92)에 부착된다.
그리고, 싱카핀(84)이 수평으로 꽂혀있는 싱카캠(86)이 구비되되, 상기 싱카캠(86)은 별도로 구비된 싱카플레이트(88)에 구비되며, 원사의 공급을 유도하는 사도(絲道)(20)와 롤러(30)가 있는 원사공급부위가 구비된다.
여기서, 편직부위인 상기 회전부(1)와 원사공급부위인 고정부(2) 사이로 상기 니들(80)과 싱카핀(84)이 상,하 및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한편, 환편기가 편직작업을 할 때 생성되는 린트 및 린트슬러브가, 상기 회전부(1)에서는 니들(80)과 싱카핀(84)에 내려앉아 편직되는 원단에 직접 혼입되어 불량원단을 생산하게 한다. 또한, 린트 등이 상기 니들(80)과 싱카핀(84) 사이에 내려앉아 니들(80)과 싱카핀(84)이 수직 및 수평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니들 및 싱카핀이 실린더의 니들홈 및 싱카핀홈에 끼어들어 딱딱하게 굳어 린트솔리드로 변하면 니들과 싱카핀이 니들홈 및 싱카핀홈에서 정상작동을 하지 못하고 홈으로부터 밀려나와 들뜨거나 어긋난 위치에서 작동을 하게 되므로 편직되는 원단의 조직은 불량이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에서도 사도(20)와 롤러(30)에 내려앉은 린트 및 린트슬러브가 공급되는 원사에 묻어 이동하여 편직되는 원단에 직접 혼입되어 불량원단을 생산하게 하고, 상기 사도 및 롤러에 쌓여 있다가 공급되는 원사의 공급 속도를 방해하여 편직되는 원단의 조직을 불량하게 하거나 원사가 끊어지게 하고 공급되는 원사에 묻어 원사와 함께 이동하면서 니들과 싱카핀의 작동과정에 끼어들어 린트솔리드로 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는 상기 회전부(1)의 편직부위와 고정부(2)의 원사공급부에 생성되는 린트 및 린트슬러브를 제거하기 위한 압축공기분사노즐(120)을 구비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120)은 상기 회전부(1)의 중심축에 형성된 회전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1)와는 동심축을 갖고 동심원을 그리며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체(110)에 연결된 공기공급호스를 통하여 압축된 공기를 외측으로 분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는 상기 회전부(1)의 회전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120)을 통하여 공급된 압축공기로 인하여 제거되는 린트 등을 회전체(110)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하는 린트유도모듈(130)을 구비한다.
상기 린트유도모듈(130)은 모터부(131)와 팬부(132)로 이루어져, 상기 팬부(132)의 회전 시 상기 회전부(1)로부터 상기 회전체(110) 방향으로 분리된 린트를 공기와 함께 유입하는 방식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는 상기 회전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린트유도모듈(130)을 통하여 회전체(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린트흡입모듈(140)을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체(110)로부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120)의 단부까지의 거리(r1)는 상기 회전체(110)로부터 상기 공기흡입모듈(140)의 단부까지의 거리(r2)보다 길게 형성되어 유입된 린트의 흡입이 보다 원활하고 넓은 면적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고정형 외측공기분사노즐(200)을 고정배치한 후 이를 통하여 분사하는 압축공기가 니들과 싱카핀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120)의 전방부에 공기확산부(122)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120)과 상기 공기확산부(122)를 연결하는 연결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확산부(122)는 원뿔 형상을 이루되, 원뿔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120) 측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확산부는 소정 무게를 지니고, 상기 연결부(125)는 탄성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120)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분사 시에는 공기압에 의하여 아래측으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연결부(125)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확산부(122)를 적용 시에는 상기 회전부(1)의 한 곳만이 아닌 설정된 다수 영역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공기확산부(122)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적용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확산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린트제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서 공기흡입모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2)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형린트제거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린트제거모듈은 공기분사모듈(340), 송풍모듈, 공기흡입모듈(350)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모듈은 외부에 고정된 로드부(318)의 단부에 구비되는 모터부(310)와, 상기 모터부(310)의 회전축에 축연결되는 송풍팬(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20)은 회전 시 상기 고정부(2) 측으로부터 상기 로드부(318) 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320)은 다수 송풍날(321)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상기 송풍날(321)에는 회전중심에 인접한 위치로 관통부(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모듈(340)은 상기 모터부(310)의 일측으로 상기 관통부(322)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즉 상기 송풍팬(320)의 회전 시 일시적으로 송풍팬(320)에 간섭되는 영역이 있더라도 상기 송풍팬의 송풍날(321) 사이 및 각각의 송풍날(321)의 관통부 위치에서는 고정부(2)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모듈(340)의 단부 후방측으로 상기 공기흡입모듈(35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흡입모듈(350)은 상기 송풍팬(320)에 의하여 고정부(2) 측에서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흡입하는 구성으로서, 단부가 개구되며 흡입라인(351)에 연결되는 측으로 단면이 좁게 형성된 흡입부(3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352)는 개구부(354) 주변 둘레를 따라서 다시 측부연통부(35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에 별도로 흡입라인(351)에 연결된 흡입펌프의 작동 시 상기 개구부(354)와 측부연통부(356)를 통하여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된 린트가 흡입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352)의 개구부(354)와 측부연통부(356)를 동시에 덮어 감싸는 탄성을 지닌 메시부(360)가 구비된다.
상기 메시부(360)는 상당한 크기의 린트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분사모듈, 송풍모듈, 공기흡입모듈을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크기로 적용하면서도 공기의 고압분사, 린트의 유도 및 린트의 흡입 제거까지 하나의 모듈로 가능하여 효율적 운영 및 보수 등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회전부
2: 고정부
110: 회전체
120: 압축공기분사노즐
130: 린트유도모듈
140: 린트흡입모듈
122: 공기확산부
125: 연결부
340: 공기분사모듈
350: 공기흡입모듈

