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626B1 -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 Google Patents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626B1
KR102590626B1 KR1020220002462A KR20220002462A KR102590626B1 KR 102590626 B1 KR102590626 B1 KR 102590626B1 KR 1020220002462 A KR1020220002462 A KR 1020220002462A KR 20220002462 A KR20220002462 A KR 20220002462A KR 102590626 B1 KR102590626 B1 KR 10259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substances
dust collection
yarn
yarn carrier
knitting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6834A (ko
Inventor
박용완
이수진
김지훈
강진균
장성은
Original Assignee
에코융합섬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융합섬유연구원 filed Critical 에코융합섬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0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62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편직 품질 및 성능이 향상되어 양품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나아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질환 또는 질병유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교체보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보다 수월한 교체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환형 테이블과, 상기 환형 테이블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편침과, 상기 복수의 편침의 상측에 배치되는 얀캐리어를 통해 원사를 상기 편침에 공급하는 급사부와, 상기 편침을 침홈에 수용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향해 편침을 제어하는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와, 상기 캠홀더를 지지하는 캠링과; 상기 얀캐리어의 외측 주변을 감싼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얀캐리어와 대향되는 방향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얀캐리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A circular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편직 품질 및 성능이 향상되어 양품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나아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질환 또는 질병유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교체보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보다 수월한 교체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기에 의해서 직조된 직물을 경사와 위사가 서로 아래 위로 교차하면서 짜여져 소정 넓이의 천이 되도록 한 것으로 직조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무늬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데, 방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직물을 자동을 짜기 위한 직기의 하나로서 환편기가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환편기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한 신호에 대응하여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설치한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71340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71340호로 제안된 환편기는 크게, 환형 테이블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편침과, 상기 복수의 편침의 상측에 배치되는 얀캐리어를 통해 원사를 상기 편침에 공급하는 급사부와, 상기 편침을 침홈에 수용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향해 편침을 제어하는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와, 상기 캠홀더를 지지하는 캠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71340호로 제안된 환편기의 얀캐리어를 통해 원사를 상기 편침에 공급하는 과정 중에 상기 얀캐리어와 상기 원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원사에 발생된 보풀 등의 이물질로 인해 편직 품질 및 성능이 저하되어 불량품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원사에 발생된 보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어 작업환경이 좋지 않고, 나아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작업자의 체내로 흡입되어 질환 또는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713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편직 품질 및 성능이 향상되어 양품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나아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질환 또는 질병유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교체보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보다 수월한 교체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형 테이블과, 상기 환형 테이블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편침과, 상기 복수의 편침의 상측에 배치되는 얀캐리어를 통해 원사를 상기 편침에 공급하는 급사부와, 상기 편침을 침홈에 수용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향해 편침을 제어하는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와, 상기 캠홀더를 지지하는 캠링을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얀캐리어의 외측 주변을 감싼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얀캐리어와 대향되는 방향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얀캐리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환형 테이블의 외측에 일정한 각도로 복수 설치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축관부 및 타측 축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챔버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 사이마다 구비되고, 타측 하부에 어느 하나의 고정챔버의 일측 축관부가 삽입되는 타측 축공이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 다른 하나의 고정챔버의 타측 축관부가 삽입되는 일측 축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얀캐리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회전 흡입챔버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의 관통구와 흡입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고 여과부가 구비되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흡입챔버의 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회전 흡입챔버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가 복수의 고정챔버의 일측 축관부 및 타측 축관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시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의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단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연장판부와; 상기 연장판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환형 테이블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지지되는 각도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얀캐리어 외측 주변을 감싼 상태로 배치되는 집진부를 통해 상기 얀캐리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편직 품질 및 성능이 향상되어 양품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나아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작업자의 체내로 흡입될 우려가 없어 보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질환 또는 질병유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집진부의 회전 흡입챔버를 환형 테이블의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 환형 테이블과 상기 집진부 사이에 교체보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편침 등을 보다 수월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집진부가 얀캐리어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집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고정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회전 흡입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고정챔버와 회전 흡입챔버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확대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분리절개확대정면도이고,