Claims (3)

  1.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중심부에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체에 설치된 수개의 압축공기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니들부위에 분사시켜 린트 및 린트슬러브를 제거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린트 및 린트슬러브를 상기 회전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모터를 구비한 린트유도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린트유도모듈에 의하여 이동하는 린트 및 린트슬러브를 흡입하는 린트흡입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전방부에 기 설정 이격된 거리를 가지며 배치되되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원뿔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 측으로 배치된 공기확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과 상기 공기확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탄성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확산부를 탄성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공기확산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린트흡입모듈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KR1020200186999A 2020-12-30 2020-12-30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KR102295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99A KR102295703B1 (ko) 2020-12-30 2020-12-30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99A KR102295703B1 (ko) 2020-12-30 2020-12-30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703B1 true KR102295703B1 (ko) 2021-08-30

Family

ID=7750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999A KR102295703B1 (ko) 2020-12-30 2020-12-30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7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834A (ko) * 2022-01-07 2023-07-14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KR102565727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환편기
KR102565726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린트제거부를 포함하는 환편기
KR102564875B1 (ko) * 2022-08-18 2023-08-10 송태종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52A (ja) * 1991-04-22 1993-01-19 Fukuhara Seiki Seisakusho:Kk 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集塵・除去装置
JPH0921043A (ja) * 1995-07-03 1997-01-21 Gunze Ltd 丸編機用の防塵装置
KR100411836B1 (ko) * 2003-04-11 2003-12-18 유철 환편기의 린트슬러브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890919B1 (ko) 2007-10-04 2009-04-02 유철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52A (ja) * 1991-04-22 1993-01-19 Fukuhara Seiki Seisakusho:Kk 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集塵・除去装置
JPH0921043A (ja) * 1995-07-03 1997-01-21 Gunze Ltd 丸編機用の防塵装置
KR100411836B1 (ko) * 2003-04-11 2003-12-18 유철 환편기의 린트슬러브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890919B1 (ko) 2007-10-04 2009-04-02 유철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834A (ko) * 2022-01-07 2023-07-14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KR102590626B1 (ko) 2022-01-07 2023-10-17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KR102564875B1 (ko) * 2022-08-18 2023-08-10 송태종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KR20230123455A (ko) * 2022-08-18 2023-08-23 송태종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KR102617836B1 (ko) 2022-08-18 2023-12-28 송태종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KR102565727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환편기
KR102565726B1 (ko) * 2023-03-30 2023-08-09 이인실 린트제거부를 포함하는 환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703B1 (ko)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KR102217322B1 (ko)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US5373711A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dust collector/remover filter
US7017375B1 (en) Fiber blowing and heat dissipating system of single-sided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0483354B1 (ko) 편물기계의편물기구상에린트및부스러기가축적하는것을방지하기위한수단및방법
EP0510508B1 (en) Collector/remover of dust of flocks in knitting machine
US51953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shing debris from the cylinder slots of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113166998A (zh) 射流抽吸箱和射流抽吸方法
US3535895A (en) Apparatus for pneumatically cleaning the work zone of centrosymmetrical textile machines
JPH06101146A (ja)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吸塵・排出装置
CN101153427B (zh) 高速圆编机的吹絮及散热装置
JP2928405B2 (ja)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除塵装置
JP4717583B2 (ja) スプライサ装置のクリーナー
KR101975677B1 (ko) 환편기용 보풀 제거장치
KR102565726B1 (ko) 린트제거부를 포함하는 환편기
KR100411836B1 (ko) 환편기의 린트슬러브 제거 방법 및 장치
JP2007154403A (ja) 空気供給式の編機
KR102565727B1 (ko)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환편기
US4703632A (en) Lint remov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2617836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JP2599049B2 (ja) 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集塵・除去装置
KR102028833B1 (ko) 양말 편직기의 실꼬리 절단장치
US6089050A (en) Antitwist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means for preventing the formation and/or for removing accumulations of waste
KR100555115B1 (ko) 환편기의 린트 및 린트슬러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2438087B1 (ko) 공기흡입유닛이 적용된 원통회전형 전기방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