도 9는 진공흡입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0은 진공흡입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1은 집진부와 환형 테이블 사이에 교체보수공간이 확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각도조절부에 의해 회전 흡입챔버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집진부가 얀캐리어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환형 테이블(10)과; 상기 환형 테이블(10)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편침(20)과; 상기 복수의 편침(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얀캐리어(21)를 통해 원사(3)를 상기 편침(20)에 공급하는 급사부(미도시)와; 상기 편침(20)을 침홈(미도시)에 수용한 실린더(미도시)와; 상기 실린더(미도시)에 대향해 편침(20)을 제어하는 제어캠(미도시)을 구비한 캠홀더(미도시)와; 상기 캠홀더(미도시)를 지지하는 캠링(미도시)과;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환형 테이블(10), 복수의 상기 편침(20), 급사부(미도시), 실린더(미도시), 캠홀더(미도시) 및 캠링(미도시)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71340호 등을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집진부(70)는 상기 얀캐리어(21)의 외측 주변을 감싼 상태로 환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얀캐리어(21)와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집진부(70) 부위에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집진부(70)는 상기 얀캐리어(21) 주변 외부로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도 3은 집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집진부(70)는 일예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이 고정챔버(710), 회전 흡입챔버(720) 및 진공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고정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는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일정한 각도로 복수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와 연통되는 하부배출관(700)이 각각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관(700)의 내측에 관통구(711)가 상기 하부배출관(700)을 따라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와 연통되는 환형의 일측 축관부(712) 및 환형의 타측 축관부(713)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일측부 외부방향 및 타측부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 사이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회전 흡입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고정챔버와 회전 흡입챔버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확대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분리절개확대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타측 하부에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타측과 인접한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일측 축관부(712)가 삽입되는 타측 축공(7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일측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타측 축관부(713)가 삽입되는 일측 축공(72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얀캐리어(21)의 주변 외부로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7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단부에 1개의 흡입구(723)가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보풀 등의 이물질 흡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단부에 복수의 상기 흡입구(723)가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진공흡입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상기 진공흡입부(730)는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관통구(711)와 흡입관(731)을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부(730)에는 상기 진공흡입부(730)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보풀 등의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사이클론 방식, 필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거하거나 사이클론 방식과 필터 방식이 혼합된 혼합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공지된 여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731)은 호스, 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입부(73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진공흡입부(730)의 상부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하부배출관(700)의 하부 사이마다 복수의 상기 흡입관(73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흡입관(731)의 상부는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하부배출관(700)의 하부에 기밀하게 억지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흡입관(731)의 하부는 복수의 상기 진공흡입부(730)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진공흡입부(730)의 상부에 억지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밀하게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부(73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얀캐리어(21) 주변 외부로 비산하는 보풀 등의 이물질과 함께 공기가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흡입구(723)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내부로 흡입된 후,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내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하부배출관(700)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구(711), 상기 흡입관(7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진공흡입부(730)로 흡입될 수 있다.
도 10은 진공흡입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른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입부(730)는 1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731)은 메인흡입관(731a)과 분기흡입관(73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흡입관(731a)의 하부는 1개의 상기 진공흡입부(730)의 상부에 억지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기흡입관(731b)은 상기 메인흡입관(731a)의 상부에서 복수개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분기흡입관(731b)의 상부는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하부배출관(700)의 하부에 기밀하게 억지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얀캐리어(21) 외측 주변을 감싼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집진부(70)를 통해 상기 얀캐리어(21)의 주변에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편직 품질 및 성능이 향상되어 양품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나아가, 비산되는 보풀 등의 이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작업자의 체내로 흡입될 우려가 없어 보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질환 또는 질병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집진부와 환형 테이블 사이에 교체보수공간이 확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70)의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단부를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환형 테이블(10)과 상기 집진부(70)의 회전 흡입챔버(720) 사이에 교체보수공간(S)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편침(20) 등을 보다 수월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각도조절부에 의해 회전 흡입챔버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부(70)의 회전 흡입챔버(720)를 통해 보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과정 중에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가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의 무게중심이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710)의 일측 축관부(712) 및 타측 축관부(713)를 중심으로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상부 내측으로 회전할 경우, 모든 복수의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의 회전각도 또는 복수의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의 회전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80)는 일예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판부(810)와 각도조절볼트(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부(810)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하부 내측면에서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부(810)에는 나사공(811)이 편심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나사공(811)은 상기 연장판부(810)의 일단부에 나사공(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볼트(820)는 상기 연장판부(810)의 나사공(811)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볼트(820)의 하단부는 상기 환형 테이블(10)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안착지지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각도조절볼트(820)가 작업자에 의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볼트(820)가 작업자에 의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상부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720)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상승할 수 있다.
10; 환형 테이블, 20; 편침,
70; 집진부.

Claims (5)

  1. 환형 테이블과, 상기 환형 테이블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편침과, 상기 복수의 편침의 상측에 배치되는 얀캐리어를 통해 원사를 상기 편침에 공급하는 급사부와, 상기 편침을 침홈에 수용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향해 편침을 제어하는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와, 상기 캠홀더를 지지하는 캠링을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얀캐리어의 외측 주변을 감싼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얀캐리어와 대향되는 방향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얀캐리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환형 테이블의 외측에 일정한 각도로 복수 설치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축관부 및 타측 축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챔버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 사이마다 구비되고, 타측 하부에 어느 하나의 고정챔버의 일측 축관부가 삽입되는 타측 축공이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 다른 하나의 고정챔버의 타측 축관부가 삽입되는 일측 축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얀캐리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회전 흡입챔버와;
    복수의 상기 고정챔버의 관통구와 흡입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고 여과부가 구비되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흡입챔버의 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흡입챔버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가 복수의 고정챔버의 일측 축관부 및 타측 축관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시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회전 흡입챔버의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단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연장판부와;
    상기 연장판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환형 테이블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지지되는 각도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5. 삭제
KR1020220002462A 2022-01-07 2022-01-07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KR10259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62A KR102590626B1 (ko) 2022-01-07 2022-01-07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62A KR102590626B1 (ko) 2022-01-07 2022-01-07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834A KR20230106834A (ko) 2023-07-14
KR102590626B1 true KR102590626B1 (ko) 2023-10-17

Family

ID=8715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462A KR102590626B1 (ko) 2022-01-07 2022-01-07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6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340B1 (ko) * 1999-09-24 2007-10-29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KR101975677B1 (ko) * 2017-11-20 2019-05-07 양진석 환편기용 보풀 제거장치
KR102295703B1 (ko) 2020-12-30 2021-08-30 (주)서진니트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146A (ja) * 1992-09-18 1994-04-12 Fukuhara Seiki Seisakusho:Kk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吸塵・排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340B1 (ko) * 1999-09-24 2007-10-29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KR101975677B1 (ko) * 2017-11-20 2019-05-07 양진석 환편기용 보풀 제거장치
KR102295703B1 (ko) 2020-12-30 2021-08-30 (주)서진니트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834A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90166A (zh) 自动纺袜机中的除尘装置
CA2003088C (en) Screening device
CN110629394B (zh) 一种用于针织大圆机的除尘装置
KR102590626B1 (ko)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US3800521A (en) Ringless spinning machine
EP0588343A1 (en) Dust and waste removal and collection system for double knitting machine
EP0541655B1 (en) A device for separating suspensions, preferably containing fibre pulp
EP0510509B1 (en) Remover of dust of flocks, etc.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13584689A (zh) 喷水织机废纬纱智能处理装置
KR100612205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CN204023145U (zh) 织袜机除尘装置中过滤筒的定位结构
US3782095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withdrawing air from spinning units
JPS609126B2 (ja) 繊維状物質用開繊および清掃機
CA2511138A1 (en) Pressurized screen for screening a fibrous suspension
CA1238604A (en) Rotary pulp screen of the vertical pressure type having pulp stock feed at different axial positions on the screen
CN211897295U (zh) 一种大圆机的导纱架
CN211112479U (zh) 一种纺织机用纺织尘收集装置
CN211972631U (zh) 一种圆织机
CN114525619B (zh) 一种提花双面圆形纬编机
CN208733297U (zh) 一种易清洗的针织机三角座
EP1914336B1 (en) Yarn debris removing apparatus for circular discoloration knitting machines
US5675991A (en) Cleaning system for knitting machines
CN217459846U (zh) 一种缝纫机回油结构
CN108560118A (zh) 一种用于喷水织机的废水离心过滤装置
CN204023146U (zh) 织袜机除尘装置中定位筒与内筒体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